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033A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033A
KR20160094033A KR1020150015077A KR20150015077A KR20160094033A KR 20160094033 A KR20160094033 A KR 20160094033A KR 1020150015077 A KR1020150015077 A KR 1020150015077A KR 20150015077 A KR20150015077 A KR 20150015077A KR 20160094033 A KR20160094033 A KR 20160094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ng cell
pdsch
harq
base station
re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9241B1 (en
Inventor
박동현
권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to KR1020150015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241B1/en
Publication of KR20160094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0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2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4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performing an HARQ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Disclosed is the method for performing the HARQ operation comprising: a step of receiving an upper layer signal, which instructs one or more cross carrier HARQ serving cells, from a base station; a step of receiving PDSCH from the base station on a sub serving cell of an unlicensed band; a step of transmitting HARQ NACK to the base station when the decoding of the PDSCH is failed; a step of receiving PDCCH including a flag, which instructs one of the cross carrier HARQ serving cells and the sub serving cell from the base station, from the base station; and a step of receiving retransmission PDSCH, which is instructed by the PDCCH, from the base station.

Description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erforming an HARQ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HARQ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wave aggregation.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은 복수의 반송파를 지원하는 것으로서 스펙트럼 집성 또는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이라고도 한다. 반송파 집성에 의해 묶이는 개별적인 단위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C: Component Carrier)라고 한다. 각 요소 반송파는 대역폭과 중심 주파수로 정의된다. CA를 사용하면, 주파수 영역에서 물리적으로 연속(continuous) 또는 비연속적인(non-continuous) 다수 개의 밴드를 묶어 논리적으로 큰 대역의 밴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Carrier aggregation (CA) supports multiple carriers and is sometimes referred to as spectrum aggregation or bandwidth aggregation. The individual unit carriers tied by the carrier aggregation are referred to as component carriers (CC). Each element carrier is defined as the bandwidth and center frequency. With CA,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same effect as using a logically large band band by bundling a plurality of physically continuous or non-continuous bands in the frequency domain.

그러나, 최근 무선 통신 트래픽이 급증함에 따라 여전히 더 많은 주파수 확보가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배타적으로 할당되는 면허 대역(licensed band) 뿐 아니라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의 주파수들을 활용하여 CA를 수행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LTE(Long Term Evolution) 표준은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를 사용하여 비면허 대역상의 반송파들을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로 설정하면서 면허 대역상에서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PCell)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서빙셀을 설정하는 LAA(Licensed Assisted Access)의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However, as wireless communication traffic has surged recently, it is still urgent to secure more frequencies. Accordingly, a method of performing a CA using frequencies of an unlicensed band as well as a licensed band exclusively alloca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is being discussed. The LTE (Long Term Evolution) standard uses a system serving as a primary serving cell (PCell) on a licensed band while setting carrier waves on a license-exempt band as a secondary serving cell (SCell) using system information (SI) Or LAA (Licensed Assisted Access) for setting at least one or more auxiliary serving cells.

한편, 하향링크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동작은 비동기(asynchronous) 방식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비동기 방식의 하향링크 HARQ 동작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과 HARQ-ACK(ACKnowledgement) 전송 사이의 타이밍 관계만을 정의할 뿐, PDSCH와 HARQ-NACK(None ACKnowledgement) 전송 사이의 타이밍 관계는 정의하지 않는다. 즉, 단말이 HARQ-NACK을 기지국으로 보고한 경우, 기지국은 하향링크 스케줄링의 구현에 따른 일정 시간 내에서만 PDSCH의 재전송(PDSCH retransmission)을 수행하면 된다. 이는 주서빙셀에서 반정적(semi-persistent scheduling)을 지시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Meanwhile, a downlink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s performed in an asynchronous manner. For example, the asynchronous downlink HARQ operation only defines a timing relationship between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and HARQ-ACK (ACKnowledgment) transmission, and a tim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DSCH and HARQ-NACK Is not defined. That is, when the UE reports HARQ-NACK to the BS, the BS performs PDSCH retransmission only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downlink scheduling. This also applies to the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which instructs semi-persistent scheduling in the main serving cell.

LAA에 기반하여 기지국과 단말이 비면허 대역의 반송파들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때, 비면허 대역의 점유(occupancy)가 항상 보장되는 것은 아니므로 비면허 대역에서의 HARQ 재전송은 불확실하다. 결국 재전송에 큰 지연을 야기하여 데이터 송수신의 효율 저하 및 성능의 열화가 뒤따를 수 있다. 따라서, LAA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동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Since the occupancy of the license-exempt band is not always guaranteed wh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communicate using the carriers of the license-exempt band based on the LAA, the HARQ retransmission in the license-exempt band is uncertain. As a result, a large delay is caused in the retransmission, which may lead to deterioration of efficiency and deterioration of performance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effectively perform HARQ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LAA.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HARQ oper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wave aggregation.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교차 반송파(cross carrier) HARQ 서빙셀을 지시하는 상위계층 시그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비면허 대역상의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상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PDSCH의 복호에 실패한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HARQ NACK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 및 상기 부서빙셀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플래그(flag)를 포함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l CHannel)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PDCCH에 의해 지시되는 재전송 PDSCH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erforming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an upper layer signal indicative of at least on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from a base station, receiving a Physical Downlink Shared (PDSCH) from a base station on a secondary serving cell (SCell) A step of transmitting a HARQ NACK to the base station when decoding of the PDSCH fails, a step of receiving a flag indicating to which one of the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f the cross- Receiving a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l CHannel) from the BS, the PDCCH including a PDCCH, and receiving a retransmission PDSCH indicated by the PDCCH from the BS.

상기 재전송 PDSCH는 상기 플래그가 지시하는 서빙셀상에서 수신될 수 있으며, 상기 PDCCH는 상기 재전송 PDSCH와 다른 서빙셀상에서 수신될 수 있다.The retransmission PDSCH may be received on a serving cell indicated by the flag, and the PDCCH may be received on a different serving cell than the retransmission PDSCH.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은 면허 대역에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은 단말에 특정한 하나의 서빙셀 그룹 내에 포함되는 서빙셀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may be included in a license band and the at least on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may be selected from among serving cells included in one serving cell group specific to the UE.

상기 방법은 상기 PDSCH의 복호에 성공한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HARQ ACK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HARQ ACK에 대하여 수신된 플래그는 무시될 수 있다.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ransmitting an HARQ ACK to the base station when decoding of the PDSCH is successful, wherein the received flag for the HARQ ACK can be ignored.

LAA 환경에서 단말은 플래그를 통해 어떤 서빙셀상에 PDSCH 재전송이 수행되는지를 인지할 수 있고, 재전송된 PDSCH의 데이터를 단말 메모리내에 저장된 해당 서빙셀의 HARQ 프로세스에서 결합함으로써 링크 성능을 향상을 시킬 수 있다.In the LAA environment, the UE can recognize which PDSCH retransmission is performed on a serving cell through a flag, and improve the link performance by combining the data of the retransmitted PDSCH in the HARQ process of the corresponding serving cell stored in the UE memory .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AA 배치 시나리오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LAA에서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의 개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흐름도의 설명을 구체화한 실시예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흐름도의 설명을 구체화한 실시예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LAA에서 다수의 CC가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흐름도의 설명을 구체화한 실시예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재전송 서빙셀을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선택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ure 1 shows examples of LAA deployment scenario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 concept of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in an LAA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mbodiment embodying the description of the flowchart of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6 is an embodiment embodying the description of the flowchart of Fig.
FIG. 7 illustrates a case where a plurality of CCs are used in the LAA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9 is an embodiment embodying the description of the flowchart of Fig.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lecting a retransmission serving cell based on priority in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task perform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performed in a process of controlling a network and transmitting data by a system (e.g., a base station)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본 명세서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이트(site)라고 불릴 수 있다. 사이트(site)는 섹터라 부를 수 있는 다수의 영역들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섹터는 각기 서로 다른 셀 아이디를 가질 수가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erein is widely deployed to provide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voice, packet data, and the lik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base station 11 (BS). Each base station provides communication services for a particular geographic area or frequency domain and may be referred to as a site. A sit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which may be referred to as sectors, and each of the sectors may have a different cell ID.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eNodeB (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 기지국(Femto eNodeB), 가내 기지국(Home eNodeB: HeNodeB), 릴레이(relay),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15a, 15b, 15c)은 기지국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A user equipment (UE) constitu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ay be fixed or mobile and may be a mobile station (MS), a mobile terminal (MT), a user terminal (UT), a subscriber station (SS) devic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wireless modem, a handheld device, and the like. A base station constitu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enerally refers to a station that communicates with a terminal and includes an evolved-NodeB (eNodeB),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n access point, a femto base station (Femto eNodeB) (ENodeB), a relay, a remote radio head (RRH), and the like. Cells 15a, 15b, and 15c should be interpreted in a generic sense to indicate a partial area covered by the base station, and are meant to cover various coverage areas such as megacell, macrocell, microcell, picocell, and femtocell.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다.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제1 계층(L1), 제2 계층(L2), 제3 계층(L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제1 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Hereinafter, a downlink refers to a communication or communication path from a base station to a terminal, and an uplink refers to a communication or communication path from a terminal to a base station. In the downlink, the transmitter may be part of the base station, and the receiver may be part of the terminal. In the uplink, the transmitter may be part of the terminal, and the receiver may be part of the base station. The layers of the radio interface protocol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can be divided into a first layer L1, a second layer L2 and a third layer L3. Among them, the physical layer belonging to the first layer provides an information transfer service using a physical channel.

