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237A - La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 구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La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 구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237A
KR20160094237A KR1020150015614A KR20150015614A KR20160094237A KR 20160094237 A KR20160094237 A KR 20160094237A KR 1020150015614 A KR1020150015614 A KR 1020150015614A KR 20150015614 A KR20150015614 A KR 20150015614A KR 20160094237 A KR20160094237 A KR 20160094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sequence
transmission
wireless communication
serving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to KR1020150015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4237A/ko
Publication of KR20160094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LA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 구성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면허(licensed)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unlicensed) 대역의 서빙셀 간에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방법은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UL DM-RS: Up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해당 서브프레임 내에서 일부 심볼들이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해당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2개의 슬롯 중 어느 하나의 슬롯 내의 UL DM-RS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기 UL DM-RS 시퀀스를 매핑하여 UL DM-RS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된 UL DM-RS와 상기 해당 서브프레임의 이전 또는 다음 서브프레임의 인접한 슬롯의 UL DM-RS 간에는 직교 커버 코드(OCC: Orthogonal Cover Code)가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LA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 구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UP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LICENSED ASSISTED ACCESS}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AA(Licensed Assisted Access)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uplink)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cellular)는 서비스 지역의 제한, 주파수 및 가입자 수용 용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안된 개념으로서, 이동통신 서비스 지역을 여러 개의 작은 셀(cell)단위로 나눠서 공간적으로 주파수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셀 내부의 핫스팟(hotspot)과 같은 특정 지역에서는 특별히 많은 통신 수요가 발생하고, 셀 경계(cell edge) 또는 커버리지 홀(coverage hole)과 같은 특정 지역에서는 전파의 수신 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에 핫스팟, 셀 경계, 커버리지 홀 등에서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크로 셀(Macro Cell)내에는 스몰 셀(small cell)들, 예를 들어, 피코 셀(Pico Cell), 펨토 셀(Femto Cell), 마이크로 셀(Micro Cell),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 릴레이(relay), 중계기(repeater)등이 함께 설치된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라 부른다.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상대적으로 매크로 셀은 커버리지(coverage)가 큰 셀(large cell)이고, 펨토 셀과 피코 셀과 같은 스몰 셀은 커버리지가 작은 셀이다.
무선 통신 트래픽이 급증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소형 셀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보다 많은 주파수 확보가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을 기반으로 면허 대역(licensed band) 뿐 아니라 WiFi 대역과 같은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의 주파수들을 활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여기서, CA란 조각난 작은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로 주파수 영역에서 물리적으로 연속(continuous) 또는 비연속적인(non-continuous) 다수 개의 밴드를 묶어 논리적으로 큰 대역의 밴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비면허 대역의 경우, 무선 통신 장치들이 동일 채널에서 동시에 전송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피하기(avoid) 위해서 경쟁적 접근(access)을 허용하고 있다. 따라서,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고자 하는 무선 통신 장치는 해당 채널을 사용하기 전에 채널 접속 기회를 획득해야 한다. 상기 채널 접속 기회는 해당 채널에 대한 에너지 스캔 또는 탐지(detection)을 통하여 해당 채널이 붐비는(busy) 상태인지 휴지(idle)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절차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비면허 대역의 경우 무선 자원을 연속적으로 점유할 수 없기 때문에 서브프레임(subframe) 내의 모든 심볼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서브프레임 내의 모든 심볼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를 구성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LA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프레임 내의 모든 심볼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면허(licensed)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unlicensed) 대역의 서빙셀 간에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방법은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UL DM-RS: Up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해당 서브프레임 내에서 일부 심볼들이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해당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2개의 슬롯(slot) 중 어느 하나의 슬롯 내의 UL DM-RS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기 UL DM-RS 시퀀스를 매핑하여 UL DM-RS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된 UL DM-RS와 상기 해당 서브프레임의 이전 또는 다음 서브프레임의 인접한 슬롯의 UL DM-RS 간에는 직교 커버 코드(OCC: Orthogonal Cover Code)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면허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 간에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는 UL DM-RS 시퀀스를 생성하고, 해당 서브프레임 내에서 일부 심볼들이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해당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2개의 슬롯 중 어느 하나의 슬롯 내의 UL DM-RS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기 UL DM-RS 시퀀스를 매핑하여 UL DM-RS를 구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구성된 UL DM-RS를 전송하는 RF(Radio