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118A -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118A
KR20160100118A KR1020150022681A KR20150022681A KR20160100118A KR 20160100118 A KR20160100118 A KR 20160100118A KR 1020150022681 A KR1020150022681 A KR 1020150022681A KR 20150022681 A KR20150022681 A KR 20150022681A KR 20160100118 A KR20160100118 A KR 20160100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information
collected
system serv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리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리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리버
Priority to KR1020150022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0118A/ko
Publication of KR20160100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모니터링 단말, 정보수집 장치 및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를 포함하며,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에서 제공된 일반 모니터링 메뉴 또는 프리미엄 모니터링 메뉴 중 선택된 하나의 메뉴를 기초로 정보수집 장치를 통하여 수집된 영상을 상기 모니터링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하거나 DB에 저장하는 정보획득 모듈과 정보획득 모듈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상황의 발생 여부를 예측하는 상황분석 모듈 및 상황분석 모듈에 의해 분석된 결과 특정 상황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DB에 기저장된 단어 중 상황에 맞는 단어를 추출하여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메시지생성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고 스마트폰을 재활용함으로써 홈 CCTV 설치 및 이용에 과도한 비용이 들지 않을 수 있으며, 별도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홈 CCTV 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certain areas using the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집, 원룸 등 일정 지역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외부의 침입, 화재 등 특정 상황의 발생 가능성을 산출하여 이를 외부에 전달함으로써 일정한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 스마트홈 산업협회의 분석 및 전망에 의하면, 국내 스마트 홈 시장은 2013년을 기준으로 약 7조원 규모이며, 그 중 홈 시큐리티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4,968억원으로 대략 7%대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또한, 국내 스마트 홈 시장은 앞으로도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며, 2015년에는 약 5,465억원, 2016년에는 약 6,448억원, 2017년에는 총 시장 18조 2천억원의 규모 중 약 1조 974억원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한편, 2014년 2월 10일자 전자신문에 의하면, 현재 국내 보안시스템과 관련하여 S사, A사, K사 순으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홈 CCTV와 관련하여 L사, C사, S사 등이 새롭게 사업을 시작하는 등 업계에 관한 관심이 점점 더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상기 국내 보안시스템 및 홈 CCTV 사업 분야에서 사용자들은 설치비용 및 약정기간과 관련하여 큰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소규모 가정집이나 원룸, 영세민 가정 등에 보안시스템이나 홈 CCTV를 설치하는 것은 비용적으로 부담된다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 1)한국공개특허 제2004-0047385호 (선행기술 2)한국등록특허 제2011-008625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를 구비한 중고 스마트폰과 무료로 제공된 앱(app)을 기초로 소규모 또는 좁은 공간에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홈 CCTV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은 모니터링 단말, 정보수집 장치 및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에서 제공된 일반 모니터링 메뉴 또는 프리미엄 모니터링 메뉴 중 선택된 하나의 메뉴를 기초로 상기 정보수집 장치를 통하여 수집된 영상을 상기 모니터링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하거나 DB에 저장하는 정보획득 모듈; 상기 정보획득 모듈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상황의 발생 여부를 예측하는 상황분석 모듈; 및 상기 상황분석 모듈에 의해 분석된 결과 특정 상황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DB에 기저장된 단어 중 상황에 맞는 단어를 추출하여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메시지생성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획득 모듈은 상기 수집된 영상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영상을 압축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내에서 사용되는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상황분석 모듈은 상기 정보수집 장치에서 수집된 영상에 날씨 변화, 조도 및 화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반영하여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특정 상황의 발생 가능성 결과값을 퍼센트(%)로 도출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생성 모듈은 이메일 발송 기능, 관공서에 자동 전화 연결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획득 모듈, 상황분석 모듈 또는 메시지생성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모니터링 단말에 의한 