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680A - 근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근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680A
KR20160091680A KR1020150012082A KR20150012082A KR20160091680A KR 20160091680 A KR20160091680 A KR 20160091680A KR 1020150012082 A KR1020150012082 A KR 1020150012082A KR 20150012082 A KR20150012082 A KR 20150012082A KR 20160091680 A KR20160091680 A KR 20160091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proximity
psid
proximity serv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돈성
송호영
김영진
전경규
김수창
현 이
김재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12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1680A/ko
Publication of KR20160091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6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04W4/001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에서의 근접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 서비스 종류 및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근접 서비스 아이디(Proximity Service identifier : PSid)를 근접 서비스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된 PSid를 소정 근접 영역에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근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roximity Service}
본 발명은 근거리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거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식별자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LTE, Wi-Fi 등 근거리 통신 기술 및 스마트폰 등의 발달로 인해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비약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 또한, 근거리 서비스(Proximity Service)나 D2D(Device to Device) 통신이 현재 3GPP에서 규격화되고 있고,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또는 개인셀(개인 단말의 가상 셀) 등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대부분의 공공 근접 서비스 또는 근접 서비스는 사용자가 원할 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근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와 통신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알아야 한다. 그런데, 현재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거리 대상에 대한 공공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이동 단말이 인접해 있는 서비스 주체(service master)의 전화 번호나, 인터넷 아이디 등을 획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Wi-Fi 핫스팟 서비스 등에서는 전화 번호나 의미있는 아이디를 획득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상업용으로 근접 서비스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사용자나,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 번호나 IP 주소 등의 공개를 서로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므로, 개인 정보 보호의 문제가 야기된다.
본 발명은 근접해 있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전화 번호나 인터넷 서비스 아이디 없이도 근접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근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에서의 근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서비스 종류 및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근접 서비스 아이디(Proximity Service identifier : PSid)를 근접 서비스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된 PSid를 소정 근접 영역에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의 근접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으로, 서비스 종류 및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근접 서비스 아이디(Proximity Service identifier : PSid)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PSid 중 사용자가 원하는 근접 서비스에 상응하는 PSid가 있을 경우, 해당 PSid를 이용하여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에 접속하여 근접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되고, 상기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을 통해 근접 서비스 서버로부터 근접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로, 서비스 종류 및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근접 서비스 아이디(Proximity Service identifier : PSid)를 근접 서비스 서버에 등록하는 근접 서비스 등록부와, 상기 등록된 PSid를 소정 근접 영역에 브로드캐스팅하는 PSid 방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로, 서비스 종류 및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근접 서비스 아이디(Proximity Service identifier : PSid)를 수신하는 PSid 획득부와, 상기 수신된 PSid 중 사용자가 원하는 근접 서비스에 상응하는 PSid가 있을 경우, 해당 PSid를 이용하여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에 접속하여 근접 서비스를 요청하는 근접 서비스 요청부와, 상기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되고, 상기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을 통해 근접 서비스 서버로부터 근접 서비스를 제공받는 근접 통신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서비스 주체가 근접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위치정보나, 전화번호, IP 주소 등이 필요없이, 서비스 주체(service master)가 PSid 만을 방송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획득하여, 사용자와 서비스 주체 간의 PSid 만으로 접속이 이루어져, 통신(음성 또는 데이터) 및 서비스 제공이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3GPP LTE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Sid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11~13, 21~23)는 일정 지역 내(10, 20)에서 공공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공공서비스서버(41, 42) 또는 통신서비스제공자(30)에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여기서, 공공서비스서버(41, 42)는 경찰통신서비스, 긴급구조통신서비스, 긴급의료통신서비스, 수상안전통신서비스, 대리운전통신서비스, 주차통신서비스, 각종 안내 통신 서비스를 포함하는 공공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근접 서비스 서버(1, 2)는 일정 거리 내에서 일정 근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공 서비스 서버(41, 42)와 서비스 제공자 서버(50)에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다만, 네트워크 연결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나, 서비스 제공자 서버(50)와 사용자(11~13, 21~23)가 상호 인증을 원하지 않는 긴급한 경우, 사전에 등록된 PSid를 이용한 공공 근접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11~13, 21~23)는 일정 거리 내(100)에서 해당 서비스 제공자가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공공 근접 통신 서비스 ID인 PSid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근접 서비스에 해당하는 PSid인 경우, 서비스 주체에 연결 통신 요구 등의 절차를 수행하여, 원하는 통신과 유용한 정보 수신 등의 서비스를 받게 된다.
