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999A -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 - Google Patents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999A
KR20160086999A KR1020150003977A KR20150003977A KR20160086999A KR 20160086999 A KR20160086999 A KR 20160086999A KR 1020150003977 A KR1020150003977 A KR 1020150003977A KR 20150003977 A KR20150003977 A KR 20150003977A KR 20160086999 A KR20160086999 A KR 20160086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unit
refrigerator
cream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해정
최희재
Original Assignee
안해정
최희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해정, 최희재 filed Critical 안해정
Priority to KR1020150003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6999A/ko
Publication of KR20160086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0Pump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11Means for controlling the build-up of foam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 B67D1/1416Means for controlling the build-up of foam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comprising foam in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77Devices for assisting tap handling, e.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에 관한 기술로서, 내부에 맥주캔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구비되며, 냉장을 위한 냉장모듈이 구비되는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에 대해 개폐되도록 힌지 결합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정면측에 결합되는 맥주 취출유닛; 상기 맥주 취출유닛 하방으로 상기 도어 정면에 장착되는 컵 받침대; 상기 맥주 취출유닛과 연결되도록 상기 도어 후면에 마련되며, 크림 발생부를 포함하는 맥주 공급유닛; 상기 맥주 공급유닛의 상측 또는 하측에 마련되는 맥주캔 장착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복수의 맥주캔을 냉장보관할 수 있고, 상기 맥주캔 장착대에 저장된 맥주캔을 장착하여 상기 맥주 취출유닛을 통해 크림 맥주를 취출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Beer refrigerator which is possible to make creme beer}
본 발명은 맥주를 보다 간편하고도 맛있게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맥주를 냉장보관할 수 있고, 보관된 맥주를 먹고자 할 때에는 크림을 생성시켜서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에 관한 기술이다.
보다 안전하게 먹거리를 보관하기 위해 냉장고가 사용되고 있는데, 기술의 발전과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보다 용량이 크거나 디자인이 독특한 냉장고가 끊임없이 출시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용도를 세분화하여 특수 목적의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김치 냉장고, 와인 냉장고, 화장품 냉장고, 쌀 냉장고 등이 있다. 동시에 이런 특수 목적의 전용 냉장고들은 작은 사이즈로 제공되어 보관이 용이하고 인테리어 소품의 기능이 가능하도록 디자인이 미려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특수 목적의 전용 냉장고들은 보관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상온보다는 냉장 보관할 때 맛이 좋거나 변질이 빨리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는 것이다.
온도가 맛을 좌우하는 대표적인 주류로 맥주가 있으며, 맥주는 대략 4~10℃로 보관될 때 맛이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보통 일반 가정에서 맥주를 보관할 때는 대형 냉장고에 각종 음식물이나 야채류, 반찬 등과 함께 보관하므로 맥주만을 위한 특정 온도로 냉장고를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런 측면에서 맥주만을 보관하기 위한 맥주 전용의 맥주 냉장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알콜 도수가 높지 않고 남성뿐 아니라 여성들이 마시기에도 부담이 없는 관계로 맥주 시장은 더욱 크지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는 다양한 수입 맥주들이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어 맥주 소비는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맥주를 보다 맛있게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맥주 전문점 등에서는 크림이 생성되게 하여 제공함으로써 보다 부드럽고 독특한 맛의 맥주를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41248호의 "음료 분배용 조립체"가 있으며,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음료 분배용 조립체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음료 분배용 조립체는 맥주를 압력챔버(4)내의 보관용기에 저장해두고 거품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여 맥주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생맥주를 저장해두고서 맥주를 따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캔맥주를 냉장 보관하면서 마시고자 할 때 캔맥주를 따서 크림을 발생되게 하여 마시고자 하는 용도로는 사용될 수가 없다. 즉, 종래기술은 압력챔버내의 보관용기에 다량의 생맥주를 저장해야 한다는 점에서 캔맥주를 보다 맛있게 마시고자 하는 용도로는 부적합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41248호
