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178A - Method for building an interactive content based on a mind map - Google Patents

Method for building an interactive content based on a mind m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178A
KR20160090178A KR1020150010165A KR20150010165A KR20160090178A KR 20160090178 A KR20160090178 A KR 20160090178A KR 1020150010165 A KR1020150010165 A KR 1020150010165A KR 20150010165 A KR20150010165 A KR 20150010165A KR 20160090178 A KR20160090178 A KR 20160090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ion
answer
content
screen
mind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은진
권오욱
노윤형
이기영
최승권
황금하
김영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10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0178A/en
Publication of KR20160090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17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for building an interactive content based on a mind map. The method for building the interactive content based on the mind map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displaying first answers as to a first question on a screen by listing the first answers on the basis of the mind map, and a step of displaying a second answer as to a second question on the screen by listing the second answer on the basis of the mind map, and specifying a constraint condition in front of the second answer. The specifying step specifies the first answer or a fixed symbol as the constraint condition, in according with logical correlation judgment between the second question and the first answer by a user.

Description

마인드맵 기반의 대화형 콘텐츠 구축 방법{Method for building an interactive content based on a mind map}[0001] METHOD FOR BUILDING INTERACTIVE CONTENT BASED ON Mind Map [0002]

본 발명은 대화형 콘텐츠를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화형 콘텐츠 및 대화처리에 필요한 지식을 마인드맵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구축하는 마인드맵 기반의 대화형 콘텐츠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interactive cont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nd map-based interactive content establishing method for constructing knowledge required for interactive content and dialog processing based on a mind map interface.

대화를 통한 교육 시스템에서는 이전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에 따라 다음 질문에 대한 답변이 정해지는 경우가 많이 있다. 예를 들어, “좋아하는 음식이 무엇인가요?”라는 이전 질문의 답변이 “한식”이였다면, “그 음식 중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 무엇인가?”라는 다음 질문의 답변은 이전 질문에서 답한 ‘한식’ 중에서 나와야 하기 때문이다.In the dialogue-based education system, the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are often determined by the user's answers to the previous questions. For example, if the answer to the previous question "What is your favorite food?" Was "Korean food,"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your favorite food?" 'Because it should come out.

기존에는 이런 대화 혹은 교육 콘텐츠를 엑셀이나 워드 혹은 링크 방식의 구축 도구를 사용하여 구축하였다. 이때, 대화를 통한 교육 시스템의 경우에는 사용자 답변의 논리 관계를 명확히 하고 논리 흐름이 자연스럽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대화 논리 흐름을 직관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방식으로 콘텐츠를 수집할 경우, 앞뒤 답변에 따른 인과관계를 기억하고 대화를 연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In the past, these conversation or educational contents were built using Excel, Word, or link building tools.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education system through conversation,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logical relationship of the user's answer and to make the logic flow natur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uitively display the dialog logic flow. However, when collecting contents in the conventional way, it is difficult to memorize the caus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anteroposterior answer and to connect the convers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질문의 앞/뒤 논리 관계를 명확히 하고, 대화에 필요한 패러프레이징(Paraphrasing), 주요 키워드 등의 정보를 논리 흐름에 맞게 수집 및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인드맵 기반의 대화형 콘텐츠 구축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arify the logical relationship before and after a question, to build a mind map-based interactive content which can collect and construct information such as paraphrasing and key keywords necessary for conversation according to logic flow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마인드맵 기반의 대화형 콘텐츠 구축 방법은 제1 질문에 대한 제1 답변들을 마인드맵 기반으로 나열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질문에 대한 제2 답변을 마인드맵 기반으로 나열하여 화면에 표시하되, 제약 조건을 상기 제2 답변 앞에 명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명시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답변과 상기 제2 질문 간의 논리적 연관 관계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답변 또는 소정 기호를 상기 제약 조건으로 명시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interactive content based on a mind map,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first answers to a first question on a screen based on a mind map; And displaying a second answer to the second answer on the basis of the mind map based on the first answer and the constraint condition before the second answer, According to the logical association judgment, the first answer or the predetermined symbol is specified as the constraint condi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화형 콘텐츠를 구축할 때 대화 흐름에 따른 제약 조건을 일관성 있고 직관적으로 생성함으로써, 복잡한 대화의 논리 흐름 또한 생성할 수 있고, 기존 기술로 제작된 대화형 콘텐츠보다 양질의 대화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logic flow of a complex dialogue by creating constraint conditions according to a conversation flow consistently and intuitively when constructing an interactive content, Can be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람이 생각하는 방식(마인드맵)으로 표현하였기 때문에 대화형 콘텐츠를 구축하는 작업자에게 쉽게 설명할 수 있어 짧은 시간 안에 양질의 대화형 콘텐츠를 구축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expressed in a way that a person thinks (mind map), it can be easily explained to an operator constructing an interactive content, and a high quality interactive content can be constructed in a short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구축 장치가 동작하는 전체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구축 장치의 대화 히스토리 구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구축 장치에 의해 화면에 표시되는 대화 히스토리의 제1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구축 장치에 의해 화면에 표시되는 대화 히스토리의 제2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구축 장치의 대화 히스토리 구축 동작 흐름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in which a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for constructing an interaction history of a content establ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irst example of the conversation history displayed on the screen by the content establ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ond exemplary view of a conversation history displayed on a screen by a content establ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for constructing a conversation history of a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 comprises, " or "comprising," as used herein, means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Do not exclude the addi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급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like elements, 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불특정 화자 A와 불특정 화자 B가 서로 대화할 때 이전에 어떤 말(대화)이 오고 갔는지에 따라서 다음 질문과 그에 대한 대답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구축 장치는 이와 같은 대화의 논리 흐름을 직관적으로 표시하여 대화형 콘텐츠(예컨대, 교육용 대화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The content provid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ffect the next question and the answer thereto depending on what speech (conversation) has come and went before when the speaker A and the speaker B talk to each other. Is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to efficiently create and manage interactive content (e.g., educational conversation content) by intuitively displaying the logical flow of the convers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구축 장치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구축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대화형 콘텐츠의 화면에 표시 예시도이다.FIG. 1 is an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including a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ample of display on a screen of interactive content generated by a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대화모델 설계자(110)는 콘텐츠 구축 장치(Contents Builder)(120)를 이용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Contents Database)(130)를 생성 및 관리한다. 여기서, 대화형 콘텐츠는 학생(150)에게 제공되는 대화 시스템 엔진(대화형 교육 시스템)(140)에서 사용하는 핵심 지식이다. Referring to FIG. 1, the dialogue model designer 110 generates and manages a contents database 130 using a contents builder 120. Here, the interactive content is the core knowledge used in the interactive system engine (interactive education system) 140 provided to the student 150.

