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140A - Large-sized forging steel and large-sized forged part - Google Patents

Large-sized forging steel and large-sized forged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140A
KR20160097140A KR1020160014119A KR20160014119A KR20160097140A KR 20160097140 A KR20160097140 A KR 20160097140A KR 1020160014119 A KR1020160014119 A KR 1020160014119A KR 20160014119 A KR20160014119 A KR 20160014119A KR 20160097140 A KR20160097140 A KR 20160097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steel
large forging
forging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1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75816B1 (en
Inventor
히로유키 다카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160097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1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8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00Preparing metal stock or similar ancillary operations prior, during or post forging, e.g. heating or cooling
    • B21J1/003Selec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Forging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 forging steel, which has a composition comprising: 0.18 mass% or more and 0.35 mass% or less of C; 0 mass% or more and 0.3 mass% or less of Si; 1 mass% or more and 2.7 mass% or less of Mn; 0 mass% or more and 1 mass% or less of Ni; 0 mass% or more and 1 mass% or less of Cu; 1.5 mass% or more and 2.5 mass% or less of Cr; 0.35 mass% or more 0.55 mass% or less of Mo; 0 mass% or more and 0.15 mass% or less of V; 0.015 mass% or more and 0.05 mass% or less of Al; 30 mass ppm or more and 100 mass ppm or less of N; more than 0 mass ppm and equal to or less than 30 mass ppm of O; and the remaining consisting of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A metal structure has bainite as a main agent, and satisfies following equations (1) and (2). Equation (1): 1.15 >=C+Si/24+Mn/6+Ni/40+Cr/5+Mo/4+V/14 >= 0.95, equation (2): 0.53 >=C+Si/30+Mn/20+Ni/60+Cr/20+Mo/15+V/10 >= 0.45. The large forging steel has excellent strength, toughness, and durability.

Description

대형 단조용 강 및 대형 단조 부품{LARGE-SIZED FORGING STEEL AND LARGE-SIZED FORGED PAR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

본 발명은 대형 단조용 강 및 대형 단조 부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teel for large forgings and large forgings.

선박용 구동원의 전달 부재로서 이용되는, 크랭크축, 중간축, 추진축, 연접봉, 러더 스톡, 러더 혼 등의 부품에는, 대형 단조용 강이 이용된다. 선박용 디젤 엔진의 출력 향상이나 컴팩트화를 실현하기 위해, 이들 부품에 이용되는 대형 단조용 강에는, 고강도, 고인성 및 고내구성이 필요시되고 있다.For parts such as a crankshaft, an intermediate shaft, a propeller shaft, a connecting rod, a rudder stock, and a rudder horn, which are used as a transmitting member of a ship drive source, large forging steels are used. In order to realize improvement in output and compactness of a marine diesel engine, large forging steels used for these parts are required to have high strength, high toughness and high durability.

강도 및 인성이 높은 대형 단조용 강으로서는, 그의 원소 조성 등을 연구한 대형 단조용 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 참조).As a large forging steel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toughness, a large forging steel which has studied its element composition and the like has been proposed (see Patent Document 1, Patent Document 2 and Patent Document 3).

일본특허 제3663170호 공보Japanese Patent No. 3663170 일본특허 제3896365호 공보Japanese Patent No. 3896365 일본특허 제4332070호 공보Japanese Patent No. 4332070

본 발명은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구성도 우수한 대형 단조용 강 및 이 대형 단조용 강을 이용한 대형 단조 부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rge forging steel excellent in strength and toughness and also excellent in durability and a large forging part using the forging steel.

본 발명의 일 국면은, C(탄소): 0.18질량% 이상 0.35질량% 이하, Si(규소): 0질량% 이상 0.3질량% 이하, Mn(망간): 1질량% 이상 2.7질량% 이하, Ni(니켈): 0질량% 이상 1질량% 이하, Cu(구리): 0질량% 이상 1질량% 이하, Cr(크로뮴): 1.5질량% 이상 2.5질량% 이하, Mo(몰리브데넘): 0.35질량% 이상 0.55질량% 이하, V(바나듐): 0질량% 이상 0.15질량% 이하, Al(알루미늄): 0.015질량% 이상 0.05질량% 이하, N(질소): 30질량ppm 이상 100질량ppm 이하, O(산소): 0질량ppm 초과 30질량ppm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인 조성을 가지며, 금속 조직이 베이나이트를 주체로 하고, 하기 식(1) 및 (2)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단조용 강이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0.18 mass% to 0.35 mass% of C (carbon); 0 mass% to 0.3 mass% (Nickel): 0 mass% to 1 mass%, Cu (copper): 0 mass% to 1 mass%, Cr (chromium): 1.5 mass% to 2.5 mass%, Mo (molybdenum): 0.35 mass Al (aluminum): 0.015 mass% or more and 0.05 mass% or less, N (nitrogen): 30 mass ppm or more and 100 mass ppm or less, O (1) and (2), wherein the metal body has bainite as a main component and the balance of Fe (iron) and inevitable impurities. And a large forging steel.

1.15 ≥ C+Si/24+Mn/6+Ni/40+Cr/5+Mo/4+V/14 ≥ 0.95 …(1)1.15? C + Si / 24 + Mn / 6 + Ni / 40 + Cr / 5 + Mo / 4 + V / 14? (One)

0.53 ≥ C+Si/30+Mn/20+Ni/60+Cr/20+Mo/15+V/10 ≥ 0.45 …(2)0.53? C + Si / 30 + Mn / 20 + Ni / 60 + Cr / 20 + Mo / 15 + V / 10? (2)

상기 및 그 밖의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기재와 첨부 도면에 의해 분명해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하면,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하고, 또한 재질 격차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내구성도 우수한 대형 단조용 강 및 이 대형 단조용 강을 이용한 대형 단조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arge-sized forging steel excellent in durability and excellent in strength and toughness by suppressing a material gap, and a large-sized forged part using the large-forging steel.

도 1은 함수 G의 값과 저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함수 G의 값과 저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의 인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함수 F의 값과 고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의 내수소균열성의 평가에 있어서 SSRT(저변형속도 시험)를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정면도이다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the function G and the strength of a large forging steel at a low cooling rate.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the function G and the toughness of a steel for a large forging at a low cooling rate.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the function F and the strength of a large forging steel at a high cooling rate.
4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SRT (low strain rate test) is performed in the evaluation of hydrogen cracking resistance in the embodiment

대형 단조용 강은 일반적으로 소둔 또는 담금질을 행한 후, 템퍼링하여 제조된다. 이 대형 단조용 강에는, 그의 제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내부와 표면의 냉각 속도의 차 등에 의해서 재질 격차가 생긴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재질 격차에 주목했다. 대형 단조용 강에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재질 격차가 생각된다.The large forging steel is generally manufactured by annealing or quenching and then tempering. In this large forging steel, in general, there is a difference in material due to the difference in cooling rate between the inside and the surface. The present inventors paid attention to such a material gap. In the steel for large forgings, for example, the following material gaps are considered.

선박용 구동원의 전달 부재인 대형 단조 부품에서는, 후육(厚肉)의 대형 단조용 강이 필요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대형 단조 부품으로서, 대형 크랭크 스로(throw)를 제조한다면, 예를 들어 전장 3500mm, 웨브폭 2000mm와 같은, 후육의 대형 단조용 강이 필요해진다. 이와 같은 후육의 대형 단조용 강을 제조하는 경우, 냉각 속도가 대형 단조용 강의 두께 방향이나 각 대형 단조용 강 사이에서 상이해지기 쉽다. 냉각 속도가 상이하면, 제조되는 대형 단조용 강의 조직이 상이해지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대형 단조용 강은 두께 방향이나 복수의 대형 단조용 강 사이에서 재질 격차가 발생하기 쉽다.For large forged parts, which are the transmitting members of the ship's drive source, a thick forging steel for large forging becomes necessary. Specifically, if a large crank throw is manufactured as a large sized forged part, a large forging steel for a fork, such as an overall length of 3500 mm and a web width of 2000 mm, is required. When such a large forging steel is produced, the cooling rate tends to be different betwee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large forging steel and the steel for each large forging. If the cooling rates are different, the structure of the produced large forging steel is likely to be different. Therefore, the large forging steel is liable to cause a material gap betwee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large forging steel.

또한, 예를 들면 크랭크축의 웨브나 필렛 부위와 같이 형상이 상이한 부분에 있어서 냉각이 불균일해지기 쉽다. 이와 같은 부위에 따른 냉각 속도의 차이가 생기면, 얻어지는 대형 단조용 강에는, 재질 격차가 발생하기 쉽다.In addition, the cooling tends to become uneven in the portions where the shapes are different, for example, the web of the crankshaft and the fillet portio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cooling rate depending on such a region, a material gap tends to occur in the obtained large forging steel.

