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560A -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560A
KR20160086560A KR1020150004019A KR20150004019A KR20160086560A KR 20160086560 A KR20160086560 A KR 20160086560A KR 1020150004019 A KR1020150004019 A KR 1020150004019A KR 20150004019 A KR20150004019 A KR 20150004019A KR 20160086560 A KR20160086560 A KR 20160086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ugmented reality
video call
reality contents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198B1 (ko
Inventor
김지훈
강상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4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1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86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4/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통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은 단말이 영상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 단말로 영상 통화 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과의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되면,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네트워크 상황 정보가 증강 현실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상기 영상 데이터와 함께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등을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위한 장치{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DURING VIDEO CALL SERVICE, AND APPARATUS TEHERFOR}
본 발명은 영상 통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국내 이동통신은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의 성장으로 3G 서비스인 WCDMA에서 그 중심이 LTE로 이동하고 있다.
LTE 네트워크는 엔터티 간의 all-IP를 지원하는 네트워크이므로, 사용자의 단말이 기지국인 eNodeB에 접속하는 무선 링크부터 서비스 엔티티로 연결해주는 PDN(Packet Data Network)까지의 트래픽 흐름은 모두 IP 기반으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단말이 LTE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음성 호(Voice Call)가 발생하는 경우, CS 폴백(Circuit Switched Fallback) 방식에 따라 회선 교환 방식으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기존의 음성 통화와 비교하여 빠른 호 연결 및 깨끗한 음질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VoLTE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VoLTE(Voice over LTE)는 LTE 네트워크에서 패킷 베어러(Packet Bearer)를 이용하여 음성 및 영상 통화까지 지원하는 서비스로, 단말은 LTE 네트워크에 접속(attach)하여 가입자 정보 인증 단계를 거쳐 가입자 위치 및 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한 이후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세션(Session) 설정 및 베어러(Bearer) 할당을 받고 해당 가입자에게 허용되는 적절한 QoS(Quality of Service) 수준에 따라서 패킷 기반 음성 및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VoLTE 기반 영상 통화 서비스는 단순히 발신자와 수신자에 의해 제어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만을 지원할 뿐,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지원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30540호, 2012년 3월 28일 공개 (명칭: 이동통신방법,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관리 서버 장치 및 교환국)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영상 통화에 따른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 명(Access Point Name)의 서로 다른 베어러를 통해 각각 전송함으로써, 고품질의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시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생성 주체를 결정하거나, 추적 객체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증강 현실 컨텐츠를 동적으로 생성함으로써, 영상 통화 중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단말이 영상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 단말로 영상 통화 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과의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되면,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네트워크 상황 정보가 증강 현실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상기 영상 데이터와 함께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품질 관리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네트워크 상황 정보가 증강 현실 컨텐츠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네트워크 상황 정보가 증강 현실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이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켜 구동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실시간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에서 기 설정된 객체를 추적 및 인식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기 설정된 객체를 추적 및 인식함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객체에 대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상기 영상 데이터와 함께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통화 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지정된 액세스 포인트 명(Access Point Name)의 지정된 베어러를 통해 상기 영상 통화 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명의 상기 영상 통화 호 요청 메시지가 전송된 베어러와 동일한 베어러 또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명의 증강 현실 컨텐츠 송수신으로 지정된 베어러를 통해 상기 상대 단말로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상황 정보에 따라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의 비트 레이트를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는 컨텐츠 타입, 컨텐츠 표시 좌표, 컨텐츠 전송 타입, 컨텐츠 품질, 컨텐츠 전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이 품질 관리 서버의 네트워크 상황 정보에 따른 제어에 따라,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된 상대 단말이 전송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함께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지원하는 장치는 영상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 단말과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되면,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확인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경우, AR 컨텐츠 생성 모듈에 요청하여 전달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상기 영상 데이터와 함께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호 처리 모듈; 및 상기 호 처리 모듈의 요청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AR 컨텐츠 생성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의하면,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 통화에 