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926A - Utp 케이블 - Google Patents

Utp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926A
KR20160089926A KR1020150009296A KR20150009296A KR20160089926A KR 20160089926 A KR20160089926 A KR 20160089926A KR 1020150009296 A KR1020150009296 A KR 1020150009296A KR 20150009296 A KR20150009296 A KR 20150009296A KR 20160089926 A KR20160089926 A KR 20160089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
pair
filler
units
sh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경
김태성
김태우
조영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9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9926A/ko
Publication of KR20160089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4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pairs or quads mutually positioned to reduce cross-tal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01B1/026Alloys based on copp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01B11/10Screens specially adapted for reduc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flam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능력이 우수한 동시에 케이블의 진원도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UTP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UTP 케이블{UTP cable}
본 발명은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능력이 우수한 동시에 케이블의 진원도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UTP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은 일반 전화선이나 랜(LAN)의 환경을 이어주는 데이터 전송용 신호선의 일종으로서, 절연된 2개의 구리선을 서로 꼬아 만든 복수 개의 페어 유닛(pair unit) 외부를 플라스틱 재킷(jacket)으로 감싼 선이라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도 1은 종래의 4-페어(4-pair) UTP 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4-페어 UTP 케이블에 있어서 복수의 페어 유닛(600) 각각은 절연층(62)이 피복된 도체(61)로 이루어진 2개의 도선(60)이 일정한 피치로 서로 꼬여진 구조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2개의 도선(60)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 신호 전송에 대한 반사손실(return loss)이 크게 증가하므로 이들 2개의 도선(6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일정한 피치, 즉 대연 피치로 서로 꼬여져 있고, 이들 2개의 도선(60)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페어 유닛(600)도 전체적으로 일정한 피치, 즉 집합 피치로 꼬여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꼬임 피치, 즉 상기 대연 피치와 상기 집합 피치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화하여, 결과적으로 특정한 주파수 대역에서 급격한 신호 감쇠(attenuation)가 발생하거나, 각각의 페어 유닛(600)에 흐르는 전류가 형성하는 전자기장에 의해 인접한 다른 페어 유닛(600)의 전송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등의 악영향을 받는 현상, 즉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이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급격하게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크로스토크 현상은 UTP 케이블의 데이터 전송능력에 큰 악영향을 미치고, 특히 데이터 전송능력에 따른 UTP 케이블의 분류 중 2 Ghz 이하의 주파수에서 40 Gbps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야 하는 CAT8(category 8)의 UTP 케이블에서는 이러한 크로스토크 현상의 저감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4-페어 UTP 케이블은 복수의 페어 유닛(600) 각각의 대연 피치 및 집합 피치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를 매칭시킴으로써 상기 급격한 신호 감쇠에 따른 데이터 전송능력 저감을 억제하거나 최소화하고자 하였으나, 효과적으로 이를 억제할 수는 없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4-페어 UTP 케이블은 복수의 페어 유닛(600) 각각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격벽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800)를 통해 페어 유닛(600) 사이를 물리적으로 이격시켜 이들간의 크로스토크 현상을 억제하고자 하였으나, 이러한 세퍼레이터(800)로도 모든 페어 유닛(600) 사이의 크로스토크 현상을 동시에 규격 이하로 억제할 수는 없었고, 특히 CAT8의 UTP 케이블에서는 크로스토크를 규격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더욱 곤란했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4-페어 UTP 케이블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4-페어 UTP 케이블은 크로스토크 현상이 특히 심각한 페어 유닛(600) 사이에 배치된 격벽의 두께가 증가된 세퍼레이터(800)를 포함하였다.