물리계층은 상위 계층인 매체접근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 계층과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된다. 데이터는 MAC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서 전송채널을 통해 전달된다. 전송채널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어떻게 전송되는가에 따라 분류된다. 또한, 데이터는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즉, 단말과 기지국의 물리계층 사이)에서 물리채널을 통해 전달된다. 상기 물리채널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변조될 수 있으며, 시간과 주파수 및 복수의 안테나로 생성된 공간을 무선자원으로 활용한다.The physical layer is connected to a MAC layer (Media Access Control) layer through a transport channel. The data is transmitted between the MAC layer and the physical layer through a transmission channel. The transport channel is classified according to how the data is transmitted over the air interface. Further, data is transmitted through physical channels between different physical layers (i.e., between the physical layer of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The physical channel can be modulated by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cheme, and uses time, frequency, and space generated by a plurality of antennas as radio resources.

일 예로, 물리채널 중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는 단말에게 PCH(Paging CHannel)와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DL-SCH와 관련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를 알려주며, 단말로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을 알려주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나를 수 있다. PD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DL-SCH를 나른다. 또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는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HARQ ACK/NACK, 스케줄링 요청 및 CQI와 같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른다. 또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UL-SCH(UpLink Shared CHannel)을 나른다. 기지국의 설정 및 요청에 따라 필요 시 PUSCH는 HARQ ACK/NACK 및 CQI와 같은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of a physical channel notifies a UE of resource allocation of a paging CHannel (DLH), a downlink shared channel (DL-SCH), an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And an uplink scheduling grant informing the UE of the resource allocation of the uplink transmission.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DSCH) carries a DL-SCH including downlink data. In addition, the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carries uplink control information such as HARQ ACK / NACK for downlink transmission, a scheduling request, and a CQI. The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carries an uplink shared channel (UL-SCH) including uplink data. If necessary, the PUSCH may include 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information such as HARQ ACK / NACK and CQI according to the setup and request of the base station.

매크로(macro) 셀과 마이크로(micro) 셀의 단순한 셀 분할로는 증가하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이에 따라 면허 대역(licensed band: LB) 뿐 아니라 WiFi 대역과 같은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 UB)의 주파수들을 활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비면허 대역에서의 무선 통신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하여 면허 대역의 통신 기법의 지원 하에 비면허 대역에서의 무선 통신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LAA(License Assisted Access)라 함은 면허 대역 또는 스펙트럼(spectrum)에서 동작하는 주서빙셀의 보조를 기반으로 비면허 대역 또는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서빙셀들에 대한 CA 동작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기법을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LAA는 LTE 면허 대역의 반송파(licensed carrier : 이하 LC)을 앵커(anchor)로 하여, 면허 대역과 비면허 대역을 CA를 이용하여 하나로 묶는 기술이다. 이 경우 면허 대역 내 서빙셀들 중 하나가 주서빙셀로 사용되고 비면허 대역내 서빙셀들은 항상 부서빙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면허 대역은 CA를 통해서만 활성화되고 단독으로는 LTE 통신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면허 대역으로 망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기지국이 상황에 따라 면허 대역과 비면허 대역을 CA로 결합하여 면허 대역의 트래픽(traffic)을 비면허 대역으로 오프로딩(offloading)시킬 수 있다. Simple cell segmentation of macro and micro cells makes it difficult to meet the growing demand for data services. Accordingly, a method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frequencies of an unlicensed band (UB) such as a WiFi band as well as a licensed band (LB) is being discussed.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license-exempt band may be provided with the support of the licensed band's communication techniques to facilita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license-exempt band. License assisted access (LAA) refers to the operation of CA operations on one or more secondary serving cells operating in the license-exempt band or license-exempt spectrum, based on the assistance of the primary serving cell operating in the licensed band or spectrum. And the like. In other words, the LAA is a technique of bundling the licensed band and the license-exempted band using a CA as an anchor for a licensed carrier (LC) of the LTE license band. In this case, one of the serving cells in the license band is used as the main serving cell, and the serving cells in the license-exempted band can always be configured as the serving cell. Also, the license-exempt band is activated only through the CA, and may not perform LTE communication by itself. The terminal may access the network by using the license band and use the service, and the base station may combine the licensed band and the license-exempted band with the CA to offload the traffic of the license band to the license-exempt ban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AA 배치 시나리오의 예들을 나타낸다. 각 시나리오에서 면허 반송파(licensed carrier) 및 비면허 반송파(unlicensed carrier)의 수는 각각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Figure 1 shows examples of LAA deployment scenario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each scenario, the number of licensed carriers and unlicensed carriers may be one or more, respectively.

도 1을 참조하면, 시나리오 1은 면허 반송파인 F1(frequency 1)을 사용하는 매크로 셀과, 비면허 반송파인 F3을 사용하는 스몰 셀이 반송파 집성(CA)으로 연결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매크로 셀과 상기 스몰 셀은 서로 다른 장소에 배치될(non-co-located) 수 있고, 서로 이상적 백홀로 연결될 수 있다. 시나리오 2는 매크로 셀 커버리지 외에(without macro cell coverage) 면허 반송파인 F2를 사용하는 스몰 셀#1과 비면허 반송파인 F3을 사용하는 스몰 셀#2이 반송파 집성으로 연결된 경우이다. 시나리오 3은 면허 반송파인 F1을 사용하는 매크로 셀과 스몰 셀#1이 있고, 상기 스몰 셀#1과, 비면허 반송파인 F3을 사용하는 스몰 셀#2가 반송파 집성으로 연결된 경우이다. 시나리오 4는 면허 반송파인 F1을 사용하는 매크로 셀, 면허 반송파인 F2를 사용하는 스몰 셀#1, 비면허 반송파인 F3을 사용하는 스몰 셀#2이 있고, 스몰 셀#1과 스몰 셀#2이 반송파 집성으로 연결된 경우이다. Referring to FIG. 1, a scenario 1 is a case where a macro cell using a license carrier F1 (frequency 1) and a small cell using a license-exempt carrier F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arrier aggregation (CA). In this case, the macro cell and the small cell may be non-co-located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n ideal back hole. Scenario 2 is a case where small cell # 1 using F2, which is a license carrier, and small cell # 2 using F3, which is a license-exempt carrier, are connected to carrier aggregation in addition to macro cell coverage. Scenario 3 is a case where there is a macro cell and a small cell # 1 using a license carrier F1 and a small cell # 1 using the small cell # 1 and a small cell # 2 using a license-exempt carrier F3 are connected to a carrier aggregation. In the scenario 4, there are a macro cell using the license carrier F1, a small cell # 1 using the license carrier F2, and a small cell # 2 using the license-exempt carrier F3. The small cell # 1 and the small cell # It is the case that it is connected to the aggregation.

LAA는 기회적인 채널 점유환경을 조성하기 때문에, 기지국은 비면허 대역의 반송파(unlicensed carrier: 이하, UC)를 확보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데, 이 절차에는 동적 반송파 선택(dynamic carrier selection: DCS) 및 CCA(Clear Channel Assessment) 등의 동작이 포함된다. 기지국은 DCS 및 CCA 등을 통해서 비면허 주파수 자원의 점유(occupancy) 상태를 확인하고, 가능한 경우(if available) 해당 자원을 일정 시간동안 점유하여 무선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그런데, 비면허 대역의 점유가 항상 보장되는 것은 아니므로 HARQ 재전송의 시점에 비면허 대역에서의 점유가 확보되지 않으면, HARQ 재전송의 성공여부는 불확실해진다. 결국 재전송에 큰 지연을 야기하여 데이터 송수신의 효율 저하 및 성능의 열화가 뒤따를 수 있다. 따라서, LAA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동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Since the LAA creates an opportunistic channel occupancy environment, the base station performs a procedure for securing an unlicensed carrier (UC), which includes dynamic carrier selection (DCS) and CCA (Clear Channel Assessment). The base station checks the occupancy status of the license-exempt frequency resource through the DCS and the CCA, and perform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wireless data by occupying the resource for a predetermined time if available. However, since the occupation of the license-exempted band is not always guaranteed, if the occupation in the license-exempt band is not secured at the time of HARQ retransmission, it is uncertain whether the HARQ retransmission is successful or not. As a result, a large delay is caused in the retransmission, which may lead to deterioration of efficiency and deterioration of performance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effectively perform HARQ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LAA.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LAA에서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의 개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2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 concept of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in an LAA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LAA에 기반하여 기지국과 단말이 LB와 UB상에서 CA가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LB는 하향링크 PCC(DL primary component carrier)와 상향링크 PCC(UL PCC)로 구성된 주서빙셀을 포함하고, UB는 보조적 하향링크(supplementary DL: SDL)로서 UC를 포함한다. 각 서브프레임안에 표시된 "D"는 하향링크 전송이 발생함을 의미하고, "U"는 상향링크 전송이 발생함을 의미한다. 하향링크 전송은 데이터가 실리는 PDSCH의 전송을 포함하고, 상향링크 전송은 HARQ ACK/NACK이 실리는 PUCCH의 전송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it is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re configured on the LB and the UB based on the LAA. LB includes a main serving cell composed of a DL primary component carrier (PCC) and an uplink PCC (UL PCC), and UB includes a UC as a supplementary DL (SDL). "D" in each subframe means that downlink transmission occurs, and "U" means that uplink transmission occurs. Downlink transmission includes transmission of PDSCH carrying data, and uplink transmission includes transmission of PUCCH carrying HARQ ACK / NACK.

