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478A - Method for planning portfolio using learner analysis data on the basis of mobile terminal and 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lanning portfolio using learner analysis data on the basis of mobile terminal and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478A
KR20160087478A KR1020150006342A KR20150006342A KR20160087478A KR 20160087478 A KR20160087478 A KR 20160087478A KR 1020150006342 A KR1020150006342 A KR 1020150006342A KR 20150006342 A KR20150006342 A KR 20150006342A KR 20160087478 A KR20160087478 A KR 20160087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earning
data
analysis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3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92603B1 (en
Inventor
조용상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교육학술정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교육학술정보원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6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603B1/en
Publication of KR20160087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4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6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ervice of designing a portfolio using learning analysis data based on a mobile terminal. A system of providing a learning portfolio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emory which stores education progress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for education; a mobile terminal which provides learning to a user by using the education progress information and the content information for educ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feedback information of the user which is related to the learning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unit which generates analysis data by using the education progress information, the content information for education, and the feedback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specified for the user by using the analysis data, and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determined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Description

이동 단말기를 기초로 학습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를 설계하는 방법 및 서비스{METHOD FOR PLANNING PORTFOLIO USING LEARNER ANALYSIS DATA ON THE BASIS OF MOBILE TERMINAL AND SERV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ervice for designing a portfolio using learning analysis data based o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기초로 학습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를 설계하는 방법 및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ervice for designing a portfolio using learning analysis data based on a mobile terminal.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A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phone, or the like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Examples of such various functions include a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a function of photographing a video or a moving image through a camera, a voice storage function, a music file playback function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an image or video display function. Some terminals include additional functions to execute games, and some other terminals are also implemented as multimedia devices. Moreover, recent terminals can receive a broadcast or multicast signal to view a video or television program.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In general, a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such terminals,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arts of the terminal.

한편, 스마트폰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일반화되면서 전 세계에서 수십억의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데이터의 유형과 양은 가히 폭발적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와 공공 분야, 민간기업 의 깨어있는 리더들은 이러한 다양한 데이터 활용에 주목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martphone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SNS) become common, the types and amounts of data generated by billions of users around the world are increasing at an explosive rate, and the awake leaders of government, We are paying attention to data utilization.

정부도 정부 3.0 정책을 통해 공공 데이터를 개방 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신산업을 육성하는 것을 새로운 정 부 운영 패러다임으로 제시함으로써 글로벌 트렌드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 The government is also in line with the global trend by introducing public data as a government 3.0 policy and fostering data-based new industries as a new government operating paradigm.

특히, 빅데이터는 집단을 대표하는 데이터라기보다는 마치 개인의 필요와 행동을 표현한 그림 같은 것이어서 개인화된 맞춤 서비스를 지향하는 모든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In particular, Big Data is more like a picture that expresses the needs and behaviors of individuals rather than data representing the group, so it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in all fields that are oriented toward personalized personalized services.

그러나 교육 분야는 공공 정보 개방이나 민간의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usiness Intelligence) 분야 보다는 데이터 활용에 대한 준비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However, the education sector is slow to prepare for data use rather than the public information openness or private business intelligence (Business Intelligence) field.

이는 관련 이해관계자들과 교육 서비스 기관에게 데이터 공유에 대한 동기부여가 되지 못했고, 서비스 모델 부재 역시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This does not motivate interested stakeholders and educational services agencies to share data, and the lack of a service model is also a major cause.

일반적으로 교실과 온라인에서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활용한 다양한 학습 활동이 수행 되면서 의미 있는 데이터들이 생성되고 있지만, 이 데이터들은 활동이나 과정이 종료되면 폐기 되거나 일부만 발췌되어 기록, 관리되고 있다. Generally, meaningful data is generated by various learning activities using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classroom and online, but these data are discarded or only partially extracted and recorded when the activity or process ends.

그러다 보니 학습자의 이해 수준과 과정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평균 수준에 맞춰진 자료와 후속 활동이 요구되고 있어서 개인화된 학습 환경을 제공하거나 수준별 학습을 지원하는 일들이 쉽지 않다. Therefore, it is not easy to provide a personalized learning environment or to support level-level learning because it requires data and follow-up activities at the average level in situations where the learner does not underst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process correctly.

예를 들어, 기존 의 오프라인 교육에서는 시험 결과와 같은 최종 평가 데이터만 수작업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학습 과정에서의 의미 있는 활동 기록이 축적되지 못하는 실정이어서 수준별 학습 지도 및 개별 학습을 위한 한계에 직면하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existing offline education, only the final evaluation data such as the test results are manually recorded, and the meaningful activity record in the learning process is not accumulated, so that it faces the limit for level-specific learning guidance and individual learning .

더욱이 정형화된 시험을 통 해서만 학생들의 학업 수준을 측정하므로 학습 습관, 인지 수준 등 개인화된 피드백 제공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Moreover, it is difficult to provide personalized feedback, such as learning habits and cognitive level, because it only measures the academic level of students through formal tests.

따라서 이와 같은 제한적인 상황을 극복하고 개별 학습자를 위한 지원과 동 기 부여를 위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new data - based service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to provide support and synchronization for individual learners.

본 명세서에서는 학습 분석 서비스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되는 유즈케이스를 제안하고자 한다.This specification proposes a use case that is expected to be provided as a learning analysis service.

특히,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는 학습 분석 개념에 대한 확립과 이해관계자들을 구체적으로 식별하는 노력을 시작한 반면, 기업들이 참여하는 민간단체에서는 데이터 수집체계와 같은 실천적인 표준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대조적인 움직임을 보이는데, 이 두 가지 접근법의 특징을 고려하여, 학습 분석 기술을 활용한 개인화된 학습 서비스를 완성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In particular,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has initiated effort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learning analysis and to identify stakeholders in a concrete way, while the private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the organizations are making practical efforts such as data collection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approaches, we propose a model to complete personalized learning services using learning analysis techniques.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1-0122267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ublication No. 10-2011-0122267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기를 기초로 학습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를 설계하는 방법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service for designing a portfolio using learning analysis data based on a mobile terminal.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적인 상황을 극복하고 개별 학습자를 위한 지원과 동기 부여를 위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서비스 즉, 유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a limited situation and to provide a new service or use case based on data for support and motivation for individual learners.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학습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학습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학습과 관련된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교육과정 정보, 교육컨텐츠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특화된 학습 안내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통신부가 상기 결정한 학습 안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 system for providing a learning portfolio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training course information and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learning to a user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and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of the user related to the learning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nalysis data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and the feedback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specific to the user using the analysis data, And the communication unit can control to transmit the determined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는 변경 가능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변경된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and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can be changed,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additionally receive the changed training course information and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교육과정 정보는, 초등학교,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 직업훈련 교육과정, 고등 교육과정 및 해외 교육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rriculum information may include an elementary school, a middle school and a high school curriculum, a vocational training curriculum, a higher education curriculum, and an overseas curriculum.

또한, 상기 교육컨텐츠 정보는, 학술 데이터베이스 정보, 민간 데이터베이스 정보, 해외 교육컨텐츠 정보 및 학원에서 제공하는 개별 교육컨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ducation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cademic database information, private database information, overseas education content information, and individual education conten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stitute.

또한, 상기 피드백 정보는, 디지털 컨텐츠를 통해 발생되는 데이터 정보, 학습 플랫폼을 통해 발생하는 학습 활동 데이터 정보, 교육기관에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정보, 상기 사용자의 경력과 인맥에 대한 데이터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링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eedback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ata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digital contents, learning activity data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learning platform, data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 data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areer and connections, And may include data information that occurs during the profiling of the user.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육과정 정보, 교육컨텐츠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은, 학습 활동 측정 기준, 맥락 기준, 참여도 기준 및 성취도 기준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 활동 측정 기준은, 읽기, 강좌, 퀴즈, 프로젝트, 과제, 미디어, 교습, 지도, 조사, 평가, 협업, 주석, 게이밍, 소셜, 메시징, 스케줄링 및 토론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The criteria for generating analysis data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and the feedback information may include a learning activity measurement standard, a context standard, a participation standard, and an achievement standard, Metrics can include readings, lectures, quizzes, projects, assignments, media, teaching, guidance, research, evaluation, collaboration, annotation, gaming, social, messaging, scheduling and discussion standards.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육과정 정보, 교육컨텐츠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학습 분석 대시보드 방법, 예측 분석 방법, 적응형 학습 분석 방법, 소셜네트워크 분석 방법, 담화 분석 방법 및 ICT를 활용한 평가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generating analysis data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and the feedback information may include a learning analysis dashboard method, a prediction analysis method, an adaptive learning analysis method, a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An analysis method and an evaluation method using ICT.

또한, 상기 학습 안내 정보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학습 안내 정보일 수 있다.The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may be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for supplementing weaknesses of the user determined using the analysis data.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학습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학습을 이동 단말기가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학습과 관련된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교육과정 정보, 교육컨텐츠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특화된 학습 안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한 학습 안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learning portfolio associated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storing training course information and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the user with learning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and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of the user associated with the learning from the mobile terminal; Generating analysis data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and the feedback information; Determining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specific to the user using the analysis data; And transmitting the determined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는 변경 가능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변경된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and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may be changed,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additionally receive the changed training course information and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교육과정 정보는, 초등학교,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 직업훈련 교육과정, 고등 교육과정 및 해외 교육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rriculum information may include an elementary school, a middle school and a high school curriculum, a vocational training curriculum, a higher education curriculum, and an overseas curriculum.

또한, 상기 교육컨텐츠 정보는, 학술 데이터베이스 정보, 민간 데이터베이스 정보, 해외 교육컨텐츠 정보 및 학원에서 제공하는 개별 교육컨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ducation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cademic database information, private database information, overseas education content information, and individual education conten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stitute.

또한, 상기 피드백 정보는, 디지털 컨텐츠를 통해 발생되는 데이터 정보, 학습 플랫폼을 통해 발생하는 학습 활동 데이터 정보, 교육기관에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정보, 상기 사용자의 경력과 인맥에 대한 데이터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링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eedback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ata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digital contents, learning activity data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learning platform, data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 data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areer and connections, And may include data information that occurs during the profiling of the user.

또한, 상기 교육과정 정보, 교육컨텐츠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은, 학습 활동 측정 기준, 맥락 기준, 참여도 기준 및 성취도 기준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 활동 측정 기준은, 읽기, 강좌, 퀴즈, 프로젝트, 과제, 미디어, 교습, 지도, 조사, 평가, 협업, 주석, 게이밍, 소셜, 메시징, 스케줄링 및 토론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The criterion for generating the analysis data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and the feedback information includes a learning activity measurement standard, a context standard, a participation standard, and an achievement standard, , Reading, lectures, quizzes, projects, assignments, media, teaching, guidance, research, evaluation, collaboration, annotation, gaming, social, messaging, scheduling and discussion criteria.

또한, 상기 교육과정 정보, 교육컨텐츠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학습 분석 대시보드 방법, 예측 분석 방법, 적응형 학습 분석 방법, 소셜네트워크 분석 방법, 담화 분석 방법 및 ICT를 활용한 평가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generating analysis data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and the feedback information may include a learning analysis dashboard method, a prediction analysis method, an adaptive learning analysis method, a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It can include evaluation methods using ICT.

