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514A -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514A
KR20160094514A KR1020150015125A KR20150015125A KR20160094514A KR 20160094514 A KR20160094514 A KR 20160094514A KR 1020150015125 A KR1020150015125 A KR 1020150015125A KR 20150015125 A KR20150015125 A KR 20150015125A KR 20160094514 A KR20160094514 A KR 20160094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coil
receiving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3191B1 (ko
Inventor
부재호
오성호
김태조
김형섭
박소정
Original Assignee
한솔테크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테크닉스(주) filed Critical 한솔테크닉스(주)
Priority to KR102015001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191B1/ko
Priority to PCT/KR2015/011731 priority patent/WO2016122088A1/ko
Publication of KR2016009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Y02B30/8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일정량의 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무선 전력 전송용 송신부를 구성하고, 용기내의 물 위에 부양되는 초음파 또는 가열식 디퓨져에는 무선 전력 전송용 수신부를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유선의 전원 라인없이 초음파 또는 가열식 디퓨져로 동작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유선 전원라인으로의 걸림현상으로 인해 초음파 또는 가열식 디퓨져의 이탈현상이나 초음파 또는 가열식 디퓨져의 이탈로부터 용기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면서 초래되는 용기내의 물이 책상이나 바닥면으로 흘러내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Humidification apparatus of radio charge base}
본 발명은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초음파 또는 가열식 디퓨져를 투입하는 가습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유선의 전원 라인없이 초음파 또는 가열식 디퓨져에 무선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퓨져(Diffuser)는 모터에 의한 강제적으로 발생된 바람 또는 열로 인한 기화현상(또는 증발현상)으로 의해 내부에 포함된 휘산성분을 공기중으로 배출하는 장치로, 최근 친환경적인 허브/아로마/피톤치드의 대중화에 따라 일반인에게도 많이 보급되고 있다.
또한, 디퓨져는 실내를 인체에 알맞은 습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가습수를 수증기로 만들어서 공기 중에 분사하는 장치로서, 전기히터 등을 이용하여 가습수를 소정 온도로 가열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히터방식과, 진동자를 이용하여 가습수를 수증기로 변환함으로써 가습을 행하는 초음파방식으로 대별된다.
그러나, 종래의 초음파 디퓨져는 수조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증가하여 휴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늘 동일한 수조와 물받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으며 수조의 세척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 10-1228598 호(공고일 2013.01.31)의 초음파 디퓨져가 개시되었다.
상기 선등록된 특허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초소형이라 휴대가 용이하며, 사용자가 자유롭게 용기를 선택 사용함으로써 세척의 번거로움 및 세균번식의 우려가 없는 초음파 디퓨져를 개시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초음파 디퓨져를 이용한 가습장치는, 초음파 디퓨져에 유선의 전원라인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용기에 일정량의 물을 투입한 후 그 물 위에 초음파 디퓨져를 부양시킬 때, 초음파 디퓨져에 연결되는 유선의 전원라인으로 인해 제품 사용이 불편하고, 유선의 전원라인 구성으로 인해 물 위에 부양되는 초음파 디퓨져의 방수 처리가 복잡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선등록된 특허는 상측몸체에 홀을 형성한 후 이 홀에 유선의 전원라인이 관통되어 내부의 회로기판(PCB)으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상기 홀에 대한 방수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물 위에 부양된 초음파 디퓨져를 수용한 용기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거나 흔들리면, 용기내의 물이 출렁거리면서 물이 홀을 통해 초음파 디퓨져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회로기판(PCB)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측몸체에 유선의 전원라인을 연결하고 이를 콘센트 또는 USB단자에 연결시, 유선의 전원라인이 하나의 장애물 요소로 작용하면서, 순간적으로 초음파 디퓨져의 유동이 발생하여 비교적 소용량의 용기가 기울거나 쓰러지고, 이로인해 용기내의 물이 책상 또는 바닥면으로 흘러 내리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일정량의 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무선 전력 전송용 송신부를 구성하고, 용기내의 물 위에 부양되는 초음파 또는 가열식 디퓨져에는 무선 전력 전송용 수신부를 구성함으로써, 유선의 전원 라인없이 초음파 또는 가열식 디퓨져로 동작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유선 전원라인으로의 걸림현상으로 인해 초음파 또는 가열식 