대형 단조용 강은 강도가 높아도 재질 격차가 큰 경우, 재질 격차에 의해 대형 단조용 강 내에 강도의 차가 생긴다. 이 때문에, 대형 단조용 강은 진동이나 변형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내구성이 저하되기 쉽다. 따라서, 종래의 대형 단조용 강에서는, 고강도 및 고인성과 재질 격차의 저감을 양립시키는 것이 어렵다.For large forgings, even if the strength is high but the material gap is large, there is a difference in strength within the large forging steel due to the material gaps. Therefore, the steel for large forgings tends to be easily vibrated or deformed, so that the durability tends to deteriorate.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large forging steel, it is difficult to achieve high strength, high toughness and reduction in material gaps.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하고, 또한 재질 격차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내구성도 우수한 대형 단조용 강 및 이 대형 단조용 강을 이용한 대형 단조 부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rge forging steel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toughness and durability by suppressing material gaps, and a large forging part using the forging steel The purpose.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결과, 제조되는 대형 단조용 강에 있어서, 냉각 속도에 따라서 상이한 금속 조직이 되기 어려운 원소 조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본 발명자는, 원소 조성이 상이한 다수의 대형 단조용 강을 분석한 바, 금속 조직에 대한 냉각 속도의 의존성이 낮은 원소 조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이 냉각 속도의 의존성이 낮은 원소 조성이 되도록, 대형 단조용 강의 조성을 조정함으로써, 대형 단조용 강의 재질 격차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As a result of intensive studie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there is an element composition which is difficult to be formed into a different metal structure depending on the cooling rate in the produced large forging steel.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or has analyzed a large number of large forgings having different element compositions, and found that there is an element composition having a low dependency of the cooling rate on the metal structure. It has been found that by controlling the composition of a large forging steel so as to have an element composition with a low dependence of the cooling rat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material gap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단조용 강 및 대형 단조 부품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large forging steel and large forged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대형 단조용 강][Steel for large forging]

<금속 조직><Metal structure>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은 그의 금속 조직이 베이나이트를 주체로 한다. 이와 같이 금속 조직이 베이나이트를 주체로 하는 것에 의해,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은 강도가 우수하다.The steel for the large forgings has bainite as its metal structure. Since the metal structure is mainly composed of bainite, the steel for large forging has excellent strength.

<조성><Composition>

또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은, C(탄소): 0.18질량% 이상 0.35질량% 이하, Si(규소): 0질량% 이상 0.3질량% 이하, Mn(망간): 1질량% 이상 2.7질량% 이하, Ni(니켈): 0질량% 이상 1질량% 이하, Cu(구리): 0질량% 이상 1질량% 이하, Cr(크로뮴): 1.5질량% 이상 2.5질량% 이하, Mo(몰리브데넘): 0.35질량% 이상 0.55질량% 이하, V(바나듐): 0질량% 이상 0.15질량% 이하, Al(알루미늄): 0.015질량% 이상 0.05질량% 이하, N(질소): 30질량ppm 이상 100질량ppm 이하, O(산소): 0질량ppm 초과 30질량ppm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인 조성을 갖는다. 상기 각 함유율은 상기 대형 단조용 강에 대한 함유율이다.The steel for large forgings has a C (carbon) content of not less than 0.18 mass% and not more than 0.35 mass%, Si (silicon): not less than 0 mass% and not more than 0.3 mass%, Mn (manganese): not less than 1 mass% and not more than 2.7 mass% (Ni): 0 mass% to 1 mass%, Cu (copper): 0 mass% to 1 mass%, Cr (chromium): 1.5 mass% to 2.5 mass%, Mo (molybdenum) (Al): 0.015 mass% or more and 0.05 mass% or less, N (nitrogen): 30 mass ppm or more and 100 mass ppm or less , O (oxygen): 0 mass ppm to 30 mass ppm or less, and the balance of Fe (iron) and inevitable impurities. The respective content ratios are content ratios with respect to the steel for large forging.

〔C(탄소)〕[C (carbon)]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C 함유율의 하한으로서는, 0.18질량%이고, 0.23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C 함유율의 상한으로서는, 0.35질량%이고, 0.3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C는 담금질성을 높임과 더불어, 강도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C 함유율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충분한 강도와 담금질성을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C 함유율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C의 역V편석이 조장되기 때문에,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피삭성이 저하될 우려도 있다.The lower limit of the C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0.18% by mass and more preferably 0.23% by mass. The upper limit of the C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0.35% by mass and more preferably 0.3% by mass. C is an element contributing to the strength improvement as well as the hardenability. If the C content of the large forging steel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ufficient strength and hardenability of the large forging steel can not be secu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 content of the large forging steel exceeds the upper limi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oughness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lowered. Further, since the inverse V segregation of C is promo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achinability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lowered.

〔Si(규소)〕[Si (silicon)]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Si 함유율의 하한으로서는, 0질량%이고, Si는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Si 함유율의 상한으로서는, 0.3질량%이고, 0.2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0.1질량%가 더 바람직하다. Si는 탈산 원소로서 산소량 저감에 기여하는 원소이고, 필요에 따라 첨가된다. 한편,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Si 함유율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Si의 역V편석이 조장되기 때문에,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인성이나 내수소균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lower limit of the Si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0% by mass and Si may not be included. The upper limit of the Si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0.3% by mass, more preferably 0.2% by mass, and most preferably 0.1% by mass. Si is an element contributing to reduction of oxygen amount as a deoxidizing element, and is added as need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Si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exceeds the upper limit, the inverse V segregation of Si is promoted, which may lower the toughness and the hydrogen cracking resistance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Mn(망간)〕[Mn (manganese)]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Mn 함유율의 하한으로서는, 1질량%이다. 또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Mn 함유율의 상한으로서는, 2.7질량%이고, 2.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1.5질량%가 더 바람직하다. Mn은 담금질성을 높임과 더불어, 강도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Mn 함유율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충분한 강도와 담금질성을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결정 입도의 격차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을 우려도 있다. 한편,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Mn 함유율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Mn의 역V편석이 조장되기 때문에,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인성이나 내수소균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lower limit of the Mn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1% by mass. The upper limit of the Mn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2.7% by mass, more preferably 2.5% by mass, and most preferably 1.5% by mass. Mn is an element contributing to strength improvement as well as enhancing hardenability. If the Mn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sufficient strength and hardenability of the large forging steel may not be secured.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the difference in crystal grain size can not be sufficiently suppres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Mn content ratio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exceeds the upper limit, there is a fear that the torsion and the hydrogen cracking resistance of the large forging steel are lowered because the reverse V segregation of Mn is promoted.

〔Ni(니켈)〕[Ni (nickel)]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Ni 함유율의 하한으로서는, 0질량%이고, Ni는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Ni 함유율의 상한으로서는, 1질량%이고, 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0.2질량%가 더 바람직하다. Ni는 강도 및 인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고, 필요에 따라 첨가된다. 한편,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Ni 함유율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Ni의 역V편석이 조장되기 때문에,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lower limit of the Ni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0% by mass, and Ni may not be included. The upper limit of the Ni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1% by mass, more preferably 0.5% by mass, and most preferably 0.2% by mass. Ni is an element contributing to improvement in strength and toughness, and is added as need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Ni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exceeds the upper limit, since the reverse V segregation of Ni is promo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oughness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lowered.

〔Cu(구리)〕[Cu (copper)]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Cu 함유율의 하한으로서는, 0질량%이고, Cu는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Cu 함유율의 상한으로서는, 1질량%이고, 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Cu는 인성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고, 필요에 따라 첨가된다. 한편,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Cu 함유율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열간 균열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제조 비용이 증대될 우려도 있다.The lower limit of the Cu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0% by mass, and Cu may not be included. The upper limit of the Cu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1% by mass and more preferably 0.5% by mass. Cu is an element contributing to toughness enhancement and is added as need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Cu in the large forging steel exceeds the upper limit, there is a fear of occurrence of hot cracking.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Cr(크로뮴)〕[Cr (chromium)]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Cr 함유율의 하한으로서는, 1.5질량%이다. 또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Cr 함유율의 상한으로서는, 2.5질량%이고, 2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1.6질량%가 더 바람직하다. Cr은 담금질성을 높임과 더불어, 인성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Cr 함유율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충분한 인성과 담금질성을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Cr 함유율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Cr의 역V편석이 조장되기 때문에,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피삭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lower limit of the Cr content of the large forging steel is 1.5% by mass. The upper limit of the Cr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2.5% by mass, more preferably 2% by mass, and further preferably 1.6% by mass. Cr improves hardenability and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toughness. If the Cr content of the large forging steel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sufficient toughness and quenchability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may not be secu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r content of the large forging steel exceeds the upper limit, since the reverse V segregation of Cr is promo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achinability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lowered.

〔Mo(몰리브데넘)〕[Mo (molybdenum)]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Mo 함유율의 하한으로서는, 0.35질량%이고, 0.4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Mo 함유율의 상한으로서는, 0.55질량%이고, 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Mo는 담금질성, 강도 및 인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Mo 함유율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충분한 담금질성, 강도 및 인성을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Mo 함유율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Mo의 마이크로 편석이나 중량 편석이 조장되기 때문에,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lower limit of the Mo content of the large forging steel is preferably 0.35 mass% and more preferably 0.45 mass%. The upper limit of the Mo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0.55% by mass and more preferably 0.5% by mass. Mo is an element contributing to improvement of hardenability, strength and toughness. If the content of Mo in the large forging steel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described above, sufficient quenching property, strength and toughness of the large forging steel may not be secu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Mo in the large-forging steel exceeds the upper limit, micro-segregation of Mo and segregation of weight are promoted,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oughness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lowered.