또한, 상기 학습 안내 정보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학습 안내 정보일 수 있다.The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may be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for supplementing weaknesses of the user determined using the analysis data.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방법은,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학습을 이동 단말기가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학습과 관련된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교육과정 정보, 교육컨텐츠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특화된 학습 안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한 학습 안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rogram of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is implemented tangibly to perform a method of providing a learning portfolio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Wherein the learning portfolio providing method comprises: storing training course information and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the user with learning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and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of the user associated with the learning from the mobile terminal; Generating analysis data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and the feedback information; Determining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specific to the user using the analysis data; And transmitting the determined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학습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를 설계하는 방법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provide a method and a service for designing a portfolio using learning analysis data.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한적인 상황을 극복하고 개별 학습자를 위한 지원과 동기 부여를 위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서비스 즉, 유즈 케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a limited situation and provides a new service based on data, that is, a use case, to a user for support and motivation for individual learners.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교육 분야의 데이터 모델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학습 분석을 위한 데이터 매트릭스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학습 분석 수준 간 융합 개념도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과 관련된 학습 분석 서비스를 위한 주요 워크플로우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학습 분석 관련 해외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ASN Framework에서 수학 교과의 주제 단위 연결을 보여주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신한 것이다.
도 8는 본 발명과 관련된 학습 분석과 링크드 데이터 기술을 연계한 학습 경로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과 관련된 학습 포트폴리오의 개념적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학습 분석과 연계한 학습 포트폴리오의 순환 모델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2A.
3 shows a specific example of a data model of the education field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concrete example of a data matrix for learning analysis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concrete example of the concept of fusion between learning analysis levels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6A shows a specific example of a main workflow for a learning analysis ser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oreign case related to learning analysis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crete example showing a topic unit connection of a mathematics subject in the ASN Framework.
FIG. 8 shows a specific example of a learning path that links learning analysis and linked data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n example of a conceptual configuration of a learning portfolio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a specific example of a circulation model of a learning portfolio linked with the learning analysi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휴대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톱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a navigation device. However,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unless the configuration is applicable only to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서비스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대해 선결적으로 설명한다.Prior to a specific description of a ser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배터리(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A controller 170, a controller 180, a battery 190,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a network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OMA-BCAST,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 Media Forward Link Only (DVF-H)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such as DVB-CB, OMA-BCAST, or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dapted to other broadcasting system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3D 웹 제공 서버(700)와 통신을 연결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3D 웹페이지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3D 웹 제공 서버(700)로 전송하고, 3D 웹 제공 서버(700)로부터 상기 요청에 따른 3D 웹페이지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connects the communication with the 3D web providing server 7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the 3D web pag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3D web providing server 700. [ (700), and receives a signal including the 3D web page according to the request from the 3D web providing server (700).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3D 웹 제공 서버(700)와 통신을 연결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3D 웹페이지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3D 웹 제공 서버(700)로 전송하고, 3D 웹 제공 서버(700)로부터 상기 요청에 따른 3D 웹페이지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무선 인터넷의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xternally moun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connects the communication with the 3D web providing server 7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the 3D web pag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3D web providing server 700. [ (700), and receives a signal including the 3D web page according to the request from the 3D web providing server (700).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technology of the wireless Internet.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3D 웹 제공 서버(700)와 통신을 연결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3D 웹페이지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3D 웹 제공 서버(700)로 전송하고, 3D 웹 제공 서버(700)로부터 상기 요청에 따른 3D 웹페이지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의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connects a communication with the 3D web providing server 700 and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the provision of the 3D web pag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3D web providing server 700. [ (700), and receives a signal including the 3D web page according to the request from the 3D web providing server (700).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위치 정보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According to the current technology, the GPS module 115 calculates distance information and accurate time information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then applies trigonometry to the calculated information to obtain a three-dimensional string of latitude, longitude,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accurately calculated. At present, a method of calculat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an error of the calculated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another satellite is widely used. In addition, the GPS module 115 can calculate speed information by continuously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이때,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일 예로, 상기 카메라(121)는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구비된 반대면에 3D 영상 촬영을 위한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구비된 면의 일부 영역에 사용자의 셀프 촬영을 위한 제3 카메라(121c)가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121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cameras 121a and 121b for capturing 3D image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play unit 151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 third camera 121c for self-photographing the user may be provided in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51 of the terminal 100. [

이때, 제1 카메라(121a)는 3D 영상의 소스 영상인 좌안 영상 촬영을 위한 것이고, 제2 카메라(121b)는 우안 영상 촬영을 위한 것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amera 121a is for capturing the left eye image, which is the source image of the 3D image, and the second camera 121b, for the right eye image capturing.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22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되는 콘텐츠들 중 두 개 이상의 콘텐츠를 지정하는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 이상의 콘텐츠를 지정하는 신호는, 터치입력을 통하여 수신되거나, 하드키 및 소프트 키입력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30 may receive from the user a signal designating two or more contents among the contents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ignal designating two or more contents may be received via a touch input or via a hard key and a soft key input.

사용자 입력부(130)는 상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콘텐츠들을 선택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휴대 단말기(100)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과 관련된 아이콘을 생성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may receive an input from the user for selecting the one or more contents. In addition, an input for generating an icon related to a function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perform can be received from the user.

상기와 같은, 사용자 입력부(130)는 방향키,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directional keypad, a keypad, a dome switch, a touch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 단말기의 방위, 휴대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resence of the user, the orien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is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t is also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battery 19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Meanwhi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The proximity sensor 141 will be described later in relation to the touch screen.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ing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n acoustic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 haptic module 154, 155,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the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UI, or GUI is display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는 2D 및 3D 표시 모드를 지원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2D and 3D display modes.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는 이하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151a)에 스위치 액정(151b)을 조합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 액정(151b)을 이용하여 도 5의 (a)와 같이 광학 시차 장벽(50)을 작동시켜 광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여 좌우의 눈에 각기 다른 광이 도달하도록 분리할 수 있다. 때문에 우안용 영상과 좌안용 영상이 조합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151a)에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각각의 눈에 대응한 화상이 보여 마치 입체로 표시된 것처럼 느끼게 된다.That is, the display unit 15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witch liquid crystal 151b is combined with a general display device 151a as shown in FIG. 5 below. 5 (a), the optical parallax barriers 50 are operated by using the switch liquid crystal 151b to control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so that different lights can be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eyes. Therefore, when a combined image of the right eye image and the left ey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51a, the user can see the image corresponding to each eye and feel as if it is displayed in three-dimensional form.

즉, 디스플레이부(151)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2D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 액정(151b) 및 광학 시차 장벽(50)을 구동시키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1a)만을 구동시켜 일반적인 2D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That i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the display unit 151 drives only the display device 151a without driving the switch liquid crystal 151b and the optical parallax barrier 50 in the 2D display mode Performs normal 2D display operation.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3D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 액정(151b)과, 광학 시차 장벽(50) 및 디스플레이 장치(151a)를 구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1a)만을 구동시켜 3D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The display unit 151 drives the switch liquid crystal 151b and the optical parallax barrier 50 and the display device 151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display the display liquid crystal 151b, 151a to perform the 3D display opera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3D 표시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3 내지 도 5에서 상세히 후술한다.The 3D display process of the display unit 151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한편,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151 may also be of a light transmission type.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an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through the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unit 151 of the terminal body.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r may be dispos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n which a display unit 151 and a sensor for sens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not shown).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Thus, the control unit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touched or the like.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area of the portable terminal or in the vicinity of the touch screen, which is enclosed by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 nearby obj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has a longer life span than the contact sensor and its utilization is also high.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recognizing that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touch screen while the point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Quot; The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roximat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and the li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also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tones, message reception tones, etc.)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 receiving a call signal, receiving a message, inputting a key signal, and touch input.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for example, vibration.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be a type of the alarm unit 153.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1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152, .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is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it module 154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54 may include a pin arrangement vertically moving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 spraying force or a suction force of the air through the injection port or the suction port, a touch on the skin surface, contact with an electrode, And various tactile effects such as an effect of reproducing a cold sensation using an endothermic or exothermic element can be generated.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The haptic module 154 can be implemented not only to transmit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direct contact but also to allow the user to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muscular sensation of the finger or arm. The haptic module 154 may include two or more haptic modules 154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프로젝터 모듈(155)은,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projector module 155 is a component for performing an image project function us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is similar to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80 Or at least partly display another image on an external screen or wall.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jector module 155 includes a light source (not shown) that generates light (for example, laser light) for outputting an image to the outside, a light source And a lens (not shown) for enlarging and outputting the image at a predetermined focal distance to the outside. Further, the projector module 155 may include a device (not shown) capable of mechanically moving the lens or the entire module to adjust the image projection direction.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The projector module 155 can be divided into a CRT (Cathode Ray Tube) module,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a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splay means. In particular, the DLP module may be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of the projector module 151 by enlarging and projecting an image generated by reflecting light generated from a light source on a 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 chip.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휴대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Preferably, the projector module 155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the front surface, or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ojector module 155 may be provided at any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s needed.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전자도서, 동영상, 송수신 메시지 히스토리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80 and may store the input / output data (e.g., a telephone directory, a message, an audio, a still image, an electronic book, History, and the like). The memory 160 may also store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of the data (for example, each telephone number, each message, and frequency of use for each multimedia).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data on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the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또한, 메모리(160)는 본 발명에 따라, 3D 또는 2D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웹브라우저가 저장된다. 상기 웹브라우저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3D 웹 제공 서버(700)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memory 160 also stores a web browser displaying 3D or 2D web pag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 browser can be downloaded from the 3D web providing server 700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stored.

상기와 같은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etc.) ),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 A magnetic disk, an optical disk, a memory, a magnetic disk, or an optical disk.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6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allows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식별 모듈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age right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 general user authentication module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s")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port.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by the user It can be a pa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or the power source may be operated as a signal for recognizing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80. [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또는 TOLED(Transparant OLED)로 구비될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된 프리뷰 영상이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또는 TOLED(Transparant OLED)의 화면 상에 풀업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조작에 따라 상기 프리뷰 영상의 크기가 조절되면,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크기가 조절된 프리뷰 영상이 표시된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제2 영역 내의 화소들의 구동을 오프시킴으로써, 전원 공급부(19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로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151 is formed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or a TOLED (Transparent OLED),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display unit 151, When the preview image is pulled up on the screen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or the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size of the preview imag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90 to the display unit 151 can be reduced by turning off the driving of the pixels in the second area other than the first area in which the preview image is adjusted.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processor,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The embodiments described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80 itself.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is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can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80. [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100 has a bar-shaped main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body includes a case (a casing, a housing, a cover, and the like) which forms an appearanc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 A variety of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or the like.

휴대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제3 카메라(121c),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body 101 mainly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unit 152, a third camera 121c, user inputs 130/131 and 132, a microphone 122, an interface 170, .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occupies most of the main surface of the front case 101. A sound output unit 151 and a camera 121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151 and a user input unit 131 and a microphone 122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ther end. The user input unit 132 and the interface 17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131 and 132. The operation units 131 and 132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제1 또는 제2 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ted by the first or second operation unit 131 or 132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31 receives commands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32 controls the siz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52 or the siz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51 The touch recognition mode can be activated or deactivated.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FIG. 2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2A.

도 2b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제3 카메라(121c)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3 카메라(121c)는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B, a third camera 121c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that is, the rear case 102. The third camera 121c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21a and 121b and may be a camera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pixels as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21a and 121b have.

제3 카메라(121c)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제3 카메라(121c)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제3 카메라(121c)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flash 123 and a mirror 124 may b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third camera 121c. The flash 123 illuminates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third camera 121c. The mirror 124 allows the user to illuminate the user's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intends to take a picture of himself / her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third camera 121c.

휴대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 모듈(152, 도 2a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implement the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sound output module 152 (see FIG. 2A), and may be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휴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ntenna for communication, a broadcast signal receiving antenna 116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The antenna 116, which forms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11 (see FIG. 1), may be install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the terminal body.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A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built in the terminal body or may be detachable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위해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즉, 이동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의 방향으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The rear case 102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d 135 for sensing a touch. The touch pad 135 may be of a light transmission type for the display unit 151. [ In this case, if the display unit 151 is configured to output the time information on both sides (i.e., in the directions of both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the time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pad 135 do. The information output on both sides may be all controlled by the touch pad 135. [

한편, 터치 패드(135) 전용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장착됨으로써,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display for exclusive use of the touch pad 135 may be separately installed, so that the touch screen may be disposed in the rear case 102 as well.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touch pad 135 operates in correlation with the display portion 151 of the front case 101. The touch pad 135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151. The touch pad 135 may have a size equal to or smaller than that of the display unit 151.