기지국이 UC의 처음 6개 서브프레임을 점유한 상태에서, UC의 첫번째 서브프레임상으로 PDSCH1을 단말로 전송하면, 단말은 PDSCH1의 복호를 시도한다. 만약 단말이 PDSCH1의 복호에 실패하면, 단말은 UL PCC를 통해 HARQ NACK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HARQ NACK을 수신한 기지국은 PDSCH1에 실린 데이터를 재전송해야하지만, UC를 더 이상 점유하지 못했을 경우 재전송을 위한 별도의 자원이 필요하다. 상기 별도의 자원은 예를 들어 LB내의 DL PCC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지국은 재전송할 데이터를 PDSCH2에 실어 DL PCC를 통해 단말로 전송한다. 이렇게, HARQ NACK에 의한 PDSCH(또는 데이터)의 재전송이 이전의 서빙셀과 다른 서빙셀에서 발생하는 동작을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 HARQ NACK에 의한 PDSCH의 재전송이 주파수 도약(frequency hopping)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을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이라고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주파수 도약에 의해 PDSCH의 재전송이 이루어지는 서빙셀을 편의상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cross carrier HARQ serving cell)이라고 한다. When the BS occupies the first six subframes of the UC and transmits the PDSCH1 to the UE on the first subframe of the UC, the UE attempts to decode the PDSCH1. If the UE fails to decode the PDSCH1, the UE transmits an HARQ NACK to the BS through the UL PCC.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HARQ NACK retransmits the data on the PDSCH1, but if the UC is no longer occupied, a separate resource is required for retransmission. The separate resource may be, for example, a DL PCC in the LB.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data to be retransmitted on the PDSCH2 to the UE through the DL PCC. In this manner, an operation in which retransmission of PDSCH (or data) by HARQ NACK occurs in a serving cell different from that of a previous serving cell is referred to as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In other words, the operation in which the retransmission of PDSCH by HARQ NACK is performed by frequency hopping may be referred to as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In this specification, a serving cell in which PDSCH retransmission is performed by frequency hopping is referred to as a cross carrier HARQ serving cell for the sake of convenience.

기지국이 UC의 점유에 실패한 경우에는 PDSCH의 재전송이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에 의해 수행되지만, UC의 점유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이 불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교차 반송파 HARQ 동작 여부는 기지국에 의한 UC의 점유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에 따라 PDSCH 재전송이 수행되는 서빙셀이 변경되면, 단말은 상기 상황을 알아야 재전송 PDSCH를 수신에 대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PDSCH의 재전송이 어떤 서빙셀에서 수행되는지를 동적으로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할 때 PDSCH의 재전송(즉, PDSCH2의 전송)이 수행되는 서빙셀의 후보는 기본적으로 UB의 서빙셀(즉, PDSCH1을 전송한 UC)과 LB의 서빙셀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BS fails to occupy the UC, the PDSCH retransmission is performed by the cross-carrier HARQ operation, but if occupation of the UC continues, the cross-carrier HARQ operation may be unnecessary. Therefore, the cross-carrier HARQ operation can be dynamic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ccupation state of the UC by the base station. If the serving cell in which the PDSCH retransmiss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ross-carrier HARQ operation is changed, the UE must be aware of the situation to prepare for retransmission PDSCH reception. For this purpose, the BS can dynamically dictate to the UE which serving cell the retransmission of the PDSCH is performed. Referring to FIG. 2, a serving cell candidate in which retransmission of a PDSCH (i.e., transmission of PDSCH2) is performed may basically include both a serving cell of a UB (i.e., a UC that transmitted PDSCH1) and a serving cell of LB .

본 명세서는 이러한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와 세부절차들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게시한다. The present disclosure posts various embodiments relating to the parameters and detailed procedures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such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먼저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로서, PDSCH의 재전송이 수행되는 서빙셀을 지시하는 교차 제어정보가 필요하다. As a parameter required for implementing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first, cross control information indicating a serving cell in which retransmission of a PDSCH is performed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차 제어정보는 플래그(flag)이며, 플래그는 순시적으로 변하는 채널을 빠르게 반영해야 하기 때문에, 물리계층 시그널인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포함하는 (E)PDCCH 채널상에 전송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rossover control information is a flag and the flag must quickly reflect a channel that changes momentarily, the (E) PDCCH including the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Channel.

일 측면에서, 플래그는 1비트로서 UC과 LB의 서빙셀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플래그는 1비트로서 2개의 UC들을 지시할 수 있다. 즉 플래그는 2개 서빙셀들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한다. 그리고 LB내 서빙셀의 인덱스는 기지국과 단말간에 미리 약속된 것이거나, 기지국이 상위계층 시그널로서 단말에 미리 알려준 것일 수 있다. 그리고 플래그가 지시하는 값과 서빙셀 인덱스간의 대응관계는 단말과 기지국간에 미리 약속된 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래그를 통해 PDSCH 재전송을 위한 서빙셀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나, 동작 관점에서 볼 때 플래그는 교차 반송파 HARQ 동작 여부를 동적으로 단말에게 알려주는 정보라고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래그가 1이면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이 적용됨(즉, 미리 지정된 LB의 서빙셀에서 PDSCH의 재전송이 수행됨)을 지시하고, 플래그가 0이면 교차반송파 HARQ 동작이 적용되지 않음(즉, 기존 UC에서 PDSCH의 재전송이 수행됨)을 지시할 수 있다. In one aspect, the flag may indicate one serving cell of UC and LB as one bit. Alternatively, the flag may indicate two UCs as one bit. That is, the flag indicates any one of the two serving cells. The index of the serving cell in the LB may be predetermined between the BS and the MS or may be previously informed to the MS by the BS as an upper layer signal.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indicated by the flag and the serving cell index can be defined by a table previously agreed between the UE and the BS. Herein, it is defined that the PDSCH retransmission is directed to the serving cell through the flag. However, in view of the operation, the flag may be dynamically informed to the UE whether to perform the cross-carrier HARQ operation. For example, if the flag is 1, it indicates that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is applied (i.e., PDSCH retransmission is performed in a serving cell of a predetermined LB), and if the flag is 0,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is not applied The retransmission of the PDSCH is performed).

또한, 본 발명에 언급된 플래그로 인해 지시될 수 있는 서빙셀은 상기 UC와 LB사이의 서빙셀 뿐만 아니라, RRC 시그널에 의해 다른 UC로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을 위해 설정하였다면, 상기 UC와 UC사이의 서빙셀 간에 적용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f a serving cell that can be indicated by the flag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for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by another UC by the RRC signal as well as the serving cell between the UC and LB, May be applied and operated between serving cells.

다른 측면에서, 플래그는 2비트로서 UC뿐만 아니라 LB내에서도 3개의 서빙셀까지 지시할 수 있다. 즉, 플래그는 4개 서빙셀들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한다. 이 경우 3개의 서빙셀 각각에 대한 인덱스는 기지국과 단말간에 미리 약속된 것이거나, 기지국이 상위계층 시그널로서 단말에 미리 알려준 것일 수 있다. 그리고 플래그가 지시하는 값과 서빙셀 인덱스간의 대응관계는 단말과 기지국간에 미리 약속된 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flag may indicate up to three serving cells in the LB as well as the UC as two bits. That is, the flag indicates any one of the four serving cells. In this case, the index for each of the three serving cells may be a predetermined one between the BS and the MS, or the BS may inform the MS of the upper layer signal in advance.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indicated by the flag and the serving cell index can be defined by a table previously agreed between the UE and the BS.

또 다른 측면에서, 플래그는 N비트로서(N>3) UC와 LB를 포함하여 K개까지의 서빙셀까지 지시할 수 있다. 즉, 플래그는 K개 서빙셀들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K=32일 경우 N=5이다. 이 경우 K개의 서빙셀 각각에 대한 인덱스는 기지국과 단말간에 미리 약속된 것이거나, 기지국이 상위계층 시그널로서 단말에 미리 알려준 것일 수 있다. 그리고 플래그가 지시하는 값과 서빙셀 인덱스간의 대응관계는 단말과 기지국간에 미리 약속된 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flag may indicate up to K serving cells, including UC and LB as N bits (N > 3). That is, the flag indicates any one of the K serving cells. For example, if K = 32, then N = 5. In this case, the index for each of the K serving cells may be an advance between the BS and the MS, or the BS may inform the MS of the upper layer signal in advance.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indicated by the flag and the serving cell index can be defined by a table previously agreed between the UE and the BS.

또 다른 측면에서, 플래그는 M비트로서 서빙셀 그룹(group)내의 L개의 서빙셀들을 지시할 수 있다. 즉, 플래그는 특정 그룹 내의 L개 서빙셀들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한다. In yet another aspect, the flag may indicate L serving cells in a serving cell group as M bits. That is, the flag indicates any one of the L serving cells in a particular group.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교차 제어정보는 신규 데이터 지시자(new data indicator : NDI)이며, NDI는 PDSCH 전송을 위한 제어정보 중 하나로 해당 PDSCH 전송이 재전송인지 아니면 초기전송인지 지시하기 위해 물리계층 시그널인 DCI((E)PDCCH)에 포함된다. NDI는 관련된 PDSCH가 HARQ 재전송에 따른 것인지 아닌지를 1비트로서 구분하는 정보로 토글(Toggle)되어 지시된다. NDI가 HARQ 재전송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PDSCH는 기존 UC 이외에 미리 지정된 다른 서빙셀을 통해 전송됨이 묵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over control information is a new data indicator (NDI), and the NDI is a control information for the PDSCH transmission, Signal (DCI (E) PDCCH). The NDI is indicated by being toggled to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whether the associated PDSCH is based on the HARQ retransmission or not, as one bit. When the NDI instructs HARQ retransmission, the PDSCH may be implicitly indicated to be transmitted through another serving cell other than the existing UC.

다음으로 상기 파라미터들을 기반으로 교차 반송파 HARQ 동작 절차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게시한다. Next, based on the parameters, a specific procedure for the cross-carrier HARQ operation procedure is posted.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의 흐름도를 설명함에 있어서, 구체적인 예시로서 도 4를 참조한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flowchart of Fig. 3, reference is made to Fig. 4 as a specific exampl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로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을 지시하는 상위계층 시그널을 전송한다(S300). 상위계층 시그널은 LAA가 설정된 단말을 위해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서 PDSCH의 재전송이 어떤 서빙셀에서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지시한다. 이러한 상위계층 시그널은 PDSCH(재전송)이 수행되어야할 서빙셀을 UC상의 PDSCH 스케쥴링을 위해서 사전에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상위계층 시그널은 UC상에 설정된 부서빙셀을 위한 RRC 구성(configuration) 정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UC상에 설정된 부서빙셀을 위한 구성정보 내에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즉, 재전송 PDSCH)에 관련된 서빙셀의 인덱스가 포함된다. 3 and 4, the BS transmits an upper layer signal indicating a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to the MS (S300). The upper layer signal indicates to which serving cell the retransmission of the PDSCH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support the cross-carrier HARQ operation for the terminal for which the LAA is established. This upper layer signal is used to preset the serving cell on which the PDSCH (retransmission) is to be performed for PDSCH scheduling on the UC. The upper layer signal may be RRC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a secondary serving cell set up on the UC. In this case, a service associated with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i.e., retransmission PDSCH) in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the secondary serving cell set on the UC The index of the cell is included.

