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314A - 제어된 드라이버 배향을 갖는 앵커 - Google Patents

제어된 드라이버 배향을 갖는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314A
KR20160088314A KR1020167013396A KR20167013396A KR20160088314A KR 20160088314 A KR20160088314 A KR 20160088314A KR 1020167013396 A KR1020167013396 A KR 1020167013396A KR 20167013396 A KR20167013396 A KR 20167013396A KR 20160088314 A KR20160088314 A KR 20160088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distal end
screw
bore
run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브 마크 보우맨
주니어 알프레드 알 베루베
버나드 조셉 보르크
웨이 양
마크 에드윈 하우스만
존 스트론체크
Original Assignee
스미스 앤드 네퓨,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085,295 external-priority patent/US9579188B2/en
Application filed by 스미스 앤드 네퓨, 인크. filed Critical 스미스 앤드 네퓨, 인크.
Publication of KR20160088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4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hollow, e.g. with socket or cannul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45Headless screws, e.g. ligament interference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9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characterised by an open form, e.g. wire heli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75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 A61B17/8877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 driver bit
    • A61B17/888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 driver bit the driver bit acting on the central region of the screw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75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 A61B17/8886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holding the screw head
    • A61B17/8888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holding the screw head at its central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9Instruments for apply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1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having a suture-receiving opening, e.g. lateral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with a threaded shaft, e.g.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with a threaded shaft, e.g. screws
    • A61B2017/044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with a threaded shaft, e.g. screws the shaft being a rigid coil or spir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45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cannulated, e.g. with a longitudinal through-hole for passage of an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46Means for attaching and blocking the suture in the suture anchor
    • A61B2017/0458Longitudinal through hole, e.g. suture blocked by a distal suture k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61F2002/0817Structure of the anchor
    • A61F2002/0841Longitudinal channel for insertion tool running through the whole tendon anchor, e.g. for accommodating bone drill, guide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61F2002/0847Mode of fixation of anchor to tendon or ligament
    • A61F2002/0858Fixation of tendon or ligament between anchor and bone, e.g. interference screws, w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61F2002/0876Position of anchor in respect to the bone
    • A61F2002/0882Anchor in or on top of a bone tunnel, i.e. a hole running through the entire bone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 몸체를 갖는 간섭 나사에 관한 것이다. 나사는 뼈 안으로 나사를 고정하기 위한 스레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나사는 몸체에 의해 형성되는 관통 보어를 추가로 포함한다. 관통 보어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근위 및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표면을 갖는다. 나사는 관통 보어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어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뼈 안으로 나사를 설치하기 위해, 외과의는 제어 부재에 결합되는 드라이버로 나사를 회전시킨다. 드라이버는 드라이버가 제어 부재에 대하여 구동 배향에 있을 때에만 제어 부재에 결합된다. 유리하게, 이 "일방향" 결합으로 외과의는 드라이버 및/또는 나사를 보지 않고 드라이버의 배향을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어된 드라이버 배향을 갖는 앵커{ANCHOR HAVING A CONTROLLED DRIVER ORIENTATION}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의료 장치 및 절차, 및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대를 재건하기 위한 의료 장치 및 절차에 관한 것이다.
많은 경우에, 인대는 사고의 결과로서 찢어지거나 파열된다. 따라서, 이러한 손상된 인대를 치료하거나 대체하기 위해 다양한 절차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인간 무릎에서, 전방 및 후방 십자 인대(즉, "ACL" 및 "PCL")는 경골의 상단부와 대퇴골의 저단부와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종종, 전방 십자 인대(즉, ACL)는 예를 들어 스포츠 관련 부상의 결과로서 파열되거나 찢어진다. 결과적으로, 무릎에 실질적으로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시키도록 ACL을 재건하기 위해 다양한 수술 절차가 개발되었다.
많은 경우에, ACL은 파열된 ACL을 이식 인대로 대체함으로써 재건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절차에서, 뼈 터널이 경골의 상부와 대퇴골의 저부의 양쪽 모두에 일반적으로 형성되고, 이식 인대의 한 단부가 대퇴골 터널에 위치설정되고 이식 인대의 다른 단부가 경골 터널에 위치설정되며, 이식 인대의 중간부는 대퇴골의 저부와 경골의 상부와의 사이의 거리에 걸쳐있다. 이식 인대의 2개의 단부는, 이식 인대가 대퇴골의 저단부와 경골의 상단부와의 사이에서 원래의 ACL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연장되도록,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다양한 방식으로 그들의 각각의 뼈 터널에 고정된다. 이 이식 인대는 그 후 무릎에 실질적으로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시키도록 주위 해부 구조와 협력한다.
일부 상황에서, 이식 인대는 환자의 신체의 다른 곳으로부터 채취되는 인대 또는 건(tendon), 예를 들어 뼈 블록이 부착되거나 부착되지 않은 상태의 슬개건, 반건양건 및/또는 박근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식 인대의 2개의 단부를 대퇴골 및 경골 터널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이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대퇴골 고정, 경골 고정, 또는 이 양쪽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한가지 잘 알려진 절차에서, 이식 인대의 단부는 뼈 터널에 배치되고, 그 후 이식 인대는 일반적으로 본 기술분야에서 "간섭" 나사로서 알려진 무두 정형외과 나사(headless orthopedic screw)를 사용하여 제자리에 고정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접근법에서는, 이식 인대의 단부가 뼈 터널에 배치되고 그 후 간섭 나사가 뼈 터널 안으로 전진되어, 간섭 나사가 뼈 터널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동시에 뼈 터널의 측벽 및 이식 인대의 양쪽 모두에 결합된다. 이러한 배치에서, 간섭 나사는 본질적으로 이식 인대를 측방으로 움직이게 하여 뼈 터널의 반대측 벽에 결합시키며, 이에 의해 이식 인대를 이른바 "억지 끼워맞춤"으로 호스트 뼈(host bone)에 고정시킨다. 그 후, 시간(예를 들어, 수개월)에 걸쳐, 이식 인대 및 호스트 뼈는 그들의 접촉 지점에서 함께 성장하여 인대와 뼈와의 사이에 강한 자연적인 결합을 제공한다.