따라서 본 발명은 가정에서도 맥주를 언제라도 맛있게 즐길 수 있는 맥주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해 캔맥주를 다수 냉장 보관할 수 있고 캔맥주를 마시고자 할 때 캔맥주를 딴 후 간단하게 도어에 구비되는 맥주캔 장착대에 맥주캔을 장착하여 맥주를 컵에 취출시 크림이 생성되게 함으로써 보다 고급스럽고 맛있는 맥주를 마실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는, 내부에 맥주캔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구비되며, 냉장을 위한 냉장모듈이 구비되는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에 대해 개폐되도록 힌지 결합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정면측에 결합되는 맥주 취출유닛; 상기 맥주 취출유닛 하방으로 상기 도어 정면에 장착되는 컵 받침대; 상기 맥주 취출유닛과 연결되도록 상기 도어 후면에 마련되며, 크림 발생부를 포함하는 맥주 공급유닛; 상기 맥주 공급유닛의 상측 또는 하측에 마련되는 맥주캔 장착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복수의 맥주캔을 냉장보관할 수 있고, 상기 맥주캔 장착대에 저장된 맥주캔을 장착하여 상기 맥주 취출유닛을 통해 크림 맥주를 취출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맥주 취출유닛은, 하방으로 향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 상부에 마련되는 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레버는 전후진 동작되되, 전진 동작시에는 액상의 맥주가 취출되고 후진 동작시에는 상기 크림 발생부가 작동되어 크림이 생성되어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맥주 공급유닛은, 일단은 상기 맥주 취출유닛과 연결되며, 타단은 맥주캔 내부 혹은 맥주 흡입부로 연결되는 공급호스; 상기 레버를 조작시에 상기 공급호스를 통해 맥주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펌프; 상기 레버를 후방으로 조작할 때 상기 공급호스에 진동을 주어 크림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크림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는 소정량의 캔맥주를 냉장보관할 수 있으므로 전용 캔맥주 냉장고로 활용할 수 있고, 캔맥주를 마시고자 할 때에는 간단한 조작으로 보다 풍미있고 멋스러운 크림 맥주를 만들어 마실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음료 분배용 조립체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의 보다 구체적인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의 또 다른 실시예.
도 5는 제2실시예에 의한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의 개념도.
도 6은 제2실시예로서 또 다른 변형을 보여주는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의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구체화된 하나의 실시예를 제시하도록 한다. 한편 이하 설명은 첨부되는 관련도면을 참조하도록 하는데, 제시된 도면들은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임을 지적해둔다.
본 발명의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는 캔맥주 전용 냉장고로 기능하면서 보다 나은 풍미와 멋스러움을 느낄 수 있도록 간단하게 캔맥주를 크림 맥주로 만들어 마실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는 일반 소비자들이 가정에서 사용하기에도 적당하고,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기능도 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100), 도어(200), 맥주 취출유닛(300), 컵 받침대(400), 맥주 공급유닛(500) 및 맥주캔 장착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첨부되는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맥주캔을 똑바로 세워 장착하는 경우에 대한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맥주 냉장고는 캔맥주 전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냉장고 본체(100)는 일반 냉장고에 비해 사이즈가 작아도 무방하다. 냉장고 본체(100)는 기본적으로 소정량의 맥주캔을 보관할 수 있도록 빈 저장공간이 마련되며, 온도를 낮추어 냉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냉장모듈(미도시)이 구비된다. 물론 냉장모듈은 공지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냉장고 본체(100)는 필요에 따라 폭이나 높이를 달리하여 다양한 형태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냉장고 본체(100)의 정면에 도어(200)가 결합되는데, 도어(200)는 힌지로 연결되어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도어(200)는 도어(200)의 후면쪽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ㄷ 자 단면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어(200)의 정면측에 맥주 취출유닛(300)이 결합되는데, 도시된 것처럼 맥주 취출유닛(300)은 노즐(310)과 레버(320) 및 연결관(330)로 구성된다. 도어(200)에 결합되는 맥주 취출유닛(300)은 연결관(330)이 도어(200)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도어(200) 외면으로 노출된 부위인 노즐(310)은 하방을 향하게 되고, 노즐(310) 상부에 레버(320)가 결합된다.
레버(320)는 전후진 동작될 수 있으며, 전진 동작시에는 액상의 맥주가 노즐(310)을 통해 취출되며, 후진 동작시에는 크림이 생성되어 노즐(310)을 통해 취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맥주 취출유닛(300) 하방에 컵 받침대(400)가 마련되며, 컵 받침대(400)는 도어(200)의 정면 하단측에 마련되게 하고, 바람직하게는 컵 받침대(400)는 탈부착이 가능하거나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어(200) 후면에 맥주 공급유닛(500)이 마련되며, 맥주 공급유닛(500)은 맥주 취출유닛(300)의 레버(320)를 조작함에 따라 액상의 맥주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거나 크림이 생성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된다.
한편, 맥주 공급유닛(500)의 하측에 맥주캔 장착대(600)가 마련되며, 맥주캔 장착대(600)에 맥주캔(10)을 똑바로 세워서 장착하게 된다.