〔V(바나듐)〕[V (vanadium)]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V 함유율의 하한으로서는, 0질량%이고, V는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V 함유율의 하한으로서는, 0.03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V 함유율의 상한으로서는, 0.15질량%이고, 0.1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V는 담금질성을 높임과 더불어, 강도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고, 필요에 따라 첨가된다. 한편,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V 함유율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V의 평형 분배 계수가 낮음에 기인하여 마이크로 편석이 조장되기 때문에,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lower limit of the V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0 mass%, and V may not be included. The lower limit of the V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more preferably 0.035% by mass. The upper limit of the V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0.15% by mass and more preferably 0.1% by mass. V is an element that contributes to the strength improvement, in addition to enhancing the hardenability, and is added as need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V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exceeds the upper limit, the micro-segregation is promoted due to the low equilibrium partition coefficient of V, which may lower the toughness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Al(알루미늄)〕[Al (aluminum)]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Al 함유율의 하한으로서는, 0.015질량%이다. 또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Al 함유율의 상한으로서는, 0.05질량%이다. Al은 탈산 원소로서 산소량 저감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Al 함유율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당해 대형 단조용 강에 있어서의 산소량의 충분한 저감을 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Al 함유율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산화물의 조대화를 초래하여,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lower limit of the Al content in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0.015 mass%. The upper limit of the Al content in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0.05% by mass. Al is an element contributing to reduction of oxygen amount as a deoxidizing element. When the Al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described abov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ufficient amount of oxygen in the large forging steel can not be reduc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Al in the steel for large forging exceeds the upper limit, it may cause coarsening of the oxide, which may lower the toughness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N(질소)〕[N (Nitrogen)]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N 함유율의 하한으로서는, 30질량ppm이다. 또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N 함유율의 상한으로서는, 100질량ppm이고, 80질량ppm이 보다 바람직하며, 60질량ppm이 더 바람직하다. N은 질화물을 형성하고 결정립을 세립화하여, 인성의 확보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N 함유율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인성을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N 함유율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고용 N으로서 변형 시효를 일으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인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The lower limit of the N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30 mass ppm. The upper limit of the N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100 mass ppm, more preferably 80 mass ppm, and most preferably 60 mass ppm. N is an element contributing to securing toughness by forming nitride and grain refinement. If the N content of the large forging steel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oughness of the steel for a large forging can not be secu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N content of the large forging steel exceeds the upper limit, strain age may be caused as solid solution N, which may lower the toughness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O(산소)〕[O (oxygen)]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O 함유율의 하한으로서는, 0질량ppm 초과이다. 또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O 함유율의 상한으로서는, 30질량ppm이고, 15질량ppm이 보다 바람직하며, 10질량ppm이 더 바람직하다. O는 적은 편이 바람직하지만, 당해 대형 단조용 강 중에 산화물로서 존재하여, O의 함유량은 0질량ppm으로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O 함유율의 하한으로서는, 0질량% 초과이다. 한편,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O 함유율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산화물의 조대화를 초래하여,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lower limit of the O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0 mass ppm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O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preferably 30 mass ppm, more preferably 15 mass ppm, further preferably 10 mass ppm. O is preferably small, but it exists as an oxide in the steel for large forging, and the content of O can not be 0 mass ppm. Therefore, the lower limit of the O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more than 0% by mass.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O in the steel for large forging exceeds the upper limit, there is a fear that the toughness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lowered due to coarsening of the oxide.

〔다른 성분〕[Other components]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은, 전술한 성분 이외에, 잔부에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을 포함한다. 또한, 불가피적 불순물로서는, 예를 들면 원료, 자재, 제조 설비 등의 상황에 의해서 유입되는 P(인), S(황), Sn(주석), As(비소), Pb(납), Nb(니오븀), Ti(타이타늄) 등의 원소의 혼입이 허용된다.The above-mentioned large forging steel contains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in the remainder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Examples of the inevitable impurities include P (phosphorus), S (sulfur), Sn (tin), As (arsenic), Pb (lead), Nb Niobium), and Ti (titanium) are allowed to be incorporated.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불가피 불순물인 P의 함유율의 상한으로서는, 0.1질량%가 바람직하고, 0.01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P 함유율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입계 편석에 의한 입계 파괴를 조장할 우려가 있다. 또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P 함유율의 하한으로서는, 0질량%이고, P는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The upper limit of the content of P, which is an inevitable impurity in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preferably 0.1% by mass, more preferably 0.01% by mass. If the P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exceeds the upper limit, there is a risk of promoting grain boundary fracture by grain boundary segregation. The lower limit of the P content in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0% by mass, and P is not necessarily included.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불가피 불순물인 S의 함유율의 상한으로서는, 0.02질량%가 바람직하고, 0.01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S 함유율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황화물계 개재물이 증대되어 강도를 열화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S 함유율의 하한으로서는, 0질량%이고, S는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The upper limit of the content ratio of S, which is an inevitable impurity in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preferably 0.02% by mass, and more preferably 0.01% by mass. When the S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exceeds the upper limit, there is a fear that the sulfide inclusions are increased and the strength is deteriorated. The lower limit of the S content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0 mass%, and S may not be included.

<각 성분 함유량 사이의 관계>&Lt;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content &gt;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은 하기 식(1) 및 (2)를 만족시킨다.The steel for large forging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s (1) and (2).

1.15 ≥ C+Si/24+Mn/6+Ni/40+Cr/5+Mo/4+V/14 ≥ 0.95 …(1)1.15? C + Si / 24 + Mn / 6 + Ni / 40 + Cr / 5 + Mo / 4 + V / 14? (One)

0.53 ≥ C+Si/30+Mn/20+Ni/60+Cr/20+Mo/15+V/10 ≥ 0.45 …(2)0.53? C + Si / 30 + Mn / 20 + Ni / 60 + Cr / 20 + Mo / 15 + V / 10? (2)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금속 조직은 대형 단조용 강의 제조 시에 주로 베이나이트 조직으로 변태된 것이다. 이때, 상기 식(1) 및 (2)를 만족시킴으로써,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재질 격차를 저감할 수 있다. 현재, 그 메커니즘은 명확하지는 않지만, 상기 식(1)을 만족시킴으로써, 고냉각속도, 예를 들면 평균 냉각 속도가 10℃/분인 경우에서의 변태 개시 온도의 저온화를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상기 식(2)를 만족시킴으로써, 저냉각속도, 예를 들면 평균 냉각 속도가 1℃/분인 경우에서의 변태 개시 온도의 고온화를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들로부터, 냉각 속도의 차이로 인한 대형 단조용 강의 재질 격차가 억제되어, 재질 격차에 의한 대형 단조용 강 내의 강도차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The metal structure of the steel for the large forging is transformed into a bainite structure mainly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At this time, by satisfying the above formulas (1) and (2),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terial gap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Presently, although the mechanism is not clear, it is considered that by satisfying the above formula (1),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lowering of the transformation starting temperature at a high cooling rate, for example, an average cooling rate of 10 캜 / minute. By satisfying the above formula (2), it is considered that the increase in the transformation starting temperature at a low cooling rate, for example, an average cooling rate of 1 캜 / minute, can be suppressed. From thes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material gap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ooling speed, and it becomes difficult to cause a difference in strength in the steel for large forging due to the material gaps.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식(1)의 부등호 사이에 있는 하기 식(4)로 표시되는 함수 F 및 식(2)의 부등호 사이에 있는 식(5)로 표시되는 함수 G는, 원소 조성이 상이한 다수의 대형 단조용 강을 회귀 분석하는 것에 의해 도출한 식이다.More specifically, the function G represented by the equation (5) between the inequality of the equation (4) and the inequality of the equation (2) between the inequality of the equation (1) It is derived by regression analysis of many large forging steels.

F = C+Si/24+Mn/6+Ni/40+Cr/5+Mo/4+V/14 …(4)F = C + Si / 24 + Mn / 6 + Ni / 40 + Cr / 5 + Mo / 4 + V / 14 (4)

G = C+Si/30+Mn/20+Ni/60+Cr/20+Mo/15+V/10 …(5)G = C + Si / 30 + Mn / 20 + Ni / 60 + Cr / 20 + Mo / 15 + V / (5)

복수종의 대형 단조용 강이 갖는 여러 가지의 함수 G와, 담금질 처리 후에 저냉각속도로 냉각해서 얻어진 (저냉각속도 시의) 각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즉, 도 1은 함수 G의 값과 저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결과로부터, 식(5)로 표시되는 함수 G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로 담금질 처리 후의 냉각 시의 평균 냉각 속도가 1℃/분인 저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와 양의 상관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Fig. 1 show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various functions G of a plurality of kinds of forgings for large forgings and the strength of each large forgings (at a low cooling rate) obtained by cooling at a low cooling rate after quenching treatment. That is,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the function G and the strength of a large forging steel at a low cooling rate. From this result, as shown in Fig. 1, the function G represented by the formula (5) is a function of the strength and th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 steel at the low cooling rate, in which the average cooling rate during cooling after the quenching treatment is 1 deg. I have foun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또한, 여러 가지의 함수 G의 값을 갖는 대형 단조용 강과, 담금질 처리 후에 저냉각속도로 냉각해서 얻어진 (저냉각속도 시의) 각 대형 단조용 강의 인성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즉, 도 2는 함수 G의 값과 저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의 인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결과로부터, 식(5)로 표시되는 함수 G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로 담금질 처리 후의 냉각 시의 평균 냉각 속도가 1℃/분인 저냉각속도 시의 인성과 음의 상관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Fig. 2 show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toughness of a large forging steel having various values of the function G and the toughness of each large forging steel (obtained at a low cooling rate) obtained by cooling at a low cooling rate after the quenching treatment. 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the function G and the toughness of a steel for a large forgings at a low cooling rate. From this result, as shown in Fig. 2, the function G represented by the formula (5)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toughness at a low cooling rate, which is an average cooling rate during cooling after mainly quenching, of 1 deg. found.

한편, 「강도」는 JIS Z 2201의 14호 시험편(φ6×G.30)을 이용하여, JIS Z 2241에 기초해서, 인장 강도(TS)를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인성」은 JIS Z 2202의 시험편(2mmV 노치)을 이용하여, JIS Z 2242에 기초해서, 샤르피 충격 시험에 의해, 실온에서 흡수 에너지(vE)를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강도 및 인성 모두 수치가 클수록, 대형 단조용 강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strength" means a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tensile strength (TS) based on JIS Z 2241 using a No. 14 test piece (φ6 × G.30) of JIS Z 2201. "Toughness" means a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absorption energy (vE) at room temperature by the Charpy impact test based on JIS Z 2242 using a test piece (2 mmV notch) of JIS Z 2202. The larger the value of both strength and toughness, the better th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s.