액세스(access)에 따라 상기 정보수집 장치로부터 수집되어 상기 DB에 저장되는 데이터 및 모니터링 시스템 사이트를 제공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말로부터 특정 메뉴의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은 모니터링 단말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에 액세스(access)하여 회원가입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일반 모니터링 서비스인지 또는 프리미엄 모니터링 서비스인지 여부 및 세부 서비스 항목으로 화재 관련, 보안 관련 및 독거노인 관련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단말을 통하여 원격에서 정보수집 장치의 영상 획득 반경 범위와 포커스를 조절하거나 또는 줌인(zoom-in)과 줌아웃(zoom-out)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되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분석을 진행하여 특정 상황의 발생 가능성을 퍼센트(%)로 산출한 결과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결과값을 기초로 DB에 저장된 단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 되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수집된 정보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영상을 압축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내에서 사용되는 용량을 최소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상황의 발생 가능성을 퍼센트(%)로 산출한 결과값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수집 장치에서 수집된 영상에 날씨 변화, 조도 및 화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반영하여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결과값을 도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으로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이메일 발송 기능, 관공서에 자동 전화 연결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경우, 중고 스마트폰을 재활용함으로써 홈 CCTV 설치 및 이용에 과도한 비용이 들지 않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우 별도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홈 CCTV 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중 특정 지역 모니터링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이하, '모니터링 시스템'이라 함)은 모니터링 단말(10), 네트워크(20), 정보수집 장치(30) 및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서버(40, 이하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라 함)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보수집 장치(30)로부터 수집된 상황 정보를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40)에서 수집하여 판단한 후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여 이후 건강이 좋지 않은 독거노인, 기초생활 수급자 등을 원격에서 모니터링 하거나 화재, 보안 등과 관련된 상황을 파악하여 모니터링 단말(10)에 제공함으로써, 특정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모니터링 단말(10)은 유선단말 또는 무선단말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PC(Personal Computer), IP 텔레비전(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노트형 퍼스컴(Notebook-sized 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모니터링 단말(10)들과 특정 지역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40)를 포함하는 서버 및 시스템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일 수 있으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네트워크(2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20)는 모니터링 단말(10),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3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정보수집 장치(30)는 모니터링 단말(10)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모니터링 단말(10) 중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단말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는 카메라를 구비한 스마트폰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언급된 모니터링 단말 외에도 IP 카메라, 블루투스 카메라 등 무선 카메라가 이용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의한 정보수집 장치(30)는 특정 상황의 감지를 위한 별도의 센서(예컨대, 운동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도 2는 도 1의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중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40)는 DB(41), 제어부(42) 및 송수신부(43)를 포함하며, 제어부(42)는 정보획득 모듈(42a), 상황분석 모듈(42b) 및 메시지 생성 모듈(42c)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42)의 구성을 중심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42)는 모니터링 단말(10)이 네트워크(20)를 통해 액세스(access)함에 따라 정보수집 장치(30)로부터 수집되어 DB(41)에 저장되는 데이터 및 모니터링 시스템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송수신부(33)를 제어한다. 