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404A - Gprs 터널링 프로토콜에 의한 분산 이동성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Gprs 터널링 프로토콜에 의한 분산 이동성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404A
KR20160098404A KR1020167018882A KR20167018882A KR20160098404A KR 20160098404 A KR20160098404 A KR 20160098404A KR 1020167018882 A KR1020167018882 A KR 1020167018882A KR 20167018882 A KR20167018882 A KR 20167018882A KR 20160098404 A KR20160098404 A KR 20160098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pgw
sgw
pdn connec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힝헝 앤토니 찬
카이팔리말릴 매튜 존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98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04W36/32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by location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 H04W40/36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due to handover
    • H04W76/0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04W76/36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for reassigning the resources associated with the releas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장치는 이동성 관리를 위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방법은,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와, 제1 지역 내에서의 제1 그룹의 SGW(Serving Gateways)와 연관된 제1 PGW(Packet Data Gateway) 간에 제1 PDN(Packet Data Network)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 제2 지역 내에서의 제2 그룹의 SGW와 연관된 제2 PGW와 연관된 핸드오버 목적지 SGW와 통신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제1 PGW와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 SGW 간에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터널링 프로토콜(GTP: GPRS Tunneling Protocol) 터널 접속을 구축하고, 상기 제1 PGW와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 SGW 간의 GTP 터널 접속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1 PDN 접속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GPRS 터널링 프로토콜에 의한 분산 이동성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WITH GPRS TUNNELING PROTOCOL}
본 출원은 2014년 12월 23일에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WITH GPRS TUNNELING PROTOCOL"의 명칭으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14/581,407호, 및 2013년 12월 27일에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WITH GPRS TUNNELING PROTOCOL"의 명칭으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921,29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모두 전체가 여기에 기술된 것과 같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터널링 프로토콜에 의한 분산 이동성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장치가 수많은 전화기뿐 아니 훨씬 더 많은 센서, 머신대머신 통신에 사용되는 머신 및 소위 사물인터넷(IoT)의 실제적인 모든 것들로 다양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장치의 수가 2020년까지 수 제곱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밀집 무선 네트워크(dense radio network)가 등장한다. 모바일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와 시그널링 모두 다음 5년여 동안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국소 데이터 트래픽 패턴(localized data traffic pattern)이 지배적일 수도 있다. 3GPP 네트워크와 같은, 중앙의 코어 네트워크와 모든 무선 노드를 서빙하기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의 중앙집중식 아키텍처(centralized architecture)는 효율적이지 않다. 반면, 인터넷 피어링 모델(Internet peering model)은 계층적 모델(hierarchical model)로부터 티어 2 및 티어 3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가 항상 티어 1 ISP에의 접속을 경유하여 그들 사이에서 패킷을 라우팅해야만 하는 것 없이 서로 직접 접속할 수 있는 플래터 모델(flatter model)로 변신을 진행하고 있다. 중앙집중식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더욱 분산된 네트워크로의 진화는 확실한 경향이다.
본 개시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터널링 프로토콜에 의한 분산 이동성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성(mobility) 관리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와, 제1 지역 내에서의 제1 그룹의 SGW(Serving Gateways)와 연관된 제1 PGW(Packet Data Gateway) 간에 제1 PDN(Packet Data Network)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 제2 지역 내에서의 제2 그룹의 SGW와 연관된 제2 PGW와 연관된 핸드오버 목적지 SGW와 통신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제1 PGW와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 SGW 간에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터널링 프로토콜(GTP: GPRS Tunneling Protocol) 터널 접속을 구축하고, 상기 제1 PGW와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 SGW 간의 GTP 터널 접속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1 PDN 접속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포함하는 이동성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이 MME는,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와, 제1 지역 내에서의 제1 그룹의 SGW(Serving Gateways)와 연관된 제1 PGW(Packet Data Gateway) 간에 제1 PDN(Packet Data Network) 접속을 구축하고; 제2 지역 내에서의 제2 그룹의 SGW와 연관된 제2 PGW와 연관된 핸드오버 목적지 SGW와 통신을 구축하며;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제1 PGW와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 SGW 간에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터널링 프로토콜(GTP: GPRS Tunneling Protocol) 터널 접속을 구축하고, 상기 제1 PGW와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 SGW 간의 GTP 터널 접속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1 PDN 접속을 갱신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성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제1 지역 내에서의 제1 그룹의 SGW(Serving Gateways)와 연관된 제1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제2 지역 내에서의 제2 그룹의 SGW와 연관된 제2 PGW; 및 상기 제1 및 제2 PGW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포함하고, 상기 MME는,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와, 상기 제1 PGW 간에 제1 PDN(Packet Data Network) 접속을 구축하고; 상기 제2 PGW와 연관된 핸드오버 목적지 SGW와 통신을 구축하며;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제1 PGW와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 SGW 간에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터널링 프로토콜(GTP: GPRS Tunneling Protocol) 터널 접속을 구축하고, 상기 제1 PGW와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 SGW 간의 GTP 터널 접속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1 PDN 접속을 갱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 및 그 장점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하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대상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분산 이동성 관리를 위한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2a 및 2b는 본 개시에 따른 방법 및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장치를 보여준다.
도 3은 3GPP LTE/EPC(Evolved Packet Core) 아키텍처의 상위 레벨 도면을 보여준다.
도 4는 동일한 PGW를 사용하는 한 그룹의 SGW 내에서의 예시적인 핸드오버를 보여준다.
도 5는 다른 그룹의 SGW로의 예시적인 핸드오버를 보여준다.
도 6은 밀집 네트워크에서 다른 SGW 그룹으로의 예시적인 핸드오버를 보여준다.
