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535A - Wearable device - Google Patents

Wear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535A
KR20160095535A KR1020150016924A KR20150016924A KR20160095535A KR 20160095535 A KR20160095535 A KR 20160095535A KR 1020150016924 A KR1020150016924 A KR 1020150016924A KR 20150016924 A KR20150016924 A KR 20150016924A KR 20160095535 A KR20160095535 A KR 20160095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band
connection terminal
coupl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9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89368B1 (en
Inventor
김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16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368B1/en
Publication of KR20160095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5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3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device comprises: a display unit; a band unit to which the display unit is coupled wherein a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protrudes from the band unit; and a vibration unit installed in the band unit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display unit to generate vibration. Therefore, the wearable device can flexibly vary the vibration unit.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0002] WEARABLE DEVICE [

본 발명은 진동부를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having a vibrating part.

최근 전자장치의 입력방식은 사용자가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터치 입력방식이 보편화되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In recent years, a touch input method for inputting a display unit of an electronic product by a user has been popularized.

이러한, 터치 입력방식의 경우 사용자에게 터치감을 전달하기 위해 진동 피드백 기능이 구비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진동 피드백을 편심 진동 모터 또는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In the case of the touch input method, a vibration feedback function is provided to transmit a sense of touch to a user. In the past, such vibration feedback was implemented using an eccentric vibration motor or a piezoelectric element.

다만, 진동 모터 또는 압전소자의 경우 소형화하기 어려우며 형상 변화에 한계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vibration motor or a piezoelectric element, it is difficult to downsize and there is a limit to the shape change.

따라서, 진동 피드백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소형화에 유리하며 형상변화가 용이한 진동체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the vibration feedback function, it is desired to study a vibrating body which is advantageous for downsizing and which can easily change its shape.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에 유리하며 형상변화가 가능한 진동부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having a vibrating part which is advantageous in downsizing and which can change its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가 돌출구비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A band part coupled to the display part and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project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part; And a vibration unit which is provided in the band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display unit to generate vibration.

이때, 상기 진동부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으로 구비되며, 상기 PVDF 필름이 상기 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ibrating part is provided as a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film, and the PVDF film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to generate vibration.

또한, 상기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은 상기 밴드부의 내측에 상기 밴드부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film may be integrated with the band portion on the inner side of the band portion.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진동부를 PVDF(polyvinylidene fluoride)필름으로 구비하여 형태를 유연하게 가변할 수 있으며, 밴드부와 일체로 구비하여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at is,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lexibly change the shape of the wearable device by providing the vibrating part as a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film, and can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and part to minimize the siz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진동부가 유연하게 가변할 수 있으며,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다.
In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ng part can be flexibly varied, and the size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략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밴드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밴드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에 도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band part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band part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nd part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the wearable device shown in Fig.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earable device shown in Fig.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designat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as a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and the size of each elem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It is to be noted that the expressions such as the upper side, the lower side, the side face, etc.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and can be expressed differently when the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object is chang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500)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500)의 개략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5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략 단면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devic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devic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500)는 디스플레이부(100), 밴드부(200) 및 진동부(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500)는 진동 피드백 기능이 요구되는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를 통칭할 수 있다.1 to 4, a wearable device 5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00, a band unit 200, and a vibration unit 300. At this time, the wearable device 500 may collectively refer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requiring a vibration feedback function.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500)가 전자시계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wearable device 500 will be described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clock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디스플레이부(100)는 전자신호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하며, 일예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101)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00 may visualize an electronic signal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to a user, and may include a touch screen panel 101 as an example.

터치 스크린 패널(101)은 디스플레이부(100)의 최외측에 구비된다. 즉,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게 한다.The touch screen panel 101 is provid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display unit 100. That is, it is installed on the display surface of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flat panel display device so that the user can obtain desired information while viewing the image display device.

이때, 터치 스크린 패널(101)의 상면에는 윈도우가 구비되어, 손가락등의 접촉물체로부터 터치입력을 인가받는다.At this time, a window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screen panel 101 to receive a touch input from a touch object such as a finger.