Frequency) 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구성된 UL DM-RS와 상기 해당 서브프레임의 이전 또는 다음 서브프레임의 인접한 슬롯의 UL DM-RS 간에는 OCC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면허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 간에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채널 측정 방법은 UL DM-RS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UL DM-RS를 복호함으로써 제1 UL DM-RS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UL DM-RS로부터 획득한 제1 UL DM-RS 시퀀스와 미리 규정된 방식에 따라 생성된 제2 UL DM-RS 시퀀스를 비교하여 채널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한 UL DM-RS는 해당 서브프레임 내에서 일부 심볼들이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해당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2개의 슬롯 중 어느 하나의 슬롯 내의 UL DM-RS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기 제1 UL DM-RS 시퀀스를 매핑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구성된 UL DM-RS와 상기 해당 서브프레임의 이전 또는 다음 서브프레임의 인접한 슬롯의 UL DM-RS 간에는 OCC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면허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 간에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는 UL DM-RS를 수신하는 RF 부 및 상기 수신한 UL DM-RS를 복호함으로써 제1 UL DM-RS 시퀀스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UL DM-RS 시퀀스와 미리 규정된 방식에 따라 생성된 제2 UL DM-RS 시퀀스를 비교하여 채널을 측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한 UL DM-RS는 해당 서브프레임 내에서 일부 심볼들이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해당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2개의 슬롯 중 어느 하나의 슬롯 내의 UL DM-RS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기 제1 UL DM-RS 시퀀스를 매핑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구성된 UL DM-RS와 상기 해당 서브프레임의 이전 또는 다음 서브프레임의 인접한 슬롯의 UL DM-RS 간에는 OCC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면허 대역에서 효율적으로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유연하게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AA 배치 시나리오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상향링크만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동시에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 모든 심볼들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 가능한 경우 UL DM-RS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일부 심볼이 UL 전송에 사용되는 경우 UL DM-RS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망 구조는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 구조일 수 있다. E-UMTS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 FDMA(Single Carrier- 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S),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eNodeB (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 기지국(Femto eNodeB), 가내 기지국(Home eNodeB: HeNodeB), 릴레이(relay),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적어도 하나의 셀(cell)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셀은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과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셀은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과 선택적인(optional)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의 조합(combination)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하나의 셀은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 및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이 항상 쌍(pair)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는 순방향 링크(forward link)라고도 하며, 상향링크는 역방향 링크(reverse link)라고도 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 방식으로서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은 복수의 반송파를 지원하는 것으로서, 스펙트럼 집성 또는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이라고도 한다. 반송파 집성에 의해 묶이는 개별적인 단위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C: Component Carrier)라고 한다. 각 요소 반송파는 대역폭과 중심 주파수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20MHz 대역폭을 갖는 반송파 단위의 그래뉼래리티(granularity)로서 5개의 요소 반송파가 할당된다면, 최대 100Mhz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 다중 반송파(multiple carrier) 시스템이라 함은 반송파 집성(CA)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서빙셀(serving cell)은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에 기반하여 CA에 의해 집성될 수 있는 요소 주파수 대역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서빙셀에는 주서빙셀(PCell: primary serving cell)과 부서빙셀(SCell: secondary serving cell)이 있다. 주서빙셀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establishment) 또는 재연결(re-establishment) 상태에서, 보안입력(security input)과 NAS(Non-Access Stratum) 이동 정보(mobility information)을 제공하는 하나의 서빙셀을 의미한다. 단말의 성능(capabilities)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셀이 주서빙셀과 함께 서빙셀의 집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을 부서빙셀이라 한다. 하나의 단말에 대해 설정된 서빙셀의 집합은 하나의 주서빙셀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주서빙셀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서빙셀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운용될 수 있다.
