KR20160100275A -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275A
KR20160100275A KR1020160098924A KR20160098924A KR20160100275A KR 20160100275 A KR20160100275 A KR 20160100275A KR 1020160098924 A KR1020160098924 A KR 1020160098924A KR 20160098924 A KR20160098924 A KR 20160098924A KR 20160100275 A KR20160100275 A KR 20160100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host
information
commun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5299B1 (ko
Inventor
이주상
이지민
천정서
이도훈
Original Assignee
이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훈 filed Critical 이도훈
Priority to KR102016009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299B1/ko
Publication of KR2016010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04L67/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3Protocol definition or spec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트의 통신 포맷과 지리적 정보에 따른 모바일 사용자의 설정이나 개별 응용 프로그램의 선택이 없이 모바일-호스트 간의 정보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인 호스트에 대해 모바일이 접속하여 모바일로부터 호스트 측이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쌍방향(bi-directional)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이 수신 동작 모드로 대기하도록 설정되고, 모바일이 호스트의 무선 채널 영역에 위치함으로써 무선 채널의 캐리어를 감지하면, 모바일은 호스트로부터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인프라 코드를 패킷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모바일 내에 저장하며, 저장된 수신 패킷에 포함되어있는 인프라 코드를 참조하여 통신 포맷과 대응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모바일과 호스트 간의 양방향/단방향 정보 통신이 수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Mobil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infra-code,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호스트의 통신 포맷과 지리적 정보에 따른 모바일 사용자의 설정이나 개별 응용 프로그램의 선택이 없이 모바일-호스트 간의 정보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기술 분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7464 A호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처리하는 블루투스부를 구비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작된 블루투스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금액을 입력받기 위한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시 또는 후에 상기 블루투스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인식된 코드 값이 특정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되는 코드 값인지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특정한 블루투스모듈의 코드 값으로 인증시 상기 인증된 블루투스모듈로부터 송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코드 값을 인식한 단말기의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된 상기 결제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된 블루투스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2도에 도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4217 B1호의 소액결제를 위한 NFC 기반 무선 진동 페이저, 그리고 NFC 관리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한 소액결제 방법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무선 진동 페이저(20)는, 모바일 단말(10a) 또는 모바일 카드(10b)에 의한 결제요청을 NFC 방식으로 수신하여 결제를 수행하며, 수행된 결제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또는 3G 통신의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NFC 관리 서버(30)로 전송하며, 비접촉식 전자화폐단말기용 보안응용모듈에 해당하는 결제용 SAM(Secure Application Module)을 내장하여 상기 결제를 수행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10a) 또는 상기 모바일 카드(10b)의 요청에 따라 상기 결제가 수행된 금액을 표시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10a) 또는 상기 모바일 카드(10b)와의 관계에서 NFC 기반의 리더(reader)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3도에 도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026968 A 호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제어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중 상기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부의 식별 결과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대적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및 상기 위치 판단부가 판단한 상대적 위치에 따라 데이터를 표시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중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 결과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대적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적 위치에 따라 데이터를 표시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KR 10-2016-0077464 A KR 10-1614217 B1 KR 10-2014-0026968 A KR 10-2016-0006306 A KR 10-1150896 B1