도 7a 및 7b는, 본 개시에 따른, PGW와 함께 위치한 핸드오버 목적지 SGW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네트워크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핸드오버 목적지 SGW를 이용한 이동성 관리를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보여준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함께 위치한 SGW/PGW 쌍을 가진 다른 예시적인 네트워크를 보여준다.
도 1 내지 9를 통해,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이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는 식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원리가 적절하게 구성된 어떠한 장치 또는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는, 이전의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의 사용을 계속하면서 새로운 영역 내의 모든 eNB를 지원하기 위해 함께 배치된 PGW에 SGW(Serving Gateway)를 제공함으로써 한 예비 영역(provisional area)에서 다른 예비 영역으로 이동성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GPRS 터널링 프로토콜을 이용한 분산 이동성 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동일한 APN(Access Point Name)의 어느 세션도 구 PGW를 이용하여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때, 신 PGW를 이용하여 새로운 예비 영역에서 새로운 PDN(Packet Data Network) 접속이 설정된다. 각 예비 영역에 많은 SGW가 있는 경우, 전체 예비 영역에서 오직 하나의 SGW가, 이전의 PGW를 이용하면서 해당 영역에 있는 모든 eNB를 서빙하도록 특별히 제공될 필요가 있다. PGW에서 함께 배치된 SGW를 이용하면, 새로운 SGW를 추가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분산 이동성 관리를 위한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100)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시스템(100)은, 다수의 무선 사용자들이 데이터 및 다른 컨텐츠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한다. 시스템(10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DMA), 또는 SC-FDMA(single-carrier FDMA)와 같은 하나 이상의 채널 액세스 방법을 구현한다. 특히,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3GPP EPC 표준에 따른 통신을 위해 구성되어 있다.
본 예시에서, 통신 시스템(100)은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110a-110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Radio Access Network)(120a-120b), 코어 네트워크(130), 공중 교환 전화망(PSTN)(140), 인터넷(150) 및 다른 네트워크(160), 그리고 하나 이상의 서버(180)를 포함한다. 도 1에는 이들 구성요소의 개수가 임의로 개시되어 있지만, 그 개수에 관계 없이 모두 본 시스템(100)에 포함된다.
UE(110a-110e)는 시스템(100) 내에서 통신 및/또는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UE(110a-110e)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채널을 통해 송신 및/또는 수신을 하도록 구성된다. 각 UE(110a-110e)는 임의의 말단 사용자 장치를 나타내며, 사용자 장치/기기(UE),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국, 고정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 페이저, 셀룰러 폰, PDA, 스마트폰, 랩톱, 컴퓨터, 터치 패드, 무선 센서, 또는 소비자 전자 장치와 같은 장치를 포함 또는 이러한 장치들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RAN(120a-120b)은 기지국(170a-170b)을 각각 포함한다. 각 기지국(170a-170b)은 UE(110a-110c) 중 하나 이상과 무선으로 접속하여 코어 네트워크(130), PSTN(140), 인터넷(150)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160)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기지국(170a-170b)은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Home NodeB, Home eNodeB, 사이트 제어기,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무선 라우터와 같은 다양한 공지의 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장치일 수 있다. UE(110d-110e)는 인터넷(150)과 접속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또 액세스 네트워크(130), PSTN(140)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160)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이것은 서버(180)와 통신하는 것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지국(170a)은 다른 기지국, 요소 및/또는 장치를 포함하는 RAN(120a)의 일부를 형성한다. 또, 기지국(170b)은 다른 기지국, 요소 및/또는 장치를 포함하는 RAN(120b)의 일부를 형성한다. 각 기지국(170a-170b)은 특정 지리적 영역 또는 구역(때로는 '셀'이라고도 함) 내에서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기술이 각 셀에 대한 다수의 송수신기를 가지고 채용된다.
기지국(170a-170b)은 무선 통신 링크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190)를 거쳐 UE(110a-110c)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한다. 무선 인터페이스(190)는 임의의 적합한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한다.
시스템(100)이, 이하에서 기술하는 기법을 포함한, 다수의 채널 액세스 기능(functionaility)을 이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기지국 및 UE는 LTE, LTE-A 및/또는 LTE-B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다른 다수의 액세스 기법 및 무선 토폴로지가 활용될 수 있다.
RAN(120a-120b)은 코어 네트워크(130)와 통신하여 UE(110a-110c)에게 음성,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VoIP, 또는 다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RAN(120a-120b)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130)는 하나 이상의 다른 RAN(도시되지 않음)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한다. 코어 네트워크(130)는 또한 다른 네트워크(예컨대, PSTAN(140), 인터넷(150), 및 다른 네트워크(160))에 대해 게이트웨이 액세스로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또는 모든 UE(110a-110c)는 상이한 무선 기술 및/또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이한 무선 링크를 거처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functionality)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대신(또는 이에 추가하여), UE는 유선 통신 채널을 통해 서비스 공급자 또는 스위치(도시되지 않음) 및 인터넷(150)에 통신할 수도 있다.
도 1이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보여주었지만, 여러 변경이 도 1에 가해질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시스템(100)은 임의의 적절한 구성으로 임의의 개수의 UE, 기지국, 네트워크 또는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본 개시에 따른 방법 및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장치를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예시적인 UE(110)을 보여주고 도 2b는 예시적인 기지국(170)을 보여준다. 이들 컴포넌트는 시스템(100) 또는 다른 적합한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10)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유닛(200)을 포함한다. 처리 유닛(200)은 UE(110)의 다양한 처리 동작을 구현한다. 예컨대, 처리 유닛(200)은 신호 코딩, 데이터 처리, 전력 제어, 입력/출력 처리, 또는 UE(110)가 시스템(100)에서 동작할 수 있게 하는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처리 유닛(200)은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법 및 기술을 지원한다. 각 처리 유닛(200)은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합한 처리 또는 연산 장치를 포함한다. 각 처리 유닛(200)은,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을 포함한다.