레버(320) 조작에 의해 맥주캔(10)으로부터 맥주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맥주 공급유닛(500)은, 공급호스(510), 크림발생부(520) 및 흡입펌프(530)를 포함한다.
공급호스(510)의 일단은 맥주 취출유닛(300)과 연결되어 있으며, 공급호스(510)의 타단은 맥주캔(1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공급호스(510)를 통해서 맥주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흡입펌프(530)가 마련되며, 흡입펌프(530)는 레버(320)의 전방 혹은 후방 조작시에 작동되어 공급호스(510)에 흡입력이 작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레버(320)의 후방 조작시에 동작되어 맥주를 크림으로 만들게 되는 크림 발생부(520)가 마련된다. 크림 발생부(520)는 진동자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액상 맥주에 진동을 주어서 미세한 거품을 일으켜 부드러운 크림을 생성시키는 작용을 한다.
바람직하게 크림 발생부(520)는 맥주 취출유닛(300)과 연결되는 공급호스(510)의 상단과 인접하게 마련되어 공급호스 외면에 진동자가 접촉되어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액상 맥주가 크림화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맥주 공급유닛(500)에 맥주덮개(550)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맥주덮개(550)는 맥주캔(10) 상부와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의 보다 구체적인 사용 상태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00)에 캔맥주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캔맥주(10)를 다단 적재할 수 있는 칸막이(110)가 마련되게 할 수 있고, 도어(200)에는 간단한 안주거리를 보관할 수 있는 안주 수납포켓(210)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맥주캔장착대(600)는 상하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캔맥주의 사이즈에 따라 그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맥주 냉장고는 도어의 정면쪽 일부분을 투명창(220)으로 구성하여 내부에 저장된 맥주캔이 보이도록 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으로 맥주 전용 냉장고임을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한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는 제1실시예와 달리 맥주캔을 뒤집어 장착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한편, 맥주캔(10)을 뒤집어 장착하는 경우에는 맥주캔 장착대(600)가 맥주 취출유닛(300) 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와 맥주캔 장착대(600)가 맥주 취출유닛(300) 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맥주캔 장착대(600)가 맥주 취출유닛(300) 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맥주캔 장착대(600)에 결합되는 역류방지커버(570)가 마련된다. 역류방지커버(570)는 맥주캔(10)의 상단에 연결되며, 밀폐가 이루어져 뚜껑이 열린 맥주캔(10)을 뒤집어도 맥주가 흐르지 않고, 역류방지커버(570)를 맥주캔 장착대(600)에 결합하면, 역류방지커버(570)의 입구가 열려 맥주가 흘러 나오게 된다.
공급호스(510)는 맥주캔 장착대(600)의 일부를 이루는 맥주 흡입부(580)로 연결되며, 맥주캔(10)으로부터 흘러나온 맥주는 맥주 흡입부(580)로 이동되어 공급호스(510)를 통해서 공급된다.
그리고 에어호스(560)가 맥주캔(10) 내부로 삽입되어 있고, 에어호스(560)를 통해서 진공펌프(540)에 의해 가압된 공기가 공급되어 맥주캔(10) 내부에 압력이 형성되어 공급호스(510)를 통해서 맥주가 상승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6과 같이 맥주캔 장착대(600)가 맥주 취출유닛(300)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맥주캔(10) 내부에 에어호스(560)가 삽입되며, 공급호스(510)는 맥주 장착대(600)의 일부를 이루는 맥주흡입부(580)와 맥주 취출유닛(300)을 연결하게 된다.
맥주캔 장착대(600)가 맥주 취출유닛(300) 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상태로 맥주캔(10)을 뒤집어 맥주캔 장착대(600)에 연결하면 자연스럽게 맥주가 흘러나오게 되므로 별도의 진공펌프가 필요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맥주캔에 역류방지커버를 연결하여 맥주캔을 뒤집어도 맥주가 흐르지 않도록 하고, 역류방지커버를 맥주캔 장착대에 연결하면 맥주가 흘러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는 기본적으로는 캔맥주를 냉장 보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캔맥주를 보다 맛있게 마실 수 있도록 한다.
즉, 도어(200)를 열어 냉장보관된 맥주캔(10)를 꺼내어 뚜껑을 딴 후 맥주캔 장착대(600)에 맥주캔(10)을 장착한다.
