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088A - Pendulum torsion damping device with improved effectiveness of filtration - Google Patents

Pendulum torsion damping device with improved effectiveness of filt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088A
KR20160096088A KR1020167015130A KR20167015130A KR20160096088A KR 20160096088 A KR20160096088 A KR 20160096088A KR 1020167015130 A KR1020167015130 A KR 1020167015130A KR 20167015130 A KR20167015130 A KR 20167015130A KR 20160096088 A KR20160096088 A KR 20160096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dulum
displacement
rolling bearing
weight
local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1575B1 (en
Inventor
로엘 베르후그
올리비에 마레샬
브누아 쿠투리에
에르베 마헤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filed Critical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ublication of KR20160096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0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5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16F15/14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the rotation being limit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means
    • F16F15/145Masses mounted with play with respect to driving means thus enabling free movement over a limited r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6/00Mode of stressing of basic spring or damper elements or devices incorporating such elements
    • F16F2236/08Tor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4Springs torsi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메인 오더 N의 내연기관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본 진자 토션 댐핑 장치는 지지체 상에 가동식으로 설치된 진동추를 포함한다. 진자의 로컬 오더(OR)는 하향조정되어 최대 변위(C***)에 가까운 진자 변위 범위(DBT)에 걸쳐 실질적으로 N보다 낮다. 본 장치는 높은 엔진 속도에서 포화 현상을 야기하지 않고 낮은 엔진 속도에서 진자 포화 현상을 감소시킨 효과적인 진자 댐핑을 얻을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pendular torsional damping device intended to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the main order N includes a vibrating weight movably mounted on the support. The local order OR of the pendulum is adjusted downward and is substantially lower than N over the pendulum displacement range DBT close to the maximum displacement C ***. This device allows to obtain effective pendulum damping which reduces pendulum saturation phenomenon at low engine speed without causing saturation phenomenon at high engine speed.

Description

필터링 효과가 개선된 진자 토션 댐핑 장치{PENDULUM TORSION DAMPING DEVICE WITH IMPROVED EFFECTIVENESS OF FILTRATION}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dulum torsion damping device having improved filtering effe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진자 오실레이터형 토션 댐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dulum oscillator type torsion damping device intended to be connected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특히 자동차의 트랜스미션에 설치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진자 오실레이터 또는 진자라고도 불리는 진자형 토션 댐핑 장치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In particular, pendular torsional damping devices, also known as pendulum oscillators or pendulums, which are installed in, but not limited to, transmissions of automobiles, are known in the art.

자동차의 트랜스미션에서는, 일반적으로 엔진의 불규칙 회전으로 인한 진동을 필터링하기 위하여 록업 클러치를 포함하는 유체동력학적 연결 장치 또는 마찰 클러치와 같이 기어박스에 엔진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클러치에 적어도 하나의 토션 댐핑 장치를 연결한다. In a transmission of an automobile, at least one torsional damping is applied to a clutch capable of selectively connecting an engine to a gear box, such as a hydrodynamic coupling device or friction clutch, which includes a lockup clutch to filter out vibrations due to irregular rotation of the engine. Connect the device.

실제로, 내연기관은 엔진 실린더에서 연속되는 폭발로 인하여 불규칙 회전을 나타내며, 이 불규칙 회전은 특히 실린더의 개수에 따라 달라진다. Indeed,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exhibits irregular rotation due to continuous explosion in the engine cylinders, and this irregular rotation is particularly dependent on the number of cylinders.

따라서, 토션 댐핑 장치의 댐퍼 수단은 불규칙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갖고 기어박스에 엔진 토크가 전달되기 전에 개입한다. Therefore, the damper means of the torsion damping device has a function of filtering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irregular rotation and intervenes before the engine torque is transmitted to the gear box.

그렇지 않으면, 진동이 기어박스에 침투하여 거기서 작동시 충격, 잡음 또는 특히 바람직하지 않은 소음 공해를 야기한다. Otherwise, vibrations infiltrate the gearbox, causing shock, noise or particularly undesirable noise pollution when operating there.

이러한 이유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정 진동수를 갖는 진동을 필터링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댐핑 수단을 사용한다. For this reason, one or a plurality of damping means capable of filtering the vibration having at least one predetermined frequency is used.

문헌 US-2010/0122605호는 진자형 댐핑 장치를 개시한다. Document US-2010/0122605 discloses a pendulum type damping device.

상기 댐핑 장치는 엔진 샤프트에 회전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추, 일반적으로는 상기 지지체 상에 원주 방향으로 분포되는 복수의 진동추를 포함한다. 이들 진동추의 진동은 엔진에서 나오는 진동 토크에 대항하여 엔진의 불규칙 회전의 일부를 흡수하는 진동 토크를 생성한다. 토션 댐핑 장치의 진동추의 지지체는 전형적으로는 엔진 샤프트와 일체형이다. The damping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suppo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engine shaft and at least one vibrating weight, generally a plurality of vibrating weights circumferentially distributed on the support. The vibration of these vibrating weights generates a vibration torque that absorbs a part of the irregular rotation of the engine against the vibration torque coming from the engine. The support of the vibration weight of the torsion damping device is typically integral with the engine shaft.

각각의 진동추는 일반적으로 지지체의 양측에 배치되고 전형적으로 지지체의 컷아웃을 가로질러 직접적인 기계적 연결로 또는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서로 일체형으로 결합된 한 쌍의 카운터웨이트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스페이서와 함께 또는 스페이서 없이 마주보고 일체형으로 결합된 이러한 2개의 카운터웨이트의 어셈블리를 하나의 진동추로서 간주한다. Each vibrating weight is generally comprised of a pair of counterweight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and typically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via a mechanical connection or a spacer directly across the cutout of the support. Hereinafter, these two counterweight assemblies, which are integrally combined with each other with or without a spacer, are regarded as one vibration weight.

이와 달리, 각각의 진동추는 지지체 상에 가동식으로 설치되는 유일의 카운터웨이트일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이 경우 선택적으로 2개의 요소에 의해 형성되고, 이 2개의 요소 사이에 진동추들이 가동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Alternatively, each vibrational weight may be a unique counterweight that is movably mounted on the support. The support is in this case optionally formed by two elements, and vibrational weights can be movably arranged between the two elements.

이러한 진동추는 매우 일반적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롤링 베어링 요소, 전형적으로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롤링 베어링 요소를 매개로 하여 지지체 상에 가동식으로 설치된다. These oscillating weights are very commonly mounted on a support by means of at least one rolling bearing element, typically two or more rolling bearing elements.

전형적으로는, 각각의 진동추의 질량 중심은 엔진 샤프트의 회전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진동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진동하고 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연동된다. Typically, the center of mass of each vibrating weight oscillates freely about an oscill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engine shaft, and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회전 불규칙에 대한 대응으로, 진동추는 이들 진동추 각각의 질량 중심이 이 진동축을 중심으로 진동하도록 변위된다. 이하, 용어 "토션 댐핑 장치" 및 "진자"를 구별 없이 사용하기로 한다.In response to rotation irregularities, the oscillating weight is displaced such that the center of mass of each of these oscillating weights is oscillated about the oscillation axis. Hereinafter, the terms "torsion damping device" and "pendulum"

전형적으로는 "바이파일러(bifilar) 진자"라고도 불리는 진동추당 2개의 롤링 베어링 요소(또는 롤러)를 포함하는 진자를 이용하여 "모노파일러(monofilar) 진자"라고 불리는 진동추당 1개의 롤링 베어링 요소를 포함하는 진자의 댐핑 성능보다 우수한 댐핑 성능을 얻을 수 있다. Includes a single rolling bearing element per oscillatory section called "monofilar pendulum" using a pendulum including two rolling bearing elements (or rollers), typically referred to as a "bifilar pendulum" A damping performance superior to the damping performance of the pendulum can be obtained.

따라서, 진자 운동 동안, 진자의 각 진동추는 이 추에 고유한 중립 위치 주위에서 (실질적으로 상이한) 좌측 변위 및 우측 변위를 갖고 진동한다. 이 중립 위치는 진동추가 원심력에 의하여 방사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구동되기에 충분히 균일한 일정한 속도로 진자가 구동될 때 평형 위치에 상응한다. Thus, during pendulum movement, each vibrational weight of the pendulum vibrates with (substantially different) left and right displacements about a neutral position inherent to this weight. This neutral position corresponds to the equilibrium position when the pendulum is driven at a constant speed which is sufficiently uniform to be driven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oscillating additional centrifugal force.