따른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 명(Access Point Name)의 서로 다른 베어러를 통해 각각 전송함으로써, 고품질의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발신 단말, 서버, 또는 수신 단말이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유동적으로 고품질의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품질 관리 서버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기 호 접속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에서 그 동작이 이뤄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의 LTE 통신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동등한 또는 다른 어떠한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1000)은 단말(100), 접속망(access network) 및 코어망(core network) 간의 연동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단말(100a, 100b, 이하 별도의 구분이 필요 없을 경우 100으로 지칭하도록 함)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단말(100)은 접속망(510a, 510b, 이하 별도의 구분이 필요 없을 경우 510으로 지칭하도록 함) 및 코어망(520)을 경유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외부의 공용망, 즉 인터넷 망인 PDN(Packet Data Network, 530)을 통해 품질 관리 서버(200)와 연동하여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단말(100)은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세션 연결 모듈, 예컨대 VoLTE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00)에 있어서, 발신 단말인 단말(100a)은 수신 단말인 상대 단말(100b)로 VoLTE 서비스 기반의 영상 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고, 수신 단말인 상대 단말(100b)이 이를 수락하는 경우, 상대 단말(100b)과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지원하는 본 발명의 통신망은 접속망(510) 및 코어망(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510)은 발신측 접속망(510a)과 수신측 접속망(510b)을 구분하였으며, 코어망(520)은 동일한 코어망(520)을 이용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하나, 코어망(520) 또한 발신측과 수신측으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510)은 각 단말(100)과의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접속망으로, 바람직하게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또한, 코어망(520)은 접속망(510)에 접속된 단말(100)에 대한 VoLTE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코어 시스템으로, 접속망(510)에 접속된 단말(100)간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코어망(520)은 외부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인 PDN(530)과의 연결을 지원한다. 예컨대, 코어망(520)은 PDN(530)을 통해 연결된 품질 관리 서버(200)로 패킷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PDN(530)으로부터 단말(100)로 패킷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의 각 네트워크에 대해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접속망(510)은 다수의 기지국인 eNB(5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eNB(511)는 LTE 등 차세대기술 및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비로 전송신호의 RF(radio frequency)화 및 송수신 신호세기 및 품질측정, 기저대역 신호처리, 채널 카드(channel card) 자원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eNB(511)는 다수의 단말(100)과의 안정적인 연결을 보장한다. 예컨대, eNB(511)는 지역적으로 분산 배치되어 통신 가능 거리내에 존재하는 단말(100)의 접속을 지원할 수 있으며, 특히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단말(100)의 접속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더불어, eNB(511)은 단말(100)로부터 현재의 셀과 인접한 셀들의 채널 측정 결과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핸드오버를 결정하고 핸드오버를 명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eNB(511)은 무선 자원 관리와 관련된 라디오 자원 관리 프로토콜(Radio Resource Control Protocol) 등의 제어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코어망(520)은 구체적으로, 호 처리, 접속망(510)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다양한 기능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DN GW 또는 P-GW)(523),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erving GW; S-GW)(522)와, 이동성 관리 장치(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521)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기능 요소들은 하나의 서버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독립된 장치로 각각 구현될 수도 있다.
먼저, MME(521)는 단말(100)의 이동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 요소로서, 예를 들어, 유휴 모드(idle mode)의 단말(100)을 관리하고, 상기 단말(100)의 가입자 정보, 특히 액세스 포인트 명(APN; Access Point Name) 정보에 따라 단말(100)과의 연결을 지원할 S-GW(522) 및 P-GW(523)을 선택하고, 선택된 S-GW(522) 및 P-GW(523)을 통해 단말(100)의 세션 및 베어러가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이 일반 LTE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일 경우, MME(521)는 HSS(미도시)와 연동하여 일반 LTE 서비스에 해당하는 APN을 확인하고, 해당 LTE 데이터 세션을 처리할 S-GW(522) 및 P-GW(523)을 선택할 수 있으며, 단말(100)이 VoLTE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일 경우, MME(521)는 해당 VoLTE 데이터 세션을 처리할 S-GW(522) 및 P-GW(523)을 선택하고, 선택된 S-GW(522) 및 P-GW(523)을 통해 단말(100)에 필요한 세션 및 베어러가 설정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단말(100)은 MME(521)의 제어에 따라 할당된 LTE 데이터 세션(예컨대, APN :lte.sktelecom.com) 또는 VoLTE 데이터 세션(예컨대, APN : volte.sktelecom.com 또는 ims.sktelecom.com)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100)로부터 발생되는 요청은 MME(521)를 통해 선택된 해당 S-GW(522) 및 P-GW(523)에서 처리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MME(521)는 세션 및 베어러 설정 시 단말(100)이 증강 현실 지원이 가능한 VoLTE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일 경우, 증강 현실 컨텐츠 송수신을 위한 별도의 베어러가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MME(521)는 단말(100)에 대한 로밍(Roaming) 및 인증(Authentication) 관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MME(521)는 단말(100)에서 발생하는 베어러 시그널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00) 및 MME(521)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NAS(Non Access Stratum) 메시지를 의미한다.
또한, MME(521)는 여러 개의 TAI(Tracking Area Identity)들을 지원하며, TAI들을 개별적으로 지원하는 eNB(511)와 연결된다. 이를 통해, 동일한 TAI를 지원하는 eNB(511)들은 동일한 MME(521)과 연결되며, 상이한 TAI를 지원하는 eNB(511)들은 상이한 MME(521)와 연결될 수 있다.
S-GW(522)는 다수의 eNB(511)에 대한 트래픽을 처리하는 서빙 게이트웨이를 의미한다. 또한, P-GW(523)와 연동하며, 단말(100)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한다. 즉, 코어망(520)에 접속된 단말(100)에서 발생되는 패킷 데이터, 예컨대 영상 통화 호 요청 메시지는 접속망(510)의 eNB(511), 코어망(520)의 S-GW(522) 및 P-GW(523)를 거쳐 전달되며, 패킷 데이터 송수신 시 MME(521)는 관여하지 않는다.
