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112A - dispenser - Google Patents
dispens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0112A KR20160090112A KR1020150010001A KR20150010001A KR20160090112A KR 20160090112 A KR20160090112 A KR 20160090112A KR 1020150010001 A KR1020150010001 A KR 1020150010001A KR 20150010001 A KR20150010001 A KR 20150010001A KR 20160090112 A KR20160090112 A KR 201600901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zzle
- button
- cap
- pump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05B11/1032—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actuated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노즐부가 버튼부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노즐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디스펜서는 기체나 액체 또는 기타 내용물을 충진한 밀폐용기의 상측에 결합되어 가압에 의해 충진한 밀폐용기의 내용물을 일정량씩 분출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화장품, 향수, 의약품, 식품 및 미용용품을 저장하는 각종 밀폐용기에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펜서는 상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눌러 디스펜서를 가압하는 버튼이 형성되며, 상기 버튼의 조작에 따라 밀폐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노즐을 통해 배출한다. In general, a dispenser is a device which is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filled with a gas, a liquid or other contents, and ejects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ontents of th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filled by pressurization and uses cosmetics, perfume, medicines, food, It is applied to various sealed containers to store. In the dispenser, a button for pressing the dispenser by a user's hand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contents in the closed container are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상기와 같은 디스펜서는 버튼 가압에 의해 밀폐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구조로, 종래에는 불필요한 내용물의 소진을 차단하기 위해 보호캡을 구성하여 버튼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The dispenser has a structure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inside the sealed container by pressing the button. In order to prevent exhaustion of unnecessary contents, conventionally, the protective cap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button from being pressed.
그러나, 보호캡은 작은 충격에도 손 쉽게 디스펜서와 분리되므로 사용자가 가방에 밀폐용기를 휴대할 경우, 가방 내부에서 보호캡이 분리되면서 불필요한 내용물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protective cap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dispenser even with a small impact, when the user carries the closed container in the bag, the protective cap is detached from the inside of the bag, and unnecessary contents are discharg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0107호는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펌프식 디스펜서"를 개시한다. 상기 공개특허공보는 용기 캡에 돌출된 넥(Neck)에 스토퍼(Stopper)를 부착하여 펌프 헤드의 스트로크(Stroke)를 제한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펌프식 디스펜서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30107 discloses a "pump-type dispenser equipped with a locking device". The above publication discloses a pump type dispenser having a locking device for restricting a stroke of a pump head by attaching a stopper to a neck protruding from a container cap.
상기 공개특허공보는 별도로 구성된 스토퍼(Stopper)를 용기 캡에 돌출된 넥에 부착하여 펌프 헤드가 넥을 따라 스트로크되는 것을 제한되도록 한 것으로서, 보호캡과 디스펜서의 분리로 인해 불필요한 내용물이 배출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isclosed patent discloses that a separate stopper is attached to the neck protruding from the container cap to restrict the stroke of the pump head along the neck.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그러나, 상기와 같은 디스펜서는 스토퍼를 별도로 제작해야 되서 제작비용이 많이들고, 스토퍼를 분실하게되면 디스펜서를 잠글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dispenser requires a separate stopper, which is expensive to manufacture. If the stopper is lost, the dispenser can not be lock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노즐부가 버튼부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노즐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enser capable of visually confirming whether a user opens or closes a nozzle by designing a structure such that the nozzle portion is drawn in or out of the button por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 상부에 구비되는 버튼하캡; 상기 버튼하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측면에 노즐출입부가 구비되는 버튼상캡; 및 상기 버튼상캡에 내재되어 상기 버튼상캡의 회전에 따라 상기 노즐출입부로 노출되는 노즐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A button-down cap provided on the container main body; A button-shaped cap rotatably coupled to the button-down cap, the button-shaped cap having a nozzle access portion on a side surface thereof; And a nozzle portion which is contained in the button top cap and is exposed to the nozzle access por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utton top cap.