대화모델 설계자(110)는 교육 전문가 혹은 대화 스크립트(히스토리) 구축 작업자와 같이 대화형 콘텐츠를 구축 및 관리하기 위한 교육을 받은 전문가이다. 대화모델 설계자(110)는 콘텐츠 구축 장치(120)를 통해 자신의 컴퓨터 또는 서버에 생성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30)의 대화 히스토리를 구축, 갱신 및 수정 등을 할 수 있다.The conversational model designer 110 is an expert who has been trained to build and manage interactive content, such as an educational expert or a dialogue script (history) builder. The dialogue model designer 110 can construct, update, and modify the conversation history of the content database 130 created on his computer or server through the content creation device 120. [

기존에 엑셀을 이용하여 인덱스 번호를 생성하고 대화 히스토리 상에서 나타난 인덱스 번호를 뒤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식과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마인드맵 기반의 그래픽적인 대화 히스토리 및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기기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에디터(200)를 포함한다.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generating an index number using Excel and using an index number appearing on the conversation history at a later time, the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mind map-based graphical conversation history and flow And a user interface (UI) editor 200 for controlling the UI.

여기서, 사용자 입력기기는 대화모델 설계자(110)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기기이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기기는 UI 에디터(200)를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 및 포인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마우스 또는 터치 입력할 수 있는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기기는 대화 스크립트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일 수 있다.Here, the user input device is a device for receiving the operation of the dialogue model designer 110. For example, the user input device may be a mouse or a touch input device for moving a cursor and a pointer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UI editor 200. [ Also, the user input device may be a keyboard for inputting a conversation script.

UI 에디터(200)는 컴퓨터상에서 대화 히스토리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는 도구이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UI 에디터(200)는 마인드맵 형태의 대화 히스토리를 그래픽적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질문/답변 맵 영역(210) 및 질문/답변에 대한 세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화면에 표시하는 세부정보 입력 영역(220)을 포함한다. 또한, UI 에디터(200)는 질문/답변 맵 영역(210) 및 세부정보 입력 영역(220)의 상단에 대화 히스토리를 생성 및 관리하는데 필요한 모든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I editor 200 is a tool for creating and managing conversation history on a computer. As illustrated in FIG. 2, the UI editor 200 includes a question / answer map area 210 for graphically displaying a mind map-type conversation history on the screen, and an input for inputt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a question / answer And a detailed information input area 220 for displaying a window on the screen. The UI editor 200 may also include all the menus needed to create and manage the conversation history at the top of the question / answer map area 210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entry area 220. [

질문/답변 맵 영역(210)에는 도메인 블록에 파생되어 복수의 질문 블록(Question #1 ~ Question #4)이 마인드맵 형태로 나열된다. 여기서, 도메인 블록에는 대화형 콘텐츠(대화 히스토리)의 주제가 입력된다. In the question / answer map area 210, a plurality of question blocks (Question # 1 to Question # 4) derived from a domain block are listed in a mind map form. Here, the topic of the interactive content (conversation history) is input to the domain block.

