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315A - Wheelchair Brake System - Google Patents

Wheelchair Brak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315A
KR20160089315A KR1020160090790A KR20160090790A KR20160089315A KR 20160089315 A KR20160089315 A KR 20160089315A KR 1020160090790 A KR1020160090790 A KR 1020160090790A KR 20160090790 A KR20160090790 A KR 20160090790A KR 20160089315 A KR20160089315 A KR 20160089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wheelchair
cable
occupant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7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영배
Original Assignee
유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배 filed Critical 유영배
Priority to KR1020160090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9315A/en
Publication of KR20160089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3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08Wheelchairs having brakes for gradually slowing down the wheel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1Wheelchairs having brakes of the parking brake type, e.g. holding the wheel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32Wheelchairs having brakes engaging an element of the drive or transmission, e.g. drive belt, electrodynamic bra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brake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wheelchair brake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a falling accident, which may happen when a user gets in and out of a wheelchair since the wheelchair is able to move only when a user sits in the wheelchair as the wheelchair operates in a brake locked state in normal days where the user gets out of the wheelchair and a brake is automatically released only when the user sits in the wheelchair or folds the wheelchair.

Description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Wheelchair Brake System}Wheelchair Brake System {Wheelchair Brake System}

본 발명은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휠체어에서 일어선 경우와 같이 평상시에는 브레이크 잠금 상태로 작동하고, 탑승자가 휠체어에 앉거나 휠체어를 접은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자동 해제되어 탑승자가 휠체어에 앉은 경우 또는 휠체어가 접힌 경우에만 이동이 가능하여 휠체어를 타고 내릴 때 발생할 수 있는 낙상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brak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heelchair brake system that operates normally in a brake-locked state such as when a passenger comes in a wheelchair, and the brake is automatically released only when the occupant sits on the wheelchair or folds the wheelchai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brake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a fall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when a user sits on a wheelchair or is able to move only when the wheelchair is folded.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몸이 불편한 환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 수단으로 환자가 직접 휠체어를 끌거나 보호자가 뒤에서 휠체어를 밀면서 이동하게 된다.In general, a wheelchair is a means by which a patient with an uncomfortable body can ride and move, and the patient can drag the wheelchair directly or the caregiver pushes the wheelchair from the back.

휠체어는 몸이 불편한 환자가 탑승하는 만큼 휠체어에 타고 내릴 때가 매우 위험하고 휠체어에 타고 내리는 도중 휠체어가 이동하면서 환자가 휠체어로부터 떨어져 부상을 입는 낙상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ase of a wheelchair, it is very dangerous for a patient to ride on a wheelchair as much as a patient who is uncomfortable to rid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falling safety accident occurs frequently when a wheelchair is lifted from a wheelchair while the wheelchair is mov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브레이크가 장착된 휠체어가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의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은 자전거와 같이 브레이크를 인위적으로 동작시키는 경우에만 휠체어 브레이크가 작동하기 때문에 낙상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brake has been developed. However, since the wheelchair brake operates only when a brake is artificially operated as in a bicycle, the conventional wheelchair brake system can prevent a fall safety accident There was no problem.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휠체어에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는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작동하여 정지하고, 휠체어에 탑승자가 완전하게 탑승한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이동함으로써 휠체어에서 내리거나 탑승하는 경우 휠체어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낙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heelchair which is free from a breakdown when the occupant is not in the wheelchai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heelchair brake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a fall accident caused by a movement of a wheelchair when the vehicle moves down from a wheelchair or is board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은 휠체어 바퀴에 형성된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브레이크는 평상시 잠금 상태로 있다가 탑승자가 완전히 탑승하거나 휠체어가 접혔을 경우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wheelchair br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ke formed on a wheelchair wheel and a brake operation controller connected to the brake to lock and unlock the brake, wherein the brake is normally in a locked state When the occupant is completely boarded or when the wheelchair is folded, the brake operation control unit detects the fact that the brake is switch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released state.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는 일단이 상기 브레이크와 탄성적으로 연결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이 고정 결합되고 탑승자가 탑승시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된 연결부재를 작동시켜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상기 탑승자가 일어서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를 복귀시켜 다시 브레이크를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raking operation control unit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elastically connected at one end to the brake,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brake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brake is released. And a brake switching member for returning the connecting member to switch the brake to the locked state.