디퓨져의 이탈현상이나 초음파 또는 가열식 디퓨져의 이탈로부터 용기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면서 초래되는 용기내의 물이 책상이나 바닥면으로 흘러내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인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는, 일정량의 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내에 투입되어 물 위에 부양되면서, 초음파 진동 또는 가열식으로 가습수를 분출하는 가습부; 를 구성하되, 상기 용기부에는 외부전원을 공급받은 후 이를 무선 송신하도록 제 1 송신코일을 가지는 무선 전력 전송용의 제 1 송신부를 구성하고, 상기 가습부에는 상기 제 1 송신부로부터 무선 송신하는 전원을 무선 전력 전송방식으로 무선 수신한 후 이를 상기 가습부에 공급하도록 제 1 수신코일을 가지는 무선 전력 전송용의 제 1 수신부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부는 외부의 전원공급라인과 연결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송신부는, 제 1 송신코일을 가지며, 상기 제 1 송신코일을 통해 가습부의 제 1 수신부에 포함되는 제 1 수신코일로 전원을 무선 송신하는 제 1 전력전송기; 상기 제 1 전력전송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전력전송기에 외부전원을 변환 공급하는 제 1 전원변환부; 및, 상기 제 1 전원변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전원변환부에 의해 변환되어 상기 전력전송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 1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수신부는, 상기 제 1 수신코일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수신코일을 통해 무선 수신되는 전원량을 조절하도록 구동하는 풀브릿지 회로부; 상기 풀브릿지 회로부에 연결되고, 상기 풀브릿지 회로부로부터 조절된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에 의해 정류되는 전원을 상기 가습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전원 및 상기 정류기로부터 정류된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제 1 수신코일을 통해 무선 수신되는 전원량을 조절하여 상기 제 1 송신코일에서의 자기장 세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풀브릿지 회로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 2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부는 외부의 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제 1 부재에 수용 또는 올려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1 부재에는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외부전원이 공급시 이를 무선송신하도록 제 2 송신코일을 가지는 무선 전력 전송용의 제 2 송신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 1 송신부에는 제 1 송신코일에 더하여, 상기 제 2 송신부의 제 2 송신코일을 통해 무선 송신되는 전원을 무선의 전력전송방식으로 무선 수신하는 제 2 수신코일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송신부에는, 상기 제 2 수신코일을 가지면서 상기 전원변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변환부에 무선 수신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수신기;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용기부가 수용되는 홀더 또는 상기 용기부가 올려지는 받침대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송신부는, 제 2 송신코일을 가지며, 상기 제 2 송신코일을 통해 용기부의 제 1 송신부에 포함되는 제 2 수신코일로 전원을 무선 송신하는 제 11 전력전송기; 상기 제 11 전력전송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1 전력전송기에 외부전원을 변환 공급하는 제 11 전원변환부; 상기 제 11 전원변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1 전원변환부에 의해 변환되어 상기 제 11 전력전송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 11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습부는 초음파 진동으로 가습수를 분출하도록 초음파 발진소자를 포함하는 초음파 디퓨져인 것이다.
또한, 상기 가습부는 히터의 가열동작으로부터 가습수를 분출하는 가열식 디퓨져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송신부는 상기 용기부의 하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수신부는 상기 가습부의 내부 또는 외부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부의 측면과, 상기 가습부의 외부 측면에는 차폐제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량의 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무선 전력 전송용 송신부를 구성하고, 용기내의 물 위에 부양되는 초음파 또는 가열식 디퓨져에는 무선 전력 전송용 수신부를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유선의 전원 라인없이 초음파 또는 가열식 디퓨져로 동작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유선 전원라인으로의 걸림현상으로 인해 초음파 또는 가열식 디퓨져의 이탈현상이나 초음파 또는 가열식 디퓨져의 이탈로부터 용기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면서 초래되는 용기내의 물이 책상이나 바닥면으로 흘러내리는 문제를 방지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에 대한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에 적용되는 제 1 송신부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에 