예컨대, 대화모델 설계자(110)에 의해 도메인 블록이 선택되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30)에 구축된 대화 히스토리의 주제들이 리스트업되어 화면에 표시되며, 대화모델 설계자(110)는 리스트업된 주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대화모델 설계자(110)에 의해 별도의 주제 입력 창이 선택되고, 주제를 나타내는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domain block is selected by the dialogue model designer 110, the topics of the conversation history built in the content database 130 are listed up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conversation model designer 110 selects one of the listed topics You can choose either one. Alternatively, a separate topic input window may be selected by the dialogue model designer 110, and a keyword representing a topic may be entered.

만약, 대화모델 설계자(110)에 의해 입력 또는 선택된 주제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30)에 이미 구축된 경우, 이미 구축된 대화 히스토리를 편집할 수 있도록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선택된 주제에 관련된 복수의 질문과 답변 정보를 화면 출력할 수 있다.If the topic entered or selected by the dialogue model designer 110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in the content database 130, the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may generate a plurality of questions related to the selected topic Answer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복수의 질문 블록(Question #1 ~ Question #4)에는 주제와 관련된 질문들이 입력된다. 이때, 도메인 블록과 복수의 질문 블록(Question #1 ~ Question #4) 각각은 연결선으로 연결되며, 대화모델 설계자(110)에 의해 질문 블록의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 In the plurality of question blocks (Question # 1 to Question # 4), questions related to the topic are input. At this time, the domain block and the plurality of question blocks (Question # 1 to Question # 4)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line, and the number of question blocks can be adjusted by the dialogue model designer 110.

복수의 질문 블록(Question #1 ~ Question #4) 각각에는 복수의 답변(Answer)이 마인드맵 형태로 나열된다. 예컨대, 질문 #1 블록(Question #1)(211)에 입력된 질문에 대응하여 발생 가능한 답변의 키워드가 복수의 답변 블록(예컨대, Answer #a1 ~ Answer #a3)(212) 각각에 입력되어 나열된다. 이때, 질문 #1 블록(Question #1)(211)과 그에 대응하는 복수의 답변 블록(Answer #a1 ~ Answer #a3)(212) 각각은 연결선으로 연결되며, 답변 블록의 개수는 대화모델 설계자(11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In each of the plurality of question blocks (Question # 1 to Question # 4), a plurality of answers (Answer) are listed in a mind map form. For example, keywords of answers that can b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question inputted in question # 1 block (Question # 1) 211 are inputted into a plurality of answer blocks (for example, Answer # a1 to Answer # a3) do. At this time, a question # 1 block 211 and a plurality of answer blocks (Answer # a1 to Answer # a3) 212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 1 block 211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line, 110).

한편, 질문 블록과 그에 대응하는 답변 블록 사이에는 제약 조건의 내용이 명시된다. 이때, 제약 조건은 이전 질문 블록과 현재의 질문 블록간의 논리적 연관성 여부에 따라, 이전 질문 블록에 대한 답변 키워드 또는 소정기호(예컨대, #)로 명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of the constraint condition is specified between the question block and the corresponding answer block. At this time, the constraint condition may be specified by an answer keyword or a predetermined symbol (e.g., #) for the previous question block, depending on whether the previous question block is logically related to the current question block.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한편, 질문/답변 맵 영역(210)에 화면에 표시된 블록들(복수의 질문 블록과 복수의 답변 블록) 중 대화모델 설계자(110)에 의해 어느 하나의 블록이 선택되면, UI 에디터(200)의 세부 정보 입력 영역(220)에는 선택된 블록에 대한 다양한 문장이 입력되는 패러프레이징(paraphrasing) 입력창(221), 입력문장에 대한 패턴을 입력하기 위한 패턴 입력창(222), 입력문장에 대한 구문 페러프레이징 및 주요 키워드 입력창(223)의 화면 구성(그래픽적인 인터페이스)가 화면 출력된다. On the other hand, if one of the blocks (a plurality of question blocks and a plurality of answer blocks) displayed on the screen is selected by the dialogue model designer 110 in the question / answer map area 210, the UI editor 200 The detailed information input area 220 includes a paraphrasing input window 221 for inputting various sentences for the selected block, a pattern input window 222 for inputting a pattern for the input sentence, The screen configuration (graphical interface) of the phrasing and main keyword input window 223 is displayed on the screen.

페러프레이징 입력창(221)은 질문 블록의 질문의 문장 및 답변 블록의 답변 문장 또는 키워드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면서 다른 형태로 표현되는 다양한 문장 또는 단어를 입력하는 창이다. 예컨대, 대화모델 설계자(110)에 의해 사용자 입력기기가 조작되어, UI 에디터(200)에 화면에 표시된 블록들 중 어느 하나의 질문 또는 답변 블록이 선택되면, 페러프레이징 입력창(221)에는 화면에 표시된 대표 질문 또는 답변(답변 키워드)뿐만 아니라, 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다양한 표현의 단어 및 문장들을 편집할 수 있도록 입력창 형태로 화면에 표시된다. 대화모델 설계자(110)는 사용자 입력기기를 이용하여 페러프레이징 입력창(221)에 화면에 표시된 다양한 표현의 질문 또는 답변 문장들을 입력, 삭제 및 수정할 수 있다.The ferra-phrasing input window 221 is a window for inputting various sentences or words having the same meaning as the sentence of the question in the question block and the answer sentence or keyword in the answer block, but expressed in another form.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 device is operated by the dialogue model designer 110 and any one of the blocks displayed on the screen is selected in the UI editor 200, the perra-phrasing input window 221 displays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form of an input window so that words and phrases of various expressions having the same meaning as those of the displayed representative question or answer (answer keyword) can be edited. The dialogue model designer 110 can input, delete, and modify various expressions of the question or answer sentence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ferra-phrase input window 221 using the user input device.

