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775A -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 - Google Patents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775A
KR20160097775A KR1020150020028A KR20150020028A KR20160097775A KR 20160097775 A KR20160097775 A KR 20160097775A KR 1020150020028 A KR1020150020028 A KR 1020150020028A KR 20150020028 A KR20150020028 A KR 20150020028A KR 20160097775 A KR20160097775 A KR 20160097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heet
tension
press
sect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5230B1 (ko
Inventor
이제열
이원소
박세훈
정회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0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230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01M4/0435Rolling or calen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부를 통과하는 전극 시트에 주름, 접힘, 너울 등이 발생하더라도, 이와 같은 전극 시트를 원할하게 주행시키고, 권취부에서 원할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 시트를 압축하기 위한 프레스부; 상기 전극 시트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부; 상기 프레스부로부터 상기 권취부까지의 상기 전극 시트의 경로 중에 배치되는 장력 분리 장치; 및 상기 프레스부로부터 상기 장력 분리 장치까지의 상기 전극 시트의 저장력 주행 구간에서 상기 전극 시트에 걸리는 제 1 장력이, 상기 장력 분리 장치로부터 상기 권취부까지의 상기 전극 시트의 고장력 주행 구간에서 상기 전극 시트에 걸리는 제 2 장력에 비하여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저장력 주행 구간에 배치되는 댄서 롤러를 포함하는,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PRESS APPARATUS FOR ELECTRODE SHEE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 중 차세대 동력원으로 주목받는 리튬 이차 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기억 효과가 없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자연방전이 일어나는 정도가 작고, 매우 가벼워 노트북, 카메라, 핸드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들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에너지밀도가 높은 특성을 이용하여 방산업이나 자동화시스템, 그리고 자동차, 항공산업 분야에서도 점점 그 사용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일반적으로, 전해액, 전극 조립체, 이들을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 및 전극 조립체와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 탭을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는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긴 시트형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권취형 전극조립체,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적층형 전극조립체, 및 소정 단위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적층한 바이셀(Bi-cell) 또는 풀셀(Full cell)들을 긴 길이의 연속적인 분리막 시트를 이용하여 일 방향으로 또는 지그재그 방향으로 폴딩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양극판과 음극판의 제조를 위해서,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 강, 또는 니켈 등으로 형성되는 호일 형상의 집전체에 음극 또는 양극 활물질을 코팅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전극 활물질이 코팅된 연속적인 전극 시트를 압축하여 전극 밀도를 향상시키는 과정에서, 전극이 코팅된 호일 부분과 코팅되지 않은 호일 부분의 압연율 및 연신율이 달라, 프레스부를 통과한 전극 시트에 주름, 접힘이나 너울 등이 발생하여, 전극 시트가 주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프레스부와 권취부 사이에 배치된 한 개의 댄서 롤(dancer roll)을 이용하여 장력을 낮게 유지하는 프레스 장치가 제안되었으나, 이와 같은 장치에서는, 장력이 지나치게 낮아, 전극 시트의 권취가 제대로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87-0001479호 (1987. 08. 13.)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4,795,510호 (1989. 01. 0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91-000523호 (1991. 01. 2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3977호 (2013. 04. 0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0899호 (2013. 12. 0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레스부를 통과하는 전극 시트에 주름, 접힘, 너울 등이 발생하더라도, 이와 같은 전극 시트를 원할하게 주행시키고, 권취부에서 원할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극 시트를 압축하기 위한 프레스부; 상기 전극 시트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부; 상기 프레스부로부터 상기 권취부까지의 상기 전극 시트의 경로 중에 배치되는 장력 분리 장치; 및 상기 프레스부로부터 상기 장력 분리 장치까지의 상기 전극 시트의 저장력 주행 구간에서 상기 전극 시트에 걸리는 제 1 장력이, 상기 장력 분리 장치로부터 상기 권취부까지의 상기 전극 시트의 고장력 주행 구간에서 상기 전극 시트에 걸리는 제 2 장력에 비하여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저장력 주행 구간에 배치되는 댄서 롤러를 포함하는,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는, 상기 저장력 주행 구간에서, 상기 댄서 롤러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에어 쿠션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쿠션 롤러는, 축부; 상기 축부 둘레에 배치되는 링 플랜지; 및 상기 링 플랜지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 연결되는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쿠션 롤러는,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마련되는 튜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축부에는 상기 튜브의 내부 공간과 상기 에어 쿠션 롤러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쿠션 롤러는, 상기 축부에 마련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회전축을 통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통로의 일단에는 상기 튜브에 가압된 또는 감압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압축 또는 감압 공기 소스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의 외측 표면에는 코팅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력 분리 장치는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러버롤 및 닙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력 주행 구간에서, 상기 전극 시트에 걸리는 상기 제 1 장력은 15 N/m2 이하이며, 상기 고장력 주행 구간에서, 상기 전극 시트에 걸리는 상기 제 2 장력은 150 내지 200 N/m2 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포함된 에어 쿠션 롤러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포함된 에어 쿠션 롤러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100)는 프레스부(10), 저장력 주행 유닛(50), 장력 분리 장치(40), 고장력 주행 유닛(60) 및 권취부(20)를 포함한다.