한편, 스마트폰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일반화되면서 전 세계에서 수십억의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데이터의 유형과 양은 가히 폭발적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와 공공 분야, 민간기업 의 깨어있는 리더들은 이러한 다양한 데이터 활용에 주목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martphone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SNS) become common, the types and amounts of data generated by billions of users around the world are increasing at an explosive rate, and the awake leaders of government, We are paying attention to data utilization.

정부도 정부 3.0 정책을 통해 공공 데이터를 개방 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신산업을 육성하는 것을 새로운 정 부 운영 패러다임으로 제시함으로써 글로벌 트렌드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 The government is also in line with the global trend by introducing public data as a government 3.0 policy and fostering data-based new industries as a new government operating paradigm.

특히, 빅데이터는 집단을 대표하는 데이터라기보다는 마치 개인의 필요와 행동을 표현한 그림 같은 것이어서 개인화된 맞춤 서비스를 지향하는 모든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In particular, Big Data is more like a picture that expresses the needs and behaviors of individuals rather than data representing the group, so it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in all fields that are oriented toward personalized personalized services.

그러나 교육 분야는 공공 정보 개방이나 민간의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usiness Intelligence) 분야 보다는 데이터 활용에 대한 준비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However, the education sector is slow to prepare for data use rather than the public information openness or private business intelligence (Business Intelligence) field.

이는 관련 이해관계자들과 교육 서비스 기관에게 데이터 공유에 대한 동기부여가 되지 못했고, 서비스 모델 부재 역시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This does not motivate interested stakeholders and educational services agencies to share data, and the lack of a service model is also a major cause.

일반적으로 교실과 온라인에서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활용한 다양한 학습 활동이 수행 되면서 의미 있는 데이터들이 생성되고 있지만, 이 데이터들은 활동이나 과정이 종료되면 폐기 되거나 일부만 발췌되어 기록, 관리되고 있다. Generally, meaningful data is generated by various learning activities using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classroom and online, but these data are discarded or only partially extracted and recorded when the activity or process ends.

그러다 보니 학습자의 이해 수준과 과정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평균 수준에 맞춰진 자료와 후속 활동이 요구되고 있어서 개인화된 학습 환경을 제공하거나 수준별 학습을 지원하는 일들이 쉽지 않다. Therefore, it is not easy to provide a personalized learning environment or to support level-level learning because it requires data and follow-up activities at the average level in situations where the learner does not underst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process correctly.

예를 들어, 기존 의 오프라인 교육에서는 시험 결과와 같은 최종 평가 데이터만 수작업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학습 과정에서의 의미 있는 활동 기록이 축적되지 못하는 실정이어서 수준별 학습 지도 및 개별 학습을 위한 한계에 직면하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existing offline education, only the final evaluation data such as the test results are manually recorded, and the meaningful activity record in the learning process is not accumulated, so that it faces the limit for level-specific learning guidance and individual learning .

더욱이 정형화된 시험을 통 해서만 학생들의 학업 수준을 측정하므로 학습 습관, 인지 수준 등 개인화된 피드백 제공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Moreover, it is difficult to provide personalized feedback, such as learning habits and cognitive level, because it only measures the academic level of students through formal tests.

따라서 이와 같은 제한적인 상황을 극복하고 개별 학습자를 위한 지원과 동 기 부여를 위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new data - based service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to provide support and synchronization for individual learners.

본 명세서에서는 학습 분석 서비스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되는 유즈케이스를 제안하고자 한다.This specification proposes a use case that is expected to be provided as a learning analysis service.

특히,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는 학습 분석 개념에 대한 확립과 이해관계자들을 구체적으로 식별하는 노력을 시작한 반면, 기업들이 참여하는 민간단체에서는 데이터 수집체계와 같은 실천적인 표준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대조적인 움직임을 보이는데, 이 두 가지 접근법의 특징을 고려하여, 학습 분석 기술을 활용한 개인화된 학습 서비스를 완성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In particular,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has initiated effort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learning analysis and to identify stakeholders in a concrete way, while the private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the organizations are making practical efforts such as data collection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approaches, we propose a model to complete personalized learning services using learning analysis techniques.

학습 분석은 기본적으로 학습활동으로 인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하여 분석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전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Learning analysis is basically a concept that includes a whole series of processes that collect, process and analyze data generated by learning activities.

이러한 개념적 이해를 토대로 학습 분석 역시 다 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빅데이터 워크플로우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Based on this conceptual understanding, learning analysis can als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a big data workflow that collects and analyzes various types of data.

대부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 서비스들은 해당 분야의 데이터 분류와 특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획되는데, 학습 분석도 수집 대상이 되는 데이터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 Analysis services based on most of the data are planned based on accurate understanding of data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in the field. Learning analysis is also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ata to be collected.

국제 표준화 단체인 IMS Global Learning Consortium(이하 IMS Global)은 학습 분석을 위해 교육 분야에서 수집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의 유형을 아래 목록처럼 다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학습 분석을 위한 데이터 규명작업을 활발히 추진 중에 있다 The IMS Global Learning Consortium (IMS Global), a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is actively promoting data identification for learning analysis by classifying the types of data that can be collected and analyzed in the education field for learning analysis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have

(1) 디지털 콘텐츠가 발생시키는 데이터 (Learning Content Data) (1) data generated by digital contents (Learning Content Data)

(2) 학습 플랫폼을 통해 발생하는 학습 활동 데이터 (Learning Activity Data) (2) Learning activity data generated through the learning platform

(3) 교육기관에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Operational Data) (3) Operational data generated during training programs at educational institutions

(4) 학습자의 경력과 인맥에 대한 데이터 (Career Data) (4) Data on career experiences and connections (Career Data)

(5) 학습자 또는 교수자의 프로파일링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Profile Data)(5) Data generated during profiling of a learner or a teacher (Profile Data)

다섯 가지 유형의 데이터 중에서 학습 분석은 콘텐츠 활용 및 학습 활동과 관련해서 생성되는 데이터들이 학습 분석에서 주목하는 데이터들이다. Of the five types of data, learning analysis is data that is generated in relation to content utilization and learning activities, which are the focus of attention in learning analysis.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교육 분야의 데이터 모델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3 shows a specific example of a data model of the education field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3은 다섯 가지 데이터 유형 간의 관계와 각 데이터 그룹의 대표적인 예들을 그림으로 정리 한 것이다. That is,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relations between the five data types and representative examples of each data group.

학습 분석에서 초점을 맞추는 콘텐츠 활용과 학습 활동 중에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이들 데이터의 특성과 형태에 대한 분류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Classific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form of these data should be preceded in order to collect data that is generated during learning activities and content utilization that focuses on learning analysis.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나 스프레드시트 형태의 데이터는 정형화된 데이터(structured data)로 분류한다. 이러한 정형화된 데이터에 대한 기록, 관리, 분석, 도표화 기법은 오랫동안 활용 된 것이어서 친숙한 것이다. For example, data recorded in a database or data in the form of a spreadsheet is classified into structured data. The recording, management, analysis, and charting techniques for such formalized data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and are familiar.

그러나 지금까지 온라인 콘텐츠를 포함한 ICT를 활용한 교육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시스템 로그 파일이나, 메시지, 온라인 게시글, 제출된 전자문서 등 정형화 되지 않은 데이터(unstructured data)에 대한 활용 가치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However, the utility value of unstructured data such as system log files, messages, online bulletins, and submitted electronic documents, which have not been noticed in education using ICT including online contents, is newly being highlighted.

정형화된 데이터와 비정형화된 데이터에 대한 구분은 데이터를 기술적인 형태로 구분한 것인데, 형태별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과 절차상 차이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distinction between formalized and non-standardized data is based on the technical difference between data and the method of collecting the data by type and the difference in procedure.

데이터의 기술적인 형태의 차이 외에 수집 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내용적인 특성에 대한 분류를 정의해야 한다. In addition to the differences in the technical form of the data, the classification of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data to be collected should be defined.

수집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그 자체로 모으지 않고 내용상의 특성에 따 라 분류하는 주된 이유는 데이터 수집체계를 효율적으로 구성 하고 데이터의 품질과 분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조치이다. The main reason for classifying the data to be colle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without collecting the data itself is measures for efficiently constructing the data collection system and improving the quality and accuracy of the data.

예를 들어, 학습 활동은 한 곳에서만 발생하지 않고 여러 학습 플랫폼이나 서비스를 통해 수행될 수 있고 학습자가 활용하는 콘텐츠나 소프트웨어도 어느 한 곳이 아니라 여러 곳의 플랫폼이나 단말기에서 활용되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체계에 대한 필요성에 공감하게 된다. For example, considering that learning activities can be performed through a variety of learning platforms or services rather than only in one place, and that the contents and software utilized by the learners are utilized in various platforms and terminals And the need for a systematic data collection system.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학습 분석을 위한 데이터 매트릭스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4 shows a concrete example of a data matrix for learning analysis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언급한 IMS Global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도 4와 같이 학습 분석을 위한 데이터 매트릭스 원형을 제시한 바 있다. The aforementioned IMS Global, along with various stakeholders, presented the data matrix prototype for learning analysis as shown in Fig.

도 4의 좌측은 학습 활동 (또는 학습 과정) 중에 생성되는 데이터 그룹 이고, 우측에 있는 데이터들은 온라인 서비스 제공이나 학습 결과(learning outcome)를 측정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하던(대부 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관리되던) 데이터 그룹을 나열한 것이다. The left side of FIG. 4 is a group of data generated during a learning activity (or a learning process), and the data on the right side are used to measure an online service provision or a learning outcome, ) Data groups.

학습 분석을 위해서는 도 4의 좌측 영역, 학습 활동 측정을 위한 데이터들이 주목 받고 있다. In order to analyze the learning, data for the left area and learning activity measurement of FIG. 4 are attracting attention.

이들 데이터의 내용적인 특성 중에는 독서 기록, 강의자료 활용 기록, 퀴즈와 시험, 과제, 프로젝트 참여 현황, 소셜 미디어 활용, 온라인 토론 참여 현황 등 매우 다양한 활동 유형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Among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se data are expected to include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such as reading records, lecture notes, quizzes and tests, assignments, project participation, social media usage, and online discussion participation.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학습 분석 서비스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In addition, the learning analysis service concep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2000년대 초반에도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와 정보를 활용하면서 다양한 데이터들이 생성되고 있었지만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모바일 디바이스가 보편화되면서 더 다양해진 학습 환경으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는 이전 어느 때 보다 가히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In the early 2000s, various data were generated by utilizing contents and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However, a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s become commonplace, data generated from more diverse learning environments is more explosive than ever before .

이렇게 급증하는 데이터들을 지금까지는 이질적인 데이터로 인식하여 별도로 관리를 하거나 폐기해 왔지만,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기술의 발전 덕분에 교육계는 학습 분석을 학습자의 학습 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However,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processing and analyzing large amounts of data, the education system has been able to provide a new opportunity to systematically support learners' learning activities .

UNESCO의 보고서는 학습 데이터를 수집해서 분석하는 수준을 크게 세 가지 단계로 구분하여 소개한 바 있다.UNESCO's report has introduced three levels of collecting and analyzing learning data.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학습 분석 수준 간 융합 개념도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5 shows a concrete example of the concept of fusion between learning analysis levels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5는 각 분석 수준별 효과와 분석 수준 간 융합에 대한 개념을 설명한 것이다. That is, FIG. 5 illustrates the concept of convergence between the analysis level and the analysis level.