이하 LAA(License Assisted Access)라 함은 면허 대역 또는 스펙트럼(spectrum)에서 동작하는 주서빙셀의 보조를 기반으로 비면허 대역 또는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서빙셀들에 대한 CA 동작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기법을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LAA는 LTE 면허 대역을 앵커(anchor)로 하여, 면허 대역과 비면허 대역을 CA를 이용하여 하나로 묶는 기술이다. 이 경우 면허 대역 내 서빙셀들 중 하나가 주서빙셀로 사용되고 비면허 대역내 서빙셀들은 항상 부서빙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면허 대역은 CA를 통해서만 활성화되고 단독으로는 LTE 통신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면허 대역으로 망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기지국이 상황에 따라 면허 대역과 비면허 대역을 CA로 결합하여 면허 대역의 트래픽(traffic)을 비면허 대역으로 오프로딩(offloading)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AA 배치 시나리오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시나리오들에서 면허 반송파(licensed carrier) 및 비면허 반송파(unlicensed carrier)의 수는 각각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시나리오 1은 면허 반송파인 F1(frequency 1)을 사용하는 매크로 셀과, 비면허 반송파인 F3을 사용하는 스몰 셀이 반송파 집성(CA)으로 연결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매크로 셀과 상기 스몰 셀은 서로 다른 장소에 배치될(non-co-located) 수 있고, 서로 이상적 백홀(ideal backhual)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시나리오 2는 매크로 셀 커버리지 없이(without macro cell coverage) 면허 반송파인 F2를 사용하는 스몰 셀#1과 비면허 반송파인 F3을 사용하는 스몰 셀#2가 반송파 집성으로 연결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스몰 셀#1과 상기 스몰 셀#2는 서로 동일장소에 배치될(co-located) 수 있고, 서로 이상적 백홀로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시나리오 3은 면허 반송파인 F1을 사용하는 매크로 셀과 스몰 셀#1이 있고, 상기 스몰 셀#1과 비면허 반송파인 F3을 사용하는 스몰 셀#2가 반송파 집성으로 연결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매크로 셀과 상기 스몰 셀#1은 서로 이상적 또는 비이상적(non-ideal) 백홀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스몰 셀#1과 상기 스몰 셀#2는 서로 이상적 백홀로 연결될 수 있고 서로 동일장소에 배치될(co-located)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시나리오 4는 면허 반송파인 F1을 사용하는 매크로 셀, 면허 반송파인 F2를 사용하는 스몰 셀#1, 비면허 반송파인 F3을 사용하는 스몰 셀#2가 있고, 스몰 셀#1과 스몰 셀#2가 반송파 집성으로 연결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매크로 셀과 상기 스몰 셀#1은 서로 이상적 또는 비이상적(non-ideal) 백홀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스몰 셀#1과 상기 스몰 셀#2은 서로 이상적 백홀로 연결될 수 있고 서로 동일장소에 배치될(co-located)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매크로 셀과 상기 스몰 셀#1이 서로 이상적 백홀로 연결된 경우, 상기 매크로 셀(F1), 상기 스몰 셀#1(F2) 및 상기 스몰 셀#2(F3) 간에 반송파 집성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규정들을 따라야 할 필요가 있다. 각각의 규정들은 국가별/지역별로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국가별/지역별로 서로 다른 값의 기준을 가질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의 명목상(nominal)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은 5MHz 이상이며, 명목상 채널 대역폭의 약 80%에서 100%까지를 실제 전송을 위해 차지되는(occupied) 채널 대역폭으로써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전체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효율을 위하여 LA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20MHz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비면허 대역 내에서 무선 통신 장치들 간의 간섭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장치들이 적어도 일정 레벨(예를 들어, 적어도 3dB)의 전력 제어를 수행해야 한다. LA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송 파워 제어(Transmit Power Control)를 통해 해당 규정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DFS(Dynamic Frequency Selection) 동작을 고려해야 한다. DFS의 목적은 레이더(radar) 시스템들과의 간섭을 회피하고, 5GHz 등의 대역에서 거의 균일한(near-uniform) 부하를 이루기(achieve) 위한 것이다. DFS 절차에서 초 단위와 같은 상대적으로 늦은(slow) 시간 스케일(time scale)을 고려하는 경우, DFS 요구사항은 다음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파라미터(parameters) 요구사항(requirement)
DFS 임계(threshold) 지역 특유(Region Specific)
채널 가용성 체크(channel availability check) > 60초
채널 이동 시간(channel move time) < 10초
비사용 시간(non-occupancy time) > 30분
표 1과 같은 DFS 요구사항은 모두 긴 주기 값들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LA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서빙셀 비활성(deactivation) 또는 비구성(deconfiguration))을 통해 해당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킬 수 있다.
한편, 비면허 대역 내에는 많은 반송파들이 존재하고 이들이 다양한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기 때문에, 송신기들 간의 공평한 사용과 서로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서는 사용되고 있지 않은 반송파를 적절하게 선택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비면허 대역은 기지국 또는 단말이 경쟁을 기반으로 채널 접속 기회를 획득하는 과정을 허용한다. 경쟁 기반의 채널 접속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 접속 메커니즘(channel access mechanism)은 다음을 포함한다.
비면허 대역에 대한 경쟁 기반 채널 접속 메커니즘은 기회적(opportunistic) 채널 접속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기지국 등의 무선 통신 장치는 해당 채널을 사용하기 전에 CCA(Clear Channel Assessment) 또는 ECCA(Extended Clear Channel Assessment)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다른 RLAN(Radio Local Area Network) 시스템들과 동일 채널에서 동시에 발생하는(concurrent) 전송을 피하기(avoid) 위해서이다. 여기서 CCA 또는 ECCA는 해당 채널에 대한 에너지 스캔 또는 탐지(detection)을 통하여 해당 채널이 채널간섭 또는 점유 또는 채널 비점유 상태인지, 즉 해당 채널이 붐비는(busy) 상태인지 휴지(idle)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절차다. 이와 같은 경쟁 기반 채널 접속 매커니즘은 LBT(Listen Before Talk) 또는 반송파 감지(CS: Carrier Sensing)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도 2는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LBT 프로토콜(protocol) 하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해당 채널에서 측정된 에너지를 기반으로 해당 채널이 전송을 위하여 가용한지(available)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LBT는 프레임 기반(frame based) 또는 로드 기반(load based)으로 수행될 수 있다.
프레임 기반 LBT의 경우, LBT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하여 CCA, 확장(extended) CCA, 채널 사용 시간(channel occupancy time), 휴지 시간(idle time), CCA 에너지 탐지 임계(energy detection threshold)와 같은 파라미터들이 정의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프레임 기반 LBT를 위한 프레임 구조는 채널 사용 시간과 휴지 시간 및 CCA로 정의되는 고정된 프레임 주기(fixed frame period)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채널 사용 시간은 1ms 내지 10ms일 수 있으며, 상기 CCA는 20us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휴지 시간과 상기 CCA를 위한 프레임 구조 상의 시간 길이는 상기 채널 사용 시간 보다 최소한 5% 커야 한다. 여기서, CCA는 하나의 고정된 프레임 주기 내에서 한번만 수행된다.
반면, 로드 기반 LBT의 경우에는 프레임 기반 LBT와는 다르게 특정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언제든지 정해진 CCA 동작을 수행하여 채널 점유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랜덤으로 선택된 N개의 CCA 동안(ECCA) 채널이 점유되지 않으면 해당 무선 통신 장치가 채널을 점유할 수 있다.