예를 들어 도 4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된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로서 DL PCC와 UL PCC로 구성된 주서빙셀이 사용되는 경우이며, 기지국은 상기 주서빙셀을 지시하는 상위계층 시그널(RRC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렇게 설정된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은 UC의 PDSCH를 스케줄링해주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서빙셀(cross-carrier scheduling serving cell)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도 4의 경우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은 주서빙셀이고,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서빙셀은 부서빙셀(DL SCC+UL SCC)로서 서로 다른 경우에 대한 예시이다. For example, FIG. 4 shows a case where a main serving cell composed of DL PCC and UL PCC is used as a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indicated by RRC signaling, and a base station transmits an upper layer signal (RRC message) indicating the main serving cell, To the terminal. The set up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cross-carrier scheduling serving cell for scheduling the PDSCH of the UC. In FIG. 4, th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is a main serving cell and the cross-carrier scheduling serving cell is a different serving cell (DL SCC + UL SCC).

다시 도 3에서, 기지국은 DL SCC를 통해 PDCCH1를 전송하고, PDCCH1이 지시하는 PDSCH1을 SDL의 UC를 통해 단말로 전송한다(S305). 이와 같이 PDCCH와 PDSCH가 서로 다른 서빙셀상에서 전송되는 동작을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라 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SDL을 사용하기 전에 먼저 CCA나 DCS를 통해 점유가 가능한지 확인하고, SDL UC를 점유한 것으로 가정한다. Referring back to FIG. 3, the base station transmits PDCCH1 through the DL SCC and transmits PDSCH1 indicated by the PDCCH1 to the terminal through the UC of the SDL (S305). The operation in which PDCCH and PDSCH are transmitted on different serving cells is referred to as cross-carrier scheduling. Here, it is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 sees that it can occupy through CCA or DCS before using SDL, and occupies SDL UC.

단말은 PDSCH1을 수신한 뒤 복호를 시도하고, 복호에 실패하면 UL PCC를 통해 HARQ NACK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310). The UE attempts to decode the PDSCH1 after receiving the PDSCH1, and transmits the HARQ NACK to the BS through the UL PCC when decoding fails (S310).

기지국은 HARQ NACK을 수신함에 따라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해야 하는데,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해 SDL의 UC를 계속하여 사용 가능한지(즉, 점유가 가능한지)를 확인해야 한다(S315). The base station should perform retransmission of data as it receives the HARQ NACK. In order to retransmit the data, the base station should check whether the UC of the SDL can be continuously used (i.e., occupied) (S315).

SDL UC의 점유가 지속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기지국은 SDL의 UC(즉 현재 데이터 전송이 발생하는 자신의 서빙셀)를 계속사용하여 PDSCH의 재전송(즉, PDSCH2의 전송)을 수행하되(S320), 이와 함께 PDSCH2가 전송되는 서빙셀이 SDL의 UC임을 지시하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PDCCH2를 단말로 전송한다(S320). 이 경우, 단말은 상기 플래그를 기반으로 HARQ NACK에 의한 PDSCH의 재전송이 SDL의 UC에서 수행됨을 인지하고, SDL의 UC에서 PDSCH2를 수신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tion of the SDL UC is sustainable, the base station continues to use the UC of the SDL (i.e., its own serving cell where the current data transmission occurs) to perform retransmission of the PDSCH (i.e., transmission of PDSCH2) At the same time, the serving cell transmitting PDSCH2 transmits a PDCCH2 including a flag indicating that the serving cell is the UC of the SDL to the UE (S320). In this case, the UE recognizes that retransmission of the PDSCH by the HARQ NACK is performed in the UC of the SDL based on the flag, and receives the PDSCH2 from the UC of the SDL.

하지만, SDL UC의 점유가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기지국은 단계 S300에서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로서 설정된 주서빙셀(DL PCC)을 통해 PDSCH의 재전송(즉, PDSCH2의 전송)을 수행하되(S325), 이와 함께 PDSCH2가 전송되는 서빙셀이 RRC에 의해 설정된 서빙셀(즉,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 도 3, 4에서는 DL PCC를 가리킴)임을 지시하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PDCCH2를 단말로 전송한다(S325). 이 경우, 단말은 상기 플래그를 기반으로 HARQ NACK에 의한 PDSCH의 재전송이 DL PCC에서 수행됨을 인지하고, DL PCC에서 PDSCH2를 수신한다.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tion of SDL UC is impossible, the base station performs retransmission of the PDSCH (i.e., transmission of PDSCH2) through the main serving cell (DL PCC) set as th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in step S300 (S325) (PDCCH2) indicating that the serving cell in which the PDSCH2 is transmitted is a serving cell set by the RRC (i.e., a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in FIGs. 3 and 4, indicates a DL PCC) to the UE in step S325. In this case, the UE recognizes that retransmission of the PDSCH by the HARQ NACK is performed in the DL PCC based on the flag, and receives the PDSCH2 in the DL PCC.

1비트의 플래그가 사용되는 경우, 각 플래그 값이 지시하는 내용의 일례는 다음의 표와 같다. When a flag of 1 bit is used, an example of contents indicated by each flag value i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FLAG 비트 (1비트 예시)FLAG bit (1 bit example) PDSCH 재전송을 위한 서빙셀 지시Serving cell indication for PDSCH retransmission 00 DL SCell (UC)DL SCell (UC) 1One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0 (RRC에 의해 설정됨)Cross Carrier HARQ Serving Cell # 0 (set by RRC)

표 1은 플래그가 1비트로서 UC 또는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0을 지시한다. Table 1 shows a UC or a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 0 with a flag of 1 bit.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위계층 시그널에 의해 지시된 서빙셀의 수에 따라서 플래그의 비트 수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잠재적인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들의 집합(set)을 설정할 수 있다. 만약 3개의 하향링크 서빙셀이 상위계층 시그널에 의해 설정된 경우에서는 2비트의 플래그가 DCI에 의해서 단말에게 지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bits of the flag can als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rving cells indicated by the higher layer signal.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may set a set of potential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s. If three downlink serving cells are set by an upper layer signal, a 2-bit flag can be indicated to the UE by the DCI.

2비트의 플래그가 사용되는 경우, 각 플래그 값이 지시하는 내용의 일례는 다음의 표와 같다. When the 2-bit flag is used, an example of the content indicated by each flag value i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FLAG 비트 (1비트 예시)FLAG bit (1 bit example) SCH 재전송을 위한 서빙셀 지시Serving Cell Instruction for SCH retransmission 0000 DL SCell (UC)DL SCell (UC) 0101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0 (RRC configured)Th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 0 (RRC configured) 1010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1 (RRC configured)Th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 1 (RRC configured) 1111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2 (RRC configured)Th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 2 (RRC configured)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 인덱스 #0, #1, #2는 단계 S300의 상위계층 시그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것이고, 플래그 값 01, 10, 11은 각각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 인덱스 #0, #1, #2에 대응한다. Th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indices # 0, # 1 and # 2 are previously set by the upper layer signal of step S300, and the flag values 01, 10 and 11 are respectively set to the cross- .

단말은 재전송된 PDSCH2로부터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복호하면, 기존의 PDSCH1의 복호결과에 따른 데이터와 결합(combining)을 수행한다(S330). When the UE successfully decodes the data from the retransmitted PDSCH2, the UE performs combining with data according to the decoding result of the existing PDSCH1 (S330).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을 기반으로 PDSCH2가 전송될(즉, PDSCH가 재전송될) 서빙셀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을 설정하는 상위계층 시그널 및 PDCCH의 DCI에 포함된 플래그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PDCCH1, PDCCH2를 사용하였으나, E-PDCCH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base station can select the serving cell to which the PDSCH2 is to be transmitted (i.e., the PDSCH is to be retransmitted) based on the cross-carrier HARQ operation, which includes an upper layer signal for setting up a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and a DCI Lt; / RTI > Also, although the PDCCH1 and the PDCCH2 are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PDCCH may be used.

한편, 단계 S310에서 만약 단말이 HARQ-ACK을 전송하고, 기지국이 HARQ-ACK을 수신한 경우, 플래그는 디폴트로서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HARQ-ACK을 전송한 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플래그의 값을 무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E transmits an HARQ-ACK in step S310 and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HARQ-ACK, the flag can be set to 0 as a default. Alternatively, the MS may ignore the value of the flag received from the BS after transmitting the HARQ-ACK.