간섭 나사는 많은 용례, 예컨대 ACL 재건 수술 및 이두근 건고정술에서 이식 인대를 뼈 터널에 고정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러나, 간섭 나사 자체는 일반적으로 뼈 터널 내에서 상당한 양의 공간을 차지하며, 이는 이식 인대와 뼈 터널의 측벽과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표면적 접촉을 제한할 수 있다. 이는 결국 뼈 대 인대 내부성장(bone-to-ligament in-growth)의 영역을 제한할 수 있고, 따라서 결합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전형적인 간섭 나사는 약 50%의 잠재적인 뼈 대 인대 통합 영역을 막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런 이유로, 간섭 나사가 시간에 걸쳐 최종적으로 사라지고 뼈 대 인대 내부성장이 뼈 터널의 전체 둘레에 대해 일어날 수 있도록, 흡수가능 재료로부터 제작되는 간섭 나사를 제공하기 위한 상당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생체적합성, 생흡수성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PLA), 폴리글리콜산(PGA) 등으로부터 만들어지는 다양한 흡수가능 간섭 나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간섭 나사를 제자리로 전진시키고, 그 후 뼈 대 인대 내부성장이 일어나는 동안(영구적으로 제자리에 남아 있지는 않음) 이식 인대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상당한 기계적인 강도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생체적합성, 생흡수성 중합체로부터 만들어지는 간섭 나사는 임상적으로 성공적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흡수가능 간섭 나사는 여전히 몇몇 단점을 갖고 있다. 첫번째로, 임상적인 증거는, 상기 생흡수성 중합체가 잘 정돈된 조직 매트릭스가 아닌 섬유 덩어리(fibrous mass)로 대체된다는 점에서, 뼈 대 인대 내부성장의 질이 자연적인 뼈 대 인대 내부성장과 다소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 두번째로, 임상적인 증거는, 흡수가 일반적으로 상당한 기간, 예를 들어 대략 3년 정도 걸린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러한 흡수 시간 동안, 뼈 대 인대 내부성장은 간섭 나사의 존재에 의해 여전히 상당히 제한된다. 세번째로, 임상적인 증거는, 많은 환자에 대해 흡수가 결코 완전하지 않아서 신체 내에 상당한 이물질을 남긴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문제는, 흡수가능 간섭 나사들이 그들에게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상당히 커지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에 의해 다소 악화되는데, 예를 들어 간섭 나사는 8 내지 12mm의 직경(즉, 외경) 및 20 내지 25mm의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i) 뼈 대 인대 내부성장이 일어나는 동안 이식 인대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강도를 가지며, (ii) 우수한 뼈 대 인대 내부성장을 촉진하는 새롭고 향상된 간섭 고정 시스템이 필요하다.
한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간섭 나사에 관한 것이다. 나사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 몸체를 포함한다. 나사는 몸체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개방형 나선형 형태로 연장되는 스레드(threads)를 추가로 포함한다. 나사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몸체의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몸체에 의해 형성되는 관통 보어를 추가로 포함한다. 관통 보어는 이로부터 제어 부재가 형성되는 표면을 갖는다. 제어 부재는 드라이버가 제어 부재에 대하여 구동 배향에 있을 때 드라이버에 의해 결합된다. 제어 부재는 드라이버가 구동 배향과는 상이한 배향에 있을 때 드라이버에 의해 결합되지 않는다.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뼈 안으로 간섭 나사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뼈 안으로 삽입된 간섭 나사의 몸체로부터 드라이버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몸체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다. 몸체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관통 보어를 형성한다. 관통 보어는 표면을 갖는다. 방법은 관통 보어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어 부재와 드라이버를 결합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어 부재는 드라이버가 제어 부재에 대하여 구동 배향에 있을 때 드라이버에 의해 결합된다. 제어 부재는 드라이버가 구동 배향과 상이한 배향에 있을 때 드라이버에 의해 결합되지 않는다. 방법은 제어 부재와 드라이버의 결합에 기초하여 나사의 몸체에서 드라이버의 배향을 확인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뼈 안으로 간섭 나사를 설치하기 위한 다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뼈 안으로 삽입된 나사의 몸체에 의해 형성된 관통 보어 안으로 드라이버를 초기에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관통 보어는 몸체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몸체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관통 보어는 표면을 갖는다. 방법은 드라이버가 관통 보어의 표면에 의해 형성된 제어 부재에 결합될 때까지 몸체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드라이버를 관통 보어 내에서 회전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결합은 제어 부재에 대하여 드라이버의 구동 배향을 확인시킨다. 방법은 구동 배향에서 드라이버로 뼈 안으로 추가로 나사를 움직이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적용 영역은 이후에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특정 예 및 상세한 설명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명세서에 통합되며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의 도면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기재된 설명과 함께 본 개시내용의 원리, 특징 및 특성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전달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전달 장치의 샤프트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도 2의 샤프트의 원위 단부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샤프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샤프트의 원위 단부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2의 샤프트와 함께 사용되는 나사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나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나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샤프트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샤프트의 내측 부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a는 도 9의 내측 부재의 원위 단부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의 샤프트의 내측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9의 내측 부재의 원위 단부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8의 샤프트의 외측 부재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의 외측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 및 도 15는 상이한 위치에서의 외측 부재와 함께 도 8의 샤프트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샤프트와 함께 사용되는 나사 및 본 개시내용의 샤프트의 제3 실시형태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16의 샤프트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6의 나사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도 16의 나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도 19의 나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샤프트와 함께 사용되는 나사 및 본 개시내용의 샤프트의 제4 실시형태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도 21의 나사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도 21의 샤프트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샤프트와 함께 사용되는 대안적인 나사 및 도 21의 샤프트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도 24의 나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6은 도 24의 나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전체 길이가 드라이버에 의해 지지되는 간섭 나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전체 길이가 드라이버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간섭 나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9는 구조적으로 파손된 간섭 나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0a-30c는 뼈 안으로 추가로 삽입된 제어 부재를 갖는 간섭 나사의 예를 도시한다.
도 31은 제어 부재를 갖는 간섭 나사의 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2는 제어 부재를 갖는 간섭 나사의 예의 단부도를 도시한다.
도 33a는 간섭 나사에 대하여 구동 배향에서의 드라이버의 단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3b는 도 33a의 구동 배향과는 상이한 배향에서의 드라이버의 단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4a 및 도 34b는 제어 부재의 예를 도시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은 사실상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 그 용례 또는 사용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전달 장치(10)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장치(10)는 손잡이 조립체(11) 및 손잡이 조립체(11)에 연결되는 샤프트(12)를 포함한다. 손잡이 조립체(11)는 손잡이(11a) 및 손잡이(11a)에 연결되는 커넥터(11b)를 포함한다. 커넥터(11b)는 채널(11b') 및 채널(11b')에 대한 개구부(11b'')를 갖는다. 개구부(11b'')는 "D"의 형상이다. 샤프트(12)의 근위 단부(12a)는 채널(11b') 내에 배치된다.