컵 받침대(400)에 준비된 컵을 올려두고, 도어(200)의 전방에 마련되는 레버(320)를 전방으로 조작하면 액상의 맥주가 배출되며, 레버(320)를 후방으로 조작하면 크림발생부(520)가 작동하여 미세한 거품으로 이루어지는 크림이 생성되어 배출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일반 가정 등에 구비하여 맥주를 마시고자 할 때 적당한 온도로 냉장 보관된 캔맥주를 마실 수 있을 것이며, 보다 맛있고 멋스럽게 맥주를 마시고자 할 때에는 냉장 보관된 캔맥주를 꺼내어 간단한 조작으로 크림 맥주를 즉석에서 만들어 마실 수 있게 된다.
100 : 냉장고 본체 200 : 도어
300 : 맥주 취출유닛 310 : 노즐
320 : 레버 330 : 연결관
400 : 컵 받침대 500 : 맥주 공급유닛
510 : 공급호스 520 : 크림발생부
530 : 흡입펌프 540 : 진공펌프
550 : 맥주덮개 560 : 에어호스
570 : 역류방지커버 580 : 맥주흡입부
600 : 맥주캔 장착대

Claims (3)

  1. 내부에 맥주캔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구비되며, 냉장을 위한 냉장모듈이 구비되는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에 대해 개폐되도록 힌지 결합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정면측에 결합되는 맥주 취출유닛;
    상기 맥주 취출유닛 하방으로 상기 도어 정면에 장착되는 컵 받침대;
    상기 맥주 취출유닛과 연결되도록 상기 도어 후면에 마련되며, 크림 발생부를 포함하는 맥주 공급유닛;
    상기 맥주 공급유닛의 상측 또는 하측에 마련되는 맥주캔 장착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복수의 맥주캔을 냉장보관할 수 있고, 상기 맥주캔 장착대에 저장된 맥주캔을 장착하여 상기 맥주 취출유닛을 통해 크림 맥주를 취출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맥주 취출유닛은,
    하방으로 향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 상부에 마련되는 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레버는 전후진 동작되되, 전진 동작시에는 액상의 맥주가 취출되고 후진 동작시에는 상기 크림 발생부가 작동되어 크림이 생성되어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맥주 공급유닛은,
    일단은 상기 맥주 취출유닛과 연결되며, 타단은 맥주캔 내부 혹은 맥주 흡입부로 연결되는 공급호스;
    상기 레버를 조작시에 상기 공급호스를 통해 맥주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펌프;
    상기 레버를 후방으로 조작할 때 상기 공급호스에 진동을 주어 크림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크림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


KR1020150003977A 2015-01-12 2015-01-12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 KR20160086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977A KR20160086999A (ko) 2015-01-12 2015-01-12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977A KR20160086999A (ko) 2015-01-12 2015-01-12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999A true KR20160086999A (ko) 2016-07-21

Family

ID=56680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977A KR20160086999A (ko) 2015-01-12 2015-01-12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699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1248A (ko) 2005-08-12 2008-05-09 칼스버그 브류어리스 에이/에스 음료 분배용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1248A (ko) 2005-08-12 2008-05-09 칼스버그 브류어리스 에이/에스 음료 분배용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3072B2 (en) Beverage maker
CN105008268B (zh) 饮料分配系统
CN102414527B (zh) 冰箱
US20130327064A1 (en) End table with concealed built-in refrigerator
EP3670435A1 (en) Beverage ma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34691A (ko) 냉각 유닛을 포함한 음료 디스펜싱 기기
CN103090635B (zh) 制冷器具
US20060260352A1 (en) Refrigerator door with can and bottle holder
KR20160086999A (ko) 크림 맥주 제조가 가능한 맥주 냉장고
CN104302214B (zh) 具有双工位水容器的饮料生产设备
CN209499478U (zh) 可将热饮品急冷的冷热饮供应装置
KR100991543B1 (ko) 냉장고의 얼음 또는 물 취출장치
US11608258B2 (en) Multi-purpose hydration station
KR100688657B1 (ko) 착탈식 수납코너가 구비된 냉장고
CN1766477B (zh) 包括独立酒柜的冰箱
KR20080006268U (ko) 냉장고
CN113321171A (zh) 一种通用型的饮料加压保存及抽取装置
CN208228747U (zh) 零食饮料容器
EP1752723A2 (en) Refrigerator with shelf acting as refrigerated drinks container
CN217604459U (zh) 一种针对办公室休闲食品与饮品存储冰箱柜
CN1970429A (zh) 斟酒器
KR20080098715A (ko) 하이브리드 타입 김치저장고의 와인저장실
CN202714621U (zh) 一种子母杯
USD966027S1 (en) Appliance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foamed fluid food
KR20200007175A (ko) 음료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