P-GW(523)은 단말(100)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한다. 그리고 P-GW(523)은 코어 망(520)의 패킷 데이터 관련 기능을 수행한다. 더하여, P-GW(523)은 단말(100) 가입자에게 제공할 베어러 대역을 결정한다. 아울러, P-GW(523)은 패킷 데이터에 대한 포워딩(Forwarding) 및 라우팅(Routing) 기능을 담당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100)별로 가입된 서비스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QoS 정책을 수행하고, 트래픽 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eNB(511)와 MME(521)는 S1-MME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eNB(511)와 S-GW(522)는 S1-U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S-GW(522)와 P-GW(523)은 S5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어망(520)은 MME(521), S-GW(522) 및 P-GW(523)의 엔티티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상기 엔티티 이외의 PCEF(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 장치와 같인 정책 및 과금을 시행하는 장치, 홈 가입자 관리 장치(Home Subscriber Sever; HSS)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홈 가입자 관리 장치(HSS)는 단말(100)별 가입자 정보(subscription information)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단말(100)의 최초 호 접속 절차 시 MME(521)의 요청에 따라, MME(521)로 가입자 정보, 특히 가입된 VoLTE의 지정된 APN에 대한 정보를 MME(521)로 전달하여, 해당 APN에 따라 세션 및 베어러가 할당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아울러, PDN(530)을 통해 연결되는 품질 관리 서버(200)는 발신 단말인 단말(100a)과 수신 단말이 상대 단말(100b)간의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됨에 따라,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증강 현실 컨텐츠 생성의 주체를 결정하는 역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1000)에 있어서, 발신 단말인 단말(100a)은 수신 단말인 상대 단말(100b)로 영상 통화 호 설정 요청을 전송하고, 상대 단말(100b)이 수락함에 따라 영상 통화 호가 설정되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인식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한 후,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발신측 접속망(510a) 및 코어망(520), 그리고 수신측 접속망(510b)을 거쳐 상대 단말(100b)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증강 현실 컨텐츠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와 동일한 APN을 통해 전달되나 전달되는 베어러는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전달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증강 현실 컨텐츠는 품질 관리 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그 비트 레이트가 가변적으로 조정되어 전송되거나, 단말(100a)은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만을 상대 단말(100b)로 전송하고, 품질 관리 서버(200)가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대 단말(100b)로 전송하거나, 상대 단말(100b)에서 증강 현실 컨텐츠가 생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단말(100)에서의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각 장치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통신부(10), 입력부(20), 제어부(30), 영상 촬영부(40), 저장부(50) 및 출력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통신부(10)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세션 연결 모듈(11)을 포함하며, 접속망(510)을 거쳐 코어망(520)에 접속하기 위한 절차, 상대 단말(100b)과 영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절차 등 다양한 절차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 각종 기능 설정 및 단말(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30)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20)는 증강 현실 컨텐츠 생성이 가능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상대 단말(100b)의 번호를 입력하는 행위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부(20)는 마이크와 같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하며, 영상 통화 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제어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제스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단말(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로딩 데이터가 로딩되는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상기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단말(100)에 정의된 기능(예컨대,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생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생성 방법을 처리하기 위해 단말(100)에 구비되는 기능 중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구성 요소를 제어부(30)의 기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부(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생성 방법을 지원하기 위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어부(30)는 통신부(10), 입력부(20), 영상 촬영부(40), 저장부(50) 및 출력부(6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30)는 접속망(510)을 거쳐 코어망(520)에 접속하기 위한 초기 호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신 단말인 상대 단말(100b)로 영상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대 단말(100b)에서 이를 수락하여 영상 통화 호 연결이 이뤄지면, 영상 촬영부(40)의 카메라 모듈(41)을 구동시켜 카메라 모듈(41)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에서 기 설정된 객체를 추적 및 인식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상대 단말(100b)로 전송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부(30)의 동작은 후술하는 흐름도를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어부(30)는 호 처리 모듈(31) 및 AR 컨텐츠 생성 모듈(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호 처리 모듈(31)은 접속망(510)에 연결되는 과정, 코어망(520)에 연결되는 과정, 상대 단말(100b)과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되는 과정을 처리하게 된다. AR 컨텐츠 생성 모듈(32)은 상대 단말(100b)과 영상 통화 호가 설정됨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에서 기 설정된 객체를 추적 및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호 처리 모듈(31)로 전달하여, 호 처리 모듈(310)을 통해 상대 단말(100b)로 전달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40)는 카메라 모듈(4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 모듈(41)을 구동시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장부(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5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60)는 단말(10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출력부(60)는 영상 통화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 모듈(미도시) 및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변환하여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를 통해 본 발명의 