도 2, 도 2a 및 도 3 내지 도 4는 샤프트(12)를 도시한다. 샤프트(12)는 근위 단부(12a) 및 원위 단부(12b)를 포함한다. 근위 단부(12a)는 개구부(11b'')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D"의 형상이다. 원위 단부(12b)는 스레드(12c), 홈(12d), 및 깊이 정지부(12e)를 포함한다. 홈(12d)은 샤프트(12)의 일부 길이에 연장되고 스레드(12c)와 교차한다. 깊이 정지부(12e)는, 장치(10)에 의해 인대 재건 수술 동안 뼈 터널 안으로 이식되는 나사의 깊이 정지부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전달 장치(1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나사(20)를 도시한다. 나사(20)는 근위 단부(21) 및 원위 단부(22)를 포함한다. 나사(20)의 대부분은, 개방형 나선형 코일 형태의 나사 스레드(23), 즉 코일의 턴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24)를 갖는 상태로 실질적으로 근위 단부(21)로부터 원위 단부(22)까지 나선 또는 소용돌이 형태로 연장되는 연속하는 규칙적으로 이격된 턴의 연결된 연속물을 포함한다. 즉, 간섭 나사(20)는 내부 용적을 형성하는 개방형 나선형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내부 용적은 개방형 나선형 코일의 턴 사이의 공간을 통해 개방형 나선형 코일의 외부 영역과 소통한다. 원위 단부(22)는 또한 나사(20)의 일부 길이에 연장되는 깊이 정지부(25)를 포함한다. 깊이 정지부(25)는 근위 단부(25a) 및 원위 단부(25b)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복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러너(26)가 나사 스레드(23)의 내부를 따라 연장된다.
샤프트(12)의 원위 단부(12b)는, 깊이 정지부(25)의 근위 단부(25a)가 샤프트(12)의 깊이 정지부(12e)에 결합될 때까지 개구부(27)를 통해 나사(20)의 내부에 배치된다. 나사(20) 안으로의 샤프트(12)의 삽입 동안, 러너(26)는 홈(12d)에 결합되며 홈(12d) 내에 수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2)의 원위 단부(12b)는 또한 해시 마크(hash mark)(12f)를 포함하고, 상기 해시 마크의 각각은 번호(12g)와 연계된다. 나사(20)가 샤프트(12)에 배치되면, 나사(20)의 근위 단부(21)는 해시 마크/번호(12f) 중 하나와 정렬되고, 이에 의해 나사(20)의 길이를 나타낸다.
도 8, 도 9 내지 도 9a, 및 도 10 내지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대안적인 샤프트(30)를 도시한다. 샤프트(30)는 내측 부재(31) 및 내측 부재(31) 위에 배치되는 외측 부재(32)를 포함한다. 내측 부재(31)의 근위 단부(31a)는 샤프트(12)의 근위 단부(12a)와 형상이 유사하다. 내측 부재(31)의 원위 단부(31b)는 스레드(31c)를 포함한다. 홈(31d)은 부재(31)를 따라 연장되고 스레드(31c)와 교차한다. 부가적으로, 스레드(31e)는 부재(31)의 근위 단부(31a)와 원위 단부(31b)와의 사이에 위치된다. 외측 부재(32)는 제1 구간(32a) 및 제2 구간(32b)을 포함한다. 제1 구간(32a)은 제2 구간(32b)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제1 구간(32a)은 또한 외측 부재(32)의 내측 벽(32d)에 스레드(32c)를 포함한다.
일단 외측 부재(32)가 내측 부재(31) 위에 배치되면, 스레드(32c)는 내측 부재(31)에 대해 외측 부재(32)를 이동시키도록 스레드(31e)에 결합된다. 내측 부재(31)에 대해 외측 부재(32)를 이동시키면 내측 부재(31)의 원위 단부(31b)의 더 많은 부분 또는 더 적은 부분이 보여지게 될 수 있다. 샤프트(12)의 원위 단부(12b)와 마찬가지로, 내측 부재(31)의 원위 단부(31b)는 제2 구간(32b)의 단부(32b')와 정렬되는 해시 마크/번호(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내측 부재(31)의 원위 단부(31b)에 배치되는 나사(40)의 길이를 나타낸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부재(32)는 상이한 길이의 나사(40)가 내측 부재(31)의 원위 단부(31b)에 위치될 수 있도록 내측 부재(31)의 길이를 따르는 상이한 위치에 위치된다.
손잡이 조립체(11)와 유사한 손잡이 조립체가 내측 부재(31)의 근위 단부(31a)에 연결된다. 나사(20)와 마찬가지로, 나사(40)는 근위 단부(41) 및 원위 단부(42)를 포함한다. 나사(40)는 나사 스레드(43)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길이방향 연장 러너(45) 및 내부를 갖는 개방형 나선형 코일 형태의 나사 스레드(43)를 포함한다. 나사(40)는 미국특허출원공보 제20080154314호에 더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개시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통합된다. 일단 외측 부재(32)가 나사 길이를 나타내도록 이동되면, 나사(40)는 원위 단부(31b)에 탑재되고, 따라서 나사(40)의 근위 단부(41)는 단부(32b')에 결합되고, 러너(45)는 홈(31d)에 결합되며 홈(31d) 내에 수용된다.
도 16 내지 도 20은 본 개시내용의 나사(60) 및 샤프트(50)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샤프트(50)는, 근위 단부(51a) 및 원위 단부(51b)를 포함하는 제1 부분(51), 및 제1 영역(52a) 및 제2 영역(52b)을 포함하는 제2 부분(52)을 포함한다. 근위 단부(51a)는 손잡이 조립체(11)와 유사한 손잡이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다른 손잡이 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영역(52a)은 제1 부분(51)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고, 따라서 제1 깊이 정지부(51b')는 제1 부분(51)의 원위 단부(51b)에 존재한다. 제2 영역(52b)은 제1 영역(52a)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고, 따라서 제2 깊이 정지부(52c)는 제1 영역(52a)과 제2 영역(52b)과의 사이에 존재한다. 제2 영역(52b)의 단부(52b')는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인대 재건 수술 동안 뼈 안으로의 앵커(60)의 더 용이한 삽입이 가능해지도록 테이퍼링된다. 제2 부분(52)은 또한 제1 영역(52a)과 제2 영역(52b)과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홈(53)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3개의 홈(53)이 있다. 그러나, 제2 부분(52)은 더 높거나 더 낮은 수의 홈(5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나사(20)와 유사하게, 나사(60)는 근위 단부(61) 및 원위 단부(62)를 포함한다. 나사(60)의 대부분은, 개방형 나선형 코일 형태의 나사 스레드(63), 즉 코일의 턴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64)를 갖는 상태로 실질적으로 근위 단부(61)로부터 원위 단부(62)까지 형성되는 나선 또는 소용돌이 형태로 연장되는 연속하는 규칙적으로 이격된 턴의 연결된 연속물을 포함한다. 즉, 간섭 나사(60)는 내부 용적을 형성하는 개방형 나선형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 용적은 개방형 나선형 코일의 턴 사이의 공간을 통해 개방형 나선형 코일 외부의 영역과 소통한다. 원위 단부(62)는 또한 나사(60)의 일부 길이에 연장되는 깊이 정지부(65)를 포함한다. 깊이 정지부(65)는 근위 단부(65a) 및 원위 단부(65b)를 포함한다. 도 5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나사(20)의 개방형 깊이 정지부(25)와 달리, 나사(60)의 깊이 정지부(65)는 폐쇄형 깊이 정지부이며 도 18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복수의 길이방향 연장 러너(66)가 나사 스레드(63)의 내부를 따라 연장된다.