여기에서, 도 1 및 도 2로부터 본 발명자는 이하의 것을 발견했다. 함수 G의 값이 증가하면, 저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가 향상된다. 그 한편으로, 함수 G의 값이 0.53을 초과하면, 대형 단조용 강의 인성이 150J 미만이 되어, 대형 단조용 강으로서 인성 부족이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함수 G의 값이 감소하면, 대형 단조용 강의 인성이 향상된다. 그 한편으로, 함수 G의 값이 0.45 미만이 되면, 저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가 650MPa 미만이 되어, 대형 단조용 강으로서 강도 부족이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대형 단조용 강을 얻기 위해서는, 식(2)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Here, from Fig. 1 and Fig. 2, the present inventor found the following. When the value of the function G is increased, th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 steel at the low cooling rate is improved. On the other hand, if the value of the function G exceeds 0.53, the toughness of the steel for a large forging becomes less than 150 J,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trength for a large forging steel becomes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if the value of the function G decreases, the toughness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s is improved. On the other hand, if the value of the function G is less than 0.45, th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 steel at the low cooling rate becomes less than 650 MPa,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trength for the large forging steel becomes insufficient.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a large forging steel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toughness, it is necessary to satisfy the expression (2).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의 함수 G의 값을 갖는 대형 단조용 강과, 담금질 처리 후에 고냉각속도로 냉각해서 얻어진 (고냉각속도 시의) 각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즉, 도 3은 함수 G의 값과 고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결과로부터, 식(4)로 표시되는 함수 F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로 담금질 처리 후의 냉각 시의 평균 냉각 속도가 10℃/분인 고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와 양의 상관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Similarly, FIG. 3 shows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s of large forging having various values of function G and strengths of large forging (obtained at high cooling rate) obtained by cooling at a high cooling rate after quenching treatment. That is,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the function G and the strength of a large forging steel at a high cooling rate. From this result, as shown in Fig. 3, the function F represented by the formula (4) is a ratio of th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 steel at the high cooling rate, which is mainly the average cooling rate during cooling after quenching, I have foun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여기에서, 도 3으로부터 본 발명자는 이하의 것을 발견했다. 함수 F의 값이 0.95 미만이 되면, 고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가 650MPa 미만이 되어, 대형 단조용 강으로서 강도 부족이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강도가 우수한 대형 단조용 강을 얻기 위해서는, 함수 F의 값을 0.95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3,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 the following. If the value of the function F is less than 0.95, the strength of the large-forging steel at the high cooling rate becomes less than 650 MPa, which may cause the strength as a large forging steel.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a large forging steel having excellent strength, it is necessary to set the value of the function F to 0.95 or more.

또한, 도 1 및 도 3으로부터 본 발명자는 이하의 것을 발견했다. 함수 F의 값이 커질 때, 고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의 증가는 저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의 증가보다도 크다. 이 때문에, 함수 F의 값이 커지면, 고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와 저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의 차가 커지기 쉽다. 즉, 냉각 속도의 차이에 의해,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차가 발생하기 쉬워져,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여기에서 함수 G가 전술한 0.53 부근에서는, 저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는 700MPa 정도이다. 이에 비하여, 함수 F의 값이 1.15를 초과하면, 고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가 800MPa을 초과하기 때문에, 저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와의 강도차가 100J을 초과하여, 대형 단조용 강이 내구성 부족이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내구성이 우수한 대형 단조용 강을 얻기 위해서는, 함수 F의 값을 1.15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1 and Fig. 3, the present inventor has found the following. When the value of the function F becomes large, the increase in th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 steel at the high cooling rate is greater than the increase in th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 steel at the low cooling rate. Therefore, when the value of the function F increas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 steel at the high cooling rate and th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 steel at the low cooling rate tends to increase. That is, due to the difference in cooling rate, a difference in strength of the steel for a large forging tends to be generated, which may lower the durability. Here, when the function G is around 0.53, th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 steel at the low cooling rate is about 700 MPa.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lue of the function F exceeds 1.15, th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 steel at the high cooling rate exceeds 800 MPa, so that the difference in strength from th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 steel at the low cooling rate exceeds 100 J, There is a danger that the forging steel may become durability shortage.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a large forging stee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it is necessary to set the value of the function F to 1.15 or less.

이상의 것으로부터, 식(1)이 도출된다.From the above, equation (1) is derived.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이 P(인) 및 S(황)를 추가로 갖고, 하기 식(3)을 추가로 만족시키면 좋다. 이와 같이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이 하기 식(3)을 추가로 만족시킴으로써, 내수소균열성이 우수해진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arge forging steel further has P (phosphorus) and S (sulfur), and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3). Thus, by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 (3), the large forging steel is excellent in hydrogen cracking resistance.

0.01×C+0.63×Si+0.1×Mn+3.64×P+4.24×S-0.19×Mo-0.01×Ni ≤ 0.2 …(3)0.01 x C + 0.63 x Si + 0.1 x Mn + 3.64 x P + 4.24 x S -0.19 x Mo -0.01 x Ni ? (3)

현재, 그 메커니즘은 명확하지는 않지만, 식(3)을 만족시킴으로써 내수소균열의 발생 기점이 되는 마이크로 편석의 양이 감소함과 더불어, 편석이 생긴 부분의 경도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내수소균열성이 크게 개선된다고 추정된다.At present, although the mechanism is not clear, satisfying the formula (3) reduces the amount of micro segregation which is the origin of hydrogen cracking, and also reduces the hardness of the segregated portion, It is presumed that gender is greatly improved.

또한, 식(3)의 좌변인 식(7)로 표시되는 함수 H는 작은 편이 바람직하고, 함수 H의 하한으로서는, 작은 편이 바람직하며, 0이어도 된다.The function H represented by the expression (7) on the left side of the expression (3) is preferably small, and the lower limit of the function H is preferably small, and may be zero.

H = 0.01×C+0.63×Si+0.1×Mn+3.64×P+4.24×S-0.19×Mo-0.01×Ni …(7)H = 0.01 × C + 0.63 × Si + 0.1 × Mn + 3.64 × P + 4.24 × S -0.19 × Mo -0.01 × Ni (7)

한편, 식(1)∼식(5) 및 식(7)에 있어서, 원소 기호는 그 원소의 함유율[질량%]을 의미한다. 또한, 금속 조직의 「주체」란, 그의 면적 분율이 전체 조직에 대하여 90면적% 이상 차지하는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면적 분율이 99면적% 이상인 것을 말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ormulas (1) to (5) and (7), an element symbol means a content rate [mass%] of the element. The term &quot; subject &quot; of the metal structure means that the area fraction accounts for 90% or more of the area of the entire structure, preferably the area fraction is 99% or more.

<기계적 성질><Mechanical Properties>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인장 강도(TS)의 하한으로서는, 650MPa이 바람직하고, 700MPa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인장 강도의 상한으로서는, 850MPa이 바람직하고, 800MPa이 보다 바람직하다.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인장 강도가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가 부족할 우려가 있다. 한편,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인장 강도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의 냉각 속도 의존성이 발생하기 쉬워져,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내구성이 부족할 우려가 있다.The lower limit of the tensile strength (TS)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preferably 650 MPa, more preferably 700 MPa. The upper limit o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preferably 850 MPa, more preferably 800 MPa. I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 steel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 steel is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 steel exceeds the upper limit, th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 steel is likely to depend on the cooling rate, which may result in insufficient durability of the large forging steel.

담금질 처리 후에 고냉각속도로 냉각해서 얻어진 (고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과, 담금질 처리 후에 저냉각속도로 냉각해서 얻어진 (저냉각속도 시의) 대형 단조용 강의 인장 강도(TS)의 차분의 상한으로서는, 100MPa이 바람직하고, 50MPa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담금질 처리 후의 냉각 시의 평균 냉각 속도를 10℃/분으로 해서 제조한 대형 단조용 강과, 담금질 처리 후의 냉각 시의 평균 냉각 속도를 1℃/분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의 조건에서 제조한 대형 단조용 강의 인장 강도(TS)의 차분의 상한으로서는, 100MPa이 바람직하고, 50MPa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차분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의 냉각 속도 의존성이 발생하기 쉬워져,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내구성이 부족할 우려가 있다.A difference in tensile strength (TS) between a large forging steel (at a high cooling rate) obtained by cooling at a high cooling rate after quenching treatment and a large forging steel (at a low cooling rate) obtained by cooling at a low cooling rate after quenching treatment Is preferably 100 MPa, and more preferably 50 MPa. Specifically, except that the large-forging steel produced at an average cooling rate of 10 ° C / min during cooling after quenching treatment and the average cooling rate during cooling after quenching treatment were changed to 1 ° C / min, The upper limit of the difference in tensile strength (TS)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s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00 MPa, more preferably 50 MPa. When the difference exceeds the upper limit, the cooling rate dependency of th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 steel tends to occur, which may result in insufficient durability of the large forging steel.

샤르피 충격 시험에 의해 실온에서 측정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흡수 에너지의 하한으로서는, 100J이 바람직하고, 150J이 보다 바람직하며, 180J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수 에너지의 상한으로서는, 260J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 에너지가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인성이 부족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흡수 에너지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lower limit of the absorption energy of the large forging steel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by the Charpy impact test is preferably 100 J, more preferably 150 J, and even more preferably 180 J. The upper limit of the absorption energy is preferably 260J. When the absorbed energy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oughness of the steel for a large forging is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absorbed energy exceeds the upper limi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 steel is lowered.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수소 균열 감수성 S값의 상한으로서는, 67%가 바람직하고, 50%가 보다 바람직하고, 40%가 더 바람직하며, 30%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 균열 감수성 S값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대형 단조용 강의 입계로의 수소 침입 및 축적에 의한 입계 파괴로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수소 균열 감수성 S값의 하한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낮을수록 좋다. 여기에서, 「수소 균열 감수성 S값」이란, 0.5몰/L의 H2SO4 및 0.01몰/L의 싸이오사이안산 칼륨(KSCN)을 혼합한 수용액에 침지하고, 수소를 첨가하면서, 전류 밀도 0.5A/dm2로 음극 전해를 행한 대형 단조용 강의 파단 응력(신도)을 S1, 상기 수용액에의 침지를 생략한 상태, 즉 대기 중에서 측정한 대형 단조용 강의 파단 응력을 S0으로 할 때, (1-S1/S0)×100으로 계산되는 양이다.The upper limit of the hydrogen cracking susceptibility S value of the large forging steel is preferably 67%, more preferably 50%, even more preferably 40%, and particularly preferably 30%. If the hydrogen cracking susceptibility S value exceeds the upper limit, cracking may occur due to grain boundary fracture due to hydrogen penetration and accumulation at the grain boundary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of the hydrogen cracking susceptibility S valu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lower the better. Here, the &quot; hydrogen cracking susceptibility S value &quot; means a value obtained by immersing an aqueous solution obtained by mixing 0.5 mol / L of H 2 SO 4 and 0.01 mol / L of potassium thiocyanate (KSCN) When the breaking stress (elongation) of the large forging steel subjected to cathodic electrolysis at 0.5 A / dm 2 is represented by S1, and the breaking stress of the large forging steel measured in the atmosphere without immersion in the aqueous solution, 1-S1 / S0) x100.

