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653A - 전자파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파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653A
KR20160089653A KR1020150009123A KR20150009123A KR20160089653A KR 20160089653 A KR20160089653 A KR 20160089653A KR 1020150009123 A KR1020150009123 A KR 1020150009123A KR 20150009123 A KR20150009123 A KR 20150009123A KR 20160089653 A KR20160089653 A KR 20160089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ource
unit
electric field
electromagnetic wav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6532B1 (ko
Inventor
이현정
Original Assignee
이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정 filed Critical 이현정
Priority to KR1020150009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532B1/ko
Publication of KR20160089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4Earth or grounding circu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열침구류 온도 조절기의 전자파 차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로부의 히터 및 접지단의 전기장 존재 여부를 검사하여 접지단에 전기장 존재 시 접지 위상을 변경하여 히터를 따라 접지단에 존재하는 전기장을 교류전원의 접지라인로 바이패스시켜 제거하는 전자파 차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파 차단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
본 발명은 전열침구류 온도 조절기의 전자파 차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로부의 히터 및 접지단의 전기장 존재 여부를 검사하여 접지단에 전기장 존재 시 접지 위상을 변경하여 히터를 따라 접지단에 존재하는 전기장을 교류전원의 접지라인로 바이패스시켜 제거하는 전자파 차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추운 겨울철 가스 및 기름 난방비를 줄이거나 야외에서 활용하기 위해 전열침구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전열침구류는 전열침구, 전열매트, 전기요 등과 같이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전열침구류는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열침구류의 침구 및 매트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전열침구류는 침구 및 매트의 표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침구 및 매트의 내측으로 배선되는 히터로 공급되는 가열전류를 제어하여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조절기를 구비한다. 전열침구류는 히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전기장을 포함하는 전자파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열침구의 히터 및 온도조절기에서 발생되는 전기장을 상쇄 또는 바이패스하여 제거하는 전자파 차단 장치를 구성하거나, 전기장을 차단하고 전기장을 접지로 바이패스하도록 접지선을 가지는 차단망을 포함하는 히터, 즉 전열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 전자파 차단 장치는 평상 시 발생하는 전자파를 교류전원부의 접지라인으로 바이패스하여 차단한다.
그러나 차단망을 포함하는 히터를 적용하거나 전기장을 상쇄시키도록 가열전류의 방향이 양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히터를 적용하는 경우, 히터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그 굵기가 굵어지며, 히터의 가격이 상승하여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도조절기의 내부 회로에서 회로적으로 전기장을 교류전원부의 접지라인으로 바이패스하도록 하는 전자파 차단장치가 적용되는 방식은 온도조절기의 접지단이 교류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의 접지라인에 연결되어 있어야만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온도조절기의 접지단이 교류전원의 핫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자파가 접지단으로 바이패스되지 못하여 히터 및 접지단에 남아 있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자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전자파 흡수체에 의해 흡수되어 소멸되거나 사용자가 온도조절기의 접지단이 교류전원의 접지라인에 접속되도록 온도조절기의 교류전원 코드를 재접속시켜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온도조절기 사용자는 온도조절기의 코드의 접지단이 교류전원의 접지라인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알 수 없으므로 히터에 전기장이 남아 있는 것으로 의심될 때마다 코드를 일일이 재접속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코드의 접지라인 연결상태를 알 수 없으므로 코드의 재접속 여부를 알 수 없어 방치하거나 코드의 재접속을 잊어버리는 경우, 전자파 흡수체인 인체가 전기장, 즉 전자파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30331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부의 히터 및 접지단의 전기장 존재 여부를 검사하여 접지단에 전기장 존재 시 접지 위상을 변경하여 히터를 따라 접지단에 존재하는 전기장을 교류전원의 접지라인로 바이패스시켜 제거하는 전자파 차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단 장치는: 히터, 온도조절부 및 직류전원부를 포함하는 회로부와, 교류전원의 핫라인 및 접지라인에 양단이 연결되는 교류전원부를 포함하는 