UE(110)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202)를 포함한다. 송수신기(202)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204)에 의한 전송을 위해 데이터 또는 다른 컨텐츠를 변조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202)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204)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또는 다른 컨텐츠를 복조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각 송수신기(202)는 무선 전송을 위한 신호의 생성 및/또는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의 처리를 위한 임의의 적합한 구조를 포함한다. 각 안테나(204)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구조를 포함한다. 하나 또는 다수의 송수신기(202)는 UE(110)에서 사용될 수 있고, 하나 또는 다수의 안테나(204)가 UE(110)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기능 유닛만 도시되어 있지만, 송수신기(202)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별개의 수신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UE(11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 장치(206) 또는 인터페이스(인터넷(150)에의 유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입력/출력 장치(206)는 사용자 또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장치(네트워크 통신)와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각 입력/출력 장치(206)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통신을 포함하여, 스피커, 마이크로폰, 키패드, 키보드,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사용자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구조를 포함한다.
추가로, UE(110)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208)를 포함한다. 메모리(208)는 UE(110)에 의해 수집되거나 생성되거나 또는 사용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컨대, 메모리(208)는 처리 유닛(200)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명령어를 저장할 수도 있고 인입되는 신호에서 간섭을 감소 또는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각 메모리(208)는 임의의 적절한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스토리지 및 탐색 장치를 포함한다.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RAM, ROM, 하드디스크, 광학 디스크, 가입자 식별 모듈(SIM) 카드, 메모리 스틱, 보안 디지털(SD)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70)은 적어도 하나의 처리 유닛(250),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252),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254), 하나 이상의 안테나(256), 하나 이상의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0),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258)를 포함한다. 처리 유닛(250)은, 신호 코딩, 데이터 처리, 전력 제어, 입/출력 처리 또는 다른 기타 기능과 같은, 서버(180)의 다양한 처리 동작을 실행한다. 처리 유닛(250)은 또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방법 및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각 처리 유닛(250)은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합한 처리 또는 연산 장치를 포함한다. 각 처리 유닛(250)은,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ASIC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송신기(252)는 하나 이상의 UE 또는 기타 장치에 유선 전송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각 수신기(254)는 하나 이상의 UE 또는 기타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구성을 포함한다. 서로 개별의 컴포넌트로 도시되어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252)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254)는 송수신기로 통합될 수 있다. 각 안테나(256)는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구성을 포함한다. 공통 안테나(256)가 송신기(252) 및 수신기(254) 모두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하나 이상의 안테나(256)가 송신기(252)에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별개의 안테나(256)가 수신기(254)에 연결될 수 있다. 각 메모리(258)는 임의의 적합한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스토리지 및 탐색 장치를 포함한다.
UE(110) 및 서버(180)에 관한 추가적인 상세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그러한 상세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3GPP 23.401에 따른 3GPP LTE/EPC 아키텍처(300)의 상위 레벨 도면을 보여준다. 아키텍처(300)의 다양한 컴포넌트가 도 1, 2a 및 2b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나타낸다(또는 컴포넌트에 의해 대응되어 있다). 예컨대, 도 3에서의 UE(324)는 도 1에서의 UE(110)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아키텍처(300)는 E-UTRAN(312) 및 EPC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EPC는 말단 사용자(end user) 세션 및 접속 관리를 위한 풍부한 메커니즘 세트를 제공한다. EPC는 이하를 포함한 다수의 기능 엔티티를 가지고 이다: 데이터 경로 내의 SGW(Serving Gateway)(314) 및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316); HSS(Home Subscriber System)(320); 및 제어 평면 기능을 제공하는 PCRF(Packet Control and Rule Function) 블록(322). 이 아키텍처는 요구에 대한 인증 및 접속 구축, 서비스 품질(QoS) 정칙 및 과금, 구축된 접속의 이동성, 및 기타 세션 처리 성능을 지원한다. 또한, EPC는 또한 이전 세대의 RAN: UTRAN(UMTS Terrestrial RAN) 및 GERAN(GSM EDGE RAN)에의 호환성을 제공한다.
말단 사용자 접속은 UE(324)가 액세스 포인트 이름(APN: Access Point Name)을 가진 네트워크에 접속한 때 구축된다. MME(318)는 이하에서 PDN(Packet Data Network) 접속 세그먼트를 구축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가능하게 한다: PGW(316) 및 SGW(314) 간의 S5 인터페이스, E-UTRAN(312) 및 SGW(314) 간의 S1-U 인터페이스, 및 E-UTRAN(312) 및 UE(324)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 LTE-Ue.
현재의 LTE 아키텍처에서, GTP(GPRS Tunneling Protocol)은 베어러 접속을 터널링하기 위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기존 3GPP EPC 네트워크에서의 이동성 관리는 중앙집중화되어 있고 이동성을 위해 주로 GTP를 사용한다. eNB로부터 PGW(316)로의 GTP 접속은 UE의 IP 패킷이 PGW(316)(UE에 대한 첫번째 홉 라우터)로 터널링될 수 있는 중층(stratified) 계층2 전송을 제공한다. GTP 제어 프로토콜은 QoS 정책 협상 성능, 측정 및 회계 기능(metering and accounting function), UE 위치 정보, 코어 네트워크 요소의 부하 정보, 유효 상태 및 다른 접속 정보를 제공한다. EPC 기능 엔티티는 전형적으로 차례로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네트워크에 대한, IP 네트워크에 대한 UDP(User Datagram Protocol) 상의 오버레이(overlay)이다. 데이터 평면에서, 예컨대, SGW(314) 및 PGW(316) 간뿐 아니라 E-UTRAN(312) 및 SGW(314) 간의 접속도 여러 인터넷 프로토콜 및 MPLS 라우터(도시되지 않았지만)을 통해 연결된다.