샤프트(50)의 제2 부분(52)은, 깊이 정지부(65)의 근위 단부(65a)가 샤프트(50)의 제2 깊이 정지부(52c)에 결합될 때까지, 개구부(67)를 통해 나사(60)의 내부에 배치된다. 나사(60) 안으로의 샤프트(50)의 삽입 동안, 러너(66)는 홈(53)에 결합되고 홈(53) 내에 수용된다. 나사(60)는 다양한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60)는, 그 근위 단부(61)가 제1 깊이 정지부(51b')에 결합되는 길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대 재건 수술 동안, 이식 인대의 단부는 뼈 터널에 배치되고 그 후 간섭 나사(20, 40, 60)는 샤프트(12, 30, 50)의 사용을 통해 뼈 터널 안으로 전진되어, 간섭 나사(20, 40, 60)가 뼈 터널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동시에 뼈 터널의 측벽 및 이식 인대의 양쪽 모두에 결합된다. 나사(20, 40, 60)는 대퇴골 또는 경골 터널 중 어느 쪽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나사(20, 40, 60)의 사용을 통한 인대 재건의 방법은 위에 나타낸 '314 공보에 더 나타나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개시내용의 나사(100) 및 전달 장치(200)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나사(100)는 근위 단부(101) 및 원위 단부(102)를 포함한다. 나사(100)의 대부분은, 개방형 나선형 코일 형태의 나사 스레드(103), 즉 코일의 턴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104)를 갖는 상태로 실질적으로 근위 단부(101)로부터 원위 단부(102)까지 나선 또는 소용돌이 형태로 연장되는 연속하는 규칙적으로 이격된 턴의 연결된 연속물을 포함한다. 즉, 간섭 나사(100)는 내부 용적을 형성하는 개방형 나선형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 용적은 개방형 나선형 코일의 턴 사이의 공간을 통해 개방형 나선형 코일의 외부 영역과 소통한다. 원위 단부(102)는 또한 나사(100)의 일부 길이에 연장되는 봉합사 브리지(105)를 포함한다. 봉합사 브리지(105)는 근위 단부(105a) 및 원위 단부(105b)를 포함한다. 원위 단부(105b)는 오목한 형상을 포함한다. 봉합사와 같은 가요성 부재(110)가 나사(100) 내에 수용되어, 봉합사(110)는 브리지(105)의 원위 단부(105b) 주위에 연장된다. 추가적으로, 길이방향 연장 러너(106)는 봉합사 브리지(105)로부터 그리고 나사 스레드(103)의 내부를 따라 연장된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2개의 길이방향 연장 러너(106)가 있다. 그러나, 2개보다 더 많거나 적은 러너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전달 장치(200)는 장치(200)의 각각의 측에 슬롯(202) 및 슬롯(202)으로부터 연장되는 홈(203)을 갖는 원위 단부(201)를 포함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100)는, 봉합사 브리지(105)가 슬롯(202) 내에 수용되고 러너(106)가 홈(203) 내에 수용되도록 원위 단부(201)에 위치된다. 전달 장치(200)는, 나사(100)가 장치(200)에 위치될 때 봉합사 단부(110a, 110b)가 캐뉼레이션(cannulation)(204)을 통해 연장되도록, 캐뉼레이팅(cannulated)된다.
도 24 내지 도 26은 나사(100)와 유사한 나사(300)를 도시한다. 그러나, 나사(300)는 추가적으로 원위 단부(302)에 위치되는 뾰족한 팁(311)을 포함한다. 팁(311)은 관통 구멍(312)을 포함한다. 구멍(312)은 나사(300)의 내부 내에 봉합사(110)를 위치시키는 것을 돕는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300)는, 봉합사 브리지(305)가 슬롯(202) 내에 수용되고 러너(306)가 홈(203) 내에 수용되도록 전달 장치(200)의 원위 단부(201)에 위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달 장치(200)는 캐뉼레이팅되어, 나사(300)가 장치(200)에 위치될 때, 봉합사 단부(110a, 110b)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뉼레이션(204)을 통해 연장된다.
명확화를 위해, 장치(200)의 원위 단부(201)만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장치(200)는, 상기 장치와 마찬가지로, 상기 손잡이 조립체(11)와 유사한 손잡이 조립체에 연결될 수 있는 근위 단부를 포함할 것이다. 나사(100, 300)는 연조직의 복구에, 구체적으로는 뼈에 조직을 재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 복구의 일례는, 나사(100, 300)가 장치(200)의 사용을 통해 뼈 안으로 전달되면, 장치(200)가 나사(100, 300)로부터 제거되고, 조직이 나사(100, 300)에 인접하도록 뼈에 배치되고, 봉합사 단부(110a, 110b)가 조직을 통해 당겨지며, 그 후 봉합사 단부(110a, 110b)가 묶이는 것이다. 뼈 안으로의 나사(100, 300)의 삽입 전에 뼈에 구멍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나사(300)는 뼈에 구멍을 먼저 만들지 않고 뼈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뾰족한 팁(311)이 뼈 안으로의 나사(300)의 삽입을 시작하기 위해 사용되고, 그 후 회전 운동이 뼈 안으로의 나사(300)의 삽입을 완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 및 전달 장치의 사용을 통한 조직 복구의 다른 방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손잡이 조립체(11)의 손잡이(11a)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지만, 다른 비금속 및 금속 재료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손잡이(11a)의 형상 및 크기는 뼈 안으로의 나사(2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돕는데 필요한 임의의 형상 및 크기일 수 있다. 커플러(11b)는, 스테인리스강 또는 티타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 만들어지지만, 수술 동안 가해지는 힘을 견디기에 충분히 강한 다른 금속 및 비금속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커플러(11b)는, 손잡이(11a)에 프레스 끼워맞춤되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손잡이(11a)에 연결될 수 있다. 커플러(11b)의 크기 및 형상은 뼈 안으로의 나사(2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돕는데 필요한 임의의 크기 및 형상일 수 있다. 채널(11b')은 커플러(11b)에의 샤프트(12)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길이일 수 있고, 개구부(11b'')는 커플러(11b)에의 샤프트(12)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샤프트(12)는 스테인리스강 및 티타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 만들어지지만, 수술 동안 가해지는 힘을 견디는 다른 금속 및 비금속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샤프트(12)의 직경은 변할 수 있다. 샤프트(12)의 근위 단부(12a)는 개구부(11b'')를 통한 그리고 채널(11b') 안으로의 단부(12a)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스레드(12c) 및 홈(12d)의 수는 변할 수 있고, 홈(12d)의 길이 또한 변할 수 있다. 깊이 정지부(12e)의 위치는 또한 사용되는 나사(20)의 직경 및 샤프트(12)의 직경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 홈(12d), 깊이 정지부(12e), 및 스레드(12c)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나사(20)는 몰딩 방법을 통해 중합체 재료로부터 만들어진다. 그러나, 나사(20)가 수술 동안 가해지는 힘을 견딜 수 있게 하는 다른 재료, 및 다른 제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깊이 정지부(25)는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고 나사(20)의 전체 내경에 연장되지 않는다. 깊이 정지부(25)가 덮는 나사 내경의 양은 변할 수 있고, 깊이 정지부(25)의 길이는 나사의 직경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 러너(26)의 수 및 길이 또한 변할 수 있다. 일단 나사(20)가 샤프트(12)에 위치되면, 샤프트(12)의 원위 단부(12b)는 나사(20)의 원위 단부(22)로부터 연장된다. '314 공보에 더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뼈 안으로의 나사(20)의 삽입 동안, 스레드(12c)는 뼈에 스레드를 형성시켜, 나사 스레드(23)를 위한 시트를 형성시킨다. 나사(20)의 원위 단부(22)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12)의 원위 단부(12b)의 양은 변할 수 있다.