도 3은 상향링크만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LTE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기 위하여 LBT를 적용하는 경우, 고정된 프레임 주기가 4ms이면 상향링크만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는 그 예로써 도 3과 같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매 4ms 단위로 CCA를 포함하는 휴지 시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4개의 서브프레임 마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는 상향링크를 위해서 사용하지 못하는 심볼들이 존재하게 된다.
도 4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동시에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LTE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기 위하여 LBT를 적용하는 경우,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동시에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는 그 예로써 도 4와 같을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향링크 위한 고정된 프레임 주기가 약 2ms이고, 상향링크를 위한 고정 프레임 주기가 약 3ms이면, 서브프레임 #4 및 서브프레임 #9 내의 심볼들 중 일부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시간으로 인해 상향링크를 위해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향링크 위한 고정된 프레임 주기가 약 4ms이고, 상향링크를 위한 고정 프레임 주기가 약 2ms이면, 서브프레임 #3 내의 심볼들 중 일부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시간으로 인해 상향링크를 위해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도 4(b)에는 일 예로 하향링크를 위한 고정된 프레임 주기 내의 마지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가 각각 같아지도록 하기 위하여 서브프레임 #7의 마지막 1개 또는 2개의 심볼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사용되지 않는 심볼은 필요에 따라 하향링크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로드 기반의 LBT의 경우 다수의 CCA(ECCA)로 인해 보다 많은 심볼들을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도 5는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면허 대역에서는 경쟁 기반 채널 접속 메커니즘으로 인해 예측되지 않는 시간에 언제든지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전송이 시작될 수 있다. 그러나, LTE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전송이 프레임을 기반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는 도 5(a)에서와 같이 휴지 시간에 반송파 감지(CS)를 통해 채널을 획득하여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와 같은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도 5(b)에서의 제1 영역(500)에서도 PUSCH를 전송할 수 있다면 보다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채널이 획득되었을 경우 점유할 수 있는 길이(예를 들어, 프레임 기반의 LBT의 채널 사용 시간)가 짧거나, 해당 채널이 붐비는(busy) 상황에서 채널이 획득되는 경우가 적을 경우 효과가 더 클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 전송은 (E)CCA를 통한 측정 결과가 소정의 임계 값(threshold)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채널 사용 시간(channel occupancy time)에 수행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수행될 수 없다. 따라서, 일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예를 들어, 제1 영역(500)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E)CCA(또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 시간)로 인해 해당 서브프레임 내 모든 심볼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 모든 심볼들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 가능한 경우 UL DM-RS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브프레임 내 모든 심볼들이 UL 전송에 사용된다면, 일반 CP(normal Cyclic Prefix)의 경우 도 6(a)와 같이 짝수 슬롯 및 홀수 슬롯의 SC-FDMA 심볼(이하 ‘심볼’이라 함) #3으로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UL DM-RS: Up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가 구성되고, 확장 CP(extended CP)의 경우 도 6(b)와 같이 짝수 슬롯 및 홀수 슬롯의 심볼 #2로 UL DM-RS가 구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심볼은 12개의 부반송파들(subcarriers)로 구성된다. 또한, 짝수 슬롯 내의 UL DM-RS와 홀수 슬롯 내의 UL DM-RS 간에는 OCC(Orthogonal Cover Code)가 적용된다. 상기 OCC는 각 레이어(layer) 간 및/또는 단말 간의 직교성을 위한 것으로, 직교 시퀀스(orthogonal sequence)라고 불릴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도 4(a)의 프레임 구조에서 서브프레임 #2, #3, #7 및 #8에는 일반 CP의 경우 도 6(a)와 같이 UL DM-RS가 구성되고, 확장 CP의 경우 도 6(b)와 같이 UL DM-RS가 구성된다.
그러나, (E)CCA는 서브프레임의 시작 시점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서브프레임의 중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6과 같은 구성으로는 (E)CCA 및/또는 휴지시간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에서 UL DM-RS를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E)CCA 및/또는 휴지 시간으로 인해 서브프레임 내 모든 심볼을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를 위해 다음과 같이 UL DM-RS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일부 심볼이 UL 전송에 사용되는 경우 UL DM-RS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예
(E)CCA 또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 시간으로 인해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모든 심볼을 UL 전송에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UL DM-RS은 상기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2개의 슬롯 중 어느 하나의 슬롯에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느 하나의 슬롯은 UL 전송에 심볼을 보다 많이 사용할 수 있는 슬롯일 수 있다. 즉, (E)CCA(또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 시간)에 포함되지 않는 슬롯일 수 있다. 이는 OCC(Orthogonal Cover Code)의 구성과 관계 없는 단일 레이어(layer) 구성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수 슬롯에 (E)CCA(또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 시간)가 포함되어 UL DM-RS를 구성할 수 없는 경우, 즉, 상기 홀수 슬롯에 UL DM-RS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이 없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 CP의 경우 짝수 슬롯의 심볼 #3을 이용하여 UL DM-RS가 구성될 수 있고, 확장 CP의 경우 짝수 슬롯의 심볼 #2를 이용하여 UL DM-RS가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짝수 슬롯에 (E)CCA(또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 시간)가 포함되어 UL DM-RS를 구성할 수 없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 CP의 경우 홀수 슬롯의 심볼 #3을 이용하여 UL DM-RS가 구성될 수 있고, 확장 CP의 경우 짝수 슬롯의 심볼 #2를 이용하여 UL DM-RS가 구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E)CCA 또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 시간으로 인해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모든 심볼을 UL 전송에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UL DM-RS은 상기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2개의 슬롯 중 어느 하나의 슬롯에서 구성되며, 이 때 주파수 축으로 OCC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UL DM-RS 시퀀스의 길이가 기존의 절반으로 줄어들며, 이 줄어드는 시퀀스의 길이를 감안하여 구성되는 PRB(Physical Resource Block)가 짝수 개일 수 있다. 여기서 PRB는 물리적인 RB(Resource Block) 구성을 의미하며, RB는 주파수 축으로는 180Khz(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캐리어의 주파수 간격이 15Khz일 경우 12개의 서브캐리어)이며 시간 축으로는 0.5ms(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에 해당하는 자원일 수가 있다.