한편으로 질량 중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각각의 롤링 베어링 요소와, 연관 진동추 및 지지체의 접촉점들은 중립 위치에 상응하는 중립점을 중심으로 각각 진동 운동한다. 중립 위치 밖으로의 진자 변위는 통상적으로 중립 위치에서 질량 중심이 통과하는 방사 방향에 대한 소정 수직 방향으로(예컨대 진자의 회전 방향으로) 질량 중심의 가로좌표(x)에 상응한다. 진자 변위의 각각의 값은 한편으로 롤링 베어링 요소와 지지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롤링 베어링 요소와 진동추의 각각의 접촉점의 가로좌표에 일대일 방식으로 상응하며, 이 가로좌표는 상응하는 중립점이 통과하는 방사 방향에 대한 수선 상에서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질량 중심의) 소정 진자 변위 범위는 일대일 방식으로 롤링 베어링 요소와 진동추 또는 지지체의 접촉점의 가로좌표의 변화 범위에도 상응한다.On the one hand the center of mass and, on the other hand, the respective rolling bearing elements, the associated vibrational weight and the contact points of the support vibrate about the neutral point corresponding to the neutral position, respectively. The pendulum displacement out of the neutral position typically corresponds to the abscissa (x) of the center of mass in a predetermined vertical direction (e.g.,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endulum)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through which the mass center passes at the neutral position. Each value of the pendulum displacement corresponds in one-to-one fashion to the abscissa of the rolling bearing element and the support on the one hand and to the abscissa of the respective contact point of the rolling bearing element and the oscillating weight on the one han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predetermined pendulum displacement range (at the center of mass) corresponds to the range of change of the abscissa of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rolling bearing element and the vibration weight or the support in a one-to-one manner.

진동축에 대한 질량 중심의 거리로서, 엔진 샤프트의 회전축에 대한 각각의 진동축의 질량 중심의 방사상 위치는, 원심력의 작용하에 각각의 진동추의 진동의 진동수가 엔진 샤프트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고 이 배수가 예컨대 불규칙 회전의 우세 고조파 차수에 가까운 값을 취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The radial position of the center of mass of each oscillation shaft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engine shaft as the distance of the center of mass with respect to the oscillation axis is set such that the frequency of oscillation of each oscillation weight is proportional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gine shaft under the action of centrifugal force, Is set to be close to the dominant harmonic order of the irregular rotation, for example.

진자는 주어진 내연기관, 특히 이 엔진의 실린더내에서의 연소와 연관된 회전당 자극수에 적합화되도록 계산된다. 따라서, 전형적으로는 내연기관의 오더 N은 엔진의 실린더 개수의 절반으로서 정의된다. 따라서, 1∼12개의 실린더를 포함하는 엔진에 대해서, N은 0.5∼6으로 달라질 수 있고, 예컨대 회전당 2회 연소를 발생시키는 4개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에 대해서는 2의 값을 가진다.The pendulum is calculated to fit the number of revolutions per revolution associated with the combustion in a giv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particularly the cylinder of this engine. Thus, typically, the order N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defined as one half of the number of cylinders of the engine. Thus, for an engine comprising one to twelve cylinders, N may vary from 0.5 to 6, and has a value of 2 for an engine having four cylinders, for example, generating two cycles per revolution.

따라서, 이 엔진에 연결되는 진자는 엔진의 오더에 맞게 조정되어야 하며, 업계의 규칙은, 엔진의 오더 N에 매우 가까운, 일반적으로는 마찰로 인한 진자 시스템의 경시적 마모를 고려하여 이것을 약간 초과하는 예컨대 N x 1.04인 진자의 오더(이 용어는 이하 도 1의 설명에서 설명됨)를 얻기 위하여 정확하게 진자추 및 지지체 상의 롤링 트랙을 고안하도록 안내한다.Therefore, the pendulum connected to this engine must be adjusted to the order of the engine, and the industry rules are that it is very close to the order N of the engine, generally slightly exceeding this in view of the aging wear of the pendulum system, For example to guide the pendulum weight and the rolling track on the support precisely in order to obtain an order of pendulum of N x 1.04 (this term will be explain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Fig. 1).

그러나, 불규칙 회전의 댐핑은 항상 완전한 것이 아니고 불규칙 회전의 필터링에 대하여 진자 포화(saturation)의 문제를 일으키는 엔진 체계가 매우 빈번히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However, the damping of irregular rotation is not always perfect 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very frequent engine system that causes pendulum saturation problems for irregular rotation filtering.

출원 DE 10 2011 076 790호로부터 진자의 오더가 엔진의 오더보다 낮도록 진자를 구성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It is known from the application DE 10 2011 076 790 to construct a pendulum such that the order of the pendulum is lower than the order of the engine.

또한, 출원 DE 10 2011 085 400호로부터 오더가 변화할 수 있는 진자가 공지되어 있다. Pendulums are known from which the order can be changed from the application DE 10 2011 085 400.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이러한 진자 포화 현상을 제한 또는 억제하는 것이다.One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imit or suppress such pendulum saturation phenomenon.

그러한 목적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메인 오더 N의 내연기관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바이파일러형 진자 토션 댐핑 장치로서, 이 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동하는 지지체 및 이 지지체 상에 가동식으로 설치되는 진자 진동추의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어셈블리의 각각의 진동추는 이 진동추에 연결되고 이 진동추 및 상기 지지체와 롤링 접촉하는 2개의 롤링 베어링 요소 상에서 진동할 수 있고, 이들 롤링 베어링 요소 각각은 이 진동추의 에지 상에 그리고 상기 지지체의 에지 상에 궤적을 규정하며, 이들 궤적 각각은 중립 위치의 양측에서 좌측 진자 변위 및 우측 진자 변위에 연관되고, For this purpose, the object of the invention is a bipyrator-type pendulum torsional damping device intended to be connected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main order N, the device comprising a support rotatably movable about a rotation axis and a pendulum Each vibrating weight of the assembly being able to oscillate on two rolling bearing elements which are connected to the vibrating weight and which ar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vibrating weight and the support, Defining trajectories on edges of the weights and on the edges of the supports, each of which is associated with a left pendulum displacement and a right pendulum displacement on either side of a neutral position,

이들 진동추 각각 및 상기 지지체 상에서의 궤적은, Each of these vibration weights and the locus on the support,

- 이 진자추 어셈블리의 로컬 오더가 0.99 x N 이하, 바람직하게는 0.98 x N 이하 또는 0.96 N 이하 또는 0.95 N 이하의 최대값 또는 G1max에 의해 한정되는 좌측 최대 진자 변위의 소정 퍼센트, 특히 50%를 나타내는 위치의 너머에 있는 좌측 제1 진자 변위 범위;The local order of this pendulum assembly is a maximum value of 0.99 x N or less, preferably 0.98 x N or less, or 0.96 N or 0.95 N or less, or a predetermined percentage, in particular 50%, of the left-most pendulum displacement defined by G1max A left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beyond the position that indicates;

- 상기 진자의 로컬 오더가 0.99 x N 이하, 바람직하게는 0.98 x N 이하 또는 0.96 N 이하 또는 0.95 N 이하의 최대값 또는 D1max에 의해 한정되는 우측 최대 진자 변위의 소정 퍼센트, 특히 50%를 나타내는 위치의 너머에 있는 우측 제1 진자 변위 범위가 존재하도록 구성되고,The local order of the pendulum represents a predetermined percentage, in particular 50%, of the right-most pendulum displacement defined by a maximum value of not more than 0.99 x N, preferably not more than 0.98 x N or 0.96 N or not more than 0.95 N, The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좌측 또는 우측 소정 진자 변위 위치에서 이 진동추 어셈블리의 로컬 오더 또는 OPlocal이 통상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At the left or right predetermined pendulum displacement position, the local order or OP local of this oscillating weight assembly is typically defined as:

진동추와 접촉하는 임의의 롤링 베어링 요소에 대하여, 각각의 롤링 베어링 요소에 대해 동일한 로컬 오더가 다음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any rolling bearing element in contact with the oscillating weight, the same local order for each rolling bearing element is characterized by: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Wherein:

- Rg는 진동추의 질량 중심과 회전축 사이의 거리이고;- R g is the distance between the mass center of the oscillating weight and the rotational axis;

- Rbp는 롤링 베어링 요소와의 한 접촉점에서 지지체 상의 궤적의 곡률 반경이며, - R bp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cus on the support at a point of contact with the rolling bearing element,

- Rm1은 롤링 베어링 요소와의 한 접촉점에서 진동추 상의 궤적의 곡률 반경이고, - R m1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cus on the vibration weight at a point of contact with the rolling bearing element,

- rbp는 지지체와의 한 접촉점에서 롤링 베어링 요소의 곡률 반경이며, - r bp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olling bearing element at a point of contact with the support,

- rm은 진동추와의 한 접촉점에서 롤링 베어링 요소의 곡률 반경이다.- r m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olling bearing element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vibrating weight.