한편, 여기서 DB(41)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한다. DB(41)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DB(41)는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2)는 모니터링 단말(10)로부터 모니터링 메뉴 선택 요청 수신 대기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10) 사용자에 대하여 특정 메뉴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메뉴는 일반 모니터링과 프리미엄 모니터링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메뉴 선택 판단 결과 프리미엄 모니터링 메뉴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기설정된 조건에 의해 앱(app)에서 모니터링 단말(10)에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기능 만을 포함하게 된다. 한편, 프리미엄 모니터링 메뉴가 선택된 경우, 기설정된 조건에 의해 앱(app)에서 모니터링 단말(10)에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기능 이외에, 자동 작성된 이메일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기능,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송신하는 기능, 정보수집 장치(30)에서 수집된 영상을 사진의 형태로 저장하거나 직접 저장하는 기능, 경찰서 또는 소방서 등 관공서에 자동으로 전화를 걸되 모니터링 단말(10) 사용자와 연결하는 기능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정보획득 모듈(42a), 상황분석 모듈(42b) 및 메시지 생성 모듈(42c)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정보획득 모듈(42a)은 제어부(42)의 판단 결과 모니터링 단말(10)에 의해 일반 모니터링 또는 프리미엄 모니터링 메뉴가 선택된 경우, 정보수집 장치(3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네트워크(20)를 통해 모니터링 단말(10)로 실시간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DB(41)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검색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제공하도록 송수신부(43)를 제어함으로써, 모니터링 정보를 모니터링 단말(10)로 제공한다. 이때, 정보획득 모듈(42a)에서는 수집된 정보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한 후, 판독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압축을 진행하여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내에서 사용되는 용량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상황분석 모듈(42b)은 제어부의 판단에 의해 정보획득 모듈(42a)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상황의 발생 여부를 예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예컨대 화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가능성으로 판단하는 판단 방법에 있어서, 정보수집 장치(30)에서 수집된 영상에, 시간 및 계절을 반영하고 낮과 밤, 흐린 날과 맑은 날, 조명이 켜져 있는 경우와 어두운 경우 등의 날씨, 자연환경 변화에 따른 종합적인 요소를 반영한 기준값을 대비하여 비교함으로써 이상 상황 발생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때, 수집된 영상이 조도, 투명도, 탁도 등 영상의 화질에 영상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반영하여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할 때, 이상 상황 발생 가능성이 75%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이를 네트워크(20)를 통하여 모니터링 단말(10)에 알리게 된다. 여기서 기준값은 상기 요소 외에 다양한 요인에 의해 자동 및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어 상황분석 모듈(42b)및 DB(41)에 저장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수집된 영상의 측정값을 산술적으로 계산하고 수치적으로 판단한 결과값을 산출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독거노인의 건강 상태 확인하는 상황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정보획득 모듈(42a)에 의하여 수집된 영상을 기초로 상황분석 모듈(42b)에서 판단하되 기설정된 시간(예컨대, 6시간)동안 수면 중 뒤척임과 같은 움직임도 전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움직임에 대하여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산술적으로 계산하고 수치적으로 판단한 결과값을 모니터링 단말(10)에 알릴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예들에 의한 영상 감시, 동작 감시 등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난에 대한 보안, 어린이집/학교와 같은 보육/교육시설에서의 폭력 발생 감시, 애완동물의 가정 내 기물파손 등 다양한 이유로 빈집을 감시해야 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메시지 생성 모듈(42c)은 상황분석 모듈(42b)로부터 분석된 결과 화재 발생, 도둑의 침입 사건 발생, 교육/보육시설에서의 폭행 사건 발생, 독거노인의 건강 이상 발생 등 다양한 상황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DB(41)에 미리 저장된 단어 중 자동으로 각 상황에 맞는 단어를 추출하여 발송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를 송수신부(43)를 통하여 모니터링 단말(10)에 전송하게 된다. 예컨대, "안방에서 화재로 인한 연기 발생 추정", "역삼동 홍길동 씨, 6시간째 미동 없으니 확인요망" 등 다양한 메시지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생성된 메시지는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라 구분하여, 모니터링 단말(10)에 뿐만 아니라 모니터링 단말(10) 사용자가 가입할 때 기재한 이메일로 동시에 메시지를 송신, 모니터링 단말(10) 사용자가 기재한 특정한 사람에게 SMS(Short Message Service)송신, 경찰서 또는 소방서 등 관공서에 자동으로 전화를 걸되 모니터링 단말(10) 사용자와 연결할 수도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11에서 모니터링 단말(10)은 네트워크(20)를 통해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30)에 액세스(access)하여 기초적인 회원정보가 입력되고, 회원가입 과정이 진행된다. 이때 입력되는 회원정보는 모니터링 단말(10)이 휴대폰인 경우, 모니터링 단말(10) 전화번호일 수 있으며, 그 외에 2차적으로 연락할 가족의 전화번호 등이 부가될 수도 있다. 또한, 본인 및 추가(예컨대, 가족)적인 이메일 주소, 집주소 등이 기재될 수 있다.