(1) 마이크로 수준 분석(Micro-level analytics)(1) Micro-level analytics

개별 학습자나 그룹의 학습활동 데이터를 추적하고 해석하는데 이용된다. 이 데이터들은 학습 분석에서 가장 미세하고 세밀한 데이터로 분류되는데, 학습자의 이해 수준을 진단하기 위해 온오프라인에 존재하는 수집 가능한 모든 데이터를 수집한다.It is used to track and interpret the learning activity data of individual learners or groups. These data are categorized as the finest and most detailed data in the learning analysis, collecting all collectable data that exists on-and-off-line to diagnose the learner's level of understanding.

(2) 메소 수준 분석(Meso-level analytics)(2) Meso-level analytics

기관 수준의 분석인데, 데이터베이스의 자료와 수집 가능한 비정형 데이터들을 수집 및 분석해서 교육기관의 워크플로우를 재설계하고 교육 서비스 고객의 이탈을 미리 진단하거나 미래 서비스를 준비하는 목적으로 수행된다. It is an institutional level analysis that collects and analyzes data from databases and unstructured data that can be collected to redesign the workflow of educational institutions, diagnose departures of educational service customers, or prepare for future services.

(3) 매크로 수준 분석(Macro-level analytics)(3) Macro-level analytics

개인, 기관 수준의 데이터들을 축적해서 지역, 국가, 세계 수준 등 거시적인 분석을 수행하는 것인데, 예를 들면, 지역이나 국가의 교육과정 목표가 달성되고 있는지를 수집된 데이터들을 이용해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t is possible to accumulate personal and institutional level data to perform macro-level analyzes such as regional, national, and world-level, for example, by using collected data to determine whether local or national curriculum goals are being achieved Expect.

위에 소개한 학습 분석에 대한 개념과 분석 수준에 대한 정의는 매우 추상적인 수준의 내용이다. The definition of concept and level of analysis presented above is very abstract.

이러한 개념을 보다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해관계자를 식별하고 각 이해관계자 별로 기대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식별이 이루어져야 한다. In order to realize this concept more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stakeholders and identify services that each stakeholder can expect.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의 교육 기술 분과 위원회(ISO/IEC JTC1 SC36)는 학습 분석 기술을 전담할 워킹그룹을 신설하면서 다음과 같은 이해관계자와 각 이해관계자 별 기대를 정리한 바 있다. ISO / IEC JTC1 SC36, an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 IEC JTC1 SC36), outlined the following stakeholder and stakeholder expectations by establishing a working group dedicated to learning analysis technology.

<학습자 관점><Learner Perspective>

(1) 학습 활동과 진도를 측정하여 학습 지원(1) Support learning by measuring learning activity and progress

(2) 감정, 동기, 준비상태를 측정하여 학습 지원(2) Support learning by measuring emotion, motivation, and readiness

(3) (장애 등) 개인의 필요와 (매체) 선호 등을 사전에 파악하여 학습 환경 구성(3) (disability, etc.) Individual needs and (medium)

(4) 학습 활동과 평가를 통해 개선된 피드백 제공(4) Provide improved feedback through learning activities and assessments

(5) 정상적인 학습 과정을 완료할 수 있을 지에 대한 사전 예측을 통해 조기 경보 제공(5) Provide early warning through advance prediction of whether normal learning process can be completed

(6) 개인화된 학습 경로 생성 및 학습 자원 제공
(6) Personalized learning path generation and learning resource provision

<교사 관점> <Teacher Perspective>

(1) 학습자와 그룹 활동 및 진도를 측정하여 정확한 이해 도모(1) Measuring learner and group activity and progress and understanding accurately

(2) 개별 학습자의 필요와 행동에 대한 맞춤형 대응 및 조언 제공(2) Providing customized responses and advice on individual learners' needs and behaviors

(3) 학습 참여 부진 학생과 그룹을 조기에 발견(3) Early detection of poor student and group participation

(4) 학업 수행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과 기회 확대(4) Expanding opportunities and opportunities to measure academic performance

(5) 개인과 그룹에 대한 학습 결과를 직관적으로 표현하는 시각화된 정보 활용(5) Utilizing visualized information that intuitively expresses learning results for individuals and groups

(6) 사실을 기반으로 한 개선된 학습 경험과 자원을 설계 능력
(6) Ability to design improved learning experiences and resources based on facts

<교육 기관 관점><Educational institution perspective>

(1) 학급 및 그룹의 활동 및 결과에 대한 효과성 측정(1)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class and group activities and outcomes

(2) 기관에서 제공한 학습 환경의 효과성 및 타당성에 대한 모니터링 및 측정 데이터 제공(2) provide monitoring and measurement data on the effectiveness and validity of the learning environment provided by the institution

(3) (고등 및 평생교육기관의 경우) 재등록율 제고를 위한 전략수립용 기초자료 제공(3)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trategies for enhancing re-enrollment rates (for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4) 교육과정 만족도 제고를 위한 전략 수립용 기초자료 제공(4) Providing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curriculum

(5) 교육과정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제공
(5) Provide data to support curriculum design

이상 소개한 기대에서 쉽게 추론해 볼 수 있듯이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기대에는 먼저 개인에 대한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있다. As can be easily deduced from the expectations presented above, there is a precondition that all stakeholders' expectations should first be gathered about the individual's data.

이는 매우 민감한 사항인데, 어떤 형태이든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것이므로 철저한 개인정보 보호 정책과 기술이 적용된 환경과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한 패턴을 분석할 경우에는 익명성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This is a very sensitive issue, as it involves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that contains personal information in any form, so anonymity must be guaranteed when thorough privacy policies and techniques are applied, and patterns that us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It is a point.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개인정보를 임의로 수집해서 개인의 동의 없이 분석하는 행위가 용납되는 경우는 없을 것이다. There will be no cases where collecting personal information from any country and analyzing it without the consent of the individual is unacceptable.

따라서 이해관계자들의 불안과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을 정도의 제도적인 조처와 기술 개발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refore, institutional measures and technology development should be concurrently carried out to resolve the anxiety and concern of stakeholders.

보통 정보 시스템은 세상에 흩어져 있는 데이터들을 거르거나 분류해서 가치 있는 정보 형태로 가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Usually, information systems play a role of filtering or sorting the data scattered around the world into valuable information form.

이 역할이 정상적으로 잘 수행된다면 우리는 복잡한 현상도 단순하고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다. If this role works well, we can understand complex phenomena simply and clearly.

반면 시스템이 정보를 잘못 가공한다면 중요한 세부 점들을 놓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ystem improperly processes information, important details may be missed.

학습 분석 분야도 비슷한 문제에 직면하는데, 학습 분석 시스템이 어떤 정보들을 표현하거나 표현하지 못하는지에 따라 해석력의 차이가 생길 수 있으므로 실효성과 공정성 논란이 발생할 수 있다. In the field of learning analysis, there is a similar problem. As the learning analysis system can not express or express some information,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interpretation power, so that effectiveness and fairness controversy may arise.

아래 목록은 최근 쟁점이 되고 있는 몇 가지 사항을 나열한 것이다. The list below lists some of the issues that have recently become a hot topic.

(1) 자동화된 조사와 연구는 지식에 대한 정의를 변화시키고 있다 (1) Automated research and research are changing the definition of knowledge

(2) 객관성과 정확성에 대한 주장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 (2) Assertions about objectivity and accuracy are misleading

(3) 데이터가 많은 것이 항상 나은 것은 아니다(3) Data is not always better

(4) 모든 데이터가 등가를 지니는 것은 아니다(4) Not all data are equivalent

(5) 누구나 데이터에 접근 가능했을 때 모두가 윤리적으로 행동하지는 않는다(5) Not everyone behaves ethically when anyone has access to data

(6) 빅데이터에 제한된 접근은 또 다른 정보격차를 야기한다
(6) Restricted access to big data causes another information gap

위에 나열한 쟁점들과 더불어 특히 심각하게 지적되는 데이터 중립성에 대한 논란도 있다. In addition to the issues listed above, there is also debate about data neutrality, which is particularly pointed out.

이 이슈는 데이터 수집, 가공, 분석, 조정 기능까지 이어지는 학습 분석의 생명주기 각 단계에는 사람의 전문성이나 경험에 기초한 판단이 개입되기 때문에 중립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This issue is that the life cycle stages of the learning analysis that follow up to data collection, processing, analysis, and coordination functions are not neutral because they involve judgments based on human expertise or experience.

다시 말해서, 모든 상황(맥락)을 식별할 수 있는 간단한 문장으로 표현한다는 것, 데이터는 그 자체로 표현한다(data speaks for itself) 는 말을 믿는 것은 매우 순진한 발상이라는 지적도 있다.In other words, it is pointed out that it is a very naive idea to believe that words are expressed in simple sentences that can identify all situations (contexts), and that data speaks for itself.

그 밖에도 윤리 문제에 대한 우려도 있는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학습 분석 기술이나 서비스도 기본적으로 개인정보를 공유하고 해석하는 것이어서 정보 윤리 문제와 직결되어 있다. There is also concern about ethical issues. As mentioned above, learning analysis technology and services basically share personal information and interpret it,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information ethics issue.

미국과 달리 국내 여건은 개인정보를 수집, 보관이용하는 절차가 엄격하게 규제되고 있기 때문에 무분별한 수집은 제도적으로 불가능하다. Unlike in the United States, indiscriminate collection is institutionally impossible because the process of collecting, storing and using personal information is strictly regulated in Korea.

그러나 제도적으로 불가능한 것과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것에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윤리 문제가 심각하게 고려되는 것이다. 주로 적법한 절차를 거쳐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인지, 수집된 데이터는 사전 동의를 구한 범위 내에서만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모니터링 절차가 뒷받침되어야 하고, 모니터 결과는 각 개인에게 투명하게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이 외에도 수집된 데이터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다른 목적으로 데이터를 조작하는 등의 비윤리적인 행동 역시 관찰될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윤리 문제에 포함되고 있다. However, because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what is institutionally impossible and what is technically impossible, ethical issues are taken seriously. The monitoring process should be supported to monitor whether the data is collected through legitimate procedures and whether the collected data is used only within the scope of obtaining prior consent, and the monitoring results should be transparent to each individual. In addition, the ethical issue is pointing out that unethical behaviors such as manipulating data for other purposes in the processing of collected data should also be observed.

아래 목록은 학습 분석과 관련하여 주로 대두되는 윤리 문제들을 정리한 것이다.The list below summarizes the ethical issues that are most often raised in connection with learning analysis.

(1) 누가 로그 데이터의 가치를 판단할 것인가?(1) Who will judge the value of the log data?

(2) 다른 데이터 세트와 결합 및 축적되면서 개인정보는 깨끗이 정리되었는가?(2) Is personal information cleanly organized as it is combined and accumulated with other data sets?

(3) 결합 및 축적된 데이터 세트는 객관적으로 비교 가능한 수준인가? (의도된 누락 또는 조작된 데이터는 없는지에 대한 이슈)(3) Is the combined and accumulated data sets objectively comparable? (Issues about whether there are missing omissions or manipulated data)

(4) 누가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결정할 것인가? 그리고 표현된 데이터는 충분히 해석 가능할 정도로 보이는가?(4) Who will decide to visualize the data? And does the represented data seem sufficiently interpretable?

(5) 학습자들은 자신과 또래 그룹의 분석 결과를 조회할 수 있는가?(5) Can learners look up their own and peer group analysis results?

(6) 교사들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습 활동에 적절히 개입할 수 있을 것인가?(6) Will teachers be able to intervene properly in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7) 수집된 데이터는 충분히 익명성이 보장되는가? 그리고 데이터에는 합리적인 수준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될 것인가?(7) Is the collected data sufficiently anonymous? And will data be allowed to be accessed at a reasonable level?