본 발명에 따르면, 진자 토션 댐핑 장치(또는 진자)가 엔진 오더 N에 대하여 하향 조정된 비교적 작은 오더를 갖는 중간 진자 변위의 너머에 좌측 및 우측 진자 변위 범위가 존재한다는 특징에 의해 비교적 작은 엔진 속도 상태에서의 불규칙 회전에 상응하는 큰 진자 변위에 대하여 진자의 포화를 감소 또는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virtue of the fact that the pendulum torsional damping device (or pendulum) has left and right pendulum displacement ranges beyond the intermediate pendulum displacement with a relatively small order adjus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engine order N, It is possible to reduce or suppress the saturation of the pendulum with respect to the large pendulum displacement corresponding to the irregular rotation in the pendulum.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실시양태에 따르면, 좌측 및 우측 진자 변위 전체 진폭에 걸쳐, 로컬 오더는 0.99 x N 이하, 바람직하게는 0.98 x N 이하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간격 [0.70 N; 0.98 N], 또는 심지어 간격 [0.74 N; 0.96 N], 또는 심지어 간격 [0.76 N; 0.95 N]에 속한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작은 진자 변위(상대적으로 증가된 엔진 속도에 상응)에 대하여 진자의 불완전한 적응을 야기함에도 불구하고, 이 불완전한 적응은 진자의 포화를 유도하지 않아, 증가된 엔진 속도를 포함하여 불규칙 회전의 필터링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ver the left and right pendulum displacement total amplitudes, the local order is 0.99 x N or less, preferably 0.98 x N or less, and very preferably the interval [0.70 N; 0.98 N], or even a gap [0.74 N; 0.96 N], or even in the interval [0.76 N; 0.95 N]. Although this causes incomplete adaptation of the pendulum to a relatively small pendulum displacement (corresponding to a relatively increased engine speed), this incomplete adaptation does not induce saturation of the pendulum, It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for filtering.

상기 로컬 오더는 좌측 및 우측 진자 변위의 전체 진폭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이 궤적 구성은 특히 일정한 곡률 반경(원 부분을 형성하는 궤적)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데, 이것은 가변적 곡률 반경의 궤적보다 진자의 제작에서 이용하기에 상대적으로 더 용이하다.The local order may be substantially constant over the entire amplitude of the left and right pendulum displacements. This trajectory configuration makes it possible to use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trajectory forming a circle part), which is relatively easier to use in the production of a pendulum than the trajectory of a variable radius of curvature.

본 발명의 제2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들 진동추 각각 및 상기 지지체 상에서의 궤적은,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se vibration weights and the locus on the support,

- 상기 로컬 오더가 0.95 N 이상, 1.10 N 미만의 최소값 또는 G2min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좌측 제1 진자 변위 범위 이하에서 연장되는 좌측 제2 진자 변위 범위;A left second pendulum displacement range starting from the neutral position and extending below the left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wherein the local order is defined by a minimum value of 0.95 N or greater, less than 1.10 N, or G2min;

- 상기 로컬 오더가 0.95 N 이상, 1.10 N 미만의 최소값 또는 D2min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우측 제1 진자 변위 범위 이하에서 연장되는 우측 제2 진자 변위 범위가 존재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the right side second pendulum displacement range starting from the neutral position and extending below the right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wherein the local order is defined by a minimum value of not less than 0.95 N, less than 1.10 N or D2min, ,

- G1max는 G2min 미만, G2min의 2%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G2min의 3% 내지 25%의 값이고; - G1max is less than G2min, 2% to 30% of G2min, preferably 3% to 25% of G2min;

- D1max는 D2min 미만, D2min의 2%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D2min의 3% 내지 25%의 값이다.- D1max is less than D2min, 2% to 30% of D2min, preferably 3% to 25% of D2min.

따라서, 상대적으로 증가된 진자 변위에 상응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엔진 회전 속도에 대해서, 궤적의 곡률 반경은 상대적으로 증가되고, 로컬 오더(OPlocal)는 상대적으로 작아, 진자의 포화 효과가 감소 또는 억제된다. 이것은 좌측 및 우측 제1 진자 변위 범위에 상응한다.Therefore, for a relatively low engine rotational speed corresponding to a relatively increased pendulum displacemen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cus is relatively increased and the local order (OP local ) is relatively small, so that the saturation effect of the pendulum is reduced or suppressed . This corresponds to the left and right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s.

반대로, 상대적으로 작은 진자 변위에 상응하는 상대적으로 증가된 엔진 회전 속도에 대해서는, 궤적의 곡률 반경이 상대적으로 작고, 로컬 오더(OPlocal)는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불규칙 회전의 양호한 필터링이 유도된다. 이것은 좌측 및 우측 제2 진자 변위 범위에 상응한다. Conversely, for a relatively increased engine rotational speed corresponding to a relatively small pendulum displacemen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cus is relatively small and the local order (OP local ) is relatively increased, leading to good filtering of the irregular rotation. This corresponds to the left and right second pendulum displacement ranges.

상기 좌측 제1 진자 변위 범위는 상기 우측 제1 진자 변위 범위와 동일할 수 있다. 중립 위치에 상응하는 중립점에 대하여 상기 좌측 제2 진자 변위 범위도 상기 우측 제2 진자 변위 범위와 동일할 수 있다.The left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may be the same as the right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For the neutral point corresponding to the neutral position, the left second pendulum displacement range may be the same as the right second pendulum displacement range.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제1 진자 변위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좌측 또는 우측 진자 변위의 전체 간격의 10% 내지 49%,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인 진자 변위 간격으로, 좌측 또는 우측 최대 변위 위치까지 연장된다. The left or right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is preferably a pendulum displacement interval of 10% to 49%, preferably 15% to 35% of the total spacing of the left or right pendulum displacement, to the left or right maximum displacement position .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제2 진자 변위 범위는, 중립 위치에서 출발하여 바람직하게는 좌측 또는 우측 진자 변위의 전체 간격의 5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인 진자 변위 간격으로 연장된다.The left or right second pendulum displacement range extends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a pendulum displacement interval that is preferably 50% to 90%, preferably 65% to 80% of the total spacing of the left or right pendulum displacement.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제1 및 제2 진자 변위 범위는 유리하게는 상기 로컬 오더를 위한 전이 범위,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컬 오더가 연속적인 전이 범위에 의해 분리된다. The left or right first and second pendulum displacement ranges are advantageously separated by a transition range for the local order, preferably the local order by a continuous transition range.

본 발명의 제2 실시양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좌측 또는 우측 중립 위치에서의 로컬 오더에 대한 좌측 또는 우측 최대 변위점에서의 로컬 오더의 비가 간격 [0.70; 0.95], 바람직하게는 간격 [0.80; 0.90]에 포함되도록, 상기 좌측 또는 우측 로컬 오더는 중립 위치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 최대 진자 변위 위치까지 비감소 방식 또는 감소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of the local order at the left or right maximum displacement point to the local order at the left or right neutral position is less than the interval [0.70; 0.95], preferably the interval [0.80; 0.90], the left or right local order changes from a neutral position to a left or right maximum pendulum displacement position in a non-decreasing or decreasing manner, preferably substantially continuously.

본 발명의 제3 실시양태에 따르면, 로컬 오더는 중립 위치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 최대 진자 변위 위치까지 엄격히 감소한다.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order is drastically reduced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left or right maximum pendulum displacement position.

유리하게는, 각각의 진동추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 방향 함수로서 좌측 또는 우측 제1 진자 변위 범위에서 질량 중심(CM)의 경로의 곡률 반경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 부분이 클로소이드(clothoid) 부분을 형성하고,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은 중립 위치에서 질량 중심(CM) 위치가 통과하는 방사 방향에 대한 수선을 따라 고려된다.Advantageously, with respect to each oscillation weight, a curve portion representing a change i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path of the center of mass (CM) in the left or right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as a left or right direction function is a clothoid portion And the left or right direction is taken along the waterline along the radial direction through which the center of mass (CM) position passes in the neutral position.

상기 제2 및 제3 실시양태에 따르면, 로컬 오더는 변화한다. 즉, 진자 변위시 적어도 2개의 구분되는 값을 가진다.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the local order changes. In other words, the pendulum displacement has at least two distinct values.

끝으로, 본 발명의 다른 대상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토션 댐핑 장치를 포함하는 단일 클러치, 이중 클러치 또는 다중 클러치이다. Finally,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ngle clutch, dual clutch or multiple clutch including a torsion damping device as defined above.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로서만 주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교시에 의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중립 위치에서 지지체 및 이 지지체 상에 설치된 진동추를 포함하는, 클러치에 속하는 선행 기술에 따른 토션 댐핑 장치의 일부를 간략화한 축방향 도면,
도 2는 도 1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댐핑 장치가 좌측 최대 변위 위치에 상응하는 상이한 작동 구성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진자의 로컬 오더의 파라미터를 정확하게 규정하기 위해 진자의 일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4는 진동추 상의 우측 3 궤적을 나타낸 것으로, 이 중 하나는 선행 기술에 상응하고, 다른 둘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양태에 상응하는 것인 도면,
도 5는 도 4의 궤적의 곡률 반경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의 궤적에 상응하는, 진동추의 오더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양태에 따른 장치에 대하여, 진동추의 오더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양태에 따른 장치에 대하여, 궤적의 곡률 반경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롤링 베어링 요소의 블록킹을 방지할 수 있는 실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양태에 따른 장치에 대하여 진동추가 진동하는 동안 진동추의 질량 중심(CM)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곡선의 곡률 반경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hich is given by way of example on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axial view, simplified in part, of a prior art torsion damping device belonging to a clutch, including a support and a vibrating weight mounted on the support at a neutral position,
Figure 2 is a view similar to that of Figure 1, showing that the damping device is in a different operating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maximum displacement position,
Figure 3 is a simplified illustration of a portion of a pendulum to precisely define the parameters of a local order of a pendulum,
Fig. 4 shows the right three trajectories of a vibration profile, one correspon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other two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cus shown in Fig. 4,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the order of the vibration weight corresponding to the trajectory of Fig. 4,
7 is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order of a vibration weight for a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radius of curvature of a locus for a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an embodiment variant in which blocking of rolling bearing elements can be prevented,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9,
11 shows the path of the center of mass (CM) of the oscillating weight during vibration-induced oscillation for the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 of Fig. 11;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는 지지체(4)를 포함하는 토션 댐핑 장치(2)의 일부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는 이 지지체(4) 상에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복수의 진자 진동추가 가동식으로 설치되는 환형 평면의 일반 형태를 갖는 둘레부를 포함한다. 도 1에는, 동일한 진동추에 속하는 2개의 카운터웨이터를 연결하는 2개의 스페이서(6)만이 도시되어 있고, 이들 2개의 카운터웨이터는 상기 지지체(4)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카운터웨이터 및 상기 스페이서(6)는 동일한 진동추에 속한다. Referring now to Figure 1, there is shown in Figure 1 a partial schematic view of a torsion damping device 2 comprising a support 4, which comprises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ly distributed pendulum oscillations And a circumferential portion having a general shape of an annular plane which is additionally movably installed. In Fig. 1, only two spacers 6 for connecting two counter wafers belonging to the same oscillation weight are shown, and these two counter wavers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ody 4. Fig. The two counter waiter and the spacer 6 belong to the same oscillation weight.