패턴 입력창(222)은 질문 또는 답변에 대한 문장의 골격(skeleton) 및 형식/패턴(xml_pattern)을 입력하는 창이다. 예컨대, 대화모델 설계자(110)에 의해 어느 하나의 질문 또는 답변 블록이 선택되어 페러프레이징 입력창(221)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문장들이 화면에 표시되면, 패턴 입력창(222)에는 화면에 표시된 다양한 형태의 문장들 각각을 이루는 골격(예컨대,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등)과 그에 대한 xml 패턴을 편집할 수 있도록 입력창 형태로 화면에 표시된다. 대화모델 설계자(110)는 사용자 입력기기를 이용하여 선택된 블록의 질문 또는 답변의 문장들을 패턴 입력창(222)을 통해 골격 및 패턴을 입력, 삭제 및 수정할 수 있다. 또는, 화면에 표시된 블록들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이 대화모델 설계자(110)에 의해 선택되면, 콘텐츠 구축 장치(120) 내 구현된 언어 분석 알고리즘에 의해 문장이 분석되고 패턴 입력창(222)에 분석된 결과에 따른 골격 및 패턴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The pattern input window 222 is a window for inputting a skeleton and a format / pattern (xml_pattern) of a sentence about a question or an answer. For example, when one of the questions or answer blocks is selected by the dialogue model designer 110 and various types of sentence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perferraging input window 221, the pattern input window 222 displays various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form of an input window so that a skeleton (e.g., subject, predicate, object, bore, etc.) constituting each type of sentence and an xml pattern thereon can be edited. The dialogue model designer 110 can input, delete, and modify the skeleton and pattern through the pattern input window 222 by using the user input device to input sentences of the selected block's questions or answers. Alternatively, if any one of the blocks displayed on the screen is selected by the dialog model designer 110, the sentence is analyzed by the language analysis algorithm implemented in the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and analyzed in the pattern input window 222 The skeleton and the pattern according to the resul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구문 페러프레이징 및 주요 키워드 입력창(223)은 질문 또는 답변에 대해 다른 언어로 번역(Translation)한 문장 또는 단어들을 입력하는 창이다. 예컨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30)에 구축되는 콘텐츠가 지니튜터와 같은 외국어 교육 소프트웨어에서 제공되는 대화형 콘텐츠인 경우, 구문 페러프레이징 및 주요 키워드 입력창(223)에는 외국어로 표현된 문장들 또는 단어(키워드)들을 모국어 등의 다른 언어로 번역한 표현이 입력될 수 있다. 대화모델 설계자(110)는 사용자 입력기기를 이용하여 선택된 블록의 질문 또는 답변의 키워드들에 대한 번역된 표현을 구문 페러프레이징 및 주요 키워드 입력창(223)을 통해 입력, 삭제 및 수정할 수 있다. The phrase parsing and main keyword input window 223 is a window for inputting sentences or words translated into another language for a question or an answer.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constructed in the content database 130 is an interactive content provided by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software such as a genius tutor, sentences expressed in a foreign language or words (keywords ) Into another language such as a native language. The dialogue model designer 110 can input, delete, and modify the translated expressions of the questions of the selected block or the keywords of the answer using the user input device through the syntax phrase parsing and the main keyword input window 223.

대화모델 설계자(110)에 의해 UI 에디터(200)의 세부 정보 입력 영역(220)에 화면 출력된 입력창들(221, 222, 223)에 대화에 필요한 패러프레이징 문장, 주요 키워드 구문 및 문장, 대화 처리에 필요한 문장 패턴 등을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세부 정보 입력 영역(220)의 입력창에 입력된 정보들은 질문/답변 맵 영역(210)에 반영되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A paraphrasing sentence necessary for a conversation, a main keyword phrase and a sentence, a dialogue required for a conversation, and the like are displayed on the input windows 221, 222, and 223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detail information input area 220 of the UI editor 200 by the dialogue model designer 110. [ A sentence pattern necessary for processing, and the like can be input. Further, the information input in the input window of the detailed information input area 220 may be reflected on the question / answer map area 210 and displayed on the screen.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콘텐츠 구축 장치(120)에 의해 대화 히스토리가 구축되는 과정 및 및 화면 출력되는 대화 히스토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구축 장치에 의해 화면에 표시되는 대화 히스토리의 제1 예시도이며, 영어 교육을 위해 구축된 것이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nversation history by the content establishing apparatus 120 and the dialog history output on the scree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Here, FIG. 3 is a first example of the conversation history displayed on the screen by the content establ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onstructed for English education.

