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652A - 쐐기형 인장 클램프 - Google Patents

쐐기형 인장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652A
KR20160091652A KR1020150012018A KR20150012018A KR20160091652A KR 20160091652 A KR20160091652 A KR 20160091652A KR 1020150012018 A KR1020150012018 A KR 1020150012018A KR 20150012018 A KR20150012018 A KR 20150012018A KR 20160091652 A KR20160091652 A KR 20160091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fastening
assembled
connecting rod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2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1652A/ko
Publication of KR20160091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의 고정을 위하여 전주 등에 설치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을 사이로 대향하여 적어도 일측에 쐐기 구조를 갖고 케이블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쐐기형 그립부(110)를 포함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그립부(110)는 돌출 형성되어 체결공을 갖는 한 쌍의 체결돌부(113a)(113b)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체결돌부(113a)(113b)에 조립되어 현수애자(1)와 조립이 이루어지는 연결부재(121)(12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쐐기형 인장 클램프{Wedge type deadend clamp}
본 발명은 케이블의 고정을 위하여 전주 등에 설치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송전선용 케이블은 전주에 연결되어 발전소 또는 변전소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각 수용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각 전주에 케이블을 가설할 때에는 케이블이 하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수애자와 인장 클램프가 사용된다.
인장 클램프는 절연된 현수애자에 케이블을 소정의 인장력을 갖고 고정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하게 되며, 일부 종래의 인장 클램프는 스프링의 부하를 받는 쐐기 형상의 그립을 채용하여 케이블의 인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7876호(공고일자: 2001.12.2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3281호(공고일자: 2012.03.13),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6895호(공개일자: 2012.08.31)에서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의 (a)(b)를 참고하면, 종래기술의 쐐기형 인장 클램프는 양측에 선단부 측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1a)(11b)가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판(12)과, 한 쌍의 가이드부(11a)(11b) 각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한 쌍의 쐐기(13a)(13b)와, 몸체판(12)에 일단이 고정된 스프링(13)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한 쌍의 쐐기(13a)(13b)를 지지하게 되는 쐐기지지판(15)을 포함하는 쐐기형 그립부(1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쐐기(13a)(13b)는 서로 대향하는 내주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케이블의 고정이 이루진다.
몸체판(12)은 후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0)가 일체로 형성되며, 연장부(20) 후측 선단에는 플랜지(30)가 형성되어 현수애자와 조립핀(31)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쐐기형 인장 클램프는 케이블이 쐐기(13a)(13b) 사이에 삽입되면, 쐐기(13a)(13b)는 스프링(13)에 의해 선단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케이블을 밀착 고정하여 케이블에 인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케이블의 가설 시에 인장 클램프를 작업 위치인 전주 상단까지 옮겨야 되며, 이때 종래기술의 인장 클램프는 쐐기형 그립부와 연장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그 무게가 상당히 무거워서 작업에 많은 불편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7876호(공고일자: 2001.12.2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3281호(공고일자: 2012.03.1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6895호(공개일자: 2012.08.31)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전주에 케이블의 가설 작업 시에 작업이 용이한 쐐기형 인장 클램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는, 케이블을 사이로 대향하여 적어도 일측에 쐐기 구조를 갖고 케이블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쐐기형 그립부를 포함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그립부는 돌출 형성되어 체결공을 갖는 한 쌍의 체결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체결돌부에 조립되어 현수애자와 조립이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쐐기형 인장 클램프는, 케이블을 사이로 대향하여 적어도 일측에 쐐기 구조를 갖고 케이블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쐐기형 그립부를 포함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그립부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한 쌍의 체결공을 갖는 체결몸체와; 상기 체결공에 조립되어 현수애자와 조립이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에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타단에 조립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체결돌부에 서로 대칭되게 조립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연결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조립공을 통해 현수애자와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양단에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부 각각에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는 연결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봉은 일부 구간이 이격 형성되고 이격 양단에 나사 조립되어 이격 양단을 연결하게 되는 록킹너트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양단에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부 각각에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양단에 고정헤드가 구비된 연결봉이며, 상기 체결돌부는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연결봉이 삽입되는 체결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은 상기 연결봉이 삽입 위치하게 되는 제1체결공과, 제1체결공에서 일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연결봉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2체결공을 가지며, 상기 연결봉은 상기 제2체결공 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외주면 일부에 면취 형성된 계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공는 서로 수렴하도록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는, 현수애자와 조립이 이루어지는 연결부재가 선재(봉, 와이어 등) 구조를 갖고 케이블을 고정하게 되는 쐐기형 그립부와 별개의 구조물로 조립이 이루어짐으로써, 인장 클램프를 경량화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가설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b)는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2 및 도 3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4 및 도 5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6 및 도 7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사시도,
도 9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우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에서 연결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정면도 및 평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쐐기형 인장 클램프는 케이블의 고정이 이루어는 쐐기형 그립부를 포함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에 있어서, 현수애자와 조립이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쐐기형 그립부와 별개로 조립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인장 클램프를 경량화하고 케이블 가설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가 있다.