진동추는 2개의 롤링 베어링 요소(8)에 의하여 지지체(4) 상에서 롤링하며, 이들 롤링 베어링 요소는 각각 상기 지지체(4)내 윤곽선(contour)(10)의 컷팅에서 연장된다. 진동추는 도 1에서 중립 위치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추와 각 롤링 베어링 요소의 접촉점이 중심점(NE)이다. The oscillating weight rolls on the support 4 by means of two rolling bearing elements 8 which each extend in the cutting of the contour 10 in the support 4. [ The vibrating weight is shown in Fig. 1 as a neutral position, and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weight and each rolling bearing element is the center point (NE).

도 1에는, 스페이서(6)에서 연결된 지지체(4)와 진동추의 롤링 접촉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구성에서, 상기 롤링 접촉은 2개의 카운터웨이터를 결합시키는 스페이서에서가 아니라 이들 2개의 카운터웨이터에 존재할 수 있다.In Figure 1, the rolling contact of the oscillating weight with the support 4 connected at the spacer 6 is shown. In another configuration, the rolling contact may be in these two counter wavers, rather than in a spacer that joins two counter wavers.

또한, (중립점에 대하여) 진동추에서 우측 궤적의 극점(C)이 도시되어 있고, 이 우측 궤적은 (중립점에 대하여) 상기 추의 좌측 최대 변위 위치에서의 접촉점과 중립점 사이의 롤링 베어링 요소의 접촉점들의 세트에 상응하는 호(NE-C)로 도시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pole C of the rightward trajectory is shown (relative to the neutral point), and the right trajectory is the rolling bearing (between neutral points) between the neutral point and the contact point at the left- (NE-C) corresponding to the set of contact points of the element.

상기 추의 이 좌측 최대 변위 위치는 도 2에 도시되어 있고, 이 도면에서 진동추의 스페이서(6)는 도 1의 중립 위치와 비교하여 지지체에 대하여 좌측을 향해 변위되어 있다.This left maximum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weight is shown in FIG. 2, in which the spacer 6 of the oscillating weight is displaced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support as compared to the neutral position of FIG.

변위 또는 진자 변위는 진동추의 질량 중심의 위치와 중립 위치에서의 이 질량 중심의 위치 사이의 거리이다.The displacement or pendulum displacemen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mass of the oscillating weight and the position of this center of mass at the neutral position.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롤링 베어링 요소와 지지체의 접촉점들의 세트에 상응하는 지지체 상의 궤적들을 정의한다.In a similar manner, it defines trajectories on the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set of contact points of the rolling bearing element and the support, respectively.

모든 진동추는 전형적으로는 2개의 롤링 베어링 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중립점의) 좌측 동일 궤적들 및 2개의 롤링 베어링 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상기 추 상의 (중립점의) 우측 동일 궤적들을 가진다. 반대로, 우측 궤적들은 좌측 궤적들과 상이할 수 있다. All vibrational weights typically have the same loci on the left (of neutral points) and the same right trajectory on the right (of neutral points) for the two rolling bearing elements, for two rolling bearing elements. Conversely, the right trajectories may be different from the left trajectories.

지지체 상의 궤적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The same is true for the trajectories on the support.

이제, 진동추 상의 궤적들(12) 및 지지체 상의 궤적들(14)을 더 일반적인 방식으로 도시한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Reference is now made to Fig. 3, which shows the trajectories 12 on the vibrational weight and the trajectories 14 on the support in a more general way.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진자 구성과 상이한 진자 구성에 상응하고, 롤링 베어링 요소(8)는 진동추와 접촉하는 곡률 반경(rm)의 제1 구역(16) 및 지지체와 접촉하는 상이한 곡률 반경(rbp)의 제2 구역(18)을 구비한다. 도 1 및 도 2는 특히 rm = rbp인 경우에 해당한다. CR점은 진자의 회전축이 통과하는 회전 중심을 나타낸다(거리는 나타내지 않음). Fig. 3 corresponds to a pendulum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pendulum configuration of Figs. 1 and 2, in which the rolling bearing element 8 comprises a first section 16 of radius of curvature rm in contact with the oscillating weight, And a second section 18 of radius of curvature r bp . Figures 1 and 2 correspond particularly to the case where r m = r bp . The CR point represents the center of rotation through which the axis of rotation of the pendulum passes (distance not shown).

소정 위치에서 진자의 로컬 오더 또는 OPlocal은 통상적으로 이하의 식에 의해 정의된다:The local order or OP local of the pendulum at a given location is typically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Wherein:

- Rg는 진동추의 질량 중심과 회전축 사이의 거리이고;- R g is the distance between the mass center of the oscillating weight and the rotational axis;

- Rbp는 롤링 베어링 요소와의 한 접촉점에서 지지체 상의 궤적의 곡률 반경이며, - R bp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cus on the support at a point of contact with the rolling bearing element,

- Rm1은 롤링 베어링 요소와의 한 접촉점에서 진동추 상의 궤적의 곡률 반경이고, - R m1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cus on the vibration weight at a point of contact with the rolling bearing element,

- rbp는 지지체와의 한 접촉점에서 롤링 베어링 요소의 곡률 반경이며, - r bp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olling bearing element at a point of contact with the support,

- rm은 진동추와의 한 접촉점에서 롤링 베어링 요소의 곡률 반경이다.- r m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olling bearing element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vibrating weight.

이제 진동추 상의 우측 3개 궤적을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는데, 1개 궤적은 선행 기술에 따른 진자에 해당하고 다른 2개 궤적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진자의 제1 실시양태 및 제2 실시양태에 해당한다.Referring now to Fig. 4 which shows the right three trajectories of the vibration profile, one trajectory corresponds to the pendulum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other two trajectories correspond respectively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endulum according to the invention, .

가로좌표(x)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우측 방향은, 진자 변위에 대한 중립 위치에 상응하는, 궤적의 중립점의 위치가 통과하는 방사상 방향에 대한 수선을 따라 고려된다. 세로좌표 축(y)은 중립점(NE)에서 출발하여 방사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이한 추에서의 모든 우측 궤적들은 서로 동일하고 이들 추에서의 좌측 궤적들과 동일하다고 가정되므로 지지체에서의 궤적들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The rightward direction represented by the abscissa (x) is considered along the waterline along the radial direction through which the position of the neutral point of the locus passes, corresponding to the neutr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pendulum displacement. The ordinate axis y starts from the neutral point NE and extends along the radial direction. Since all right trajectories in different weights are equal to each other and are assumed to be the same as the left trajectories in these weights, the same is true for the trajectories in the support.

우측 제1 궤적: 점 NE(중립점), M(중간 가로좌표 점), A, 및 C에 상응하는 상부 궤적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곡률 반경 R 및 4행정 엔진의 경우 오더 OM=2를 갖는 종래의 궤적(우측)에 상응하며, 진자에 해당하는 로컬 오더 또는 OR은 일정하고 일반적으로 2.04에 가깝다. 이러한 진자는 중간 엔진 속도 및 증가된 엔진 속도에서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지만 포화 상태에서 강한 가속시 일반적으로 1500 회전/분 미만의 낮은 엔진 속도에서 갑작스러운 가속의 필터링 기능을 더 이상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upper trajectory corresponding to the right first trajectory: point NE (neutral point), M (intermediate transverse coordinate point), A, and C has a substantially uniform radius of curvature R and a conventional trajectory with order OM = (Right side), and the local order or OR corresponding to the pendulum is constant and is generally close to 2.04. These pendulums appeared satisfactory at intermediate engine speeds and increased engine speeds, but were not able to meet the sudden acceleration filtering capability at low engine speeds, typically below 1500 rpm in strong acceleration during saturation.