외측 부재(32)의 제1 및 제2 구간(32a, 32b)의 직경은 변할 수 있고 스레드(32c)의 수 또한 변할 수 있다. 스레드(31c, 31e) 및 홈(31d)의 수는 변할 수 있고 홈(31d)의 길이 또한 변할 수 있다. 내측 및 외측 부재(31, 32)는 스테인리스강 및 티타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부터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방법을 통해 만들어진다. 그러나, 다른 재료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나사(40)는 몰딩 방법을 통해 중합체 재료로부터 만들어진다. 그러나, 다른 재료 및 제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러너(45)의 수 및 길이 또한 변할 수 있다. 일단 나사(40)가 샤프트(30)에 위치되면, 샤프트(30)의 원위 단부(31b)는 나사(40)의 원위 단부(42)로부터 연장된다. '314 공보에 더 상세하게 기재된 바와 같이, 뼈 안으로의 나사(40)의 삽입 동안, 스레드(31c)는 뼈에 스레드를 형성시켜, 나사 스레드(43)를 위한 시트를 형성시킨다. 나사(40)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30)의 원위 단부(31b)의 양은 변할 수 있다.
샤프트(50)는, 스테인리스강 또는 티타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부터 만들어지지만, 수술 동안 샤프트(50)에 가해지는 힘을 견디기에 충분히 강한 다른 금속 재료 또는 비금속 재료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샤프트(5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방법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분(51, 52)의 직경은 홈(53)의 수 및 길이에 따라 변할 수 있고, 깊이 정지부(52c, 51b')의 위치는 나사(60)의 직경 또는 다른 인자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 단부(52b')는, 테이퍼링되지 않고, 뼈 안으로의 나사(60)의 보다 용이한 삽입을 허용하는 다른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나사(60)는 몰딩 방법을 통해 중합체 재료로부터 만들어진다. 그러나, 나사가 수술 동안 가해지는 힘을 견딜 수 있게 하는 다른 재료, 및 다른 제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러너(66)의 수 및 길이 또한 변할 수 있다. 일단 나사(60)가 샤프트(50)에 위치되면, 샤프트(50)의 제2 부분(52)은 나사(60)의 원위 단부(62)로부터 연장된다. 나사(60)로부터 연장되는 제2 부분(52)의 양은 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깊이 정지부(65)의 길이 또한 나사(60)의 직경 또는 다른 인자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
전달 장치(200)는, 스테인리스강 또는 티타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 만들어지지만, 수술 동안 장치(200)에 가해지는 힘을 견디기에 충분히 강한 비금속 재료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전달 장치(20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방법을 통해 만들어진다. 나사(100, 300)는, 중합체 재료로부터 그리고 몰딩 공정을 통해 만들어지지만, 나사가 수술 동안 가해지는 힘을 견딜 수 있게 하는 다른 재료, 및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른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봉합사 브리지(105)는 오목부 이외의 형상을 갖는 원위 단부(105b)를 가질 수 있으며, 봉합사 브리지(105), 슬롯(202), 및 홈(203)의 길이는 변할 수 있다. 구멍(312)의 크기 및 형상은 변할 수 있다.
적절히 뼈 안으로 나사를 삽입하기 위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간섭 나사 설계의 경우, 드라이버로 나사의 전체 길이(또는 이의 상당한 부분)를 지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은 나사가 골전도성 재료와 같은 약하고/거나 취성인 재료로부터 만들어질 때 특히 크다. 이는 나사가 나사의 굽힘(비틀림) 강도를 감소시키는 창호 또는 개구부를 가질 때 또한 일반적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지지되지 않을 때 뼈 안으로 나사를 삽입하는 것은, 도 2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가 파손되게 할 수 있다. 일부 나사 설계의 경우, 나사에 대한 드라이버의 배향은 나사가 완전히 지지되는지 안되는지를 결정한다. 따라서, 이러한 설계에서, 나사에 대하여 드라이버의 배향을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외과의가 나사 및/또는 드라이버를 보고 나사에 대한 드라이버의 배향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거나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가 뼈에 부분적으로 설치될 때 외과의의 시야가 막힐 수 있다. 따라서, 안보이는 상태에서 나사에 대한 드라이버의 배향을 확인하는 것이 추가로 필요하다.
도 30a-c는 외과의가 뼈(401) 안으로 제어 부재와 함께 나사(400)의 한 예를 움직이는 것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400)는 뼈(401)의 표면에 돌출되어 배치된다. 나사(400) 안으로 드라이버(450)를 삽입함으로써, 뼈 표면과 높이가 일치하게 배치되도록 외과의는 추가로 뼈(401) 안으로 나사(400)를 움직인다. 그 후 외과의는 드라이버가 나사(400)의 제어 부재에 결합될 때까지 나사(400) 내에서 드라이버(450)를 회전시킨다. 제어 부재와 드라이버(450)의 결합은 드라이버(450)가 적절한 "구동" 배향에 있는 것을 확인시키고 외과의에게 나사(400)가 드라이버(450)에 의해 완전히 지지된다는 신뢰를 제공한다. 그 후 외과의는 나사(400)가 파괴될 걱정 없이 뼈(401) 안으로 나사(400)를 움직일 수 있다.