본 발명은,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등의 채널을 사용하는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의 통신 채널, 프로토콜, 송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인프라 코드를 모바일 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은 수신된 인프라 코드를 참조하여 호스트 측이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쌍방향(bi-directional)으로 정보를 교환하도록 함으로써, 호스트의 통신 포맷과 지리적 정보에 따른 모바일 사용자의 설정이나 개별 응용 프로그램의 선택이 없이 모바일-호스트 간의 정보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인 호스트에 대해 모바일이 접속하여 모바일로부터 호스트 측이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쌍방향(bi-directional)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이 수신 동작 모드로 대기하도록 설정되고, 모바일이 호스트의 무선 채널 영역에 위치함으로써 무선 채널의 캐리어를 감지하면, 모바일은 호스트로부터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인프라 코드를 패킷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모바일 내에 저장하며, 저장된 수신 패킷에 포함되어있는 인프라 코드를 참조하여 통신 포맷과 대응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모바일과 호스트 간의 양방향/단방향 정보 통신이 수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의 통신 포맷과 지리적 정보에 따른 모바일 사용자의 설정이나 개별 응용 프로그램의 선택이 없이 모바일-호스트 간의 정보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도면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 기술로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기술의 구성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다른 배경 기술로서,소액결제를 위한 NFC 기반 무선 진동 페이저, 그리고 NFC 관리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한 소액결제 방법 기술의 구성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배경 기술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제어기술의 구성
도면 제4도는 종래의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작용 관계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의 기본 동작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과 호스트 간의 동작 관계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과 호스트의 RF 충돌회피 동작의 일례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인프라 코드의 구성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과 호스트의 구성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에 대한 모바일의 구동 방법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 및 구동 방법을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4도는 종래의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작용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은,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등의 채널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인 호스트(200)에 대해 모바일(100)이 접속하여 모바일(100)로부터 호스트(200) 측이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쌍방향(bi-directional)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다. 상기의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의 예를 들면, 호스트(200)로부터 모바일(100)로 일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비콘(beacon), 모바일(100)로부터 호스트(200) 측으로 신용카드 정보나 계좌 정보를 제공하여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무선 결제기, 모바일(100)로부터 호스트(200) 측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다시 호스트(200)로부터 모바일(100)로 정보가 제공되어 기록되는 교통카드, 모바일(100)에 저장된 정보를 호스트(200) 측으로 제공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패스카드(출입카드) 등 그 응용 분야는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은, 호스트(200)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가 모바일(100)측에 구비되어 있더라도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구조 내지 암호화 방식을 포함하는 프로토콜(protocol)과 송신 및 수신되는 정보의 구성을 참조하여야만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채널별로도 다수의 응용(application) 기술과 이를 위한 프로토콜(protocol)들이 표준으로 제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모바일(100) 사용자가 호스트(200)의 통신 채널, 프로토콜, 송수신 정보를 선택하고 호스트(200)에 접속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현행의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은, 모바일(100)측에서 호스트(200)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 프로토콜, 송수신 정보를 설정하고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들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구동되는 구조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콘(beacon), 무선 결제, 교통카드나 패스카드(출입카드)로서의 응용이 증가할수록 각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들도 증가하므로 결국 사용자는 호스트(200)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해야 하는 문제가 야기된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등의 채널을 사용하는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200)의 통신 채널, 프로토콜, 송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인프라 코드를 모바일(100)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100)은 수신된 인프라 코드를 참조하여 호스트(200) 측이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쌍방향(bi-directional)으로 정보를 교환하도록 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의 기본 동작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은,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등의 무선 채널을 사용하는 호스트(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인프라 코드(infra-code)가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된다. 