단말(100)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1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100)은 UE(User Equipmen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100)는 그 구현 형태에 따라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품질 관리 서버(2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품질 관리 서버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품질 관리 서버(300)는 서버 통신부(210), 서버 제어부(220) 및 서버 저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서버 통신부(210)는 PDN(530)을 통해 연결되며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된 단말(100a) 및 상대 단말(100b) 간의 세션에 대한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버 제어부(220)는 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모니터링된 네트워크 상황 정보에 따라 단말(100)이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이 적합한 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에 따른 정보를 서버 통신부(210)를 거쳐 단말(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지원할 수 있다. 아울러, 서버 제어부(220)는 일정 주기 단위로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발신 단말인 단말(100a)로 전달하여 단말(100a)이 증강 현실 컨텐츠 생성 시 비트 레이트를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220)는 단말(100)이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이 부적합할 경우 자신이 직접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황 정보에 따라 비트 레이트를 조정하여 수신 단말이 상대 단말(100b)로 전송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상황 정보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 통신 대역폭, 부하 정보 등 접속망(510) 및 코어망(520), 그리고 PDN(530) 상에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 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서버 제어부(22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단말(100)간의 영상 통화 호 처리 과정을 지원하는 호 처리 모듈(미도시) 및 단말(100)간 송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AR 컨텐츠 생성 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버 저장부(2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서버 저장부(230)는 증강 현실 컨텐츠 생성을 위해 필요한 AR 엔진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품질 관리 서버(2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한편, 단말(100) 및 품질 관리 서버(200) 등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각 장치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를 위한 초기 호 접속 절차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기 호 접속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도 4에 도시된 초기 호 접속 절차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실질적인 동작 단계에서는 도시된 단계 이외의 다양한 단계들이 초기 호 접속 절차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초기 호 접속 절차에서, 단말(100)은 eNB(511)와 RRC 연결 설정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S101). 예컨대, 단말(100)은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eNB(511)를 탐색하여 탐색된 eNB(511)와 무선 링크 동기를 설정하고,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eNB(511)로 전달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100)은 eNB(511)로부터 RRC 연결 셋업(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 RRC 연결 수립이 완료되면, 단말(100)은 자신의 단말 ID를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로 설정하고, 단말(100)이 지원하는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어태치 요청(attach request) 메시지를 MME(521)로 전달한다(S103).
그리고, eNB(511)는 초기 접속(Initial UE) 메시지를 MME(521)로 전송하고(S105), 이를 수신한 MME(521)는 해당 단말(100)에 대응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식별 정보인 MME S1AP UE ID를 할당하여 eNB(511)와 MME(521) 간에 S1 시그널링 연결이 설정되게 된다. 아울러, 단말(100)로부터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통해 단말(100)의 IMSI와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MME(521)는 이를 이용하여 가입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S107). 여기서, MME(521)에 의한 가입자 인증 절차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HSS(미도시)로부터 가입자에 대한 인증 벡터(authentication vector)를 획득하는 단계와, MME(521)와 UE(100) 간에 상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통해 이뤄질 수 있다. 구체적인 가입자 인증 절차는 공지된 가입자 인증 절차를 따르므로,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이후, MME(521)는 망에 가입자인 단말(100)을 등록시키고 사용자가 어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지 파악하기 위해, HSS(미도시)와의 위치 등록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S109). 즉, MME(521)는 단말(100)이 자신에게 접속해서 자신이 관리하는 영역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리는 위치 등록 요청(Update 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HSS(미도시)로 전송하고, HSS(미도시)로부터 APN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위치 등록 답변(Update Location Answer)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S111).
이러한 과정을 통해 MME(521)는 단말(100)이 가입한 서비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APN 정보에 따라 단말(100)이 가입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S-GW(522) 및 P-GW(523)가 세션 설정 및 베어러 설정 절차가 수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MME(521)는 단말(100)에 대한 EPS 베어러 ID를 할당하고, 확인된 APN으로 접속하기 위해 P-GW(523)을 결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Vo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LTE Second APN에 가입된 상태이므로, MME(521)는 상기 APN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 P-GW(523)를 결정하고, 해당 P-GW(523)와 연결되기 위한 S-GW(522)을 선택한다. 이후, MME(521)는 선택된 해당 S-GW(522)로 세션 설정 요청(create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S113), 이를 수신한 S-GW(522)는 P-GW(523)로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P-GW(523)와 S-GW(522)는 하향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는 터널이 설정되고, P-GW(523)는 단말(100)이 APN을 이용할 때 사용할 IP 주소를 할당하게 된다. 아울러, P-GW(523)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PCRF(미도시)와 연동하여 가입자 프로파일 확인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으며, 모든 관련 절차를 거쳐 세션 설정이 완료되면 P-GW(523)은 S-GW(522)로 세션 설정 완료(create session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하고(S117), S-GW(522)는 MME(521)로 세션 설정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119).