그러나, 상기 세퍼레이터(800)를 구성하는 복수의 격벽의 두께가 서로 상이함에 따라 상기 세퍼레이터(800)를 포함하는 UTP 케이블의 단면이 완전한 원을 형성하는 진원도가 불량하고, 결국 이러한 UTP 케이블을 사용하거나 보빈 등에 권취하는 경우 부분적으로 케이블의 꼬임이 발생하여 페어 유닛(600)의 꼬임 피치에 대한 설계가 변경됨으로써 케이블의 데이터 전송능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CAT8의 UTP 케이블에서 요구되는 충분한 데이터 전송능력을 발휘하는 동시에 케이블의 진원도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새로운 UTP 케이블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CAT8의 UTP 케이블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능력을 발휘하는 UTP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의 진원도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UTP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체 및 이를 감싸는 절연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도선이 대연 피치로 서로 꼬여짐으로써 형성된 복수의 페어 유닛, 인접한 페어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격벽을 포함하는 필러, 및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 전체를 감싸는 쉬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 전체는 30 mm 이상 60 mm 미만의 집합 피치로 서로 꼬여 있고, 상기 필러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격벽은 이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차폐층을 포함하는, UTP 케이블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은 대연 피치가 7.5 내지 8 mm인 제1 페어 유닛, 대연 피치가 12 내지 12.5 mm인 제2 페어 유닛, 대연 피치가 7.7 내지 8.5 mm인 제3 페어 유닛 및 대연 피치가 9.5 내지 10.5 mm인 제4 페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페어 유닛은 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TP 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러는 제1 페어 유닛과 제4 페어 유닛 사이의 격벽 및 제2 페어 유닛과 제3 페어 유닛 사이의 격벽 내부에 차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TP 케이블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차폐층은 두께가 0.03 내지 0.2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TP 케이블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필러를 구성하는 각각의 격벽의 두께는 0.6 내지 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TP 케이블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과 상기 쉬스 사이에 배치된 외부 차폐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TP 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쉬스 내부에 립코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TP 케이블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도체는 구리, 연동 또는 주석도금동의 단선 또는 연선이고, 상기 절연체 및 상기 필러를 구성하는 격벽은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불소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격벽 내부에 포함된 차폐층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쉬스는 난연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또는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UTP 케이블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절연체의 두께는 0.5 내지 0.61 mm이고, 상기 필러를 구성하는 격벽의 길이는 4.5 내지 5 mm이며, 상기 쉬스의 두께는 0.3 내지 0.5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TP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UTP 케이블은 복수의 페어 유닛 각각의 대연 피치 및 전체의 집합 피치에 대한 정밀한 제어와 새로운 필러의 사용에 의해 CAT8의 UTP 케이블에서 요구되는 충분한 데이터 전송능력을 발휘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UTP 케이블은 필러를 구성하는 복수의 격벽의 두께가 균일하여 케이블의 진원도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되어 케이블의 사용시 또는 보빈 등에 권취시 케이블의 부분적 꼬임 및 이로 인한 피치 설계의 변경에 따른 데이터 전송능력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의 4-페어(4-pair) UTP 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4-페어 UTP 케이블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UTP 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각각에 따른 UTP 케이블에 대한 NEXT(near end crosstalk) 평가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11은 실시예 1 및 2, 그리고 비교예 2 내지 5 각각에 따른 UTP 케이블에 대한 ATT(attenuation; 신호 감쇠) 평가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 되어지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UTP 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UTP 케이블은 구리 등의 도체(111)가 절연체(112)에 의해 피복된 복수, 예를 들어, 2개의 도선(110)이 일정한 피치로 서로 꼬여짐으로써 각각 형성된 복수, 예를 들어, 4개의 페어 유닛(pari unit)(100),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100) 각각을 서로 이격시키는 복수의 격벽으로 이루어진 필러(200), 및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100)과 상기 필러(200)를 감싸는 외부자켓인 쉬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100)에 있어서, 상기 도체(111) 및 상기 절연체(112)의 규격과 재질은 UTP 케이블 국제기준(ANSI/TIA/EIA 568A)에 따른다. 예를 들어, 상기 도체(111)는 구리, 연동(annealed copper), 주석도금동(tinned copper)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선(solid wire) 또는 연선(stranded wire)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체(111)가 단선인 경우 외경이 약 0.5 내지 0.6 mm일 수 있고, 연선인 경우 소선경이 약 0.203 mm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연체(112)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며, 고난연성이 요구되는 플레넘(Plenum)급 케이블의 경우, 난연성 확보를 위하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ylene; PTFE) 수지, 불소화에틸렌프로필렌(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FEP) 수지, 과불소화산(Perfluorinated Acid; PFA) 등의 불소수지, 난연성 폴리에틸렌(Fire-resistant Polyethylene; FRPE), 난연성 폴리프로필렌(Fire-resistant Polypropylene; FRPP) 등의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체(112)의 두께는 약 0.5 내지 0.61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100)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선(110)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일정한 피치로 서로 꼬여진 구조를 갖는데 여기서상기 복수의 도선(110)의 꼬임 피치를 대연 피치라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도선(11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100)은 전체적으로 특정 피치로 꼬여진 구조를 갖는데 여기서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100) 전체의 꼬임 피치를 집합 피치라 한다.