프레스부(10)는 한 쌍의 프레스 롤러(10a, 10b)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스부(10)는 상류 측에 배치되는, 예를 들어 공급 롤(도시 안됨)로부터 전극 시트(S)를 공급받고, 이 전극 시트(S)는 한 쌍의 프레스 롤러(10a, 10b) 사이를 지나간다. 이때, 상기 전극 시트(S)에 도포된 전극 슬러리(도시 안됨)가 압축되어 밀도가 높아질 수 있다.
프레스부(10)를 통과한 전극 시트(S)는 저장력 주행 유닛(50)에 공급된다. 저장력 주행 유닛(50)은, 프레스부(10)에서부터 장력 분리 장치(40)까지의 저장력 주행 구간(A)에서 전극 시트(S)를 저장력, 예를 들어 15 N/m2 이하로 주행시키기 위한 다양한 롤러들의 집합으로서, 가이드 롤러(14, 15, 16, 17), 에어 쿠션 롤러(30) 및 댄서 롤러(18)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4, 15)는 프레스부(10)에서 나오는 전극 시트(S)를 상하에서 일회씩 가이드한 후, 에어 쿠션 롤러(30)로 안내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에어 쿠션 롤러(30)는 프레스부(10)를 지나면서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은 전극 시트(S)가 접히거나 주름이 발생하지 않게 주행되도록 가이드한다. 즉, 프레스부(10)의 프레스 롤러(10a, 10b)에 의해서 가압된 전극 시트(S)에는 불규칙한 장력이 작용하여 접힙, 꼽침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에어 쿠션 롤러(30)는 저장력으로 전극 시트(S)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면서 전극 시트(S)를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에어 쿠션 롤러(30)를 지난 전극 시트(S)는 가이드 롤러(16, 17)을 거쳐서, 댄서 롤러(18)로 안내된다. 댄서 롤러(18)는 지지 바(19)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지지 바(19)는 프레스 장치(100)의 프레임(도시 안됨)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어, 저장력 주행 구간(A)에 걸쳐있는 전극 시트(S) 부분이 그 길이가 변동될 수 있으며, 미리 결정된 저장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장력 분리 장치(40)는 저장력 주행 구간(A)에서 전극 시트(S)에 걸리는 장력과 고장력 주행 구간(B)에서 전극 시트(S)에 걸리는 장력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저장력 주행 구간(A)에서 전극 시트(S)에 걸리는 장력과 고장력 주행 구간(B)에서 전극 시트(S)에 걸리는 장력이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장력 분리 장치(40)는 러버 롤(45) 및 닙롤(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력 분리 장치(40)는 러버 롤(45)의 회전축에 전달되는 동력을 조절 내지 차단할 수 있는 에어 클러치(도시 안됨)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력 주행 구간(A)의 전극 시트(S)에 걸리는 장력이 미리 결정된 값을 넘지 않도록 제어부(도시 안됨)에 의해서 에어 클러치가 조정되어 저장력 주행 구간(A)의 전극 시트(S)의 주행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닙롤(43)은 닙롤(43)과 러버롤(45) 사이에서 주행하는 전극 시트(S)를 러버롤(45)의 표면에 대해서 미리 결정된 압력으로 압축하여, 러버롤(45) 표면의 원주 속도와 전극 시트(S)의 주행 속도가 일치되도록 한다. 아울러, 고장력 주행 구간(B)의 전극 시트(S)에 대한 장력이 저장력 주행 구간(A)의 전극 시트(S)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100)는, 장력 분리 장치(40)에 의해서, 프레스부(10)에서 나오는 전극 시트(S)를 저장력으로 유지할 수 있고, 에어 쿠션 롤러(30)에 의해서 저장력 주행이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아울러 장력 분리 장치(40)에 의해서, 권취부(20)가 있는 고장력 주행 구간(B)에서는 전극 시트(S)의 장력을 고장력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프레스 장치에서 발생되는 것과 같은 권취 불가로 인한 생산 중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고장력 주행 유닛(60)은 장력 분리 장치(40)에서 나오는 전극 시트(S)의 장력을 권취에 적합한 고장력, 예를 들어 150 ~ 200 N/m2 로 유지하면서, 전극 시트(S)를 주행시키기 위한 롤러들의 집합으로서, 고장력 주행 구간(B)의 전극 시트(S)에 걸리는 장력은, 권취부(20)에 마련되는, 예를 들어 파우더 클러치(도시 안됨)에 의해서 권취부(20)의 회전 속도 또는 회전력이 조절됨으로써, 권취에 적합하게 조절될 수 있다. 