또한, 윈도우는 디스플레이부(100)에서 제공하는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성을 갖는다.In addition, the window has transparency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image provided by the display unit 100.

즉, 윈도우는 유리 또는 강화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윈도우의 재료는 제안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 플라스틱 등 투명성을 갖고 소정의 강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at is, the window may be formed of glass or tempered glass. However, the material of the window is not limited to the proposed embodiment,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material having transparency such as transparent plastic and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500)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00)를 터치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터치감을 주기 위해 진동 피드백 기능이 요구된다.Meanwhile, when the wearable device 500 touches the display unit 100 to input a signal, a vibration feedback function is required to give a sense of touch to the user.

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디바이스(500)의 사용 시 사용자에게 알림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진동 기능이 요구된다.In addition, when the wearable device 500 is used, a vibration function is required as a method for performing a notification function to the user.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0)는 진동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진동부(300)에 대해선 후술하기로 한다.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ibration unit 300, and the vibration unit 300 will be described later.

디스플레이부(100)의 저면에는 내측으로 인입되어 후술할 연결단자(215)가 삽입되는 연결단자 삽입홈(130)이 구비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insertion slot 130 into which a connection terminal 215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즉, 디스플레이부(100)는 진동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진동부(300)를 구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디스플레이부(100)는 연결단자(215)를 통해 진동부(300)와 연결된다.That is, the display unit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ibration unit 300 to drive the vibration unit 300.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vibration unit 300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215 do.

다시 말해, 연결단자(215)는 연결단자 삽입홈(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은 디스플레이부(100)와 연결되고 타측은 진동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terminal 215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terminal insertion groove 130, one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vibration unit 300.

또한, 디스플레이부(100)의 저면에는 외부전원단자(120)가 구비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00) 내측에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작동을 위해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되게 되는데, 이러한 배터리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외부전원단자(120)를 충전용 단자(미도시)와 접촉시킴으로써 충전된다.
In addition, an external power terminal 12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0. That is, a battery that can be recharged fo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100 is provided inside the display unit 100. The external power source terminal 120 of the display unit 100 is connected to a charging terminal (not shown) And is charged by contact.

디스플레이부(100)의 후크부(212)와 대응되는 측면에는 단차지도록 걸림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00)는 밴드부(200)결합되는데 결합력 향상을 위해 밴드부(200)와 후크결합될 수 있다.The latch portion 110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100 corresponding to the hook portion 212. That is, the display unit 100 is coupled to the band unit 200 and may be hooked to the band unit 200 for improving the bonding force.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0)의 측면에는 걸림부(110)가 구비되며 후크부(212)는 걸림부(110)에 걸림되어 디스플레이부(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display unit 100 can be fixed by the hook 110 and the hook 110 can be hooked on the side of the display unit 100, respectively.

한편, 디스플레이부(100)는 밴드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밴드부(200)는 디스플레이부(100)를 사용자의 손목 등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고무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isplay unit 100 may be coupled to the band unit 200. The band unit 200 is provided for fixing the display unit 100 to a user's wrist or the like and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밴드부(200)는 디스플레이부(100)가 결합되는 중심부(210)와 중심부의 양단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결합부(220)로 구비될 수 있다.
The band portion 200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210 to which the display portion 100 is coupled and a coupling portion 220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portion to be coupled to each other.

결합부(220)는 사용자의 손목 등에 감기는 부분으로서 중심부(210)에서 연장 구비될 수 있으며, 중심부(210)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 결합부(221)와 중심부(210)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2 결합부(222)로 구비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220 may extend from the center portion 210 and may include a first engaging portion 221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center portion 210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221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center portion 210. [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22 may be provided.

다시 말해 결합부는 중심부(210)의 마주보는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engaging portion can be formed at both opposite ends of the center portion 210.

