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091A -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과 그 제작방법, 그리고 의복에 수납된 휴대용 단말을 위한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과 그 제작방법, 그리고 의복에 수납된 휴대용 단말을 위한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091A
KR20160100091A KR1020150022615A KR20150022615A KR20160100091A KR 20160100091 A KR20160100091 A KR 20160100091A KR 1020150022615 A KR1020150022615 A KR 1020150022615A KR 20150022615 A KR20150022615 A KR 20150022615A KR 20160100091 A KR20160100091 A KR 20160100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ortable terminal
fabric
garment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철호
김웅겸
Original Assignee
조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철호 filed Critical 조철호
Priority to KR102015002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0091A/ko
Publication of KR20160100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0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4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5Pockets adapted to receive a mobile phone or other electronic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uterwear In General, And Traditional Japanese Garments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과 그 제작방법, 그리고 의복에 수납된 휴대용 단말을 위한 서비스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이미지가 인쇄된 원단에서 상기 이미지 영역을 재단하여 이미지 원단을 만들고, 휴대용 단말이 수납되었을 때 휴대용 단말의 화면의 일측에 표시되는 연출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이미지 원단 내 특정 부위를 도려낸 부착용 원단을 만든 후, 부착용 원단의 뒷면 중 휴대용 단말의 크기에 대응되는 삽입구 및 수납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또는 상기 부착용 원단이 부착될 의복의 위치에서 나머지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용 원단을 의복에 부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을 제작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과 그 제작방법, 그리고 의복에 수납된 휴대용 단말을 위한 서비스 제공방법{Clothes of having storage space for portable terminal and clothe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inserted in clothes}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의 제작방법과 이를 통해 제작된 의복, 그리고 의복에 수납된 휴대용 단말을 통해 심미적인 이미지를 출력하는 등의 각종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복은 일반적으로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주머니가 있다. 종래 특허공개번호 제2011-0026284호는 휴대단말을 수납하는 의복에 대해 개시하나 이는 비접촉식 자기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코일 등이 형성된 의복에 관한 것일 뿐 수납되는 휴대 단말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의복은 존재하지 않는다.
특허공개번호 제2011-0026284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의복의 일측에 그려진 이미지의 특정 부위를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지 또는 동영상 이미지로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의복에 수납된 휴대용 단말을 통해 의복에 인쇄된 이미지의 특정 부분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의복에 수납된 휴대용 단말을 통해 연출 이미지를 출력하는 사용자 사이에 별도의 가입이나 조작없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제작방법의 일 예는, 이미지가 인쇄된 원단에서 상기 이미지 영역을 재단하여 이미지 원단을 만드는 단계; 휴대용 단말이 수납되었을 때 휴대용 단말의 화면의 일측에 표시되는 연출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이미지 원단 내 특정 부위를 도려낸 부착용 원단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부착용 원단의 뒷면 중 휴대용 단말의 크기에 대응되는 삽입구 및 수납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또는 상기 부착용 원단이 부착될 의복의 위치에서 상기 나머지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부착용 원단을 상기 의복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제작방법의 다른 일 예는, 이미지가 인쇄된 의복에서 상기 이미지 영역 중 특정 부위를 도려내는 단계; 휴대용 단말을 수납하고 휴대용 단말의 화면의 일측에 표시되는 연출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의복의 이미지 영역의 뒷면에 고정되는 부착용 원단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부착용 원단 중 휴대용 단말의 수납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또는 상기 부착용 원단이 부착될 의복의 위치에서 상기 나머지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부착용 원단을 상기 이미지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의복의 안쪽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의 일 예는, 의복; 및 원단에 인쇄된 이미지를 재단하고 상기 이미지 내 특정 부위를 도려낸 부착용 원단;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용 원단에서 휴대용 단말기가 삽입되는 수납구 및 상기 수납구와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수납할 수 있는 내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접착제 또는 실에 의해 상기 의복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출 이미지의 제공 방법의 일 예는, 의복에 수납되는 휴대용 단말을 위한 연출 이미지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버는, 의복의 부착용 원단에 인쇄된 이미지와 동일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다수의 이미지 중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이미지와 맵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출 