적용되는 제 1 수신부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에 적용되는 공지의 초음파 디퓨져에 대한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에 대한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에 적용되는 제 2 송신부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로 차폐제를 적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에 대한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에 적용되는 제 1 송신부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에 적용되는 제 1 수신부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에 적용되는 공지의 초음파 디퓨져에 대한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는, 일정량의 물이 수용되고 외부의 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용기부(10)와, 상기 용기부(10)내에 투입되어 물 위에 부양되면서 초음파 진동 또는 히터의 가열동작으로부터 가습수를 분출하도록 초음파 발진소자(21)를 포함하는 초음파 디퓨져 또는 히터(미도시)를 포함하는 가열식 디퓨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가습부(20)를 구성하되, 상기 용기부(10)에는 외부전원을 공급받은 후 이를 무선 송신하도록 제 1 송신코일(30a)을 가지는 무선 전력 전송용의 제 1 송신부(30)를 구성하고, 상기 가습부(20)에는 상기 제 1 송신부(30)로부터 무선 송신하는 전원을 무선 전력 전송방식으로 무선 수신한 후 이를 상기 가습부(20)의 초음파 디퓨져의 초음파발진소자(21) 또는 가열식 디퓨져의 히터(미도시)에 공급하도록 제 1 수신코일(40a)을 가지는 무선 전력 전송용의 제 1 수신부(40)를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습부(20)를 초음파 디퓨져로 구성하는 경우,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가습수를 외부로 분출하기 위한 배출구(22a)가 형성된 상측몸체(22)와, 상기 상측몸체(22)와 결합이 이루어지고 물 유입을 위한 유입구(23a)가 형성된 하측몸체(23)와, 상기 하측몸체(23)내의 기판(PCB)(24)에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측몸체(23)의 유입구(23a)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초음파 진동으로 미세입자의 가습수로 변환시키는 초음파발진소자(21), 그리고 상기 미세입자의 가습수를 상기 배출구(22a)로 가이드하는 배출부(25)를 포함하는 것이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초음파 발진소자(21)를 히터로 대체한 가열식 디퓨져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상기 기판(24)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초음파발진소자(21) 또는 히터에는 상기 제 1 수신부(40)로부터 무선 수신한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용기부(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송신부(30)는 제 1 전력전송기(31)와, 제 1 전원변환부(32), 그리고 제 1 제어부(33)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전력전송기(31)는 제 1 송신코일(30a)을 가지며, 상기 제 1 송신코일(30a)을 통해 상기 가습부(20)의 제 1 수신부(40)에 포함되는 제 1 수신코일(40b)로 전원을 무선 송신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 1 전원변환부(32)는 상기 제 1 전력전송기(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전력전송기(31)에 외부전원을 변환 공급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 1 제어부(33)는 상기 제 1 전원변환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전원변환부(32)에 의해 변환되어 상기 제 1 전력전송기(31)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습부(20)에 구성되는 제 1 수신부(40)는 풀브릿지 회로부(41)와 정류기(42) 및 출력부(43)와 제 2 제어부(44)를 포함하게 되는데, 이러한 각 구성요소들은 상기 가습부(20)에 구성되는 기판(PCB)(24)에 구성하거나, 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별도의 회로기판에 구성한 후 이를 상기 가습부(20)에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풀브릿지 회로부(41)는 상기 제 1 수신코일(40a)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수신코일(40a)을 통해 무선 수신되는 전원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 2 제어부(44)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것이다.
상기 정류기(42)는 상기 풀브릿지 회로부(41)에 연결되고, 상기 풀브릿지 회로부(41)로부터 조절된 전원을 정류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출력부(43)는 상기 정류기(42)에 의해 정류되는 전원을 가습부(20)를 구성하는 초음파 디퓨져의 초음파발진소자(21) 또는 가열식 디퓨져의 히터로 출력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 2 제어부(44)는 상기 출력부(43)로부터 출력된 전원 및 상기 정류기(42)로부터 정류된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제 1 수신코일(40a)을 통해 무선 수신되는 전원량을 조절하여 상기 제 1 송신코일(30a)에서의 자기장 세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풀브릿지 회로부(4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우선 용기부(10)에 일정량의 물을 투입한 후, 그 물 위에 초음파발진소자(21)를 포함하는 초음파 디퓨져 또는 히터를 포함하는 가열식 디퓨져로 이루어진 가습부(20)를 올려 부양시킨다.