상기 연결부재는 바 또는 케이블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는 비전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구성되어 자동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bar or a cable, and the brake switching member may be configured to be non-electric or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는 비전동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휠체어 시트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이 고정되어 내부에 수용되어 연결된 감지 프레임과, 상기 감지 프레임과 결합하고 탑승자가 시트에 탑승할 경우 상기 감지 프레임에 수용된 케이블을 가압하여 케이블의 장력 방향을 전환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rake switching member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heelchair seat when the brake switching member is constructed of a non-electric type. The sensing frame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cable and is received and connected to the sensing frame. And an upper plate for pressing the cable accommodated in the upper plate to switch the tension direction of the cable.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케이블 수용부를 구비하고,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수용부로부터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가, 탑승자가 탑승할 경우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상기 수용된 케이블을 가압하고, 상기 케이블이 가압되면 브레이크와 반대쪽으로 케이블에 장력이 발생하게 되어 잠겨있던 브레이크가 개방되어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upper plate is provided with a cable receiving portion and the cable is not pressed from the cable receiving portion when the passenger is not boarding, When the cable is pressurized, a tensile force is generated on the cable opposite to the brake, and the locked brake is released to release the brake.

상기 감지 프레임과 상부 플레이트는 복수 개의 유닛으로 분리 구성되고, 각 유닛에 연결된 케이블이 적어도 하나가 브레이크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는 경우에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sensing frame and the upper plate ar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units, at least one cable connected to each unit is connected to the brake, and wh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units is operated, the brake is switch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released state .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유닛만 동작해도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모든 유닛이 동작하는 경우에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세팅하여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brake operation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brake is released even if only at least one unit operates,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brake is released when all units operate.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가 전동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휠체어 시트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이 고정되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회전시켜 장력의 방향을 변환하는 전기 구동부를 구비하는 감지 프레임과, 상기 감지 프레임과 결합하고, 센서를 구비하여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하는 것을 감지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nsing frame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wheelchair seat when the brake switching member is of an electric type and having an other e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wheelchair seat and electrically driven to rotate the cabl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tension; And an upper plate coupled to the sensing frame and sensing that the occupant is aboard a wheelchair with a sensor.

여기서, 상기 센서는 압력 감지 센서, 적외선 센서, 광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sensor may be a pressure sensor, an infrared sensor, an optical sensor,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전기 구동부는 케이블의 방향을 전환하고, 케이블을 회전시키는 전동 도르래와 상기 전동 도르래를 구동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설치된 압력 감지 센서로부터 탑승자의 탑승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전동 도르래를 회전시켜 장력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제어하고, 탑승자의 하차를 감지하여 모터를 반대로 구동시켜 상기 전동 도르래를 원 위치로 회전 복귀시켜 장력이 브레이크 방향으로 작용하여 브레이크가 잠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electric drive unit includes a power sheave for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cable and rotating the cable, a motor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for driving the electric sheave, and a driv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he pressure sensing sensor detects the boarding of the occupant and drives the motor to rotate the electric sheave so that the tension act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release the brake. The controller detects the getting off of the occupant and reversely drives the motor, And the brake is locked so that the tension acts in the direction of the brake so that the brake is locked.

또한, 상기 전기 구동부는 가속도 센서 및 기울기 센서와 같은 센서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브레이크의 잠금 및 해제의 단순 스위칭 동작 뿐만 아니라, 휠체어의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거나 경사지에서 주행할 경우 안전을 위해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동작시켜 정속 주행이 가능하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electric driv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tilt sensor. In addition to the simple switching operation of locking and unlocking the brake, So that the vehicle can be driven at a constant speed.

