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590A - Apparatus for provid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in user terminal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vid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in user termin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590A
KR20160087590A KR1020150006751A KR20150006751A KR20160087590A KR 20160087590 A KR20160087590 A KR 20160087590A KR 1020150006751 A KR1020150006751 A KR 1020150006751A KR 20150006751 A KR20150006751 A KR 20150006751A KR 20160087590 A KR20160087590 A KR 20160087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nt
user
contents
informa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7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강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06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7590A/en
Publication of KR2016008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59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stant messaging service in a user terminal, which includes: a storage unit which stores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instant cont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stant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upper level instant content; and a control unit which structuralizes lower level instant content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upper instant content by using the stor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stant content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the upper instant content is selected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key operations needed in an instant content selection process can be reduced.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에서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APPARATUS FOR PROVID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IN USER TERMINALS}[0001] APPARATUS FOR PROVIDING INSTANT MESSAGEING SERVICE IN USER TERMINALS [0002]

본 발명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에서 이모티콘, 동적 이모티콘, 플래시콘(Flashcon) 등의 인스턴트 컨텐츠 표시를 지원하기 위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ant messaging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stant messag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or supporting instant content display such as emoticons, dynamic emoticons, and Flashcon in a user terminal.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는 사용자들끼리 실시간으로 메시지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기술로서, 최근에는 PC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의 모바일 환경에서도 그 사용이 보편화 되고 있다.The instant messaging service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users to send and receive messages and data in real time. In recent years, the instant messaging service has become popular not only in PCs but also in mobile environment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이러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는 텍스트 위주의 메시지 전달을 지원할 뿐 아니라 인스턴트 컨텐츠의 전달을 지원하며, 여기서 인스턴트 컨텐츠는 그래픽 이미지 기반의 이모티콘, 플래시콘, 스티커, 아바타 등으로서, 사용자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인 수단이다.Such an instant messaging service not only supports text-oriented message delivery but also supports the delivery of instant content, wherein the instant content is an effective means of expressing a user's emotions as emoticons, flashcards, stickers, avatars based on graphic images .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인스턴트 컨텐츠들의 썸네일 이미지를 나열식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인스턴트 컨텐츠를 선택 받는 종래 기술이 개발된 바 있다.Accordingly, a conventional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user displays a thumbnail image of instant contents in a list form and selects an instant content desired by the user.

그러나, 사용자의 인지를 위해서 특정 크기 이상의 썸네일 이미지가 필요하고, 모바일 단말 내 디스플레이 크기의 한계로 인해 한 번에 나열 가능한 인스턴트 컨텐츠들의 수는 유한 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인스턴트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해서 여러 번의 터치 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However, in order to recognize the user, a thumbnail image of a specific size or more is require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display size in the mobile terminal, the number of instant contents that can be listed at one time is finite. Therefore, There is a hassle to go through the proces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최종 인스턴트 컨텐츠가 선택될 때까지 인스턴트 컨텐츠들의 연관성에 따라 이들을 구조화시켜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stant messaging service for structuring the instant contents according to the association of instant contents until the final instant contents are selected by the user and displaying the instant contents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o.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는 복수개의 인스턴트 컨텐츠들, 상기 인스턴트 컨텐츠들에 대한 연관 정보 및 상위 인스턴트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상위 인스턴트 컨텐츠들 중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인스턴트 컨텐츠들에 대한 연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위 인스턴트 컨텐츠에 대한 하위 인스턴트 컨텐츠들을 구조화하여 표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stant messaging service in a user terminal, the apparatus comprising: a storage unit storing a plurality of instant contents, association information on the instant contents, And a controller for structuring and controlling display of the lower instant contents for the selected higher instant content using association information for the stored instant contents, when one of the higher instant contents is selected by the user.

종래의 방법은 한 번에 표시 가능한 인스턴트 컨텐츠의 수가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원하는 인스턴트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여러 번의 터치 과정을 거쳐야 하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인스턴트 컨텐츠를 추정하여 로그(Log) 스케일로 점차 확장시켜 표시함으로써 인스턴트 컨텐츠 선택 과정에서 필요한 키 조작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since the number of instant contents that can be displayed at one time is very limited, the user must touch the user several times to select desired instant contents.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g) scale, the number of key operations required in the instant content selection process can be reduced.