대화모델 설계자(110)는 도메인 블록 또는 별도의 시작 항목에 콘텐츠(대화 히스토리)의 대화 주제를 입력 또는 선택한다. 예컨대, 도 3에서의 대화 주제는 교통수단(transportation)과 관련된 것이다.The conversation model designer 110 inputs or selects the conversation topic of the content (conversation history) to a domain block or a separate start item. For example, the conversation topic in Fig. 3 relates to transportation.

질문/답변 맵 영역(210)에서 도메인(Domain)을 시작으로 시스템 또는 사용자의 질문 #1(Question #1)(211)과 질문 #1(211)에 연결된 복수의 답변 #a(Answer #a1~#a3)(212)가 마인드맵 형태로 나열된다. 예컨대, 도 3에서 대화 주제(transportation)에 관련된 질문 Q1이 “How do you go to work?”인 경우,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Q1의 질문에 대해 답변의 키워드(예컨대, subway, bus, car, shuttle bus)를 마인드맵 형태로 나열하여 대화 히스토리를 구축할 수 있다. 이때, 질문에 대한 답변의 개수 및 키워드는 대화모델 설계자(110)의 입력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A plurality of answers #a (Answer # a1 to # 211) connected to the question # 1 (211) and the question # 1 (211) of the system or user, starting from the domain in the question / # a3) 212 are listed in a mind map form. For example, if the question Q1 related to transportation in FIG. 3 is " How do you go to work? &Quot;, the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transmits a keyword (e.g., subway, bus, car , shuttle bus) in a mind map form.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and the keyword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dialogue model designer 110.

이후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질문 #2(Question #2)(213)에 대한 복수의 답변 #b(214)를 마인드맵 형태로 나열하되, 질문 #2(213)와 질문 #1의 답변(212) 간의 논리적인 연관 관계에 따라 제약 조건(215)을 복수의 답변 #b(214) 앞에 명시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이는, 논리적 연관 관계가 있는 경우, 질문 #1의 답변(212)에 따라 질문 #2의 답변(214)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질문 #2(213)와 질문 #1(211) 간의 논리적인 연관 관계는 대화모델 설계자(11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Then, the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arranges the plurality of answers #b 214 for Question # 2 213 in a mind map form, and compares the question # 2 213 and the answer # 212), the constraint 215 is specified in front of the plurality of answers #b 214 and displayed on the screen. This is because, if there is a logical association, the answer 214 of question # 2 may vary according to answer 212 of question # 1. At this time, th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question # 2 (213) and question # 1 (211) can be determined by the dialogue model designer (110).

예컨대, 질문 #2(213)가 답변 #a(Answer #a1~#a3)(212)와 논리적 연관 관계가 있는 경우,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질문 #2의 답변(214)에 대한 질문 #1의 제약 조건(215)을 질문 #2의 답변(214) 앞에 명시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질문 #1의 제약 조건(215)은 답변 #a(212)일 수 있다. 이후,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질문 #1의 제약 조건(215) 각각에 연결하여 질문 #2(213)에 대한 답변(Answer #b1~#b3)(214)을 마인드맵 형태로 나열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제약 조건은 대화모델 설계자(110)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question # 2 (213) has a logical association with answer #a (Answer # a1 to # a3) 212,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issues question # The constraint 215 of 1 is specified in front of the answer 214 of the question # 2 and displayed on the screen. Here, the constraint 215 of the question # 1 may be the answer #a 212. Then, the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links the answers (Answer # b1 to # b3) 214 to the question # 2 (213) in a mind map form by connecting to each constraint 215 of the question # 1, . At this time, the constraint condition may be input by the dialogue model designer 110.

예컨대, 도 3에서와 같이, Q2가 “Why do you use it?”이고, Q2와 Q1의 답변(A1)(subway, bus, car, shuttle bus) 간에 논리적 연관 관계가 있는 경우,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A1 각각을 제약조건 C1으로 하여, Q2에 대한 답변인 A2 앞에 마인드맵 형태로 나열한다.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A2에 대한 Q1의 제약 조건(C1)이 subway인 경우, subway 뒤에 on time, no bus route, faster than the bus와 같이 A1을 마인드맵 형태로 나열하여 대화 히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FIG. 3, if Q2 is "Why do you use it?" And there is a logical association between Q2 and answer A1 (subway, bus, car, shuttle bus) 120) sets A1 as a constraint condition C1 and lists them in a mind map form in front of the answer A2 to Q2. If the constraint condition C1 of Q1 for A2 is subway, the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generates a conversation history by listing A1 in a mind map form such as on time, no bus route, and faster than the bus after the subway .