도 4는 동일한 PGW를 이용하여 한 그룹의 SGW 내에서의 예시적인 핸드오버를 보여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APN에 대해 생성된 PDN 접속을 위한 IP 흐름은 한 PGW를 앵커(anchor)로 하고 있고, 패킷은 이 앵커를 경유하여 라우팅된다. 하나의 지역에 다수의 SGW를 제공하는 것은 그 지역에 있는 PGW(예컨대, PGW1)를 이용하여 가능하다. 여기서, 다른 지역에 있는 다른 다수의 SGW는 다른 지역에 있는 PGW(주어진 APN에 대해)(예컨대 PGW3)를 이용한다. 그러한 지역은 일반적으로 매우 넓어서, 다른 지역에 있는 SGW가 어떤 서비스를 위해 동일한 PDN에 연결된 동일한 PGW를 사용하면 패킷 지연이 너무 길게 일어난다. 상이한 지역에 있는 PGW로 분리함으로서 SGW 및 PGW 간의 과도하게 긴 터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지연은, 동일한 서비스가 다수의 지리적 위치에서 사용 가능할 때 더 짧아진다. 예컨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진 캐시 서버(cached server)가 상이한 네트워크에서 사용 가능하면, 상이한 위치에 있는 동일한 컨텐츠에 더 짧은 패킷 지연으로 접근하기 위해 각각이 상이한 PGW가 사용될 수 있다. UE(401)가 이동(예컨대, SGW15와 연관된 위치로부터 이동)하고 상이한 eNB에 접속함에 따라,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는 새로운 eNB에 더 가까운 다른 SGW(예컨대 SGW19)를 선택한다. 거기서, eNB 및 SGW는 그 동일한 IP 흐름을 위해 변경될 수 있지만 PGW는 변경되지 않는다(예컨대, PGW는 PGW1로 유지된다).
도 5는 다른 그룹의 SGW로의 예시적인 핸드오버를 보여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501)는 제1 그룹의 SGW로부터 제2 그룹의 SGW로 핸드오버한다. 최신의 네트워크에서, 각 그룹의 SGW와 연관된 지역은 너무 넓어서, UE가 핸드오버 후에 세션 연속성(session continuity)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매우 드물다. 그래서 그러한 핸드오버 상황은, 만일 발생한다면, 일반적으로 단지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수의 개별 핸드오버가 관여될 뿐이다. 그러나 그러한 핸드오버가 허용되지 않으면, 통신 세션이 UE의 이동에 의해 끊어질 것이다(통화가 끊어진다). 그러한 핸드오버를 허용하는 솔루션이 필요한 반면, 그러한 이동이 자주 일어나는 것이 아니므로 그 솔루션을 실현하기 위한 비용은 작아야 바람직하다.
도 6은, 밀집 네트워크에서 다른 SGW 그룹으로의 예시적인 핸드오버를 보여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래의 액세스 네트워크는 더 밀집되어, 하나의 SGW가 서빙하는 지역이 더 작다. 예컨대, 도 6에서의 SGW는 도 4 및 5에서의 SGW보다 더 가깝게 붙어있다. 네트워크가 더 밀집되고 더 평편하게 될수록, 네트워크 서비스가 더 많은 위치에서 사용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에 더 가깝게 될 것이다. 동일한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더 많은 PGW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UE(예컨대 UE(601))가 동일한 PGW를 이용하는 SGW 그룹에 의해 서빙되는 영역 밖으로 이동하는 것은 더 넓은 지역을 커버하는 SGW 그룹에서보다 더 자주 발생할 것이다.
PGW간의 보다 잦은 핸드오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핸드오버 목적지 SGW를 후속 지역의 편리한 위치에 제공함으로써, 이전 PGW를 이용하는 PDN 접속이 그 제공된 SGW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 제공된 SGW(핸드오버 목적지 SGW라고도 함)은, 보통은 새로운 PGW를 이용했을 지역 내의 eNB를 이용하면서 이전 PGW의 PDN 접속을 이용하고 있는 PDN 접속을 위한 MME에 의해 선택된다. 이전 PGW에의 터널을 위해 핸드오버 목적지 SGW를 이용하는 것은 잠정적 솔루션(interim solution)으로서 PGW가 그러한 사용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것은 시스템이, 더 이상 그러한 잠정적 솔루션 트래픽이 없는 경우 후속 지역에 있는 새로운 PGW로 최종적으로 이동하도록 준비한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를 이용하면, 주어진 PDN 접속을 위해 통상 제1 PGW에 의해 서빙되는 지역 밖의 노드로 핸드오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핸드오버 목적지는, 만약 그렇지 않으면 새로운 PDN 접속을 위한 제2(상이한) PGW를 이용하는 SGW에 의해 서빙되었을 eNB의 영역 내 어디든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목적지 SGW는 새로운 PGW와 함께 위치한 SGW이다. 함께 위치한 SGW 및 PGW는 이미 많은 네트워크에 존재하기 때문에, PGW에서 기준의 함께 위치한 SGW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SGW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그 예시를 설명한다.