이후, MME(521)는 eNB(511)로 초기 접속 요청/응답(Initial Context Setup request/response) 메시지를 송수신함에 따라, 초기 접속 과정을 완료하게 된다(S123).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MME(521)는 S-GW(522) 및 P-GW(523)을 제어하여 세션 설정 및 베어러 할당 시 VoLTE 서비스를 위한 3가지의 기본 베어러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베어러,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베어러 및 IMS 시그널링을 위한 베어러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 중 IMS 시그널링을 위한 베어러를 통해 본 발명의 증강 현실 컨텐츠가 전송될 수 있으며, MME(521)의 시스템 설계 구현 방식에 따라, 상기 3가지의 기본 베어러 이외의 증강 현실 컨텐츠 송수신을 위한 추가적인 베어러를 할당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되면, 이후 단말(100)은 지정된 S-GW(522) 및 P-GW(523)을 거쳐 상대 단말과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단말(100)은 초기 호 접속 절차에서 지정된 VoLTE 서비스를 위해 지정된 APN의 지정된 베어러를 통해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상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 앞서, 단말(100a)과 상대 단말(100b)을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이때의 단말(100a)은 영상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발신 단말이며, 상대 단말(100b)은 수신 단말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단말(100a) 및 상대 단말(100b) 모두 VoLTE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의 단말이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코어망(520)에 접속된 상태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100a)은 영상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 단말(100b)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대 단말(100b)로 영상 통화 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S201). 여기서, 전달되는 영상 통화 호 요청 메시지는 VoLTE 서비스를 위해 지정된 APN의 IMS 시그널링 송수신을 위한 베어러를 통해 상대 단말(100b)로 전송될 수 있으며, 단말측 eNB(511a), S-GW(522), P-GW(523) 및 상대 단말측 eNB(511b)를 거쳐 상대 단말(100b)로 전송되나, 이러한 과정에 대해서는 생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를 수신한 상대 단말(100b)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 통화 호 연결을 수락하거나 거절할 수 있다. 이때, 상대 단말(100b)에서 단말(100a)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통화 호를 수락한 경우(S203), 단말(100a)과 상대 단말(100b) 간에 영상 통화 호 연결이 완료된다.
단말(100a)은 상대 단말(100b)과 영상 통화 호 연결이 완료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여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확인하여(S205), 증강 현실 컨텐츠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단말(100a)은 일정 주기 단위로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품질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네트워크 상황 정보가 증강 현실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경우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207).
단말(100a)은 품질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상황 정보가 증강 현실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경우로 판단되면, 카메라 모듈을 통해 실시간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고(S209),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상대 단말(100b)로 전송할 수 있다(S211).
반면, S207 단계에서 단말(100a)은 품질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상황 정보가 증강 현실 컨텐츠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로 판단되면, 단말(100a)은 영상 데이터만을 상대 단말(100b)로 전송할 수 있으며(S213), 이 경우, 수신단의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품질 관리 서버(200) 또는 상대 단말(100b)이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100a)이 상대 단말(100b)로 영상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와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가 입력되어 음성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함께 상대 단말(100b)로 전송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a)은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대 단말(100b)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VoTLE 서비스를 위해 지정된 동일 APN의 서로 다른 베어러를 통해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증강 현실 컨텐츠가 전송되는 베어러는 초기 호 접속 절차에서 시그널링을 위해 할당된 기본 베어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증강 현실 컨텐츠 송수신을 위해 추가적으로 할당된 베어러를 이용할 수 있다.
상대 단말(100b)은 서로 다른 베어러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들을 결합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단말(100a)로부터 영상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만을 수신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대 단말(100b)이 직접 단말(100a)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은 발신 단말인 단말(100a)이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여 수신 단말인 상대 단말(100b)로 전송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단말(100a) 및 상대 단말(100b) 간의 정보의 송수신은 접속망(510)의 eNB(511) 및 코어망(520)의 여러 엔티티를 거쳐 송수신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PDN(530)을 통해 연결되는 품질 관리 서버(200)의 개입에 대해서는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단말(100a)은 상대 단말(100b)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대 단말(100b)로 영상 통화 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301). 이때, 전송되는 영상 통화 호 요청 메시지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초기 호 접속 절차에서 사전에 지정된(dedicated) APN의 IMS 시그널링 베어러를 통해 전송되게 된다. 그리고, 상대 단말(100b)로부터 영상 통화 수락 메시지가 전송되면(S303), 단말(100a) 및 상대 단말(100b)은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된 상태이며,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됨에 따라 품질 관리 서버(200)는 단말(100a) 및 상대 단말(100b) 측의 네트워크 상황 정보에 대해 모니터링하게 된다(S305).
아울러, 단말(100a)은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켜(S307),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에서 기 설정된 객체를 추적, 인식하게 된다(S309).