고장력 주행 유닛(60)은 전극 시트(S)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 및 전극 시트(S)에 걸리는 장력이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고장력 주행 구간(B)에 걸쳐있는 전극 시트(S)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댄서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100)에 포함된 에어 쿠션 롤러(3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쿠션 롤러(30)는, 에어 쿠션 롤러(30)를 프레스 장치(100)의 프레임(도시 안됨)에 연결된 지지 바(3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양측에 마련되는 회전축(34), 이 회전축(34)의 베이스가 되고, 양측에 마련되는 축부(33), 상기 축부(33) 각각에 고정적으로 마련되고, 평면 형상이 원형인 링 플랜지(36), 이 한 쌍의 링 플랜지(36)의 외측 부분에 마련되는 파이프(32), 파이프(32) 내에 마련되고, 미리 결정된 압력 또는 가변되는 압력의 공기가 채워질 수 있는 튜브(37), 및 파이프(32)의 외측 표면에 도포되는 코팅층(31)을 포함할 수 있고, 2 개의 축부(33)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공기 통로(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공기 통로(35)는 일단이 에어 쿠션 롤러(30) 외부에 연통되거나, 또는 압축 또는 감압 공기를 제공하는 압축 또는 감압 공기 소스(도시 안됨)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튜브(37)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 통로(35)의 일단이 에어 쿠션 롤러(30)의 외부에 연통되는 경우, 튜브(37)의 내부는 대기압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공기 통로(35)의 일단이 압축 또는 감압 공기 소스에 연결되는 경우, 튜브(37) 내의 압력이 주행되는 전극 시트(S)의 상태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축부(33)의 둘레에 배치되는 링 플랜지(36)는 가요성 있는 재료, 또는 탄성적인 재료, 예를 들어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링 플랜지(36)는, 예를 들어 파이프(32)의 내측 표면에 밀착되도록 끼워져 축부(33)와 파이프(3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링 플랜지(36)는, 파이프(32)에 힘이 가해질 때, 파이프(32)를 통해서 힘을 전달받아, 파이프(32)가 움직일 수 있도록 압축되거나 휘거나, 또는 변형될 수 있다.
파이프(32)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파이프(32)의 외측 표면에는 코팅층(31)이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31)은 고무, 도금, 또는 EPP(발포 프로필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b)를 참조하면, 공기 통로(35a)가 축부(33a) 및 회전축(34a)을 통해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공기 통로(35a)가 회전축(34a)을 통해서 형성되는 경우, 가압 또는 감압 공기 소스에 대한 공기 통로(35a)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의 (a), (b) 및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100)의 에어 쿠션 롤러(3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가 도시된다.
도 3의 (a)에서, 외부로부터 에어 쿠션 롤러(30)에 작용되는 외력(F)은 에어 쿠션 롤러(30)의 좌측 부분에 가해진다. 이와 같이 작용되는 외력(F)에 의해서, 파이프(32)의 좌측 부분이 외력(F)의 반대 방향으로 밀리면서, 이에 대응하여 링 플랜지(36)의 일 부분은 압축되고, 반대쪽 부분은 연장되며, 파이프(32)의 우측 부분은 앞으로 이동되면서, 이에 대응하는 링 플랜지(36)의 부분은 압축되고, 반대쪽 부분은 연장된다.
도 3의 (b)에서, 외부로부터 에어 쿠션 롤러(30)에 작용되는 외력(F)은 에어 쿠션 롤러(30)의 중앙부에 가해진다. 이와 같이 작용되는 외력(F)에 의해서, 파이프(32)가 전체적으로 뒤로 밀리면서, 이에 대응하는 링 플랜지(36)의 일 부분은 압축되고, 반대쪽 부분은 연장된다.