또한, 상기 용기본체 상부에 결합되는 펌프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ump cap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또한, 상기 펌프캡의 상단부에 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pump cap.
또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홈 상부로 상기 버튼하캡이 삽입되도록 상기 버튼하캡의 하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lower portion of the button-down cap so that the button-down cap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또한, 상기 펌프캡의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Also, a hollow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ump cap.
또한, 상기 펌프캡의 상단부에 고정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 fixed support part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ump cap.
또한, 상기 버튼하캡의 측면에는 노즐가이드출입부가 구비되어 상기 노즐출입부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nozzle guide insert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utton-down cap and connected to the nozzle inserting portion.
또한, 상기 버튼하캡에는 상기 노즐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노즐가이드홈이 구비될 수 있다.The button-down cap may include a nozzle guide groov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nozzle unit.
또한, 상기 노즐가이드홈은 상기 버튼하캡의 일단에 비스듬한 곡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zzle guide groove may be formed in an oblique curve shape at one end of the button-down cap.
또한, 상기 노즐가이드홈 내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stopping jaw may be formed inside the nozzle guide groove.
또한, 상기 버튼하캡의 하부에는 중공관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hollow tube may be provided under the button-down cap.
또한, 상기 버튼하캡에는 상기 중공관의 내부를 나누는 구획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button-down cap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plate dividing the interior of the hollow tube.
또한, 상기 구획판 일단에 가이드홀이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 guide hole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partition plate.
또한, 상기 가이드홀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Also, a plurality of guide holes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구획판 중심부에는 유입부가 결합될 수 있다.The inlet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partition plate.
또한, 상기 유입부 상부에는 상기 노즐부가 결합될 수 있다.The nozzle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flow portion.
또한, 상기 유입부 하부에는 펌프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A pump device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inflow part.
또한, 상기 버튼상캡은 하면에 상기 노즐부를 지지하는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The button cap may have a rib on its lower surface to support the nozzle unit.
또한, 상기 버튼상캡 하부에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 support portion may be provided under the button top cover.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버튼상캡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홀 내측에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and may be moved inside the guide hol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utton top cap.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버튼상캡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지지부 상부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지지부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may be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utton-shaped cap,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xed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노즐부는 타단에 결합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zzle unit may have a coupling protrusion at the other end thereof.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노즐가이드홈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nozzle guide groove.
또한, 상기 노즐부는 내용물이 방출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을 연결하는 노즐연결부로 형성될 수 있다.The nozzle unit may include a nozzle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and a nozzle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nozzle.
또한, 상기 노즐연결부는 플렉시블한 소재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nozzle connection portion may be a flexible material.
또한, 상기 노즐연결부는 튜브일 수 있다.Also, the nozzle connection portion may be a tu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에 의하면,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노즐부가 버튼부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노즐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signing the structure such that the nozzle portion is drawn in or out of the button por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whether the nozzle is opened or closed.
또한, 노즐부가 인입되어 있을때는 버튼부가 눌리지않아 불필요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nozzle portion is drawn in, the button portion is not pressed, and unnecessary contents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노즐부가 인입되어 있는 디스펜서의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노즐부가 인입되어 있는 디스펜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노즐부가 인출되어 있는 디스펜서의 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노즐부가 인출되어 있는 디스펜서의 측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dispens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ens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dispens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enser in which a nozzle portion of a dispenser is drawn i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dispenser in which a nozzle portion of a dispenser is drawn i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enser in which a nozzle portion of a dispenser is drawn ou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dispenser in which a nozzle portion of a dispens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구성을 설명한다.