도 3 및 도 4의 실시예는 하향링크 HARQ 동작을 정의한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상향링크 HARQ 동작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상향링크 HARQ가 비동기(asynchronous) 방식을 기반으로 가정된다면, 동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상향링크 HARQ인 경우에서는 PUSCH 재전송이 수행되는 서빙셀에 대한 선택 및 지시 방법이 아래 PDSCH 재전송이 수행되는 그것을 수행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서 PDSCH는 PUSCH로 대체될 것이며, HARQ NACK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것으로 변경될 것이다. 그리고 상위계층 시그널과 플래그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PHICH를 통해서 NACK이 지시된 경우에는 해당 PHICH가 전송된 서빙셀에서 PUSCH 재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과 교차 반송파 스케쥴링 서빙셀이 같아진다. 왜냐하면 PHICH이 전송되는 서빙셀은 PUSCH 전송을 지시하는 (E)PDCCH (UL grant)가 전송되는 서빙셀과 같기 때문이다.3 and 4 define the downlink HARQ operation, but these embodiments are equally applicable to the uplink HARQ operation. That is, if the uplink HARQ is assumed to be based on an asynchronous scheme, the same method can be applied. In the case of the uplink HARQ, a method for selecting and indicating a serving cell in which a PUSCH retransmission is performed is a method in which a PDSCH retransmission is performed This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performing. For example, in FIG. 3 and FIG. 4, the PDSCH will be replaced with a PUSCH, and the HARQ NACK will be changed from being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And the upper layer signals and flags can be applied equally. However, when NACK is indicated through the PHICH, the PUSCH re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in the serving cell in which the corresponding PHICH is transmitted. In this case, th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and the cross-carrier scheduling serving cell are equal. This is because the serving cell to which the PHICH is transmitted is the same as the serving cell to which the (E) PDCCH (UL grant) indicating the PUSCH transmission is transmitted.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의 흐름도를 설명함에 있어서, 구체적인 예시로서 도 6을 참조한다. 도 5의 실시예는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을 지시(또는 설정)하는 상위계층 시그널이 불필요하며, 단지 DCI내 CIF(carrier indicator field)를 활성화 시키기 위한 교차 반송파 설정만이 필요하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describing the flowchart of Fig. 5, reference is made to Fig. 6 as a concrete example. 5 does not require an upper layer signal indicating (or setting) a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only a cross-carrier setting for activating a carrier indicator field need.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에 SDL UC를 구성하되, SDL UC를 스케줄링해 줄 서빙셀(스케줄링 서빙셀)을 지시하는 교차 반송파 설정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S500). 예를 들어 도 6은 SDL UC에 대한 스케줄링 서빙셀로서 DL SCC를 설정한 경우이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a base station transmits SDC UC to a mobile station, and transmits cross-carrier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a serving cell (scheduling serving cell) to be used for scheduling SDL UC to a mobile station in operation S500. For example, FIG. 6 shows a case where DL SCC is set as a scheduling serving cell for SDL UC.

다시 도 5에서, 기지국은 DL SCC를 통해 PDCCH1를 전송하고, PDCCH1이 지시하는 PDSCH1을 SDL의 UC를 통해 단말로 전송한다(S505). Referring again to FIG. 5,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PDCCH1 through the DL SCC and transmits the PDSCH1 indicated by the PDCCH1 to the terminal through the UC of the SDL (S505).

단말은 PDSCH1을 수신한 뒤 복호를 시도하고, 복호에 실패하면 UL PCC를 통해 HARQ NACK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510). After receiving PDSCH1 and attempting to decode the PDSCH1, the UE transmits an HARQ NACK to the BS through UL PCC (S510).

기지국은 HARQ NACK을 수신함에 따라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해야 하는데,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해 SDL의 UC를 계속하여 사용 가능한지(즉, 점유가 가능한지)를 확인해야 한다(S515). The base station should perform retransmission of data as it receives the HARQ NACK. In order to retransmit the data, the base station should check whether the UC of the SDL can be continuously used (i.e., occupied) (S515).

SDL UC의 점유가 지속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기지국은 SDL의 UC(즉 현재 데이터 전송이 발생하는 자신의 서빙셀)를 계속사용하여 PDSCH의 재전송(즉, PDSCH2의 전송)을 수행하되(S520), 이와 함께 PDSCH2가 전송되는 서빙셀이 SDL의 UC임을 지시하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PDCCH2를 단말로 전송한다(S520). 이 경우, 단말은 상기 플래그를 기반으로 HARQ NACK에 의한 PDSCH의 재전송이 SDL의 UC에서 수행됨을 인지하고, SDL의 UC에서 PDSCH2를 수신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tion of the SDL UC is sustainable, the base station continues to use the UC of the SDL (i.e., its own serving cell where the current data transmission occurs) to perform retransmission of the PDSCH (i.e., transmission of PDSCH2) At the same time, the PDCCH2 transmits a PDCCH2 including a flag indicating that the serving cell to which the PDSCH2 is transmitted is the UC of the SDL to the UE (S520). In this case, the UE recognizes that retransmission of the PDSCH by the HARQ NACK is performed in the UC of the SDL based on the flag, and receives the PDSCH2 from the UC of the SDL.

하지만, SDL UC의 점유가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기지국은 단계 S500에서 스케줄링 서빙셀로서 설정된 부서빙셀(DL SCC)을 통해 PDSCH의 재전송(즉, PDSCH2의 전송)을 수행하되(S525), 이와 함께 PDSCH2가 전송되는 서빙셀이 DL SCC임을 지시하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PDCCH2를 DL SCC를 통해 단말로 전송한다(S525). 이 경우, 단말은 상기 플래그를 기반으로 HARQ NACK에 의한 PDSCH의 재전송이 DL SCC에서 수행됨을 인지하고, DL SCC에서 PDSCH2를 수신한다. 이에 따르면, 단말에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설정되었다고 하더라도 마치 셀프 스케줄링과 같이 동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tion of the SDL UC is impossible, the base station performs retransmission of the PDSCH (i.e., transmission of the PDSCH2) through the secondary serving cell (DL SCC) set as the scheduling serving cell in step S500 (S525) The PDCCH2 including the flag indicating that the serving cell is the DL SCC is transmitted to the UE through the DL SCC (S525). In this case, the UE recognizes that retransmission of the PDSCH by HARQ NACK is performed in the DL SCC based on the flag, and receives the PDSCH2 in the DL SCC. According to this, even if the UE is configured with the cross-carrier scheduling, it can be regarded as operating as self-scheduling.

단계 S520과 단계 S525에서 1비트의 플래그가 사용되는 경우, 각 플래그 값이 지시하는 내용의 일례는 다음의 표와 같다. When one-bit flag is used in step S520 and step S525, the contents indicated by each flag value are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FLAG 비트 (1비트 예시)FLAG bit (1 bit example) PDSCH 재전송을 위한 서빙셀 지시Serving cell indication for PDSCH retransmission 00 DL SCell (UC)DL SCell (UC) 1One 스케줄링 서빙셀#0 (교차 반송파스케쥴링을 위해 RRC에 의해 설정된 스케쥴링 서빙셀)Scheduling Serving Cell # 0 (Scheduling Serving Cell Set by RRC for Cross Carrier Scheduling)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 인덱스 #0은 단계 S500의 교차 반송파 설정정보에 의해 미리 설정된 것이고, 플래그 값 1은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 인덱스 #0에 대응한다. Th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index # 0 is previously set by the cross-carrier setting information of step S500, and the flag value 1 corresponds to th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index # 0.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LAA에서 다수의 CC가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FIG. 7 illustrates a case where a plurality of CCs are used in the LAA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총 16개의 CC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CC는 N개까지 확장될 수 있다. CC1 부터 CC6까지는 면허 대역에 포함되고, CC7부터 CC16까지는 비면허 대역에 포함된다. 기지국이 LAA에 기반하여 단말에 다수의 CC(또는 서빙셀)들을 구성할 때, 그룹 기반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7의 경우에는 16개 CC들을 총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 7, a total of sixteen CCs are shown,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CCs can be expanded to N. CC1 through CC6 are included in the license band, and CC7 through CC16 are included in the license-exempt zone. When the base station constructs a plurality of CCs (or serving cells) on the basis of the LAA, it can be configured as a group based. In the case of FIG. 7, 16 CCs a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32개 CC를 이용하는 B5C 설정까지 고려할 때, 서빙셀 그룹(최대 8개 서빙셀로 구성될 수 있는 그룹)을 최대 4개까지 설정할 수 있다면(4*32=32CCs), 각 그룹마다 도 3의 실시예 또는 도 5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Considering the B5C configuration using 32 CCs, it is possible to set up to 4 serving cell groups (groups that can be composed of a maximum of 8 serving cells) (4 * 32 = 32 CCs) The embodiment of Fig. 5 can be applied.

예를 들어 단말 특정한 그룹내에서만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이 선택되도록 정의하면, 단계 S300과 같은 상위계층 시그널없이 최대 3비트의 플래그(하나의 그룹내의 서빙셀의 수>4인 경우)로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을 지시할 수 있다. 물론, 서빙셀 그룹내의 서빙셀의 수에 따라서 플래그 비트 수 또한 달라질 수 있다. 한 서빙셀 그룹내에 최대 8개 서빙셀이 포함될 수 있다고 하면, 3비트의 플래그를 사용하여 단말 특정한 그룹 내의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을 지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a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is selected to be selected only within a UE-specific group, a maximum 3-bit flag (number of serving cells in one group> 4) without an upper layer signal as in step S300, It can indicate the serving cell. Of course, the number of flag bits may also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serving cells in the serving cell group. If a maximum of eight serving cells can be included in one serving cell group, a 3-bit flag can be used to indicate a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in a UE-specific group.

한편, 서빙셀 그룹의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플래그는 N비트로서(N>3) UC와 LB를 포함하여 K개까지의 서빙셀까지 지시할 수 있다. 도 7의 경우 16개의 CC이므로 4비트의 플래그이면 족하지만, 최대 32개 CC까지 지원되는 경우에는 N=5즉, 5비트의 플래그가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oncept of the serving cell group is not applied, the flag can indicate up to K serving cells, including UC and LB as N bits (N > 3). In the case of FIG. 7, since it is sixteen CCs, a flag of 4 bits is sufficient. However, if up to 32 CCs are supported, N = 5, that is, a 5-bit flag can be used.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의 흐름도를 설명함에 있어서, 구체적인 예시로서 도 9를 참조한다. 도 8의 실시예는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플래그가 불필요하며, 이를 대체하는 NDI가 사용된다. 현재 DCI 포맷 내에 정의되어 있는 1비트의 NDI 필드를 재활용하되, NDI 필드가 PDSCH의 재전송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로 PDSCH의 재전송이 수행된다.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describing the flowchart of Fig. 8, reference is made to Fig. 9 as a concrete example. The embodiment of FIG. 8 does not require flags,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3, and NDI is used to replace it. The 1-bit NDI field defined in the current DCI format is reused. When the NDI field indicates retransmission of the PDSCH, retransmission of the PDSCH to th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is performed.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로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을 지시하는 상위계층 시그널을 전송한다(S800). 상위계층 시그널은 LAA가 설정된 단말을 위해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서 PDSCH의 재전송이 어떤 서빙셀에서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지시한다. 또는 해당 상위계층 시그널링 없이 사전에 정해진 하나의 서빙셀이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Cell 이 경우 단계 S800은 생략될 수 있다. 8 and 9, the BS transmits an upper layer signal indicating a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to the MS (S800). The upper layer signal indicates to which serving cell the retransmission of the PDSCH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support the cross-carrier HARQ operation for the terminal for which the LAA is established. Or one predefined serving cell without the higher layer signaling may be a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For example, in this case, step S800 may be omitted.