만약, 이후의 질문이 이전의 질문의 답변과 논리적 연관 관계가 없는 경우, 제약 조건은 소정 기호(예컨대, ‘#’)로 표현된다. 예컨대, 질문 #2(213) 이후의 질문 #3(Question #3)(216)이 답변 #a(212)와 논리적 연관 관계가 있고 질문 #2의 답변인 답변 #b(215)와는 연관 관계가 없는 경우,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질문 #3의 답변(답변 #c)(219) 앞에, 답변 #a (212)를 답변 #c (219)에 대한 질문 #1의 제약 조건(217)으로 명시하며, 소정기호 ‘#’를 답변 #c(219)에 대한 질문 #2의 제약 조건(218)으로 명시한다. 즉,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질문 #1의 제약 조건(217)과 질문 #2의 제약 조건(218)을 명시한 후 답변 #3(219)을 순차적으로 나열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If the subsequent question is not logically related to the answer to the previous question, the constraint is represented by a predefined symbol (e.g., '#').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question # 3 (Question # 3) 216 after the question # 2 213 has a logical association with the answer #a 212 and the answer #b 215 that is the answer of the question # The content constructing apparatus 120 sets the answer #a 212 to the constraint 217 of the question # 1 for the answer #c 219 before the answer (answer #c) 219 of the question # 3 And specifies the predetermined symbol '#' as the constraint 218 of the question # 2 for the answer #c 219. That is, the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sequentially lists the constraint 217 of the question # 1 and the constraint 218 of the question # 2 and then sequentially displays the answer # 3 219 on the screen.

예컨대, 도 3에서와 같이 Q3이 “Do you have any problems when using it?”이며, Q3이 A1와는 논리적 연관 관계가 있으나 A2와 연관 관계가 없는 경우,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A1과 ‘#’(308)을 순차적으로 명시한 후 Q3의 답변(A3)을 나열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Q3 is logically related to A1 but not related to A2, Q3 is associated with A1 and '#' '308 are listed sequentially, and then the answer (A3) of Q3 is lis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이와 마찬가지로,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질문 #4(Qustion#4)의 답변에 대해 질문 #1의 제약 조건, 질문 #2의 제약 조건 및 질문 #3의 제약 조건을 차례로 명시하고, 그 뒤에 질문 #4의 답변(Answer #d)을 나열하여 대화 히스토리를 구축한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Q4가 A1과는 논리적 연관성이 있으나, A2 및 A3과는 논리적인 연관 관계가 없는 경우, Q4의 답변인 A4 앞에 A1와 2개의 ‘#’을 명시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Likewise, the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sequentially specifies the constraint condition of the question # 1, the constraint condition of the question # 2 and the constraint condition of the question # 3 with respect to the answer of the question # 4 (Qustion # 4) Build a conversation history by listing # 4 answers (Answer #d). For example, if Q4 is logically related to A1 as shown in FIG. 3 but there is no logical relation with A2 and A3, A1 and two '#' are specified in front of A4, which is the answer of Q4, and displayed on the scree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화형 콘텐츠를 구축할 때 대화 흐름에 따른 제약 조건을 일관성 있고 직관적으로 생성함으로써, 복잡한 대화의 논리 흐름 또한 생성할 수 있고, 기존 기술로 제작된 대화형 콘텐츠보다 양질의 대화를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logic flow of a complicated conversation by consistently and intuitively generating constraint conditions according to a conversation flow when constructing an interactive content, A higher quality conversation can be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람이 생각하는 방식(마인드맵)으로 표현하였기 때문에 대화형 콘텐츠를 구축하는 작업자에게 쉽게 설명할 수 있어 짧은 시간 안에 양질의 대화형 콘텐츠를 구축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expressed in a way that a person thinks (mind map), it can be easily explained to an operator constructing an interactive content, and a high quality interactive content can be constructed in a short tim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방식으로 대화 히스토리를 표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구축 장치에 의해 화면에 표시되는 대화 히스토리의 제2 예시도이다. 도 4와 같은 방법은 전술한 방식에 비해 대화 중복이 적고, 제약 조건을 명확히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Meanwhile, the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present the conversation history in a different manner as shown in FIG. 4 is a second exemplary view of the dialog history displayed on the screen by the content establ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as shown in FIG. 4 is advantageous in that there is less dialog redundancy than in the above-mentioned method, and the constraint condition can be clarified.

예컨대,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대화형 콘텐츠의 주제인 KB.Part 1. transportation에 대한 대화 히스토리를 표현할 때, 주제에 대한 질문인 Q1’(“How do you go to work?”)을 비롯한 다른 질문(Q2’ 내지 Q4’)을 주제 블록(401)의 아래에 수평적으로 나열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Q1’의 답변인 A1’(subway, bus)를 Q1’를 기준으로 수직 아래 방향으로 나열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Q2’를 비롯한 다른 질문들(Q3’ 및 Q4’)에 대한 각각의 답변들(A2’, A3’, A4’)을 각 질문의 수직 아래 방향으로 나열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For example, when expressing the conversation history of KB 1.Part.1 transportation, which is the subject of the interactive content, the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generates a Q1 '("How do you go to work? The questions Q2 'to Q4' are horizontally arranged below the subject block 401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content constructing apparatus 120 arranges the answers A1 '(subway, bus) of Q1' in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on the basis of Q1 'and displays them on the screen. Likewise, the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arranges each of the answers (A2 ', A3', A4 ') for the other questions Q3' and Q4 'including Q2' Display it on the screen.