도 31은 몸체(405)를 갖는 나사(400)의 한 예를 도시한다. 몸체(405)는 근위 단부(410), 원위 단부(415), 및 근위 및 원위 단부(410, 415)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420)을 포함한다. 몸체(405)는 생흡수성, 비-생흡수성, 골전도성 또는 복합재 재료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비-생흡수성 재료의 예는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PEEK), 티타늄, 및 외과적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한다. 나사(400)는 몸체(405)의 근위 단부(410)와 원위 단부(415) 사이에서 연장되는 개방형 나선형 형태로 연장되는 스레드(425)를 추가로 포함한다. 나사(400)의 일부 예에서, 스레드(425)는 도 5-7을 참조로 하여 전술된 스레드(63)와 유사하다.
도 32는 관통 보어(430)를 형성하는 몸체(405)를 도시한다. 관통 보어(430)는 길이방향 축(420)을 따라 몸체의 근위 및 원위 단부(410, 415) 사이에서 연장된다. 관통 보어(430)는 표면(435)을 갖는다. 나사(400)는 관통 보어 표면(435)에 의해 형성된 제어 부재(440)를 포함한다. 드라이버(450)는 드라이버(450)가 나사(400)에 대하여 구동 배향에 있을 때 제어 부재(440)에 결합된다. 드라이버(450)는 드라이버(450)가 구동 배향과는 상이한 배향에 있을 때 제어 부재(440)에 결합되지 않는다.
도 32에 도시된 제어 부재(440)의 한 예는 길이방향 축(420)을 따라 몸체(405)의 근위 및 원위 단부(410, 415)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러너(445)를 포함한다. 3개의 러너(445a, 445b, 445c)가 도시되지만 다른 다수의 러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2개 및 4개). 복수의 러너(445)는 관통 보어(430)의 원주 주위에 균등하게 이격된다. 각각의 러너(445a, 445b, 445c) 사이의 거리(d)는 동일하다 (예를 들어 각각의 러너의 중심선으로부터 중심선까지 측정된 거리(d)). 러너(445a, 445b, 445c)는 (도면의 페이지의 밖으로 나오는) 길이방향 축(420)에 대해 방사상 방식으로 배열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각의 러너(445a, 445b, 445c)의 위치는 각각, 0° (12시 방향), 120° (4시 방향), 및 240° (8시 방향)에 있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복수의 러너 중 하나는 다른 러너와는 상이한 형상 및/또는 크기이다. 제어 부재(440)의 편리한 예는 직사각형에 기초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한 러너(445a) 및 반원형에 기초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다른 러너(445b, 445c)를 포함한다. 다른 단면 형상도 가능하다. 제어 부재(440)의 다른 예에서, 하나 이상의 러너(445a, 445b, 445c)의 치수(들), 예를 들어 폭 및/또는 높이는 나사(400)의 전체 크기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제1 앵커는 제2 앵커보다 크기가 더 크다. 제1 앵커에서, 러너의 높이는 제2 앵커와 연계되는 러너의 높이보다 더 높다.
드라이버(450)의 단면을 내려다보는 시점인, 도 33a-33b를 이제 참조로 한다. 뼈(401) 안으로 나사(400)를 회전시키기 위해 외과의에 의해 사용되는 드라이버(450)는 홈(455)을 포함한다. 홈(455)은 복수의 러너(445)의 반대인 기하형상을 갖는다. 드라이버(450)가 도 33a에 도시된 구동 배향에 있을 때, 대응하는 드라이버 홈(455)은 복수의 러너(445)를 수용하고, 따라서, 외과의가 드라이버(450)를 사용하여 나사(400)를 회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450)가 구동 배향에 있지 않을 때, 대응하는 드라이버 홈(455)은 (은선으로 도면에 나타나는) 복수의 러너(445)를 수용하지 않고 외과의는 드라이버(450)를 사용하여 나사(400)를 회전시킬 수 없다. 도 33b에 도시된 예에서, 드라이버 홈(455)이 복수의 러너(445)를 수용하기 위해, 드라이버는 10시 방향으로부터 9시 방향으로, (그려진 화살표의 방향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배열은 외과의가 드라이버(450) 및/또는 나사(400)를 보지 않고 드라이버(450)의 배향을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즉 절차가 안보이는 상태에서 행해질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한 "일방향" 결합을 제공한다. 외과의가 나사(400) 안으로 드라이버(450)를 삽입하고 자유롭게 (즉, 저항없이) 회전시킬 수 있거나 나사(400) 안으로 드라이버(450)를 전혀 삽입할 수 없다면, 그 후 외과의는 드라이버(450)가 구동 배향에 있지 않는 것을 안다. 이 때 외과의는 드라이버가 나사(400)의 제어 부재(440)에 결합될 때까지 드라이버(4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 부재(440)에의 결합은 나사(400)가 뼈 안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고 결과적으로, 외과의가 더 강하게 드라이버(450)를 회전시켜야 한다. 이 때문에, 유리하게 나사(400)의 일부 예는 외과의가 적절한 드라이버 배향을 찾을 수 있는 촉각 피드백을 제공한다.
도 34a는 길이방향 축(420)을 따라 몸체(405)의 근위 및 원위 단부(410, 415)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러너(445')를 포함하는 제어 부재(440)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복수의 러너(445')는 관통 보어(430)의 원주 주위에 비균등 이격된다. 각각의 러너(445') 사이의 거리(d, d', d'')는 상이하다 (거리(d, d', d'')는 예를 들어 각각의 러너의 중심선으로부터 중심선까지 측정됨). 방사상 배열의 관점에서 기재하면, 러너(445')의 위치는 위치를 분리하는 각도 수가 동일하지 않도록 한다.
도 34b는 길이방향 축(420)을 따라 몸체(405)의 근위 및 원위 단부(410, 415)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러너(445'')를 포함하는 제어 부재(445)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복수의 러너(445'')는 관통 보어(430)의 원주 주위에 균등하게 이격된다. 예시 제어 부재(440)는 인접한 쌍의 러너(445a'' 및 445b'') 사이에서 이격배치된 탭(460)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어 부재(440)의 다른 예는 인접한 쌍의 러너 사이에서 이격배치된 탭과 함께 관통 보어의 원주 주위에 비균등 이격된 복수의 러너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탭(460)은 나사(400)의 길이의 일부에 연장되고 러너와는 상이하다. 나사(400)의 일방향 또는 "키(keyed)" 특징이 상기 예시 배열을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른 배열도 가능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나사(400)의 다른 예는 도 5를 참조로 하여 상기 기재된 개방형 깊이 정지부(25) 및 도 18을 참조로 하여 상기 기재된 폐쇄형 깊이 정지부(65)와 같은 깊이 정지부를 포함한다. 깊이 정지부는 드라이버의 원위 단부가 몸체의 원위 단부를 지나 연장되도록 드라이버(450)의 깊이 정지부에 결합된다. 나사(400)의 또 다른 예에서, 몸체(405)의 근위 단부(410)는 드라이버의 원위 단부 상의 해시 마크와 정렬되고 해시 마크와 연계된 숫자로 나사(400)의 몸체(405)의 길이를 식별한다.