이때, 단말(100a)은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에 다수 개의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다수 개의 객체를 각각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 중 단말(100a)의 사용자로 지정된 객체 또는 설정된 객체, 또는 인식이 가장 용이한 객체를 기 설정된 객체로 판단하여 해당 객체만을 추적 및 인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a)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에 단말(100a)의 사용자와 단말(100a)의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 단말(100a)은 사용자로 지정된 객체만을 인식하여 추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에 기 설정된 광고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광고 객체만을 추적 및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광고 객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품질 관리 서버(200)를 통해 설정될 수 있는 정보이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에 복수의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가장 앞에 있어 인식이 용이한 객체만을 추적 및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단말(100a)은 추적 및 인식되는 기 설정된 객체에 대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S311). 여기서, 생성되는 증강 현실 컨텐츠는 구현 형태에 따라 이미지, 비디오,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가 증강 현실 컨텐츠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내용에 따라 단말(100a) 사용자와 관련된 주요 이벤트(예컨대, 생일, 미팅 일정 등)를 안내하는 정보를 증강 현실 컨텐츠로 생성할 수 있으며, 최근의 커뮤니케이션 이력(예컨대, 통화 이력, 메시지 송수신 이력)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증강 현실 컨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와 관련된 주요 이벤트, 최근의 커뮤니케이션 이력은 단말(100a)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단말(100a)이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중에 품질 관리 서버(200)는 일정 주기 단위로 지속적으로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모니터링하고(S305), 이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a)로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100a)은 네트워크 상황 정보에 따라 증강 현실 컨텐츠의 비트 레이트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S315),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와 함께 상대 단말(100b)로 전송하게 된다(S317). 여기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는 동일 APN의 서로 다른 각각의 베어러를 통해 상대 단말(100b)로 전송되며, 증강 현실 컨텐츠가 전달되는 베어러는 IMS 시그널링을 위한 베어러를 이용하거나 또는 증강 현실 컨텐츠 송수신을 위해 추가로 할당된 베어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후에, 상대 단말(100b)은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증강 현실 컨텐츠를 영상 통화 화면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S319). 아울러, 단말(100a)의 영상 통화 화면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어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는 컨텐츠 타입, 컨텐츠 표시 좌표, 컨텐츠 전송 타입, 컨텐츠 품질, 컨텐츠 전송 정보의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텐츠 타입은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의 타입(type)(예컨대, 이미지, 동영상, 3D 애니메이션, 오디오 등)을 의미하며, 1byte의 정수(integer)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컨텐츠 표시 좌표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매핑시키기 위한 좌표 값을 의미하며, x, y 좌표 각각 4byte 씩 총 8byte의 정수(integer)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좌표 값을 보낼 필요가 없는 경우, 널(null)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전송 타입은 1byte의 정수(integer) 값을 가질 수 있는 데, PDN(530)을 통해 연결된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증강 현실 컨텐츠를 가져오는 경우, 이에 따른 정보를 컨텐츠 전송 정보 필드에 기재하며, 이때의 컨텐츠 전송 타입 필드에 이에 대한 정보를 기재하게 된다. 아울러, 컨텐츠 품질을 1byte의 정수(integer) 값을 가지며, 품질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상황 정보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때의 컨텐츠 품질은 0부터 255 사이에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숫자가 작을수록 고품질을 의미하게 된다.
아울러, 단말(100a)은 상대 단말(100b)로부터 상대 단말(100b)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증강 현실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단말(100a)을 통해 보여지는 영상 통화 화면은 상대 단말(100b)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영역과, 자신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영역으로 구분되며, 자신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영역에서는 단말(100a)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대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영역을 통해 상대 단말(100b)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출력하게 된다. 반면 단말(100a)은 상대 단말(100b)로부터 영상 데이터만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에서 단말(100a)이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은 발신 단말인 단말(100a)이 영상 통화에 따른 영상 데이터(또는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수신 단말인 상대 단말(100b)로 전송하고, 품질 관리 서버(200) 또는 상대 단말(100b)에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단말(100a) 및 상대 단말(100b) 간의 정보의 송수신은 접속망(510)의 eNB(511) 및 코어망(520)의 여러 엔티티를 거쳐 송수신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PDN(530)을 통해 연결되는 품질 관리 서버(200)의 개입에 대해서는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단말(100a)은 상대 단말(100b)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대 단말(100b)로 영상 통화 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401). 이때, 전송되는 영상 통화 호 요청 메시지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초기 호 접속 절차에서 사전에 지정된(dedicated) APN의 IMS 시그널링 베어러를 통해 전송되게 된다. 그리고, 상대 단말(100b)로부터 영상 통화 수락 메시지가 전송되면(S403), 단말(100a) 및 상대 단말(100b)은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된 상태이며,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됨에 따라 품질 관리 서버(200)는 단말(100a) 및 상대 단말(100b) 측의 네트워크 상황 정보에 대해 모니터링하게 된다(S405).
그리고, 품질 관리 서버(200)는 주기적으로 단말(100a)로 모니터링된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407). 여기서 품질 관리 서버(200)는 영상 통화 호를 요청한 발신 단말로만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전송하거나, 영상 통화 호에 연결된 모든 단말로 동시에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100a)은 품질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확인하여, 현재의 네트워크 상황이 증강 현실 컨텐츠 전송이 불가능한 상황일 경우, 단말(100a)은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됨에 따라 구동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와 함께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음성 데이터를 함께 생성한 후(S411),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만을 상대 단말(100b)로 전송하게 된다(S413).
반면, 네트워크 상황이 증강 현실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상황일 경우,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100a)은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100a)이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된 상대 단말(100b)로 전송하는 모든 정보는 품질 관리 서버(200)를 거쳐 전송될 수 있다. 품질 관리 서버(200)는 단말(100a)로부터 영상 데이터(또는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대 단말(100b)의 네트워크 상황을 확인한다.