일정 거리 내(10, 20)의 서비스 제공자(14, 24) 및 사용자(11~13, 21~23)들을 관리하기 위한 근접 서비스 서버(1, 2)는 서비스 제공자(14, 24)의 단말에 위치하거나, 근접 거리의 기지국에 위치할 수 있다. 근접 서비스 서버(1, 2)는 서비스 제공자(14, 24)에 의해서 생성 또는 소멸될 수 있다. 서비스 주체가 복수인 경우, 서비스 제공 단말들(또는 기지국들) 중에서 하나의 단말에서 근접공공서비스 제공 절차를 주도할 수 있다.
통신서비스제공자(30)는 필요한 경우 기지국에서 공공 근접 서비스 제공을 위한 근접 서비스 서버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해당 기지국에 속해 있는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사용자의 D2D 통신 제어 기능,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할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필요시 제공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자가 복수인 경우 서비스 제공자 관리 기능 등을 포함한다. 또한, 근접서비스 서버 기능이 서비스 제공자의 단말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자의 단말이 개인 이동셀의 형태로서 D2D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3GPP LTE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또는 Node B라 한다)(210)과,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 MME)(220) 및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 SGW)(23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 UE)(400)은 ENB(210) 및 S-GW(230)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LTE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되므로, UE(400)들의 상황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210)가 담당한다. 또한, ENB(210)는 셀의 라디오 자원(Radio resource)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나의 ENB(210)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최대 300 Mbps의 전송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는 최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MME(220)는 각종 제어기능을 담당하고 아이들 모드 단말기의 이동성 관리를 수행하는 장치로써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된다. S-GW(2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220)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도 2에서 개인셀 또는 이동셀, 즉 MN(moving Network)(300)은 이동 기지국 형태로 사용자 단말(400)과 D2D 형태로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400)이 근접 공공 통신서비스를 받는 경우, MN(210)이나 ENB(210)에 있는 근접 서비스 서버를 통해서 서비스를 받게 된다. LTE 시스템이 아닌 Wi-Fi에서는 AP나 단말에 근접 서비스 서버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은 근접 서비스 등록부(110), PSid 방송부(120) 및 근접 통신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근접 서비스 등록부(110)는 서비스 종류 및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근접 서비스 아이디(Proximity Service identifier : PSid)를 근접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다.
PSid 방송부(120)는 근접 서비스 서버에 등록된 PSid를 소정 근접 영역에 브로드캐스팅한다. 이때, PSid 방송부(120)는 소정 주기로 PSid를 브로드캐스팅하되, 브로드캐스팅 주기는 서비스 형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긴급 구조 서비스의 경우는 브로드캐스팅 주기를 1초로 설정하고, 상업용 서비스인 경우는 브로드캐스팅 주기를 10초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긴급 서비스인 경우 브로드캐스팅 주기를 고정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근접 통신 연결부(130)는 소정 근접 영역 내의 소정 사용자 단말로부터 근접 서비스 요청됨에 따라, 상기 근접 서비스 서버에 승인 요청하고, 상기 근접 서비스 서버로부터 승인됨에 따라, 상기 소정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연결한다. 이때, 통신 방식은 D2D(Device to Device) 형태일 수 있다. D2D(Device to Device)는 주로 모바일 기기를 대상으로 근거리에 있는 기기들끼리 직접 통신할 수 있는 기술로, 대표적인 예로는 블루투스가 있으며, 근거리에 있는 통신기기 간에 LTE로 통신을 할 수 있게 해주는 LTE D2D 기술도 급부상하고 있다. 통신을 위해 기기 간 활성화를 시키는 과정과 단말기 인증이 필요한 블루투스와는 달리, LTE D2D는 기지국 없이 75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자동으로 연결되고 재난, 전쟁 등으로 기지국 가동이 멈춘 경우에도 통신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Sid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PSid는 제공하는 근접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는 서비스 타입(PS_Type) 필드(410) 및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의 고유 식별자를 표시하는 필드(42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일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유 식별자를 표시하는 필드(420)로 임시이동가입자식별자(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 TSMI)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PS_Type 필드(410)는 공공 서비스일 경우 고정형으로 사용되고, 상업용 서비스일 경우 가변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PS_type(410)을 복수의 소정 비트들로 구성되되, 하위 소정 비트들을 변경하여 근접 서비스를 식별하도록 계층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PS_type(410)이 0001XXXX일 경우, 0001이 경찰 서비스를 의미하고, XXXX를 용도에 따라 변형하여 쓸 수 있다.
또한, PSid는 40비트로 구성될 수 있는데, PS_type은 8비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TSMI는 32 비트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서비스의 종류는 256개가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PSid 획득부(510), 근접 서비스 요청부(520) 및 근접 통신 연결부(530)를 포함한다. 또한, 사전 정보 획득부(540)를 더 포함한다.