온도조절기의 전자파 차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회로부의 접지단과 연결되어 접지단과 상기 교류전원부의 양단을 스위칭 연결하는 릴레이를 포함하고, 제어에 따라 상기 접지단이 연결되는 상기 교류전원부의 일단을 타단으로 스위칭 연결하여 접지 위상을 토글하는 전자파 차단부; 상기 히터 및 접지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접지단에 존재하는 전기장을 검출하는 전기장 검출부; 및 상기 직류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여 상기 접지 검출부를 통해 접지단에 전기장이 검출되면 상기 전자파 차단부를 제어하여 접지 위상이 토글되도록 하여 상기 접지단에 존재하는 전기장을 상기 접지라인으로 바이패스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류전원부의 양단에 연결되어 교류전원의 양전원 및 음전원 위상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교류전원검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전기장 검출부를 통해 접지단에 전기장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하고, 접지단에 전기장이 존재하면 상기 교류전원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교류전원의 위상에 따라 전자파 차단부의 릴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접지단의 접지 위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파 차단부는, 2개의 스위칭 접점 각각이 교류전원의 핫라인 및 접지라인에 연결되고 센터 접점이 회로부의 교류 입력단에 연결되고 코일에 흐르는 구동전류에 의해 상기 센터 접점에 연결되는 스위칭 접점을 스위칭하여 연결하는 제1스위치와, 2개의 스위칭 접점 각각이 제1스위치의 스위칭 접점과 교차되도록 교류전원의 접지라인 및 핫라인에 연결되고 센터 접점이 회로부의 교류 입력단에 연결되고 코일에 흐르는 구동전류에 의해 상기 센터 접점에 연결되는 스위칭 접점을 스위칭하여 연결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릴레이;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의 코일들로 직류전원에 의한 상기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코일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장 검출부는, 상기 히터 및 접지단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히터 및 접지단의 전기장에 따라 유도되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서 유도되는 전류를 게이트로 입력받고, 상기 직류전원을 콜렉터로 입력받으며 이미터가 접지되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에 직률 연결되는 이미터 저항; 및 상기 이미터 저항과 병렬 연결되는 커패시터(C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단 방법은: 제어부가 교류전원 교류전원검출부를 통해 교류전원이 공급되는지를 검사하는 교류전원 공급 여부 판단 과정; 교류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면 제어부가 전기장 검출부를 통해 회로부의 접지단에 전기장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하는 전기장 존재 여부 판단 과정; 및 접지단에 전기장이 존재하면 전자파 차단부를 제어하여 회로부와 연결되는 교류전원의 핫라인과 접지라인을 스위칭 연결하여 회로부의 접지단에 남아 있는 전기장을 접지로 바이패스시키는 전기장 제거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단망 또는 이중 전열선을 포함하는 히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히터를 따라 접지단에 남아 있는 전기장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전열침구류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의 전자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전자파 존재 시 교류전원의 접지위상을 자동 스위칭함으로써 소비자가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하여 전자파 차단 온도 조절기의 AC 전원코드를 재접속시킬 필요가 없는 효과를 가지며, 이에 따라 소비자 입장에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온도조절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온도조절기의 온도조절부 및 히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단 장치의 교류전원부, 교류전원검출부 및 전자파 차단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단 장치의 전자파 차단부의 코일제어부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단 장치의 전기장 검출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전열침구류 온도조절기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전열 침구류의 온도조절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온도조절기의 온도조절부 및 히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온도조절기는 교류전원부(10) 및 회로부(100)를 포함한다.
교류전원부(10)는 댁내의 가정전원인 교류전원(220V)을 입력받는 부분으로 교류전원의 핫라인과 접지라인에 연결되는 접속수단, 즉 코드로써 교류전원을 인가받아 공급한다.
회로부(100)는 온도조절부(50), 히터(60) 및 전자파 차단 장치(200)를 포함한다.
온도조절부(50)는 상기 교류전원부(10)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입력받고, 전자파 차단장치(200)의 제어를 받아 히터(60)로 공급되는 가열전류를 제어한다.
온도조절부(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소드로 교류전원을 인가받고, 애노드가 히터(60)와 연결되며 게이트로 전자파 차단장치(200)와 연결되는 사이리스터(SCR)를 포함하고, 전자파 차단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의 입력 여부에 의해 온(On)/오프(Off)되어 교류전원을 히터(60)로 제공하거나 차단한다.