First, the configuration of a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용기본체(60), 펌프장치(50), 펌프캡(40), 버튼하캡(30), 버튼상캡(10) 및 노즐부(20)를 포함한다.1 to 5, a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용기본체(60)의 상부에 펌프캡(40)이 결합되고 펌프캡(40) 상부로 버튼하캡(30), 노즐부(20) 및 버튼상캡(10)이 차례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구체적으로, 버튼상캡(10)은 버튼하캡(30)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 버튼상캡(10)은 버튼하캡(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버튼상캡(10)은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도록 캡의 형태로 형성된다. 버튼상캡(10)의 하측으로 연장되게 측면이 형성된다. 버튼상캡(10)의 측면에는 노즐부(20)가 출입가능하도록 노즐출입부(120)가 형성된다. 버튼상캡(10)이 회전함에 따라 버튼상캡(10)에 형성된 노즐출입부(120)도 동시에 회전된다. 이때, 버튼상캡(10)과 결합된 버튼하캡(30)은 고정된 상태에서 버튼상캡(10)만 회전되게 된다. 버튼상캡(10)의 하면에는 리브(110)가 구비된다. 리브(11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리브(110)는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쌍으로 형성된 리브(110) 사이로 노즐부(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노즐부(20)의 양단은 리브(110)에 의해 고정되어, 노즐부(20)의 일면이 버튼상캡(10)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한쌍으로 형성된 리브(110) 사이로 리브(1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쌍으로 형성된 리브(110) 사이에 형성된 리브(110)는 버튼상캡(10) 하면에 고정된 노즐부(20)의 일면을 지지하여 노즐부(20)가 버튼상캡(10)의 하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한쌍으로 형성된 리브(110)는 노즐부(20)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해 노즐부(20)의 측면 높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한쌍으로 형성된 리브(110) 사이에 구비되는 리브(110)는 노즐부(20)의 일면이 지지되도록 한쌍의 리브(110)에 의해 고정된 노즐부(20)와 버튼상캡(10) 하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의 높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부(20)의 양단을 고정하는 한쌍의 리브(110)와 노즐부(20)의 일면을 지지하는 리브(110)의 높이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버튼상캡(10)의 하부에는 지지부(130)가 구비된다. 지지부(130)는 버튼상캡(10)의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지지부(130)는 버튼상캡(2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버튼상캡(10)을 지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버튼하캡(30)의 상부는 버튼상캡(10)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버튼하캡(30)의 상측으로 연장되게 측면이 형성된다. 버튼하캡(30)의 측면에는 노즐부(20)의 출입을 가이드하는 노즐가이드출입부(320)가 형성된다. 노즐가이드출입부(320)가 형성된 버튼하캡(30)의 측면으로 버튼상캡(1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버튼상캡(10)은 노즐가이드출입부(320)와 노즐출입부(120)가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버튼하캡(30)의 상면에는 노즐가이드홈(310)이 구비된다. 노즐가이드홈(310)은 상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노즐가이드홈(310)은 버튼하캡(30)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을 향하도록 비스듬한 곡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비스듬한 곡선의 형태로 형성된 노즐가이드홈(310)은 버튼상캡(10)의 회전에 따라 노즐부(20)가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노즐가이드홈(310)은 노즐부(20)가 버튼하캡(30) 내측으로 인입 또는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가이드한다. 따라서, 노즐가이드홈(310)의 가이드에 따라, 노즐부(20)가 버튼하캡(30)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버튼하캡(30) 측면에 노즐가이드출입부(320)가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노즐가이드출입부(320)의 넓이는 노즐가이드홈(310)의 가이드에 따라 노즐부(20)가 이동되는 구간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노즐가이드홈(310)의 내측에는 걸림턱(311)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311)은 노즐가이드홈(310) 양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버튼하캡(30)의 중심부에는 중공관(340)이 형성된다. 