또한, 상기 대연 피치와 상기 집합 피치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화하고 이러한 임피던스 변화에 의해 신호 감쇠(attenuation) 및 각각의 페어 유닛(100)에 흐르는 전류가 형성하는 전자기장에 의해 인접한 다른 페어 유닛(100)의 전송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등의 악영향을 받는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이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급격하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CAT8의 UTP 케이블의 사용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급격한 신호 감쇠 및 상기 급격한 크로스토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대연 피치와 상기 집합 피치의 조절로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복수의 페어 유닛(100) 중 제1 페어 유닛(100a)의 대연 피치는 7.5 내지 8 mm, 제2 페어 유닛(100b)의 대연 피치는 12 내지 12.5 mm, 제3 페어 유닛(100c)의 대연 피치는 7.7 내지 8.5 mm, 그리고 제4 페어 유닛(100d)의 대연 피치는 9.5 내지 10.5 mm로 설정하고, 또한 복수의 페어 유닛(100) 전체의 집합 피치를 30 mm 이상 60 mm 미만으로 설정함으로써, CAT8의 UTP 케이블의 사용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급격한 신호 감쇠를 회피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예를 들어, 복수의 페어 유닛(100) 중 제1 페어 유닛(100a)의 대연 피치는 7.5 내지 8 mm, 제2 페어 유닛(100b)의 대연 피치는 12 내지 12.5 mm, 제3 페어 유닛(100c)의 대연 피치는 7.7 내지 8.5 mm, 그리고 제4 페어 유닛(100d)의 대연 피치는 9.5 내지 10.5 mm인 경우,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100) 전체의 집합 피치가 60 mm 이상인 경우 CAT8의 UTP 케이블의 사용 주파수 대역에서 급격한 신호 감쇠가 발생하고, 한편 상기 집합 피치가 30 mm 미만인 경우 특정한 대연 피치로 꼬인 상태의 페어 유닛의 외경을 고려시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연입률이 증가하여 도체 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전기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UTP 케이블은 복수의 페어 유닛(100)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선(110)의 대연 피치와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100) 전체의 집합 피치를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CAT8의 UTP 케이블의 사용 주파수 대역에서 급격한 신호 감쇠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토크 현상을 억제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UTP 케이블은 특수한 필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러(200)는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100)을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시키는 복수의 격벽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100)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거나 최소화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100)의 배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UTP 케이블의 구조적 안정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격벽 중 하나 이상의 격벽은 이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차폐층(210)을 포함함으로써 크로스토크 억제 또는 최소화 효과를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필러(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격벽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절연체(112)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차폐층(210)은 알루미늄, 구리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러(200)에 있어서, 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격벽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UTP 