제1 결합부(221)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걸림홀(221a)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걸림홀(221a)은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one latching hole 221a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latching holes 221a may be equally sp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제2 결합부(222)의 단부에는 제1 결합부(221)의 걸림홀(221a)에 후크 결합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222a)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engaging part 222 may be provided with an engaging protrusion 222a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second engaging part 222 so as to be hookable to the engaging hole 221a of the first engaging part 221. [

따라서, 사용자는 걸림돌기(222a)가 삽입되는 걸림홀(221a)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결합부(22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engaging portion 220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engaging hole 221a into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222a is inserted.

다만, 이러한 결합부(220)의 결합방식은 제안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버클 또는 벨크로를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부(220)는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가능하다.
However, the coupling method of the coupling part 220 is not limited to the proposed embodiment, and may be combined using a buckle or a velcro. That is, the coupling portion 220 can be coupled by various coupling methods commonly used in the art.

또한, 제1 결합부(221) 및 제2 결합부(222)에는 내측으로 단차진 진동부 결합홈(221b, 222b)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결합부(221, 222)에는 진동부(3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2 may be provided with stepped vibrating portion coupling grooves 221b and 222b inwardly. That is, the vibrating unit 3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units 221 and 222,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중심부(210)에는 디스플레이부(1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해, 중심부(210)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이 구비된다.
The display unit 1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210. To this end, the display unit 100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coupling groove 211 which is drawn inward.

즉, 디스플레이부(100)는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에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00)의 외측면은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을 형성하는 중심부(210)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That is, the display unit 100 may be press-fitted into the display unit coupling groove 2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210 forming the display unit coupling groove 211 Can be contacted.

한편,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의 바닥면에는 디스플레이부(10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도전성의 연결단자(215)가 돌출 구비되며, 연결단자(215)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연결단자 삽입홈(130)에 삽입되어 디스플레이부(100)와 진동부(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A conductive connection terminal 215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display unit 100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unit coupling groove 211. The connection terminal 215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terminal insertion portion 211 of the display unit 100,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13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vibration unit 300.

또한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의 바닥면 중 디스플레이부(100)에 구비되는 외부전원단자(12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관통형성되어 외부전원단자(120)를 노출시키는 외부전원단자 노출홀(213)이 구비된다.An external power terminal exposure hole 213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unit coupling groove 211 to correspond to the external power terminal 120 of the display unit 100 and exposes the external power terminal 120. [ .

즉, 디스플레이부(100)가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외부전원단자(12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at is, the external power terminal 1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display unit 100 is coupled to the display unit coupling groove 211.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00)를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에서 분리하지 않고, 충전단자와 연결함으로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charge the battery by connecting the display unit 100 with the charging terminal without detaching the display unit 100 from the display unit coupling groove 211.

또한,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의 테두리에는 돌출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100)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후크부(212)가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hook portion 212 protruding from the rim of the display portion coupling groove 211 and detachably coupling the display portion 100 may be provided.

후크부(212)는 디스플레이부(100)와 밴드부(200)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구비된다.The hook portion 212 is provided to enhanc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display portion 100 and the band portion 200.

다시 말해,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100)는 밴드부(200)의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에 압입결합되며, 추가적으로, 후크부(212)와 결합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0)와 밴드부(200)의 결합력은 증진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display unit 100 is basically press-fitted into the display unit engaging groove 211 of the band unit 200 and is further engaged with the hook unit 212. [ Therefor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band unit 200 can be enhanced.

후크부(212)는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의 테두리의 마주보는 양측에 구비되거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The hook portions 212 may be provided on opposite sides of the rim of the display unit coupling groove 211 or may be formed along the rim.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00)에는 걸림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걸림부(110)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외측면 중 후크부(212)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후크부(212)가 걸림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Corresponding to this, the display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the latching unit 110. That is, the latching unit 11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ing unit 212 so as to provide a hooking area for the hooking unit 212.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의 테두리에는 후크부(212)가 구비되는 대신에, 테두리를 따라 격벽부(214)가 구비될 수도 있다.
9 and 10, the display portion coupling groove 211 may be provided with the partition portion 214 along the rim, instead of having the hook portion 212 at the rim thereof.