전자파 차단장치(200)는 교류전원검출부(20), 직류전원부(30), 전자파 차단부(40), 전기장 검출부(70) 및 제어부(80)를 포함한다.
교류전원검출부(20)는 교류전원부(10)를 통한 교류전원의 입력 여부를 검출하고, 양전원 검출 신호 및 음전원 검출 신호를 제어부(80)로 출력한다.
직류전원부(30)는 상기 교류전원을 인가받아 직류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직류전원부(30)는 일실시예에 따라 5V 및 12V의 직류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직류전원부(30)는 12V의 직류전원을 생성하기 위해서 1000uF 이상의 콘덴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자파 차단부(40)는 본 발명에 따라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부(80)의 제어를 받아 접지 위상을 스위칭한다. 여기서 접지 위상의 스위칭이란 회로부(100)의 접지단(2)을 교류전원부(10)의 양단을 스위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류전원부(10)의 양단 중 일단은 가정으로 들어오는 교류전원의 핫라인에 연결되고, 나머지 타단은 접지라인에 연결될 것이다. 그러나 교류전원부(10)의 양단 중 어느 단이 접지라인에 연결되는지를 모르므로 전자파 차단부(40)는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교류전원부(10)의 양단을 스위칭하여 교류전원의 접지라인(1)을 자동을 찾아 접지단(2)과 연결한다.
상기 릴레이로는 2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2a2b 릴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기장 검출부(70)는 히터(60)에 인접하게 구성되어 히터(60) 및 접지단(2)에 형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히터(60) 및 접지단(2)에 전기장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하고, 전기장 검출 시 제어부(80)로 전기장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80)는 상기 직류전원부(30)의 동작 시 상기 직류전원부(30)에서 생성된 직류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온도 조절부(50)를 제어하여 히터(60)의 가열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80)는 본 발명에 따라 전기장 검출부(70)로부터 전기장 검출 신호의 입력 시 히터(60) 및 접지단(2)에 전기장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전자파 차단부(40)를 제어하여 접지 위상을 스위칭한다. 즉 제어부(80)는 교류전원부(10)의 양단 중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접지단(2)을 교류전원부(10)의 양단 중 타단으로 스위칭 연결하여 접지 위상을 토글한다. 그러면 이때 접지단에 남아 있는 전기장은 토글되어 접속된 접지라인(1)을 통해 바이패스될 것이다. 이는 상기 교류전원부(10)의 양단 중 일단이 접지라인(1)에 연결되어 있었다면 전기장 검출부(70)를 통해 전기장이 검출되지 않았을 것이다. 전기장 검출부(70)를 통해 전기장이 검출되었다면 제어부(80)는 현재 연결되어 있는 교류전원부(10)의 일단이 핫라인에 접속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단 장치의 교류전원부, 교류전원검출부 및 전자파 차단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교류전원부(10)는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출력하는 교류전원 공급부(11)와 상기 교류전원 공급부(11)에 직렬로 연결되는 퓨즈(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교류전원 공급부(11)가 교류전원의 핫라인 및 접지라인에 각각 연결되는 양단을 구비하는 코드가 될 것이다.
교류전원검출부(20)는 교류전원의 양의 반주기 위상을 검출하는 양전원 교류전원검출부(20-1) 및 음전원 교류전원검출부(20-2)를 포함한다. 상기 양전원 및 음전원은 교류전원 공급부(11)에 온도조절기의 코드의 연결 방향에 따라 달라지므로 상기 양전원 교류전원검출부(20-1) 및 음전원 교류전원검출부(20-2)는 상대적인 개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양전원 및 음전원 교류전원검출부(20-1, 20-2)는 교류전원 위상 검출 저항(R1, R2), 제어부(80)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평활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1다이오드(D1, D3) 및 제2다이오드(D2, D4)를 포함하며, 제2다이오드(D2, D4)는 제어부(80)가 인식할 수 있는 전압, 일예로 5V 이하로 떨어뜨리기 위해 캐소드단에 5V 직류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80)는 전기장 검출부(70)를 통해 접지단(2)에 전기장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하고, 접지단(2)에 전기장이 존재하면 상기 교류전원검출부(20)에 의해 검출되는 교류전원의 위상에 따라 전자파 차단부의 릴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접지단의 접지 위상을 변경한다.