이때 상기 인프라 코드는 호스트(200)의 무선 채널 영역 내 모바일(100)과 호스트(200) 간의 정보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채널, 프로토콜, 송수신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프라 코드(infra-code)의 브로드캐스팅은 호스트(200)에 구비된 무선 채널을 사용한다. 모바일(100)은 수신된 인프라 코드를 참조하여 호스트(200) 측이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쌍방향(bi-directional)으로 정보를 교환한다.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100)과 호스트(200) 간의 동작 관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은;
(a) 모바일(100)이 수신 동작 모드로 대기하도록 설정되고,
(b) 모바일(100)이 호스트(200)의 무선 채널 영역에 위치함으로써 무선 채널의 캐리어를 감지하면,
(c) 모바일(100)은, 호스트(200)로부터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인프라 코드를 패킷으로 수신하고,
(d) 수신된 패킷을 모바일(100) 내에 저장하며,
(e) 상기 모바일(100)은, 저장된 수신 패킷에 포함되어있는 인프라 코드를 참조하여 통신 포맷과 대응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f) 모바일(100)과 호스트(200) 간의 양방향/단방향 정보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호스트(200)는 인프라 코드를 패킷으로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채널과 모바일(100)과 호스트(200) 간의 양방향/단방향 정보 통신을 위한 무선 채널을 별개의 복수 채널로 구비하거나 단일의 채널로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호스트(200)가 단일 채널인 경우에 인프라 코드를 패킷으로 브로드캐스트하는 모드와 모바일(100)과의 정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 간의 스위칭 제어가 필요하다. 이에 반해 상기 호스트(200)가 복수 채널인 경우에는 채널별 에어 인터페이스로써 구분 동작된다. 모바일(100)의 수신 동작 모드는, 인프라 코드를 브로드캐스트하는 호스트(200)의 모드에 대응하여 설정되며, 예를 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의 경우 P2P(peer-to-peer) 모드, Bluetooth에 대해서는 PPP(point-to-point) 모드, WiFi는 WPA personal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모바일(100)과 호스트(200) 간의 양방향/단방향 정보 통신이 완료되면 모바일(100)은 다시 수신 동작 모드로 설정되어 다른 호스트(200)에 대한 모바일 정보 통신을 대기한다. 이 경우, 상기 모바일(100)은 양방향/단방향 정보 통신이 완료된 호스트(200)와 중복된 양방향/단방향 정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프라 코드는, 모바일(100)과 호스트(200) 간의 정보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채널, 프로토콜, 송수신 정보와 함께 호스트(200)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여 중복 통신을 방지한다.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100)과 호스트(200) 각각의 통신을 위해 적용되는 RF 충돌회피 동작의 일례를 타이밍 관계로 도시한다. 도면 제6도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모바일(100)과 호스트(200) 사이에는 호스트(200)의 인프라 코드 브로드캐스트, 호스트(200)에 대한 모바일(100) 정보 통신을 위한 RF 신호가 혼신될 수 있으며, 다수의 모바일(100)들과 복수의 호스트(200)가 위치한 공간에서는 RF 신호 간 충돌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100)과 호스트(200)별 RF 신호를 각각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RF 충돌 회피 방식(RF collision avoidance)으로 전송 제어를 적용한다.
도면 제7도의 RF 충돌회피 동작은; 호스트(200) 및 모바일(100) 각각으로 부터 정보 전송 동작이 개시(start)되면, 정보 전송을 하기 위한 호스트(200) 또는 모바일(100)은 TDT 의 시간만큼 전송 대기 시간을 유지한다. 이어 RF 신호를 설정하기 위한 RF 대기 시간으로서 TRFW 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시간 경과 후 정보 전송을 하기 위한 호스트(200) 또는 모바일(100)은 RF 신호(캐리어)를 on 시킨다. 다음으로 RF 신호(캐리어)가 안정되기 위한 시간 TRFG 경과 후 정보 전송을 수행하고 RF 신호(캐리어)를 off 시킨다. 상기 시간 TDT, TRFW, TRFG 은 RF 신호의 주기에 대한 정수배로 설정되며 상기와 같은 RF 충돌 회피 방식(RF collision avoidance)으로 동일한 채널에서 모바일(100)과 호스트(200) 각각의 RF 신호를 구분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200)로부터 모바일(100)에 대해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인프라 코드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인프라 코드는, 모바일(100)과 호스트(200) 간의 정보 통신을 위해 참조되는 통신 포맷 필드와, 모바일(100) 측에서 호스트(200)를 구분하여 중복 통신을 방지하기 위한 호스트 정보 필드, 기타 정보를 부가할 수 있는 예약 영역(reserved field)으로 구분된다.
상기 통신 포맷 필드는; 모바일(100)과 호스트(200) 간의 정보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구분하는 통신 채널 코드, 상기 통신 채널에 대해 호스트(200)에서 설정된 패킷 구성이나 암호화 방식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코드, 호스트(200)로부터 모바일(100)에 대해 요청되거나 전송되는 정보를 구분하는 요청 정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호스트 정보 필드는;