중공관(340)은 버튼하캡(340)의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중공관(340) 내부에는 구획판(330)이 더 구비된다. 중공관(340) 내부는 구획판(33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구획판(330)에는 가이드홀(331)이 형성된다. 가이드홀(331)은 구획판(330)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331)은 지지부(130)와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331)은 버튼하캡(30)의 둘레와 대응되는 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331)에 후술할 고정지지부(430)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홀(331)의 일단에는 고정지지부(430)의 상부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의 홀이 더 형성된다. 버튼하캡(30)에는 유입부(350)가 구비된다. 유입부(350)는 구획판(330)의 중심부에 결합된다. 유입부(350)는 구획판(330)을 기준으로 유입부(350)의 상부는 노즐부(20)와 결합되고 유입부(350)의 하부는 펌프장치(50)와 결합된다.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노즐부(20)는 버튼상캡(10)이 버튼하캡(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버튼상캡(10)과 버튼하캡(30) 내부에 구비된다. 노즐부(20)는 내용물을 방출하는 노즐(210) 및 노즐(20)을 버튼하캡(30)에 연결하는 노즐연결부(220)로 형성된다. 노즐(210)의 일측은 내용물이 방출되도록 방출구가 형성되고, 타측은 노즐연결부(220)와 연결된다. 노즐(210)의 일측은 노즐연결부(220)로부터 전달받은 내용물을 넓게 방출할 수 있도록 노즐연결부(220)와 연결되는 노즐(210)의 타측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노즐(210)의 타측은 노즐연결부(220)와 결합되도록 노즐연결부(22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210)의 일면은 버튼상캡(10)의 리브(110)에 의해서 고정된다. 노즐(210)의 타면에는 결합돌기(211)가 구비된다. 노즐(210)의 타면에 형성된 결합돌기(211)는 버튼하캡(30)의 노즐가이드홈(3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노즐(210)은 버튼상캡(10)의 하면과 버튼하캡(30) 상면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결합돌기(211)에 의해서 노즐가이드홈(310)과 결합된 노즐(210)은 결합돌기(211)를 중심으로 노즐(210)의 타면이 지지된다. 따라서, 노즐(210)이 시소와 같이, 힘이 가해지는 어느 한쪽으로 치우칠 수 있다. 한쪽으로 치우친 노즐(210)은 버튼상캡(10)과 버튼하캡(30)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어 버튼상캡(10)의 회전에 문제를 일으킬수 있다. 따라서, 한쌍의 리브(110) 사이에 구비되는 리브(110)를 이용하여 노즐(210)의 일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일면이 리브(110)에 의해서 지지된 노즐(210)은 버튼상캡(10)과 버튼하캡(30) 내부에서 평형상태가 유지된다. 평형상태를 유지한 노즐(210)은 결합돌기(211)와 결합된 노즐가이드홈(310)을 따라 버튼하캡(30) 내측으로 인입되고, 노즐가이드홈(310)에 구비된 걸림턱(311)에 의해 결합돌기(211)의 일단이 고정되어 노즐(210)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때, 노즐(210)과 연결된 노즐연결부(220)는 노즐(210)이 버튼하캡(30) 내측으로 인입됨에 따라 일부분이 구부러진 형태로 버튼상캡(10)과 버튼하캡(30) 사이에 내재된다. 따라서, 노즐연결부(220)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된다. 노즐연결부(220)는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The
펌프캡(40)은 용기본체(60) 상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펌프캡(40)은 용기본체(60)의 상부에 나사결합된다. 펌프캡(30) 상부에는 버튼하캡(30)이 구비된다. 펌프캡(30)의 상단부는 버튼하캡(30)의 하단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펌프캡(40) 상부에 삽입홈(430)이 구비된다. 삽입홈(430)으로 버튼하캡(30)이 삽입되어 펌프캡(40)과 버튼하캡(3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펌프캡(40)의 삽입홈(430)에는 버튼하캡(30)의 중공관(340)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홈(430)은 중공관(34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삽입홈(430)을 기준으로 펌프캡(40) 중심부측 상면은 중공관(340)의 내부의 형성된 구획판(35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중공관(340) 내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펌프캡(40)은 중공관(340)이 삽입되는 펌프캡(40)의 중심부측 상면과 중공관(340)의 제외한 버튼하캡(30)의 하면이 안착되는 펌프캡(40)의 가장자리측 상면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펌프캡(40) 중심부에는 중공(450)이 형성된다. 중공(450)에는 펌프장치(50)가 결합된다. 펌프캡(40)에는 고정지지부(430)가 구비된다. 