격벽부(214)는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의 테두리를따라 연속적으로 상측으로돌출되어 구비되며, 디스플레이부(100)가 삽입결합되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portion 214 is continuously protruded upward along the rim of the display portion coupling groove 211 and may form an internal space to allow the display portion 100 to be inserted and coupled.

또한, 격벽부(214)의 상측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격벽부(214)는 일예로써 고무(rubber)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214 may be bent inward, and the partition 214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rubber material.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0)는 격벽부(214) 및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이 형성하는 공간에 압입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100 can be press-fit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214 and the display unit coupling groove 211.

밴드부(200)에는 연결단자(2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1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300)가 구비된다.The band part 200 is provided with a vibration part 300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215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display part 100 to generate vibration.

즉, 진동부(300)는 사용자에게 터치감을 제공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기 위해 밴드부(200)에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the vibration unit 300 may be provided in the band unit 200 to provide a touch to the user or to provide a notification to the user.

구체적으로, 진동부(300)는 적어도 하나가 밴드부(200)의 결합부(22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써, 제1 및 제2 결합부(221, 222)의 중심부(210)와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one vibrating portion 3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20 of the band portion 200. For example, the vibrating portion 300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210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221 and 222 In the present embodiment.

진동부(300)는 연결단자(215)와 전기배선(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기배선은 결합부(210)를 따라 연장구비되어 연결단자(215)와 진동부(300)를 연결할 수 있다.
The vibration unit 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215 through an electric wiring (not shown), and the electric wiring may extend along the coupling unit 210 to connect the connection terminal 215 and the vibration unit 300 Can be connected.

또한, 진동부(300)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3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진동부(300)로 사용되는 소자는 압전 재료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이루어지면 충분하고 PVDF 필름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In addition, the vibration unit 300 may include a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film 310. However, the device used for the vibration unit 300 is sufficient if it is made of a film made of a piezoelectric material, and is not limited to a PVDF film.

즉, 진동부(300)는 일반적인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를 사용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일예로써 복수개의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를 적층하여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the vibration unit 300 may be formed using a general piezoelectric element. For example, a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may be stacked.

더하여, 이러한 진동부(30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진동부(300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밴드부(200)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vibrating units 300 may be provided, and when a plurality of vibration units 300 are provided, they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band unit 200.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진동부(300)가 PVDF 필름(310)을 포함하는 경우로 가정하겠다.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vibration unit 300 includes the PVDF film 31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1]
[Table 1]

여기서, 표 1을 참조하여 PVDF 필름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PVDF 필름은 압전 물성을 가지는 소재로서, 압력을 가하면 전압이 발생하고, 전압을 인가하면 압력이나 변위가 발생하게 된다.Referring to Table 1, the PVDF film is a material having piezoelectric properties. When a pressure is applied, a voltage is generated. When a voltage is applied, a pressure or a displacement is generated.

즉, PVDF 필름에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PVDF 필름은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PVDF 필름(310)은 연결단자(215)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00) 내측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전력 및 전기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That is,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PVDF film, the PVDF film may generate vibra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VDF film 31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The power and electric signals of the power source can be received.

또한, PVDF 필름은 경도가 높지 않고 형상을 변경할 수 있는 특징(flexible)이 있다. Further, the PVDF film has a feature that the shape can be changed without being high in hardness.

따라서, 계속적으로 형상이 변형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Therefore, it can be coupled to the band portio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hape is continuously deformed.

이러한 PVDF 필름(310)은 결합부(220)에 구비되는 진동부 결합홈(221b, 222b)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PVDF 필름(310)과 진동부 결합홈(221b, 222b)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The PVDF film 310 may be seated and joined to the vibrating portion coupling grooves 221b and 222b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220 and the adhesive between the PVDF film 310 and the vibrating portion coupling grooves 221b and 222b. Can be interposed.