단계 11에 의해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30)에서 사용자가 제공받을 서비스가 일반 모니터링인지 또는 프리미엄 모니터링인지 여부를 선택하게 하고(단계 12), 제공받을 서비스가 화재 관련인지 도난 등의 보안 관련인지 또는 독거노인 관련인지 등 세부적인 서비스 제공 목차를 제공하여 선택하게 한다. 이때, 사용자가 일반 모니터링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에는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만을 제공(단계 13b)하며, 프리미엄 모니터링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에는 제공되는 목차에 의한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프리미엄 모니터링 서비스가 단계별로 적용될 수도 있다(단계 13a).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프리미엄 모니터링을 선택한 후 모니터링 세부 항목 중 한 가지를 선택하면 프리미엄 1단계, 두 가지를 선택하면 프리미엄 2단계......등과 같이 서비스 제공을 단계별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서비스 제공 비용과 연계되어 프리미엄 단계별로 서비스 제공 비용을 차등적으로 적용하여 받을 수도 있다.
단계 13 이후에, 모니터링 단말(10)과 정보수집 장치(30)는 네트워크(20)에 의해 연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모니터링 단말(10)에서의 조작에 의해 정보수집 장치(30)에서 비추는 반경 범위를 조절할 수도 있고, 특정 상황이 발생하여 관측된 경우에는 원격에서 포거스 조절과 동시에 줌인(zoom-in) 또는 줌아웃(zoom-out)함으로써 모니터링 되는 장소에 대한 좀 더 상세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단계 14).
단계 14에 의해 정보수집 장치(30)로부터 특정 상황의 정보가 수집되면,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에서 상기 수집된 정보를 모니터링 단말(1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거나 DB(41)에 저장하게 된다(단계15). 여기서 상기 DB(41)에 저장된 모니터링 내용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니터링 단말(10)에 의해 검색될 수도 있다.
단계 15이후에, 노이즈를 제거하는 과정 및 압축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단계 16), 상기 노이즈 제거 및 압축 과정에 의하여 보다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며,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내에서 사용되는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단계 16은 필수적인 과정은 아니다.
단계 16에 의해 노이즈 제거 및 압축 과정을 진행한 후에, 정보수집 장치(30)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분석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되는데, 도둑의 침입이나 화재의 발생, 독거노인의 위험 감지 등 특정 상황의 발생 가능성을 산술적으로 계산하고, 발생 가능성에 대해 퍼센트(%)로 산출한 결과값을 제공하게 된다(단계 17).
단계 17이후에, 제공된 결과값을 기초로 판단하여 발생 가능성이 75%이상 된다고 판단(단계18)된 경우, DB(41)에 저장된 단어들을 기초로 자동으로 메시지를 생성하여 모니터링 단말, 이메일, 경찰서, 소방서 등에 전송하게 된다(단계 19).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선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모니터링 단말 20: 네트워크
30: 정보수집 장치 40: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41: DB 42: 제어모듈
43: 송수신부
42a: 정보획득 모듈 42b: 상황분석 모듈
43c: 메시지 생성 모듈

Claims (10)

  1. 모니터링 단말, 정보수집 장치 및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에서 제공된 일반 모니터링 메뉴 또는 프리미엄 모니터링 메뉴 중 선택된 하나의 메뉴를 기초로 상기 정보수집 장치를 통하여 수집된 영상을 상기 모니터링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하거나 DB에 저장하는 정보획득 모듈;
    상기 정보획득 모듈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상황의 발생 여부를 예측하는 상황분석 모듈; 및
    상기 상황분석 모듈에 의해 분석된 결과 특정 상황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DB에 기저장된 단어 중 상황에 맞는 단어를 추출하여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메시지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 모듈은 상기 수집된 영상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영상을 압축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내에서 사용되는 용량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황분석 모듈은 상기 정보수집 장치에서 수집된 영상에 날씨 변화, 조도 및 화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반영하여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특정 상황의 발생 가능성 결과값을 퍼센트(%)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 모듈은 이메일 발송 기능, 관공서에 자동 전화 연결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 모듈, 상황분석 모듈 또는 메시지생성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모니터링 단말에 의한 액세스(access)에 따라 상기 정보수집 장치로부터 수집되어 상기 DB에 저장되는 데이터 및 모니터링 시스템 사이트를 제공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말로부터 특정 메뉴의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6. 