이후,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용기부(10)에 마련되는 전원스위치를 온 시키면, 외부의 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되면서 상기 용기부(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 1 송신부(30)는 외부전원을 무선 송신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송신부(30)에 포함되는 제 1 전원변환부(32)는 제 1 제어부(33)의 제어동작에 따라 외부전원을 변환한 후 이를 제 1 전력전송기(31)에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전력전송기(31)는 제 1 송신코일(30a)을 통해 상기 가습부(20)에 구성되는 제 1 수신부(40)의 제 1 수신코일(40a)로 전원을 무선 송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수신코일(40a)은 무선전력전송방식으로 전원을 무선 수신하게 되는데, 상기 가습부(20)에 구성되는 제 1 수신부(40)에 포함되는 풀브릿지 회로부(41)는 제 2 제어부(4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수신코일(40a)을 통해 무선전력전송방식으로 무선 수신되는 전원량을 조절하도록 구동하게 되고, 상기 제 1 수신부(40)에 포함되는 정류기(42)는 상기 풀브릿지 회로부(41)로부터 조절된 전원을 정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수신부(40)에 포함되는 출력부(43)는 상기 정류기(42)에 의해 정류되는 전원을 가습부(20)를 구성하는 초음파 디퓨져의 초음파발진소자(21) 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열식 디퓨져의 히터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초음파발진소자(21)의 초음파 진동 또는 히터의 가열동작으로부터 물이 미세입자의 가습수로 변환된 후 가습부(20)의 배출구(2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실내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이는 용기부(10)에 외부의 전원공급라인을 연결하지 않고, 외부의 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제 1 부재(50)인 홀더부재 또는 받침부재에 상기 용기부(10)가 수용 또는 올려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부재(50)에는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외부전원이 공급시 이를 무선송신하도록 제 2 송신코일(300a)을 가지는 무선 전력 전송용의 제 2 송신부(300)를 구성한 것이고, 상기 제 1 송신부(30)에는 제 1 송신코일(30a)에 더하여, 상기 제 2 송신부(300)의 제 2 송신코일(300a)을 통해 무선 송신되는 전원을 무선전력전송방식으로 무선 수신하는 제 2 수신코일(30b)을 더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 1 송신부(30)에는 상기 제 2 수신코일(30b)을 가지면서 상기 전원변환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변환부(32)에 무선 수신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수신기(34)를 더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송신부(300)는 제 2 송신코일(300a)을 가지며, 상기 제 2 송신코일(300a)을 통해 용기부(10)의 제 1 송신부(30)에 포함되는 제 2 수신코일(30b)로 전원을 무선 송신하는 제 11 전력전송기(301)와, 상기 제 11 전력전송기(3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1 전력전송기(301)에 외부전원을 변환 공급하는 제 11 전원변환부(302), 그리고 상기 제 11 전원변환부(3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1 전원변환부(302)에 의해 변환되어 상기 제 11 전력전송기(301)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 11 제어부(303)를 구성하여둔 것이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는 첨부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제 1 부재(50)에 용기부(10)를 수용 또는 올려 놓은 상태에서, 상기 용기부(10)에 일정량의 물을 투입한 후, 그 물 위에 가습부(20)를 올려 부양시킨다.
이후,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용기부(10)에 마련되는 전원스위치를 온 시키면, 외부의 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제 1 부재(50)에 형성된 제 2 송신부(300)는 외부전원을 무선 송신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 송신부(300)에 포함되는 제 11 전원변환부(302)는 제 11 제어부(303)의 제어동작에 따라 외부전원을 변환한 후 이를 제 11 전력전송기(301)에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1 전력전송기(301)는 제 2 송신코일(300a)을 통해 용기부(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 1 송신부(30)의 제 2 수신코일(30b)로 전원을 무선 송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수신코일(30b)은 전력수신기(34)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므로, 상기 전력수신기(34)는 상기 제 2 수신코일(30b)에서 무선전력전송방식으로 무선 수신한 전원을 제 1 송신부(30)에 포함되는 제 1 전원변환부(32)로 출력하게 되고, 상기 제 1 전원변환부(32)는 제 1 제어부(33)의 제어동작에 따라 무선 수신된 전원을 변환한 후 이를 제 1 전력전송기(31)에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전력전송기(31)는 제 1 송신코일(30a)을 통해 상기 가습부(20)에 구성되는 제 1 수신부(40)의 제 1 수신코일(40a)로 전원을 무선 송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수신코일(40a)은 무선전력전송방식으로 전원을 무선 수신하게 되는데, 상기 가습부(20)에 구성되는 제 1 수신부(40)에 포함되는 풀브릿지 회로부(41)는 제 2 제어부(4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수신코일(40a)을 통해 무선전력전송방식으로 무선 수신되는 전원량을 조절하도록 구동하게 되고, 상기 제 1 수신부(40)에 포함되는 정류기(42)는 상기 풀브릿지 회로부(41)로부터 조절된 전원을 정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수신부(40)에 포함되는 출력부(43)는 상기 정류기(42)에 의해 정류되는 전원을 상기 가습부(20)를 구성하게 되는 초음파 디퓨져의 초음파발진소자(21) 또는 가열식 디퓨져의 히터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초음파발진소자(21)의 초음파 