<대형 단조 부품><Large forged parts>

당해 대형 단조 부품은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을 단조하여 제조된다. 이 때문에,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은 강도 및 인성과 함께 내구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당해 대형 단조 부품은 선박용 디젤 엔진의 출력 향상이나 컴팩트화를 실현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The large forged parts are manufactured by forging the large forging steel. Therefore,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s excellent in strength and toughness as well as in durability. Therefore, the large-sized forged part can be suitably used as a part for realizing improvement of output and compactness of marine diesel engine.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은, 예를 들면 용제 공정, 주조 공정, 가열 공정 및 소재 단조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을 이용한 대형 단조 부품은 부품 단조 공정, 담금질 전처리 공정, 담금질 처리 공정 및 기계 가공 공정을 구비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The large forging steel is produced, for example, by a solvent process, a casting process, a heating process and a material forging process. The large forged parts using the forgings for large forgings are manufactured by a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parts forging process, quenching pretreatment process, quenching process process and machining process.

(용제 공정)(Solvent process)

용제 공정에서는, 우선 고주파 용해로, 전기로, 전로 등을 이용하여, 전술한 소정의 조성으로 조정된 강을 용제한다. 그 후, 그 용강에 진공 처리를 실시하여, O(산소), H(수소) 등의 가스 성분이나 불순 원소를 제거한다.In the solvent step, the steel adjusted to the above-mentioned predetermined composition is first melted by using a high-frequency melting furnace, an electric furnace, a converter and the like. Thereafter, the molten steel is subjected to a vacuum treatment to remove gas components such as O (oxygen) and H (hydrogen) and impurity elements.

(주조 공정)(Casting process)

주조 공정에서는, 상기 용제 공정에서 성분 조정된 강을 이용하여 강괴(잉곳)를 주조한다. 대형 단조용 강의 경우에는, 주로 잉곳 주조가 채용되지만, 연속 주조법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casting step, a steel ingot is cast using the steel adjusted in the solvent step. In the case of a large forging steel, ingot casting is mainly employed, but a continuous casting method may be employed.

(가열 공정)(Heating process)

가열 공정에서는, 소정의 온도에서 소정 시간, 강괴를 가열한다. 저온이 되면, 재료의 변형 저항이 증대된다. 재료의 변형능이 양호한 범위에서 가공을 행하기 위해서, 가열 온도는, 예를 들면 1150℃ 이상 1350℃ 이하로 한다. 또한, 강괴의 표면과 내부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소정의 가열 시간이 필요하다. 가열 시간은, 예를 들면 3시간 이상으로 한다. 가열 시간은, 일반적으로 피가공물의 직경의 2승에 비례한다고 생각되며, 대형재일수록 가열 시간은 길어진다.In the heating step, the ingot is heat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temperature becomes low, the deformation resistance of the material increases. The heating temperature is set to, for example, 1150 DEG C or more and 1350 DEG C or less in order to perform processing in a range where the deformability of the material is satisfactory. In addition, a predetermined heating time is required in order to make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ingot uniform. The heating time is, for example, 3 hours or more. The heating time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diameter of the workpiece, and the longer the heating time is, the larger the material is.

(소재 단조 공정)(Material forging process)

소재 단조 공정에서는, 가열 공정에서 가열된 강괴를 단조한다. 수축공이나 마이크로포로시티 등의 주조 결함을 압착시키기 위해서, 단련 성형비로서는, 3S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해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이 얻어진다.In the material forging process, the heated ingot is forged in the heating process. In order to squeeze casting defects such as shrinkage voids and microporosity, 3S or more is preferable as the roughing forming ratio. Thus, the steel for the large forging can be obtained.

(부품 단조 공정)(Component forging process)

부품 단조 공정에서는, 소재 단조 공정에서 단조된 강괴(대형 단조용 강)를 크랭크축 등의 대형 단조 부품으로 가공한다. 예를 들면, 크랭크축으로의 가공 방법으로서는, 크랭크 암과 크랭크 핀을 일체로 한 블록으로 해서 단조하고, 가스 절단 및 기계 가공에 의해서 크랭크축 형상으로 완성시키는 자유 단조법이 예시된다. 또한, 다른 방법(크랭크축으로의 가공 방법)으로서는, 강괴의 축심이 크랭크축의 축심부가 되도록 단조 가공하고, 중심 편석에 의해 특성의 열화를 일으키기 쉬운 부분을 크랭크축의 모든 축심부가 되도록 일체로 단조 가공하는 RR 단조법 및 TR 단조법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RR 단조법 및 TR 단조법이, 크랭크축의 표층측을 청정도가 높은 부분으로 점유시킬 수 있어,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크랭크축을 얻기 쉬우므로 바람직하다.In the component forging process, the forged ingot (steel for large forging) is processed into a large forged part such as a crankshaft in the material forging process. For example, as a working method for a crankshaft, there is a free forging method in which a crank arm and a crank pin are integrally formed into a block and forged, and the crank shaft is finished by gas cutting and machining. As another method (a method of machining into a crankshaft), forging is performed so that the axial center of the steel ingot is included in the axial center of the crankshaft, and the portion that is liable to cause deterioration of characteristics by center segregation is integrally forged RR forging and TR forging are exemplified. Among them, the RR forging method and the TR forging method can occupy the surface layer side of the crankshaft as a portion with high cleanliness, and it is preferable to obtain a crankshaft excellent in strength and durability.

(담금질 전처리 공정)(Pre-quenching process)

담금질 전처리 공정에서는, 부품 단조 공정의 단조품을 소정 온도까지 가열한 후, 소정 시간 유지하고, 그 후 실온까지 냉각한다. 상기 가열 온도로서는, 550℃ 이상 65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지 시간으로서는, 10시간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500℃ 이상의 온도 영역에서는 유지 온도까지 50℃/시 이하의 승온 속도로 가열하면 된다. 담금질 처리를 행하기 전에 담금질 전처리 공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단조품 중의 정합 석출물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the quenching pretreatment step, the forged product in the component forging step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hel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The 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550 deg. C or higher and 650 deg. C or lower. The holding time is preferably 10 hours or more. In the temperature range of 500 占 폚 or more, it may be heated to a holding temperature at a heating rate of 50 占 폚 / hour or less. By performing the quenching pretreatment process before performing the quenching treat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the matched precipitates in the forgings.

(담금질 처리 공정)(Quenching treatment process)

담금질 처리 공정에서는, 담금질 처리를 행한 후, 템퍼링 처리를 행한다. 담금질 처리는 담금질 전처리 공정에서 냉각된 단조품을 소정 온도까지 승온하여 소정 시간 유지한 후, 소정 온도까지 냉각하는 처리이다. 담금질 온도로서는, 800℃ 이상 95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지 시간으로서는, 1시간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 온도로서는, 450℃ 이상 53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승온 속도로서는, 30℃/시 이상 70℃/시 이하가 바람직하다. 냉각 속도로서는, 15℃/분 이하가 바람직하다.In the quenching treatment process, quenching treatment is performed, and then tempering treatment is performed. The quenching treatment is a process in which the forged product cooled in the quenching pre-treatment process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hel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cool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quench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800 占 폚 or higher and 950 占 폚 or lower. The holding time is preferably 1 hour or more. The cool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450 ° C or higher and 530 ° C or lower. The temperature raising rate is preferably 30 deg. C / hr or more and 70 deg. C / hr or less. The cooling rate is preferably 15 ° C / minute or less.

템퍼링 처리는 담금질 처리를 행한 단조품을 소정의 온도까지 서서히 가열하고, 일정 시간 유지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는 처리이다. 템퍼링 온도로서는, 550℃ 이상 65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지 시간으로서는, 5시간 이상 20시간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승온 속도로서는, 30℃/시 이상 70℃/시 이하가 바람직하다. 냉각 속도로서는, 15℃/분 이하가 바람직하다. 템퍼링을 행하는 것에 의해, 강도, 연성 및 인성의 밸런스가 조정됨과 더불어, 상변태로 생긴 내부 응력(잔류 응력)이 제거된다.The tempering treatment is a process in which the forged product subjected to quenching treatment is gradually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hel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The temper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550 deg. C or higher and 650 deg. C or lower. The holding time is preferably 5 hours or more and 20 hours or less. The temperature raising rate is preferably 30 deg. C / hr or more and 70 deg. C / hr or less. The cooling rate is preferably 15 ° C / minute or less. By performing the tempering, the balance of the strength, ductility and toughness is adjusted, and the internal stress (residual stress) caused by the phase transformation is removed.

(기계 가공 공정)(Machining process)

담금질 처리 공정 후의 단조품으로부터, 필요에 따라 표층의 일부를 절삭 또는 연삭을 포함하는 마무리 기계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당해 대형 단조용 부품을 얻을 수 있다.If necessary, a part of the surface layer is subjected to finishing machining including cutting or grinding from the forged product after the quenching treatment process to obtain the large forging component.