도 7a 내지 7c는, 본 개시에 따른 PGW와 함께 위치한 핸드오버 목적지 SGW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네트워크를 보여준다. 네트워크(700)의 다양한 컴포넌트는 도 1, 2a, 2b, 및 3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나타낸다(또는 이들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예컨대, 도 7a 내지 7c에서의 UE(701)는 도 1에서의 UE(110)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701)는, PDN으로부터의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PDN 접속을 위해 PGW1을 이용하는 한 그룹의 SGW(SGW11-SGW19)에 의해 서빙되는 제1 지역 내에 있으면서 가동 중인 통신 세션 내에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UE(701)가 네트워크(700) 내에서 eNB에 접속(attach)하면, UE(701)는 액세스하기 원하는 PDN을 지시하기 위해 APN에 PDN 접속을 요구한다. MME는 SGW 그룹(SGW11-SGW19)에서 접속(attachment)의 eNB에 가까운 SGW를 고른다. UE가 상이한 eNB로 이동함에 따라, 그 SGW는 SGW11-SGW19 그룹 내의 임의의 SGW로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에서, UE(701)는 SGW19와 연관된 eNB(703)와 통신하고 있다. UE(701)에 대한 PDN 접속(708)이 이중 선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PGW1, SGW19 및 UE(701) 사이에 구축된다. 제2 그룹의 SGW(SGW31-SGW37)는 제1 지역에 인접한 제2 지역을 서빙한다. 제2 그룹의 SGW는, 유사한 서비스를 위해 동일한 PDN 또는 다른 PDN에 액세스하기 위해, 이들 SGW에 더 가까운 상이한 PGW를 사용하며, 이 상이한 PGW는 PGW3으로 나타낸다. 좀 더 밀집한 네트워크 및 셀룰러 네트워크를 더 평편하게 하려는 경향에서, 상이한 지리적 위치에서 다수의 PDN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지연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UE(701)는 다른 eNB로의 핸드오버를 개시하고, 그 eNB는 MME와 통신한다. 핸드오버 전에, MME는 SGW19 및 PGW1(현재의 SGW 및 현재의 PGW)를 골랐었고, 애플리케이션 세션은 이미 다른 노드와 통신하기 위해 열려 있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701)는 eNB(703)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2 그룹의 SGW(SGW31-SGW37)에 의해 서빙되는 제2 지역으로 멀리 이동한다. 제2 지역에서, UE(701)는 로컬 SGW로서 SGW31을 대체로 사용하고 더 근접한 PGW로서 PGW3을 사용하는 eNB(705)를 발견한다. MME가, PDN 접속(710)이 PGW3을 사용하지 않고 PGW1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여기서, 네트워크(700)는 PGW1 및 SGW31 간의 GTP 터널(이 전체 영역으로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할 그룹 SGW31-SGW39 내의 모든 다른 SGW뿐 아니라)을 구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들이 다른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다면 밀집 네트워크에서 관리할 터널과 제공할 것은 더 적다. 또한, 네트워크가 더 밀집되고 서비스가 보다 더 분산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PGW의 변경을 가능하게 하지 않을 것이고, 이로써 그들에 더 가까운 상이한 PGW를 가진 다수의 PDN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핸드오버 목적지 SGW(여기서 SGW3으로 나타내어 짐)가 제2 지역 내의 편리한 위치에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SGW3은 PGW3과 함께 위치한다. 기존의 PDN 접속(708)이 PGW1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MME는 로컬 SGW31(PGW3에 의 서빙되는)를 선택하지 않으며, 대신 함께 위치한 SGW3을 선택한다. PGW1은 PDN 접속(710)의 일부로 남아 있고, PGW1 및 SGW3 간의 GTP 터널 접속(715)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축된다. 즉, PGW1을 이용하는 기존의 PDN 접속(708)이 새로운 PGW와 새로운 PDN 접속을 구축하는 대신, SGW3을 이용하도록 변경된다. 그러면 PDN 접속(710)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705)(새로운 eNB), SGW3(핸드오버 목적지 SGW) 및 PGW1(구 PGW)을 이용한다. 구 PDN 접속(708)(PGW1-SGW19-eNB(703))은 무너지고 세션은 PDN 접속(710)으로 넘어간다.
터널(715), SGW3, 및 PDN 접속(710)의 사용으로, PGW1은 그러한 트래픽을 PGW1의 잠정적 사용으로만 구별할 수 있다. PGW1은, 이 PDN 접속의 활성화된 사용이 더 이상 없는 경우, PDN 접속(710)에 가까운 기회를 찾을 수 있으며, 이로써 새로운 PGW를 이용하는 새로운 PDN 접속이 구축될 수 있다.
UE(701)는 계속 이동하여 통상적으로 그룹 SGW31-SGW37에 의해 서빙되는 지역 아래의 다른 eNB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UE(701)가 상이한 eNB(도시되지 않음)로 핸드오버하려는 경우, 새로운 eNB가 MME에 연락한다. MME는, 이것이 SGW3을 이용하는 특별(잠정적 이용) PDN 접속이라고 결정한다. 계속해서 PDN을 구성하여 PDN 접속 내의 기존 SGW3은 유지하면서 eNB만을 변경한다. 다르게는, 새로운 eNB 및 구 eNB가 PDN 접속 내에서 SGW3을 변경하지 않고 이 동일한 핸드오버를 달성하기 위해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만일 다른 세션이 동일한 APN을 이용하면서 설립되면, 새로운 세션이 그 PDN 접속(710)을 사용할 것이다. PDN 접속(710)은, 활성화된 세션이 없어질 때까지 계속해서 사용된다. 핸드오버한 PDN 접속을 사용하는 다른 세션 중 활성화된 것이 없을 때, 이 APN에 대한 PDN 접속(710)은 닫힌다. 새로운 PDN 접속(720)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립된다. PDN 접속을 닫기 위해 다른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PGW1이 더 이상의 활성화된 세션이 없다는 것을 아는 방법은 타이머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고, 이렇게 해서 PGW1이 PDN 접속의 종료를 개시할 수 있다.