호스트(200)가 위치한 지리적 정보로서 국가 코드와 지역코드, 호스트(200)의 종류(예를 들면 신용카드 결제기, 교통카드 결제기, 출입 카드 리더, 리드 라이트 기기... 등)를 구분하는 호스트 ID, 동일한 호스트(200)의 종류에 대해 복수의 기기가 설치된 공간에서 각각의 기기를 구분하기 위한 서브 ID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 정보 필드의 국가 코드, 지역코드, 호스트 ID, 서브ID는 숫자 데이터로 구분되도록 부여될 수도 있고 ASCII코드와 같은 문자 코드로 부여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바일(100)은 상기와 같은 인프라 코드를 수신하고, 통신 포맷 필드를 참조하여 모바일(100)의 통신 채널, 호스트(200)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통신 정보가 설정되어 통신이 이루어진다. 또한 모바일(100)은, 호스트 정보 필드를 참조하여 통신이 완료된 통신 포맷 필드 및 호스트 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인프라 코드가 수신될 경우 반복 통신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200)로부터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인프라 코드는, 호스트(200)의 통신 포맷과 지리적 정보에 따른 모바일(100) 사용자의 설정이나 개별 응용 프로그램의 선택이 없이 모바일(100)-호스트(200) 간의 정보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100)과 호스트(200)의 구성을 각각 도시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100)은;
모바일 정보 통신을 제어하는 모바일 통신 콘트롤러(102); 호스트(200)로부터 전송되는 인프라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인프라 코드를 참조하여 모바일(100)과 호스트(200)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RF 유닛으로서 모바일 에어 인터페이스(104); 무선 통신이 완료된 호스트(200)들의 인프라 코드를 저장하는 인프라 코드 저장부(106); 상기 모바일 에어 인터페이스(104)를 통해 정보 전송 시 동일 채널의 다른 RF 신호와 구분 전송하기 위한 모바일 RF 충돌 회피 제어부(108); 호스트(200)로부터 수신된 인프라 코드에 대해 대응 가능한 호스트 정보들을 저장하는 호스트 참조 저장부(110); 상기 모바일 에어 인터페이스(104)를 통해 수신되는 패킷과 전송 패킷을 저장하는 모바일 패킷 버퍼(112); 호스트(200)로부터 수신된 인프라 코드에 대응되는 통신 모듈(응용 프로그램)들의 메모리 내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통신 모듈 테이블(114); 호스트(200)로부터 수신된 인프라 코드를 저장하는 인프라 코드 버퍼(116); 통신 모듈(응용 프로그램) 들 각각에 대해 호스트(200)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의 메모리 내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모듈 데이터 테이블(118); 호스트(200)로부터 수신된 인프라 코드에 대응되는 통신 모듈(응용 프로그램)들이 각각 저장되는 메모리로서 통신 모듈부(120); 통신 모듈(응용 프로그램) 들 각각에 대해 호스트(200)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로서 모듈 데이터 저장부(122); 를 구비한다.
상기의 모바일(100)에 대해 본 발명의 호스트(200)는;
호스트 정보 통신을 제어하는 호스트 통신 콘트롤러(208);을 중심으로, 호스트(200)의 인프라 코드를 브로드캐스트하는 호스트 에어 인터페이스(202); 상기 호스트 에어 인터페이스(202)를 통해 인프라 코드를 브로드캐스트하는 경우 동일 채널의 다른 RF 신호와 구분 전송하기 위한 호스트 RF 충돌 회피 제어부(204); 호스트(200)의 인프라 코드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호스트 통신 콘트롤러(208)에 의해 설정되고 참조되는 타이머(206); 호스트(20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인프라 코드를 저장하는 호스트 인프라 코드 메모리(21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호스트(200)는 상기의 구성과 함께 모바일(100)-호스트(200) 간의 정보 통신을 수행하고 정보 통신의 결과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제공하는 메인 통신 유닛(212);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호스트(200)는, 인프라 코드의 브로드캐스트 채널과 메인 통신 유닛(212)의 채널이 동일한 경우, 호스트 에어 인터페이스(202)와 메인 통신 유닛(212)을 호스트 통신 콘트롤러(208)에 의해 스위칭되도록 구성(미도시)할 수도 있다.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에 대한 모바일(100)의 구동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다. 이하 각 단계를 수순별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에 대한 모바일(100)의 구동 방법은;
- S100 : 모바일(100)이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을 개시하는 단계;
- S110 : 상기 모바일(100)이 호스트(200)에 대응하여 복수의 무선 채널에 대해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단계;
이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100)의 수신 모드는, 미지의 무선 채널로 인프라 코드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하는 호스트(200)에 대응하여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의 P2P(peer-to-peer) 모드, Bluetooth의 PPP(point-to-point) 모드, WiFi의 WPA personal 방식과 같은 복수의 무선 채널을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 S120 : 상기 모바일(100)이 수신 모드로 설정된 복수의 무선 채널로부터 캐리어 신호가 감지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 단계에서 캐리어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 S120을 반복 수행한다.
- S130 : 상기 단계 S120에서 무선 채널로부터 캐리어 신호가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100)은 캐리어 신호가 감지된 무선 채널을 통해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 S140 : 상기 단계 S130에서 수신된 패킷에 인프라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모바일(100)에서 판단하는 단계;
이때 인프라 코드가 포함된 패킷은 패킷 헤더 정보로써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인프라 코드의 예약 영역(reserved field)에 인프라 코드가 포함된 패킷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를 부가하여 수신된 패킷에 인프라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모바일(100)에서 판단하도록 구성한다.