도 3의 (c)에서, 외부로부터 에어 쿠션 롤러(30)에 작용되는 외력(F)은 에어 쿠션 롤러(30)의 우측 부분에 가해진다. 이와 같이 작용되는 외력(F)에 의해서, 파이프(32)의 우측 부분이 외력(F)의 반대 방향으로 밀리면서, 이에 대응하여 링 플랜지(36)의 일 부분은 압축되고, 반대쪽 부분은 연장되며, 파이프(32)의 좌측 부분은 앞으로 이동되면서, 이에 대응하는 링 플랜지(36)의 부분은 압축되고, 반대쪽 부분은 연장된다.
도 3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쿠션 롤러(30)의 파이프(32)의 위치가 변동될 때, 파이프(32) 내부에 있는 공기를 수용하는 튜브(37)가 변형될 수 있으며, 이때 튜브(37) 내의 공기가 압축되거나, 또는 공기 통로(35)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공기 통로(35)가 외부의 압축 공기 소스에 연결되어 있다면, 튜브(37) 내의 공기압이 조절될 수 있고, 이 경우, 외력(F)에 의해서 튜브(37)가 변형되는 정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레스부(10)에서 나오는 전극 시트(S)의 상태에 따라서, 튜브(37) 내 공기압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저장력 주행 구간(A)에서 전극 시트(S)의 주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전극 시트(S)는 이차 전지의 양극 또는 음극을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종류 전지의 전극을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극 시트를 형성하는 호일 형상의 금속, 및 호일 형상의 금속에 도포된 슬러리의 종류도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을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보이는 구성요소들을 공지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요소로 치환하거나 변형하는 것도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아래의 청구범위에서 보이는 사상 및 그 균등범위까지 미친다.
10 : 프레스부
10a; 10b : 프레스 롤러
14; 15; 16; 17 : 가이드 롤러
18 : 댄서 롤러
19 : 지지바
20 : 권취부
30 : 에어 쿠션 롤러
31 : 코팅층
32 : 파이프
33 : 축부
34 : 회전축
35 : 공기 통로
36 : 링플랜지
37 : 튜브
40 : 장력 분리 장치
43 : 닙롤
45 : 러버롤
50 : 저장력 주행 유닛
60 : 고장력 주행 유닛

Claims (9)

  1. 전극 시트를 압축하기 위한 프레스부;
    상기 전극 시트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부;
    상기 프레스부로부터 상기 권취부까지의 상기 전극 시트의 경로 중에 배치되는 장력 분리 장치; 및
    상기 프레스부로부터 상기 장력 분리 장치까지의 상기 전극 시트의 저장력 주행 구간에서 상기 전극 시트에 걸리는 제 1 장력이, 상기 장력 분리 장치로부터 상기 권취부까지의 상기 전극 시트의 고장력 주행 구간에서 상기 전극 시트에 걸리는 제 2 장력에 비하여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저장력 주행 구간에 배치되는 댄서 롤러를 포함하는,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는,
    상기 저장력 주행 구간에서, 상기 댄서 롤러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에어 쿠션 롤러를 더 포함하는,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 쿠션 롤러는,
    축부; 상기 축부 둘레에 배치되는 링 플랜지; 및 상기 링 플랜지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 연결되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에어 쿠션 롤러는,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마련되는 튜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축부에는 상기 튜브의 내부 공간과 상기 에어 쿠션 롤러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어 쿠션 롤러는,
    상기 축부에 마련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회전축을 통해서도 형성되는,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의 일단에는 상기 튜브에 가압된 또는 감압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압축 또는 감압 공기 소스가 연결되는,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외측 표면에는 코팅층이 마련되는,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 분리 장치는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러버롤 및 닙롤을 포함하는,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력 주행 구간에서, 상기 전극 시트에 걸리는 상기 제 1 장력은 15 N/m2 이하이며,
    상기 고장력 주행 구간에서, 상기 전극 시트에 걸리는 상기 제 2 장력은 150 내지 200 N/m2인,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
KR1020150020028A 2015-02-10 2015-02-10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 KR102285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028A KR102285230B1 (ko) 2015-02-10 2015-02-10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028A KR102285230B1 (ko) 2015-02-10 2015-02-10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775A true KR20160097775A (ko) 2016-08-18
KR102285230B1 KR102285230B1 (ko) 2021-08-02

Family

ID=5687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028A KR102285230B1 (ko) 2015-02-10 2015-02-10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2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4656A (zh) * 2017-12-31 2018-04-20 上海颐尚电气科技股份有限公司 铜线压延用传输装置