우측 제2 궤적: 본 발명의 제1 실시양태에 따른 진자에 해당하는 점선 하부 궤적 NE-C*: 상기 궤적의 곡률 반경도 실질적으로 균일하지만, 값 R1 > R이고, 상응하는 로컬 오더도 일정하지만 실질적으로 2.04 미만, 예컨대 1.8이다. 따라서, 진자 (또는 진동추의 어셈블리의) 오더가 2인 엔진의 오더에 대하여 하향 조정된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증가된 진자 변위에 해당하는 낮은 엔진 속도에서, 진자는 훨씬 더 낮은 또는 제로의 포화 범위를 가진다. 그러나, 한편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진자 변위에 해당하는 중간 엔진 속도 및 증가된 엔진 속도에서의 이의 작동은 2.04의 균일한 오더의 종래 진자에 대하여 의외로 약간만 저하되어 진자 포화 현상이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Right Second Trajectory: Dotted line locus NE-C * corresponding to the pendulu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uniform although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cus is also substantially equal, but the corresponding local order is constant Is substantially less than 2.04, such as 1.8. Thus, the order of the pendulum (or of the assembly of the oscillating weight) is adjus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order of the two-engine. As a result, at low engine speeds corresponding to relatively increased pendulum displacement, the pendulum has a much lower or zero saturation range. However, on the other hand, its operation at intermediate engine speeds and engine speeds, which are comparatively small pendulum displacements, was surprisingly slightly lower than conventional pendulums of a homogeneous order of 2.04, indicating that pendulum saturation was not observ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파일러형 진자 토션 댐핑 장치의 (또는 진자의) 이 제1 실시양태는 진자 포화 현상을 현저히 감소 또는 억제할 수 있다. Therefore, this first embodiment of the bipyramidal pendulum torsion damping device (or of the pendul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or suppress the pendulum saturation phenomenon.

NE, M, A, B, 및 C** 점들에 상응하는 우측 제3 궤적(중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양태에 상응한다: The right third trajectory (center) corresponding to the NE, M, A, B, and C ** points corresponds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궤적의 부분(NE-A)은 곡률 반경(R)을 갖고 선행 기술에 따른 제1 궤적의 상응하는 부분과 동일하고 공통이다.The portion NE-A of the locus has a radius of curvature R and is identical and common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irst loc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반대로, 이 궤적의 말단 부분 또는 B-C**는 곡률 반경(R1 > R)을 가진다. 그 결과, 제로 변위에 상응하는 중립 위치(NE)로부터, 좌측 제1 진자 변위 범위(좌측 변위는 진동추 상에서 우측 궤적 부분에 상응함)에 상응하는 이 말단 부분에서 진자의 (또는 진동추의 어셈블리의) 오더가 좌측 제2 진자 변위 범위에 상응하는 호(NE-A)에서의 오더보다 작다.Conversely, the end portion or B-C ** of this locus has a radius of curvature (R1 > R). As a result, from the neutral position (NE) corresponding to the zero displacement, the assembly of the pendulum (or oscillating weight) at this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the left displacement corresponds to the right trajectory portion on the vibration weight) Order is smaller than the order in the call (NE-A) corresponding to the left second pendulum displacement range.

따라서, 상기 좌측 제2 진자 변위 범위는 중립 위치의 NE 지점으로부터 좌측 제1 진자 변위 범위 이하에서 연장된다. 이 제2 범위에서 로컬 오더는 2.04이므로, 0.95 N 이상 1.10 N 미만(여기서, N=2)인 최소값(G2min)에 의해 한정된다. Thus, the left second pendulum displacement range extends below the left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from the NE point at the neutral position. In this second range, the local order is 2.04, so it is limited by the minimum value (G2min) of 0.95 N to less than 1.10 N (where N = 2).

상기 좌측 제1 진자 변위 범위는 B점과 C**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거기서 진동추 어셈블리(유리하게는 진자의 모든 진동추)의 로컬 오더(P)는 최대값 또는 Glmax = 1.7에 의해 한정된다.The left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extends between point B and point C ** where the local order P of the oscillating weight assembly (advantageously all the oscillation weight of the pendulum) is limited by the maximum value or Glmax = 1.7 .

A점과 B점 사이에서, 곡률 반경 R2(x)는, 좌측 제1 진자 변위 범위와 좌측 제2 진자 변위 범위 사이에서 연속적인 전이를 보장하는 방식으로, 가로좌표 x를 따라 증가한다.Between point A and point B, the radius of curvature R2 (x) increases along the abscissa x in such a way as to ensure a continuous transition between the left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and the left second pendulum displacement range.

제1 실시양태에 비하여 진자의 작동도 향상된다:The operation of the pendulum is improved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 상대적으로 증가된 진자 변위에 상응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엔진 회전 속도에 대하여, 궤적의 곡률 반경은 상대적으로 증가되고, 로컬 오더(OPlocal)는 상대적으로 작아, 진자 포화 효과가 감소 또는 억제된다. For a relatively low engine rotational speed corresponding to a relatively increased pendulum displacemen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cus is relatively increased and the local order (OP local ) is relatively small, so that the pendulum saturation effect is reduced or suppressed.

- 반대로, 상대적으로 작은 진자 변위에 상응하는 상대적으로 높아진 엔진 회전 속도에 대하여, 궤적의 곡률 반경은 상대적으로 작고, 로컬 오더(OPlocal)는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불규칙 회전의 필터링이 양호해진다. - Conversely, for relatively higher engine rotational speeds corresponding to relatively small pendulum displacement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cus is relatively small and the local order (OP local ) is relatively increased, leading to better filtering of the irregular rotation.

이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의 궤적의 곡률 반경의 변화를 나타낸다.Reference is now made to Figs. 5 and 6. 5 shows the change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cus of FIG.

선행 기술에 상응하는 우측 제1 궤적(도 4의 상부 곡선)에 있어서, 곡률 반경은 일정하고 R과 동일하다. In the right first trajectory (upper curve in Fig. 4) corresponding to the prior art, the radius of curvature is constant and equal to R. [

본 발명의 제1 실시양태에 상응하는 우측 제2 궤적(도 4의 하부 점선 곡선)에 있어서, 곡률 반경은 일정하고 R1(R1> R)과 동일하다. In the right second trajectory (lower dotted curve in Fig. 4) correspon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us of curvature is constant and equal to R1 (R1 > R).

본 발명의 제2 실시양태에 상응하는 우측 제3 궤적(중앙)에 있어서, 곡률 반경은 선행 기술(도 4의 상부 우측 궤적)에서와 같이 중립점(NE)에서 출발하여 A점까지 먼저 값 R을 갖고, 이어서 A와 B 사이의 전이 구역에서 증가하는 값 R2(x)를 가져, 좌측 최대 변위점(C**)까지 일정한 값 R1에 도달하고 이 값을 유지한다. 따라서 곡률 반경은 중립점(NE)에서 출발하여 제1 값 R을 갖고, 이어서, 전이 구역 이후에 좌측 최대 변위점(C**)을 향해 갈 때 더 증가된 값 R1을 가진다.In the right third locus (cent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us of curvature starts from the neutral point NE to the point A, as in the prior art (upper right locus of FIG. 4) And then has a value R2 (x) that increases in the transition zone between A and B to reach a constant value R1 up to the left maximum displacement point (C **) and maintain this value. Thus, the radius of curvature has a first value R starting at the neutral point NE and then has a further increased value R1 towards the left maximum displacement point C ** after the transition zone.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In this embodiment:

좌측 제1 진자 변위 범위는 B-C** 궤적 부분에 상응하고; The left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corresponds to the B-C ** locus portion;

좌측 제2 진자 변위 범위는 NE-A 궤적 부분에 상응한다. The left second pendulum displacement range corresponds to the NE-A locus portion.

지지체 상에서의 우측 및 좌측 궤적 상에서 그리고 우측 진자 변위에 상응하는 추 상에서의 좌측 궤적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유사한 특성이 이용된다. 이들 궤적 각각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정의된 제1 진자 변위 범위(상대적으로 증가된 곡률 반경, 비교적 작은 로컬 오더) 및 제2 진자 변위 범위(비교적 작은 곡률 반경, 상대적으로 증가된 로컬 오더)에서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가진다. Similar characteristics are generally used for the left trajectory on the right and left trajectories on the support and on the traces corresponding to the right pendulum displacement. Each of these trajectories is different in a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relatively increased radius of curvature, relatively small local order) and a second pendulum displacement range (relatively small radius of curvature, relatively increased local order), generally defined in a similar manner And has a radius of curvature.

도 6은, 변위(DBT)에 따른, 도 4의 궤적에 상응하는 진동추의 오더의 변화를 나타낸다.Fig. 6 shows the change of the order of the vibration weight corresponding to the locus of Fig. 4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DBT.

선행 기술에 상응하는 도 4의 우측 제1 궤적(상부)에 대하여, 로컬 오더(OPlocal)는 일정하고 C점까지 2.04이다. For the right first trajectory (top) of FIG. 4 corresponding to the prior art, the local order OP local is constant and is 2.04 to point C.