지금까지 소개한 바와 같이 학습 분석을 바라보는 기대와 우려는 각각 비슷한 수준으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학습 분석이라는 개념과 기술 개발이 비교적 초기 수준이기도 하지만, 특히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는 배경에는 최근 사회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과 관련된 이슈들이 계속 등장하는 상황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당분간은 학습 분석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같이 커져갈 것으로 예상된다.As we have seen so far, expectations and concerns about learning analysis have been raised to similar levels. Although the concept of learning analysis and technology development are relatively early, there seems to be a situation in which the issue of collecting and using personal information continues to emerge. Therefore, expectations and concerns about learning analysis are expected to grow for the time being.

다음으로,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학습 분석 유즈케이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analysis use cas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지난 20여 년간 국내외에서 ICT를 활용한 다양한 교육 방법을 시도하면서 풍부한 디지털 자료와 학습용 소프트웨어들이 소개되었다. Over the past 20 years, a wealth of digital materials and learning software have been introduced, attempting various educational methods using ICT at home and abroad.

그 중에는 온라인 콘텐츠와 문제은행, 게임, 소셜네트워크 등 최신 기술이 적용된 사례들도 다수 포함된다. Including online content, problem banks, games, and social networks.

그러나 새로운 기술이 적용된 콘텐츠와 서비스도 개인화된 학습환경을 지원하는 것과 학습 동기를 부여하는 면에서 다소 제한적이었던 경험은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However, content and services with new technologies are also limited in their support of personalized learning environments and in terms of motivating learners.

이와 같은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학습 분석 서비스에 대한 주목할 만한 유즈케이스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몇 가지 대표적인 예를 소개한다.
Based on these past experiences, notable use cases for learning analysis services based on learning data are presented, and some representative examples are introduced.

(1) 학습 분석 대시보드(Analytics Dashboard)(1) Analytics Analysis Dashboard

학습 플랫폼이나 학습용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하는 로그 데이터들은 매우 기술적인 포맷의 데이터로서 일반 사용자들에게 제공되지 않는 유형의 데이터이다. 보통 로그 데이터는 제한적으로 데이터 마이닝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분석 작업을 할 때 사용되기는 했지만, 테이블, 그래프 등 시각화된 포맷으로 가공되어 교수자나 학습자 등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아니었다. 학습 분석 대시보드 기능은 로그 데이터를 개인 사용자 또는 집단에게 이해하기 쉽게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기능이다. The log data generated in the learning platform or the learning software is a type of data that is not provided to the general users as data in a highly technical format. Usually, log data was used for limited analysis of data using software for data mining, but it was not provided to end users such as professors or learners because it was processed into visualized formats such as tables and graphs. The learning analysis dashboard function is a function that visualizes and provides the log data to an individual user or a group easily.

분석 대시보드는 로그 데이터 외에도 다양한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표현할 수 있는데, 온라인 학습 지원을 위해 운영되는 헬프데스크에 요청된 로그, 전자문서 형태로 제출된 리포트, 다양하게 사전에 설정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시각화할 수 있다. 분석 대시보드를 통해서 제공된 정보를 통해 학습자들은 동료 집단 중에서 자신의 (시험 성적, 포럼 기여도, 온오프라인 세미나 참석/참여 정도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o the log data, the analysis dashboard can collect data from a variety of sources, including logs requested in a help desk operated for online learning support, reports submitted in electronic form, correlations between various predefined variables Etc. can be analyzed and visualized in a comprehensive manner.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analytic dashboard, learners can identify their peers (relative to test scores, forum contributions, on-line seminar attendance / participation level) among peers.

(2) 예측 분석(Predictive Analytics)(2) Predictive Analytics

인구 통계적 수치(demographics)나 과거 성취도(attainment) 등과 같은 정적인 데이터와 로그인 패턴, 온라인 토론 참여 정도 등과 같은 동적인 데이터 등 학습자 통계 데이터의 패턴을 이용해서 사용자를 분석하는 방법을 말한다. 예측 분석은 위험 단계나 우수 단계에 위치한 학습자들의 궤적을 그려서 개별적으로 필요한 시점에 처방적 조치를 제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예측 분석을 통해 위험 단계의 궤적에 근접한 학습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평균이나 우수 단계로 진입하기 위한 활동 궤적을 안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총괄평가를 통과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은 학습을 시작하는 시점에 시험을 치르게 해서 판단하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정적이고 학습 현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제한점이 있기 때문에 실시간 학습 현황과 수준을 토대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예측 분석 방법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Refers to a method of analyzing users using patterns of learner statistical data such as static data such as demographics or past attainment, dynamic data such as login patterns,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online discussions. Predictive analysis has the advantage of drawing the trajectories of learners at risk or superior levels and suggesting prescription actions at individual time points. For example, a predictive analysis can send a warning message to learners approaching the trajectory of the risk step and guide the activity trajectory to enter the average or superior stage. The most reliable way to judge whether or not you can pass an overall evaluation so far is to judge by taking the test at the beginning of the learning. However, since this method is static and has limitations that do not reflect the learning situation, the predictive analysis method is more effective to judge based on the current status and level of real-time learning.

(3) 적응형 학습 분석(Adaptive Analytics)(3) Adaptive Analytics

적응형 학습 플랫폼은 특정한 (대수학, 광합성, 치과시술절차 등) 주제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 정도를 측정해서 세부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후속조치로서 관련된 디지털 자원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모델이다. 측정하는 방법 중 한 가지는 교과과정을 기반으로 한 시험을 통해 진단하는 것인데 현재 기술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선호되고 있다. 이 모델의 특징은 학습자가 선택한 주제에 대해 현재 어떤 수준의 이해에 도달했는지를 진단해서 적절한 콘텐츠를 표현(adaptive presentation of content)해 주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학습자가 이해할 수 없는 난이도의 콘텐츠를 생략할 수도 있기 때문에 동적인 학습자 인지 또는 적응형 콘텐츠 전달 환경에 관한 모델링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이 모델은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운영 가능한 것이어서 기존의 학습 플랫폼처럼 소프트웨어적인 기능만 제공하는 빈병 같은 모습과는 대조된다. 다시 말해, 플랫폼의 기능이 강조되지만 이 플랫폼은 풍부한 자원들로 채워진 상태에서 출발해야 한다.
An adaptive learning platform is a model that measures learners' understanding of a particular subject (algebra, photosynthesis, dental procedures, etc.), provides detailed feedback, and provides learners with relevant digital resources as a follow up. One way to measure is to diagnose through a curriculum-based test, which is preferred because it is the most reliable method available today. The feature of this model is to diagnose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at the learner has reached at the level of the current topic, and to make the adaptive presentation of content. In some cases, it may be necessary to model dynamic learner awareness or adaptive content delivery environments, since content of difficulty levels that the learner can not understand may be omitted. Above all, the model is operational based on a wealth of resources, contrasting with a blob like a traditional learning platform that provides only software functionality. In other words, the platform's emphasis is on functionality, but the platform must start with a rich set of resources.

(4) 소셜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tics)(4) Social Network Analytics

소셜네트워크 분석은 이미 잘 알려진 형태의 관계망 분석 모델이다. 이 분석 모델은 사람들이 어떻게 관계망을 형성하고 유지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용되며 주제어에 대한 빈도나 트렌드를 관계망과 연계해서 분석할 수도 있다. 사람들은 소셜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서로 다른 유형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관계에서부터 간접적인 관계까지 관계 설정의 정도나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는 학습자의 개인적 관계 설정이나 그룹의 구조가 효과적인 학습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 주 관심 대상이 된다.
Social network analysis is a well - known network model. This analytical model is used to help people understand how to form and maintain networks, and the frequency and trends of them can be analyzed in conjunction with the network. People can use social networks to create different types of relationships, ranging from direct affecting relationships to indirect relationship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re is an interest in analyzing whether learner's personal relationship setting or group structure has an effect on effective learning.

(5) 담화 분석(Discourse Analytics)(5) Discourse Analytics

학습 플랫폼이 제공하는 로그인 횟수, 게시글 조회수, 메시지 등록 건수 등과 같은 정량적인 정보는 매우 단순한 것이고, 학습 분석 관점에서는 너무도 당연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학습 분석에서는 정량적인 데이터 이상의 것이 필요하고 교수자에게는 학습 활동의 질적인 기여도를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담화 분석이란 활동의 내실을 판단하기 위한 모델이다. 패턴 인식이나 구문 분석 기술 분야에서 오랫동안 연구되던 주제인데, 이제 교육 분야에 본격적으로 적용을 시도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 관련 연구들은 교사들이 에세이나 토론 글에 어떻게 첨삭을 하는지, 쓰기와 말하기가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어떻게 컴퓨터가 우수한 논쟁 글을 인식하는지에 대한 분석이 한창 진행 중이다.
Quantitative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logins, the number of posts, and the number of message registrations provided by the learning platform is very simple, and it is a natural func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learning analysis. Learning analysis requires more than quantitative data, and the instructor needs to be provided with data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quality contribution of learning activities. Discourse analysis is a model for judging the effectiveness of activities. It is a subject that has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in the field of pattern recognition and parsing technology. Now, there is a situation that can be applied to education field in earnest. Related studies are in the process of analyzing how teachers add essays and discussions, how writing and speaking affect learning, and how computers recognize good arguments.

(6) ICT를 활용한 평가(Assessment using ICT)(6) Assessment using ICT (ICT)

UNESCO의 정책 기고서는 평가의 대상을 학습 경험에 대한 평가(assessing learning experience)와 개인에 대한 평가(assessing individual)로 구분하는데, 이 중에서 학습 경험에 대한 평가는 학습자의 수행에 대한 평가가 아니라 교육이 잘 이뤄지고 있는지에 대한 과정 평가라고 할 수 있다. 이 보고서에서 세부적인 기술 부분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학습 경험에 대한 평가는 교육과정이나 목표가 잘 달성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므로 개별 학습자들의 인지 수준에 대한 평가결과들이 축적되었을 때 추론할 수 있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앞서 학습 분석의 수준을 설명할 때 제시한 메소 수준(Meso-level)에 해당되는 분석이 필요한 주제이다.The UNESCO policy contribution distinguishes the evaluation subject from the assessing learning experience and the assessing individual. Among them, the assessment of the learning experience is not an assessment of the learner's performance, It is a process evaluation of whether it is well done. Although this report does not mention the details of the technology, evaluation of the learning experience is an assessment of whether the curriculum or goal is being achieved well, so it can be inferred when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individual learners' cognitive level are accumulated . This is a topic that needs analysis that corresponds to the meso-level that is presented when explaining the level of learning analysis.

ICT를 이용한 평가는 단순히 선택형 문항이나 진위형 문항 이상의 평가 방식에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가 얼마나 학습을 했는지, 어느 정도나 문제 해결능력을 향상시켰는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과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은 앞서 고려한 바와 같이 로그 데이터와 클릭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해서 분석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수준을 측정하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컴퓨터 게임에 적용된 기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스텔스 평가(stealth assessments)방식이 고려될 수 있는데, 이것은 게임의 중요한 부분으로 평가되는 수행 데이터 수집방식과 유사하게 평가과정을 교육 프로그램에 녹여 넣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학습자에게 평가 부담감을 없애기 위해 평가라는 절차를 학습 과정 중에 흐릿하게 녹여서 통합하는 방식이다. 기술적인 용어로 다시 해석하면, 활동 데이터를 수집해서 분석하는 학습 분석으로 기존의 시험형식으로 치러지는 평가를 대체하는 것이다.The evaluation using ICT should be able to be applied to the evaluation method of merely selected items or authentic type items or more. To do this, you need to be able to collect and analyze process data so you can make a judgment about how much you have learned and how much you have improved your problem-solving skills. Currently, the only way to consider this is to collect and analyze log data and clickstream data as previously discussed. However, since this method is not sufficient to measure the level, we can consider techniques applied to computer gam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Stealth assessments can be considered, which is a way to dissolve the evaluation process into an educational program, similar to how performance data is collected,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the game. This method is a method of blurring and integrating the evaluation process in the course of learning to eliminate the evaluation burden to learners. Reinterpreted in technical terms, learning analysis that collects and analyzes activity data is an alternative to evaluations that are performed in the traditional test format.