휠체어에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는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작동하여 정지하고, 휠체어에 탑승자가 완전하게 탑승한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이동함으로써 휠체어에서 내리거나 탑승하는 경우 휠체어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낙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If the wheelchair is not occupied by a passenger, the brake is stopped and stopped. When the passenger is completely aboard the wheelchair, the brake is released and the wheelchair is lowered or boarded. An excellent effect can be obtained, which can be prevented beforehan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장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장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감지 프레임과 상부 플레이트가 4개로 분리 구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감지 프레임과 상부 플레이트가 2개로 분리 구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의 휠체어 브레이크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휠체어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7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으로 구동하는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wheel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vice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heel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chematically shows that the sensing frame and the upper plate are separated into four par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chematically shows that a sensing frame and an upper plate are separated into two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chematically shows the wheelchair braking operation of Fig. 3. Fig.
6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the wheelchair is folded.
FIG. 7 is a schematic view of a wheelchair brak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FIG.
Figure 9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n electromotive wheel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chematically shows a brak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장치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wheel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은 휠체어 바퀴에 형성된 브레이크(20) 와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브레이크는 평상시 잠금 상태로 있다가 탑승자가 완전히 탑승하거나 휠체어가 접혔을 경우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he wheelchair br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ke 20 formed on a wheel wheel and a brake operation control unit 10 connected to the brake to lock and unlock the brake, When the occupant is completely occupied or the wheelchair is folded, the brake operation control unit detects the fact that the brake is switch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released state.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10)는 일단이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된 연결부재(110)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과 결합되고 탑승자의 탑승시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된 연결부재를 작동시켜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상기 탑승자가 일어서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를 복귀시켜 다시 브레이크를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rake operation control unit 10 is engaged with the connection member 11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rake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operates the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brake at the time of boarding the passenger to release the brake, And a brake switching member 120 for returning the connecting member to switch the brake to the locked state.

즉,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120)는 상기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하면 브레이크를 해제 상태로 전환하고, 휠체어에 탑승한 탑승자가 휠체어에서 일어서거나 접혔던 휠체어가 펼쳐지면 상기 연결부재를 원 상태로 복귀시켜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That is, the brake switching member 120 switches the brake to the released state when the occupant rides on the wheelchair, and when the occupant on the wheelchair stands up or folds the wheelchair, the connecting member is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And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of switching the brake to the locked stat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110)는 케이블 또는 바로 구성될 수 있고, 탑승자가 없는 상태에는 상기 케이블이 브레이크에 장력이 제공되는 상태로 세팅되어 브레이크가 잠김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은 와이어(줄) 형태로 구성된 부재를 의미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ng member 110 may be a cable or a straight line, and in the absence of a passenger, the cable is set in a state in which tension is applied to the brake so that the brake remains locked. Here, the cable means a member formed in the shape of a wire (string).

즉, 평상시에는 상기 케이블이 브레이크를 잠기도록 장력을 제공하는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항상 브레이크가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탑승자가 탑승할 경우 자동으로 상기 케이블을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 브레이크를 해제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cable keeps the cable in a state of providing a tension so as to lock the brake, the brake is always kept in the engaged state. However, when the passenger rides, the cable is automatically pu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release the brake.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120)는 비전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brake switching member 120 may be non-electric or electromotive.

먼저, 비전동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120)는 휠체어 시트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이 고정되어 내부에 수용되어 연결된 감지 프레임과 상기 감지 프레임과 결합하고 탑승자가 시트에 탑승할 경우 상기 감지 프레임에 수용된 케이블을 가압하여 케이블의 장력 방향을 전환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rst, in the case of non-electric type, the brake switching member 120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chair seat, and the other end of the cable is fixed and connected to the sensing frame and the sensing frame, And a top plate for pressing the cable accommodated in the sensing frame to switch the tension direction of the cabl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케이블 수용부를 구비하고,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수용부로부터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가, 탑승자가 탑승할 경우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상기 수용된 케이블을 가압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upper plate includes a cable receiv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occupant is not boarding the cable, the cable is not pressed from the cable receiving portion. When the occupant is on board, The cable receiving portion presses the accommodated cable.