본 발명의 제1 실시양태에 상응하는 우측 제2 궤적(도 4의 하부 점선 곡선)에 있어서, 로컬 오더(OPlocal)는 일정하고 점 R1(여기서, R1 > R)까지 1.7이다. In the right second locus (lower dotted line in Fig. 4) correspon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order OP local is constant and is 1.7 up to point R1 (where R1> R).

본 발명의 제2 실시양태에 상응하는 우측 제3 궤적(중앙)에 있어서, 로컬 오더(OPlocal)는 선행 기술(도 4의 상부 우측 궤적)에서와 같이 중립점(NE)에서 출발하여 A점까지 먼저 2.04 값을 갖고, 이어서 A와 B 사이의 전이 구역에서 감소하여, 좌측 최대 변위점(C**)까지 일정한 값 1.7에 도달하고 이 값을 유지한다. In the right third locus (cent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order OP local starts from the neutral point NE, as in the prior art (upper right locus in FIG. 4) And then decreases in the transition zone between A and B to reach a constant value of 1.7 to the left maximum displacement point (C **) and maintain this value.

고려된 추에서의 상이한 우측 궤적들에 해당하는 좌측 최대 변위점들(C, C*, 및 C**)은 동일한 가로좌표 x를 갖거나 상이한 가로좌표들을 가질 수 있다. The left maximum displacement points C, C *, and C ** corresponding to different right trajectories in the considered weight may have the same abscissa x or have different abscissa.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양태에 따른 장치에 대하여, 변위(DBT)에 따른, 진동추의 오더의 변화를 나타낸다. 7 shows a change in the order of the vibration weight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DBT, with respect to th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제3 실시양태에서, 로컬 오더(OPlocal)는 중립점에서 2.04의 종래 값으로부터 값 1.7까지 연속적으로 감소된다.In this third embodiment, the local order OP local is continuously reduced from the conventional value of 2.04 to the value 1.7 at the neutral point.

상관적으로, 곡률 반경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점(NE)으로부터 최대 변위점(C***)까지 연속적으로 감소한다.Correspondingly, the radius of curvature decreases continuously from the neutral point NE to the maximum displacement point C *** as shown in Fig.

상기 제3 실시양태는 훨씬 더 양호한 진자 조정(adaptation)을 가능하게 한다. 가로좌표(x) 및 변위(DBT)가 증가할수록(이것은 회전 속도 감소에 상응함), 곡률 반경이 증가하고, 상관적으로 로컬 오더(OPlocal)가 감소하므로, 불규칙 회전의 필터링이 회전 속도에 더 잘 적응된다. The third embodiment allows much better pendulum adaptation. As the abscissa (x) and the displacement (DBT) increase (which corresponds to the rotational speed reduction), the radius of curvature increases and the local order (OP local ) decreases in correlation, It is well adapted.

상기 개시한 도 4 내지 도 8은 진동추에서의 우측 궤적들, 즉, 진동추와 롤링 베어링 요소 중 어느 하나의 접촉점들의 궤적에 상응한다. 추에서의 좌측 궤적들 또는 지지체에서의 우측 궤적들 또는 지지체에서의 좌측 궤적들에 대해서 동일한 특성 및 유사한 곡선이 나타난다. Figs. 4 to 8 disclose the right trajectories in the vibration weight, i.e., the trajectories of the contact points of one of the vibrating weight and the rolling bearing element. The same characteristics and similar curves appear for the left trajectories in the weights or the right trajectories in the support or the left trajectories in the support.

이제, 도 1 및 도 2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진자에 비하여 롤링 베어링 요소(8)의 블록킹을 방지할 수 있는 실시 변형예를 도시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한다. 도 10은 도 9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Reference is now made to Figs. 9 and 10 which show an embodiment variant which can prevent blocking of the rolling bearing element 8 relative to the pendulum partially shown in Figs. 1 and 2. Fig.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하나 또는 복수의 롤링 베어링 요소가 최대 변위점을 넘어 이탈할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동추 상에서(여기서는 스페이서(6) 상에서) 최대 변위점 C(또는 C**, 또는 C***)을 넘어 롤링 트랙을 연장시킨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엔진의 시동시, 진동추가 더이상 원심력을 받지 않을 때 출현할 수 있다.(Or C **, or C ***) on the vibration weight (here, on the spacer 6)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one or more rolling bearing elements deviating beyond the maximum displacement point Extend the rolling track. Such a configuration may appear particularly when the engine is started, when the vibration is no longer subjected to centrifugal force.

실제 궤적들의 연장부는 호 CD에 상응한다. 이들 연장부의 곡률 반경은 유리하게는 롤링 베어링 요소(8)의 직경(DIA) 내지 이 직경(DIA)의 8∼1.5배 사이일 수 있다. The extension of the actual trajectories corresponds to a call C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se extensions may advantageously be between 8 and 1.5 times the diameter (DIA) of the rolling bearing element 8 to this diameter (DIA).

진동추가 스페이서(6)와 컷팅의 방사상 내부 평면의 일부의 접촉에 의해 (도 9 및 10에 도시된) 방사상 내부 스톱 위치에 있을 때(윤곽선(10)에서 점 T), 도 10에서의 거리 H1, H2, 및 H3은 이하의 관계를 나타내도록 진동추 및 지지체 상의 컷팅을 설계한다: When the vibrating additional spacer 6 is in the radially inner stop position (point T in contour 10) (as shown in Figures 9 and 10) by contact of a portion of the radially inner plane of the cut, the distance H1 , H2, and H3 design a vibration weight and a cut on the support so as to exhibit the following relationship:

H3 = H1 - H2 < DIA, H3 = H1 - H2 < DIA,

여기서: here:

H1은 스페이서가 통과하는 윤곽선의 컷아웃의 방사상 최대 높이이고 ; H1 is the radial maximum height of the cutout of the contour through which the spacer passes;

H2는 스페이서의 방사상 최대 높이이며, H2 is the maximum radial height of the spacer,

DIA는 스페이서(6)와 접촉하는 롤링 베어링 요소(8)의 직경이다. The DIA is the diameter of the rolling bearing element 8 in contact with the spacer 6.

따라서, 롤링 베어링 요소(8)는, 과도적 상태에서도, 우측을 향해 스페이서(6)를 넘어 이탈할 수 없고 윤곽선(10)의 우측 부분들에서 블록킹될 수 없다. Thus, even in the transient state, the rolling bearing element 8 can not move beyond the spacer 6 to the right and can not be blocked at the right portions of the contour 10.

이제, 본 발명의 제4 실시양태에 상응하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한다. Reference is now made to Figs. 11 and 12 correspon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는 진동추의 진동 동안 이 진동추의 질량 중심(CM)의 궤도를 도시하였다. 중립 위치에 대하여 하나의 우측 궤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11 shows the trajectory of the center of mass CM of the vibrating weight during vibration of the vibrating weight. One right trajectory is shown for the neutral position.

가로좌표(x)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우측 방향은 중립 위치에서 질량 중심(CM)의 위치가 통과하는 방사 방향에 대한 수선을 따라 고려된다. 세로좌표 축(y)은 중립점에서 질량 중심이 통과하는 방사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The rightward direction indicated by the abscissa (x) is considered along the waterline along the radial direction through which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mass (CM) passes in the neutral position. The ordinate axis (y) extends along the radial direction through the center of mass at the neutral point.

구역 BC**는 우측 제1 각도 변위 범위에 상응한다. 구역 AB는 전이 구역에 상응하고, 제로 가로좌표 점과 점 A 사이의 구역은 우측 제2 각도 변위 범위에 상응한다.Zone BC ** corresponds to the right first angular displacement range. Zone AB corresponds to the transition zone, and the zone between the zero lateral coordinate point and point A corresponds to the right second angular displacement range.

도 12는 질량 중심(CM)의 이 우측 궤도의 곡률 반경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양태에 따르면, 곡률 반경은 처음에는 점 A까지 제2 각도 변위 범위에서 일정하다. 이어서, 이것은 AB 전이 구역에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제1 각도 변위 범위에서 우측 최대 변위점(C**)까지 더 증가한다. Fig. 12 shows a change i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ight-side orbit of the center of mass C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radius of curvature is constant in the second angular displacement range up to point A initially. This then begins to increase in the AB transition zone and further increases from the first angular displacement range to the right maximum displacement point (C **).

매우 바람직하게는, 이 곡선은 점 A와 점 C** 사이에서 클로소이드 부분이다. 따라서, 특히 우측 제1 각도 변위 범위 B C**에서 곡률 반경 R을 나타내는 상기 곡선 부분도 클로소이드 부분이다.Most preferably, this curve is the chloroid portion between point A and point C **. Therefore, the curved portion indicating the radius of curvature R in the right first angular displacement range B C ** is also the closest portion.

따라서, 좌측 질량 중심의 궤도의 곡률 반경의 변화에 대해서도 일반적으로 동일하다. Therefore, the change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rbit of the left mass center is also generally the same.