전자파 차단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릴레이부(41)를 포함하며, 바리스터들(VAR1, VAR2, VAR3)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릴레이부(41)는 도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물리적인 접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42) 및 코일제어부(45)를 포함한다. 스위칭부(42)는 2코일 2a2b 릴레이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부(42)는 2개의 스위치(43, 44)가 구성된다. 즉, 1a, 1b 및 1c는 제1스위치(43)를 구성하고, 2a, 2b 및 2c는 제2스위치(44)를 구성한다. 상기 1a,1b, 2a 2b는 스위칭 접점이라 하고, 1c 및 2c는 센터 접점이라 한다. 상기 스위칭 접점 1a, 2a는 교류전원부(10)의 일측 단자(일단)에, 스위칭 접점 1b, 2b는 교류전원부의 타측 단자(타단)에 연결되고, 센터 접점 1c는 교류전원을 필요로 하는 직류전원부(30), 온도 조절부(50), 히터(60), 전기장 검출부(70) 및 제어부(80)에 연결되며, 센터 접점 2c는 회로부의 접지단(2)에 연결된다.
코일제어부(45)는 제어부(8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1스위치(43) 및 제2스위치(44)의 릴레이코일(Relay-coil1, Relay-coil2)들로 구동전류를 공급하여 센터접점이 a 접점 또는 b 접점에 연결되도록 스위칭시킨다.
코일제어부(45)의 구성은 하기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단 장치의 전자파 차단부의 코일 제어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코일 제어부(45)는 제1코일 제어부(46) 및 제2코일 제어부(47)를 포함한다.
제1코일 제어부(46)는 일단으로 직류전원을 인가받는 제1릴레이 코일(RELAY-coil1)의 타단에 콜렉터가 연결되고 이미터가 접지되며 베이스로 저항(R3)을 통해 제어부(8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80)로부터 제어신호 입력 시 턴-온되어 상기 제1릴레이코일(RELAY-coil1)에 직류전원에 의한 전류를 흐르도록 하는 스위치 소자인 트랜지스터(Q1)를 포함한다. 즉 제1코일 제어부(46)는 제어부(8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되어 제1스위치(43)의 센터접점 1c를 스위칭 접점 1a에서 스위칭 접점 1b로 스위칭하거나 그 반대로 스위칭하여 연결시킨다.
제2코일 제어부(27)는 일단으로 직류전원을 인가받는 제2릴레이 코일(RELAY-coil2)의 타단에 콜렉터가 연결되고 이미터가 접지되며 베이스로 저항(R4)을 통해 제어부(8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80)로부터 제어신호 입력 시 온/오프되어 상기 제2릴레이코일(RELAY-coil2)에 직류전원에 의한 전류를 흐르도록 하는 스위치 소자인 트랜지스터(Q2)를 포함한다. 즉 제2코일 제어부(47)는 제어부(8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되어 제2스위치(44)의 센터접점 2c를 스위칭 접점 2a에서 스위칭 접점 2b로 스위칭하거나 그 반대로 스위칭하여 연결시킨다.
제1바리스터(VAR1)는 제1스위치(43)의 센터 접점, 1c와 제1스위치(43)의 스위칭 접점 1b 및 제2스위치(44)의 2a의 사이에 연결되어 과전압 및 역기전력에 의한 서지 전압으로 센터 접점, 스위칭 접점 1b 및 2a를 보호한다.
제2바리스터(WAR2)는 제2스위치(44)의 센터 접점, 1c와 제1스위치(43)의 스위칭 접점 1a 및 제2스위치(44)의 2b의 사이에 연결되어 과전압 및 역기전력에 의한 서지 전압으로 센터 접점 2c, 스위칭 접점 1a 및 2b를 보호한다.
제3바리스터(WAR3)는 제1스위치(43) 및 제2스위치(44)의 센터접점 1c, 2c를 보호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단 장치의 전기장 검출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전기장 검출부(70)는 회로부(100)의 접지단(2)에 존재하는 전기장에 의해 유도된 전류를 출력하는 안테나(ANT), 콜렉터가 직류전원과 연결되고, 베이스가 상기 안테나와 연결되는 스위치칭 소자인 트랜지스터(Q3),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이미터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접속되는 저항(R5) 및 상기 저항(R5)에 병렬 연결되는 커패시터(C1)을 포함한다.