즉, PVDF 필름(310)은 진동부 결합홈(221b, 222b)에 접착제에 의한 본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at is, the PVDF film 310 can be bonded to the vibrating portion coupling grooves 221b and 222b by an adhesive bonding method.

또한, PVDF 필름(310) 상측에는 코팅층(3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320)은 PVDF 필름(310)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일 예로써 라미네이트 코팅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oating layer 320 may be formed on the PVDF film 310. The coating layer 320 is provided to protect the PVDF film 310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coating layer 320 may be a laminate coating layer, for example.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500)는 PVDF 필름을 사용하여 형상 변경이 가능한 진동부(300)를 구현할 수 있으며, 진동부(300)를 디스플레이부(100) 내부가 아닌 밴드부(200)에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0)의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As a result, the wearable device 5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the vibration unit 300 that can change the shape using the PVDF film, The display unit 100 can be miniaturized.

한편, 도 5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에 구비되는 PVDF 필름(310)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5 to 8 show a modification of the PVDF film 310 provided in the vib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PVDF 필름(310)은 결합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결합부(220)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PVDF film 310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220 as a who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art 220.

즉, PVDF 필름(310)을 결합부(220)를 따라 연장구비함으로써, 전체적인 진동력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That is, by extending the PVDF film 310 along the coupling portion 220, the magnitude of the overall vibration force can be increased.

또한, 결합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PVDF 필름(310)의 상측에는 PVDF 필름(310)을 보호하기 위한 코팅층(320)이 도포될 수 있다.
A coating layer 320 for protecting the PVDF film 310 may be applied on the PVDF film 3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art 220.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PVDF 필름(310)은 밴드부(200)의 결합부(220) 내측에 구비되어 밴드부(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PVDF film 31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nd portion 200 by being disposed inside the coupling portion 220 of the band portion 200.

즉, 밴드부(200) 성형시 PVDF 필름(310)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밴드부(200) 내측에 결합시킬 수 있다.That is, the PVDF film 310 can be bonded to the inside of the band portion 200 by insert injection molding in forming the band portion 200.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PVDF 필름(310)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코팅층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separate coating layer for protecting the PVDF film 310 may not be formed.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진동부(300)를 별개의 모듈로 제작하여 밴드부(200)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7 and 8,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the vibration unit 300 as a separate module and to couple the vibration unit 300 to the band unit 200. FIG.

즉, 진동부(300)는 별개의 모듈 형태로 제작되어, 설계적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the vibration unit 300 may be manufactured in a separate module form, and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design needs.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디스플레이부 110: 걸림부
120: 외부전원단자 130: 연결단자 삽입홈
200: 밴드부 210: 중심부
220: 결합부 300: 진동부
310: PVDF 필름 320: 코팅층
100: display unit 110:
120: External power terminal 130: Connection terminal insertion groove
200: band portion 210: center portion
220: coupling part 300: vibration part
310: PVDF film 320: Coating layer