이미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으로 구현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연출 이미지의 화면 내 위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이 상기 의복에 수납될 때 상기 부착용 원단의 이미지 내 도려낸 특정 부위와 대응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티 관리 방법의 일 예는, 휴대용 단말이 수납 가능한 의복을 착용한 사용자들을 위한 커뮤니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서버는, 의복에 수납되어 연출 이미지를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휴대용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의 위치가 기 설정된 특정 영역에 존재하는지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특정 영역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을 상기 특정 영역과 맵핑된 온라인 커뮤니티에 자동 가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의복에 인쇄된 동물이나 로봇, 건축물, 추상적인 이미지 등의 특정 부위(예를 들어, 동물 이미지의 눈, 로봇 이미지 눈, 건축물 이미지의 창문 등)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종래의 다양한 매체에 존재하는 영상이나 이미지를 이용하여 자신만의 고유한 연출 이미지를 만들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의복에 수납된 휴대용 단말을 통해 연출 이미지를 출력하는 취미를 가진 사용자들 사이에 커뮤니티를 용이하게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의 각 구성의 상세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제작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복에 수납된 휴대용 단말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출 이미지를 제공하는 서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복에 수납가능한 휴대용 단말에게 연출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복에 수납가능한 휴대용 단말의 연출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의 사용자 사이의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서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의 사용자 사이의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복에 수납가능한 휴대용 단말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복에 수납가능한 휴대용 단말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다른 실시 예의 의복의 각 구성의 상세 내용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제작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과 그 제작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복(100)의 일측에 이미지가 인쇄된 원단(110)이 접착제나 실로 고정되어 있다. 이미지가 인쇄된 원단(110)의 특정 부분(예를 들어, 동물이미지의 눈 부위 등)(120)은 도려져 있다. 또한 의복(100)과 이미지가 인쇄된 원단(110) 사이에는 휴대용 단말의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130)이 존재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이 수납공간(130)에 수납된 경우, 휴대용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이하, '연출 이미지'라고 함)가 이미지 인쇄 원단(110)의 도려낸 부분(13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예를 들어, 고양이가 인쇄된 원단(110)이 의복(100)에 부착되어 있고, 원단(110)에서 고양이 이미지의 눈 영역(120)이 도려내어 진 경우에, 사용자는 고양이 눈 영역(120)에 대한 연출 이미지를 출력하는 휴대용 단말을 수납공간(130)에 삽입함으로써, 단순히 고양이 이미지가 인쇄된 의복이 아니라 자신만의 연출된 눈 이미지를 가진 의복(100)을 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휴대용 단말은 정지 이미지나 동영상 이미지 등의 연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단말을 의미하며, 일 예로 스마트폰 등이 있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의 각 구성의 상세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제작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10의 의복제작방법을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함께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과 같이 이미지가 인쇄된 원단이 부착될 영역(210)을 포함하는 의복(200)과 이미지(310)가 인쇄된 원단(300)을 준비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미지가 인쇄된 원단(300)에서 이미지 영역(310)을 오려낸다(S1000). 이하에서, 이미지 영역을 오려내어 재단한 원단을 '이미지 원단'이라고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미지 원단(320) 내 휴대용 단말을 통해 연출 이미지를 출력할 특정 부위(500)를 도려낸다(S1010). 이하에서 이미지 원단 내 특정 부위를 도려낸 원단을 '부착용 원단'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원단(320)에 인쇄되어 있는 이미지는 동물이나 로봇, 건축물, 또는 추상적인 이미지 등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이미지의 영역 중 휴대용 단말의 연출 이미지를 출력할 부분, 예를 들어, 동물이나 로봇의 눈 영역, 식물의 꽃 영역, 건축물의 창문 영역 등을 원단에서 도려낸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착용 원단(640,740)과 의복 사이에 휴대용 단말을 삽입하기 위하여 삽입구(600,700)와 삽입구(600,700)를 통해 삽입한 휴대용 단말(610,71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630,730))이 필요하다. 휴대용 단말의 삽입구(600,700)는 도 6과 같이 부착용 원단(640)의 일측(600)을 휴대용 단말의 크기만큼 잘라 형성하거나, 도 7과 같이 부착용 원단의 옆면(700)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실시 예는 휴대용 단말(610,710)을 옆에서 수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방향에서 수납가능하도록 변형 가능하다. 또한 휴대용 단말의 수납 공간(630,730)은 도 6 및 도 7의 가로 방향뿐만 아니라 세로방향, 일정 각도로 회전된 방향 등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의복과 부착용 원단(640,740) 사이의 수납 공간(630,730)에 휴대용 단말(610,710)을 수납할 때, 휴대용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연출 이미지(620, 720)가 부착용 원단의 도려낸 부위(650,750)를 통해 안정되게 보일 수 있도록 움직임이 없이 고정되어야 한다.