확인 결과, 상대 단말(100b)의 네트워크 상황이 증강 현실 컨텐츠 전송이 불가능한 상황일 경우, 최소한의 패킷 데이터만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품질 관리 서버(200)는 단말(100a)이 전달하는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그대로 상대 단말(100b)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17). 이때, 품질 관리 서버(200)가 전달하는 각 데이터는 동일 APN의 서로 다른 베어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상대 단말(100b)은 영상 데이터에 기 설정된 객체를 추적 인식하고, 기 설정된 객체에 대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S419 ~ S421).
예컨대, 상대 단말(100b)은 단말(100a)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에 다수 개의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다수 개의 객체를 각각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 중 단말(100a)의 사용자로 지정된 객체 또는 설정된 객체, 또는 인식이 가장 용이한 객체를 기 설정된 객체로 판단하여 해당 객체만을 추적 및 인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a)로부터 품질 관리 서버(200)를 거쳐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에 단말(100a)의 사용자와 단말(100a)의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 상대 단말(100b)은 단말(100a) 사용자로 지정된 객체만을 인식하여 추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에 기 설정된 광고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광고 객체만을 추적 및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가 촬영되는 경우, 가장 앞에 있어 인식이 용이한 객체만을 추적 및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상대 단말(100b)은 추적 및 인식되는 기 설정된 객체에 대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S421). 여기서, 생성되는 증강 현실 컨텐츠는 이미지, 비디오,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컨텐츠가 증강 현실 컨텐츠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구현 방식에 따라 상대 단말(100b)에 미리 저장된 단말(100a) 사용자와 관련된 주요 이벤트(예컨대, 생일, 미팅 일정 등)를 안내하는 정보를 증강 현실 컨텐츠로 생성할 수 있으며, 최근의 커뮤니케이션 이력(예컨대, 통화 이력, 메시지 송수신 이력)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증강 현실 컨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와 관련된 주요 이벤트, 최근의 커뮤니케이션 이력은 상대 단말(100b)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대 단말(100b)은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증강 현실 컨텐츠를 영상 통화 화면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S427).
아울러, S415 단계에서, 상대 단말(100b)의 네트워크 상황이 양호한 경우, 품질 관리 서버(200)는 직접 단말(100a)이 전송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한 후(S425),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와,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상대 단말(100b)로 각각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25). 이를 통해 단말에 비해 시스템 성능이 더 우수한 품질 관리 서버(200)가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고품질의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품질 관리 서버(200)에 의해 증강 현실 컨텐츠가 생성되는 경우, 상대 단말(100b) 측 네트워크 상황 정보에 따라 가변적으로 비트 레이트를 조절하여 상대 단말(100b)로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품질 관리 서버(200)가 발신측과 수신측의 네트워크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의 생성 주체를 제어하며, 생성 주체에 따라 증강 현실 컨텐츠의 종류가 달라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예컨대, 단말(100)이 자신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또는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단말(10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품질 관리 서버(200)에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단말(100)에 저장된 정보와 무관하게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추적되는 객체와 관련된 공개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품질 관리 서버(200)는 증강 현실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생성 주체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증강 현실 컨텐츠가 단말(100) 내 저장된 컨텐츠를 활용하도록 설정된 경우(예컨대, 커뮤니케이션 이력을 반영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품질 관리 서버(200)는 네트워크 상황이 증강 현실 컨텐츠의 송수신이 어려운 상황이더라도, 단말(100) 자체적으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지원하며,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생성되는 증강 현실 컨텐츠의 전송 비트 레이트만을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증강 현실 컨텐츠가 단말(100) 내 저장된 컨텐츠와 무관하게 생성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외부의 여러 서비스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서버 측에서 다양한 종류의 증강 현실 컨텐츠가 생성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나, 일부 단계는 경우에 따라 동시에 이뤄지거나 역순으로 이뤄질 수도 있다. 예컨대, 단말(100)이 품질 관리 서버(200)로부터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100)에서의 동작과 무관하게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일정 주기 단위로 수신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단말이 영상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 단말로 영상 통화 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과의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되면,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네트워크 상황 정보가 증강 현실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상기 영상 데이터와 함께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읽히어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영상 통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 통화에 따른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서로 다른 베어러를 통해 각각 전송함으로써, 고품질의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영상 통화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단말 10: 통신부
11: 세션 연결 모듈 20: 입력부
30: 제어부 31: 호처리 모듈
32: AR 컨텐츠 생성 모듈 40: 영상 촬영부
41: 카메라 모듈 50: 저장부
60: 출력부 510: 접속망
511: eNB 520: 코어망
521: MME 522: S-GW
523: P-GW 530: PDN
200: 품질 관리 서버

Claims (10)

  1. 단말이 영상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 단말로 영상 통화 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과의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되면,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네트워크 상황 정보가 증강 현실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상기 영상 데이터와 함께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품질 관리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네트워크 상황 정보가 증강 현실 컨텐츠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네트워크 상황 정보가 증강 현실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이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켜 구동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실시간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에서 기 설정된 객체를 추적 및 인식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기 설정된 객체를 추적 및 인식함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객체에 대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상기 영상 데이터와 함께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지정된 액세스 포인트 명(Access Point Name)의 지정된 베어러를 통해 상기 영상 통화 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명의 상기 영상 통화 호 요청 메시지가 전송된 베어러와 동일한 베어러 또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명의 증강 현실 컨텐츠 송수신으로 지정된 베어러를 통해 상기 상대 단말로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상황 정보에 따라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의 비트 레이트를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는
    컨텐츠 타입, 컨텐츠 표시 좌표, 컨텐츠 전송 타입, 컨텐츠 품질, 컨텐츠 전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품질 관리 서버의 네트워크 상황 정보에 따른 제어에 따라,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된 상대 단말이 전송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함께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0. 영상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 단말과 영상 통화 호가 연결되면,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확인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경우, AR 컨텐츠 생성 모듈에 요청하여 전달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상기 영상 데이터와 함께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호 처리 모듈; 및
    상기 호 처리 모듈의 요청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AR 컨텐츠 생성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지원하는 장치.