제1실시예
도 2 및 도 3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정면도 및 평면도로써, 도 2는 대칭형태의 쐐기형 인장 클램프이고 도 3은 편측형태의 쐐기형 인장 클램프를 보여주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a)(b)에 예시된 것과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100)는, 선단부 측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마련되어 서로 횡방향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11a)(111b)가 일체로 형성되고 한 쌍의 가이드부(111a)(111b) 각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한 쌍의 쐐기(112a)(112b)가 구비되어 케이블의 고정이 이루어는 쐐기형 그립부(110)는 종래의 쐐기형 인장 클램프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쐐기형 그립부(110)를 구성하는 가이드부(111a)(111b) 후단에는 수직으로 돌출되어 체결공을 갖는 한 쌍의 체결돌부(113a)(113b)가 구비되며, 한 쌍의 체결돌부(113a)(113b)에는 현수애자(1)와 조립이 이루어지는 연결부재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쐐기형 그립부는 구상흑연주철를 소재로 하여 강도를 개선하며, 따라서 종래의 알루미늄합금 바디와 비교하여 사이즈를 작게 제작이 가능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쐐기형 그립부와 조립되는 쐐기는 종래와 동일하게 알루미늄합금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는 일단에 고정부재(121a)(122a)가 구비되고 타단에 조립공이 형성되어 고정부재(121a)(122a)에 의해 체결돌부(113a)(113b)에 서로 대칭되게 조립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연결봉(121)(12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부재(121a)(122a)는 연결봉(121)(122) 선단에 나사 조립되어 착탈이 가능한 너트 또는 일체로 고정된 부속물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두 연결봉(121)(122) 후단은 조립공이 형성되어 현수애자(1)와 코다핀(130)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진다.
도 3의 (a)(b)는 편측형태의 쐐기형 인장 클램프(100')를 보여주는 것으로써, 선단부 측으로 폭이 좁아지되, 일측만이 경사를 갖는 한 쌍의 가이드부(111a')(111b')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어 각 가이드부(111a')(111b')에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의 쐐기(112a')(112b')가 마련되어 쐐기형 그립부(110')를 구성한다. 이러한 편측식의 쐐기형 인장 클램프(100')는 대칭형태의 쐐기형 인장 클램프(100)와 동일하게 케이블을 삽입 고정하게 된다.