휴대용 단말의 안정적인 수납을 위하여 부착용 원단(640,740)의 삽입구(600,700) 내측 및 휴대용 단말의 수납 영역(630,73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의복과 밀착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부착용 원단(640,740)의 삽입구(600,700) 및 휴대용 단말의 수납 영역(630,73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한다(S1030). 여기서 접착제는 부착용 원단의 뒷면이나 부착용 원단이 부착되는 의복의 대응위치 또는 양쪽에 모두 도포될 수 있다.
수납 영역(630,730)은 다양한 크기의 휴대용 단말의 수용이 가능하므로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수납 영역(630, 730)의 크기보다 작은 휴대용 단말을 수납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의 위치가 안정되게 고정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접착제의 도포 단계(S1030) 이전에 수납 영역(630,730)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수단(820,830,840,920,930,940)을 부착한다(S1020). 도 8은 가로방향의 수납 영역에 관한 것이고, 도 9는 세로 방향의 수납 영역에 관한 것이다. 수납 영역(630,730)의 체결 수단의 일 예로, 단추, 밸크로와 같은 접착식 테이프, 지퍼, 자석 등 다양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체결 수단의 일 예로 접착식 테이프를 도시하고 있다.
다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크기(800,900)와 제2 크기(810,910)의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제1 크기(800,900) 밖의 영역에 해당하는 부착용 원단의 뒷면과 의복에 접착식 테이프(820,830,840)를 구비한다. 접착식 테이프는 접착제 또는 실로 부착용 원단 또는 의복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식 테이프의 암수가 각각 의복 및 부착용 원단에 고정된다.
접착식 테이프는 제1 크기(800,900)의 바깥 부분(820,830,840,920,930,940)에 하나로 형성되어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크기(810,910)의 휴대용 단말을 수납 영역(630,730)에 삽입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의 두께로 인해 제2 크기(810,910) 영역 바깥의 접착식 테이프(830,930) 부분이 잘 체결되지 아니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예로, 접착식 테이프가 위치하는 영역을 다수의 영역(820,830,840,920,930,940)으로 구분한 후 각 영역마다 체결수단을 분리하여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크기(810,910)에 대응하는 부분(820,920)과 그 바깥의 부분(830,930)의 접착식 테이프를 분리시켜 놓음으로써, 제2 크기(810,910)의 단말이 수납 영역(630,730)에 삽입되어도 제2 크기(810,910)에 해당하는 부분(820,920)의 바깥쪽 접착식 테이프(830,930)는 더 나은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두 가지 크기의 휴대용 단말의 수용에 관해 도시하고 있으나, 하나의 휴대용 단말의 수용 또는 세 가지 크기 이상의 휴대용 단말의 수용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식 테이프는 전체 하나로 의복과 부착용 원단에 존재하거나 다양한 휴대용 단말의 크기에 대응하여 다수의 영역마다 분리하여 의복과 부착용 원단에 존재할 수 있다.