상기와 같이 케이블이 가압되면 브레이크와 반대쪽으로 케이블에 장력이 발생하게 되어 잠겨있던 브레이크가 개방되어 브레이크가 해제되게 된다.When the cable is pressurized as described above, tension is generated in the cable opposite to the brake, so that the locked brake is released and the brake is released.

따라서,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항상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한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작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occupant is not boarded, the brake is kept locked and the brake is released only when the occupant is on the wheelchair.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장치 구성도이다.2 is a device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heel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110)은 케이블이 아닌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은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20)와 연결되고, 복수 개의 관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the connecting member 110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rather than a cable, and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brake operation control unit 2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joints .

상기 동작 제어부(20)는 휠체어 시트 하부에 플레이트 형태로 탄성결합되어, 탑승자가 탑승할 경우 하부로 탄성 변위가 발생하고, 탑승자가 하차하면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is resilient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chair seat in the form of a plate. When the occupant is aboard, elastic displacement is generated. When the occupant gets off the chair, the restoration force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바퀴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중심 축을 가지고 상기 중심 축이 바퀴의 브레이크와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has a central axis coinciding with a center axis of the wheel, and the central axis can be connected to the brake of the wheel by a cable.

이에 따라,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초기 장력을 제공하여 브레이크가 잠김 상태로 있다가,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하면 상기 동작 제어부(20)가 하부로 탄성 변위되고, 상기 탄성 변위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연결부재가 변위가 발생하여 브레이크와 연결된 케이브를 초기 장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시켜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변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occupant is not boarded, the brake is locked by providing the initial tension, and when the occupant rides on the wheelchair,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is resiliently displaced downward, and by the elastic displacement, The connecting member is displaced to cause the cave connected with the brake to act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itial tension, and the brake is chang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released stat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감지 프레임과 상부 플레이트가 복수 개로 분리 구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ensing frame and a top plat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ensing fram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상부 플레이트가 4개로 분리 구성된 경우이지만, 도 4와 같이 2개로 분리 구성될 수 있으며, 설계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분리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upper plate is divided into four, but it can be divided into two as shown in FIG. 4, and it is obvious that the upper plate can be divided into various numbers according to the design.

도 3을 참조하면, 감지 프레임은 4개의 유닛으로 구획되고, 각 유닛 내부에는 도드래 어샘블리가 형성되고, 상기 도르래 어샘블리를 통해 연결부재인 케이블이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3, the sensing frame is divided into four units, and a dormer array is formed in each unit, and a cable, which is a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hrough the pulley assembly.

상기 도르래 어셈블리는 브레이크 잠금 해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메인 도르래와 브레이크 잠금 해제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고 케이블의 방향을 전환하여 연결시키는 서브 도르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ulley assembly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sub-sheave that switches the direction of the cable without directly affecting the main pulley and brake unlocking, which directly affects the brake unlocking.

상기 메인 도르래는 4개의 유닛 각각에 2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메인 도르래는 케이블이 감긴 상태에서 하나의 도르래는 케이블이 적어도 1회전 감긴 상태로 케이블이 서브 도르래를 통해 브레이크와 연결된다.The main pulley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air of two main pulley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state where the main pulley is wound with the cable wound, the cable is wound on the sub- It is connected to the brake.

여기서, 케이블 역시 구획된 유닛 수와 동일하게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유닛 당 하나의 케이블이 체결되고, 4개 중 2개의 케이블이 하나의 쌍으로 2개의 브레이크에 각각 연결된다.
Here, the cable may also be composed of four units, which ar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divided units. One cable is connected to each unit, and two of four cables are connected to two brakes in one pair.