한편, 전술한 내용을 기초로 학습 활동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체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 본다.On the other hand, we will explain the learning activity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on the basis of the above-mentioned contents.

데이터의 기술적인 또는 내용적인 형태가 다양하다는 것은 그만큼 데이터를 수집하는 절차나 방법이 까다로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분석을 위한 데이터 가공에도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인프라와 방법이 필요하다. The diversity of the technical or content of the data means that the process or method of collecting the data can be tricky, and a new infrastructure and method are required for data processing for analysis.

무엇보다 학습 데이터 수집과 분석은 과거처럼 일부 의사결정자에게만 제공되는 데이터 마이닝과는 달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학습자와 교사부터 쉽게 데이터의 수집과정을 투명하게 모니터링하고 분석 결과에도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특성을 고려한 데이터 수집체계를 고려해야 한다. First of all, learnin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s different from data mining, which is provided only to some decision makers as in the past, and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easily monitor data collection process and access to analysis results from learners and teachers who generate data. Data collection systems should be considered.

이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 기반 분석 서비스를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워크플로우 설계가 선행되어야 한다. To embody this new type of data-based analysis service, a workflow design suitable for a new environment should be preceded.

도 6a는 본 발명과 관련된 학습 분석 서비스를 위한 주요 워크플로우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6A shows a specific example of a main workflow for a learning analysis ser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서는 설명한 데이터 수집체계부터 가공, 분석, 시각화 단계까지의 흐름과 각 단계별 특성을 설명한 것이다. The flow from the data collection system described in FIG. 6A to the processing, analysis, and visualization step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tep are described.

데이터 수집 기술의 발전으로 수집 행위는 어떤 방식으로든 구현이 가능하겠지만 그 다음 단계인 데이터의 저장과 처리과정에서 특히 주의가 요구되는 것이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data collection technology, collection behavior can be implemented in any way, but there is a need to pay particular attention to the next step - data storage and processing.

어떤 형태이든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것이므로 철저한 개인정보 보호 정책과 기술이 적용된 환경과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한 패턴을 분석할 경우에는 익명성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Any form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nvolves the inclusion of personal information so that anonymity must be ensured when analyzing patterns that utilize the environment and collected data that have been thoroughly protected by privacy policies and technologies.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개인정보를 임의로 수집해서 개인의 동의 없이 분석하는 행위가 용납되는 경우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해관계자들의 불안과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을 정도의 q 기술 개발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There will be no cases where collecting personal information from any country and analyzing it without the consent of the individual is unacceptable. Therefore, it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development of q technology that can relieve anxiety and concern of stakeholders.

학습 분석 서비스를 위한 제도적 장치와 안정적인 기술이 마련된다면 기대해 볼 수 있는 효과들은 매우 다양하다. If institutional devices and stable technologies for learning analysis services are provided, the expected effects are very diverse.

예를 들어, 개별 학생의 학습습관을 진단하고, 진도 점검이나 추천 서비스 등을 정확하게 수준별 및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For example, you can expect to benefit from the ability to diagnose individual student learning habits and provide accurate and customized levels of progress checks and referral services.

대시보드라고 하는 직관적인 방식으로 개별 학습자의 이해 수준, 그룹 내 상대적 위치, 과거 성공적으로 학습 과정을 마무리한 학습자들의 궤적과 나의 현 상황에 대한 비교 등 충분히 학습자에게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와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만한 정보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In an intuitive way, called dashboards, I am motivated and curious abou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individual learners, the relative position within the group, the trajectory of the learners who have successfully completed the learning process in the past, You will be able to give us some information to raise.

도 6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학습 분석 관련 해외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oreign case related to learning analysis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일부 대학과 기업들은 유사한 서비스들을 시범적으로 제공하고 시작했는데, 아래 도 6b는 대표적인 사례를 표로 요약한 것이다. Some universities and companies have begun offering and demonstrating similar services, as shown in Figure 6b below.

학습 분석 서비스는 학습자뿐만 아니라 교사가 학급 내 전체 학생에 대한 이해와 함께 개별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Learning analysis servic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not only to learner but also to teachers' understanding of all students in the class an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individual learners.

더 나아가 익명성 보장 하에 축적된 데이터 분석은 학교 수준의 교육목표에 대한 진단을, 교육청과 정부에는 정책에 대한 진단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수준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기대효과를 갖는다. Furthermore, the analysis of data accumulated under the guarantee of anonymity has an expected effect in that it can be extended to a level that can be used to diagnose the school-level education goals and to be used for the education offices and the government to diagnose policies.

또한, 학습 분석 체제는 교육과정과 연계해서 개별적인 학습자의 이해 수준을 시험을 통하지 않고도 추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학습자의 취약 부분을 파악해서 개선할 수 있는 학습자료 및 콘텐츠를 제시함으로써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학습 경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learning analysis system is expected to be able to infer individual learner's level of understanding without the test in conjun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it can control itself by presenting learning materials and contents You will be able to provide a learning path.

특히, 모바일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디지털 교과서와 온라인 콘텐츠 문제은행, 학습용 소프트웨어, 소셜네트워크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이용되는 학습 환경을 생각해 본다면, 데이터 수집 단계는 좀 더 구체적으로 설계될 필요가 있다. In particular, if mobile services are becoming commonplace and considering the learning environment where diverse applications such as digital textbooks, online content question banks, learning software, and social networks are used, the data collection step needs to be designed more specifically.

학습 데이터 수집체계를 설명하는 참조모델의 특징은 먼저 데이터 생성되는 곳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The feature of the reference model that describes the learning data collection system is that the place where the data is generated first must be structured systematically.

빅데이터의 경우 비정형데이터들을 특별한 규칙 없이 수집해서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반면, 학습 분석에서는 수집 단계부터 정제한 데이터(qualified data)를 대상으로 함으로써 데이터의 품질과 분석 결과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고 보는 점에서 차이점을 찾을 수 있다. In the case of big data, unstructured data is collected without special rules, and analysis algorithm is applied. In learning analysis, the quality of data and accuracy of analysis result can be improved by targeting qualified data from the collection stage Can be found in.

예를 들면, 온라인 콘텐츠와 학습 활동을 관리하는 학습 플랫폼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와 디지털 교과서와 같은 전자책 뷰어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는 각각 다른 곳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이지만, 데이터를 수집하는 에이전트 (또는 API)를 이용해서 한 곳으로 모아져야 한다. For example, data generated from a learning platform that manages online content and learning activities, and data generated by an e-book viewer such as a digital textbook are data that is generated elsewhere, but an agent (or API) It should be collected and used in one place.

일관된 사용자의 식별체계를 유지하면서 로그 파일에 담긴 정보들도 데이터 수집체계로 통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 측정 프로파일로 표현될 필요가 있다.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log file must be integrated into the data collection system while maintaining a consistent user identification system, so it needs to be represented as a data measurement profile.

데이터 수집 API Endpoint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인증체계가 확립된 데이터 수집환경에서 다양한 데이터 측정 프로파일을 준수하는 데이터 노출과 수집과정이 수행되면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저장소로 모든 데이터가 모아지게 된다. Data Collection API As can be seen in the endpoint, when data is exposed and collected in compliance with various data measurement profiles in an established data collection environment, all data is collected into the repository of the data analysis system.

따라서 표준화된 데이터 노출 및 수집체계는 학습 분석을 위한 데이터 생태계 조성을 위한 핵심 성공요인으로 조명될 필요가 있다. Therefore, a standardized data exposure and collection system needs to be highlighted as a key success factor for creating a data ecosystem for learning analysis.

학습 데이터 수집체계의 중요성을 인식한 국제 표준화 기구와 민간단체들이 우선 집중하는 주제도 이 부분에 대한 우선순위를 매우 높게 선정하여 현재 표준 개발을 진행 중이다.The priority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and the private organizations that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learning data collection system is very high, and the current standard development is under way.

또한, 학습 데이터를 분석해서 개별 학습자에게 현 수준을 직관적으로 제시해주는 것도 과거에 비해 매우 달라진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In addition, analyzing learning data and intuitively presenting the current level to individual learners is a much different service than in the past.

그러나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개별 학습자의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제시하는 것에 더해서 보완할 수 있는 방법과 재료를 같이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However,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s of collecting and analyzing learning data, it is necessary to provide methods and materials that can complement the individual learners in addition to suggesting areas for improvement.

그러기 위해서는 학습 분석 기술 외에 가용한 방법들을 더 고려할 필요가 있는데, 대안으로는 링크드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To do this, you need to take into account available methods other than learning analysis techniques. An alternative is to use linked data.

미국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은 2009년부터 2014년 까지 5년 간 미국 50개 주의 교육과정을 의미적으로 분석하여 세부 주제들을 링크드 데이터로 발행하는 연구를 지원한 바 있다.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has provided semantic analysis of the curriculum of 50 states in the United States for five years from 2009 to 2014 and has supported research on publishing detailed topics in Linked Data.

결과물은 ASN (Achievement Standards Network) Framework으로 불리며, 현재 미국 외 호주, 영국 등 영어권 국가들의 초·중등 교육과정의 주제들을 의미적으로 연결하는 시도로 확대되고 있다. The result is called the Achievement Standards Network (ASN) Framework and is currently being expanded to attempt to semantically link the subjects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s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such as Australia and UK.

도 7은 ASN Framework에서 수학 교과의 주제 단위 연결을 보여주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신한 것이다.Fig. 7 is a concrete example showing a topic unit connection of a mathematics subject in the ASN Framework.

즉, 도 7은 ASN Framework을 구성하는 여러 교과의 주제 정보 중에서 수학 교과의 각 주제 단위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예시이다. That is, FIG. 7 is an example showing how the subject units of the mathematics subject are composed among the subject information of the various subjects constituting the ASN Framework.

각각의 주제는 개념적인 종속 관계로 연결되어 있으며, 링크드 데이터로 발행되면서 각각의 주제에 고유한 식별체계가 부여되어 있어서 교과 간 주제 연계도 가능하도록 확장성이 고려돼 있다. Each topic is linked by a conceptual subordinate relationship, and since it is published as linked data, a unique identification system is assigned to each topic, so extensibility is considered to be able to link themes between subjects.

또한, 이렇게 교육과정의 주제 단위 정보를 링크드 데이터로 발행하면 지금까지 교육과정을 성취기준 문서로 접하던 방식에서 인터넷에서 정보를 탐색하듯이 필요한 요구기준을 세부 주제단위로 검색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publishing the topic unit information of the curriculum as Linked data, it is possible to retrieve the required criteria based on the detailed topic as in the case where the curriculum is referred to as the achievement criterion document.

이와 같은 데이터 공개 방식은 큰 틀에서 정부 3.0의 공공정보 개방 정책의 일환으로도 이해될 수 있으며, 지금까지 일부 전문가에게만 국한되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모와 학생 등 더 폭넓은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is type of data disclosure can be understood as part of the public information disclosure policy of the government 3.0 in a large framework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limited to only some experts has been provided to a wider range of stakeholders such as parents and students The effect can be expected.

교육과정을 의미적으로 연결한 링크드 데이터가 실제 학습자들의 학습 경로에 반영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세부 주제가 디지털 자료 또는 콘텐츠와 연결될 필요가 있다. In order for semantically linked Linked Data to be reflected in the learning path of the actual learners, each detailed topic needs to be linked to digital data or content.

디지털 자료나 콘텐츠는 지금까지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인터넷에서 검색이 가능하도록 공유체제를 구성해서 활용했었는데, 앞으로는 교육과정의 주제 단위로 연결되어서 활용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Digital data and contents have been used to organize the sharing system so that the metadata can be searched on the Internet so far, and it is expected that the utilization will be improved by linking them to the topic unit of the curriculum.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자원에는 고유한 식별체계가 부여되어서 어느 주제와도 관련성이 있다면 반복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과거 어느 방식보다 활용 기회를 높일 수 있다. As with the curriculum, each resource is given a unique identification scheme so that if any topic is relevant, it can be linked repeatedly, which can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more than any other method.