전기장 검출부(70)는 접지단(2)의 전기장에 의해 상기 안테나(ANT)에서 유기된 전류가 베이스로 입력되는 경우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어 직류전원이 저항(R5)에 걸리게 되며, 저항(R5)에 걸리는 전압에 의한 전기장 검출 신호를 제어부(80)로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80)는 교류전원부(10)로부터 교류전원이 인가되면 교류전원검출부(20)를 통해 교류전원이 입력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한다(S111).
교류전원의 입력 여부 모니터링이 개시되면 제어부(80)는 전기장 검출부(70)를 통해 회로부(100)의 히터(60) 및 접지단(2)에서 전기장이 검출되는지를 검사한다(S113).
회로부(100)의 접지단(2)에서 전기장이 검출되면 제어부(80)는 전자파 차단부(40)의 코일제어부(45)를 제어하여 회로부의 접지단(1)이 연결된 교류전원부(10)의 양단을 스위칭 연결하여 교류전원부(10)의 접지 위상을 토글한다(S115).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교류전원부 11: 교류전원 공급부
12: 퓨즈 20: 교류전원검출부
30: 직류전원부 40: 전자파 차단부
41: 릴레이부 42: 스위칭부
43: 제1스위치 44: 제2스위치
45: 코일제어부 46: 제1코일 제어부
47: 제2코일 제어부 50: 온도 조절부
60: 히터 70: 전기장 검출부
80: 제어부 100: 회로부
200: 전자파 차단 장치

Claims (5)

  1. 히터, 온도조절부 및 직류전원부를 포함하는 회로부와, 교류전원의 핫라인 및 접지라인에 양단이 연결되는 교류전원부를 포함하는 온도조절기의 전자파 차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회로부의 접지단과 연결되어 접지단과 상기 교류전원부의 양단을 스위칭 연결하는 릴레이를 포함하고, 제어에 따라 상기 접지단이 연결되는 상기 교류전원부의 일단을 타단으로 스위칭 연결하여 접지 위상을 토글하는 전자파 차단부;
    상기 히터 및 접지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접지단에 존재하는 전기장을 검출하는 전기장 검출부; 및
    상기 직류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여 상기 접지 검출부를 통해 접지단에 전기장이 검출되면 상기 전자파 차단부를 제어하여 접지 위상이 토글되도록 하여 상기 접지단에 존재하는 전기장을 상기 접지라인으로 바이패스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기의 전자파 차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부의 양단에 연결되어 교류전원의 양전원 및 음전원 위상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교류전원검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전기장 검출부를 통해 접지단에 전기장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하고, 접지단에 전기장이 존재하면 상기 교류전원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교류전원의 위상에 따라 전자파 차단부의 릴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접지단의 접지 위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기의 전자파 차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단부는,
    2개의 스위칭 접점 각각이 교류전원의 핫라인 및 접지라인에 연결되고 센터 접점이 회로부의 교류 입력단에 연결되고 코일에 흐르는 구동전류에 의해 상기 센터 접점에 연결되는 스위칭 접점을 스위칭하여 연결하는 제1스위치와,
    2개의 스위칭 접점 각각이 제1스위치의 스위칭 접점과 교차되도록 교류전원의 접지라인 및 핫라인에 연결되고 센터 접점이 회로부의 교류 입력단에 연결되고 코일에 흐르는 구동전류에 의해 상기 센터 접점에 연결되는 스위칭 접점을 스위칭하여 연결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릴레이;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의 코일들로 직류전원에 의한 상기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코일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기의 전자파 차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 검출부는,
    상기 히터 및 접지단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히터 및 접지단의 전기장에 따라 유도되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서 유도되는 전류를 게이트로 입력받고, 상기 직류전원을 콜렉터로 입력받으며 이미터가 접지되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에 직률 연결되는 이미터 저항; 및
    상기 이미터 저항과 병렬 연결되는 커패시터(C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기의 전자파 차단 장치.