고정지지부(430)는 삽입홈(430)을 기준으로 펌프캡(40)의 중심부측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지지부(430)는 버튼상캡(10)의 회전에 따라 버튼상캡(10)의 지지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고정지지부(430)는 지지부(130)와 수직한 형태로 연결되어 버튼상캡(10)을 지지한다. 버튼상캡(10)이 고정지지부(430)와 지지부(130)에 의해서 지지됨에 따라 버튼상캡(10)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버튼상캡(10)과 결합된 버튼하캡(30)이 펌프캡(40) 상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일례로, 지지부(130)와 평형한 형태로 형성된 고정지지부(430)는 지지부(130)와의 작은 충격에도 연결이 쉽게 틀어질 수 있다. 고정지지부(430)와 지지부(130)의 연결이 틀어지게되면, 버튼상캡(10)을 지지하는 구성이 없어 버튼상캡(10)이 하측으로 손쉽게 가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xed
따라서,지지부(130)와 수직한 형태로 형성된 고정지지부(430)는 지지부(130)와 평형한 형태로 형성될 때보다 효과적으로 버튼상캡(10)을 지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작동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노즐부가 인입되어 있는 디스펜서의 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노즐부가 인출되어 있는 디스펜서의 투시도 및 측면도이다.
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 dispenser in which a nozzle portion of a dispenser is drawn i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are views showing a dispenser in which a nozzle portion of a dispens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out, Fig.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4 to 7,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버튼상캡(10)을 회전시키면, 버튼상캡(10)의 리브(110)에 양단이 지지되어 있던 노즐(210)도 버튼상캡(10)의 회전을 따라 이동되게 된다. 노즐(210)이 버튼상캡(10)의 회전을 따라 이동되면서 노즐(210)의 타면에 형성되어 있던 결합돌기(220)도 동시에 버튼상캡(1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게 된다. 이때, 결합돌기(220)는 노즐가이드홈(320)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311)에 걸려있다가 버튼상캡(10)의 회전에 의해서 걸림턱(311)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걸림턱(311)으로 부터 이탈된 결합돌기(211)는 노즐가이드홈(310)을 따라 버튼하캡(30)의 상면에서 이동된다. 이때, 노즐가이드홈(10)는 나선형과 비슷하게 버튼하캡(30)의 내측에서 가장자리측으로 빙빙 비틀려 돌아간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돌기(211)가 노즐가이드홈(10)을 따라 버튼하캡(30) 내측에서 가장자리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결합돌기(211)는 버튼상캡(10)의 회전방향에 따라 버튼하캡(30) 내측에서 가장자리측으로 이동되면서, 결합돌기(211)가 구비된 노즐(210)은 버튼상캡(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결합돌기(211)의 이동으로 노즐(210)은 버튼상캡(10)의 노즐출입부(120)를 통해서 버튼상캡(10) 외측으로 노출되게 된다. 이때, 노즐(210)은 한쌍으로 형성된 리브(110) 사이에 슬라이딩되어 버튼상캡(10)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또한, 버튼상캡(10)과 동시에 노즐출입부(120)가 회전이 된다. 따라서, 회전된 노즐출입부(120)로 버튼상캡(10) 내측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드된 노즐(210)의 일부분이 인출되게 된다. 노즐(210)의 일부분이 버튼상캡(10)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던 노즐연결부(220)가 ㄱ자 형태로 펴지게 된다. 버튼상캡(10)이 회전되면서 고정지지부(430)와 연결되어 있던 지지부(130)는 버튼상캡(10)의 회전과 동시에 가이드홀(331)을 따라 이동된다. 또한, 지지부(130)가 버튼상캡(1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면서 버튼상캡(10)을 지지하고 있던 고정지지부(430)와 지지부(130)의 연결이 해제된다. 고정지지부(430)와 지지부(130)의 연결이 해제되면서 버튼상캡(10)을 지지하는 구성이 없어 버튼상캡(10)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다만, 버튼상캡(10)의 회전이 고정되지않아 사용자가 가압을 하면서, 버튼상캡(10)이 이곳저곳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상캡(10)을 회전시켜 결합돌기(211)를 노즐가이드홈(310)을 따라 버튼하캡(30) 내측에서 가장자리로 이동시킨다. 이때, 결합돌기(211)는 버튼하캡(30) 내측에서 가장자리측으로 이동되면서 노즐가이드홈(310) 끝단에 구비된 걸림턱(311) 다시 한번 걸리게 된다. 걸림턱(311)에 타단이 걸린 결합돌기(211)는 걸림턱(311)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결합돌기(211)가 타단에 구비된 노즐(210)의 이동도 제한되게 된다.