케이블은 이의 단면의 진원도를 용이하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UTP 케이블의 사용시 또는 보빈 등에 권취시 케이블의 부분적 꼬임 및 이로 인한 피치 설계의 변경에 따른 데이터 전송능력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필러(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격벽의 전체 두께는 0.6 내지 1 mm이고, 길이는 4.5 내지 5 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의 내부에 포함된 상기 차폐층(210)의 두께는 0.03 내지 0.2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쉬스(400)는 외부로부터의 압력이나 충격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100)을 보호하고 인접하는 타 케이블이나 기타 전자장비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에 의한 외부간섭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쉬스(40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난연성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난연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난연성 폴리염화비닐(PVC)의 난연성은 한계산소지수(Limited Oxygen Index; LOI)가 48 내지 6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쉬스(400)의 두께는 상기 페어 유닛(100)의 절연체(112)를 형성하는 재질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0.3 내지 0.55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UTP 케이블은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100)과 상기 쉬스(400) 사이에 외부차폐층(30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차폐층(300)은 인접하는 타 케이블간의 신호 간섭을 방지하고 상기 UTP 케이블의 난연성을 추가로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외부차폐층(300)은 금속테이프, 금속편조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UTP 케이블은 상기 쉬스(400) 내부에 립코드(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립코드(500)는 상기 외부자켓(300)의 탈피를 용이하게 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케브라 아라미드 얀(Kevlar aramid yarn), 에폭시 섬유봉(Fiber glass epoxy rod), 섬유강화폴리에틸렌(FRP; Fiber Reinforced Polyethylene), 고강도 섬유, 아연도금강선, 강선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UTP 케이블에 항장력을 부여하는 인장선으로서의 기능을 병행할 수 있다.
[실시예]
1. 제조예
아래 표 1에 따른 규격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UTP 케이블 시편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집합피치 40 mm 50 mm 40 mm 60 mm 70 mm 100 mm 200 mm
필러 필러 1 필러 2 필러 1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따른 UTP 케이블 시편은 아래의 규격을 공통으로 한다.
도체 : 구리도체(직경 0.57 mm)
절연체 : 폴리에틸렌(외경 1.10 내지 1.11 mm)
대연 피치 : 제1 페어 유닛(8 mm), 제2 페어 유닛(12.25 mm), 제3 페어 유닛(8.1 mm), 제4 페어 유닛(10 mm)
쉬스 : 난연성 폴리염화비닐(두께 0.45 mm)
- 필러 1 :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고 제1 페어 유닛과 제2 페어 유닛 사이의 격벽 및 제3 페어 유닛과 제4 페어 유닛 사이의 격벽 각각의 두께는 0.8 mm이고, 제1 페어 유닛과 제4 페어 유닛 사이의 격벽 및 제2 페어 유닛과 제3 페어 유닛 사이의 격벽은 각각 내부에 두께 0.1 mm의 알루미늄 시트의 내부 차폐층이 포함되어 있고 격벽 전체의 두께는 0.8 mm임
- 필러 2 :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페어 유닛 사이의 격벽의 두께가 모두 0.8 mm이고 내부 차폐층 없음
2. NEXT(near end crosstalk) 및 ATT(attenuation; 신호 감쇠) 평가
Network analyzer(제품명 : Agilent 5071C) 및 Measurement kit(제품명 : ANSI/TIA-1183)을 이용하여 싱글 엔디드(single eneded) 측정법으로 NEXT(near end crosstalk) 및 ATT(attenuation; 신호 감쇠)를 각각 측정했다.