새로운 PDN 접속(720)은 구 PDN 접속(710)이 종료한 후에 설립된다. 새로운 PDN 접속을 여는 다른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eNB 및/또는 MME가 기존의 PDN 접속이 실패했다거나 또는 PGW1이 실패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복구 메커니즘이 가동될 수 있다. 복구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이한 PGW를 이용하여 새로운 PDN 접속의 설립을 시작할 수 있다.
새로운 PDN 접속(720)을 구축하기 위해, UE(701)는 eNB(705)에 접속할 때와 유사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eNB(705)는 새로운 APN을 가지고 MME에 접촉한다. MME는 eNB(705)에 가까운 새로운 SGW, 예컨대, SGW31을 선택한다. SGW31은 이 APN을 가진 PGW3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MME는 PGW3을 선택하고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SGW31(새로운 SGW) 및 PGW3(새로운 PGW) 간의 GTP 터널 접속(725)을 구축한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UE(701)가 제2 지역으로 핸드오버한 후에, PDN 접속(710)은 폐쇄되기 전에 먼저 데프리케이션(deprecation)된다. 데프리케이션된다는 개념은 IP 표준에 근거하고 있다. 데프리케이션은 IP에서 활성화되는 것과 만료되는 것 사이의 상태이다. PDN 접속(710)에서 SGW3을 사용하는 것은 PGW1 또는 다른 네트워크 요소가 다른 활성화된 접속으로부터 그 데크리케이션된 접속을 구별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 PDN은 활성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PDN 접속을 열 수 있다. 새로운 PDN 접속(720)이 구축되면, 새로운 세션이 새로운 PDN 접속을 사용할 것이다. 그러나 기존 세션이 여전히 데프리케이션된 PDN 접속(710)을 이용하고 있으면, 그 세션은 그 접속(710)을 계속해서 이용한다. 나중에, PDN 접속(710)이 폐쇄되면, 오직 새로운 PDN 접속(720)만이 사용된다.
핸드오버 목적지 SGW(예컨대 SGW3)는, 통상적으로 새로운 PGW(예컨대 PGW3)을 이용했었을 새로운 지역 내에서의 eNB를 이용하면서 이전 지역의 PGW(예컨대, PGW1)의 PDN 접속을 이용하는 PDN 접속을 위한 MME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그래서 주어진 PDN 접속에 대해 하나의 PGW에 의해 통상적으로 서빙되는 지역 밖으로 핸드오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핸드오버 목적지는, 그러지 않으면 새로운 PDN 접속을 위해 상이한 PGW를 이용하는 SGW에 의해 서빙되었을 eNB의 지역 내 어느 곳이든 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핸드오버 목적지 SGW를 이용한 이동성 관리를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보여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 방법(800)은 도 7a-7c의 네트워크(700)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이 방법(800)은 적절한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서 적절한 장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801에서, PDN 접속이 제1 지역 내의 제1 그룹의 SGW와 연관된 제1 PGW와 UE 간에 구축된다. 예컨대, 이것은 PGW1 및 UE(701) 간의 PDN 접속(708)을 구축하는 MME(예컨대, MME(318))를 포함한다.
단계 803에서, 제2 PGW와 연관된 핸드오버 목적지 SGW와 통신이 구축된다. 제2 PGW는 제2 지역 내의 제2 그룹의 SGW와 연관되어 있다. 이것은 MME가 PGW3과 연관된 SGW3와 통신을 구축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SGW3은 PGW3과 함께 위치하고 있다.
단계 805에서, UE는 제1 지역에서 제2 지역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UE(701)가 SGW11-SGW19와 연관된 지역으로부터 SGW31-SGW37과 연관된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807에서, UE가 제1 지역에서 제2 지역으로 이동한 후, MME가 제1 PGW 및 핸드오버 목적지 SGW 간의 GTP 터널 접속을 구축한다. 이것은, MME가 PGW1 및 SGW3 간의 GTP 터널 접속(715)을 구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809에서, MME는 제1 PGW와 핸드오버 목적지 SGW 간의 GTP 터널 접속을 사용하기 위해 PDN 접속을 갱신한다. 이것은, MME가 GTP 터널 접속(715)을 이용하기 위해 PDN 접속(710)으로 PDN 접속(708)을 갱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8이 PGW와 함께 위치한 핸드오버 목적지 SGW를 이용하는 방법(800)의 예를 보여주었지만, 도 8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일련의 단계로 기술되어 있지만, 도 8의 여러 단계가 중첩되거나 동시에 실행되거나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또는 1회 이상 반복될 수도 있다.
각 PGW에 함께 위치한 SGW를 이용함으로써, 끊김 없는 핸드오버가 네트워크 내의 모든 곳에서 실질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방법은 또한, 네트워크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그룹의 SGW가 없이 평편하게 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함께 위치한 SGW/PGW 쌍이 어디에서든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개별의 SGW만의 박스가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기존의 계층적 네트워크로부터 평편한 네트워크로의 완화가 동일한 이동성 관리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또한 GTP의 다른 용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들은 SGW 및 PGW 대신 SGSN 및 GGSN을 가지고 구현함으로써 3GPP에 확장될 수 있다. 그러한 3GPP 시스템은 함께 위치한 SGSN/GGSN이 필요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들의 하나 이상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 또는 프로세스가,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형성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내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거나 지원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라는 것은, 소스 코드, 오브젝트 코드, 및 실행 코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모든 컴퓨터 코드를 말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란, ROM, RAM, 하드드라이브 디스크, CD, DVD, 또는 기타 다른 형태의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매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어나 문구의 정의를 해 두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포함한다" 또는 그 변형된 형태는 한정 없이 포함한다는 의미이다. "또는"은 및/또는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연관되어 있다" 또는 그 변형은, 그 안에 포함되어 있다, 서로 연결되어 있다, 내포하다, 내포되어 있다, 연결되어 있다, 결합되어 있다,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협동하다, 인터리브하다, 병치되어 있다, 인접해 있다, 접해 있다, 가지다, 특성을 가지다 등의 의미를 가진다.