한편, 대화모델 설계자(110)에 의해 판단되는 Q1’와 Q2’의 논리적 연관성에 따라, A1’이 Q2’에 대한 제약조건인 경우 A1’에 포함된 답변 각각은 A2’와 연결된다. 예컨대, A1’ 중 어느 하나의 답변(subway)을 제약 조건으로 갖는 A2’에 포함된 제1 그룹의 답변들(on time, no bus route, faster than the bus) 각각은 subway와 연결선으로 연결되어 나열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A1’ 중 다른 하나의 답변(bus)을 제약 조건으로 갖는 A2’에 포함된 제2 그룹의 답변들(many bus routes, not have a car, subway station) 각각은 bus와 연결선으로 연결되어 나열된다. 이때, 이후의 질문(Q3’)이 A2’와 논리적 연관성 없는 경우를 고려하여, 각각의 그룹의 아래에는 소정 기호(#)를 명시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logical association of Q1 'and Q2' determined by the dialogue model designer 110, if A1 'is a constraint on Q2', each of the answers contained in A1 'is associated with A2'. For example, the first group of answers (on time, no bus route, faster than the bus) included in A2 'having any one subway of A1' do. Similarly, each of the second group of answers (many bus routes, not a car, and subway station) included in A2 'having the other one of A1' as a constraint is connected to the bus by a connection line Are listed. At this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subsequent question Q3 'is not logically related to A2', it is possible to designate a predetermined symbol (#) below each group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만약, Q3’이 A1’와 논리적 연관성이 있고 A2’와는 연관성이 없는 경우, Q3’의 답변인 A3’는 순차적으로 A1’ 및 소정 기호(#)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A3’ 중 어느 하나의 답변인 ‘irregular/be on time’은 A1’인 bus 및 소정 기호(#)와 연결될 수 있다. If Q3 'is logically related to A1' and not related to A2 ', the answer A3' of Q3 'may be sequentially associated with A1' and a certain symbol (#). For example, the answer 'irregular / be on time' of any one of A3 'may be connected to a bus of A1' and a predetermined symbol (#).

이와 같이, 도 4와 같은 방식은 앞서 설명한 방식(도 3의 방식)에서와 다르게, 제약 조건이 중복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고, 대화모델 설계자(110)(작업 구축자)에게 대화 흐름 및 히스토리를 명확하게 인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straint condition from being duplicated and to provide the dialogue model designer 110 (task builder) with a dialogue flow and a histor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learly recogniz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구축 장치의 대화 히스토리 구축 동작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for constructing a conversation history of a content establ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제1 질문에 대한 제1 답변을 마인드맵 기반으로 나열하여 화면에 표시한다(S510). 예컨대,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질문/답변 맵 영역(210)에 도메인(Domain)을 시작으로 질문 #1(제1 질문)과 제1 질문에 대한 답변 #a(제1 답변)을 마인드맵 형태로 나열한다.The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arranges the first answer to the first question based on the mind map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S510). For example, the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sends a question # 1 (first question) and a reply #a (first answer) to the first question starting from the domain in the question / .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사용자의 판단에 따른 제1 답변과 제2 질문 간의 논리적인 연관 관계에 따라 제약 조건을 제2 질문 뒤에 명시한다(S520). 이는, 논리적 연관 관계가 있는 경우, 제1 답변에 따라 제2 질문의 답변인 제2 답변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제2 질문과 제1 답변 간의 논리적인 연관 관계는 사용자(대화모델 설계자(11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The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specifies a constraint condition after the second query according to a logical associ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questions according to the user's judgment (S520). This is because, when there is a logical association, the second answer, which is the answer to the second ques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irst answer. At this time, the logical association between the second question and the first answer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 (conversation model designer 110).

예컨대, 제2 질문이 제1 답변과 논리적 연관 관계가 있다고 사용자에 의해 판단되는 경우,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제2 질문 뒤에 제1 답변을 제약조건으로 명시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만약, 제2 질문이 제1 답변과 논리적 연관 관계가 없다고 사용자에 의해 판단되는 경우,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제2 질문 뒤에 소정기호(‘#’)를 제약조건으로 명시하여 화면에 표시한다.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user that the second question is logically related to the first answer, the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displays the first answer after the second question as a constraint condition on the screen. If it is determined by the user that the second question is not logically related to the first answer, the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displays a predetermined symbol ('#') as a constraint condition on the screen after the second question .