*본 실시예는 제 1 유닛에 체결된 제 1 케이블과 제 4 유닛에 체결된 제 4 케이블이 하나의 쌍으로 제 1 브레이크에 연결되고, 제 2 유닛에 체결된 제 2 케이블과 제 3 유닛에 체결된 제 3 케이블이 하나의 쌍으로 제 2 브레이크에 연결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able fastened to the first unit and the fourth cable fastened to the fourth unit are connected to the first brake in one pair, and the second cable fastened to the second unit and the third cable fastened to the third unit The fastened third cables are connected to the second brake in one pair.

상기 4개의 케이블이 시작되는 단에는 나사 조절부가 형성되어 각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e beginning of the four cables, a screw adjusting part may be formed to adjust the tension of each cable.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는 4개로 분리 구성된다. 각 상부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하부에 케이블 수용부와 상기 감지 프레임과 체결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the upper plate is divided into four pieces. Each of the upper plates may include a cable receiving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plate and a coupling member to be coupled to the detection frame.

상기 결합부재는 탑승자의 탑승 여부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가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 체결되기 위해 탄성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감지 프레임과 체결될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may be formed of an elastic spring so as to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so that the upper plate can be moved upward or downward depending on whether a passenger is present or not, and may be fastened to the sensing frame.

그리고 상기 케이블 수용부는 플레이트 하부로 돌출된 돌출바와 상기 돌출바에 형성된 케이블 수용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able receiving portion may include a protruding bar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plate and a cabl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protruding bar.

상기 케이블 수용홈은 한 쌍의 메인 도르래에 김겨진 케이블을 수용해야 하므로 도 2와 같이 2개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cable receiving grooves are required to accommodate cables routed to the pair of main sheaves, two cable receiving grooves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가 4개로 분리 구성되고, 한 쌍의 브레이크가 각각 2개의 케이블과 연결되고, 케이블과 연결된 브레이크 장력을 조절하여 4개의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이 가압되면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late is divided into four, the pair of brake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wo cables, and when the at least one unit of the four units is pressed by adjusting the brake tension connected to the cable, the brake is released .

예를 들어, 케이블 장력 조절을 통해 한쌍의 브레이크에 연결된 각각 하나의 유닛이 가압되는 경우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4개의 유닛이 모두 가압되는 경우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brake to be released when each unit connected to the pair of brakes is pressed by adjusting the cable tension, and to release the brake when all four units are pressurized.

도 5는 도 3의 휠체어 브레이크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5 schematically shows the wheelchair braking operation of Fig. 3. Fig.

도 5를 참조하면, 탑승자가 탑승하고 있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케이블의 장력이 브레이크에 작용하는 상태로 유지되어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Referring to FIG. 5,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a passenger is not boarding, the tension of the cable is maintained in a state of acting on the brake, so that the brake maintains the locked state.

여기서, 케이블은 일단이 브레이크와 결합되고, 타단은 감지 프레임의 케이블 조절부와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 조절부는 조절 나사로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면서, 고정단 역할을 담당하고, 케이블의 일단인 브레이크 결합 단은 탄성 단으로 외력에 의해 장력의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도록 동작할 수 있다.Here, the cable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brake and at the other end to the cable control portion of the sensing frame. The cable adjusting un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cable with the adjusting screw and serves as a fixed stage and the brake coupling end which is one end of the cable can be operated as an elastic stage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tension is reversed by an external force .

만일,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하는 경우 감지 프레임과 탄성 결합된 상부 플레이트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케이블 수용부의 수용홈에 수용된 케이블이 하부로 가압된다.If the occupant is aboard a wheelchair, the upper plate elastically coupled with the detection frame moves downward, and the cable hous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cable receiving portion is pressed downward.

상기와 같이 케이블이 하부로 가압되면 가압되는 변위 만큼 메인 도르래가 회전하게 되고, 타단은 고정단이므로 탄성단인 브레이크 결합단으로부터 잡아당기는 장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브레이크 방향으로 작용하던 장력의 방향이 반대로 바뀌면서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When the cable is pressed downward as described above, the main sheave rotates by a displacement to be pressed, and the other end is a fixed end, so that a tensile force is generated from the brake coupling end, which is an elastic en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tension acting in the brake direction Conversely, the brake switches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released state.