모니터링 단말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에 액세스(access)하여 회원가입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일반 모니터링 서비스인지 또는 프리미엄 모니터링 서비스인지 여부 및 세부 서비스 항목으로 화재 관련, 보안 관련 및 독거노인 관련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단말을 통하여 원격에서 정보수집 장치의 영상 획득 반경 범위와 포커스를 조절하거나 또는 줌인(zoom-in)과 줌아웃(zoom-out)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되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분석을 진행하여 특정 상황의 발생 가능성을 퍼센트(%)로 산출한 결과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결과값을 기초로 DB에 저장된 단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되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수집된 정보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영상을 압축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내에서 사용되는 용량을 최소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특정 상황의 발생 가능성을 퍼센트(%)로 산출한 결과값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수집 장치에서 수집된 영상에 날씨 변화, 조도 및 화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반영하여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결과값을 도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동으로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이메일 발송 기능, 관공서에 자동 전화 연결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10.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50022681A 2015-02-13 2015-02-13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0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681A KR20160100118A (ko) 2015-02-13 2015-02-13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681A KR20160100118A (ko) 2015-02-13 2015-02-13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118A true KR20160100118A (ko) 2016-08-23

Family

ID=5687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681A KR20160100118A (ko) 2015-02-13 2015-02-13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011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385A (ko) 2002-11-30 2004-06-05 주식회사 우주통신 전자감시 시스템 및 전자감시 방법
KR20110086254A (ko) 2010-01-22 2011-07-28 대신티엔아이 주식회사 웹카메라를 이용한 침입감지정보 실시간 전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385A (ko) 2002-11-30 2004-06-05 주식회사 우주통신 전자감시 시스템 및 전자감시 방법
KR20110086254A (ko) 2010-01-22 2011-07-28 대신티엔아이 주식회사 웹카메라를 이용한 침입감지정보 실시간 전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9722B1 (en) Methods for determining patterns of presence and ownership of mobile devices by integrating video surveillance with smartphone WiFi monitoring
US11423764B2 (en) Emergency communications using client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0685060B2 (en) Searching shared video footage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0319206B2 (en) Identifying persons of interest using mobile device information
JP4629090B2 (ja) カメラ・タンパリング検出
US20140071273A1 (en) Recognition Based Security
EP1936577A2 (en) Enhanced multimedia intrusion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EP3879505A1 (en) Digital fingerprint tracking
US9811748B2 (en) Adaptive camera setting modification based on analytics data
US20170053504A1 (en) Motion detection system based on user feedback
US201601003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alert notifications relating to a crowd gathering
US93860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devices within a security social network
KR101687477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이벤트 발생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벤트 발생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10130033A (ko) 행동패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능동형 영상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41372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mpt video-data message transfer to personal devices
CN109922206B (zh) 一种用于手机的智能化报警方法、装置及包括其的系统
US91670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devices within a security social network
US104178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cident sharing in a monitoring system
US20150312535A1 (en) Self-rousing surveillan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1050827B1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suspicious object movements based on historical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internet-of-things devices
KR101964230B1 (ko) 데이터 처리 시스템
US83448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reation of an event-associated electronic device directory
KR20160100118A (ko)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739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devices within a security social network
US1155867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bmitting video evid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