<이점><Advantages>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은 그의 금속 조직이 베이나이트를 주체로 하므로, 강도가 우수하다. 또한, 이 금속 조직은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제조 시에 주로 베이나이트 조직으로 변태된 것이며, 이 변태 시에, 상기 식(1)을 만족시킴으로써, 고냉각속도에서의 변태 개시 온도의 저온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2)를 만족시킴으로써, 저냉각속도에서의 변태 개시 온도의 고온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 속도에 따른 변태 개시 온도의 차이를 억제함으로써,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재질 격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각 원소 조성을 상기 범위 내로 하는 것에 의해, 강도 및 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은 강도 및 인성과 함께 내구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을 이용한 당해 대형 단조 부품은 선박용 디젤 엔진이나 발전용 디젤 엔진 등의 출력 향상이나 컴팩트화를 실현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The steel for large forgings has excellent strength because its metal structure is mainly composed of bainite. The metal structure is transformed into a bainite structure mainly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steel for large forging. By satisfying the above formula (1) at the time of transforma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lowering of the transformation start temperature at a high cooling rate can do. By satisfying the above formula (2),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crease of the transformation starting temperature at a low cooling rate. Thus, by suppressing the difference in the transformation start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cooling rat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material gap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n addition, strength and toughness can be secured by setting the composition of each element of the large forging steel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refore, the large forging steel has excellent durability along with strength and toughness. Therefore, the large-sized forged parts using the forgings for large forging can be suitably used as parts for realizing improvement in output and compactness of marine diesel engines and power generation diesel engines.

본 명세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태양의 기술을 개시하고 있지만, 그 중 주된 기술을 이하에 정리한다.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discloses various techniqu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main technique among them is summarized below.

본 발명의 일 국면은, C(탄소): 0.18질량% 이상 0.35질량% 이하, Si(규소): 0질량% 이상 0.3질량% 이하, Mn(망간): 1질량% 이상 2.7질량% 이하, Ni(니켈): 0질량% 이상 1질량% 이하, Cu(구리): 0질량% 이상 1질량% 이하, Cr(크로뮴): 1.5질량% 이상 2.5질량% 이하, Mo(몰리브데넘): 0.35질량% 이상 0.55질량% 이하, V(바나듐): 0질량% 이상 0.15질량% 이하, Al(알루미늄): 0.015질량% 이상 0.05질량% 이하, N(질소): 30질량ppm 이상 100질량ppm 이하, O(산소): 0질량ppm 초과 30질량ppm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인 조성을 가지며, 금속 조직이 베이나이트를 주체로 하고, 하기 식(1) 및 (2)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단조용 강이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0.18 mass% to 0.35 mass% of C (carbon); 0 mass% to 0.3 mass% (Nickel): 0 mass% to 1 mass%, Cu (copper): 0 mass% to 1 mass%, Cr (chromium): 1.5 mass% to 2.5 mass%, Mo (molybdenum): 0.35 mass Al (aluminum): 0.015 mass% or more and 0.05 mass% or less, N (nitrogen): 30 mass ppm or more and 100 mass ppm or less, O (1) and (2), wherein the metal body has bainite as a main component and the balance of Fe (iron) and inevitable impurities. And a large forging steel.

1.15 ≥ C+Si/24+Mn/6+Ni/40+Cr/5+Mo/4+V/14 ≥ 0.95 …(1)1.15? C + Si / 24 + Mn / 6 + Ni / 40 + Cr / 5 + Mo / 4 + V / 14? (One)

0.53 ≥ C+Si/30+Mn/20+Ni/60+Cr/20+Mo/15+V/10 ≥ 0.45 …(2)0.53? C + Si / 30 + Mn / 20 + Ni / 60 + Cr / 20 + Mo / 15 + V / 10? (2)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은 그의 금속 조직이 베이나이트를 주체로 하므로, 강도가 우수하다. 또한, 이 금속 조직은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제조 시에 주로 베이나이트 조직으로 변태된 것이며, 이 변태 시에, 상기 식(1)을 만족시킴으로써, 고냉각속도에서의 변태 개시 온도의 저온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2)를 만족시킴으로써, 저냉각속도에서의 변태 개시 온도의 고온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 속도에 따른 변태 개시 온도의 차이를 억제함으로써,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재질 격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의 각 원소 조성을 상기 범위 내로 하는 것에 의해, 강도 및 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은 강도 및 인성과 함께 내구성이 우수하다.The steel for large forgings has excellent strength because its metal structure is mainly composed of bainite. The metal structure is transformed into a bainite structure mainly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steel for large forging. By satisfying the above formula (1) at the time of transforma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lowering of the transformation start temperature at a high cooling rate can do. By satisfying the above formula (2),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crease of the transformation starting temperature at a low cooling rate. By suppressing the difference in transformation star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cooling rat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material gap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 In addition, strength and toughness can be secured by setting the composition of each element of the large forging steel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refore, the large forging steel has excellent durability along with strength and toughness.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이 P(인) 및 S(황)를 추가로 갖고, 하기 식(3)을 추가로 만족시키면 좋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이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이 하기 식(3)을 추가로 만족시킴으로써, 내수소균열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arge forging steel further has P (phosphorus) and S (sulfur), and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3).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us found that the large forging steel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3), whereby the hydrogen cracking resistance is excellent.

0.01×C+0.63×Si+0.1×Mn+3.64×P+4.24×S-0.19×Mo-0.01×Ni ≤ 0.2 …(3)0.01 x C + 0.63 x Si + 0.1 x Mn + 3.64 x P + 4.24 x S -0.19 x Mo -0.01 x Ni ? (3)

또한, P 및 S를 포함하는 대형 단조용 강의 경우, P의 함유율이 0질량% 이상 0.1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S의 함유율이 0질량% 이상 0.02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입계 편석에 의한 입계 파괴 및 황화물계 개재물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강도가 보다 우수한 대형 단조용 강을 얻을 수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a large forging steel containing P and S, it is preferable that the P content is 0 mass% or more and 0.1 mass% or less.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 content is 0 mass% or more and 0.02 mass% or less. With such a range, grain boundary fracture and increase of sulfide inclusions due to grain boundary segregation can be suppressed, and a large forging steel having better strength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다른 일 국면은,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을 단조한 대형 단조 부품이다. 당해 대형 단조 부품은 당해 대형 단조용 강을 단조하여 제조되므로, 강도 및 인성과 함께 내구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당해 대형 단조 부품은 선박용 디젤 엔진이나 발전용 디젤 엔진의 출력 향상이나 컴팩트화를 실현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rge-sized forged part in which the large forging steel is forged. The large forged parts are manufactured by forging the large forging steel, so that they have excellent strength and toughness as well as durability. Therefore, the large-sized forged parts can be suitably used as parts for realizing improvement in output and compactness of a marine diesel engine or a diesel engine for power genera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형 단조용 강은 강도 및 인성과 함께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예를 들면 선박용 디젤 엔진이나 발전용 디젤 엔진 등의 대형 단조 부품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large forging ste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strength and toughness as well as durability, and thus can be suitably used for large-sized forged parts such as marine diesel engines and power generation diesel engines.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15, 비교예 1∼21][Examples 1 to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21]

고주파로를 이용하여, 표 1에 나타내는 성분의 단조용 강을 용제하고, 주조하여 직경 132mm 이상 158mm 이하, 길이 323mm의 강괴 50kg을 제조했다.Using a high-frequency furnace, the forging steel having the components shown in Table 1 was melted and cast to produce 50 kg of a steel ingot having a diameter of 132 mm or more and 158 mm or less and a length of 323 mm.

얻어진 강괴의 압탕 부분을 절제하고, 온도 1230℃에서, 5시간 이상 10시간 이하의 가열을 한 후, 자유 단조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높이비 1/2까지 압축했다. 다음으로, 이 강괴를 강괴 중심선을 90° 회전시켜 단조하고, 90mm×90mm×450mm까지 잡아늘여 강재를 얻었다. 이 강재를 실온이 될 때까지 대기 중에서 방냉했다. 이 강재를 담금질 처리 전에 550℃ 이상 650℃ 이하에서 10시간 이상 유지한 후, 노냉했다. 한편, 500℃ 이상의 온도 영역에서는 유지 온도까지 50℃/시 이하의 승온 속도로 가열했다.The molten part of the obtained ingot was excluded and heated at a temperature of 1230 DEG C for not less than 5 hours and not more than 10 hours and then compressed to a height ratio of 1/2 using a free forging press machine. Next, the steel ingot was rotated by 90 DEG about the center line of the ingot for forging, and stretched to 90 mm x 90 mm x 450 mm to obtain a steel material. This steel material was allowed to cool in the air until the temperature reached room temperature. The steel material was maintained at 550 DEG C or higher and 650 DEG C or lower for 10 hours or longer before quenching and then subjected to cooling. On the other han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500 占 폚 or more, heating was carried out at a heating rate of 50 占 폚 / hour or less to the holding temperature.