뼈(401) 안으로 나사(400)를 설치하기 위한 예시 절차에서, 외과의는 뼈(401) 안으로 부분적으로 삽입된 나사(400)의 몸체(405)로부터 드라이버(450)를 제거할 수 있다. 외과의는 나사(400)의 몸체(405) 안으로 드라이버(450)를 재삽입하고 제어 부재(440)에 결합시킨다. 외과의는 드라이버(450)와 제어 부재(440)의 결합에 기초하여 드라이버(450)의 배향을 확인한다. 제어 부재(440)에의 결합은 외과의에게 드라이버(450)가 구동 배향에 있다는 것을 알린다. 결합의 결여는 외과의에게 드라이버(450)가 구동 배향과는 상이한 배향에 있다는 것을 알린다. 드라이버(450)가 제어 부재(440)에 결합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외과의가 드라이버(450)를 회전시키나 나사(400)가 회전하지 않음), 외과의는 드라이버(450)가 제어 부재(440)에 결합될 때까지 (예를 들어, 외과의가 드라이버를 회전시키고 나사도 회전함) 관통 보어(430) 내에서 드라이버(450)를 회전시킨다.
예시 절차에서, 외과의가 나사 안으로 드라이버(450)를 제거하고 재삽입할 때마다, 외과의는 제어 부재(440)를 사용하여 드라이버(450)의 배향을 제어하고 확인한다. 뼈(401) 안으로 나사(400)를 완벽하게 설치하기 위해 절차 동안 외과의가 드라이버(450)를 여러번 제거하고 재삽입해야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유리하다.
나사(400)의 일부 예는 상기-기재된 드라이버(450)를 포함하는 나사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예시적 시스템에서, 나사(400)는 아마도 드라이버(450)의 원위 단부에 "사전탑재"되고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설명에 포함되며 첨부의 도면에 도시되는 모든 문제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설명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넓이 및 범위는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어느 것에 의해서도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본원에 첨부된 이하의 청구항 및 그 동등물에 따라서만 규정되어야 한다.

Claims (25)

  1. 간섭 나사로서: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 몸체와;
    몸체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개방형 나선형 형태로 연장되는 스레드와;
    길이방향 축을 따라 몸체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몸체에 의해 형성되는 관통 보어이며, 표면을 갖는 관통 보어와;
    관통 보어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어 부재이며, 드라이버가 제어 부재에 대하여 구동 배향에 있을 때 드라이버에 의해 결합되고 드라이버가 구동 배향과는 상이한 배향에 있을 때 드라이버에 의해 결합되지 않는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간섭 나사.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 부재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몸체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러너를 포함하고, 복수의 러너는 관통 보어의 원주 주위에 균등하게 이격되고 복수의 러너 중 하나는 다른 러너와 상이한 형상 및/또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간섭 나사.
  3. 제2항에 있어서, 한 러너는 직사각형에 기초한 단면 형상을 갖고 다른 러너는 반원에 기초한 단면 형상을 갖는 간섭 나사.
  4. 제1항에 있어서, 제어 부재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몸체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러너를 포함하고, 복수의 러너는 관통 보어의 원주 주위에 비균등 이격되는 간섭 나사.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러너 중 하나는 직사각형에 기초한 단면 형상을 갖고 다른 러너는 반원에 기초한 단면 형상을 갖는 간섭 나사.
  6. 제1항에 있어서, 제어 부재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몸체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러너로서, 관통 보어의 원주 주위에 균등하게 이격되는 복수의 러너와;
    인접한 쌍의 러너 사이에서 이격배치되는 탭을 포함하는
    간섭 나사.
  7. 제1항에 있어서, 제어 부재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몸체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러너로서, 관통 보어의 원주 주위에 비균등 이격되는 복수의 러너와;
    인접한 쌍의 러너 사이에서 이격배치되는 탭을 포함하는
    간섭 나사.
  8. 제1항에 있어서, 몸체는 생흡수성, 비-생흡수성, 골전도성 또는 복합재 재료로 이루어지는 간섭 나사.
  9. 제8항에 있어서, 비-생흡수성 재료는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PEEK), 티타늄, 및 외과적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지는 간섭 나사.
  10. 제1항에 있어서, 몸체는 비-생흡수성 재료로부터 만들어지고 스레드는 생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간섭 나사.
  11. 제1항에 있어서, 관통 보어는 내부성장 코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간섭 나사.
  12. 제11항에 있어서, 내부성장 코어는 뼈 내부성장을 증진시키기 위해 뼈 성장 인자로 도핑되는 간섭 나사.
  13. 제1항에 있어서, 몸체의 일부 길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깊이 정지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깊이 정지부는 드라이버의 원위 단부가 몸체의 원위 단부를 지나 연장되도록 드라이버의 깊이 정지부에 결합되는 간섭 나사.
  14. 제13항에 있어서, 깊이 정지부는 몸체의 원위 단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개방형 깊이 정지부인 간섭 나사.
  15. 제13항에 있어서, 깊이 정지부는 몸체의 원위 단부를 둘러싸는 폐쇄형 깊이 정지부인 간섭 나사.
  16. 제1항에 있어서, 몸체의 근위 단부는 드라이버의 원위 단부 상의 해시 마크와 정렬되고 해시 마크와 연계된 숫자는 간섭 나사의 몸체의 길이를 나타내는 간섭 나사.