- S150 : 상기 단계 S140에서 수신된 패킷에 인프라 코드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100)은 수신된 인프라 코드에 대해 대응 가능한 호스트 정보들을 저장하는 호스트 참조 저장부(110)를 조회하여 대응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 S180 : 상기 단계 S150에서 호스트 참조 저장부(110)를 조회하여 대응 가능한 경우 상기 모바일(100)은 수신된 인프라 코드로부터 통신 채널 코드, 프로토콜 코드, 요청 정보 코드를 포함하는 통신 포맷 필드의 정보와, 국가 코드와 지역코드, 호스트 ID, 서브 ID를 포함하는 호스트 정보 필드의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 S190 : 다음으로 상기 모바일(100)은, 상기 단계 S180에서 독출된 통신 포맷 필드의 정보 및 호스트 정보 필드의 정보와, 무선 통신이 완료된 호스트(200)들의 인프라 코드를 저장하는 인프라 코드 저장부(106)의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인프라 코드의 호스트(200)에 대한 통신이 이미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 S190에서, 동일한 인프라 코드의 호스트(200)에 대한 통신이 이미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100)은 상기 단계 S110 부터 반복 수행한다.
- S200 : 상기 단계 S190에서, 동일한 인프라 코드의 호스트(200)에 대한 통신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100)은,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이 사용자의 승인을 거치는 승인 모드(confirm mode)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 S210 : 상기 단계 S200에서 승인 모드(confirm mode)인 경우, 모바일(100) 사용자의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 S220 : 이어 모바일(100)은 사용자의 승인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승인이 거부된 입력으로 판단되면 모바일(100)은, 상기 단계 S110부터 다시 수행한다.
- S230 : 상기 단계 S220에서 사용자의 승인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100)은, 수신된 인프라 코드에 포함된 통신 포맷 필드의 정보 및 호스트 정보 필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모듈 테이블(114)과 모듈 데이터 테이블(118)을 참조하고 대응되는 통신 모듈(응용 프로그램) 및 호스트(200)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호스트(20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 S240 : 상기 S230에서 모바일(100)과 호스트(200) 간의 통신이 완료되면 통신 모듈을 종료하고, 호스트(200)로부터 전송된 인프라 코드를 인프라 코드 저장부(106)에 저장하며 통신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 S250 :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의 종료 여부를 입력 받아 판단하는 단계;를 거쳐, 모바일 정보 통신의 종료가 아닌 경우 상기 단계 S110부터 반복 수행하고,
- S260 : 상기 단계 S250에서 모바일 정보 통신의 종료가 입력된 경우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 로 구성된다.
=================================================================
상기 단계 S150에서, 수신된 인프라 코드에 대해 대응 가능한 호스트 정보들을 저장하는 호스트 참조 저장부(110)를 조회하여 대응 가능하지 않은 경우,
- S160 : 상기 모바일(100)은 수신된 인프라 코드의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수행하고,
- S170 : 수신된 인프라 코드를 삭제하는 단계; 를 거쳐, S110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
상기 단계 S200에서,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이 승인 모드(confirm mode)가 아닌 경우 모바일(100)은 상기 단계 S230를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의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등의 채널을 사용하는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200)의 통신 채널, 프로토콜, 송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인프라 코드를 모바일(100)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100)은 수신된 인프라 코드를 참조하여 호스트(200) 측이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쌍방향(bi-directional)으로 정보를 교환하도록 함으로써, 호스트(200)의 통신 포맷과 지리적 정보에 따른 모바일(100) 사용자의 설정이나 개별 응용 프로그램의 선택이 없이 모바일(100)-호스트(200) 간의 정보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모바일 102 : 모바일 통신 콘트롤러
104 : 모바일 에어 인터페이스 106 : 인프라 코드 저장부
108 : 모바일 RF 충돌 회피 제어부 110 : 호스트 참조 저장부
112 : 모바일 패킷 버퍼 114 : 통신 모듈 테이블
116 : 인프라 코드 버퍼 118 : 모듈 데이터 테이블
120 : 통신 모듈부 122 : 모듈 데이터 저장부
200 : 호스트 202 : 호스트 에어 인터페이스
204 : 호스트 RF 충돌 회피 제어부 206 : 타이머
208 : 호스트 통신 콘트롤러 210 : 호스트 인프라 코드 메모리
212 : 메인 통신 유닛

Claims (10)

  1. 무선 통신 디바이스인 호스트(200)에 대해 모바일(100)이 접속하여 모바일(100)로부터 호스트(200) 측이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쌍방향(bi-directional)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200)의 무선 채널 영역 내 모바일(100)과 호스트(200) 간의 정보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채널, 프로토콜, 송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인프라 코드를 무선 채널을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호스트(200);