예를 들어, 홀수 슬롯에 (E)CCA(또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 시간)가 포함되어 UL DM-RS를 구성할 수 없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 CP의 경우 짝수 슬롯의 심볼 #3을 기반으로 OCC를 이용하여 UL DM-RS를 구성할 수 있고, 확장 CP의 경우 짝수 슬롯의 심볼 #2를 기반으로 OCC를 이용하여 UL DM-RS를 구성할 수 있다. 반대로, 짝수 슬롯에 (E)CCA(또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 시간)가 포함되어 UL DM-RS를 구성할 수 없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 CP의 경우 홀수 슬롯의 심볼 #3을 기반으로 OCC를 이용하여 UL DM-RS를 구성할 수 있고, 확장 CP의 경우 짝수 슬롯의 심볼 #2를 기반으로 OCC를 이용하여 UL DM-RS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짝수 부반송파와 홀수 부반송파 간에 OCC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반송파 #0과 부반송파 #1 간, 부반송파 #2과 부반송파 #3 간, 부반송파 #4과 부반송파 #5 간, 부반송파 #6과 부반송파 #7간, 부반송파 #8과 부반송파 #9 간 또는 부반송파 #10과 부반송파 #11 간에 OCC가 적용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E)CCA 또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 시간으로 인해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모든 심볼을 UL 전송에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UL DM-RS을 별도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바로 이전 서브프레임의 UL DM-RS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이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E)CCA(또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 시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간의 채널 상태 변화가 소정의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적용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E)CCA 또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 시간으로 인해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모든 심볼을 UL 전송에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UL DM-RS은 제1 실시예와 같이 상기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2개의 슬롯 중 어느 하나의 슬롯(예를 들어, UL 전송에 심볼을 보다 많이 사용할 수 있는 슬롯)에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이전 서브프레임의 인접한 슬롯(또는 다음 서브프레임의 인접한 슬롯)의 UL DM-RS와 해당 서브프레임(즉, 서브프레임 내 모든 심볼을 UL 전송에 사용하지 못하는 서브프레임)의 UL DM-RS를 이용하여 상기 해당 서브프레임의 채널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OCC는 슬롯 간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서브프레임 내의 홀수 슬롯에 (E)CCA(또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 시간)가 포함되어 UL DM-RS를 구성할 수 없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 CP의 경우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 내에서는 짝수 슬롯의 심볼 #3을 기반으로 UL DM-RS이 구성될 수 있고, 확장 CP의 경우 짝수 슬롯의 심볼 #2를 기반으로 UL DM-RS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OCC는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의 이전 서브프레임의 짝수 슬롯 내의 자원으로 구성되는 UL DM-RS와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의 이전 서브프레임의 홀수 슬롯 내의 자원으로 구성되는 UL DM-RS 간에 적용되며, 또한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의 이전 서브프레임의 홀수 슬롯 내의 자원으로 구성되는 UL DM-RS와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의 짝수 슬롯 내의 자원으로 구성되는 UL DM-RS 간에 적용될 수 있다.
반대로, 특정 서브프레임 내의 짝수 슬롯에 (E)CCA(또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 시간)가 포함되어 UL DM-RS를 구성할 수 없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 CP의 경우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 내에서는 홀수 슬롯의 심볼 #3을 기반으로 UL DM-RS이 구성될 수 있고, 확장 CP의 경우 홀수 슬롯의 심볼 #2를 기반으로 UL DM-RS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OCC는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의 홀수 슬롯 내의 자원으로 구성되는 UL DM-RS와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의 다음 서브프레임의 짝수 슬롯 내의 자원으로 구성되는 UL DM-RS 간 및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의 다음 서브프레임의 짝수 슬롯 내의 자원으로 구성되는 UL DM-RS와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의 다음 서브프레임의 홀수 슬롯 내의 자원으로 구성되는 UL DM-RS 간에 적용될 수 있다.