부착용 원단을 의복에 부착한다(S1040). 부착용 원단은 앞서 살핀 접착제만으로 의복에 부착되거나 부착용 원단의 바깥을 따라 실로 봉제하여 부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복에 수납된 휴대용 단말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1100)과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120)는 통신망(1110)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1100)은 통신 기능과 화면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을 모두 포함한다. 서버(1120)는 휴대용 단말(1100)의 화면에 출력되는 각종 연출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1100)로 제공하거나,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관리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출 이미지를 제공하는 서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서버(1120)는 수신부(1200), 이미지 가공부(1210), 이미지 선택부(1220), 연출이미지 데이터베이스(1230) 및 제공부(1240)를 포함한다.
수신부(1200)는 휴대용 단말(1100)로부터 특정 이미지의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1120)는 의복에 인쇄된 다양한 이미지를 미리 가지고 있으며, 휴대용 단말(1100)이 접속한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110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은 고양이 이미지(110)가 인쇄된 의복(100)을 가진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1100)을 이용하여 서버(1120)에 접속한 후 서버가 제공한 다양한 이미지들 중 자신의 의복에 인쇄된 것과 같은 고양이 이미지(110)를 선택할 수 있다.
이미지 선택부(12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출 이미지를 연출이미지 데이터베이스(1230)에서 검색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와 관련된 연출 이미지가 복수 개 존재하면, 이미지 선택부(1220)는 연출이미지 데이터베이스(1230)에서 검색한 복수의 연출이미지를 휴대용 단말(1100)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제공부(1240)는 이미지 선택부(1220)에 의해 선택된 연출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1240)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제공받은 연출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도록 한 후 휴대용 단말을 의복에 수납함으로써 의복에 인쇄된 이미지와 함께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
연출이미지 데이터베이스(1230)는 다양한 이미지에 대한 연출이미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연출이미지 데이터베이스(1230)는 도 1의 고양이 이미지(110)와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양이 눈에 대한 정지 또는 동영상 이미지를 연출 이미지로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연출이미지의 화면 내 위치는 휴대용 단말이 의복에 수납되었을 때 부착용 원단에서 도려내어 진 특정 부위(예를 들어, 고양이 이미지의 눈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를 가진다.
휴대용 단말의 크기가 다양할 수 있으므로, 연출이미지 데이터베이스(1230)는 휴대용 단말의 크기별로 연출이미지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부(1200)는 휴대용 단말(1100)로부터 이미지 선택 정보와 함께 휴대용 단말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의 크기 정보 그 자체 또는 휴대용 단말의 제품정보 등)를 수신한다.
또 다른 예로, 연출이미지 데이터베이스(1230)는 휴대용 단말의 크기별로 연출 이미지를 미리 저장하지 아니하고, 휴대용 단말의 크기 정보에 따라 저장된 연출 이미지의 크기와 화면 내 출력 위치를 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휴대용 단말(1100)은 서버로부터 수신한 연출 이미지의 화면 내 출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연출이미지 데이터베이스(1230)에서 기 저장된 연출 이미지를 검색하여 휴대용 단말로 제공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연출 이미지를 제작하여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수신부(1200)는 휴대용 단말(1100)로부터 정지 또는 동영상 이미지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의복을 가진 사용자가 고양이 눈에 대한 연출 이미지를 인터넷이나 자신이 직접 촬영한 고양이 사진으로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 해당 사진 등을 휴대용 단말(1100)을 통해 서버(112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이미지 가공부(1210)는 휴대용 단말(1100)을 통해 수신한 이미지의 편집을 위한 편집 도구를 제공한다. 의복에 수납된 휴대용 단말을 통해 표시하는 이미지는 의복에 인쇄된 이미지 중 도려낸 특정 부위에 대한 것이므로, 이미지 가공부(1210)는 그 도려낸 특정 부위에 맞도록 수신한 이미지를 추출하고 편집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등을 포함한 편집 도구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고양이 이미지(110)의 눈에 대한 연출 이미지를 사용자가 만든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수신부(1200)는 휴대용 단말(1100)로부터 도 1과 같은 고양이 이미지(110)의 선택정보와 편집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수신한다. 그러면 이미지 가공부(1210)는 사용자가 선택한 고양이 이미지에서 연출 이미지가 출력되는 부분의 모양에 대응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즉, 이미지 가공부(1210)는 도 1의 고양이 눈 부위와 동일 모양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해당 가이드라인을 이용하여 고양이 눈의 연출에 사용할 부분을 이미지에서 추출한다.