진동 또는 히터의 가열동작으로부터 물이 미세입자의 가습수로 변환된 후 가습부(20)의 배출구(22a)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면서, 실내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로, 이는 용기부(10)의 측면에 제 1 송신부(30)의 제 1 송신코일(30a)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송신코일(30a)에 인접하게 차폐제(60)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가습부(20)의 외부 측면에 제 1 수신부(40)의 제 1 수신코일(40a)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수신코일(40a)에 인접하게 차폐제(60')를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는 상기 용기부(10)와 가습부(20)에 제 1 송신코일(30a)과 제 1 수신코일(40a)을 구성하여 무선 전력 전송시, 전력의 무선 전송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파의 위해요소가 사용자가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전자파 차폐용의 차폐제(60)(60')를 구성하여둔 것이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인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용기부 20; 가습부
21; 초음파발진소자 30; 제 1 송신부
30a; 제 1 송신코일 30b; 제 2 수신코일
31; 제 1 전력전송기 32; 제 1 전원변환부
33; 제 1 제어부 34; 전력수신기
40; 제 1 수신부 40a; 제 1 수신코일
41; 풀브릿지 회로부 42; 정류기
43; 출력부 44; 제 2 제어부
50; 제 1 부재 60,60'; 차폐제
300; 제 2 송신부 300a; 제 2 송신코일
301; 제 11 전력전송기 302; 제 11 전원변환부
303; 제 11 제어부

Claims (14)

  1. 일정량의 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내에 투입되어 물 위에 부양되면서, 초음파 진동 또는 가열식으로 가습수를 분출하는 가습부; 를 구성하되,
    상기 용기부에는 외부전원을 공급받은 후 이를 무선 송신하도록 제 1 송신코일을 가지는 무선 전력 전송용의 제 1 송신부를 구성하고,
    상기 가습부에는 상기 제 1 송신부로부터 무선 송신하는 전원을 무선 전력 전송방식으로 무선 수신한 후 이를 상기 가습부에 공급하도록 제 1 수신코일을 가지는 무선 전력 전송용의 제 1 수신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외부의 전원공급라인과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부는,
    제 1 송신코일을 가지며, 상기 제 1 송신코일을 통해 상기 가습부의 제 1 수신부에 포함되는 제 1 수신코일로 전원을 무선 송신하는 제 1 전력전송기;
    상기 제 1 전력전송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전력전송기에 외부전원을 변환 공급하는 제 1 전원변환부; 및,
    상기 제 1 전원변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전원변환부에 의해 변환되어 상기 전력전송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 1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부는,
    상기 제 1 수신코일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수신코일을 통해 무선 수신되는 전원량을 조절하도록 구동하는 풀브릿지 회로부;
    상기 풀브릿지 회로부에 연결되고, 상기 풀브릿지 회로부로부터 조절된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에 의해 정류되는 전원을 상기 가습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전원 및 상기 정류기로부터 정류된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제 1 수신코일을 통해 무선 수신되는 전원량을 조절하여 상기 제 1 송신코일에서의 자기장 세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풀브릿지 회로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 2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외부의 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제 1 부재에 수용 또는 올려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1 부재에는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외부전원이 공급시 이를 무선송신하도록 제 2 송신코일을 가지는 무선 전력 전송용의 제 2 송신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 1 송신부에는 제 1 송신코일에 더하여, 상기 제 2 송신부의 제 2 송신코일을 통해 무선 송신되는 전원을 무선의 전력전송방식으로 무선 수신하는 제 2 수신코일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부에는 상기 제 2 수신코일을 가지면서 상기 전원변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변환부에 무선 수신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수신기;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용기부가 수용되는 홀더 또는 상기 용기부가 올려지는 받침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부는,
    제 2 송신코일을 가지며, 상기 제 2 송신코일을 통해 용기부의 제 1 송신부에 포함되는 제 2 수신코일로 전원을 무선 송신하는 제 11 전력전송기;
    상기 제 11 전력전송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1 전력전송기에 외부전원을 변환 공급하는 제 11 전원변환부; 및,
    상기 제 11 전원변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1 전원변환부에 의해 변환되어 상기 제 11 전력전송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 11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부는 초음파 진동으로 가습수를 분출하도록 초음파 발진소자를 포함하는 초음파 디퓨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부는 히터의 가열동작으로부터 가습수를 분출하는 가열식 디퓨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부는 상기 용기부의 하면 또는 측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부는 상기 가습부의 내부 또는 외부 측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측면에는 차폐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부의 외부 측면에는 차폐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KR1020150015125A 2015-01-30 2015-01-30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KR101663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125A KR101663191B1 (ko) 2015-01-30 2015-01-30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PCT/KR2015/011731 WO2016122088A1 (ko) 2015-01-30 2015-11-04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125A KR101663191B1 (ko) 2015-01-30 2015-01-30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514A true KR20160094514A (ko) 2016-08-10