제5 실시예
(E)CCA 또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 시간으로 인해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모든 심볼을 UL 전송에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UL DM-RS은 상기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가용한 전체 UL 심볼들 중 두 심볼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용한 전체 UL 심볼들 중 두 심볼이 UL DM-RS 전송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일 예로, 해당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내 모든 심볼을 DL 전송에 사용하지 못하는 서브프레임)에서 가용한 전체 UL 심볼들의 개수에서 1/3의 정수 값에 해당하는 심볼 개수의 다음(next) 심볼이 첫 번째 UL DM-RS을 위해 할당되고, 2/3의 정수 값에 해당하는 심볼 개수의 다음 심볼이 두 번째 UL DM-RS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해당 프레임에서 (E)CCA(또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 시간)를 포함하지 않는 슬롯에서는 기존의 UL DM-RS를 위한 심볼을 이용하고, (E)CCA(또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 시간)을 포함하는 슬롯에서는 해당 슬롯의 처음 또는 마지막 심볼을 UL DM-RS 전송을 위해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서브프레임 내의 홀수 슬롯에 (E)CCA(또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 시간)가 포함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 CP 및 확장 CP 모두의 경우에서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의 홀수 슬롯 내에서는 심볼 #0이 UL DM-RS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반대로, 특정 서브프레임 내의 짝수 슬롯에 (E)CCA(또는 CCA를 포함하는 휴지 시간)가 포함되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 CP의 경우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의 짝수 슬롯 내에서는 심볼 #6이 UL DM-RS을 위해 할당될 수 있고, 확장 CP의 경우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의 짝수 슬롯 내에서는 심볼 #5가 UL DM-RS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말은 UL DM-RS 시퀀스(sequence)를 생성한다(S1510). 상기, UL DM-RS 시퀀스와 관련된 파라미터는 미리 정해지거나 기지국에 의해 지시 될 수 있다.
UL DM-RS 시퀀스가 생성되면, 단말은 본 발명에 따라 미리 정해진 프레임 구조 또는 기지국에 의해 지시된 프레임 구조에 따라 UL DM-RS 전송 자원에 상기 UL DM-RS 시퀀스를 매핑하고(S1520), UL-DM-RS 시퀀스의 매핑을 통해 구성된 UL DM-RS를 단말로 전송한다(S1510).
일 예로, 단말은 특정 서브프레임 내 모든 심볼들이 UL 전송에 사용 가능한 경우, 일반 CP일 때는 짝수 슬롯 및 홀수 슬롯의 심볼 #3을 이용하여 UL DM-RS를 구성하고, 확장 CP일 때는 짝수 슬롯 및 홀수 슬롯의 심볼 #2를 이용하여 UL DM-RS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서브프레임 내 일부 심볼들이 UL 전송에 사용 가능한 경우, 단말은 상기 UL DM-RS를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서브프레임 내 일부 심볼들이 UL 전송에 사용 가능한 경우, 단말은 제1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슬롯에만 UL DM-RS를 구성하거나, 제2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나의 슬롯에만 주파수 축으로 OCC 적용하여 UL DM-RS를 구성하거나, 제3 실시예에 따라 UL DM-RS 전송 자원을 별도로 구성하지 않거나(이 경우, 기지국은 바로 이전 서브프레임의 UL DM-RS로부터 측정한 값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복조함), 제4 실시예에 따라 이전 서브프레임의 인접한 슬롯의 UL DM-RS(또는 다음 서브프레임의 인접한 슬롯의 UL DM-RS) 및 해당 서브프레임의 슬롯 중 하나의 UL DM-RS 간에 OCC 적용하거나(이 경우, 기지국은 이전 서브프레임 또는 다음 서브프레임 내의 UL DM-RS도 활용하여 채널을 측정함), 제5 실시예에 따라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가용한 전체 UL 심볼들 중 두 심볼을 이용하여 UL DM-RS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본 발명에 따라 미리 정해진 프레임 구조 또는 상기 기지국이 결정하여 지시한 프레임 구조에 따라 UL DM-RS 전송 자원을 통해 UL DM-RS를 수신한다(S1610).
일 예로, 기지국은 특정 서브프레임 내 모든 심볼들이 UL 전송에 사용 가능한 경우, 일반 CP일 때는 짝수 슬롯 및 홀수 슬롯의 심볼 #3을 통해 UL DM-RS를 수신하고, 확장 CP일 때는 짝수 슬롯 및 홀수 슬롯의 심볼 #2를 통해 UL DM-RS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서브프레임 내 일부 심볼들이 UL 전송에 사용 가능한 경우, 기지국은 상기 UL DM-RS를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라 수신할 수 있다.
UL DM-RS가 수신되면, 기지국은 상기 UL DM-RS를 복호하여 UL DM-RS 시퀀스를 얻어내는 한편, 기지국이 각종 파라미터와 함께 미리 규정된 방식에 따라 UL DM-RS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S1620). 그리고, 상기 수신한 UL DM-RS로부터 얻어낸 UL DM-RS 시퀀스(복호한 UL DM-RS 시퀀스)와 상기 생성한 UL DM-RS 시퀀스를 비교하여 채널을 측정할 수 있다(S1630).