  5. 제어부가 교류전원 교류전원검출부를 통해 교류전원이 공급되는지를 검사하는 교류전원 공급 여부 판단 과정;
    교류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면 제어부가 전기장 검출부를 통해 회로부의 접지단에 전기장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하는 전기장 존재 여부 판단 과정; 및
    접지단에 전기장이 존재하면 전자파 차단부를 제어하여 회로부와 연결되는 교류전원의 핫라인과 접지라인을 스위칭 연결하여 회로부의 접지단에 남아 있는 전기장을 접지로 바이패스시키는 전기장 제거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기의 전자파 차단 방법.
KR1020150009123A 2015-01-20 2015-01-20 전자파 차단 장치 KR101646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123A KR101646532B1 (ko) 2015-01-20 2015-01-20 전자파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123A KR101646532B1 (ko) 2015-01-20 2015-01-20 전자파 차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653A true KR20160089653A (ko) 2016-07-28
KR101646532B1 KR101646532B1 (ko) 2016-08-08

Family

ID=5668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123A KR101646532B1 (ko) 2015-01-20 2015-01-20 전자파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5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4553A1 (en) 2018-09-14 2020-03-18 Tenacta Group S.p.A. Thermal appliance with reduced electric field emiss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088Y1 (ko) * 2001-10-11 2002-01-19 길종진 전자장 차폐 전기요
KR20060118366A (ko) * 2006-09-11 2006-11-23 윤정수 전기장 검출기능을 갖는 전열매트의 전자제어식 온도제어기
KR20090027344A (ko) * 2007-09-12 2009-03-17 (주)피플스 전기매트의 전자파 차단장치
KR20100009788A (ko) * 2008-07-21 2010-01-29 박덕배 전원 접지선 자동 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088Y1 (ko) * 2001-10-11 2002-01-19 길종진 전자장 차폐 전기요
KR20060118366A (ko) * 2006-09-11 2006-11-23 윤정수 전기장 검출기능을 갖는 전열매트의 전자제어식 온도제어기
KR20090027344A (ko) * 2007-09-12 2009-03-17 (주)피플스 전기매트의 전자파 차단장치
KR101303310B1 (ko) 2007-09-12 2013-09-03 (주)피플스 전기매트의 전자파 차단장치
KR20100009788A (ko) * 2008-07-21 2010-01-29 박덕배 전원 접지선 자동 검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4553A1 (en) 2018-09-14 2020-03-18 Tenacta Group S.p.A. Thermal appliance with reduced electric field e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532B1 (ko)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2420B2 (en) Electric grill with current protection circuitry
CA2727752C (en) Spa and method of controlling spa system
CA2342768C (en) Control system for bathers with ground continuity and ground fault detection
US20150349517A1 (en) Circuit interrupter with over-temperature protection function for power cord
KR101646532B1 (ko) 전자파 차단 장치
CA2593651A1 (en) Heating device with thermostat switch
US9419533B2 (en) Voltage adapter systems for use in an appliance
US20070139844A1 (en) Power safety circuit for small appliances
KR20090048305A (ko) 무자계 발열선의 전자파 차단 온도조절기
KR200445400Y1 (ko) 침구류용 무자계 발열선의 구동 장치
KR100709095B1 (ko) 무전자파 발열선의 안전장치
KR100803511B1 (ko) 온도검출, 가열용 온도조절기 및 이에 사용되는온도조절방법
KR100769272B1 (ko) 전기장 및 자계장 차단용 발열선의 구동 장치
KR100455445B1 (ko) 전열매트에서의 자동접지 선별 조절기
WO2021213811A1 (en) A non-isolated driver for led lighting
KR101422676B1 (ko) 무전자파 전기 온열기의 제어 장치
KR100920647B1 (ko) 과열방지 온도조절 회로 및 그 방법
JP6251592B2 (ja) 電源監視機能付き制御ユニット
CA2582175C (en) Control system for bathers
KR101560118B1 (ko) 릴레이를 이용한 전열침구류 전자파 차단 온도 조절기
KR200341950Y1 (ko) 전열 침구류의 제어 장치
KR200403665Y1 (ko) 무전자파 발열선의 안전장치
KR20050022249A (ko) 전열 침구류의 제어 장치
KR200435336Y1 (ko) 감열선 방식 온도조절기
CA2588584C (en) Control system for bathers with ground continuity and ground fault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