또한 두 가이드부(111a')(111b')에서 돌출된 체결돌부(113a')(113b')가 형성되어 두 연결봉(121a')(121b')과 체결되어 현수애자(1)와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는 경량의 두 연결봉에 의해 쐐기형 그립부와 현수애자의 조립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어서 케이블 가설 시에 인장 클램프의 운반이 용이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쐐기형 그립부와 연결부재의 분리가 가능하여 취급 및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4 및 도 5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정면도 및 평면도로써, 도 4는 대칭형태의 쐐기형 인장 클램프이고 도 5는 편측형태의 쐐기형 인장 클램프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의 (a)(b)에 예시된 것과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200)에서 쐐기형 그립부(210)를 구성하는 가이드부(211a)(211b) 후단에는 수직으로 돌출되어 체결공을 갖는 한 쌍의 체결돌부(213a)(213b)가 구비되며,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체결돌부(213a)(213b)에 체결되는 연결부재는 양단에 고정부재(221a)(222a)가 구비되어 체결돌부(213a)(213b) 각각에 조립이 이루어지는 'U'자 형상의 연결봉(221)(22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봉(221)(222)에는 현수애자(1)가 직접 끼워 조립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봉은 일부 구간이 이격 형성된 제1연결봉(221)과 제2연결봉(222)으로 구성되며, 이때 제1연결봉(221)과 제2연결봉(222)의 이격 양단에 나사 조립되어 이격 양단을 연결하게 되는 록킹너트(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의 인장 클램프(200)는 쐐기형 그립부(210)에 의해 케이블이 고정되며, 록킹너트(223)를 돌려서 제1연결봉(221)과 제2연결봉(222)의 이격 양단을 개방하여 현수애자(1)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의 (a)(b)는 편측형태의 쐐기형 인장 클램프(200')를 보여주는 것으로써, 제1실시예의 편측식의 인장 클램프에서의 쐐기형 그립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U'자 형상의 연결봉(221')을 예시하고 있다.
한편, 하나의 'U'자 형상의 연결봉(221') 양단은 고정부재(221a')(222a')로써 적어도 하나는 나사 조립이 이루어지는 너트가 체결되어 두 고정부재(221a')(222a') 중의 하나를 연결봉(221a')에서 분해하여 현수애자(1)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6 및 도 7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정면도 및 평면도로써, 도 6은 대칭형태의 쐐기형 인장 클램프이고 도 7은 편측형태의 쐐기형 인장 클램프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의 (a)(b)에 예시된 것과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300)에서 쐐기형 그립부(310)를 구성하는 가이드부(311a)(311b) 후단에는 수직으로 돌출되어 체결공을 갖는 한 쌍의 체결돌부(313a)(313b)가 구비되며,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체결돌부(313a)(313b)에 체결되는 연결부재는 양단에 고정부재(321a)(322a)가 구비되어 체결돌부(313a)(313b) 각각에 조립이 이루어지는 와이어(32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현수애자(1)는 와이어(321)에 직접 끼워 조립이 이루어지며, 와이어(321) 양단은 고정부재(321a)(322a)로써 와이어(321)에 고정되는 고리 또는 바인딩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와이어(321)에 현수애자(1)를 끼워 조립한 후에 와이어(321)를 체결돌부(313a)(313b)에 끼운 후에 선단에 고정부재(321a)(322a)를 고정하여 현수애자(1)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의 (a)(b)는 편측형태의 쐐기형 인장 클램프(300')를 보여주는 것으로써, 편측형의 쐐기형 그립부(310')에도 동일하게 와이어(321')가 고정부재로 제공될 수가 있을 것이다.
제4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사시도이며, 도 9의 (a)(b)는 본 발명에 제4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우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에서 연결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예시된 것과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400)에서 쐐기형 그립부(410)를 구성하는 가이드부(411a)(411b) 후단에는 수직으로 돌출되어 체결공을 갖는 한 쌍의 체결돌부(413a)(413b)가 구비되며,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돌부(413a)(413b)에 체결되는 연결부재(420)는 양단에 고정헤드(422)가 구비되는 스틸봉(42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틸봉(421)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어 원형의 단면을 갖는 하나의 봉재로 구성되며, 양측의 자유단에 고정헤드(422)가 마련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에서 연결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제2체결돌기(413a)의 측면 상태를 확대한 도면과 스틸봉의 일부 구간의 단면도를 같이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체결돌부(413a)는 스틸봉(421)이 조립되는 체결공(414a)(414b)이 형성되며, 이때 체결공(414a)(414b)은 스틸봉(421)의 직경(d1)과 대략 동일한 사이즈를 갖고 스틸봉(421)이 안착되어 위치하게 되는 제1체결공(414a)과, 제1체결공(414a)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스틸봉(421)의 직경(d1) 보다는 작은 제2체결공(414b)으로 구성된다.
제2체결돌기(413b)에도 대칭되게 체결공이 마련되며, 이때 두 체결공은 현수애자와 조립 위치에 대해 수렴하도록 경사를 갖는다.
