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092A - 나선형 홈이 파여진 압축 가능한 자바라형 테이크 아웃 컵 - Google Patents

나선형 홈이 파여진 압축 가능한 자바라형 테이크 아웃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092A
KR20160097092A KR1020150018982A KR20150018982A KR20160097092A KR 20160097092 A KR20160097092 A KR 20160097092A KR 1020150018982 A KR1020150018982 A KR 1020150018982A KR 20150018982 A KR20150018982 A KR 20150018982A KR 20160097092 A KR20160097092 A KR 20160097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piral
take
li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상훈
Original Assignee
허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상훈 filed Critical 허상훈
Priority to KR1020150018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7092A/ko
Publication of KR20160097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65Drinking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선형의 외부 형태와 디자인을 이용하여 압축 가능한 테이크 아웃 컵에 관한 내용으로서, 뚜껑을 덮을 때 수직으로 힘을 가할 필요없이 나선의 방향으로 뚜껑을 돌려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압축이 가능하게 하여, 쓰레기 처리 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테이크 아웃 컵에 있어서 나선형 몸체와 몸체 상단부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나선형 몸체와 몸체 상단부로 구성함으로써 뚜껑을 덮을 때 수직으로 힘을 가할 필요없이 나선의 방향으로 뚜껑을 돌려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압축이 가능하게 하여, 쓰레기 처리 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나선형 홈이 파여진 압축 가능한 자바라형 테이크 아웃 컵{spiral compression take-out cup}
본 발명은 나선형의 외부 형태와 디자인을 이용하여 압축 가능한 테이크 아웃 컵에 관한 내용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크 아웃 컵에 있어서 나선형 몸체와 몸체 상단부로 구성하여 뚜껑을 덮을 때 수직으로 힘을 가할 필요없이 나선의 방향으로 뚜껑을 돌려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압축이 가능하게 하여, 쓰레기 처리 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크 아웃 컵은 음료 구입시 가게가 아닌 밖으로 음료를 가지고 나갈 때 사용하는 음료용 용기이다.
이상과 같은 종래 테이크 아웃 컵은 원추형으로 형성된 컵용기와 상기 컵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테이크 아웃 컵은 컵용기에 내용물을 담고 뚜껑을 컵용기의 상부를 밀폐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테이크 아웃 컵은 음료를 섭취한 후에 그것을 처리할 때, 커다란 부피로 인한 환경적, 심미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매끄러운 표면으로 인해 컵이 미끄러지거나 엎질러 지는 경우, 사용자가 뜨거운 음료로 인해 화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78661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테이크 아웃 컵은 음료를 섭취한 후에 그것을 처리할 때, 커다란 부피로 인한 환경적, 심미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과 매끄러운 표면으로 인해 컵이 미끄러지거나 엎질러 지는 경우, 사용자가 뜨거운 음료로 인해 화상을 입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테이크 아웃 컵에 있어서 나선형 몸체와 몸체 상단부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나선형 몸체와 몸체 상단부로 구성함으로써 뚜껑을 덮을 때 수직으로 힘을 가할 필요없이 나선의 방향으로 뚜껑을 돌려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압축이 가능하게 하여, 쓰레기 처리 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입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압축 후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압축 후의 입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테이크 아웃 컵의 사용이 안전하도록 하며, 처리시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나선형 디자인이 도입된 자바라형 테이크 아웃 컵에 있어서, 나선형 몸체(10)와, 몸체 상단부(11)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나선형 몸체(10)은 수직으로 힘이 가해졌을 시, 컵의 부피가 줄어들게 할 수 있게 외면에 나선형의 홈이 파인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 상단부(11)는 뚜껑을 나선 결합할 수 있게 나선부로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나선형 디자인이 도입된 자바라형 테이크 아웃 컵에 있어서, 나선형 몸체(10)와, 몸체 상단부(11)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수직으로 힘이 가해졌을 시, 컵의 부피가 줄어들게 하고, 컵의 상단에 몸체 상단부(11)가 존재하여, 뚜껑 결합 시 용이한 것이다.
또한, 나선형 몸체(10)의 디자인을 통해, 사용자의 손과 컵 사이의 마찰력을 높여, 손에서 컵이 미끄러져 생길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나선형 몸체
11 : 몸체 상단부

Claims (3)

  1. 테이크 아웃 컵에 있어서;
    나선형 몸체(10), 몸체 상단부(1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이 가능한 나선형 디자인의 자바라 테이크 아웃 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몸체(10)는 컵 외부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이 가능한 나선형 디자인의 자바라 테이크 아웃 컵.
  3.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몸체 상단부(11)는 뚜껑을 나선 결합할 수 있게 나선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이 가능한 나선형 디자인의 자바라 테이크 아웃 컵.

KR1020150018982A 2015-02-06 2015-02-06 나선형 홈이 파여진 압축 가능한 자바라형 테이크 아웃 컵 KR20160097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982A KR20160097092A (ko) 2015-02-06 2015-02-06 나선형 홈이 파여진 압축 가능한 자바라형 테이크 아웃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982A KR20160097092A (ko) 2015-02-06 2015-02-06 나선형 홈이 파여진 압축 가능한 자바라형 테이크 아웃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092A true KR20160097092A (ko) 2016-08-17

Family

ID=56873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982A KR20160097092A (ko) 2015-02-06 2015-02-06 나선형 홈이 파여진 압축 가능한 자바라형 테이크 아웃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70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515A (ko) 2019-10-30 2021-05-10 박예진 압축 가능한 테이크 아웃 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661Y1 (ko) 2004-12-13 2005-03-16 김원명 휴대용 음식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661Y1 (ko) 2004-12-13 2005-03-16 김원명 휴대용 음식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515A (ko) 2019-10-30 2021-05-10 박예진 압축 가능한 테이크 아웃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84472S1 (en) Beverage cap
USD828723S1 (en) Beverage vessel with lid
USD944083S1 (en) Pour spout
USD815527S1 (en) Container
TWD180025S (zh) 水壺蓋之部分
CN204848195U (zh) 一种多功能开瓶器
USD887861S1 (en) Container for beverages
MX2012001322A (es) Recipiente que se puede apilar en forma telescopica.
USD838167S1 (en) Lid for beverage container
USD928622S1 (en) Beverage container
KR20160097092A (ko) 나선형 홈이 파여진 압축 가능한 자바라형 테이크 아웃 컵
TWD196353S (zh)
CN201614109U (zh) 一种多功能饮料瓶
USD614035S1 (en) Wine bottle
CN103750765B (zh) 一种定量油壶
CN204445161U (zh) 夜光照明保温杯
CN204394305U (zh) 保温壶活塞按钮盖
CN202879964U (zh) 饮料瓶
CN208775373U (zh) 一种按压式瓶盖
CN204138322U (zh) 一种开瓶器
CN206044223U (zh) 一种水杯
CN206792209U (zh) 一种水杯盖
CN103006002A (zh) 茶杯
CN204708510U (zh) 可加减的储物水杯
CN205555040U (zh) 一种可内置勺子的深筋包装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