When the user rotates the
사용자가 버튼상캡(10)을 가압하면, 버튼상캡(10)과 결합된 버튼하캡(30)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버튼하캡(30)의 하단부가 펌프캡(40) 상단부로 안착되게 된다. 이때, 삽입홈(440)에 중공관(340)이 삽입되면서, 중공관(340) 내측의 구획판(330)도 펌프캡(40) 중심부측 상면에 안착되게 된다. 또한, 중공관(340)도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중공관(340) 내측에 구비된 유입부(350)도 하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유입부(35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유입부(350)와 연결된 노즐연결부(220)도 하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유입부(35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유입부(350)와 결합된 펌프장치(50)에 압력이 가해진다. 이때, 펌프장치(50)의 외부는 펌프캡(40)의 중공(450)에 결합되어 이동이 제한되고, 펌프장치(50)의 내부에 형성된 실린더만 유입부(350)에 의해서 하측으로 이동된다. 펌프장치(50) 내부는 실린더에 의해 하측으로 가해진 압력으로 인해 펌프장치(5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펌프장치(50) 내부와 용기본체(60)의 내부의 압력차가 생기게 된다. 또한, 펌프장치(50)에 구비된 탄성부재(미도시)에도 압력이 가해져 탄성부재(미도시)도 하측으로 압축된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사용자가 버튼상캡(10)에 압력을 가하지 않으면, 펌프장치(50)의 탄성부재(미도시)는 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려는 압력이 생긴다. 또한, 펌프장치(50)의 내부에 구비된 실린더가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서 상측으로 압력을 받아 이동되게 된다. 실린더가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상측으로 압력을 받아 이동되면서 용기본체(60)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내용물도 펌프장치(50) 내부로 흡입되게 된다. 탄성부재(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유입부(350)도 상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유입부(350)에 가해진 탄성부재(미도시)의 상승력에 의해서, 유입부(350)와 결합된 중공관(340)도 상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삽입홈(440)에 삽입되어 있던 중공관(340)이 이탈되면서 버튼하캡(30)이 펌프캡(40)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버튼하캡(30)과 결합되어 있던 버튼상캡(10)도 동시에 상측으로 이동된다. 버튼하캡(30) 및 버튼상캡이(10)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내부에 흡입력이 가해진 펌프장치(50)는 펌프장치(50)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내용물을 유입부(350)로 이동시킨다. 펌프장치(50)의 흡입력에 의해서 전달받은 내용물은 유입부(35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게 된다. 유입부(350)의 상부으로 이동된 내용물은 노즐연결부(220)에 전달되고, 노즐연결부(220)를 통해 노즐(210)에 내용물이 전달된다. 노즐(210)로 전달된 내용물은 노즐(210)의 방출구를 통해 노즐(210) 외측으로 방출되게 된다.
When the user does not apply pressure to th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디스펜서는 일정량의 내용물 외부로 방출시킨다.Through this process, the dispenser discharges a certain amount of the contents to the outside.