예를 들어, 기지국은 특정 서브프레임 내 일부 심볼들이 UL 전송에 사용 가능한 경우, 제1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슬롯에만 구성된 UL DM-RS를 수신하거나, 제2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나의 슬롯에만 구성되며 주파수 축으로 OCC가 적용된 UL DM-RS를 수신하거나, 제3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 상으로는 별도로 UL DM-RS를 수신하지 않고 바로 이전 서브프레임의 UL DM-RS로부터 측정한 값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복조하거나, 제4 실시예에 따라 이전 서브프레임의 인접한 슬롯의 UL DM-RS(또는 다음 서브프레임의 인접한 슬롯의 UL DM-RS) 및 해당 서브프레임의 슬롯 중 하나의 UL DM-RS 간에 OCC가 적용된 UL DM-RS를 수신하거나, 제5 실시예에 따라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가용한 전체 UL 심볼들 중 두 심볼을 이용하여 구성된 UL DM-RS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단말(1700)은 프로세서(processor, 1710), RF부(RF(radio frequency) unit, 1720) 및 메모리(memory, 1730)를 포함한다.
메모리(1730)는 프로세서(17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7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1720)는 프로세서(17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예를 들어, RF부(1720)는 기지국(1800)으로 본 명세서에서 게시된 UL DM-RS를 전송할 수 있다. 즉, RF부(1720)는 본 발명에 따라 미리 정해진 프레임 구조 또는 기지국(1800)이 결정하여 지시한 프레임 구조에 따라 구성된 UL DM-RS를 전송한다. 상기 미리 정해진 프레임 구조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17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171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서 단말(1700)의 동작은 프로세서(17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10)는 생성부(1711) 및 구성부(1712)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부(1711)는 미리 정해진 UL DM-RS 시퀀스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UL DM-RS 시퀀스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UL DM-RS 시퀀스와 관련된 파라미터는 기지국(1700)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구성부(1712)는 본 발명에 따라 미리 정해진 프레임 구조 또는 기지국에 의해 지시된 프레임 구조에 따라 UL DM-RS 전송 자원에 상기 UL DM-RS 시퀀스를 매핑하여 UL-DM-RS를 구성한다.
일 예로, 구성부(1712)는 특정 서브프레임 내 모든 심볼들이 UL 전송에 사용 가능한 경우, 일반 CP일 때는 짝수 슬롯 및 홀수 슬롯의 심볼 #3을 이용하여 UL DM-RS를 구성하고, 확장 CP일 때는 짝수 슬롯 및 홀수 슬롯의 심볼 #2를 이용하여 UL DM-RS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서브프레임 내 일부 심볼들이 UL 전송에 사용 가능한 경우, 단말은 상기 UL DM-RS를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서브프레임 내 일부 심볼들이 UL 전송에 사용 가능한 경우, 구성부(1712)는 제1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슬롯에만 UL DM-RS를 구성하거나, 제2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나의 슬롯에만 주파수 축으로 OCC 적용하여 UL DM-RS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구성부(1712)가 제3 실시예에 따라 UL DM-RS 전송 자원을 별도로 구성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1800)은 바로 이전 서브프레임의 UL DM-RS로부터 측정한 값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다.
또한, 구성부(1712)는 특정 서브프레임 내 일부 심볼들이 UL 전송에 사용 가능한 경우, 제4 실시예에 따라 이전 서브프레임의 인접한 슬롯의 UL DM-RS(또는 다음 서브프레임의 인접한 슬롯의 UL DM-RS) 및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의 슬롯 중 하나의 UL DM-RS 간에 OCC 적용하여 UL DM-RS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지국(1800)은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한 UL DM-RS와 상기 이전 서브프레임 또는 다음 서브프레임 내의 UL DM-RS를 이용하여 채널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구성부(1712)는 특정 서브프레임 내 일부 심볼들이 UL 전송에 사용 가능한 경우, 제5 실시예에 따라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가용한 전체 UL 심볼들 중 두 심볼을 이용하여 UL DM-RS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기지국(1800)은 RF부(1810), 프로세서(1820) 및 메모리(1830)를 포함한다.
메모리(1830)는 프로세서(182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82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1810)는 프로세서(182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182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서 기지국(1800)의 동작은 프로세서(18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20)는 복호부(1821), 생성부(1822) 및 측정부(1823)를 포함할 수 있다.
복호부(1821)는 RF부(1810)에서 수신된 UL DM-RS를 복호함으로써 UL DM-RS 시퀀스를 획득한다.
생성부(1822)는 각종 파라미터와 함께 미리 규정된 방식에 따라 UL DM-RS 시퀀스를 생성한다.