이것은 추 및/또는 지지체 상에서 롤링 베어링 요소(8)가 미끄러질 위험을 매우 크게 감소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It has been found that the risk of sliding the rolling bearing element 8 on the weight and / or support can be greatly reduced or suppressed.

더 일반적으로는,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과 양립하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상이한 실시양태 또는 변형예에 따라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More general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practice th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embodiments or variants known from the prior art compatibl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메인 오더 N의 내연기관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바이파일러형 진자 토션 댐핑 장치(2)로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동하는 지지체(4) 및 상기 지지체(4) 상에 가동식으로 설치되는 진자 진동추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어셈블리의 각각의 진동추는 상기 진동추에 연결되고 상기 진동추 및 상기 지지체와 롤링 접촉하는 2개의 롤링 베어링 요소(8) 상에서 진동할 수 있고, 이들 롤링 베어링 요소 각각이 상기 진동추의 에지 상에 그리고 상기 지지체의 에지 상에 궤적을 규정하며, 이들 궤적 각각은 중립 위치의 양측에서 좌측 진자 변위 및 우측 진자 변위에 연관되는, 상기 진자 토션 댐핑 장치에 있어서,
이들 진동추 각각 및 상기 지지체(4) 상에서의 궤적은,
- 상기 진자추 어셈블리의 로컬 오더가 0.99 x N 이하, 바람직하게는 0.98 x N 이하의 최대값 또는 G1max에 의해 한정되는 좌측 최대 진자 변위의 소정 퍼센트, 특히 50%를 나타내는 위치의 너머에 있는 좌측 제1 진자 변위 범위;
- 상기 진자의 로컬 오더가 0.99 x N 이하, 바람직하게는 0.98 x N 이하의 최대값 또는 D1max에 의해 한정되는 우측 최대 진자 변위의 소정 퍼센트, 특히 50%를 나타내는 위치의 너머에 있는 우측 제1 진자 변위 범위;
-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로컬 오더가 0.95 N 이상, 1.10 N 미만의 최소값 또는 G2min에 의해 한정되는 좌측 제1 진자 변위 범위 이하에서 연장되는 좌측 제2 진자 변위 범위;
-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로컬 오더가 0.95 N 이상, 1.10 N 미만의 최소값 또는 D2min에 의해 한정되는 우측 제1 진자 변위 범위 이하에서 연장되는 우측 제2 진자 변위 범위가 존재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 G1max는 G2min 미만, G2min의 2%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G2min의 3% 내지 25%의 값이고;
- D1max는 D2min 미만, D2min의 2%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D2min의 3% 내지 25%의 값이며;
좌측 또는 우측 소정 진자 변위 위치에서 상기 진동추 어셈블리의 로컬 오더 또는 OPlocal이 통상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진동추와 접촉하는 임의의 롤링 베어링 요소에 대하여, 각각의 롤링 베어링 요소에 대해 동일한 로컬 오더가 다음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자 토션 댐핑 장치.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 Rg는 진동추의 질량 중심과 회전축 사이의 거리이고;
- Rbp는 롤링 베어링 요소와의 한 접촉점에서 지지체 상의 궤적의 곡률 반경이며,
- Rm1은 롤링 베어링 요소와의 한 접촉점에서 진동추 상의 궤적의 곡률 반경이고,
- rbp는 지지체와의 한 접촉점에서 롤링 베어링 요소의 곡률 반경이며,
- rm은 진동추와의 한 접촉점에서 롤링 베어링 요소의 곡률 반경이다.
A pivotal pendulum tamping damping device (2) intended to be connected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ain order N, comprising: a support body (4) which rotates about a rotation axis and a pendulum vibration weight Wherein each oscillating weight of the assembly is capable of oscillating on two rolling bearing elements (8) connected to the oscillating weight and rolling contact with the oscillating weight and the support, each of the rolling bearing elements Defining a trajectory on the edge of the weight and on the edge of the support, each of the trajectories being associated with a left pendulum displacement and a right pendulum displacement on either side of a neutral position,
Each of these vibration weights and the locus on the support (4)
The local order of the pendulum assembly is beyond the position indicating a predetermined percentage, in particular 50%, of the left-most pendulum displacement defined by the maximum value of 0.99 x N or less, preferably 0.98 x N or less, or G1max, One pendulum displacement range;
- the right side first pendulum beyond the position indicating the predetermined percentage, in particular 50%, of the right maximal pendulum displacement defined by the local value of the pendulum equal to or less than 0.99 x N, preferably equal to or less than 0.98 x N, Displacement range;
- a left second pendulum displacement range starting from said neutral position, said local order extending below a left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defined by a minimum value of 0.95 N or more, less than 1.10 N or G2min;
Starting from the neutral position, the local ord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re is a right second pendulum displacement range extending below a right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defined by a minimum value of 0.95 N or greater, less than 1.10 N, or D2min, wherein ,
- G1max is less than G2min, 2% to 30% of G2min, preferably 3% to 25% of G2min;
- D1max is less than D2min, 2% to 30% of D2min, preferably 3% to 25% of D2min;
The local order or OP local of the oscillating weight assembly at the left or right predetermined pendulum displacement position is typically defined as:
For any rolling bearing element in contact with the oscillating weight, the same local order for each rolling bearing element is characterized by
Pendulum torsion damping device.
Figure pct00003

Wherein:
- R g is the distance between the mass center of the oscillating weight and the rotational axis;
- R bp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cus on the support at a point of contact with the rolling bearing element,
- R m1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cus on the vibration weight at a point of contact with the rolling bearing element,
- r bp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olling bearing element at a point of contact with the support,
- r m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olling bearing element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vibrating weight.
제1항에 있어서,
중립점에 대하여 상기 좌측 제1 진자 변위 범위가 상기 우측 제1 진자 변위 범위와 동일하고;
중립점에 대하여 상기 좌측 제2 진자 변위 범위가 상기 우측 제2 진자 변위 범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자 토션 댐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ft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is the same as the right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with respect to the neutral point;
And the left second pendulum displacement range with respect to the neutral point is the same as the right second pendulum displacement range.
Pendulum torsion damping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제1 진자 변위 범위가, 좌측 또는 우측의 전체 진자 변위 간격의 10% 내지 49%,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의 진자 변위 간격으로, 좌측 또는 우측 최대 변위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제2 진자 변위 범위가, 중립 위치에서 출발하여 좌측 또는 우측의 전체 진자 변위 간격의 5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의 진자 변위 간격으로 연장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제1 및 제2 진자 변위 범위가, 상기 로컬 오더를 위한 전이 범위,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컬 오더가 연속적인 전이 범위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자 토션 댐핑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eft or right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extends to the left or right maximum displacement position with a pendulum displacement interval of 10% to 49%, preferably 15% to 35% of the left or right total pendulum displacement interval;
The left or right second pendulum displacement range extends from a neutral position to a pendulum displacement interval of 50% to 90%, preferably 65% to 80% of the left or right total pendulum displacement interval;
Characterized in that said left or right first and second pendulum displacement ranges are separated by a transition range for said local order, preferably said local order by a continuous transition range
Pendulum torsion damping devic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립 위치에서의 로컬 오더에 대한 좌측 또는 우측 최대 변위점에서의 로컬 오더의 비가 간격 [0.70; 0.95], 바람직하게는 간격 [0.80; 0.90]에 포함되도록, 상기 좌측 또는 우측 로컬 오더가 중립 위치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 최대 진자 변위 위치까지 비증가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자 토션 댐핑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ratio of the local order at the left or right maximum displacement point to the local order at the neutral position is less than the interval [0.70; 0.95], preferably the interval [0.80; 0.90], the left or right local order changes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left or right maximum pendulum displacement position in a non-incremental manner, preferably substantially continuously.
Pendulum torsion damp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로컬 오더가 중립 위치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 최대 진자 변위 위치까지 엄격히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자 토션 댐핑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ocal order is strictly reduced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left or right maximum pendulum displacement position
Pendulum torsion damping device.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진동추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 방향 함수로서 좌측 또는 우측 제1 진자 변위 범위에서 질량 중심(CM)의 경로의 곡률 반경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 부분이 클로소이드 부분을 형성하고,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은 중립 위치에서 질량 중심(CM) 위치가 통과하는 방사 방향에 대한 수선을 따라 고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자 토션 댐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For each oscillation weight, a curve portion representing the change i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path of the center of mass (CM) in the left or right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as a left or right direction function forms a chlorodeode portion, Direction is taken along the waterline along the radial direction through which the center of mass (CM) position passes in the neutral position
Pendulum torsion damping device.
메인 오더 N의 내연기관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바이파일러형 진자 토션 댐핑 장치(2)로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동하는 지지체(4) 및 상기 지지체(4) 상에 가동식으로 설치되는 진자 진동추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어셈블리의 각각의 진동추는 상기 진동추에 연결되고 상기 진동추 및 상기 지지체와 롤링 접촉하는 2개의 롤링 베어링 요소(8) 상에서 진동할 수 있고, 이들 롤링 베어링 요소 각각은 상기 진동추의 에지 상에 그리고 상기 지지체의 에지 상에 궤적을 규정하며, 이들 궤적 각각은 중립 위치의 양측에서 좌측 진자 변위 및 우측 진자 변위에 연관되는, 상기 진자 토션 댐핑 장치에 있어서,
이들 진동추 각각 및 상기 지지체(4) 상에서의 궤적은,
- 상기 진자추 어셈블리의 로컬 오더가 0.99 x N 이하, 바람직하게는 0.98 x N 이하의 최대값 또는 G1max에 의해 한정되는, 좌측 최대 진자 변위의 소정 퍼센트, 특히 50%를 나타내는 위치의 너머에 있는 좌측 제1 진자 변위 범위;
- 상기 진자의 로컬 오더가 0.99 x N 이하, 바람직하게는 0.98 x N 이하의 최대값 또는 D1max에 의해 한정되는, 우측 최대 진자 변위의 소정 퍼센트, 특히 50%를 나타내는 위치의 너머에 있는 우측 제1 진자 변위 범위가 존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컬 오더가 좌측 및 우측 진자 변위의 전체 진폭에 걸쳐 간격 [0.74 N; 0.96 N]에 속하며,
좌측 또는 우측 소정 진자 변위 위치에서 이 진동추 어셈블리의 로컬 오더 또는 OPlocal이 통상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진동추와 접촉하는 임의의 롤링 베어링 요소에 대하여, 각각의 롤링 베어링 요소에 대해 동일한 로컬 오더가 다음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자 토션 댐핑 장치.
Figure pct00004