10: 버튼상캡
110: 리브
120: 노즐출입부
130: 지지부
20: 노즐부
210: 노즐
211: 결합돌기
220: 노즐연결부
30: 버튼하캡
310: 노즐가이드홈
320: 노즐가이드출입부
350: 유입부
330: 구획판
331: 가이드홀
340: 중공관
40: 펌프캡
430: 고정지지부
440: 삽입홈
450: 중공
50: 펌프장치
60: 용기본체 10: button top cap 110: rib
120: nozzle inlet part 130: support part
20: nozzle unit 210: nozzle
211: engaging projection 220: nozzle connecting portion
30: button-down cap 310: nozzle guide groove
320: nozzle guide inlet part 350: inlet part
330: partition plate 331: guide hole
340: Hollow tube 40: Pump cap
430: stationary support 440: insertion groove
450: hollow 50: pump device
60:
Claims (26)
상기 용기본체 상부에 구비되는 버튼하캡;
상기 버튼하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측면에 노즐출입부가 구비되는 버튼상캡; 및
상기 버튼상캡에 내재되어 상기 버튼상캡의 회전에 따라 상기 노즐출입부로 노출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A container body;
A button-down cap provided on the container main body;
A button-shaped cap rotatably coupled to the button-down cap, the button-shaped cap having a nozzle access portion on a side surface thereof; And
And a nozzle portion which is contained in the button top cap and is exposed to the nozzle access por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utton top cap.
상기 용기본체 상부에 결합되는 펌프캡을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ump cap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펌프캡의 상단부에 삽입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3. The method of claim 2,
And an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pump cap.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홈 상부로 상기 버튼하캡이 삽입되도록 상기 버튼하캡의 하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lower portion of the button-down cap so that the button-down cap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상기 펌프캡의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hollow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ump cap.
상기 펌프캡의 상단부에 고정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fixed support part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pump cap.
상기 버튼하캡의 측면에는 노즐가이드출입부가 구비되어 상기 노즐출입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nozzle guide inserting portion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utton-down cap and connected to the nozzle inserting portion.
상기 버튼하캡에는 상기 노즐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노즐가이드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tton-down cap is provided with a nozzle guide groov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nozzle unit.
상기 노즐가이드홈은 상기 버튼하캡의 일단에 비스듬한 곡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nozzle guide groove is formed in an oblique curve shape at one end of the button-down cap.
상기 노즐가이드홈 내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stopping jaw is formed inside the nozzle guide groove.
상기 버튼하캡의 하부에는 중공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hollow tube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utton-down cap.
상기 버튼하캡에는 상기 중공관의 내부를 나누는 구획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utton-down cap further comprises a partition plate dividing the inside of the hollow tube.
상기 구획판 일단에 가이드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guide hol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artition plate.
상기 가이드홀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lurality of guide holes are provided.
상기 구획판 중심부에는 유입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inflow portion is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rtition plate.
상기 유입부 상부에는 상기 노즐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nozzle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flow portion.
상기 유입부 하부에는 펌프장치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pump device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inflow part.
상기 버튼상캡은 하면에 상기 노즐부를 지지하는 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tton cap includes a rib on a bottom surface thereof for supporting the nozzle unit.
상기 버튼상캡 하부에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support portion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utton cap.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버튼상캡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홀 내측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and is moved inside the guide hole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button top cap.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버튼상캡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지지부 상부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지지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mov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utton-shaped cap, and is connected to the fixed support portion.
상기 노즐부는 타단에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nozzle unit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at the other end thereof.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노즐가이드홈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23. The method of claim 22,
And the engaging projection is movably coupled to the nozzle guide groove.
상기 노즐부는 내용물이 방출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을 연결하는 노즐연결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zzle portion is formed of a nozzle through which contents are discharged and a nozzl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nozzle.
상기 노즐연결부는 플렉시블한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nozzle connection portion is a flexible material.