기지국은 PDSCH1을 SDL의 UC를 통해 단말로 전송한다(S805).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PDSCH1 to the mobile station through the UC of the SDL (S805).

단말은 PDSCH1을 수신한 뒤 복호를 시도하고, 복호에 실패하면 UL PCC를 통해 HARQ NACK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810). The UE attempts to decode the PDSCH1 after receiving the PDSCH1, and transmits the HARQ NACK to the BS through the UL PCC when decoding fails (S810).

기지국은 HARQ NACK을 수신함에 따라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해야 하는데, SDL UC의 점유에 상관없이 기지국은 단계 S800에서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로서 설정된 주서빙셀(DL PCC)을 통해 PDSCH의 재전송(즉, PDSCH2의 전송)을 수행하되(S815), 이와 함께 PDSCH2가 전송되는 서빙셀이 DL PCC임을 지시하는 NDI를 포함하는 PDCCH2를 DL PCC를 통해 단말로 전송한다(S815). 단말은 상기 NDI를 수신한 뒤, NDI가 재전송을 지시하는 경우 이로부터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에 의해 PDSCH2의 재전송이 수행됨을 묵시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Regardless of the occupation of the SDL UC, the base station retransmits the PDSCH (that is, the PDSCH) through the main serving cell (DL PCC) set as th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in step S800, PDCCH2) (S815), and transmits the PDCCH2 including the NDI indicating that the serving cell to which the PDSCH2 is transmitted is the DL PCC to the UE through the DL PCC (S815). After receiving the NDI, the UE can implicitly recognize that the retransmission of the PDSCH2 is performed by th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when the NDI indicates retransmission.

교차반송파 HARQ 서빙셀 인덱스 #0은 단계 S800의 상위계층 시그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것이고, 플래그 값 1은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 인덱스 #0에 대응한다. Th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index # 0 is previously set by the upper layer signal of step S800, and the flag value 1 corresponds to th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index # 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재전송 PDSCH는 상위계층 시그널(예를 들어 RRC)로 설정된 서빙셀상에서 전송됨" 또는 "재전송 PDSCH는 주서빙셀을 통해 전송됨"을 단말과 기지국간에 미리 규정한다. 이러한 규정은 NDI가 재전송을 지시하는 경우에 의미가 있다. NDI에 기반한 교차 반송파 HARQ 동작과 같이 기지국과 단말간에 미리 규정된 특정 서빙셀에서만 PDSCH의 재전송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재전송 서빙셀이 다이나믹하게 변경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transmission PDSCH is transmitted on the serving cell set to the upper layer signal (for example, RRC)" or "retransmission PDSCH is transmitted on the main serving cell" This provision is meaningful when NDI directs retransmission. In the case of retransmission of a PDSCH only in a specific serving cell predefined between a Node B and a UE, such as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based on NDI, the retransmission serving cell is not dynamically changed.

따라서, NDI가 재전송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묵시적으로 미리 규정된 특정 서빙셀을 통해 PDSCH의 재전송이 수행됨을 인지할 수 있다. 즉, 추가적인 플래그 비트를 도입하지 않더라도 NDI를 통해서 단말은 재전송되는 PDSCH를 다른 서빙셀에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한 번의 CCA 수행 이후 점유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시간)이 재전송을 위해서 요구되는 시간보다 짧은 일부 지역 또는 국가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의 경우에는 한번의 CCA를 통해서 점유할 수 있는 최대 시간은 4ms이기 때문에 이 시간은 재전송을 기대하는 시간보다 짧다(e.g. HARQ 재전송 타이밍≥8ms). 이 경우 어차피 재전송은 PDSCH가 최초로 전송된 UC가 아닌 다른 서빙셀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PDSCH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서빙셀을 굳이 플래그로 지시할 필요가 없다. Accordingly, when the NDI instructs retransmission, the UE can recognize that retransmission of the PDSCH is performed through a specific serving cell that is implicitly predefined. That is, even if the additional flag bit is not introduced, the UE can receive the retransmitted PDSCH in the other serving cell through the NDI. This scheme may be effective in some regions or countries where the subframe (time) that can be occupied after one CCA run is shorter than the time required for retransmission. For example, in Japan, since the maximum time that can be occupied through one CCA is 4 ms, this time is shorter than the time to expect retransmission (e.g., HARQ retransmission timing ≥8 ms). In this case, since the retransmission occurs in the serving cell other than the UC to which the PDSCH is initially transmitted, it is unnecessary to dictate the serving cell for retransmission of the PDSCH.

한편, NDI에 기반한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에 있어서, 기지국과 단말은 서로 일정한 규칙에 의해 미리 정의된 특정 서빙셀을 묵시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ross-carrier HARQ operation based on the NDI, the BS and the UE can implicitly derive a specific serving cell defined in advance according to a certain rule.

일 측면에서, UC 상에서 초기 전송된(initially transmitted) PDSCH에 대한 재전송은 UC가 아닌 스케줄링 서빙셀(교차 반송파 설정정보에 의해 지시됨) 또는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상위계층 시그널에 의해 지시됨)상에서 수행되는 것을 규칙으로 정하고, 단말과 기지국은 이 규칙에 따라 재전송 서빙셀을 서로 동일하게 유추할 수 있다. In one aspect, retransmission for a PDSCH that is initially transmitted on the UC is performed on a scheduling serving cell (indicated by the cross-carrier setting information) or a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indicated by the upper layer signal) The UE and the BS can deduce the retransmission serving cell to be equal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is rule.

다른 측면에서, UC1 상에서 초기 전송된 PDSCH에 대한 재전송은 UC1이 아닌 다른 UC2 상에서 수행되는 것을 규칙으로 정할 수 있다. 이때 다른 UC2는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로서 상위계층 시그널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it is possible to rule that retransmissions for a PDSCH initially transmitted on UC1 are performed on UC2 other than UC1. At this time, another UC2 may be indicated by a higher layer signal as a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또 다른 측면에서, UC1 상에서 초기 전송된 PDSCH에 대한 재전송은 i) 1차적으로 UC1이 아닌 다른 UC2(상위계층 시그널에 의해 지시) 상에서 수행되나, ii) 만약 UC2 또한 재전송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이 없는 경우(즉, UC2의 점유가 불가한 경우), 2차적으로 주서빙셀과 같은 LC상에서 PDSCH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규칙으로 정할 수 있다(이른바 폴백 방식(Fallback method)). 따라서 단말과 기지국은 초기 PDSCH가 전송된 서빙셀(UC1)과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UC2)의 이용가능성(또는 점유상태)을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만약 UC1, UC2에서 모두 자원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 최종적으로 PDSCH의 재전송은 주서빙셀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UC1, UC2의 채널의 점유유무는 서빙eNB에 의해서 기지국과 단말이 모두 아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규칙을 좀더 일반화하여 설명하면 도 10과 같다. In another aspect, retransmission for a PDSCH initially transmitted on UC1 is performed on i) a UC2 (indicated by a higher layer signal) that is not primarily UC1, but ii) if UC2 is also a resource available for retransmission (I.e., when UC2 is not occupied), it is possible to rule out retransmission of the PDSCH on an LC such as a secondary serving cell (a so-called fallback method). Therefore, the UE and the BS must confirm availability (or occupation state) of the serving cell UC1 and th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UC2 in which the initial PDSCH is transmitted. If all resources are not acquired in UC1 and UC2, the PDSCH retransmission can be finally performed in the main serving cell. Here, it is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 and the UE know whether the channels of UC1 and UC2 are occupied by the serving eNB. These rules are more generalized as shown in FIG.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재전송 서빙셀을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선택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최대한 UC에 설정된 서빙셀들에서 PDSCH의 재전송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복수개의 UC(SCell)에 대한 점유에 성공할 수 있음을 전제로,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재전송 서빙셀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lecting a retransmission serving cell based on priority in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allow retransmission of a PDSCH in serving cells set to UC as much as possible.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method of selecting a retransmission serving cell based on a priority, on the assumption that it can succeed in occupying a plurality of UCs (SCell).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UC의 부서빙셀상에서 초기 PDSCH를 전송한다(S1000). 단말은 UC의 부서빙셀상에서 초기 PDSCH를 수신한다. 초기 PDSCH의 복호에 실패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 HARQ NACK을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BS transmits an initial PDSCH on a secondary serving cell of the UC (S1000). The UE receives the initial PDSCH on the serving cell of the UC. If decoding of the initial PDSCH fails, the UE transmits an HARQ NACK to the BS.

이에,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HARQ NACK을 수신한다(S1005).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HARQ NACK from the UE (S1005).

기지국은 UC의 부서빙셀상에서 재전송 PDSCH를 위한 자원을 획득하였는지 확인한다(S1010). The base station confirms whether it has acquired resources for the retransmission PDSCH on the secondary serving cell of the UC (S1010).

만약 UC의 부서빙셀상에서 재전송 PDSCH를 위한 자원이 있다면(즉, 기지국이 UC의 점유에 성공하면), 기지국은 해당 UC에서 PDSCH의 재전송을 수행한다(S1015). If there is a resource for the retransmission PDSCH in the secondary serving cell of the UC (i.e., if the base station succeeds in occupying the UC), the base station retransmits the PDSCH in the corresponding UC (S1015).