Claims (18)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가 돌출구비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A display unit;
A band par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isplay part and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protruding from the display part; And
And a vibration unit that is provided in the band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display unit to generate vibr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PVDF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PVDF 필름은 상기 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ibrating portion includes a PVDF film, and the PVDF film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PVDF필름의 상측에는 코팅층이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coating layer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VDF film.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에는 내측으로 단차진 진동부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진동부 결합홈에 안착되어 결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nd portion is provided with a stepped vibrating portion coupling groove inwardly, and the vibrating portion is seated and engaged with the vibrating portion coupling groov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의 양단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결합부로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nd portion is provided with a central portion to which the display portion is coupled and a coupling portion that is extended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portion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PVDF 필름은 상기 결합부의 상기 중심부와 인접하는 상면에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VDF film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adjacent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PVDF 필름은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부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VDF film is provided to cover an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밴드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vibrat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nd portion.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인입된 디스플레이부 결합홈이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display unit coupling groove which is drawn inwardly to be coupled with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band portion.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결합홈의 테두리에는 돌출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후크부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t least one hook portion protruding from an edge of the display unit coupling groove and detachably fixing the display unit.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후크부에 대응되는 측면에는 상기 후크부가 걸림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hook portion is formed to be stepped so that the hook portion is hooked on a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portion.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저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내측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위해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외부전원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결합홈의 상기 외부전원단자와 대응하는 바닥면은 관통형성되어 외부전원단자를 노출 시키는 외부전원단자 노출홀을 구비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isplay unit includes an external power terminal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charge a battery provided inside the display unit.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unit connec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power terminal is formed to pass through, And an external power terminal exposed hole for exposing the terminal.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결합홈의 테두리에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삽입결합되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격벽부가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partition wall protruding upwardly from the rim of the display unit coupling groove along the rim to form an inner space for inserting and coupling the display unit.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고무재질로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artition wall portion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저면에는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연결단자가 삽입되는 연결단자 삽입홈이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nection terminal insertion groove for receiving the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unit.
도전성의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밴드부;
상기 연결단자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상기 밴드부에 결합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밴드부의 내측에 상기 밴드부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A band portion having a conductive connection terminal;
A display unit coupled to the band unit such that the connection terminal is inserted inside; And
And a vibrating part which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band part inside the band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display part to generate vibration.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PVDF 필름으로 구비되며, 상기 PVDF 필름은 상기 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vibrating part is provided as a PVDF film, and the PVDF film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전자신호를 시각화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양측에서 연장형성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신호를 받아 진동력을 발생시키도록 PVDF(polyvinylidene fluoride)필름으로 형성되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A display unit for visualizing an electronic signal;
A band portion having a central portion in which the display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and a coupling portion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And
And a vibrating part which is provided in the band part and is formed of a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film so as to generate vibration power by receiving a signal of the display part.
KR1020150016924A 2015-02-03 2015-02-03 Wearable device KR1016893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924A KR101689368B1 (en) 2015-02-03 2015-02-03 Wear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924A KR101689368B1 (en) 2015-02-03 2015-02-03 Wearab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535A true KR20160095535A (en) 2016-08-11
KR101689368B1 KR101689368B1 (en) 2016-12-26

Family

ID=56714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924A KR101689368B1 (en) 2015-02-03 2015-02-03 Wear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36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656A (en) * 2017-11-10 201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module system hav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362B1 (en) * 2013-04-04 2014-09-17 주식회사 이도링크 A smart watch and its control method
KR101450623B1 (en) * 2014-04-29 2014-10-15 김진호 Oscillation Watch Device, Band Watch and the Time Recognize Method ther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362B1 (en) * 2013-04-04 2014-09-17 주식회사 이도링크 A smart watch and its control method
KR101450623B1 (en) * 2014-04-29 2014-10-15 김진호 Oscillation Watch Device, Band Watch and the Time Recognize Method ther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656A (en) * 2017-11-10 201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module system having the same
US11611224B2 (en) 2017-11-10 2023-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module system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368B1 (en) 201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784B1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10113875B2 (en)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JP5426714B2 (en) Electronics
WO2019052332A1 (en) Display screen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US1183741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 button
EP2773083A2 (en) Fixation of the battery with a metal plate to the housing of an electronic device
CN108600425B (en) Display screen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30141225A1 (en) Haptic feedback device
WO2016088643A1 (en) Module and electronic key using module
US11729918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removable adhesive member
EP3467701A1 (en) Fingerprint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1689368B1 (en) Wearable device
ES2758099T3 (en) Protective case and an electronic device that has it
CN109785752A (en) Display device
US10670888B1 (en) Head-mounted wearable device with integrated circuitry
TW201830783A (en) Display assembly connector device
US10179536B2 (en) Illumination apparatus
US11600900B2 (en) Electronic device
WO2016104131A1 (e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unit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same
KR20220039004A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85091B1 (en) Display device
KR101930465B1 (en) Electronics device
JP2007207473A (en) Electronic apparatus
JP2014045295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180046790A (en) Flexible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