여기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4개의 유닛으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하나의 브레이크는 2개의 유닛과 연결된 2개의 케이블과 연결된 상태이므로 4개의 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가압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에 작용하던 장력의 방향이 바뀌어 브레이크가 해제되기 때문에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에서만 브레이크가 해제된다.In this case, since the upper plate is divided into four units, and one brake is connected to two cables connected to the two units, when at least one of the four units is pressed, the direction of the tension acting on the brake Since the brake is released, the brake is released only when the occupant is on board.

상기 4개의 유닛 중 몇 개의 유닛이 가압되는 경우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구성할 것인지는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여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Whether the brake is released when several units out of the four units are pressed can be freely determined b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cable.

도 6은 휠체어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6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the wheelchair is folded.

도 6을 참조하면, 휠체어가 접힐 경우 굽힘에 의해 케이블을 잡아 당기는 장력이 발생하며, 타단은 고정단이므로 탄성단인 브레이크 결합단으로부터 잡아당기는 장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브레이크 방향으로 작용하던 장력의 방향이 반대로 바뀌면서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Referring to FIG. 6, when the wheelchair is folded, a tensile force is generated by pulling the cable by bending, and the other end is a fixed end, so that a tensile force is generated from the brake coupling end which is an elastic end. The direction is reversed and the brake is switch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released stat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7의 상세 구성도이다.FIG. 7 is a schematic view of a wheelchair brak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FIG.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은 브레이크를 차단 바로 구성할 수 있으며,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차단 바가 바퀴 살 사이를 통과하여 바퀴 살에 걸리기 때문에 휠체어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wheelchair br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lock the brake. In a state in which the occupant is not occupied, the blocking bar passes between the wheels, .

그리고 탑승자가 탑승하는 경우 상기 차단 바가 내부로 탄성 이동되어 바퀴 내부로 이동하므로 잠금이 해제된 상태로 전환된다.When the passenger is boarded, the blocking bar is elastically moved to the inside and moves to the inside of the wheel, so that the lock is released.

여기서,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는 휠체어 시트 하부에 형성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기계적 변위로 변환하는 기어 박스와 상기 기어 박스 후단에 형성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박스를 통해 변환된 변위만큼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어 차단 바가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Here, the brake operation control unit includes a leaf spring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 chair seat, a gear box for conver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 into mechanical displacement, and an elastic member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gear box, The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to move the blocking bar to the inside.

그리고 탑승자가 하차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에서 작용한 탄성력이 제거되어 복원력에 의해 상기 기어 어셈블리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기계적 변위를 발생시키고, 상기 압축되었던 탄성부재가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 차단 바가 바퀴 살을 통과하여 잠금 상태로 전환된다.In addition, when the occupant gets off, the elastic force acting on the leaf spring is removed to generate a mechanical displacement in which the gear assembly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restoring force. When the compressed elastic member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And is switched to the locked state.

이하,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가 전동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brake switching member is constructed of an electric type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으로 구동하는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9 is a schematic view of an electromotive wheel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는 휠체어 시트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이 고정되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회전시켜 장력의 방향을 변환하는 전기 구동부를 구비하는 감지 프레임과 상기 감지 프레임과 결합하고, 압력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하는 것을 감지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9, the brake switch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a wheelchair seat, and the other end of the cable is fixed and accommodated therein, and an electric driver for rotating the cabl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tension And a top plate coupled to the sensing frame and the sensing frame to sense the occupant's ride on the wheelchair with the pressure sensor.

상기 전기 구동부는 케이블의 방향을 전환하고, 케이블을 회전시키는 전동 도르래와 상기 전동 도르래를 구동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ic drive unit may include an electric sheave for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cable, rotating the cable, a motor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for driving the electric sheave, and a driv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상기 구동 제어기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설치된 압력 감지 센서로부터 탑승자의 탑승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전동 도르래를 장력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drive controller senses the occupant's boarding from a pressure sensor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and controls the motor to rotate the electric sheav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ension.