또한, 표시되는 인스턴트 컨텐츠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종래보다 확장된 크기의 썸네일 이미지 제공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썸네일 이미지 인식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In addition, by reducing the number of displayed instant cont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humbnail image of an enlarged size than in the conventional art,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 of facilitating the user's thumbnail image recogn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stant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ant messag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hereof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하여진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herein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Quot;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 as used herein, is intended to include the us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a compound.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Navigation) 등과 같은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navigation,

이하,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stant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저장부(100), 제어부(110), UI(User Interface)부(120) 및 표시부(130)를 포함한다.1, an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stant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100, a control unit 110, a UI (User Interface) unit 120, and a display unit 130 .

저장부(100)는 인스턴트 컨텐츠 제공 서버(10)에서 제공되는 복수개의 인스턴트 컨텐츠들, 인스턴트 컨텐츠들에 대한 각종 정보 및 지속적으로 학습되는 사용자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00 stores a plurality of instant contents provided by the instant content providing server 10,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bout instant contents, and user-related information continuously learned.

제어부(110)는 저장부(100)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컨텐츠들을 1차 구조화하고, 이후 사용자에 의해 최종 인스턴트 컨텐츠가 선택될 때까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인스턴트 컨텐츠들을 추론 또는 선별하고 이들을 재구조화하여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연관성 판단부(111) 및 구조 구성부(112)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110 first structures the instant contents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and then infer or selects the instant contents required by the user until the final instant content is selected by the user, Structured and provided. For this, the control unit 110 includes a relation determination unit 111 and a structure unit 112.

UI부(120)는 사용자의 신호를 입력 받는 장치로서, 상기 UI부(120)는 터치형 디스플레이 장치, 압력 또는 정전기 방식으로 키를 입력 받는 키 입력 장치일 수 있다.The UI unit 120 receives a user's signal. The UI unit 120 may be a touch-type display device, or a key input device that receives a key by a pressure or electrostatic method.

표시부(130)는 인스턴트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창 및 인스턴트 메시지 교환 창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a window and an instant message exchange window for selecting instant contents to the user.

이하, 전술한 장치들의 동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devic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어부(110) 내의 연관성 판단부(111)는 저장부(100)에 기저장된 인스턴트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인스턴트 컨텐츠들 사이의 연관성을 판단한다.The association determining unit 111 in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association among various types of instant contents using information about instant contents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and user related information.

상기 인스턴트 컨텐츠는 이모티콘, 플래시콘, 스티커, 아바타, 동영상 컨텐츠와 같은 그래픽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를 의미한다.The instant content refers to graphic image based content such as emoticons, flashcards, stickers, avatars, and video contents.

상기 인스턴트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의 속성 정보, 컨텐츠들 사이의 연관 정보 등을 의미한다. 여기서, 컨텐츠의 속성 정보는 텍스트, 벡터, 행렬, 수치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된 정보일 수 있다.The information about the instant contents means attribute information of content, association information between contents, and the like. Here,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content may be information expressed in the same manner as a text, a vector, a matrix, and a numerical value.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대화 기록, 인스턴트 컨텐츠 교환 기록 등을 분석하여 학습된 사용자의 성향이 반영된 정보를 의미한다.The user-related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that reflects a user's tendency to be learned by analyzing a user's conversation record, instant content exchange record, and the like.

구조 구성부(112)는 연관성 판단부(111)에 의해 판단된 연관 정보에 따라 인스턴트 컨텐츠들을 선별 또는 추론하여 이들을 구조화한다.The structure constructing unit 112 selects or structures the instant contents according to the association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association determining unit 111, and structures them.

구체적으로, 구조 구성부(112)는 결정론적(Deterministic) 이론 또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컨텐츠들을 선별하거나,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인스턴트 컨텐츠들을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어 각각의 카테고리를 트리 또는 그래프 형태의 계층으로 구분하여 선별하는 방식으로 구조화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ructure constructing unit 112 selects instant contents using a deterministic theory or an algorithm, or groups the instant contents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into a category, and classifies each category into a tree or a graph It can be structured in such a way as to sort and select.