KR1020150004019A 2015-01-12 2015-01-12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55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019A KR102055198B1 (ko) 2015-01-12 2015-01-12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019A KR102055198B1 (ko) 2015-01-12 2015-01-12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560A true KR20160086560A (ko) 2016-07-20
KR102055198B1 KR102055198B1 (ko) 2019-12-12

Family

ID=56679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019A KR102055198B1 (ko) 2015-01-12 2015-01-12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19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243A (ko) 2017-08-14 2019-02-22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통화를 이용한 길안내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20122A (ko) 2019-10-15 2019-10-23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통화를 이용한 길안내 방법 및 시스템
WO2022075767A1 (ko) * 2020-10-07 2022-04-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렌더링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131784A1 (ko) * 2020-12-18 2022-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4726834A (zh) * 2021-01-05 2022-07-08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视频通话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WO2022158820A1 (en) * 2021-01-19 2022-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views and shared objects in xr space
WO2023054897A1 (ko) * 2021-09-29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3211688A1 (en) * 2022-04-25 2023-11-02 Snap Inc. Shared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in video cha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694A (ko) * 2008-11-06 2010-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통화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20030540A (ko) 2009-07-03 2012-03-28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이동통신방법,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관리 서버장치 및 교환국
KR20120050258A (ko) * 2010-11-10 2012-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회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20858A (ko) * 2011-04-25 2012-11-02 강준규 영상통화 서비스 및 그 제공방법, 이를 위한 영상통화서비스 제공서버 및 제공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694A (ko) * 2008-11-06 2010-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통화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20030540A (ko) 2009-07-03 2012-03-28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이동통신방법,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관리 서버장치 및 교환국
KR20120050258A (ko) * 2010-11-10 2012-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회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20858A (ko) * 2011-04-25 2012-11-02 강준규 영상통화 서비스 및 그 제공방법, 이를 위한 영상통화서비스 제공서버 및 제공단말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243A (ko) 2017-08-14 2019-02-22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통화를 이용한 길안내 방법 및 시스템
US11268822B2 (en) 2017-08-14 2022-03-08 Lin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navigation using video call
KR20190120122A (ko) 2019-10-15 2019-10-23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통화를 이용한 길안내 방법 및 시스템
WO2022075767A1 (ko) * 2020-10-07 2022-04-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렌더링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131784A1 (ko) * 2020-12-18 2022-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4726834A (zh) * 2021-01-05 2022-07-08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视频通话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WO2022158820A1 (en) * 2021-01-19 2022-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views and shared objects in xr space
WO2023054897A1 (ko) * 2021-09-29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3211688A1 (en) * 2022-04-25 2023-11-02 Snap Inc. Shared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in video chat
US11949527B2 (en) 2022-04-25 2024-04-02 Snap Inc. Shared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in video ch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198B1 (ko)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198B1 (ko)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위한 장치
EP3399824B1 (en) Data scheduling method, base station and system
US20210112483A1 (en)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element
CN108521890B (zh) 随机接入方法及装置
CN104869526A (zh) 一种设备到设备通信及其资源分配方法、设备
CN110996344B (zh) 用于增强的呼叫质量和成功率的系统和方法
JP2022525365A (ja) データ処理方法及び装置、電子機器、端末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9002762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US11452162B2 (en) Session management metho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al entity and session management functional entity
CN111034255B (zh) 资源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12262600A (zh) 扩展非连续接收参数确定方法、通信设备和存储介质
EP3448089A1 (en) Method of processing dedicated core network migration, equipment, and system
US9398170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cessing charging information
CN117676918A (zh) 连接建立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EP4152818A1 (en) Base station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1557102A (zh)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3453318B (zh) 一种寻呼方法、设备及系统
CN110351785B (zh) 一种通信方法及其装置
CN109309924B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WO2022063240A1 (zh) 传输业务数据的方法、装置、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4679718B (zh) 控制辅小区组的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20230292365A1 (en) Method for random acces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18045533A1 (zh) 一种业务切换方法及相关设备
JP7473689B2 (ja) モード切り替え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側機器
US10798771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