  17. 방법으로서:
    뼈 안으로 삽입된 간섭 나사의 몸체로부터 드라이버를 제거하는 단계이며, 몸체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갖고, 몸체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관통 보어를 형성하고, 관통 보어는 표면을 갖는, 단계와;
    관통 보어의 표면에 의해 형성된 제어 부재를 드라이버에 결합시키는 단계이며, 제어 부재는 드라이버가 제어 부재에 대하여 구동 배향에 있을 때 드라이버에 의해 결합되고 드라이버가 구동 배향과는 상이한 배향에 있을 때 드라이버에 의해 결합되지 않는, 단계와;
    드라이버와 제어 부재의 결합에 기초하여 간섭 나사의 몸체 내의 드라이버의 배향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드라이버가 제어 부재에 결합될 때까지, 몸체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제어 부재에 대하여 관통 보어 내에서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드라이버의 원위 단부가 몸체의 원위 단부를 지나 연장되도록, 드라이버의 깊이 정지부가 몸체의 일부 길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깊이 정지부에 결합될 때까지 관통 보어 안으로 드라이버를 삽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제어 부재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몸체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러너를 포함하고, 복수의 러너는 관통 보어의 원주 주위에 균등하게 이격되고, 복수의 러너 중 하나는 다른 러너와는 상이한 형상 및/또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제어 부재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복수의 러너는 관통 보어의 원주 주위에 비균등 이격되는 방법.
  22. 방법으로서:
    뼈 안으로 삽입되는 간섭 나사에 의해 형성되는 관통 보어 안으로 드라이버를 초기에 삽입하는 단계이며, 관통 보어는 몸체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몸체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관통 보어는 표면을 갖는, 단계와;
    드라이버가 관통 보어의 표면에 의해 형성된 제어 부재에 결합될 때까지, 몸체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관통 보어 내에서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는 단계이며, 결합은 제어 부재에 대한 드라이버의 구동 배향을 확인시키는, 단계와;
    구동 배향에서 드라이버로 추가로 뼈 안으로 간섭 나사를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드라이버의 원위 단부가 몸체의 원위 단부를 지나 연장되도록, 드라이버의 깊이 정지부가 몸체의 일부 길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깊이 정지부에 결합될 때까지 추가로 관통 보어 안으로 드라이버를 삽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제어 부재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몸체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러너를 포함하고, 복수의 러너는 관통 보어의 원주 주위에 균등하게 이격되고, 복수의 러너 중 하나는 다른 러너와는 상이한 형상 및/또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제어 부재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몸체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러너를 포함하고, 복수의 러너는 관통 보어의 원주 주위에 비균등 이격되는 방법.
KR1020167013396A 2013-11-20 2014-11-19 제어된 드라이버 배향을 갖는 앵커 KR201600883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85,295 2013-11-20
US14/085,295 US9579188B2 (en) 2010-03-10 2013-11-20 Anchor having a controlled driver orientation
PCT/US2014/066389 WO2015077327A1 (en) 2013-11-20 2014-11-19 Anchor having a controlled driver orien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314A true KR20160088314A (ko) 2016-07-25

Family

ID=5201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396A KR20160088314A (ko) 2013-11-20 2014-11-19 제어된 드라이버 배향을 갖는 앵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3071146A1 (ko)
JP (1) JP2016537120A (ko)
KR (1) KR20160088314A (ko)
CN (1) CN105916469A (ko)
AU (1) AU2014353044A1 (ko)
MX (1) MX2016006587A (ko)
RU (1) RU2016124173A (ko)
WO (1) WO201507732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484B1 (ko) * 2016-11-29 2018-05-31 전북대학교병원 스크류 홀딩 드라이버
KR20200080624A (ko) * 2018-12-27 2020-07-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천공기 일체형 봉합사 앵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07899A1 (en) * 2016-02-16 2017-08-23 Argotech Srl Artificial cruciate ligament comprising bushings and device used for placing said bushings in position
FR3063005B1 (fr) * 2017-02-22 2021-11-12 Novastep Vis pour osteosynthese comportant un indexage angulaire par rapport au tournevis
CN112971885B (zh) * 2017-12-30 2022-01-04 深圳市立心科学有限公司 骨科用的挤压钉及其装配具
WO2019197913A1 (en) 2018-04-12 2019-10-17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Multi-stage compressor unit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s
WO2022093706A1 (en) * 2020-10-26 2022-05-05 Smith & Nephew, Inc. Tissue repair systems and methods of assembly
FR3119308B1 (fr) * 2021-02-01 2023-04-07 Novastep Vis pour ostéosynthèse comportant un indexage angulaire par rapport au tournevis et à compatibilité universelle
CN113349909B (zh) * 2021-05-07 2022-10-21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分离式螺钉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89846B2 (en) * 1994-03-29 1998-04-09 Zimmer Gmbh Screw made of biodegradable material for bone surgery purposes, and screwdriver suitable therefor
US6319270B1 (en) * 1996-08-05 2001-11-20 Arthrex, Inc. Headed bioabsorbable tissue anchor
US8034090B2 (en) * 2004-11-09 2011-10-11 Biomet Sports Medicine, Llc Tissue fixation device
EP2799033B1 (en) * 2005-12-22 2019-07-31 Hugh S. West Jr. Bone anchors having thread design optimized for fixation in cortical and cancellous bone tissues
US8894661B2 (en) * 2007-08-16 2014-11-25 Smith & Nephew, Inc. Helicoil interference fixation system for attaching a graft ligament to a bone
US20080154314A1 (en) * 2006-08-16 2008-06-26 Mcdevitt Dennis M Composite interference screw for attaching a graft ligament to a bone, and other apparatus for making attachments to bone
AU2011224326B2 (en) * 2010-03-10 2016-01-14 Smith & Nephew, Inc. Composite interference screws and drive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484B1 (ko) * 2016-11-29 2018-05-31 전북대학교병원 스크류 홀딩 드라이버
KR20200080624A (ko) * 2018-12-27 2020-07-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천공기 일체형 봉합사 앵커 장치
CN113271869A (zh) * 2018-12-27 2021-08-17 高丽大学校产学协力团 穿孔机一体式缝合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6124173A (ru) 2017-12-25
JP2016537120A (ja) 2016-12-01
WO2015077327A1 (en) 2015-05-28
AU2014353044A1 (en) 2016-06-02
EP3071146A1 (en) 2016-09-28
CN105916469A (zh) 2016-08-31
MX2016006587A (es)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820B2 (en) Composite interference screws and drivers
EP2544625B1 (en) Composite interference screws and drivers
US9579188B2 (en) Anchor having a controlled driver orientation
KR20160088314A (ko) 제어된 드라이버 배향을 갖는 앵커
US11337793B2 (en) Composite interference screws and drivers
US8968374B2 (en) Self-tapping biocompatible interference bone screw
EP0913131A2 (en) Intra-articular tendon sling fixation screw
EP2964149B1 (en) Composite interference screws and drivers
EP1332729A1 (en) Device for femoral fixation of the anterior or posterior cruciate neoligament for arthroscopic reconstruction of the cruciate ligament
EP3512437A1 (en) Orthopaedic bone anchor and suspension device
WO2009132341A1 (en) Fixation device and method for soft tissue grafts
WO2014053800A1 (en) Method for conducting a meniscal repair and an apparatus for conduc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