한편 스틸봉(421)은 고정헤드(422)와 인접하여 일정 구간(L1) 이격된 위치에 소정 구간(L2)의 면취 형성된 계합면(421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400)는 스틸봉(421)에 현수애자를 끼워 조립한 상태에서 스틸봉(421)의 계합면(421a)을 제1체결공(414a)에 끼워 맞춰서 조립하며, 스틸봉(421)이 제1체결공(414a) 위치까지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헤드(422)가 체결돌기(413a)(413b)와 맞닿도록 스틸봉(421)을 수평 이동시켜 스틸봉(421)과 쐐기형 그립부(410)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5실시예
도 12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2에 예시된 것과 같이, 제5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500)는, 케이블을 사이로 대향하여 적어도 일측에 쐐기 구조를 갖고 케이블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쐐기형 그립부(510)와; 쐐기형 그립부(510)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한 쌍의 체결공을 갖는 체결몸체(520)와; 체결공에 조립되어 현수애자와 조립이 이루어지는 연결부재(530)를 포함한다.
쐐기형 그립부(510)는 선단부 측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마련되어 서로 횡방향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511a)(511b)가 일체로 형성되고 한 쌍의 가이드부(511a)(511b) 각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한 쌍의 쐐기(512a)(512b)가 구비되어 케이블의 고정이 이루어짐은 종래기술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체결몸체(520)는 쐐기형 그립부(510)의 후단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연결부재가 조립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체결몸체(520)는 쇄기형 그립부(510) 후단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로드(521)와, 로드(521) 말단에 구비되어 한 쌍의 체결공(522a)이 형성된 체결단(522)을 포함한다.
연결부재(530)는 양단이 체결단(522)에 마련된 각 체결공(522a)에 끼움 고정이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연결부재(530)는 양단에 고정헤드(531)가 구비된 연결봉(532)이며, 이때 체결단(522)에 마련된 각 체결공(522a)은 일측이 개구되어 연결봉(532)이 삽입되어 연결봉(532)은 체결단(522)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봉(532)은 스틸봉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어 원형의 단면을 갖는 하나의 봉재로 구성되어 양측의 자유단에 고정헤드(531)가 구비된다.
한편, 제4실시예에서(도 11 참고)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연결봉(532)의 일부 구간에는 외주면 일부에 면취 형성된 계합면이 마련되어 체결단(522)과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4실시예에서(도 11 참고)에서 예시한 것과 같이, 체결공은 연결봉이 삽입 위치하게 되는 제1체결공과, 제1체결공에서 일측으로 개구되어 연경봉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2체결공으로 구성되어 연결봉(532)의 계합면이 제2체결공으로 삽입되어 연결봉(532)과 체결단(531)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체결단(531)에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공(522a)은 서로 수렴하도록 경사를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쐐기형형 그립부와 연결부재의 조립예를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쐐기형 인장 클램프 110 : 쐐기형 그립부
111a, 111b : 가이드부 112a, 112b : 쐐기
113a, 113b : 체결돌부 121, 122 : 연결봉
130 : 코다핀

Claims (9)

  1. 케이블을 사이로 대향하여 적어도 일측에 쐐기 구조를 갖고 케이블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쐐기형 그립부를 포함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그립부는 돌출 형성되어 체결공을 갖는 한 쌍의 체결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체결돌부에 조립되어 현수애자와 조립이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
  2. 케이블을 사이로 대향하여 적어도 일측에 쐐기 구조를 갖고 케이블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쐐기형 그립부를 포함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그립부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한 쌍의 체결공을 갖는 체결몸체와;
    상기 체결공에 조립되어 현수애자와 조립이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에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타단에 조립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체결돌부에 서로 대칭되게 조립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연결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조립공을 통해 현수애자와 조립이 이루어지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양단에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부 각각에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는 연결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일부 구간이 이격 형성되고 이격 양단에 나사 조립되어 이격 양단을 연결하게 되는 록킹너트를 더 포함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양단에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부 각각에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양단에 고정헤드가 구비된 연결봉이며, 상기 체결돌부는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연결봉이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은 상기 연결봉이 삽입 위치하게 되는 제1체결공과, 제1체결공에서 일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연결봉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2체결공을 가지며,