근접 서비스 정보 획득부(510)는 서비스 종류 및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근접 서비스 아이디(Proximity Service identifier : PSid)를 수신한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소정 주기로 브로드캐스팅되는 PSid는 소정 기간 동안 버퍼링될 수 있다.
근접 서비스 요청부(520)는 수신된 PSid 중 사용자가 원하는 근접 서비스에 상응하는 PSid가 있을 경우, 해당 PSid를 이용하여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에 접속하여 근접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때, 근접 서비스 요청부(520)는 사전 정보 획득부(540)에 의해 획득된 근접 서비스에 대한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PSid가 사용자가 원하는 근접 서비스에 상응하는 PSid인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사전 정보 획득부(540)는 단말 초기화시 PSid 식별을 위한 사전 정보를 획득하거나, 공공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사전 정보를 제공받아 둘 수도 있다.
근접 통신 연결부(530)는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되고,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을 통해 근접 서비스 서버로부터 근접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때,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과 D2D(Device to Device) 형태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서비스 종류 및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근접 서비스 아이디(Proximity Service identifier : PSid)를 근접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다(S510~S540). 상세하게는,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근접 서비스 서버(1)에 근접 서비스 서버 설정 요청한다(S510). 그리고,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공공 서비스 서버(40)에 근접 서비스 서버 등록을 요청한다(S520). 공공 서비스 서버(40)로부터 근접 서비스 서버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승인됨(S530)에 따라, 근접 서비스 서버(1)는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300)에 근접 서비스 등록되었음을 통보한다(S540).
이후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등록된 PSid를 소정 근접 영역에 브로드캐스팅한다(S550). 이때,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소정 주기로 PSid를 브로드캐스팅하되, 브로드캐스팅 주기는 서비스 형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긴급 구조 서비스의 경우는 브로드캐스팅 주기를 1초로 설정하고, 상업용 서비스인 경우는 브로드캐스팅 주기를 10초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긴급 서비스인 경우 브로드캐스팅 주기를 고정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근접 서비스를 원할 경우, 근접 서비스 방송을 수신하는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서비스 종류 및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근접 서비스 아이디(Proximity Service identifier : PSid)를 수신한다(S560). 이때, 사용자는 원하는 경우에만 PSid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수신된 PSid 중 사용자가 원하는 근접 서비스에 상응하는 PSid가 있을 경우, 해당 PSid를 이용하여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에 접속하여 근접 서비스를 요청한다(S570). 이때, 사용자 단말(400)는 근접 서비스에 대한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PSid가 사용자가 원하는 근접 서비스에 상응하는 PSid인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400)은 단말 초기화시 PSid 식별을 위한 사전 정보를 획득하거나, 사전에 공공 서비스 서버(40)에 접속하여 사전 정보를 제공받아 둘 수도 있다.
그런 후, 사용자 단말(400)은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300)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되고,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300)을 통해 근접 서비스 서버로부터 근접 서비스를 제공받는다(S580~S590). 상세하게는,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근접 서비스 서버(1)와 근접 서비스 요청 승인 절차를 거친다(S580). 승인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단말(400)과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300) 간에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다(S585). 이때, 통신 방식은 D2D(Device to Device) 형태일 수 있다.
이후, 근접 서비스 정보가 사용자 단말(400)로 제공되거나,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300)과의 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단말 간의 통신 종료(S595)에 의하여 근접 서비스가 종료된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S550 내지 S595는 소정 주기 또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필요에 따라 수회 반복될 수 있으나, 등록 단계(S510~S540)는 최초에 한번 또는 이후 변경될 필요가 있을 때만 수행되고, 중복 수행되지 않는다.