상기 식에서:
- Rg는 진동추의 질량 중심과 회전축 사이의 거리이고;
- Rbp는 롤링 베어링 요소와의 한 접촉점에서 지지체 상의 궤적의 곡률 반경이며,
- Rm1은 롤링 베어링 요소와의 한 접촉점에서 진동추 상의 궤적의 곡률 반경이고,
- rbp는 지지체와의 한 접촉점에서 롤링 베어링 요소의 곡률 반경이며,
- rm은 진동추와의 한 접촉점에서 롤링 베어링 요소의 곡률 반경이다.
A pivotal pendulum tamping damping device (2) intended to be connected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ain order N, comprising: a support body (4) which rotates about a rotation axis and a pendulum vibration weight Wherein each oscillating weight of the assembly is capable of oscillating on two rolling bearing elements (8) connected to the oscillating weights and rolling contact with the oscillating weights and the support, each of the rolling bearing elements Defining a trajectory on the edge of the weight and on the edge of the support, each of the trajectories being associated with a left pendulum displacement and a right pendulum displacement on either side of a neutral position,
Each of these vibration weights and the locus on the support (4)
The local order of the pendulum assembly is beyond the position representing a predetermined percentage, in particular 50%, of the left-most pendulum displacement, defined by a maximum value of 0.99 x N or less, preferably 0.98 x N or less, or G1max, First pendulum displacement range;
The local order of the pendulum lies beyond the position representing a predetermined percentage, in particular 50%, of the right-handed maximum pendulum displacement, defined by a maximum value, or D1max, of 0.99 x N or less, preferably 0.98 x N or less, A pendulum displacement range is present,
Wherein the local order has an interval [0.74 N; 0.96 N]
At the left or right predetermined pendulum displacement position, the local order or OP local of this oscillating weight assembly is typically defined as:
For any rolling bearing element in contact with the oscillating weight, the same local order for each rolling bearing element is characterized by
Pendulum torsion damping device.
Figure pct00004

Wherein:
- R g is the distance between the mass center of the oscillating weight and the rotational axis;
- R bp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cus on the support at a point of contact with the rolling bearing element,
- R m1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cus on the vibration weight at a point of contact with the rolling bearing element,
- r bp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olling bearing element at a point of contact with the support,
- r m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olling bearing element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vibrating weight.
제7항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 진자 변위의 전체 진폭에 걸쳐 로컬 오더가 간격 [0.78 N; 0.92 N]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자 토션 댐핑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Over the entire amplitude of the left and right pendulum displacements, the local order is spaced [0.78 N; 0.92 N].
Pendulum torsion damping device.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로컬 오더가 좌측 및 우측 진자 변위의 전체 진폭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자 토션 댐핑 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l order is substantially constant over the entire amplitude of the left and right pendulum displacements
Pendulum torsion damping device.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토션 댐핑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rsion damp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claims 1 to 9
clutch.
KR1020167015130A 2013-12-09 2014-11-26 Pendulum torsion damping device with improved effectiveness of filtration KR10234157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62299 2013-12-09
FR1362299A FR3014519B1 (en) 2013-12-09 2013-12-09 TORSION DAMPING DEVICE WITH IMPROVED FILTRATION EFFICIENCY PENDULUM
PCT/FR2014/053048 WO2015086944A1 (en) 2013-12-09 2014-11-26 Pendulum torsion damping device with improved effectiveness of filt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088A true KR20160096088A (en) 2016-08-12
KR102341575B1 KR102341575B1 (en) 2021-12-22

Family

ID=5047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130A KR102341575B1 (en) 2013-12-09 2014-11-26 Pendulum torsion damping device with improved effectiveness of filtration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080479A1 (en)
KR (1) KR102341575B1 (en)
CN (1) CN105814336B (en)
FR (1) FR3014519B1 (en)
WO (1) WO201508694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8682B1 (en) 2015-07-06 2017-07-28 Valeo Embrayages TORSION OSCILLATION DAMPING DEVICE
FR3052835B1 (en) * 2016-06-16 2018-06-08 Valeo Embrayages PENDULAR DAMPING DEVICE
FR3059749B1 (en) * 2016-12-06 2020-02-21 Valeo Embrayages PENDULUM DAMPING DEVICE
FR3064324B1 (en) * 2017-03-22 2021-06-25 Valeo Embrayages PENDULUM CUSHION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05138A1 (en) * 2007-02-12 2008-08-1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Centrifugal pendulum device
DE102011076790A1 (en) * 2011-05-31 2012-12-06 Zf Friedrichshafen Ag Drive system for a vehicle
WO2013057441A1 (en) * 2011-10-19 2013-04-25 Valeo Embrayages Pendulum-oscillator-type damping system comprising an improved guiding device
JP2013542387A (en) * 2010-11-08 2013-11-21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Centrifugal pendulu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8527B1 (en) * 1999-12-03 2001-11-20 Sikorsky Aircraft Corporation Inertial vibration isolator spring for helicopter
JP2004340170A (en) * 2003-05-13 2004-12-02 Nok Corp Damper
ATE429594T1 (en) * 2004-08-11 2009-05-15 Luk Lamellen & Kupplungsbau TORSIONAL VIBRATION DAMPING DEVICE
DE102010046319A1 (en) * 2009-09-28 2011-03-3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Torsional vibration damper for damping torsional vibrations in dual mass flywheel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s energy storage elements arranged between damper parts so that one element is released when parts rotate in same direction
EP2758690B1 (en) * 2011-09-19 2020-02-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Centrifugal force pendulu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05138A1 (en) * 2007-02-12 2008-08-1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Centrifugal pendulum device
JP2013542387A (en) * 2010-11-08 2013-11-21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Centrifugal pendulum
DE102011076790A1 (en) * 2011-05-31 2012-12-06 Zf Friedrichshafen Ag Drive system for a vehicle
WO2013057441A1 (en) * 2011-10-19 2013-04-25 Valeo Embrayages Pendulum-oscillator-type damping system comprising an improved gui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575B1 (en) 2021-12-22
CN105814336B (en) 2019-05-28
FR3014519B1 (en) 2016-10-07
EP3080479A1 (en) 2016-10-19
CN105814336A (en) 2016-07-27
FR3014519A1 (en) 2015-06-12
WO2015086944A1 (en)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594B1 (en) Pendulum-oscillator-type damping system comprising an improved guiding device
CN104081082B (en) Torsional oscillation attenuation device
JP3221866B2 (en) Rotation speed adaptive vibration absorber
US8161740B2 (en) Force transmission device with a rotational speed adaptive damper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damping properties
KR20160096088A (en) Pendulum torsion damping device with improved effectiveness of filtration
US10174805B2 (en) Simplified torsion damping device having pendulum
KR101914885B1 (en) Damper device
JP6588997B2 (en) Pendulum type damper device with stabilized rolling elements
CN104565195B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and the torsional damper for automotive drive train
CN106795944B (en) Pendulum-type vibration insulating system equipped with supporting member
CN105452712B (en) centrifugal force pendulum
KR20170109368A (en) Dynamic damper assembly
JP2007315416A (en) Viscous rubber damper
US10408299B2 (en) Damping system of pendulum oscillator type
JP2018184975A (en) Torsional vibration reduction device
CN105333046B (en) Centrifuge pendulum damper
CN109210139A (en) Damp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9891122B (en) Centrifugal pendulum and drive system
JP6237414B2 (en) Centrifugal pendulum vibration absorber
JP7367047B2 (en) work equipment
JP2004076947A (en) Speed-adaptive vibration damper
CN109707844B (en) Reciprocating rotary mechanism of eng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6828499B (en) Drive train
CN109707527B (en) Reciprocating rotary mechanism of eng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5083524A (en) Flywh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