다른 예로, 구조 구성부(112)는 인스턴트 컨텐츠들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외부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학습에 의해 유사성 또는 클러스터를 결정하는 기계학습 방법을 포함한 통계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방식으로 추론하여 인스턴트 컨텐츠들을 구조화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tructure constructing unit 112 may use statistical-based algorithms that include external data indicating the association of instant contents, or a machine learning method that determines affinities or clusters by learning, You can infer and instantiate your instant content.

또한, 구조 구성부(112)는 해당 구조를 표현하는 대표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대표 정보는 상위 구조에 해당하는 인스턴트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수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construction unit 112 generates representative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structure. The representative information represents information on instant contents corresponding to a superstructure, and can be expressed in text, graphic image, or numerical form.

예컨대, 감정과 관련된 이모티콘 중, '기분 좋음'을 나타내는 상위 개념 아래에 '칭찬을 받아 기분 좋음', '감동', '컨디션 회복' 등의 이모티콘을 하위 개념의 대표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mong the emotions related to the emotion, emoticons such as 'pleasant to praise', 'emotional', and 'condition recovery' can be generated as representative information of the sub concept under the upper concept indicating 'pleasant'.

이후,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UI부(120)를 통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실행을 명령하고, 저장된 인스턴트 컨텐츠의 표시를 요청하면, 구조 구성부(112)는 초기 구조화된 인스턴트 컨텐츠들의 구조 별 대표 정보를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한다.Then, when the user instructs the execution of the instant messaging service through the UI unit 120 to transmit the instant message and requests the display of the stored instant content, the structure unit 112 stores the instant structure Representativ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된 대표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UI부(120)를 통해 특정 구조를 선택하면, 연관성 판단부(111)는 선택된 구조와 관련된 정보들을 재수집한다.When the user who has confirmed the representativ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selects a specific structure through the UI unit 120, the association determination unit 111 re-collec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structure.

구조 구성부(112)는 연관성 판단부(111)에 의해 재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조의 하위 구조를 재구조화(재선별 또는 재학습)하고, 재구조화된 하위구조의 구조 별 대표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한다.The structure constructing unit 112 reconstructs (re-selects or re-learns) the sub-structure of the structure selected by the user by using the information re-collected by the association determining unit 111, Generates representative information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30.

이때, 구조 구성부(112)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와 동시에 선택된 구조에 대한 하위 구조를 재구조화는 동작을 수행할 뿐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정적으로 세부화된 하위 구조 및 사용자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하위 구조의 구조 별 대표 정보를 관련 서버에서 다운로드하여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ructure constructing unit 112 not only restructures the sub structure of the selected structure at the same time as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but also restructures the statically detailed sub structure and user related information The representative information for each structure of the sub structure can be downloaded from the related server and displayed.

또한, 구조 구성부(112)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와는 별도로 미리 재구조화되어 저장된 하위 구조 중에서 적절한 하위 구조를 선별하여 이에 대한 대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constructing unit 112 may display the representative information of the sub-structure selected from the sub-structures previously restructured and stored in advance, separately from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구조 구성부(112)는 사용자에 의해 최종 인스턴트 컨텐츠가 선택될 때까지 전술한 방식으로 이전에 선택된 구조의 하위 구조를 재구조화(재선별 또는 재학습)하여 이들의 대표 정보를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을 반복한다.The structure constructing unit 112 re-structures (re-selects or re-learns) the sub-structure of the previously selected structure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until the final instant content is selected by the user, and transmits representative information thereof to the display unit 130 Repeat the process of displaying through.

만약, 사용자에 의해 최종 인스턴트 컨텐츠가 선택되면, 구조 구성부(112)는 메시지 교환 환경(11)으로 선택된 최종 인스턴트 컨텐츠를 전송한다.If the final instant conten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structure construction unit 112 transmits the final instant content selected in the message exchange environment 11.

사용자 단말 내에서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technique of transmitting an instant message in the user terminal is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instant messag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단말은 제공되는 인스턴트 컨텐츠들, 인스턴트 컨텐츠들에 대한 각종 정보 및 지속적으로 학습되는 사용자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S200).2, a user terminal for instant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instant content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bout instant contents, and user-related information continuously learned (S200 ).