    상기 연결봉은 상기 제2체결공 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외주면 일부에 면취 형성된 계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공는 서로 수렴하도록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1020150012018A 2015-01-26 2015-01-26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20160091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018A KR20160091652A (ko) 2015-01-26 2015-01-26 쐐기형 인장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018A KR20160091652A (ko) 2015-01-26 2015-01-26 쐐기형 인장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652A true KR20160091652A (ko) 2016-08-03

Family

ID=5670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018A KR20160091652A (ko) 2015-01-26 2015-01-26 쐐기형 인장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165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1281A (zh) * 2018-06-17 2019-12-24 江苏天南电力器材有限公司 碳纤维导线耐张备份成套装置
KR102065675B1 (ko) * 2018-07-04 2020-02-11 주식회사 이디엔씨 연결금구 결합형 폴리머 현수애자 장치
RU213300U1 (ru) * 2022-04-19 2022-09-0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пром трансгаз Томск" (ООО "Газпром трансгаз Томск") Натя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876Y1 (ko) 2001-09-18 2001-12-28 박철웅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101113281B1 (ko) 2009-11-17 2012-03-13 천공전기(주) 인장 클램프 그립
KR20120096895A (ko) 2011-02-23 2012-08-31 허브벨 인코포레이티드 쐐기형 내장 클램프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876Y1 (ko) 2001-09-18 2001-12-28 박철웅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101113281B1 (ko) 2009-11-17 2012-03-13 천공전기(주) 인장 클램프 그립
KR20120096895A (ko) 2011-02-23 2012-08-31 허브벨 인코포레이티드 쐐기형 내장 클램프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1281A (zh) * 2018-06-17 2019-12-24 江苏天南电力器材有限公司 碳纤维导线耐张备份成套装置
CN110611281B (zh) * 2018-06-17 2024-03-08 江苏天南电力股份有限公司 碳纤维导线耐张备份成套装置
KR102065675B1 (ko) * 2018-07-04 2020-02-11 주식회사 이디엔씨 연결금구 결합형 폴리머 현수애자 장치
RU213300U1 (ru) * 2022-04-19 2022-09-0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пром трансгаз Томск" (ООО "Газпром трансгаз Томск") Натя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099B1 (ko)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및 이를 이용한 분기선 시공방법
US8038106B2 (en) Fast beam clamp
KR100674253B1 (ko) 배전선로 내 애자의 위치 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US7304243B2 (en) Cable connector
KR200444666Y1 (ko) 전신주 밴드와 주상변압기의 연결부 고정장치
US8302265B1 (en) Wire gripper for supporting an electrical box or suspended load
KR20160091652A (ko) 쐐기형 인장 클램프
CN107404091B (zh) 线夹
US11287595B2 (en) Fiber optic dead-end cable clamp with central actuator
KR100733690B1 (ko) 전차선로 드롭퍼 클램프
US4969616A (en) Low profile side opening straight line dead end cable clamp
KR100934151B1 (ko) 배전용 전주 지지대
CN211179948U (zh) 一种抱箍及电表箱
PL201256B1 (pl) Zacisk odciągowy, końcowy izolowanego przewodu napowietrznego, a w szczególności napowietrznego przewodu wiązkowego
RU183392U1 (ru) Анкерный зажим
US1811154A (en) Fitting for light duty suspension hangers
CN212137225U (zh) 一种钢芯铝绞线用单楔型耐张线夹
KR101706788B1 (ko) 애자와 연결되는 장치
KR101668108B1 (ko) 통신용 케이블 행거
AU2019257548B2 (en) Tangent suspension accessory assembly and accessory bracket therefor
KR101230255B1 (ko) 드롭퍼 클램프
US4312495A (en) Electrical transmission system conductor installation technique
CN220673300U (zh) 一种线缆固定安装装置
SK284466B6 (sk) Bezskrutková klinová upínacia svorka
KR200466124Y1 (ko) 다용도 결합형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