미국의 ASN Framework도 시범적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연결하여 활용 가능성을 시험해 보았으며, 앞으로 더 많은 콘텐츠와 자원을 연결할 것으로 보인다. The US ASN Framework also tries to link digital content to testability, and it is likely to link more content and resources in the future.

이제 교육과정과 디지털 자원이 링크드 데이터로 연결되었다면, 학습 분석 결과에 반영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학습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약점, 예를 들어 수학교과의 도형 부분이 약점으로 발견되면, 도형 중에서 어떤 세부 주제들의 이해가 더 필요한지를 학습 경로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Now, if curriculum and digital resources are linked with linked data, it becomes possible to reflect on the results of the learning analysis. If the weakness of the learners' weak points, for example, the figure part of the mathematics subject, is found as a weak point through the learning analysis, it will be possible to construct the learning path as to which of the detailed topics need further understanding.

학습 노드는 주제 단위로 구성되며, 또한 각 학습노드에는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자원(이미지, 비디오, 애니메이션)과 콘텐츠(사이버학습, EBS 등)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스로 학습 속도와 진도를 조절할 수 있다. Learning nodes consist of thematic units. In addition, each learning node has digital resources (image, video, animation) and contents (cyber learning, EBS etc) that can be used for learning. have.

도 8는 본 발명과 관련된 학습 분석과 링크드 데이터 기술을 연계한 학습 경로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개념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FIG. 8 illustrates a concrete example of a learning path linking learning analysis and linked data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concept described above.

한편, 학습 활동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중에는 독서노트, 과제 제출, 주제별 클리핑 자료 등 개인의 학습 포트폴리오로 구성해서 관리할 수 있을 만큼의 의미 있는 자료들도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on learning activities will include meaningful data that can be organized into individual learning portfolios such as reading notes, task submissions, and clipping materials for themes.

예를 들어, NEIS(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에 기록된 학생기록부를 학습 활동의 결과 값으로 해석한다면, 학습 분석을 위해 활용된 학습 데이터와 분석 결과는 중간 값으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if the student records recorded in the NEIS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are interpreted as the results of the learning activities, the learning data and analysis results used for the learning analysis may be given meaning as intermediate values.

따라서 과정과 결과를 연결지어 이해한다면 학습자, 교사, 학부모 등 주요한 이해관계자들이 보다 구체적이고 통찰력 있는 이해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언이나 도움을 주고받을 때의 효과도 배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refore, if we understand the process and the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e major stakeholders such as learners, teachers, and par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more concrete and insightful, and will also have the effect of giving advice and help.

학습 분석과 연계한 학습 포트폴리오 관리환경 역시 전과 다른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Learning portfolio management environment linked with learning analysis should also be approached differently from before.

학습 과정 중에 생성되는 학생의 주요한 기록물과 분석 결과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개인 저장 공간으로 옮겨주고, 이를 포트폴리오 형태로 관리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도 학습 활동을 지원하는 중요한 기능 중 하나로 주목된다.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of the cloud service is to support learning activities by classifying the main records and analysis results generated by the student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and transferring them to the personal storage space and managing them in the form of a portfolio.

이러한 포트폴리오 환경은 학습자가 마치 블로그를 관리하듯이 자신의 학습 기록물들을 보존하고, 또래 그룹과 재능 기부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창의적인 개인 저작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가능성도 기대해 볼 수 있다. This portfolio environment can be expected to enable learners to preserve their learning records as they manage blogs, and to develop them into creative personal works through peer groups and exchange with talented donors.

대상이 되는 데이터 중에는 과제나 협업 산출물과 같은 학습 기록물, 독서 노트와 같은 개인 기록물, 온라인 토론이나 메시지 같은 학습활동 데이터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포트폴리오 환경은 이러한 데이터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체계적인 관리를 손쉽게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 포트폴리오가 체계적으로 관리된다면 학습자들의 기록물들은 향후 전자책 형태의 개인 저작물로도 출간할 수 있을 것이며, 소셜네트워크 등 개방형 유통 체계를 통해 공유하는 방식의 서비스도 생각해 볼 수 있다. Among the targeted data, learning data such as learning records such as tasks and collaborative artifacts, personal records such as reading notes, and online activity data such as online discussions and messages can be included. The portfolio environment can easily support systematic management by classifying such data by type . If the learning portfolio is managed systematically, the learner 's records will be able to be published as an e - book - type individual work, and services can be considered to be shared through open distribution systems such as social networks.

도 9은 본 발명과 관련된 학습 포트폴리오의 개념적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9 shows an example of a conceptual configuration of a learning portfolio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9은 지금까지 나열한 학습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단계를 네 가지로 축약한 그림이다. Specifically, FIG. 9 is a drawing of four steps constituting the learning portfolio listed up to now.

학습 포트폴리오는 교육 분야에서 ICT를 활용한 대부분의 기간 동안 연구되고 구성 방안이 제시된 만큼, 관점에 따라서는 여섯 가지 이상의 단계로 구성하는 경우도 많다. The learning portfolio has been studied and structured for most of the time using ICT in the education field, so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learning portfolio consists of six or more steps depending on the viewpoint.

추상적인 개념을 간단히 표현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소셜네트워크와 클라우드 서비스를 반영하여 아래와 같이 네 단계로 주요점을 요약한다. In order to express the abstract concept briefly, this study summarizes the main points in the following four steps, reflecting the social network and the cloud service.

학습 포트폴리오가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려면 무엇보다 학습자의 학습 경험에 반영되는 것이 중요하다. In order for the learning portfolio to have a substantial effect, it is important to be reflected in the learner's learning experience.

기록과 경험이 연계되지 않는 다면 마치 USB와 같은 이동식 저장장치에 기록물을 저장한 후에 잊어버리는 것과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If the record and experience are not tied together, it is no different than to forget it after storing it on a removable storage device such as USB.

학습 포트폴리오에 계속 기록물과 경험이 축적되면서 학습자는 자신의 장단점과 학습 주제에 대한 약점과 강점들도 인지할 수 있고 앞으로 전개될 상황에 대한 통찰력도 갖게 될 것이다. 이전에는 평균 그룹에 맞춰진 학습과정과 활동을 수행했지만, 학습 포트폴리오를 통해 개인과 그룹에 최적화된 계획 수립과 디자인을 기대할 수 있다. As records and experience continue to accumulate in the learning portfolio, learners will also be able to recognize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weaknesses in learning themes, and will also have insights into what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Previously, the learning process and activities were tailored to the average group, but the learning portfolio can be used to optimize planning and design for individuals and groups.

자료 탐색의 정확도를 더 높일 수 있으며, 그와 같은 탐색을 지원할 수 있을 만큼의 링크드 데이터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data search and to expect the linked data enough to support such search.

새로운 학습과 활동이 수행되면 친숙한 미디어 형식인 블로그 또는 소셜 미디어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포트폴리오는 공개되고 공유될 수 있다. 교사나 동료, 전문가들로부터 결과물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객관적인 평가를 기대할 수도 있다. When new learning and activities are carried out, the portfolio can be made public and shared through interfaces such as blogs or social media, which are familiar media formats. An objective evaluation can be expected from feedback from teachers, colleagues, and experts.

끝으로 수렴한 피드백을 반영한 개선 계획과 문제점 진단 단계로 이어진 후에는 다시 학습 경험에 반영되는 사이클이 계속 전개된다. 이러한 순환 주기가 반복되면서 축적되는 개인의 포트폴리오는 작은 역사이면서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기록물로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After the improvement plan reflecting the feedback collected at the end and the problem diagnosis stage, the cycle that is reflected in the learning experience continues to develop again. As the circulation cycle repeats, the accumulating individual's portfolio can be a small history and can give a great meaning as a record to reflect on oneself.

특히 블로그와 소셜 미디어 활용이 일반화되면서, 학습 포트폴리오에 기록된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은 학습자의 의지 또는 교사의 권유로 선별적으로 공개하고, 커뮤니티 프로그램(소셜네트워크 등)을 이용해서 구체화된 주제를 지자체 또는 기업이 채택하여 실현하는 사례도 생겨나고 있다. In particular, as blogs and social media use become more common, creative ideas recorded in a learning portfolio are selectively disclosed by the will of the learner or the teacher, and communities of interest (such as social networks) There are also cases of adopting and realizing.

이와 같은 경험은 학습자들이 좀 더 지역사회를 잘 이해하고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워나가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experience will help learners to better understand the community and develop creative and practical problem solving skills.

지자체의 쓰레기 처리 문제를 그 지역 학교의 학생들이 해법을 제시하도록 의뢰하였으며, 실제로 채택된 아이디어에는 컨설팅 비용을 지불하고 그 지역의 정책으로 채택한 사례가 있다. The local governments have asked the students of the local schools to present the solution to the waste disposal of local governments. In fact, the ideas that have been adopted include the cost of consulting and the adoption of local policies.

민간 기업도 초등학생 그룹과 협업을 통해 신제품을 개발한 사례가 있는데, 미국의 모토로라의 연구개발 부서는 초등학생 그룹과 협업을 통해 플립형 휴대전화 모델인 스타텍(StarTAC) 디자인을 개발했다고 한다. Private companies have also collaborated with elementary school groups to develop new products. Motorola's R & D department in the United States has developed a StarTAC design, a flip-type mobile phone model, in collaboration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유사하게 우리 마을 이해하기라는 과제가 학생들의 협업 프로젝트로 자주 수행되고 있는데, 결과물에 재능기부자들의 도움을 더해서 지역 발전 전략으로 제안하거나 지자체에서 채택하는 사례를 늘여나가는 방안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Similarly, the task of understanding our village is frequently carried out as a collaborative project of students. We need to think about ways to propose a local development strategy or extend the cases adopted by the local government, with the help of talented donors.

무엇보다 학습 분석과 연계한 학습 포트폴리오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가장 큰 장점은 체계적이고 정확한 적성 및 진로상담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First of all, the biggest advantage that can be expected through learning portfolio linked with learning analysis is systematic and accurate aptitude and career counseling.

도 10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학습 분석과 연계한 학습 포트폴리오의 순환 모델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FIG. 10 shows a specific example of a circulation model of a learning portfolio linked with the learning analysi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학습 분석을 통해 교과 학습에 대한 진단은 학습자의 교과 주제별 강점과 약점을 찾아내어 학습의 동기부여와 처방적 조치를 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앞서 소개를 하였다. Referring to FIG. 10, the diagnosis of the curriculum learning through learning analysis is first introduced to find ou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subject of the learner, and to motivate and prescribe the learning.

학습 포트폴리오는 교과 학습에 더해 학습자가 갖고 있는 흥미와 관심이 변하거나 발전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적성과 진로상담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It is expected that the learning portfolio will be an important data for aptitude and career counseling because it can understand the process of changing or developing the interest and interest of learners in addition to subject learning.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 스스로 지금 자신의 관심과 장래희망을 학습 포트폴리오에 기초해서 판단해 볼 수 있도록 적성 및 진로정보도 링크드 데이터로 발행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자녀의 적성과 진로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인 데이터가 부족해서 유료 상담을 이용한다고 한다. To this end, the aptitude and career information needs to be published as linked data so that learners themselves can judge their interests and future hopes based on their learning portfolios. Most parents are very interested in their aptitude and careers, but they do not have enough objective data to identify and use paid counseling.

이러한 현상은 소득격차에 따른 기회의 차이를 야기할 수도 있으며, 막연한 불안감으로 인한 무분별한 경쟁을 야기할 수도 있다. This phenomenon may lead to differences in opportunity depending on the income gap and may lead to indiscriminate competition due to vague anxiety.