본 개시가 임의의 실시예 및 그 실시예와 연관된 방법을 기술하고 있지만, 이들 실시예 및 방법의 변형 및 치환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의 상술한 설명은 본 개시를 정의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다른 변경, 치환, 변형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및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

Claims (20)

  1. 이동성(mobility) 관리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와, 제1 지역 내에서의 제1 그룹의 SGW(Serving Gateways)와 연관된 제1 PGW(Packet Data Gateway) 간에 제1 PDN(Packet Data Network)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
    제2 지역 내에서의 제2 그룹의 SGW와 연관된 제2 PGW와 연관된 핸드오버 목적지 SGW와 통신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제1 PGW와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 SGW 간에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터널링 프로토콜(GTP: GPRS Tunneling Protocol) 터널 접속을 구축하고, 상기 제1 PGW와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 SGW 간의 GTP 터널 접속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1 PDN 접속을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성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 SGW는 상기 제2 PGW와 함께 위치하고 있는, 이동성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PDN 접속이 상기 제1 그룹의 SGW 중 적어도 하나의 SGW를 포함하고,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PDN 접속은 상기 제1 그룹의 SGW 내의 어떤 SGW도 포함하지 않는, 이동성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PDN 접속은 제1 지역 내의 제1 eNB를 포함하고,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PDN 접속은 제2 지역 내의 제2 eNB를 포함하는, 이동성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UE로부터 PDN 접속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성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제2 지역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제1 PDN 접속을 닫는 단계; 및
    상기 제2 PGW, 상기 제2 그룹의 SGW 중 적어도 하나의 SGW, 및 상기 UE 간에 제2 PDN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성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역은 상기 제2 지역에 인접하는, 이동성 관리 방법.
  8.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포함하는 이동성 관리 장치로서,
    상기 MME는,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와, 제1 지역 내에서의 제1 그룹의 SGW(Serving Gateways)와 연관된 제1 PGW(Packet Data Gateway) 간에 제1 PDN(Packet Data Network) 접속을 구축하고;
    제2 지역 내에서의 제2 그룹의 SGW와 연관된 제2 PGW와 연관된 핸드오버 목적지 SGW와 통신을 구축하며;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제1 PGW와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 SGW 간에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터널링 프로토콜(GTP: GPRS Tunneling Protocol) 터널 접속을 구축하고, 상기 제1 PGW와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 SGW 간의 GTP 터널 접속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1 PDN 접속을 갱신하도록 구성된,
    이동성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 SGW 는 상기 제2 PGW와 함께 위치하는, 이동성 관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PDN 접속이 상기 제1 그룹의 SGW 중 적어도 하나의 SGW를 포함하고,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PDN 접속은 상기 제1 그룹의 SGW 내의 어떤 SGW도 포함하지 않는, 이동성 관리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PDN 접속은 제1 지역 내의 제1 eNB를 포함하고,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PDN 접속은 제2 지역 내의 제2 eNB를 포함하는, 이동성 관리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MME는 추가로,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UE로부터 PDN 접속 요구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이동성 관리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MME는 추가로,
    상기 UE가 제2 지역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제1 PDN 접속을 닫고;
    상기 제2 PGW, 상기 제2 그룹의 SGW 중 적어도 하나의 SGW, 및 상기 UE 간에 제2 PDN 접속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이동성 관리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역은 상기 제2 지역에 인접하는, 이동성 관리 장치.
  15. 이동성 관리 시스템으로서,
    제1 지역 내에서의 제1 그룹의 SGW(Serving Gateways)와 연관된 제1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제2 지역 내에서의 제2 그룹의 SGW와 연관된 제2 PGW; 및
    상기 제1 및 제2 PGW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를 포함하고,
    상기 MME는,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와, 상기 제1 PGW 간에 제1 PDN(Packet Data Network) 접속을 구축하고;
    상기 제2 PGW와 연관된 핸드오버 목적지 SGW와 통신을 구축하며;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제1 PGW와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 SGW 간에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터널링 프로토콜(GTP: GPRS Tunneling Protocol) 터널 접속을 구축하고, 상기 제1 PGW와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 SGW 간의 GTP 터널 접속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1 PDN 접속을 갱신하도록 구성된,
    이동성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 SGW는 상기 제2 PGW와 함께 위치하는, 이동성 관리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PDN 접속이 상기 제1 그룹의 SGW 중 적어도 하나의 SGW를 포함하고,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PDN 접속은 상기 제1 그룹의 SGW 내의 어떤 SGW도 포함하지 않는, 이동성 관리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PDN 접속은 제1 지역 내의 제1 eNB를 포함하고,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PDN 접속은 제2 지역 내의 제2 eNB를 포함하는, 이동성 관리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MME는 추가로, 상기 UE가 제1 지역으로부터 제2 지역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UE로부터 PDN 접속 요구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이동성 관리 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MME는 추가로,
    상기 UE가 제2 지역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제1 PDN 접속을 닫고;
    상기 제2 PGW, 상기 제2 그룹의 SGW 중 적어도 하나의 SGW, 및 상기 UE 간에 제2 PDN 접속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이동성 관리 시스템.