여기서, 상기 인스턴트 컨텐츠는 이모티콘, 플래시콘, 스티커, 아바타, 동영상 컨텐츠와 같은 그래픽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를 의미한다.Here, the instant content refers to graphic image based content such as emoticons, flashcards, stickers, avatars, and video contents.

상기 인스턴트 컨텐츠 관련 정보는 컨텐츠의 속성 정보, 컨텐츠들 사이의 연관 정보 등을 의미한다. 여기서, 컨텐츠의 속성 정보는 텍스트, 벡터, 행열, 수치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된 정보일 수 있다.The instant content related information means attribute information of content, association information between contents, and the like. Here,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content may be information expressed in a manner such as a text, a vector, a matrix, and a numerical value.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대화 기록, 인스턴트 컨텐츠 교환 기록 등을 분석하여 학습된 사용자의 성향이 반영된 정보를 의미한다.The user-related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that reflects a user's tendency to be learned by analyzing a user's conversation record, instant content exchange record, and the like.

기저장된 인스턴트 컨텐츠 관련 정보 및 사용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인스턴트 컨텐츠들 사이의 연관성을 판단한다(S210).The association between the various types of instant contents is determined using the stored instant content related information and the user related information (S210).

인스턴트 컨텐츠들 사이의 연관성이 판단되면, 판단된 연관 정보에 따라 인스턴트 컨텐츠들을 선별 또는 추론하여 이들을 1차 구조화하고, 구조화된 인스턴트 컨텐츠들의 구조 별 대표 정보를 생성한다(S220).I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instant contents is judged, the instant contents are selected or inferr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association information, and the representative contents are structured as a primary structure and the representative information for each structure of the structured instant contents is generated (S220).

이때, 결정론적 이론 또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컨텐츠들을 선별하거나,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인스턴트 컨텐츠들을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어 각각의 카테고리를 트리(Tree)형태의 계층으로 구분하여 선별하는 방식으로 구조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instant contents can be selected using a deterministic theory or an algorithm, or instant contents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can be grouped into one category, and each category can be structured into a tree type hierarchy .

다른 예로, 인스턴트 컨텐츠들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외부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학습에 의해 유사성 또는 클러스터를 결정하는 기계학습 방법을 포함한 통계 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방식으로 추론하여 인스턴트 컨텐츠들을 구조화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statistical-based algorithm including a machine learning method for determining similarities or clusters by learning using external data indicating an association relationship of instant contents, or structuring instant contents by inferring in a manner set by a user .

상기 구조 별 대표 정보는 상위 구조에 해당하는 인스턴트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수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The structure-specific representative information represents information on instant contents corresponding to a superstructure, and can be expressed in text, graphic image, or numerical form.

이후,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실행이 확인되고(S230), 사용자로부터 기저장된 인스턴트 컨텐츠들의 입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획득한 것으로 판단되면(S240), 생성된 인스턴트 컨텐츠들의 구조 별 대표 정보를 표시한다(S250).Thereafter, the execution of the instant messaging service is confirmed (S230). If it is determined that a signal requesting the input of the instant contents stored previously is obtained from the user (S240), the representative information for each structure of the generated instant contents is displayed (S250 ).

표시된 대표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에 의해 특정 구조가 선택되면(S260), 선택된 구조와 관련된 정보들을 재수집하고, 재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조의 하위 구조를 선별 또는 추론하여 재구조화(재선별 또는 재학습)하며, 재구조화된 구조 별 대표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표시한다(S270).If a specific structure is selected by the user who confirmed the displayed representative information (S260),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structure is re-collected, and the sub-structure selected by the user is selected or inferred using the re-collected information to reconstruct Re-selection or re-learning), generates representative information for each restructured structure, and displays it (S270).

다른 예로, 사용자의 입력 신호와 동시에 선택된 구조에 대한 하위 구조를 재구조화는 동작을 수행할 뿐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정적으로 세부화된 하위 구조 및 사용자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하위 구조의 구조 별 대표 정보를 관련 서버에서 다운로드하여 표시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of restructuring the sub structure of the selected structure at the same time as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the structure of the sub structure The representative representative information can be downloaded from the related server and displayed.