WO2023043230A1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037B1 (ko) * 2021-09-06 2024-01-19 유일에너테크(주) 2차 전지 전극 생산 시스템용 사행 및 장력 조절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479A (ko) 1984-09-10 1987-03-14 살란디시 광파 유도 합성물
KR910000523A (ko) 1988-06-23 1991-01-29 퀙크, 란쯔 질화알루미늄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6080045A1 (ja) * 2005-01-25 2006-08-03 Ishikawajima-Harima Heavy Industries Co., Ltd. 電池電極板成形設備
JP2009181832A (ja) * 2008-01-31 2009-08-13 Panasonic Corp 非水系二次電池用電極群の製造装置
JP4795510B2 (ja) 2000-06-29 2011-10-19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JP2012129147A (ja) * 2010-12-17 2012-07-05 Hitachi Engineering & Services Co Ltd 電極材料のロールプレス設備
KR20130033977A (ko) 2011-09-26 2013-04-0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극의 프레스 장치, 전극 제조 장치 및 전극 제조 방법
KR101264027B1 (ko) * 2011-07-25 2013-05-13 김수현 에어 쿠션 산업롤
KR20130130899A (ko) 2012-05-23 2013-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이드 롤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479A (ko) 1984-09-10 1987-03-14 살란디시 광파 유도 합성물
KR910000523A (ko) 1988-06-23 1991-01-29 퀙크, 란쯔 질화알루미늄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JP4795510B2 (ja) 2000-06-29 2011-10-19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WO2006080045A1 (ja) * 2005-01-25 2006-08-03 Ishikawajima-Harima Heavy Industries Co., Ltd. 電池電極板成形設備
JP2009181832A (ja) * 2008-01-31 2009-08-13 Panasonic Corp 非水系二次電池用電極群の製造装置
JP2012129147A (ja) * 2010-12-17 2012-07-05 Hitachi Engineering & Services Co Ltd 電極材料のロールプレス設備
KR101264027B1 (ko) * 2011-07-25 2013-05-13 김수현 에어 쿠션 산업롤
KR20130033977A (ko) 2011-09-26 2013-04-0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극의 프레스 장치, 전극 제조 장치 및 전극 제조 방법
KR20130130899A (ko) 2012-05-23 2013-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이드 롤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4656A (zh) * 2017-12-31 2018-04-20 上海颐尚电气科技股份有限公司 铜线压延用传输装置
CN107934656B (zh) * 2017-12-31 2023-12-26 上海颐尚电气科技股份有限公司 铜线压延用传输装置
WO2023043230A1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230B1 (ko)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9452A (ko)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 및 이차전지
CN106345659A (zh) 薄片涂布装置以及薄片涂布方法
KR20160097775A (ko)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
US20220140308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sitive electrode plate used therein
KR102503562B1 (ko) 이차전지의 전극 제조 시 사용되는 전극용 원단의 이송장치
US20220293911A1 (en) Roll press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ompressed strip-shaped electrode plate
KR20180079841A (ko) 언와인더 및 리와인더를 포함하는 전극 건조 장치
KR101497334B1 (ko) 가이드 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제조 방법
KR101748466B1 (ko) 이차전지용 절단장치
KR101623716B1 (ko) 프레싱 암을 포함하는 가이드 롤 장치
WO2023173771A1 (zh) 电池卷绕方法及装置
KR20200131614A (ko)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 및 이차전지
CN216719990U (zh) 极片造孔机构及极片
CN207861532U (zh) 二次电池制造用材料连接装置
JP2002093408A (ja) 電池用電極シートの加工方法、加工装置
US10683186B2 (en) Method of bonding strip-shaped members to each other and apparatus configured to bond strip-shaped members to each other
CN215527759U (zh) 一种极片补锂装置
CN115566147A (zh) 一种铜膜双面覆锂装置及铜膜双面覆锂方法
KR20200056191A (ko)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885850B1 (ko) 이차전지용 전극 압착 장치
KR101637066B1 (ko)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CN209947983U (zh) 一种锂电池电芯卷绕的扭力辅助送料机构
CN218114492U (zh) 一种防褶皱的锂电池隔膜送料装置
KR101875080B1 (ko) 이차전지용 전극 압착 장치
KR20170094642A (ko) 가압롤들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가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