따라서 무조건적인 사교육과 학부모의 막연한 불안감 해소를 위해서 구체적인 학습 태도, 현황, 그 외의 학습 기록물들을 포트폴리오로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한다면 학부모와 심층적인 소통 채널을 강화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Therefore, providing unconditional tutoring and parents' systematic management of a specific learning attitude, current status, and other learning records in order to resolve vague anxiety will also help strengthen the in-depth communication channel with parents.

보다 효과적인 포트폴리오 이해와 소통을 위해서 학습 분석의 대시보드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학습 포트폴리오도 직관적인 그래픽 형식의 정보 표현방식을 적용한 대시보드 방식이 적절할 것이다.For more effective portfolio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a dashboard method that uses an intuitive graphical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s well as a learning portfolio dashboard service would be appropriate.

학습 활동과 학습 포트폴리오를 종합 분석하는 것은 집단으로서가 아니라 개인에 대한 적성과 진로정보를 탐색하는데도 매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 comprehensive analysis of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portfolios is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in searching for aptitude and career information for individuals rather than for groups.

데이터에 기반한 사실적인 분석 결과와 직관적인 정보 제공 방식은 학부모에게도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불필요한 사교육 의존도를 낮추게 도움을 줄 것이다.Data-based realistic analysis and intuitive information delivery will help parents eliminate vague anxieties and reduce their dependence on unnecessary private tutoring.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 method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and method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

Claims (19)

학습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학습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학습과 관련된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교육과정 정보, 교육컨텐츠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특화된 학습 안내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통신부가 상기 결정한 학습 안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시스템.
A system for providing a learning portfolio,
A memory for storing curriculum information and education content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learning to a user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and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of the user related to the learning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nalysis data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and the feedback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specific to the user using the analysis data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determined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는 변경 가능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변경된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and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can be changed,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urther receives the changed curriculum information and education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과정 정보는,
초등학교,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 직업훈련 교육과정, 고등 교육과정 및 해외 교육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comprises:
A learning portfolio system, compris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vocational training curriculum, higher education curriculum and foreign curriculu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컨텐츠 정보는,
학술 데이터베이스 정보, 민간 데이터베이스 정보, 해외 교육컨텐츠 정보 및 학원에서 제공하는 개별 교육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includes:
Academic database information, private database information, overseas education content information, and individual education conten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stitu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디지털 컨텐츠를 통해 발생되는 데이터 정보, 학습 플랫폼을 통해 발생하는 학습 활동 데이터 정보, 교육기관에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정보, 상기 사용자의 경력과 인맥에 대한 데이터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링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eedback information
Data generated through digital contents, learning activity data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learning platform, data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 data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areer and connections, and information during the profiling of the user Wherein the learning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육과정 정보, 교육컨텐츠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은,
학습 활동 측정 기준, 맥락 기준, 참여도 기준 및 성취도 기준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 활동 측정 기준은,
읽기, 강좌, 퀴즈, 프로젝트, 과제, 미디어, 교습, 지도, 조사, 평가, 협업, 주석, 게이밍, 소셜, 메시징, 스케줄링 및 토론 기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iterion for the analysis unit to generate the analysis data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Learning activity metrics, contextual criteria, participation criteria, and achievement criteria,
The learning activity measurement standard includes:
Wherein the learning portfolio includes a reading, a lecture, a quiz, a project, a task, a media, a tutorial, a map, an investigation, an evaluation, a collaboration, an annotation, a gaming, a social messaging, a scheduling and a discussion criter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육과정 정보, 교육컨텐츠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학습 분석 대시보드 방법, 예측 분석 방법, 적응형 학습 분석 방법, 소셜네트워크 분석 방법, 담화 분석 방법 및 ICT를 활용한 평가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generates analysis data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and the feedback information,
A learning analysis dashboard method, a predictive analysis method, an adaptive learning analysis method, a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a discourse analysis method, and an evaluation method using IC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안내 정보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학습 안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includes:
And the learn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supplementing the weakness of the user determined using the analysis dat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무선통신부 간에는 근거리 통신 및 원거리 통신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은, ANT,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기술을 포함하고,
상기 원거리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nd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is us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includes ANT,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technology,
The long-range communication include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and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he learning portfolio providing system comprising:
학습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학습을 이동 단말기가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학습과 관련된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교육과정 정보, 교육컨텐츠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특화된 학습 안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한 학습 안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방법.
In a method for providing a learning portfolio,
Storing training course information and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the user with learning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and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of the user associated with the learning from the mobile terminal;
Generating analysis data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and the feedback information;
Determining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specific to the user using the analysis data; And
And transmitting the determined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는 변경 가능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변경된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and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can be changed,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urther receives the changed curriculum information and education content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our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과정 정보는,
초등학교,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 직업훈련 교육과정, 고등 교육과정 및 해외 교육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comprises:
A method for providing a learning portfolio,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providing a learning portfolio comprising an elementary school, a middle school and a high school curriculum, a vocational training curriculum, a higher education curriculum, and an overseas curriculum.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컨텐츠 정보는,
학술 데이터베이스 정보, 민간 데이터베이스 정보, 해외 교육컨텐츠 정보 및 학원에서 제공하는 개별 교육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includes:
Academic database information, private database information, overseas education content information, and individual education conten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stitut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디지털 컨텐츠를 통해 발생되는 데이터 정보, 학습 플랫폼을 통해 발생하는 학습 활동 데이터 정보, 교육기관에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정보, 상기 사용자의 경력과 인맥에 대한 데이터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링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eedback information
Data generated through digital contents, learning activity data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learning platform, data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 data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areer and connections, and information during the profiling of the user Wherein the learning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과정 정보, 교육컨텐츠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은,
학습 활동 측정 기준, 맥락 기준, 참여도 기준 및 성취도 기준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 활동 측정 기준은,
읽기, 강좌, 퀴즈, 프로젝트, 과제, 미디어, 교습, 지도, 조사, 평가, 협업, 주석, 게이밍, 소셜, 메시징, 스케줄링 및 토론 기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riterion for generating the analysis data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Learning activity metrics, contextual criteria, participation criteria, and achievement criteria,
The learning activity measurement standard includes:
Reading, teaching, lecture, quiz, project, assignment, media, teaching, guidance, research, evaluation, collaboration, annotation, gaming, social, messaging, scheduling and discussion criteria.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과정 정보, 교육컨텐츠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학습 분석 대시보드 방법, 예측 분석 방법, 적응형 학습 분석 방법, 소셜네트워크 분석 방법, 담화 분석 방법 및 ICT를 활용한 평가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ethod of generating analysis data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and the feedback information,
Learning analysis dashboard method, predictive analysis method, adaptive learning analysis method,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discourse analysis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using ICT.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안내 정보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학습 안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includes:
And the learning information is supplementary to weaknesses of the user determined using the analysis data.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의 전송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은 근거리 통신 및 원거리 통신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은, ANT,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기술을 포함하고,
상기 원거리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t least one of the local communication and the remote communication is used for the transmission to the mobile terminal or the recep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includes ANT,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technology,
The long-range communication include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and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Wherein the learning portfolio comprises a plurality of learning portfolios.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방법은,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학습을 이동 단말기가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학습과 관련된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교육과정 정보, 교육컨텐츠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특화된 학습 안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한 학습 안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of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to implement a learning portfolio providing method is tangibly embodied and which can be read by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the learning portfolio providing method comprises:
Storing training course information and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the user with learning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and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of the user associated with the learning from the mobile terminal;
Generating analysis data using the training course information, th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and the feedback information;
Determining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specific to the user using the analysis data; And
And transmitting the determined learning guidanc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KR1020150006342A 2015-01-13 2015-01-13 Method for planning portfolio using learner analysis data on the basis of mobile terminal and service KR1016926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342A KR101692603B1 (en) 2015-01-13 2015-01-13 Method for planning portfolio using learner analysis data on the basis of mobile terminal and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342A KR101692603B1 (en) 2015-01-13 2015-01-13 Method for planning portfolio using learner analysis data on the basis of mobile terminal and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478A true KR20160087478A (en) 2016-07-22
KR101692603B1 KR101692603B1 (en) 2017-01-04

Family

ID=56681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342A KR101692603B1 (en) 2015-01-13 2015-01-13 Method for planning portfolio using learner analysis data on the basis of mobile terminal and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60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70314A1 (en) 2016-07-11 2018-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user using multiple biometric verifiers
KR101872826B1 (en) * 2017-03-29 2018-06-29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supporting rejoining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the method by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913B1 (en) 2020-05-15 2022-05-09 주식회사 비다스테크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business portfolio interworked with multiple sns platform
KR20230038624A (en) 2021-09-12 2023-03-21 주식회사 세타랩 Clinical training field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smart device and U-portfolio, and computer readable recoding medium thereof
KR20230060306A (en)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세타랩 Clinical training field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tablet PC and U-portfolio, and computer readable recoding medium thereof
KR20230064861A (en) 2021-11-04 2023-05-11 김준호 Educational institution matching system and method through portfolio analysi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267A (en) 2010-05-04 2011-11-10 하정현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cholastic ability to automatically provide custom-made studying data
KR20120044520A (en) * 2010-10-28 2012-05-08 김종원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 based on user learning status
KR20130100817A (en) * 2012-02-01 2013-09-12 주식회사 엔스마트솔루션 A cloud computing based n screen smart education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KR20140122592A (en) * 2013-04-10 2014-10-20 김정은 Learning contents provision method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267A (en) 2010-05-04 2011-11-10 하정현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cholastic ability to automatically provide custom-made studying data
KR20120044520A (en) * 2010-10-28 2012-05-08 김종원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 based on user learning status
KR20130100817A (en) * 2012-02-01 2013-09-12 주식회사 엔스마트솔루션 A cloud computing based n screen smart education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KR20140122592A (en) * 2013-04-10 2014-10-20 김정은 Learning contents provision method and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70314A1 (en) 2016-07-11 2018-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user using multiple biometric verifiers
KR101872826B1 (en) * 2017-03-29 2018-06-29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supporting rejoining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the method by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603B1 (en)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ssab et al.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Internet of things in education: Benefits and challenges
Yung et al. New realiti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in tourism research
Sergis et al. Teaching and learning analytics to support teacher inquir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pp et al. Knowledge management for policy impact: the case of the European Commission’s Joint Research Centre
Huda et al. Innovative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The big data approach
US11056013B1 (en) Dynamic filtering and tagging functionality implemented in collaborative, social online education networks
Thomas et al. Standing in the schoolhouse door: Teacher perceptions of mobile phones in the classroom
Rosa et al. A multi-temporal context-aware system for competences management
Wong A brief history of mobile seamless learning
KR101692603B1 (en) Method for planning portfolio using learner analysis data on the basis of mobile terminal and service
Aktaruzzaman et al. An innovative approach toward a comprehensive distance education framework for a developing country
Burke et al. Improving mobile learning in secondary mathematics and science: Listening to students
Lin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in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toward sustainable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Hilal et al.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a comparative analysis for a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google classroom and zoom
Aljaber The reality of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for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of Saudi Arabia
Alfoudari et al. Exploring quality attributes of smart classrooms from the perspectives of academics
Deng et al. Understanding user values of wearable computing
Westwood et al. Making it ‘APP’en: service user feedback: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service user APP: reflections from Northern Ireland, England and Scotland
Andronico et al. Personalisation services for learning management systems in mobile settings
Fonseca et al. Information society skills: Is knowledge accessible for all? Part II
Starkey et al. Equitable digital access to the internet beyond school: A literature review
Smith et al. Designing for active learning: Putting learning into context with mobile devices
KR20190075727A (en) Method for planning portfolio using learner analysis data on the basis of mobile terminal and service
Hanrahan et al. Evaluating software for communities using social affordances
Wang et al. Adaptive Education System for Drama Education in College Education System Based on Human-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