KR1020167018882A 2013-12-27 2014-12-26 Gprs 터널링 프로토콜에 의한 분산 이동성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84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921290P 2013-12-27 2013-12-27
US61/921,290 2013-12-27
US14/581,407 2014-12-23
US14/581,407 US9992721B2 (en) 2013-12-27 2014-12-23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with GPRS tunneling protocol
PCT/CN2014/095042 WO2015096794A1 (en) 2013-12-27 2014-12-26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with gprs tunneling protoc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404A true KR20160098404A (ko) 2016-08-18

Family

ID=5347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882A KR20160098404A (ko) 2013-12-27 2014-12-26 Gprs 터널링 프로토콜에 의한 분산 이동성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92721B2 (ko)
EP (1) EP3072328A4 (ko)
JP (1) JP2017501636A (ko)
KR (1) KR20160098404A (ko)
CN (1) CN105794264A (ko)
CA (1) CA2934826A1 (ko)
WO (1) WO20150967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243A (ko) * 2018-12-05 2020-06-16 시니버스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5g 네트워크들에서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을 라우팅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6522B2 (en) * 2014-02-10 2017-09-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ession assignment and balancing
WO2017062065A1 (en) * 2015-10-09 2017-04-13 Intel IP Corporation Network initiated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
US10069791B2 (en) * 2015-11-02 2018-09-0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hange in user equipment packet data network internet protocol address in a split control and user plane evolved packet core architecture
US9924431B2 (en) 2016-02-08 2018-03-20 Smartsky Networks LLC Seamless re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network
CN106332204A (zh) * 2016-08-19 2017-01-11 广东工业大学 一种pgw切换方法及系统
CN112218345B (zh) * 2016-08-24 2022-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策略控制方法、网元、系统及存储介质
AU2017370908A1 (en) * 2016-12-07 2019-07-25 Charles NORTHRUP Thing machine systems and methods
US10623996B2 (en) * 2018-01-15 2020-04-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GTP tunnels for the support of anchorless backhaul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0263705B2 (en) * 2009-06-23 2015-10-01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station, position management apparatus, subscriber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ess control apparatus, home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US8831014B2 (en) 2009-09-26 2014-09-09 Cisco Technology, Inc. Providing services at a communication network edge
JP5506703B2 (ja) 2011-01-14 2014-05-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システムおよびモビリティアンカー
US8700027B2 (en) * 2011-02-11 2014-04-15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analysis
US20130089076A1 (en) 2011-04-01 2013-04-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Local / remote ip traffic access and selective ip traffic offload service continuity
CN102740268B (zh) * 2011-04-07 2017-04-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分组数据网络网关及终端移动性管理的系统
FR2977118A1 (fr) 2011-06-24 2012-12-28 France Telecom Mecanisme de gestion de connexions pdn dans les reseaux lte/epc
EP2763458B1 (en) 2011-09-30 2017-06-28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device
TWI590680B (zh) * 2011-09-30 2017-07-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對在區域網路與另一網路之間移動的無線傳輸/接收單元(wtru)進行切換的方法及存取點(ap)
WO2013075755A1 (en) 2011-11-25 2013-05-30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for handing over a mobile relay node
WO2015051845A1 (en) * 2013-10-10 2015-04-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pool of network gateways
US9237463B2 (en) * 2013-11-20 2016-01-1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erformance pattern correl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243A (ko) * 2018-12-05 2020-06-16 시니버스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5g 네트워크들에서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을 라우팅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72328A1 (en) 2016-09-28
CA2934826A1 (en) 2015-07-02
US9992721B2 (en) 2018-06-05
WO2015096794A1 (en) 2015-07-02
EP3072328A4 (en) 2016-11-09
CN105794264A (zh) 2016-07-20
US20150189563A1 (en) 2015-07-02
JP2017501636A (ja)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8404A (ko) Gprs 터널링 프로토콜에 의한 분산 이동성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3569009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ul packet based on quality of service (qos) flow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9532390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lementing PDN connections
TWI472210B (zh) 網際網路協定流行動的方法
US9167413B2 (en) Local breakout with parameter access service
JP6384700B2 (ja) 通信システム
JP6382999B2 (ja) 最適化されたルートモビリティ管理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50138952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ath control
US20130311640A1 (en)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data paths, mtc gateway and network device using the same
US1120222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adaptively rerouting user plane traffic for mobility using segment routing for IPV6
US20160360458A1 (en) Inter-PGW Handover Architecture
US20190191339A1 (en) Policy control method and system, network element, and storage medium
CN108307691B (zh) 通信系统
CN103313232A (zh) 通信方法、通信设备和用户设备
WO2016107404A1 (zh) 业务流传输路径优化方法、装置及mme
US20180351844A1 (en) Enhanced u-verse / dsl internet services
WO2020104925A1 (en) First core network to second core network interworking while reducing usage of default second core network resources
KR102236524B1 (ko) 이중연결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빙셀의 변경 방법 및 장치
WO2021031861A1 (zh) 数据回传方法以及设备
US2015024540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 single radio-access technology connection into a multiple radio-access technology connection
WO2011032444A1 (zh) 移动性处理方法及装置
EP4236469A1 (en) Rout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Barooah et al. An architectural framework for seamless handoff between IEEE 802.11 and UMTS networks
JP5795265B2 (ja) ローカルブレイクアウト用のリンク層スイッチング
JP2023545809A (ja) グループ移行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