이를 통해, 브레이크 방향으로 작용하던 장력이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구체적인 브레이크 잠금 및 해제 원리는 기계식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a result, the tension acting in the brake direction is op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brake is switch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released state. The concrete brake lock / unlock principle is the same as that of the mechanical brak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어서, 탑승자가 하차하여 압력 감지 센서의 센싱 값이 변하는 경우 상기 구동 제어기는 전동 도르래를 원 위치로 복귀 회전시키고 이를 통해 장력의 방향이 다시 브레이크 방향으로 변환되어 브레이크가 해제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환된다.Then, when the occupant gets off and the sensed value of the pressure sensor changes, the drive controller returns the electric sheave to the original position, thereby turning the direction of the tension back into the brake direction and changing the brake from the released state to the locked state .

여기서, 탑승자가 완전히 탑승하거나 완전히 하차한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해제 및 잠금되도록 기계식과 동일하게 감지 프레임과 상부 플레이트를 복수 개의 유닛으로 분리구성할 수 있다.Here, the sensing frame and the upper plat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s in the same manner as the mechanical type so that the brake is released and locked only when the occupant is completely or completely off.

또한, 상기 전기 구동부는 가속도 센서 및 기울기 센서와 같은 센서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ic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tilt sensor.

이를 통해, 브레이크의 잠금 및 해제의 단순 스위칭 동작 뿐만 아니라, 휠체어의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거나 경사지에서 주행할 경우 안전을 위해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It is thereby possible to configure not only the simple switching operation of locking and unlocking the brakes but also the automatic operation of the brakes for safety when the speed of the wheelchair is too fast or when driving on a slope.

즉, 속도가 빠른 경우나 내리막길인 경우 센서 유닛을 통해 감지되면 브레이크를 완전히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브레이크가 일부만 동작하게 함으로써 제동력을 제공하여 속도를 줄여 안전하게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the speed is high or downhill, if the sensor unit detects the brake, the braking force is provided by operating only a part of the brake, so that the brake can be controlled to run safely.

또한,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휠체어의 속도를 측정하고 설정된 속도(예를 들어, 시속 5~10km 범위에서 설정)를 초과할 경우 전동 도르래를 구동시켜 브레이크를 동작시킨다.Further, when the speed of the wheelchair is further measured by includ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speed exceeds a set speed (for example, set within a range of 5 to 10 km per hour), the electric sheave is driven to operate the brake.

여기서, 초과된 속도에 따라 걸려야하는 브레이크 잠금 정도를 조절하여 전동 도르래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안전한 주행을 보장할 수 있다.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nsure safe running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electric sheave by adjusting the degree of the brake lock which must be taken in accordance with the exceeded speed.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0 schematically shows a brak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는 (a)와 같이 브레이크 패드 작용식, (b)와 같이 유모차에 주로 적용되는 캘리퍼 작용식, (c)와 같이 자전거에 주로 적용되는 림브레이크식, (d)와 같이 밴드 브레이크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동식의 경우 브레이크 잠금 정도의 조절이 용이한 밴드 브레이크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ak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brakes as shown in (a), (b) as calipers, (b) And a brake type. In the case of an electric type, it is preferable to constitute a band brake type which can easily adjust the degree of brake lock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 브레이크 20 :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10: Brake 20: Brake operation control part

Claims (3)