반면 만약 UC의 부서빙셀상에서 재전송 PDSCH를 위한 자원이 없다면(즉, 기지국이 UC의 점유에 실패하면), 기지국은 다른 UC의 부서빙셀상에서 PDSCH의 재전송을 위한 자원을 획득하였는지 확인한다(S1020).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resource for the retransmission PDSCH in the secondary serving cell of the UC (i.e., if the base station fails to occupy the UC), the base station confirms whether it has acquired resources for retransmission of the PDSCH on the secondary serving cell of another UC ).

만약, 다른 UC의 부서빙셀상에서 PDSCH의 재전송을 위한 자원이 없였다면(즉, 기지국이 다른 UC의 점유에 실패하면), 기지국은 주서빙셀 또는 기설정된 LC 또는 고정된 LC에서 PDSCH의 재전송을 수행한다(S1025). If there is no resource for retransmission of the PDSCH on the serving cell of another UC (that is, the base station fails to occupy another UC), the base station may retransmit the PDSCH in the primary serving cell or a pre- (S1025).

만약, 다른 UC의 부서빙셀상에서 PDSCH의 재전송을 위한 자원이 있다면(즉, 기지국이 다른 UC의 점유에 성공하면), 기지국은 자원획득에 성공한 UC들이 1개보다 큰지 판단한다(S1030). If there is a resource for retransmission of the PDSCH on the secondary serving cell of another UC (i.e., if the base station succeeds in occupying another UC), the base station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of UCs successful in resource acquisition is greater than one (S1030).

만약, 자원을 획득한 다른 UC의 부서빙셀들의 개수가 1보다 크지 않으면(즉, 1이면), 기지국은 자원이 있는 1개의 다른 UC의 부서빙셀상에서 PDSCH의 재전송을 수행한다(S1035). If the number of the serving cells of another UC that has acquired the resource is not greater than 1 (i.e., if the number is 1), the base station performs retransmission of the PDSCH on the serving cell of one other UC having the resource (S1035).

만약, 자원을 획득한 다른 UC의 부서빙셀들의 개수가 1보다 크면, 기지국은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선택된 UC의 부서빙셀상에서 PDSCH의 재전송을 수행한다(S1040). If the number of the serving cell of another UC that acquires the resource is greater than 1, the base station retransmits the PDSCH on the secondary serving cell of the selected UC based on the priority (S1040).

구체적으로, 다수의 UC의 부서빙셀들 중에서 PDSCH의 재전송을 수행할 부서빙셀의 우선순위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Specifically, among the secondary serving cells of a plurality of UCs, the priority of a secondary serving cell for performing PDSCH retransmission is, for example, as follows.

i) 부서빙셀 인덱스 값이 가장 작거나 큰 값을 가지는 UC의 부서빙셀, 또는i) the serving cell of the UC having the smallest or largest value of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dex value, or

ii) 가장 최근 또는 오래된 채널을 획득한 UC의 부서빙셀, 또는ii) the serving cell of the UC that obtained the most recent or oldest channel, or

iii) UC의 부서빙셀에 대한 우선순위가 RRC로 설정된 경우,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설정된 UC의 부서빙셀. iii) The serving cell of the UC, set to the highest priority, if the priority for the serving cell of the UC is set to RRC.

그리고 기지국은 단계 S1040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를 기초로 선택된 부서빙셀에서 PDSCH의 재전송을 수행한다.In step S1040, the BS performs retransmission of the PDSCH in the selected secondary serving cell based on the priority.

상기 단계 S1010 내지 단계 S1025는 단말에 의해 동일하게 수행되어, 단말이 재전송 서빙셀을 알아낼 수 있다. Steps S1010 to S1025 are performed by the UE in the same manner, so that the UE can find the retransmission serving cell.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과 단말은 초기 PDSCH가 전송된 UC에서 자원획득이 불가한 경우, 별도의 상위계층 시그널없이 플래그와 미리 정한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재전송 서빙셀을 선정 및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플래그는 HARQ 재전송시 다른 서빙셀에서 PDSCH가 재전송될 것이라는 정보를 단말에게 알려주는 역할만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어떤 서빙셀인지에 대한 것은 도 10의 순서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resource acquisition is not possible in the UC in which the initial PDSCH is transmitted, the BS and the UE can select and check the retransmission serving cell based on the flag without any upper layer signal and the predetermined priority.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ag only informs the UE of information that the PDSCH will be retransmitted in another serving cell during HARQ retransmission. Specifically, what the serving cell is can be determined by the flowchart of FIG.

도 10까지는 플래그 또는 NDI에 기반한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플래그 또는 NDI와 같은 제어정보없이 재전송 서빙셀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기지국은 CCA수행을 통해서 자원(빈 채널)을 획득하고, 재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특정 신호(프리엠블 또는 PDCCH)을 단말에게 전송하여 기지국의 채널 점유 확보 상태를 알려준다. 단말이 재전송 PDSCH를 수신하는 타이밍에 이미 기지국이 빈 채널을 획득하였다면 단말 또한 그 사실(또는 기지국이 빈 채널을 획득하였다는 정보)을 상기 특정 신호를 통해서 미리 알고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기지국의 채널 확보 여부에 따라서 재전송 PDSCH가 전송되는 서빙셀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은 만약에 초기 PDSCH가 전송된 UC를 위해 빈 채널을 확보하지 못하였다면 사전에 RRC 시그널에 의해 지시되거나 정해진 서빙셀로 재전송 PDSCH를 수행한다. 단말 또한 기지국의 해당 UC상의 채널 획득 여부를 사전에 기지국으로부터 보내진 특정 신호를 통해서 알 수 있으므로 재전송 PDSCH가 어떤 서빙셀로 전송될지 알 수 있다. Although FIG. 10 illustrates the cross-carrier HARQ operation based on the flag or the NDI, the retransmission serving cell may be determined without control information such as a flag or an NDI.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base station obtains a resource (empty channel) through CCA and transmits a specific signal (preamble or PDCCH) to the UE before retransmission, thereby notifying the base station of the channel occupation state. If the base station has already acquired an idle channel at the timing of receiving the retransmission PDSCH, the terminal can also assume that it knows the fact (or information that the base station has acquired an idle channel) through the specific signal in advance. Accordingly, the UE can recognize the serving cell in which the retransmission PDSCH is transmitted according to whether the BS acquires the channel. Here, if the initial PDSCH fails to secure an idle channel for the UC to which the initial PDSCH is transmitted, the BS performs retransmission PDSCH with the serving cell indicated or designated by the RRC signal in advance. The UE can also know whether the retransmission PDSCH will be transmitted to which serving cell because the UE can know whether to acquire a channel on the corresponding UC of the BS through a specif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S in advance.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1100)과 기지국(1150)은 본 명세서에서 게시된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11, a UE 1100 and a Node B 1150 perform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as disclosed herein.

단말(1100)은 프로세서(1110), RF부(1120) 및 메모리(1125)를 포함한다. The terminal 1100 includes a processor 1110, an RF unit 1120, and a memory 1125.

프로세서(111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10)는 본 명세서에서 게시된 도 3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단말의 모든 동작을 구현하며,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1125)는 프로세서(11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1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1120)는 프로세서(11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예를 들어, RF부(1120)는 기지국(1150)으로 HARQ ACK/NACK을 전송하거나, 기지국(1150)으로부터 PDSCH, PDCCH, 플래그, NDI, 상위계층 시그널 등을 수신할 수 있다. Processor 1110 implements the functions, processes, and / or methods suggested herein. Specifically, the processor 1110 implements all the operations of the U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FIGS. 3 to 10 and performs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The memory 1125 is coupled to the processor 1110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processor 1110. [ The RF unit 1120 is coupled to the processor 1110 to transmit and / or receive wireless signals. For example, the RF unit 1120 may transmit an HARQ ACK / NACK to the base station 1150 or receive a PDSCH, a PDCCH, a flag, an NDI, an upper layer signal, and the like from the base station 1150.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100)는 RF부(1120)에서 수신한 PDCCH, PDSCH, 플래그, NDI, 상위계층 시그널 등을 복호하고 해석하며, 그에 따른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을 수행한다. RF부(1120)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을 지시하는 상위계층 시그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비면허 대역상의 부서빙셀(SCell)상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DSCH를 수신한다. The processor 1100 decodes and analyzes the PDCCH, the PDSCH, the flag, the NDI, the upper layer signal, and the like received by the RF unit 1120, and performs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according to the decoding. RF section 1120 receives a higher layer signal indicating the at least on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from the base station and receives the PDSCH from the base station on a secondary serving cell (SCell) on the license-exempt band.

프로세서(1100)는 PDCCH 내지는 PDSCH의 복호에 실패할 경우 HARQ NACK을 생성하고, RF부(1120)를 통해 기지국(1150)으로 전송한다. When the PDCCH or PDSCH decoding fails, the processor 1100 generates an HARQ NACK and transmits the HARQ NACK to the base station 1150 through the RF unit 1120. [

일 실시예로서, RF부(1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 및 상기 부서빙셀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플래그(flag)를 포함하는 PDCCH를 기지국(1150)으로부터 수신하며, 이와 함께 상기 PDCCH에 의해 지시되는 재전송 PDSCH를 기지국(1150)으로부터 수신한다. 플래그가 지시하는 내용은 표 1 내지 표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다. 여기서, RF부(1120)는 상기 플래그가 지시하는 서빙셀상에서 재전송 PDSCH를 수신하고, 상기 재전송 PDSCH와 다른 서빙셀상에서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은 면허 대역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은 단말에 특정한 하나의 서빙셀 그룹 내에 포함되는 서빙셀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F unit 1120 receives from the base station 1150 a PDCCH that includes a flag indicating either the at least on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And receives a retransmission PDSCH indicated by the PDCCH from the BS 1150. The contents indicated by the flags are as shown in Tables 1 to 3. Here, the RF unit 1120 may receive a retransmission PDSCH on a serving cell indicated by the flag, and may receive a PDCCH on a different serving cell than the retransmission PDSCH. The at least on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may be included in the license band. The at least on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may be selected from among serving cells included in one serving cell group specific to the UE.