콘텐츠 구축 장치(120)는 제약 조건 뒤에 제2 질문에 대한 제2 답변을 마인드맵 기반으로 나열하여 화면에 표시한다(S530). 예컨대, 콘텐츠 구축장치(120)는 질문 #2(제2 질문)에 대한 복수의 답변 #b(제2 답변)를 마인드맵 형태로 나열하되, 단계 S520에서 명시된 제약조건 뒤에 제2 답변을 마인드맵 기반으로 나열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The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arranges the second answer to the second question on the basis of the mind map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after the constraint condition (S530). For example, the content construction apparatus 120 arranges the plurality of answers #b (second answers) for the question # 2 (the second question) in a mind map form, and places the second answer after the constraint specified in the step S520 in the mind map And displays them on the scree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화형 콘텐츠를 구축할 때 대화 흐름에 따른 제약 조건을 일관성 있고 직관적으로 생성함으로써, 복잡한 대화의 논리 흐름 또한 생성할 수 있고, 기존 기술로 제작된 대화형 콘텐츠보다 양질의 대화를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logic flow of a complicated conversation by consistently and intuitively generating constraint conditions according to a conversation flow when constructing an interactive content, A higher quality conversation can be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람이 생각하는 방식(마인드맵)으로 표현하였기 때문에 대화형 콘텐츠를 구축하는 작업자에게 쉽게 설명할 수 있어 짧은 시간 안에 양질의 대화형 콘텐츠를 구축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expressed in a way that a person thinks (mind map), it can be easily explained to an operator constructing an interactive content, and a high quality interactive content can be constructed in a short tim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과는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대화모델 설계자 120 : 콘텐츠 구축 장치
130 :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140 : 대화 시스템 엔진
150 : 학생
110: Interactive model designer 120: Content building device
130: content database 140: conversation system engine
150: Student

Claims (1)

제1 질문에 대한 제1 답변들을 마인드맵 기반으로 나열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질문에 대한 제2 답변을 마인드맵 기반으로 나열하여 화면에 표시하되, 제약 조건을 상기 제2 답변 앞에 명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명시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답변과 상기 제2 질문 간의 논리적 연관 관계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답변 또는 소정 기호를 상기 제약 조건으로 명시하는 것
인 마인드맵 기반의 대화형 콘텐츠 구축 방법.
Displaying the first answers to the first question on a screen based on the mind map; And
Displaying a second answer to the second question on a mind map basis and specifying a constraint before the second answer; , ≪ / RTI &
The step of specifying,
Specifying the first answer or the predetermined symbol as the constraint condition in accordance with a logical association between the first answer and the second question by the user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interactive content based on an inmind map.
KR1020150010165A 2015-01-21 2015-01-21 Method for building an interactive content based on a mind map KR201600901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165A KR20160090178A (en) 2015-01-21 2015-01-21 Method for building an interactive content based on a mind m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165A KR20160090178A (en) 2015-01-21 2015-01-21 Method for building an interactive content based on a mind ma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178A true KR20160090178A (en) 2016-07-29

Family

ID=56617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165A KR20160090178A (en) 2015-01-21 2015-01-21 Method for building an interactive content based on a mind m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017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786A (en) * 2016-11-07 2018-05-16 주식회사 오제이월드 Automatic question-answering system based on searching tag, and method thereof
US11274851B2 (en) 2019-04-09 2022-03-15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786A (en) * 2016-11-07 2018-05-16 주식회사 오제이월드 Automatic question-answering system based on searching tag, and method thereof
US11274851B2 (en) 2019-04-09 2022-03-15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70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siness processing modelling
US6961692B1 (en) System and method for writing analysis using the linguistic discourse model
Chao Human-computer interaction: process and principles of human-computer interface design
US20150286943A1 (en) Decision Making and Planning/Prediction System for Human Intention Resolution
O’Shea et al. Systems engineering and conversational agents
Koulouri et al. Do (and say) as I say: Linguistic adaptation in human–computer dialogs
CN112596731B (en) Programming teaching system and method integrating intelligent education
CN113811869A (en) Translating natural language queries into standard data queries
Niculescu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conversational agent for the touristic domain
Ahmad et al. UNISEL Bot: Designing Simple Chatbot System for University FAQs
CN117493427B (en) Data large screen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AI large language model
KR20160090178A (en) Method for building an interactive content based on a mind map
CN116009827B (en) Intelligent generation and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for RPA (remote procedure association) flow and guiding course
CN117093460A (en) Evaluation method, evaluation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Wilson et al. Analogical question answering in a multimodal information kiosk
Ahmed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hatbot for Kurdish language speakers using Chatfuel platform
NL2025739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US11494802B2 (en) Guiding customized textual persuasiveness to meet persuasion objectives of a communication at multiple levels
JP2023132416A (en) Translation system, transl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ennington et al. Supporting spoken assistant systems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that signals incremental understanding and prediction state
Kennington et al. A graphical digital personal assistant that grounds and learns autonomously
Varela Interface Design for Human-guided Explainable AI
Pérez-Soler et al. Assisted Modelling Over Social Networks with SOCIO.
Moritz et al. Generating and evaluating object-oriented designs for instructors and novice students
CN113688333B (en) Navigation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