상기 노즐연결부는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nozzle connection is a tub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0001A KR101658031B1 (en) | 2015-01-21 | 2015-01-21 | dispenser |
CN201620019239.8U CN205470537U (en) | 2015-01-21 | 2016-01-11 | Dispens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0001A KR101658031B1 (en) | 2015-01-21 | 2015-01-21 | dispens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0112A true KR20160090112A (en) | 2016-07-29 |
KR101658031B1 KR101658031B1 (en) | 2016-09-20 |
Family
ID=56617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0001A KR101658031B1 (en) | 2015-01-21 | 2015-01-21 | dispens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8031B1 (en) |
CN (1) | CN205470537U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8797A (en) * | 2019-02-12 | 2020-08-21 | 주식회사 다린 | Pump dispens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18666A (en) * | 2018-09-29 | 2018-12-18 | 上海百雀羚生物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rotary pressing bottle cap |
KR102437417B1 (en) * | 2021-10-27 | 2022-08-30 | 김정수 | Pmup type liquid contain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544541A (en) * | 2006-07-26 | 2009-12-17 | バルワー エス.アー.エス. | Fluid dosing head |
KR20100068578A (en) * | 2008-12-15 | 2010-06-24 | (주)톨리코리아 | Lock device have airless cosmetic case |
KR20120118279A (en) * | 2011-04-18 | 2012-10-26 | (주)연우 | A dispenser vessel |
KR101325527B1 (en) * | 2012-09-11 | 2013-11-07 | (주)연우 | Dispenser with a safety button |
-
2015
- 2015-01-21 KR KR1020150010001A patent/KR101658031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1-11 CN CN201620019239.8U patent/CN205470537U/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544541A (en) * | 2006-07-26 | 2009-12-17 | バルワー エス.アー.エス. | Fluid dosing head |
KR20100068578A (en) * | 2008-12-15 | 2010-06-24 | (주)톨리코리아 | Lock device have airless cosmetic case |
KR20120118279A (en) * | 2011-04-18 | 2012-10-26 | (주)연우 | A dispenser vessel |
KR101325527B1 (en) * | 2012-09-11 | 2013-11-07 | (주)연우 | Dispenser with a safety butt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8797A (en) * | 2019-02-12 | 2020-08-21 | 주식회사 다린 | Pump dispens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8031B1 (en) | 2016-09-20 |
CN205470537U (en) | 2016-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9573B1 (en) | Spuit type cosmetics container | |
US8608029B2 (en) | Cosmetic container for mixing and using heterogeneous contents | |
CN104603019B (en) | For the syringe type vessel lid automatically filled and fixed amount is distributed | |
JP2017512520A (en) | Cream-type cosmetic container with vacuum pump | |
US20100006606A1 (en) | Pumping device with collapsible nozzle | |
US10675647B2 (en) | Discharge container for heterogeneous contents | |
JP2017521328A (en) | Predetermined amount discharge device for liquid container | |
KR101430988B1 (en) | Cosmetic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 |
KR101658031B1 (en) | dispenser | |
US20190014881A1 (en) | Push Type Cosmetic Container | |
JP2016506284A (en) | Cream type cosmetic container | |
US20180079584A1 (en) | Mixing container for heterogeneous content | |
KR102035727B1 (en) | Dispenser for liquid container | |
KR101785716B1 (en) | Spuit type cosmetic vessel | |
KR20140005553U (en) | That the contents can be discharged in a variety of patterns, cosmetics, airless cosmetic container | |
KR20130060742A (en) | Dispenser for liquid container | |
KR20120061258A (en) | A Dispenser Vessel | |
JP5938828B2 (en) | Cosmetic container with dropper capable of quantitative withdrawal and discharge | |
US20230302474A1 (en) | Content container | |
US20160052662A1 (en) | Application system for small dose liquid, gel, serum or cream | |
KR200471906Y1 (en) | Cosmetic Container | |
KR20110008194U (en) | Cosmetic vessel of spuit type | |
KR101144103B1 (en) | Dual tube vessel with a vacuum pump | |
KR101707120B1 (en) | Pumping type cosmetic vessel having a side button | |
KR101817163B1 (en) | Discharging apparatus for cosmetic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