다른 실시예로서, RF부(1120)는 단말(1100)과 기지국(1150)간에 미리 규정된 서빙셀상에서 PDSCH의 재전송이 수행됨을 지시하는 NDI를 포함하는 PDCCH를 기지국(1150)으로부터 수신하며, 이와 함께 상기 PDCCH에 의해 지시되는 재전송 PDSCH를 기지국(1150)으로부터 수신한다. NDI가 지시하는 내용은 표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다. 여기서, RF부(1120)는 미리 정해진 서빙셀상에서 상기 NDI에 따라 재전송 PDSCH를 수신할 수 있다. The RF unit 1120 receives from the Node B 1150 a PDCCH including an NDI indicating that retransmission of a PDSCH is performed on a predefined serving cell between the UE 1100 and the Node B 1150, Together with the retransmission PDSCH indicated by the PDCCH, from the base station 1150. The contents indicated by NDI are shown in Table 4. Here, the RF unit 1120 may receive a retransmission PDSCH according to the NDI on a predetermined serving cell.

또 다른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100)는 도 10에 따른 우선순위에 기반한 교차 반송파 HARQ 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100 may perform a cross-carrier HARQ scheme based on the priority according to FIG.

또 다른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100)가 상기 PDSCH의 복호에 성공한 경우 기지국(1150)으로 HARQ ACK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로세서(1100)가 상기 HARQ ACK에 대하여 수신된 플래그를 무시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f processor 1100 successfully decodes the PDSCH, it may send an HARQ ACK to base station 1150, in which case processor 1100 may ignore the received flag for the HARQ ACK.

기지국(1150)은 메모리(1155), 프로세서(1160) 및 RF부(1165)를 포함한다. Base station 1150 includes memory 1155, processor 1160, and RF section 1165.

프로세서(116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60)는 본 명세서에서 게시된 도 3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지국의 모든 동작을 구현하며,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1155)는 프로세서(116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16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1165)는 프로세서(116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예를 들어, RF부(1165)는 단말(1100)로부터 HARQ ACK/NACK을 수신하거나, 단말(1100)로 PDSCH, PDCCH, 플래그, NDI, 상위계층 시그널 등을 전송할 수 있다. Processor 1160 implements the functions, processes, and / or methods suggested herein. Specifically, the processor 1160 implements all of the operations of the base station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FIGS. 3 to 10, which are herein disclosed, and performs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The memory 1155 is coupled to the processor 1160 to store variou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processor 1160. The RF unit 1165 is coupled to the processor 1160 to transmit and / or receive wireless signals. For example, the RF unit 1165 may receive an HARQ ACK / NACK from the UE 1100 or may transmit a PDSCH, a PDCCH, a flag, an NDI, an upper layer signal, and the like to the UE 1100.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160)는 RF부(1165)에서 수신한 PDCCH, PDSCH, 플래그, NDI, 상위계층 시그널 등을 생성하며, 그에 따른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을 수행한다. RF부(1165)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을 지시하는 상위계층 시그널을 단말(1100)로 전송하고, 비면허 대역상의 부서빙셀(SCell)상에서 ㄷ단말(1100)로 PDSCH를 전송한다. More specifically, the processor 1160 generates a PDCCH, a PDSCH, a flag, an NDI, an upper layer signal, and the like received by the RF unit 1165 and performs a cross-carrier HARQ operation according to the generated PDCCH. The RF unit 1165 transmits an upper layer signal indicating the at least on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to the UE 1100 and transmits the PDSCH to the UE 1100 on the secondary serving cell SCell on the license-exempt band.

일 실시예로서, RF부(1165)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 및 상기 부서빙셀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플래그(flag)를 포함하는 PDCCH를 단말(1100)로 전송하며, 이와 함께 상기 PDCCH에 의해 지시되는 재전송 PDSCH를 단말(1100)로 전송한다. 플래그가 지시하는 내용은 표 1 내지 표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다. 여기서, RF부(1165)는 상기 플래그가 지시하는 서빙셀상에서 재전송 PDSCH를 전송하고, 상기 재전송 PDSCH와 다른 서빙셀상에서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은 면허 대역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은 단말에 특정한 하나의 서빙셀 그룹 내에 포함되는 서빙셀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F unit 1165 transmits a PDCCH including a flag indicating one of the at least on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to the UE 1100, And transmits the retransmission PDSCH indicated by the PDCCH to the UE 1100. The contents indicated by the flags are as shown in Tables 1 to 3. Here, the RF unit 1165 may transmit a retransmission PDSCH on a serving cell indicated by the flag, and may transmit a PDCCH on a different serving cell than the retransmission PDSCH. The at least on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may be included in the license band. The at least on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may be selected from among serving cells included in one serving cell group specific to the UE.

다른 실시예로서, RF부(1165)는 단말(1100)과 기지국(1150)간에 미리 규정된 서빙셀상에서 PDSCH의 재전송이 수행됨을 지시하는 NDI를 포함하는 PDCCH를 단말(1100)로 전송하며, 이와 함께 상기 PDCCH에 의해 지시되는 재전송 PDSCH를 단말(1100)로 전송한다. NDI가 지시하는 내용은 표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다. 여기서, RF부(1165)는 미리 정해진 서빙셀상에서 상기 NDI에 따라 재전송 PDSCH를 전송할 수 있다. The RF unit 1165 transmits to the UE 1100 a PDCCH including an NDI indicating that retransmission of a PDSCH is performed on a predefined serving cell between the UE 1100 and the Node B 1150, And transmits the retransmission PDSCH indicated by the PDCCH to the UE 1100. The contents indicated by NDI are shown in Table 4. Here, the RF unit 1165 can transmit a retransmission PDSCH according to the NDI on a predetermined serving cell.

또 다른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160)는 도 10에 따른 우선순위에 기반한 교차 반송파 HARQ 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160 may perform a cross-carrier HARQ scheme based on the priority according to FIG.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system, the methods are described on the basis of a flowchart as a series of steps or block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der of the steps, and some steps may occur in different orders . It will als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teps shown in the flowchart are not exclusive and that other steps may be included or that one or more steps in the flowchart may be deleted without affec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교차 반송파(cross carrier) HARQ 서빙셀을 지시하는 상위계층 시그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비면허 대역상의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상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PDSCH의 복호에 실패한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HARQ NACK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 및 상기 부서빙셀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플래그(flag)를 포함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l CHannel)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PDCCH에 의해 지시되는 재전송 PDSCH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ARQ 동작의 수행방법.
A method for performing 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operation by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Receiving an upper layer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indicating at least one cross carrier HARQ serving cell;
Receiving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from the base station on a secondary serving cell (SCell) on a license-exempted band;
Transmitting a HARQ NACK to the base station if decoding of the PDSCH fails;
Receiving a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l CHannel) from the BS, the PDCCH including a flag for indicating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rving cells; And
And receiving a retransmission PDSCH indicated by the PDCCH from the base s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PDSCH는 상기 플래그가 지시하는 서빙셀상에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RQ 동작의 수행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transmission PDSCH is received on a serving cell indicated by the fla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DCCH는 상기 재전송 PDSCH와 다른 서빙셀상에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RQ 동작의 수행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DCCH is received on a different serving cell than the retransmission PDS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은 면허 대역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RQ 동작의 수행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is included in a license ba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차 반송파 HARQ 서빙셀은 단말에 특정한 하나의 서빙셀 그룹 내에 포함되는 서빙셀들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RQ 동작의 수행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cross-carrier HARQ serving cell is selected from among serving cells included in one serving cell group specific to the U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DSCH의 복호에 성공한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HARQ ACK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HARQ ACK에 대하여 수신된 플래그는 무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RQ 동작의 수행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ransmitting an HARQ ACK to the base station when decoding of the PDSCH is successful,
And the received flag for the HARQ ACK is ignored.

KR1020150015077A 2015-01-30 2015-01-30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KR1022992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077A KR102299241B1 (en) 2015-01-30 2015-01-30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077A KR102299241B1 (en) 2015-01-30 2015-01-30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033A true KR20160094033A (en) 2016-08-09
KR102299241B1 KR102299241B1 (en) 2021-09-07

Family

ID=5671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077A KR102299241B1 (en) 2015-01-30 2015-01-30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24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575A1 (en) * 2018-08-10 2020-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95073A1 (en) * 2012-01-30 2013-08-01 Renesas Mobile Corporation Low-Cost LTE System with Distributed Carrier Aggregation on the Unlicensed Band
KR20140123925A (en) * 2012-02-09 2014-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receiving signal and apparatus for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95073A1 (en) * 2012-01-30 2013-08-01 Renesas Mobile Corporation Low-Cost LTE System with Distributed Carrier Aggregation on the Unlicensed Band
KR20140123925A (en) * 2012-02-09 2014-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receiving signal and apparatus for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575A1 (en) * 2018-08-10 2020-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US11800560B2 (en) 2018-08-10 2023-10-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241B1 (en)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00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rrier aggregation
US10063350B2 (en) Devices for sending and receiv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formation for carrier aggregation
US10257812B2 (en)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mobile network
US201800420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cch resource allocation and harq-ack reporting with processing time reduction
KR1014700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reselecting an uplink primary carrier
US98537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rrier aggregation
US201800203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ime reduction signaling
US96925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ing reference configurations
US20180048447A1 (en)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US9191951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for optimal CFI control in a cross-carrier scheduling environment
US92466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eedback reporting
US20170111923A1 (en)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for low latency radio communications
US20130194980A1 (en) Devices for reconfiguring uplink and downlink allocations
JP64869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request i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500434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bframe bundling
US95598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rrier aggregation
US100516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JPWO2016148243A1 (en) User terminal and base station
EP3751763A1 (en) Indic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user equipment
KR10229924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KR201601344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KR201600183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reception of d2d signal
KR201600182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considering d2d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