추정부(1823)는 복호부(1821)가 RF부(1810)에서 수신된 UL DM-RS를 복호함으로써 얻어낸 UL DM-RS 시퀀스와 생성부(1822)에서 생성된 UL DM-RS 시퀀스를 비교하여 채널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추정부(1823)는 특정 서브프레임 내 일부 심볼들이 UL 전송에 사용 가능한 경우, 제1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슬롯에만 구성된 UL DM-RS로부터 획득된 UL DM-RS 시퀀스를 기반으로 채널을 측정하거나, 제2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나의 슬롯에만 구성되며 주파수 축으로 OCC가 적용된 UL DM-RS 로부터 획득된 UL DM-RS 시퀀스를 기반으로 채널을 측정하거나, 제3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 상으로는 별도로 UL DM-RS를 수신되지 않으면 바로 이전 서브프레임의 UL DM-RS로부터 측정한 값을 기반으로 획득한 UL DM-RS 시퀀스를 기반으로 채널을 측정하거나, 제4 실시예에 따라 이전 서브프레임의 인접한 슬롯의 UL DM-RS(또는 다음 서브프레임의 인접한 슬롯의 UL DM-RS) 및 해당 서브프레임의 슬롯 중 하나의 UL DM-RS 간에 OCC가 적용된 UL DM-RS로부터 획득된 UL DM-RS 시퀀스를 기반으로 채널을 측정하거나, 제5 실시예에 따라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가용한 전체 UL 심볼들 중 두 심볼을 이용하여 구성된 UL DM-RS 로부터 획득된 UL DM-RS 시퀀스를 기반으로 채널을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Claims (4)

  1. 면허(licensed)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unlicensed) 대역의 서빙셀 간에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UL DM-RS: Up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해당 서브프레임 내에서 일부 심볼들이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해당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2개의 슬롯 중 어느 하나의 슬롯 내의 UL DM-RS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기 UL DM-RS 시퀀스를 매핑하여 UL DM-RS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된 UL DM-RS와 상기 해당 서브프레임의 이전 또는 다음 서브프레임의 인접한 슬롯의 UL DM-RS 간에는 직교 커버 코드(OCC: Orthogonal Cover Code)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 면허(licensed)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unlicensed) 대역의 서빙셀 간에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UL DM-RS: Up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퀀스를 생성하고, 해당 서브프레임 내에서 일부 심볼들이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해당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2개의 슬롯 중 어느 하나의 슬롯 내의 UL DM-RS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기 UL DM-RS 시퀀스를 매핑하여 UL DM-RS를 구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구성된 UL DM-RS를 전송하는 RF(Radio Frequency) 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구성된 UL DM-RS와 상기 해당 서브프레임의 이전 또는 다음 서브프레임의 인접한 슬롯의 UL DM-RS 간에는 직교 커버 코드(OCC: Orthogonal Cover Code)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면허(licensed)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unlicensed) 대역의 서빙셀 간에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채널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UL DM-RS: Up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UL DM-RS를 복호함으로써 제1 UL DM-RS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UL DM-RS로부터 획득한 제1 UL DM-RS 시퀀스와 미리 규정된 방식에 따라 생성된 제2 UL DM-RS 시퀀스를 비교하여 채널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한 UL DM-RS는 해당 서브프레임 내에서 일부 심볼들이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해당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2개의 슬롯 중 어느 하나의 슬롯 내의 UL DM-RS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기 제1 UL DM-RS 시퀀스를 매핑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구성된 UL DM-RS와 상기 해당 서브프레임의 이전 또는 다음 서브프레임의 인접한 슬롯의 UL DM-RS 간에는 직교 커버 코드(OCC: Orthogonal Cover Code)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측정 방법.
  4. 면허(licensed)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unlicensed) 대역의 서빙셀 간에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UL DM-RS: Up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 부; 및
    상기 수신한 UL DM-RS를 복호함으로써 제1 UL DM-RS 시퀀스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UL DM-RS 시퀀스와 미리 규정된 방식에 따라 생성된 제2 UL DM-RS 시퀀스를 비교하여 채널을 측정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한 UL DM-RS는 해당 서브프레임 내에서 일부 심볼들이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해당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2개의 슬롯 중 어느 하나의 슬롯 내의 UL DM-RS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기 제1 UL DM-RS 시퀀스를 매핑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구성된 UL DM-RS와 상기 해당 서브프레임의 이전 또는 다음 서브프레임의 인접한 슬롯의 UL DM-RS 간에는 직교 커버 코드(OCC: Orthogonal Cover Code)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150015614A 2015-01-30 2015-01-30 La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 구성 방법 및 장치 KR20160094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614A KR20160094237A (ko) 2015-01-30 2015-01-30 La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 구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614A KR20160094237A (ko) 2015-01-30 2015-01-30 La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 구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237A true KR20160094237A (ko) 2016-08-09

Family

ID=56712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614A KR20160094237A (ko) 2015-01-30 2015-01-30 La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 구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42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3523B2 (en) 2017-03-21 2020-06-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betwe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3523B2 (en) 2017-03-21 2020-06-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betwe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11097B2 (en) 2017-03-21 2021-02-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betwe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7409B2 (en) Power metric optimization and uplink DM-RS design for LTE/LTE-A uplink transmissions in unlicensed spectrum
US11337169B2 (en) Method for receiving SSB according to synchronization raster and user equipment
JP6983919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への無線デバイスの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
US20210167940A1 (en)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techniques for peak-to-average power ratio reduction
US10743351B2 (en) Method and wireless device for transmitting random-access preamble by means of single-tone method
EP3711415B1 (en) Mapping rules between synchronization signal blocks and random access channel resources
RU2653495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лучшенного опорного сигнала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в системах listen-before-talk
EP3163967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unlicensed band
KR20240037902A (ko)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US108203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6688296B (zh) 在无线通信系统中针对不同信号配置不同阈值的方法和装置
US20180145802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hannel and nb-iot device
US20180235013A1 (en) Random access procedure for beam based cell-less operation in 5g rat
US105242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unlicensed band
US11582797B2 (en) Method and device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unlicensed band
IL265644A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20210024657A (ko) 채널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1320A (ko) Nr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경계 타이밍 획득 방법 및 장치
KR20160094237A (ko) La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226826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aa를 위한 프레임 구조,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9268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