이미지 가공부(1210)는 추출된 이미지에 대해 여러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는 툴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된 애니메이션 툴을 이용하여 추출된 이미지에 대해 색상, 움직임 등 여러 가지 이미지 효과를 가공할 수 있다.
이미지 가공부(1210)는 가공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에 출력될 수 있도록 그 크기와 위치 등을 조정한 연출 이미지로 생성하고, 제공부(1240)는 해당 연출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로 전송한다.
본 실시 예는 휴대용 단말(1100)이 서버(1120)에 접속하여 연출 이미지를 수신하거나 가공하는 예를 들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의 구성의 전부 또는 일부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휴대용 단말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가공부(1210)는 휴대용 단말 내에 구현되어 각종 이미지 편집 기능이 휴대용 단말에 의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복에 수납가능한 휴대용 단말에게 연출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서버(1120)는 휴대용 단말(1100)로부터 이미지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S130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서버(1120)가 제공하는 여러 이미지 중 도 1의 의복에 인쇄된 고양이 이미지(110)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1120)는 선택된 이미지에 해당하는 연출 이미지를 연출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다(S1310). 예를 들어, 도 1의 고양이 이미지가 선택되면, 서버(1120)는 고양이 이미지의 눈 영역의 연출을 위한 연출이미지를 연출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추출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출 이미지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서버(1120)는 복수의 연출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1100)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서버(1120)는 선택된 연출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1100)에게 제공한다(S1320).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복에 수납가능한 휴대용 단말의 연출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방법은 서버에 구현되거나, 일종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휴대용 단말에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휴대용 단말에서 구현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살펴본다.
도 1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1100)은 이미지를 수신한다(S1400). 휴대용 단말(1100)은 자체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거나 외부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1100)은 수신한 이미지를 추출하고 편집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S1410). 예를 들어, 도 1의 고양이 이미지(110)의 눈 영역(120)을 위한 연출 이미지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1100)은 해당 눈 영역의 모양을 가진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수신한 이미지에서 눈 영역의 모양에 대응되는 영역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S1420).
휴대용 단말(1100)은 추출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효과를 작성하기 위한 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이미지 효과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S1430).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이미지 효과의 적용 없이 추출한 이미지를 그대로 연출 이미지로 사용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1100)은 이미지 효과의 적용이 완료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의복에 인쇄된 이미지에 맞는 연출 이미지로 조정한다(S1440). 예를 들어, 도 1의 고양이 눈에 대한 연출 이미지를 사용자가 수신 이미지를 이용하여 만든 경우, 휴대용 단말(1100)은 편집 완료된 이미지의 크기와 위치를 의복의 연출 이미지 출력 위치에 맞도록 조정하여 출력한다(S1450).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의 사용자 사이의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서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서버(1120)는 커뮤니티 생성부(1500), 위치 파악부(1510) 및 가입 관리부(1520)를 포함한다.
커뮤니티 생성부(1500)는 위치와 관련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1 위치와 관련된 제1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제2 위치와 관련된 제2 커뮤니티를 생성한다. 여기서 위치는 특정한 공간상의 한 좌표를 나타내기보다는 일정한 범위를 가진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클럽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의 영역을 제1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커뮤니티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기 설정된 위치별로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휴대용 단말이 기 설정된 위치에 존재하면 그때 커뮤니티 생성부(1500)가 생성할 수 있다.
위치파악부(1510)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출 이미지를 현재 출력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1100)의 위치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연출 이미지의 출력을 위하여 휴대용 단말의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 애플리케이션은 현 단말의 위치정보와 단말식별정보 등을 서버(1120)로 전송한다.