도 4 및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각각에 따른 UTP 케이블에 대한 NEXT(near end crosstalk) 평가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가 내부 차폐층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UTP 케이블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규격(spec.)을 벗어나는 급격한 크로스토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은 신호 전송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6 내지 11은 실시예 1 및 2, 그리고 비교예 2 내지 5 각각에 따른 UTP 케이블에 대한 ATT(attenuation; 신호 감쇠) 평가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합 피치가 60 mm 이상인 비교예 2 내지 5의 UTP 케이블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급격한 신호 감쇠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는 신호 전송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페어 유닛 200 : 필러
300 : 외부 차폐층 400 : 쉬스
500 : 립코드

Claims (10)

  1. 도체 및 이를 감싸는 절연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도선이 대연 피치로 서로 꼬여짐으로써 형성된 복수의 페어 유닛, 인접한 페어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격벽을 포함하는 필러, 및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 전체를 감싸는 쉬스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격벽은 이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차폐층을 포함하고,
    상기 필러가 복수의 격벽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격벽 각각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 UTP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 전체는 30 mm 이상 60 mm 미만의 집합 피치로 서로 꼬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TP 케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은 대연 피치가 7.5 내지 8 mm인 제1 페어 유닛, 대연 피치가 12 내지 12.5 mm인 제2 페어 유닛, 대연 피치가 7.7 내지 8.5 mm인 제3 페어 유닛 및 대연 피치가 9.5 내지 10.5 mm인 제4 페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페어 유닛은 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TP 케이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제1 페어 유닛과 제4 페어 유닛 사이의 격벽 및 제2 페어 유닛과 제3 페어 유닛 사이의 격벽 내부에 차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TP 케이블.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은 두께가 0.03 내지 0.2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TP 케이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벽의 두께는 0.6 내지 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TP 케이블.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페어 유닛과 상기 쉬스 사이에 배치된 외부 차폐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TP 케이블.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쉬스 내부에 립코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TP 케이블.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구리, 연동 또는 주석도금동의 단선 또는 연선이고,
    상기 절연체 및 상기 필러를 구성하는 격벽은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불소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격벽 내부에 포함된 차폐층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쉬스는 난연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또는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UTP 케이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의 두께는 0.5 내지 0.61 mm이고,
    상기 필러를 구성하는 격벽의 길이는 4.5 내지 5 mm이며,
    상기 쉬스의 두께는 0.3 내지 0.5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TP 케이블.
KR1020150009296A 2015-01-20 2015-01-20 Utp 케이블 KR20160089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296A KR20160089926A (ko) 2015-01-20 2015-01-20 Utp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296A KR20160089926A (ko) 2015-01-20 2015-01-20 Utp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926A true KR20160089926A (ko) 2016-07-29

Family

ID=5661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296A KR20160089926A (ko) 2015-01-20 2015-01-20 Utp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99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262A (ko) * 2019-02-19 2020-08-2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이더넷 케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262A (ko) * 2019-02-19 2020-08-2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이더넷 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1888B2 (en) Data cable with cross-twist cabled core profile
US8729394B2 (en) Enhanced data cable with cross-twist cabled core profile
US7053310B2 (en) Bundled cable using varying twist schemes between sub-cables
US9842672B2 (en) LAN cable with PVC cross-filler
KR20220009478A (ko) Utp 케이블
CA2677681A1 (en) Data cable with cross-twist cabled core profile
US11367541B2 (en) Fire resistant data communication cable
US10553333B2 (en) I-shaped filler
CN211181711U (zh) 一种耐辐射耐磨阻燃环保电缆
KR20160089926A (ko) Utp 케이블
KR20120027947A (ko) 난연 차폐 테이프를 구비하는 통신용 케이블
US20140060913A1 (en) S-shield twisted pair cable design for multi-ghz performance
KR20150074557A (ko) Cmp 난연등급 utp 케이블
US20190309112A1 (en) Polymeric yarns for use in communications cable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US10559406B2 (en) Data communication cable having modified delay skew
CN202650703U (zh) 一种舰船用轻型薄壁绝缘通信电缆
KR20230125890A (ko) 가동용 이더넷 케이블
US20230215600A1 (en) Manifold pair lay data cable
KR20210148733A (ko) 가동용 이더넷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