    상기 호스트(2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된 인프라 코드를 수신하고 참조하여 호스트(200) 측이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쌍방향(bi-directional)으로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인 호스트(200)에 대해 모바일(100)이 접속하여 모바일(100)로부터 호스트(200) 측이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쌍방향(bi-directional)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100)이 수신 동작 모드로 대기하도록 설정되고, 모바일(100)이 호스트(200)의 무선 채널 영역에 위치함으로써 무선 채널의 캐리어를 감지하면, 모바일(100)은 호스트(200)로부터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인프라 코드를 패킷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모바일(100) 내에 저장하며, 저장된 수신 패킷에 포함되어있는 인프라 코드를 참조하여 통신 포맷과 대응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모바일(100)과 호스트(200) 간의 양방향/단방향 정보 통신이 수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프라 코드는,
    모바일(100)과 호스트(200) 간의 정보 통신을 위해 참조되는 통신 포맷 필드;와,
    모바일(100) 측에서 호스트(200)를 구분하여 중복 통신을 방지하기 위한 호스트 정보 필드;
    기타 정보를 부가할 수 있는 예약 영역(reserved field); 로 구성되고,

    상기 통신 포맷 필드는,
    모바일(100)과 호스트(200) 간의 정보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구분하는 통신 채널 코드;
    상기 통신 채널에 대해 호스트(200)에서 설정된 패킷 구성이나 암호화 방식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코드;
    호스트(200)로부터 모바일(100)에 대해 요청되거나 전송되는 정보를 구분하는 요청 정보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호스트 정보 필드는;
    호스트(200)가 위치한 지리적 정보로서 국가 코드와 지역코드;
    호스트(200)의 종류를 구분하는 호스트 ID;
    동일한 호스트(200)의 종류에 대해 복수의 기기가 설치된 공간에서 각각의 기기를 구분하기 위한 서브 ID;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100)과 호스트(200)는,
    정보 전송 동작이 개시(start)되면, 정보 전송을 하기 위한 호스트(200) 또는 모바일(100)은 TDT 의 시간만큼 전송 대기 시간을 유지하고,
    이어 RF 신호를 설정하기 위한 RF 대기 시간으로서 TRFW 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시간 경과 후,
    정보 전송을 하기 위한 호스트(200) 또는 모바일(100)은 RF 신호(캐리어)를 on 시키며,
    다음으로 RF 신호(캐리어)가 안정되기 위한 시간 TRFG 경과 후 정보 전송을 수행하고 RF 신호(캐리어)를 off 시키는 RF 충돌 회피 방식(RF collision avoidance)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TDT, TRFW, TRFG 은,
    RF 신호의 주기에 대해 정수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6. 무선 통신 디바이스인 호스트(200)에 대해 모바일(100)이 접속하여 모바일(100)로부터 호스트(200) 측이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쌍방향(bi-directional)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100)은;
    모바일 정보 통신을 제어하는 모바일 통신 콘트롤러(102);
    호스트(200)로부터 전송되는 인프라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인프라 코드를 참조하여 모바일(100)과 호스트(200)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RF 유닛으로서 모바일 에어 인터페이스(104);
    무선 통신이 완료된 호스트(200)들의 인프라 코드를 저장하는 인프라 코드 저장부(106);
    상기 모바일 에어 인터페이스(104)를 통해 정보 전송 시 동일 채널의 다른 RF 신호와 구분 전송하기 위한 모바일 RF 충돌 회피 제어부(108);
    호스트(200)로부터 수신된 인프라 코드에 대해 대응 가능한 호스트 정보들을 저장하는 호스트 참조 저장부(110);
    상기 모바일 에어 인터페이스(104)를 통해 수신되는 패킷과 전송 패킷을 저장하는 모바일 패킷 버퍼(112);
    호스트(200)로부터 수신된 인프라 코드에 대응되는 통신 모듈(응용 프로그램)들의 메모리 내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통신 모듈 테이블(114);
    호스트(200)로부터 수신된 인프라 코드를 저장하는 인프라 코드 버퍼(116); 통신 모듈(응용 프로그램) 들 각각에 대해 호스트(200)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의 메모리 내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모듈 데이터 테이블(118);
    호스트(200)로부터 수신된 인프라 코드에 대응되는 통신 모듈(응용 프로그램)들이 각각 저장되는 메모리로서 통신 모듈부(120);
    통신 모듈(응용 프로그램) 들 각각에 대해 호스트(200)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로서 모듈 데이터 저장부(122);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7. 무선 통신 디바이스인 호스트(200)에 대해 모바일(100)이 접속하여 모바일(100)로부터 호스트(200) 측이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쌍방향(bi-directional)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200)는;
    호스트 정보 통신을 제어하는 호스트 통신 콘트롤러(208);
    호스트(200)의 인프라 코드를 브로드캐스트하는 호스트 에어 인터페이스(202);
    상기 호스트 에어 인터페이스(202)를 통해 인프라 코드를 브로드캐스트하는 경우 동일 채널의 다른 RF 신호와 구분 전송하기 위한 호스트 RF 충돌 회피 제어부(204);