그 후, 소형 시뮬레이트로를 이용하여, 상기 강재에 담금질 처리를 실시했다. 담금질은, 상기 강재를 승온 속도 50℃/시로 870℃까지 승온하여 3시간 유지한 후, 500℃까지 냉각했다. 이때, 평균 냉각 속도를 1℃/분으로 한 강재 및 평균 냉각 속도를 10℃/분으로 한 강재를 각각 준비했다. 그 후, 각각의 강재에 템퍼링 처리를 실시했다. 이 템퍼링 처리로서는, 620℃의 온도에서 10시간 유지하고 나서 노냉하는 방법을 채용했다. 이와 같이 해서 실시예 1∼15 및 비교예 1∼21의 대형 단조용 강을 얻었다.Thereafter, the steel material was subjected to quenching treatment using a small simulated furnace. In the quenching, the steel material was heated to 870 캜 at a temperature raising rate of 50 캜 / hour, held for 3 hours, and then cooled to 500 캜. At this time, a steel material having an average cooling rate of 1 占 폚 / min and a steel material having an average cooling rate of 10 占 폚 / min were prepared. Thereafter, each steel material was subjected to a tempering treatment. As the tempering treatment, a method of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620 占 폚 for 10 hours and then cooling the furnace was adopted. Thus, large forging steels of Examples 1 to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21 were obtained.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평가 방법][Assessment Methods]

실시예 1∼15 및 비교예 1∼21의 대형 단조용 강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The following evaluations were made on the large forging steel of Examples 1 to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21.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강도 평가><Strength Evaluation>

강도 평가로서, 각 대형 단조용 강에 대하여 인장 시험을 실시했다. 인장 시험은 JIS Z 2201의 14호 시험편(φ6×G.30)을 이용하여, JIS Z 2241에 기초해서, 인장 강도(TS)를 측정함으로써 행했다. 인장 강도(TS)의 수치가 클수록, 대형 단조용 강이 강도가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인장 시험은 평균 냉각 속도를 1℃/분으로 한 대형 단조용 강 및 평균 냉각 속도를 10℃/분으로 한 대형 단조용 강의 쌍방에 대하여 실시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인장 강도의 수치가 650MPa 이상인 경우, 대형 단조용 강이 강도가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평균 냉각 속도가 상이한 대형 단조용 강 사이의 인장 강도의 차가 100MPa 이하인 경우, 대형 단조용 강이 내구성이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As the strength evaluation, a tensile test was conducted on each large forging steel. The tensile test was carried out by measuring the tensile strength (TS) based on JIS Z 2241 by using a No. 14 test piece (? 6 x G.30) of JIS Z 2201. The larger the value of the tensile strength (TS), the greater th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 steel. On the other hand, the tensile test was conducted for both large forging steels having an average cooling rate of 1 캜 / min and for large forging steels having an average cooling rate of 10 캜 / mi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numerical value of the tensile strength was 650 MPa or more, it was judged that the strength of the large forging steel was excellent. In addition, when the difference in tensile strength between large-forging steel having different average cooling rates is 100 MPa or less, it can be judged that the steel for large forging has excellent durability.

<인성 평가><Personality evaluation>

인성 평가로서, 각 대형 단조용 강에 대하여 샤르피 충격 시험을 실시했다. 샤르피 충격 시험은 JIS Z 2202의 시험편(2mmV 노치)을 이용하여, JIS Z 2242에 기초해서, 실온에서 흡수 에너지(vE)를 측정함으로써 행했다. 흡수 에너지의 수치가 클수록, 대형 단조용 강이 인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샤르피 충격 시험은 평균 냉각 속도를 1℃/분으로 한 대형 단조용 강에 대하여 실시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흡수 에너지의 수치가 150J 이상인 경우, 대형 단조용 강이 인성이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As a toughness evaluation, a Charpy impact test was performed on each large forging steel. The Charpy impact test was conducted by measuring the absorbed energy (vE) at room temperature based on JIS Z 2242 using a test piece (2 mmV notch) of JIS Z 2202. The larger the value of absorbed energy, the greater the toughness of the steel for large forgings. On the other hand, the Charpy impact test was carried out for a large forging steel having an average cooling rate of 1 캜 / mi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bsorbed energy value is 150 J or more, it can be judged that the large forging steel is excellent in toughness.

<내수소균열성 평가>&Lt; Evaluation of cracking resistance in hydrogen &

내수소균열성 평가로서, 각 대형 단조용 강에 대하여, 비교 시험법에 의해 수소 균열 감수성을 비교 평가했다. 내수소균열성 평가는 이하의 순서로 행했다. 우선, 각 대형 단조용 강으로부터 환봉(丸棒)형의 시험편을 채취했다. 채취한 시험편을 길이 150mm, 표선간 거리 10mm의 덤벨상으로 가공하고, 중앙 부분을 직경 4mm로 가공함과 더불어, 양끝의 잡음구(gripper) 부분을 직경 8mm로 가공하여 길이 15mm에 걸쳐서 나사를 설치했다. 한편, 수소 균열 감수성의 비교 평가는 평균 냉각 속도를 1℃/분으로 한 대형 단조용 강에 대하여 실시했다.The hydrogen cracking susceptibility of each large forging steel was evaluated by a comparative test. The hydrogen cracking resistance was evaluat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a round bar type test piece was taken from each large forging steel. The test specimens were machined into a dumbbell with a length of 150 mm and a distance of 10 mm between the lines. The central portion was machined to a diameter of 4 mm and the gripper portions of both ends were machined to a diameter of 8 mm, did. On the other hand,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hydrogen cracking susceptibility was carried out for a large forging steel having an average cooling rate of 1 캜 / min.

다음으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편(1)을 시험 장치(2)에 세팅하고, 0.5몰/L의 H2SO4 및 0.01몰/L의 KSCN을 혼합한 수용액(3)에 침지했다. 그 상태로 수소를 첨가하면서, 전류 밀도 0.5A/dm2로 음극 전해를 행했다. 이상의 준비를 완료한 시험편(1)에 장축 방향의 인장 부하 N을 가하고 그 파단 응력 S1(신도)을 측정하는 SSRT(저변형속도 시험)를 실시했다. 이때, 시험 장치(2)의 크로스 헤드의 인장 속도는 2×10-3mm/분으로 했다.Next, as shown in Fig. 4, the test piece 1 was set in the test apparatus 2 and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3) in which 0.5 mol / L of H 2 SO 4 and 0.01 mol / L of KSCN were mixed . The negative electrode was electrolyzed at a current density of 0.5 A / dm 2 while adding hydrogen in this state. An SSRT (low strain rate test) was conducted in which a tensile load N in the major axis direction was applied to the specimen 1 having bee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and its breaking stress S1 (elongation) was measured. At this time, the tensile speed of the crosshead of the test apparatus 2 was set to 2 10 -3 mm / min.

한편, 수용액(3)에의 침지를 생략한 상태, 즉 대기 중에서 측정한 것 이외에는, 상기 조건과 동일 조건에서 SSRT(저변형속도 시험)를 실시하여, 대형 단조용 강의 파단 응력 S0을 측정했다.On the other hand, SSRT (low deformation rate test) was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ose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immersion in the aqueous solution 3 was omitted, that is, in the atmosphere, and the fracture stress S0 of the large forging steel was measured.

이들 측정에서 얻어진 측정값을 하기 식(6)에 대입하여, 수소 균열 감수성 S값을 산출했다. 이 수소 균열 감수성 S값이 50% 이하인 경우, 대형 단조용 강이 내수소균열성이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The measurement value obtained in these measurements was substituted into the following equation (6) to calculate the hydrogen cracking susceptibility S value. When the S value of the hydrogen cracking susceptibility was 50% or less, it was judged that the large forging steel had excellent hydrogen cracking resistance.

S값 = (1-S1/S0)×100 …(6)S value = (1 - S1 / S0) x100 ... (6)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한편, 표 2에 있어서, 함수 H란, 식(3)의 좌변의 하기 식(7)의 함수를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in Table 2, the function H means a function of the following equation (7) on the left side of the equation (3).

H = 0.01×C+0.63×Si+0.1×Mn+3.64×P+4.24×S-0.19×Mo-0.01×Ni …(7)H = 0.01 × C + 0.63 × Si + 0.1 × Mn + 3.64 × P + 4.24 × S -0.19 × Mo -0.01 × Ni (7)

[평가 결과] [Evaluation results]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 Si, Mn, Ni, Cu, Cr, Mo, V, Al, N 및 O의 함유율이 본 발명의 범위 내이고, 또한 식(1) 및 식(2)를 만족시키는 실시예 1∼15의 대형 단조용 강은, 인장 강도, 평균 냉각 속도가 상이한 대형 단조용 강 사이의 인장 강도의 차, 및 흡수 에너지가 높아, 강도, 내구성 및 인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2, when the content ratios of C, Si, Mn, Ni, Cu, Cr, Mo, V, Al, N and O were within the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found that the large forging steels of Examples 1 to 15 are excellent in strength, durability and toughness due to the difference in tensile strength between large forging steels having different tensile strengths and average cooling rates, and high absorbed energy .

이에 비하여, 비교예 1, 4 및 8의 대형 단조용 강은, 함수 G의 값이 지나치게 작기 때문에, 평균 냉각 속도를 1℃/분으로 한 대형 단조용 강의 인장 강도가 작아졌다고 생각되어, 강도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large forging steels of Comparative Examples 1, 4 and 8, since the value of the function G is too small, it is considered that the tensile strength of a large forging steel having an average cooling rate of 1 캜 / It can be seen that it is insufficient.

또한, 비교예 2, 9 및 19의 대형 단조용 강은, 함수 F의 값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평균 냉각 속도가 상이한 대형 단조용 강 사이의 인장 강도의 차가 커졌다고 생각되어, 내구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It is considered that the large forging steels of Comparative Examples 2, 9 and 19 have an excessively large value of the function F, so that the difference in tensile strength between large forging steels having different average cooling rates is increased, Able to know.

또, 비교예 3, 5∼7 및 11∼17의 대형 단조용 강은, Si, Mn, Ni, Cu, Mo, V, Al, N 및 O 중 어느 원소가 본 발명의 범위 밖이기 때문에, 흡수 에너지가 낮아졌다고 생각되어, 인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e large forging steels of Comparative Examples 3, 5 to 7, and 11 to 17 were found to have a large amount of Si, Mn, Ni, Cu, Mo, V, Al, N and O, It is thought that the energy is lowered,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personality is lacking.

또한, 비교예 10의 대형 단조용 강은, Mo가 본 발명의 범위보다 적기 때문에, 평균 냉각 속도를 1℃/분으로 한 대형 단조용 강의 인장 강도가 작아졌다고 생각되어, 강도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Further, since the large forging steel of Comparative Example 10 had less Mo tha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sidered that the tensile strength of a large forging steel having an average cooling rate of 1 占 폚 / min was reduced, .