KR101663191B1 KR101663191B1 (ko) 2016-10-07

Family

ID=5654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125A KR101663191B1 (ko) 2015-01-30 2015-01-30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3191B1 (ko)
WO (1) WO201612208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045B1 (ko) * 2017-12-21 2019-01-25 주식회사 파워리퍼블릭 자기공진 무선전력전송 초음파 가습장치
KR20200075590A (ko) * 2018-12-18 2020-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공급장치 및 무선전력공급장치가 구비된 가습청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043B1 (ko) 2017-12-21 2019-01-16 주식회사 파워리퍼블릭 자기공진 무선전력전송 초음파 가습장치
CN108826562A (zh) * 2018-03-21 2018-11-16 安徽三弟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全方位喷雾迷你加湿器
CN109631261A (zh) * 2018-12-24 2019-04-16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风扇、加湿器及空气调节系统
EP3940389A4 (en) * 2019-03-12 2022-04-27 FUJIFILM Corporation HOUSING HOUSING, HOUSING HOUSING STACK AND METHOD FOR OPERATING A MICROFLUIDIC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9326A (ko) * 2010-12-20 2012-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효율 정류기, 상기 정류기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 장치
KR101228598B1 (ko) * 2012-06-28 2013-01-31 김창덕 초음파 디퓨져
KR20130078263A (ko) * 2011-12-30 2013-07-10 한국과학기술원 근거리 통신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446866B1 (ko) * 2013-04-16 2014-10-06 정윤도 고온 초전도 코일을 이용한 무선전력전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573A (ko) * 2003-09-15 2005-03-21 서동신 물에 띄우는 초음파 가습기
KR20090040702A (ko) * 2007-10-22 2009-04-27 남건우 무선 충전을 이용한 발열 용기
US9225391B2 (en) * 2012-03-19 2015-12-29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9326A (ko) * 2010-12-20 2012-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효율 정류기, 상기 정류기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 장치
KR20130078263A (ko) * 2011-12-30 2013-07-10 한국과학기술원 근거리 통신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228598B1 (ko) * 2012-06-28 2013-01-31 김창덕 초음파 디퓨져
KR101446866B1 (ko) * 2013-04-16 2014-10-06 정윤도 고온 초전도 코일을 이용한 무선전력전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045B1 (ko) * 2017-12-21 2019-01-25 주식회사 파워리퍼블릭 자기공진 무선전력전송 초음파 가습장치
KR20200075590A (ko) * 2018-12-18 2020-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공급장치 및 무선전력공급장치가 구비된 가습청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191B1 (ko) 2016-10-07
WO2016122088A1 (ko)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191B1 (ko)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가습장치
KR101392236B1 (ko) 무선 초음파 가습기
KR101228598B1 (ko) 초음파 디퓨져
US10591172B2 (en) Floating type humidifier using vertical power transmission system
CN106322614A (zh) 一种可播放音乐的人机互动型加湿器
US11918931B2 (en) Microbubble-producing device
EP3225765A1 (en) Intelligent pool apparatus
KR20180086787A (ko) 음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링형 초음파 가습기
US20040255375A1 (en)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spas and hot tubs
CN206499736U (zh) 一种多功能便携式超声科用雾化器
CN110319521B (zh) 一种带有监测器的加湿器
JP7383518B2 (ja) 加湿器
JP2021131205A (ja) 加湿器
KR20190017125A (ko) 방수형 무선 가습기
CN207948613U (zh) 一种景观生态鱼缸
KR102575865B1 (ko) 무선 가습기 세트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43069B1 (ko) 가습청정장치 및 그 방법
JP2008540987A (ja) 改良電気ラジエータ
KR102629988B1 (ko) 무선 가습기 세트
JPH11511545A (ja) 部屋の体積により適正量の水分を部屋内部に供給するための加湿器制御方法
CN202792362U (zh) 一种加湿器
CN105430960B (zh) 一种带有散热功能的智能遥控器
CN208241361U (zh) 一种用于水上漂浮光伏电站的水下放电板
KR101292303B1 (ko) 초음파 디퓨져의 공기배출장치
CN219092532U (zh) 导雾装置及具有其的雾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