    호스트(200)의 인프라 코드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호스트 통신 콘트롤러(208)에 의해 설정되고 참조되는 타이머(206);
    호스트(20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인프라 코드를 저장하는 호스트 인프라 코드 메모리(210);모바일(100)-호스트(200) 간의 정보 통신을 수행하고 정보 통신의 결과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제공하는 메인 통신 유닛(212);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8. 무선 통신 디바이스인 호스트(200)에 대해 모바일(100)이 접속하여 모바일(100)로부터 호스트(200) 측이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쌍방향(bi-directional)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 S100 : 모바일(100)이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을 개시하는 단계;
    - S110 : 상기 모바일(100)이 호스트(200)에 대응하여 복수의 무선 채널에 대해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단계;
    - S120 : 상기 모바일(100)이 수신 모드로 설정된 복수의 무선 채널로부터 캐리어 신호가 감지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 S120 에서 캐리어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 S120을 반복 수행하고,
    - S130 : 상기 단계 S120에서 무선 채널로부터 캐리어 신호가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100)은 캐리어 신호가 감지된 무선 채널을 통해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 S140 : 상기 단계 S130에서 수신된 패킷에 인프라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모바일(100)에서 판단하는 단계;
    - S150 : 상기 단계 S140에서 수신된 패킷에 인프라 코드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100)은 수신된 인프라 코드에 대해 대응 가능한 호스트 정보들을 저장하는 호스트 참조 저장부(110)를 조회하여 대응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 S180 : 상기 단계 S150에서 호스트 참조 저장부(110)를 조회하여 대응 가능한 경우 상기 모바일(100)은 수신된 인프라 코드로부터 통신 채널 코드, 프로토콜 코드, 요청 정보 코드를 포함하는 통신 포맷 필드의 정보와, 국가 코드와 지역코드, 호스트 ID, 서브 ID를 포함하는 호스트 정보 필드의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 S190 : 다음으로 상기 모바일(100)은, 상기 단계 S180에서 독출된 통신 포맷 필드의 정보 및 호스트 정보 필드의 정보와, 무선 통신이 완료된 호스트(200)들의 인프라 코드를 저장하는 인프라 코드 저장부(106)의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인프라 코드의 호스트(200)에 대한 통신이 이미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 S190에서, 동일한 인프라 코드의 호스트(200)에 대한 통신이 이미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100)은 상기 단계 S110 부터 반복 수행하고,
    - S200 : 상기 단계 S190에서, 동일한 인프라 코드의 호스트(200)에 대한 통신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100)은,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이 사용자의 승인을 거치는 승인 모드(confirm mode)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 S210 : 상기 단계 S200에서 승인 모드(confirm mode)인 경우, 모바일(100) 사용자의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 S220 : 이어 모바일(100)은 사용자의 승인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승인이 거부된 입력으로 판단되면 모바일(100)은, 상기 단계 S110부터 다시 수행하고,
    - S230 : 상기 단계 S220에서 사용자의 승인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100)은, 수신된 인프라 코드에 포함된 통신 포맷 필드의 정보 및 호스트 정보 필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모듈 테이블(114)과 모듈 데이터 테이블(118)을 참조하고 대응되는 통신 모듈(응용 프로그램) 및 호스트(200)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호스트(20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 S240 : 상기 S230에서 모바일(100)과 호스트(200) 간의 통신이 완료되면 통신 모듈을 종료하고, 호스트(200)로부터 전송된 인프라 코드를 인프라 코드 저장부(106)에 저장하며 통신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 S250 :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의 종료 여부를 입력 받아 판단하는 단계;를 거쳐, 모바일 정보 통신의 종료가 아닌 경우 상기 단계 S110부터 반복 수행하고,
    - S260 : 상기 단계 S250에서 모바일 정보 통신의 종료가 입력된 경우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의 구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150은,
    수신된 인프라 코드에 대해 대응 가능한 호스트 정보들을 저장하는 호스트 참조 저장부(110)를 조회하여 대응 가능하지 않은 경우,
    - S160 : 상기 모바일(100)은 수신된 인프라 코드의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수행하고,
    - S170 : 수신된 인프라 코드를 삭제하는 단계; 를 거쳐, S110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의 구동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200은,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이 승인 모드(confirm mode)가 아닌 경우 모바일(100)은 상기 단계 S230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의 구동 방법