비교예 18, 20 및 21에 대해서는, 그의 메커니즘은 명확하지는 않지만, 함수 F 또는 함수 G의 값이 본 발명의 범위 밖이기 때문에, 평균 냉각 속도가 상이한 대형 단조용 강 사이의 인장 강도의 차를 작게 할 수 없었다고 생각되어, 내구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For the comparative examples 18, 20 and 21, although the mechanism thereof is not clear, since the value of the function F or the function G is ou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in tensile strength between large forging steels It is thought that it can not be done,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durability is insufficient.

또한, 식(3)을 만족시키는 실시예 1∼14는, 식(3)을 만족시키지 않는 실시예 15보다도 내수소균열 감수성이 낮다. 이로부터, 식(3)을 추가로 만족시킴으로써, 대형 단조용 강은 내수소균열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In Examples 1 to 14 satisfying the formula (3), the sensitivity to hydrogen cracking was lower than that in Example 15 in which the formula (3) was not satisfied.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by further satisfying the formula (3), the large forging steel has excellent hydrogen cracking resistance.

이 출원은 2015년 2월 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5-022402를 기초로 하는 것이며, 그의 내용은 본원에 포함되는 것이다.This application is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5-022402 filed on February 6, 2015, the content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발명을 표현하기 위해서, 전술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을 적절히 또한 충분히 설명했지만, 당업자라면 전술한 실시형태를 변경 및/또는 개량하는 것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당업자가 실시하는 변경 형태 또는 개량 형태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권리 범위를 이탈하는 수준의 것이 아닌 한, 당해 변경 형태 또는 당해 개량 형태는 당해 청구항의 권리범위에 포괄된다고 해석된다.In order to express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dequately and fully explained through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regoing, it should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nd / or improvem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easily mad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type of modification or mode of modification encompass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s amended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형 단조용 강은 강도 및 인성과 함께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예를 들면 선박용 디젤 엔진이나 발전용 디젤 엔진 등의 대형 단조 부품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large forging ste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strength and toughness as well as durability, and thus can be suitably used for large-sized forged parts such as marine diesel engines and power generation diesel engines.

Claims (4)

C: 0.18질량% 이상 0.35질량% 이하,
Si: 0질량% 이상 0.3질량% 이하,
Mn: 1질량% 이상 2.7질량% 이하,
Ni: 0질량% 이상 1질량% 이하,
Cu: 0질량% 이상 1질량% 이하,
Cr: 1.5질량% 이상 2.5질량% 이하,
Mo: 0.35질량% 이상 0.55질량% 이하,
V: 0질량% 이상 0.15질량% 이하,
Al: 0.015질량% 이상 0.05질량% 이하,
N: 30질량ppm 이상 100질량ppm 이하,
O: 0질량ppm 초과 30질량ppm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인 조성을 가지며,
금속 조직이 베이나이트를 주체로 하고,
하기 식(1) 및 (2)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단조용 강.
1.15 ≥ C+Si/24+Mn/6+Ni/40+Cr/5+Mo/4+V/14 ≥ 0.95 …(1)
0.53 ≥ C+Si/30+Mn/20+Ni/60+Cr/20+Mo/15+V/10 ≥ 0.45 …(2)
C: 0.18 mass% or more and 0.35 mass% or less,
Si: 0 mass% or more and 0.3 mass% or less,
Mn: 1 mass% or more and 2.7 mass% or less,
Ni: 0 mass% or more and 1 mass% or less,
Cu: 0 mass% or more and 1 mass% or less,
Cr: 1.5% by mass or more and 2.5% by mass or less,
0.35 mass% or more and 0.55 mass% or less of Mo,
V: 0 mass% or more and 0.15 mass% or less,
Al: 0.015 mass% or more and 0.05 mass% or less,
N: 30 mass ppm or more and 100 mass ppm or less,
O: more than 0 mass ppm and not more than 30 mass ppm,
The balance being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The metal structure is mainly composed of bainite,
A steel for large forgings characterized by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s (1) and (2).
1.15? C + Si / 24 + Mn / 6 + Ni / 40 + Cr / 5 + Mo / 4 + V / 14? (One)
0.53? C + Si / 30 + Mn / 20 + Ni / 60 + Cr / 20 + Mo / 15 + V / 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 단조용 강이 P 및 S를 추가로 함유하고,
하기 식(3)을 추가로 만족시키는 대형 단조용 강.
0.01×C+0.63×Si+0.1×Mn+3.64×P+4.24×S-0.19×Mo-0.01×Ni ≤ 0.2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rge forging steel further contains P and S,
A large forging steel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 (3).
0.01 x C + 0.63 x Si + 0.1 x Mn + 3.64 x P + 4.24 x S -0.19 x Mo -0.01 x Ni ? (3)
제 2 항에 있어서,
P: 0질량% 초과 0.1질량% 이하,
S: 0질량% 초과 0.02질량% 이하인 대형 단조용 강.
3. The method of claim 2,
P: more than 0% by mass, not more than 0.1%
S: Steel for large forgings having a content of 0 mass% or more and 0.02 mass% or les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대형 단조용 강을 단조한 대형 단조 부품.A large-sized forged part forged with a large forging stee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KR1020160014119A 2015-02-06 2016-02-04 Large-sized forging steel and large-sized forged part KR10177581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22402A JP2016145380A (en) 2015-02-06 2015-02-06 Steel for large sized forging and large sized forging component
JPJP-P-2015-022402 2015-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140A true KR20160097140A (en) 2016-08-17
KR101775816B1 KR101775816B1 (en) 2017-09-06

Family

ID=5662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119A KR101775816B1 (en) 2015-02-06 2016-02-04 Large-sized forging steel and large-sized forged part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6145380A (en)
KR (1) KR101775816B1 (en)
CN (1) CN10586194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28795A (en) * 2016-01-18 2017-07-2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Steel for forging and large sized forged steel article
CN107336483A (en) * 2017-06-26 2017-11-10 上海松森特殊金属有限公司 It is a kind of using mild steel as the thermal bimetal material in intermediate lay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3957219B (en) * 2021-09-22 2023-04-28 南京钢铁集团冶金铸造有限公司 Preparation method of low-temperature impact resistant carbon manganese steel S355J2G3 forged cir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2070A (en) 1991-05-07 1992-11-19 Fujitsu Ltd Computer system
JP3663170B2 (en) 2000-11-22 2005-06-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High-strength forging steel and large crankshaft for ships using the same
JP3896365B2 (en) 2000-11-22 2007-03-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High strength forging steel and large crankshaft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9589A (en) * 1992-02-26 1993-09-17 Daido Steel Co Ltd High strength nonheat-treated steel
JPH06184695A (en) * 1992-12-22 1994-07-05 Hitachi Ltd Steel for metal mold for plastic molding excellent in weldability and machinability
FR2847910B1 (en) * 2002-12-03 2006-06-02 Ascometal S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ORGED STEEL PIECE AND PART THUS OBTAINED
JP4332070B2 (en) 2004-06-01 2009-09-1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High strength steel and crankshaft for large steel products
CN100340691C (en) * 2004-07-29 2007-10-0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Bainite die steel in large section for plastic and preparation method
KR100836699B1 (en) * 2005-10-27 2008-06-10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Die steel
DE102007057421A1 (en) * 2007-08-27 2009-03-05 Georgsmarienhütte Gmbh Steel for the production of massively formed machine components
JP4964211B2 (en) * 2008-09-30 2012-06-2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Forged product and crankshaft manufactured from the forged product
JP5135561B2 (en) * 2010-11-17 2013-02-0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Nitriding steel and nitriding parts
JP5664371B2 (en) * 2011-03-17 2015-02-0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Method of manufacturing age-hardening steel and machine parts
JP5736936B2 (en) * 2011-04-27 2015-06-1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Hot rolled steel bar or wire, and method for producing cold forging steel wire
JP5727400B2 (en) * 2012-02-10 2015-06-03 株式会社日本製鋼所 Steel for plastic mold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2070A (en) 1991-05-07 1992-11-19 Fujitsu Ltd Computer system
JP3663170B2 (en) 2000-11-22 2005-06-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High-strength forging steel and large crankshaft for ships using the same
JP3896365B2 (en) 2000-11-22 2007-03-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High strength forging steel and large crankshaft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45380A (en) 2016-08-12
KR101775816B1 (en) 2017-09-06
CN105861940B (en) 2018-04-03
CN105861940A (en)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626B1 (en) Ingot for bearing and production process
RU2733612C2 (en) Steel, product made from such steel,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KR20060046214A (en) High-strength steel for large-scaled forging, and crankshaft
KR101894426B1 (en) Stabilizer steel having high strength and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vehicle stabilizer employ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113459B1 (en) Forging steel and large forged products
JP6427272B2 (en) bolt
KR101775816B1 (en) Large-sized forging steel and large-sized forged part
KR101547015B1 (en) High strength large steel forging
CA2930161A1 (en) Maraging steel
JP6729686B2 (en) Non-heat treated steel for induction hardening
JP5319374B2 (en) Integrated crankshaf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2164710A1 (en) Bar steel for non-heat treated connecting rods
RU2380452C2 (en) Steel with increased welding capabilities for submarines hull
KR101827194B1 (en) High-strength steel for steel forgings, and steel forging
KR101764083B1 (en) Marine steel forging
JP3663170B2 (en) High-strength forging steel and large crankshaft for ships using the same
JPWO2018008703A1 (en) Rolled wire rod
US11274354B2 (en) Steel material, crankshaft, and automobile component
KR101800563B1 (en) High-strength steel, and crankshaft manufactured using said high-strength steel
KR20180102167A (en) High strength forgings and large forged parts
JP7270420B2 (en) Hot forged non-heat treated part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teel materials for hot forged non-heat treated parts
JP7141944B2 (en) Non-tempered forged parts and steel for non-tempered forgings
WO2017126407A1 (en) Forging steel and large forged steel product
JP2017125246A (en) High strength steel
KR20240013186A (en) Steel and a crankshaft made of the st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