가입관리부(1520)는 위치 파악부(1510)에 의해 파악된 휴대용 단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에 존재하면, 해당 위치와 관련된 커뮤니티에 휴대용 단말을 자동 가입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 클럽에서 휴대용 단말의 연출 이미지 출력을 구동하면, 서버는 해당 휴대용 단말을 A 클럽과 관련된 커뮤니티에 자동 가입시키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해당 커뮤니티에 존재하는 사람들과 채팅이나 각종 정보의 송수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의 위치가 현재 가입된 커뮤니티의 설정 영역을 벗어나면, 가입관리부(1520)는 해당 휴대용 단말을 커뮤니티에서 자동 탈퇴시킨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의 사용자 사이의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서버(1120)는 기 설정된 위치별로 커뮤니티를 생성한다(S1600). 서버(1120)는 의복에 수납되어 연출 이미지를 출력하는 휴대용 단말(1100)의 위치를 파악한다(S1610). 서버(1120)는 휴대용 단말(1100)의 위치와 관련된 커뮤니티에 휴대용 단말을 자동 가입시킨다(S1620). 만약 휴대용 단말의 위치가 커뮤니티별로 기 설정된 위치와 다르면 커뮤니티의 가입이 일어나지 않는다. 휴대용 단말이 해당 커뮤니티의 위치에서 벗어나면 서버는 휴대용 단말을 커뮤니티에서 자동 탈퇴시킨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복에 수납가능한 휴대용 단말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1100)은 인터페이스부(1700), 연출이미지 수신부(1710), 출력부(1720) 및 커뮤니티 처리부(1730)를 포함한다. 도 17의 구성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휴대용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0)는 사용자의 명령이나 입력, 외부 장치와의 송수신 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0)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외부 장치와 송수신한다.
연출이미지 수신부(1710)는 서버로부터 연출 이미지를 수신한다. 의복에 인쇄된 이미지별로 연출 이미지가 상이하며, 또한 의복에 인쇄된 한 이미지에 대해 복수의 연출 이미지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연출이미지 수신부(1710)는 서버에게 특정 이미지에 대한 연출 이미지를 요청하여 수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1의 의복에 대한 연출 이미지를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을 통해 서버에 접속한 후 도 1의 고양이 이미지에 대한 연출 이미지를 요청하여 수신한다.
출력부(1720)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연출 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출력되는 연출 이미지는 휴대용 단말이 의복에 수납될 때 부착용 원단 내 도려진 특정 부위와 대응되는 휴대용 단말의 화면 위치에서 출력된다.
커뮤니티 처리부(1730)는 출력부(1720)에 의해 연출 이미지가 출력될 때 휴대용 단말의 위치가 특정 커뮤니티에 대해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면, 해당 커뮤니티에 자동 가입 후 커뮤니티 관련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복에 수납가능한 휴대용 단말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11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한다(S1800). 일 예로 휴대용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후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1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에 해당하는 연출이미지를 수신하거나 사용자가 새롭게 만든 연출이미지를 수신한다(S1810).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1의 고양이 이미지에 대한 연출이미지를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 단말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고양이 이미지를 선택하고,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고양이 이미지에 대한 연출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하여 휴대용 단말로 전송한다.
휴대용 단말(1100)은 서버(1120)로부터 수신한 연출 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한다(S1820). 휴대용 단말(1100)은 서버(1120)로부터 수신한 연출 이미지를 로컬 저장소에 저장한 후 사용자의 요청이 있으면 연출 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1100)에는 이전에 서버로부터 수신한 다수의 연출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은 다수의 연출 이미지 중 사용자가 선택된 연출 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은 다수의 연출 이미지가 의복에 인쇄된 어떤 이미지와 관련되어 있는 것인지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의복에 인쇄된 이미지와 맵핑하여 연출 이미지를 저장하고 보여줄 수 있다.
휴대용 단말(1100)이 연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경우에, 휴대용 단말(1100)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휴대용 단말의 위치가 특정 커뮤니티와 관련있는 경우 해당 커뮤니티에 자동 가입한다(S1830).