KR1020160098924A 2016-08-03 2016-08-03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1825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924A KR101825299B1 (ko) 2016-08-03 2016-08-03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924A KR101825299B1 (ko) 2016-08-03 2016-08-03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275A true KR20160100275A (ko) 2016-08-23
KR101825299B1 KR101825299B1 (ko) 2018-02-05

Family

ID=5687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924A KR101825299B1 (ko) 2016-08-03 2016-08-03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2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286B1 (ko) 2018-12-17 2021-04-16 이도훈 연결 유형별 자동연결을 통한 정보안내 시스템과 그 구동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896B1 (ko) 2010-07-13 2012-06-0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M2m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20140026968A (ko) 2012-08-24 2014-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06306A (ko) 2014-07-08 2016-01-19 이정환 원격에서 제어되는 디바이스간의 고속통신을 위한 통신전환 방법 및 그 장치
KR101614217B1 (ko) 2014-11-17 2016-04-29 하이플러스카드 주식회사 소액결제를 위한 nfc 기반 무선 진동 페이저, 그리고 nfc 관리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한 소액결제 방법
KR20160077464A (ko) 2014-12-23 2016-07-0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블루투스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896B1 (ko) 2010-07-13 2012-06-0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M2m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20140026968A (ko) 2012-08-24 2014-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06306A (ko) 2014-07-08 2016-01-19 이정환 원격에서 제어되는 디바이스간의 고속통신을 위한 통신전환 방법 및 그 장치
KR101614217B1 (ko) 2014-11-17 2016-04-29 하이플러스카드 주식회사 소액결제를 위한 nfc 기반 무선 진동 페이저, 그리고 nfc 관리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한 소액결제 방법
KR20160077464A (ko) 2014-12-23 2016-07-0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블루투스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299B1 (ko) 2018-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218B1 (ko) 정보제공장치, 정보수신장치, 정보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정보수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무선통신장치
CN101150507B (zh) 无线通信系统和无线通信装置
CN103222291B (zh) 电子设备、nfc控制器及应用路由配置方法
EP3616424B1 (en) Electronic device and proximity discovery method thereof
JP3871113B2 (ja) 通信端末装置、通信確立方法、および該方法に係るプログラム
US6259898B1 (en) Multi-communication access point
EP2779779B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in a local network
US200100078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short-range radio link
CN1881846B (zh) 无线通信系统及装置、无线通信设置方法
CN101233699A (zh) Rfid优化能力协商
CN102801800B (zh) 多无线终端之间的资源共享处理方法及系统
KR20110041490A (ko) 근거리 통신에서의 다중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1884178A (zh) 用于在近场通信网络中的通信的方法和系统
CN108496381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CN102752748A (zh) 基于移动终端的数据传输方法和系统以及移动终端
TW201503655A (zh) 存取點裝置的使用者終端驗證方法
KR101847282B1 (ko)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1388147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UA115083C2 (uk) Спосіб обміну даними між електронними пристроями за допомогою жестів
KR101388148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825299B1 (ko) 인프라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N115669022A (zh) 电子设备提供基于测距的服务的方法和电子设备
KR101993959B1 (ko) 모바일을 이용한 통합 근거리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88150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US2013008902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irectional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