또 다른 예로, 사용자의 입력 신호와는 별도로 미리 재구조화되어 저장된 하위 구조 중에서 적절한 하위 구조를 선별하여 이에 대한 대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n addition to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an appropriate sub-structure may be selected from the sub-structures previously restructured and stored, and representative information thereof may be displayed.

사용자에 의해 최종 인스턴트 컨텐츠가 선택될 때까지 전술한 방식으로 이전에 선택된 구조의 하위 구조를 재구조화(재선별 또는 재학습)하여 이들의 대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반복한다.The process of re-structuring (re-selecting or re-learning) the sub-structure of the structure previously select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until the final instant content is selected by the user is repeated to display representative information thereof.

만약, 사용자에 의해 최종 인스턴트 컨텐츠가 선택되면(S280), 구조 구성부는 메시지 교환 환경으로 선택된 최종 인스턴트 컨텐츠를 전송한다(S290).If the final instant content is selected by the user (S280), the structure unit transmits the final instant content selected in the message exchange environment (S29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1)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복수개의 인스턴트 컨텐츠들, 상기 인스턴트 컨텐츠들에 대한 연관 정보 및 상위 인스턴트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상위 인스턴트 컨텐츠들 중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인스턴트 컨텐츠들에 대한 연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위 인스턴트 컨텐츠에 대한 하위 인스턴트 컨텐츠들을 구조화하여 표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A user terminal for an instant messaging service,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instant contents, association information for the instant contents, and information on higher instant contents; And
A control unit for structuring and controlling display of the sub-instant contents for the selected higher-order content by using association information on the stored instant contents when one of the higher-order instant contents is selected by the user;
The instant messag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omprising:
KR1020150006751A 2015-01-14 2015-01-14 Apparatus for provid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in user terminals KR201600875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751A KR20160087590A (en) 2015-01-14 2015-01-14 Apparatus for provid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in user termi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751A KR20160087590A (en) 2015-01-14 2015-01-14 Apparatus for provid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in user termin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590A true KR20160087590A (en) 2016-07-22

Family

ID=5668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751A KR20160087590A (en) 2015-01-14 2015-01-14 Apparatus for provid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in user termin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759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758A (en) * 2018-02-20 2019-08-28 최경훈 System and method for giving contents in the message service of the smart phone
WO2020213941A1 (en) * 2018-03-18 2020-10-22 김시환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within smartpho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758A (en) * 2018-02-20 2019-08-28 최경훈 System and method for giving contents in the message service of the smart phone
WO2020213941A1 (en) * 2018-03-18 2020-10-22 김시환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within smartphone
KR20210119537A (en) * 2018-03-18 2021-10-05 김시환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within a smart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7632B2 (en) Notification channel for computing device notifications
US11322143B2 (en) Forming chatbot output based on user state
KR20190057357A (en) Smart responses using the on-device model
US10515464B2 (en) Dynamic color customization of standardized (emoji) image characters
KR201100989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redictive model for drawing using touch screen devices
CN110402445B (en) Method and system for browsing sequence data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
CN111930442B (en) Page view load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JP6183099B2 (en) Input support device, input support method, and input support program
KR20160087590A (en) Apparatus for provid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in user terminals
JP2020525933A (en) Access application functionality from within the graphical keyboard
CN117033599A (en) Digital content generation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CN107431732B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system for providing scanning options and storage medium
KR20200032394A (en) Program for message processing by providing combined expression image words
US11227122B1 (en) Methods, mediums, and systems for representing a model in a memory of device
CN110990104B (en) Texture render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Unity3D
WO2020096868A1 (en) Multimodal chat technology
KR102017857B1 (en) Operating method of terminal for displaying tilting emoticon and the terminal thereof
US10776136B2 (en) Transitioning between interface modes based on stored state information
US1057506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reating narrative visualizations from audiovisual content according to pattern detection supported by cognitive computing
KR20220120419A (en) Method of displaying web pages and browser display system
CN117707674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devic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200063603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processing by providing combined expression image words
CN116246310A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target conversation expression
CN117271858A (en) Data information display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00030748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processing by providing combined expression image wo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