또한, 등록 단계(S510~S540)는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300)이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예컨대, 수상 해양 안전 요원의 단말일 경우, 수상 해양 안전 요원의 업무를 시작함과 동시에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300)의 기능을 위해 S510 내지 S540의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400)은 사전에 공공 서비스 근접 서비스에 대한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PSid가 공공 근접 서비스에 상응하는 PSid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8)

  1.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에서의 근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종류 및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근접 서비스 아이디(Proximity Service identifier : PSid)를 근접 서비스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된 PSid를 소정 근접 영역에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Sid는
    제공하는 근접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는 서비스 타입(PS_Type) 필드 및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의 고유 식별자를 표시하는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타입(PS_Type)은
    복수의 소정 비트들로 구성되되, 하위 소정 비트들을 변경하여 근접 서비스를 식별하도록 계층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상기 근접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 브로드캐스팅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근접 영역내의 소정 사용자 단말로부터 근접 서비스 요청됨에 따라, 상기 근접 서비스 서버에 승인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근접 서비스 서버로부터 승인됨에 따라, 상기 소정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D2D(Device to Device) 형태로 통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서비스는
    경찰통신서비스, 긴급구조통신서비스, 긴급의료통신서비스, 수상안전통신서비스, 대리운전통신서비스 및 주차통신서비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사용자 단말에서의 근접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종류 및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근접 서비스 아이디(Proximity Service identifier : PSid)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PSid 중 사용자가 원하는 근접 서비스에 상응하는 PSid가 있을 경우, 해당 PSid를 이용하여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에 접속하여 근접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되고, 상기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을 통해 근접 서비스 서버로부터 근접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과 D2D(Device to Device) 형태로 통신함로 통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PSid 식별을 위한 사전 정보를 획득하는 사전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근접 서비스 요청부는
    상기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근접 서비스에 해당하는 PSid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11. 서비스 종류 및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근접 서비스 아이디(Proximity Service identifier : PSid)를 근접 서비스 서버에 등록하는 근접 서비스 등록부와,
    상기 등록된 PSid를 소정 근접 영역에 브로드캐스팅하는 PSid 방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PSid는
    제공하는 근접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는 서비스 타입(PS_Type) 필드 및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의 고유 식별자를 표시하는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PSid 방송부는
    상기 근접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 브로드캐스팅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근접 영역 내의 소정 사용자 단말로부터 근접 서비스 요청됨에 따라, 상기 근접 서비스 서버에 승인 요청하고, 상기 근접 서비스 서버로부터 승인됨에 따라, 상기 소정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연결하는 근접 통신 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
  15. 제 11에 있어서, 상기 근접 통신 연결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D2D(Device to Device) 형태로 통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
  16. 서비스 종류 및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근접 서비스 아이디(Proximity Service identifier : PSid)를 수신하는 PSid 획득부와,
    상기 수신된 PSid 중 사용자가 원하는 근접 서비스에 상응하는 PSid가 있을 경우, 해당 PSid를 이용하여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에 접속하여 근접 서비스를 요청하는 근접 서비스 요청부와,
    상기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되고, 상기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을 통해 근접 서비스 서버로부터 근접 서비스를 제공받는 근접 통신 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통신 연결부는
    상기 근접 서비스 제공 단말과 D2D(Device to Device) 형태로 통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PSid 식별을 위한 사전 정보를 획득하는 사전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근접 서비스 요청부는
    상기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근접 서비스에 해당하는 PSid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50012082A 2015-01-26 2015-01-26 근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60091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082A KR20160091680A (ko) 2015-01-26 2015-01-26 근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082A KR20160091680A (ko) 2015-01-26 2015-01-26 근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680A true KR20160091680A (ko) 2016-08-03

Family

ID=5670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082A KR20160091680A (ko) 2015-01-26 2015-01-26 근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16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94658A1 (en) * 2017-07-28 2022-12-08 Thomas Lewis Griffin User proximity discovery and data identific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94658A1 (en) * 2017-07-28 2022-12-08 Thomas Lewis Griffin User proximity discovery and data identification
US11570744B2 (en) * 2017-07-28 2023-01-31 Thomas Lewis Griffin User proximity discovery and data identif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6910B2 (en) Registration management method for terminal accessing 5G network on non-3GPP access
CN108605383B (zh) 无线通信系统中执行用于基于网络切片的nr的小区规范过程的方法和装置
US10154475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11985B2 (en) Network registration method, mobile station and subscriber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EP3022971B1 (en) Method of supporting mobility of ue supporting/using d2d communication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0249667B (zh) 非3gpp接入上的终端接入5g网络的注册管理方法
CN107666723B (zh) 一种信息传输方法、融合网关及系统
EP27682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EP2983442B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proximity communication service
KR102123469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인지 QoS 차별화된 단말 대 단말 간 디스커버리 방법 및 장치
US20110060837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nnection establishment based on lte/sae system
US9713176B2 (en)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CN107277790B (zh) 一种为终端提供紧急号码的方法和装置
KR102233595B1 (ko) 단말 간 근접 발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87508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coming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7949013B (zh) 一种物联网络中的终端接入控制方法及装置
US201700708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iggering terminal group
US20110216709A1 (en) Providing access to a gprs network
KR20160091680A (ko) 근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118673A (ko) 전송 방법, 전송 장치, 통신 장치 및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KR101954397B1 (ko) Lte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차단 방법 및 패킷 차단 시스템
US20200195576A1 (en) Technique for Providing Content Via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WO2024022422A1 (zh) 通信感知方法和装置
US20230362862A1 (en) Multi-usim device accessing services of a second cellular network through a first cellular network via a gate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