앞의 예에서는 이미지가 인쇄된 부착용 원단을 의복의 앞쪽에 부착하여 사용자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에 대해 주로 살펴보았다. 실시 예에 따라 의복 자체에 이미지를 인쇄하고 의복에 인쇄된 이미지의 일부를 도려내고, 의복 안쪽에 별도의 부착용 원단을 부착하여 사용자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의 제작도 가능하며, 이에 대해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다른 실시 예의 의복의 각 구성의 상세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제작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이미지가 인쇄된 의복(1900)의 특정 영역(1910)을 도려낸다(S2100). 예를 들어, 의복(1900)에 인쇄된 동물의 눈 영역(1910)에 해당하는 의복 부분을 도려낼 수 있다. 또한 의복에서 사용자 단말의 삽입을 위한 삽입구(1920)를 절개한다(S2110).
의복(1900)의 내측에 부착되는 부착용 원단(1930)에는 의복에 인쇄된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2010) 또는 의복 이미지에 도려낸 이미지를 포함하는 일정 영역의 이미지가 원단(2000) 위에 인쇄될 수 있다(S2120). 예를 들어, 의복(1900)에 인쇄된 동물 이미지의 눈 영역(1910)을 도려낸 경우에, 부착용 원단(1930)에는 해당 동물 이미지의 눈 영역의 이미지(2010)가 인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부착용 원단에 이미지가 인쇄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부착용 원단(1930)의 일측에는 사용자 단말의 고정을 위한 밸크로와 같은 접착식 테이프(2020)가 부착된다(S2130). 밸크로가 사용되는 경우, 부착용 원단과 의복의 삽입구부분의 안쪽에 각각 대응되는 밸크로의 암수체결수단이 위치한다. 사용자 단말의 다양한 크기를 수용하기 위하여, 도 8 및 도 9에서 살핀 여러 가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부착용 원단에 투명한 PVC 비닐(2030) 등이 부착될 수도 있다.
부착용 원단(1930)은 사용자 단말이 삽입되는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2040)을 접착제 또는 실을 이용하여 의복에 부착한다(S2140). 부착용 원단(1930)은 의복(1900)에 위치한 삽입구(1920) 및 의복의 이미지에서 도려낸 부분(1910)의 위치와 대응하는 의복(1900) 안쪽의 위치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다양한 형태의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이미지가 인쇄된 원단에서 상기 이미지 영역을 재단하여 이미지 원단을 만드는 단계;
    휴대용 단말이 수납되었을 때 휴대용 단말의 화면의 일측에 표시되는 연출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이미지 원단 내 특정 부위를 도려낸 부착용 원단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부착용 원단의 뒷면 중 휴대용 단말의 크기에 대응되는 삽입구 및 수납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또는 상기 부착용 원단이 부착될 의복의 위치에서 상기 나머지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부착용 원단을 상기 의복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제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용 원단의 삽입구와 상기 부착용 원단을 상기 의복에 부착할 때 상기 삽입구와 대응되는 의복의 위치에 체결수단을 접착제로 부착하거나 실로 봉제하는 단계;를 상기 부착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제작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하는 단계는,
    크기가 서로 다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을 위하여, 상기 삽입구 내측에 각각의 휴대용 단말의 크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체결수단을 접착제로 부착하거나 실로 봉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제작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밸크로 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제작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부착용 원단을 상기 의복에 실로 봉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제작방법.
  6. 이미지가 인쇄된 의복에서 상기 이미지 영역 중 특정 부위를 도려내는 단계;
    휴대용 단말을 수납하고 휴대용 단말의 화면의 일측에 표시되는 연출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의복의 이미지 영역의 뒷면에 고정되는 부착용 원단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부착용 원단 중 휴대용 단말의 수납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또는 상기 부착용 원단이 부착될 의복의 위치에서 상기 나머지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부착용 원단을 상기 이미지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의복의 안쪽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제작방법.