휠체어 바퀴에 형성된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는
일단이 상기 브레이크와 탄성적으로 연결된 케이블로 형성된 연결부재와;
휠체어 시트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이 고정되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회전시켜 장력의 방향을 변환하는 전기 구동부를 구비하는 감지 프레임과; 상기 감지 프레임과 결합하고, 센서를 구비하여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하는 것을 감지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이 고정 결합되고 탑승자의 탑승시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된 연결부재를 작동시켜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상기 탑승자가 일어서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를 복귀시켜 다시 브레이크를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전동식으로 구성된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A brake formed on the wheel wheel;
And a brake operation controller coupled to the brake to lock and unlock the brake,
The brake operation control unit
A connecting member formed at one end thereof with a cable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brake;
A sensing fram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heelchair seat and having an electric driver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cable and accommodated therein and electrically rotating the cabl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tensio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including the upper plate coupled with the sensing frame and sensing an occupant's ride on the wheelchair is equipped with a sensor,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brake is operated when the passenger is carried, And when the occupant stands up,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of returning the connecting member to switch the brake to the locked state again. [Claim 7] The wheelchair brak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구동부는
케이블의 방향을 전환하고, 케이블을 회전시키는 전동 도르래와 상기 전동 도르래를 구동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설치된 압력 감지 센서로부터 탑승자의 탑승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전동 도르래를 회전시켜 장력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제어하고, 탑승자의 하차를 감지하여 모터를 반대로 구동시켜 상기 전동 도르래를 원 위치로 회전 복귀시켜 장력이 브레이크 방향으로 작용하여 브레이크가 잠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ic driver
A motor for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cable, for rotating the cable, a motor for providing rotational force for driving the electric sheave, and a driv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 pressure sensing sensor provided on the upper plate senses the occupant's ride and drives the motor to rotate the electric sheave so that the tension act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release the brake, So that the brake is locked when the tension is applied in the brake direction so that the brake is lock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구동부는
가속도 센서 및 기울기 센서와 같은 센서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브레이크의 잠금 및 해제의 단순 스위칭 동작 뿐만 아니라, 휠체어의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거나 경사지에서 주행할 경우 안전을 위해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ic driver
Further comprising a sensor unit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tilt sensor;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brake for safety not only in the simple switching operation of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brake but also in the case where the speed of the wheelchair is excessively high or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KR1020160090790A 2016-07-18 2016-07-18 Wheelchair Brake System KR201600893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790A KR20160089315A (en) 2016-07-18 2016-07-18 Wheelchair Brak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790A KR20160089315A (en) 2016-07-18 2016-07-18 Wheelchair Brake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755A Division KR101650023B1 (en) 2014-11-20 2014-11-20 Wheelchair Break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315A true KR20160089315A (en) 2016-07-27

Family

ID=56617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790A KR20160089315A (en) 2016-07-18 2016-07-18 Wheelchair Brak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931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129A (en) * 2021-05-17 2022-11-2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afe wheelchair for safe driving and its driv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129A (en) * 2021-05-17 2022-11-2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afe wheelchair for safe driving and its driv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045587A (en) Wheelchair braking system
US7434664B2 (en) Elevator brake system method and control
KR102372784B1 (en) Mobile device holding system with winch mechanism
US4998939A (en) Hospital bed with guard rail actuated safety apparatus
CN105916791B (en) Elevator equipped with safety device configuration
KR101681088B1 (en) Wheelchair Brake System
US20060076748A1 (en) Wheelchair with damping mechanism
KR101727703B1 (en) Baby Carriage Brake System
US5558181A (en) Elevator
EP1117582B1 (en) A device at an operating handle for parking brakes
KR101650023B1 (en) Wheelchair Break System
JP5850754B2 (en) Speed governor and elevator device equipped with the speed governor
KR20190023367A (en) Wheelchair Brake System
KR20160089315A (en) Wheelchair Brake System
US20120326486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cking and unlocking a vehicle seat belt
CN209889032U (en) Self-balancing scooter
WO2006113153A2 (en) Relative speed and position detection for plural elevator cars in same hoistway
KR101841879B1 (en) Smart stroller
GB2304769A (en) Traffic calming device
KR102344670B1 (en) An electric wheelchair that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fastening of a protective device
KR102673442B1 (en) Smart walker
KR100638176B1 (en) wheel-chair lift of having electronic stopper for protect passenger drop
CN110844723A (en) Active braking for immediate stop
CN213441921U (en) Case and bag wheel structure of swift current after preventing
CN219412293U (en) Lifting safety do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