  7. 의복; 및
    원단에 인쇄된 이미지를 재단하고 상기 이미지 내 특정 부위를 도려낸 부착용 원단;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용 원단에서 휴대용 단말기가 삽입되는 수납구 및 상기 수납구와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수납할 수 있는 내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접착제 또는 실에 의해 상기 의복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
  8. 제 7항에 있어서,
    크기가 서로 다른 휴대용 단말의 수납을 위하여, 상기 삽입구 내측에 각각의 휴대용 단말의 크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복수의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
  9. 의복에 수납되는 휴대용 단말을 위한 연출 이미지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버는,
    의복의 부착용 원단에 인쇄된 이미지와 동일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다수의 이미지 중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이미지와 맵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출 이미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으로 구현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연출 이미지의 화면 내 위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이 상기 의복에 수납될 때 상기 부착용 원단의 이미지 내 도려낸 특정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출 이미지의 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용 원단에 인쇄된 이미지는 동물이나 로봇 이미지이고,
    상기 이미지 내 도려낸 특정 부위는 상기 동물이나 로봇의 눈 부위이고,
    상기 연출 이미지는 상기 부착용 원단에 인쇄된 동물이나 로봇 이미지의 눈에 대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출 이미지의 제공 방법.
  11. 휴대용 단말이 수납 가능한 의복을 착용한 사용자들을 위한 커뮤니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서버는,
    의복에 수납되어 연출 이미지를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휴대용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의 위치가 기 설정된 특정 영역에 존재하는지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특정 영역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을 상기 특정 영역과 맵핑된 온라인 커뮤니티에 자동 가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티 관리 방법.
KR1020150022615A 2015-02-13 2015-02-13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과 그 제작방법, 그리고 의복에 수납된 휴대용 단말을 위한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100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615A KR20160100091A (ko) 2015-02-13 2015-02-13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과 그 제작방법, 그리고 의복에 수납된 휴대용 단말을 위한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615A KR20160100091A (ko) 2015-02-13 2015-02-13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과 그 제작방법, 그리고 의복에 수납된 휴대용 단말을 위한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091A true KR20160100091A (ko) 2016-08-23

Family

ID=5687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615A KR20160100091A (ko) 2015-02-13 2015-02-13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과 그 제작방법, 그리고 의복에 수납된 휴대용 단말을 위한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009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6284A (ko) 2009-09-07 2011-03-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의복형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직물기반 자기장 인터페이스 의복 및 휴대 단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6284A (ko) 2009-09-07 2011-03-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의복형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직물기반 자기장 인터페이스 의복 및 휴대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0813B2 (en) Video clip object tracking
US11823341B2 (en) 3D object camera customization system
US11775165B2 (en) 3D cutout image modification
US9319640B2 (en) Camera and display system interactivity
US8390648B2 (en) Display system for personalized consumer goods
US8237819B2 (en) Image capture method with artistic template design
US20140267425A1 (en) Personalized Digital Animation Kit
US20110029635A1 (en) Image capture device with artistic template design
US20110025709A1 (en) Processing digital templates for image display
US8345057B2 (en) Context coordination for an artistic digital template for image display
US20110157218A1 (en) Method for interactive display
WO201302370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creation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CN105761120A (zh) 一种自动匹配试衣场景的虚拟试衣系统及其应用方法
CN106162303B (zh) 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装置及用户设备
US20140152873A1 (en) Real-time camera view through drawn region for image capture
US20240061882A1 (en) Automatic video production device, automatic video production method, and video recording medium used therefor
KR20160100091A (ko) 휴대용 단말의 수납이 가능한 의복과 그 제작방법, 그리고 의복에 수납된 휴대용 단말을 위한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7840B1 (ko)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
US10679587B2 (en) Display of supplemental information
US20200379554A1 (en) Controlling a user selection queue
US20230418374A1 (en) Controlling a user selection queue
CN118158181A (zh) 3d对象摄像头定制系统
Ramachandra et al. 3D editing tools for stereo images
CN105519091A (zh) 用于摄影机的片头片尾自动生成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