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309A - 이동통신단말기의 홈 화면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홈 화면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309A
KR20160086309A KR1020160087204A KR20160087204A KR20160086309A KR 20160086309 A KR20160086309 A KR 20160086309A KR 1020160087204 A KR1020160087204 A KR 1020160087204A KR 20160087204 A KR20160087204 A KR 20160087204A KR 20160086309 A KR20160086309 A KR 20160086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screen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
mobile communic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364B1 (ko
Inventor
이재규
정재락
Original Assignee
이재규
정재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규, 정재락 filed Critical 이재규
Publication of KR20160086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
    • H04M1/72533
    • H04W4/003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가 비활성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환됨과 동시에 홈 화면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홈 화면 컨텐츠는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며, 사용자는 홈 화면 컨텐츠를 희망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하여 선택적으로 홈 화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홈 화면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CAR BY USING HOM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 시에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활성화 시에 수행되는 특정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가지 기능을 포함하는 각종 단말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 휴대폰, PDA, 웹 패드, 노트북, 태블릿 등의 단말기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언제 어디에서나 데스크톱과 동일 또는 유사한 환경 구현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화 기능 또한 포함하고 있어, 급속히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통신 단말기들은 제조시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외부 마켓을 통하여 전송받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 단말기는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일정 기간 외부 입력이 없으면 디스플레이 화면이 오프(off)로 전환되며,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또는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 커버부를 여는 경우 다시 온(on)으로 전환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화면은 일반적으로 시간 등의 기본적인 정보와 사용자가 휴대폰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대기화면을 제공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60681호 (공고일자: 2012년 06월 28일)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시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시에 구동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선택 및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시에 사용자가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광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로서, 홈 화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할 홈 화면 데이터를 결정하는 홈 화면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환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로의 출력이 결정된 홈 화면 데이터가 포함하는 홈 화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홈 화면 실행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홈 화면 제어부는 식별코드 확인, 사전승인코드 확인, 우선순위 확인 중 하나 이상의 확인을 통해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할 홈 화면 데이터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홈 화면 데이터는 홈 화면 제어부의 결정을 위한 송신 식별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고, 홈 화면 제어부의 식별코드 확인은, 홈 화면 데이터의 송신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수신 식별코드를 가지는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홈 화면 제어부의 사전승인코드 확인은,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전승인코드를 확인하고,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사전승인코드를 관리하는 사전승인코드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홈 화면 제어부의 사전승인코드 확인은,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전승인코드를 확인하고, 사전승인코드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에 또는 실행 중에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홈 화면 제어부의 우선순위 확인은, 홈 화면 데이터의 출력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의 비활성 모드에서 활성모드로의 전환을 감지하는 활성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홈 화면 제어부의 우선순위 확인은, 활성화 감지부의 활성화 입력 시간에 기초하여 홈 화면 데이터의 출력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홈 화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홈 화면 데이터 저장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홈 화면 데이터의 제어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홈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홈 화면 데이터 중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할 홈 화면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환됨과 동시에 상기 결정된 홈 화면 데이터가 포함하는 홈 화면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화면 데이터의 제어방법를 제공한다.
홈 화면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식별코드 확인, 사전승인코드 확인, 우선순위 확인 중 하나 이상의 확인을 통해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홈 화면 데이터는 상기 홈 화면 데이터의 결정을 위한 송신 식별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식별코드 확인은, 홈 화면 데이터의 송신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수신 식별코드를 가지는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전승인코드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전승인코드 확인은 사전승인코드를 관리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사전승인코드를 확인할 수도 있으며, 사전승인코드를 관리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전승인 설정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전승인코드를 관리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 또는 실행 중에 사전승인 설정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우선순위 확인은, 상기 홈 화면 데이터의 출력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비활성 모드에서 활성모드로의 전환을 감지하는 활성화 감지 단계를 더 포함하고, 우선순위 확인은, 활성화 감지 단계의 활성화 입력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홈 화면 데이터의 출력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홈 화면 데이터의 제어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홈 화면 제공방법으로서,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홈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홈 화면 데이터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수신한 홈 화면 데이터가 상기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전승인코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통해 결정하는 단계; 및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환됨과 동시에 결정된 홈 화면 데이터가 포함하는 홈 화면 컨텐츠를 상기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화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화면 데이터가 상기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홈 화면 데이터가 포함하는 송신 식별코드와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포함하는 수신 식별코드의 대응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전승인코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전승인코드의 설정은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에 또는 실행 중에 설정될 수도 있다.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단계는, 홈 화면 데이터의 출력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또한, 비활성 모드에서 활성모드로의 전환을 감지하는 활성화 감지 단계를 더 포함하고,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단계는, 활성화 감지 단계를 통한 활성화 감지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홈 화면 데이터의 출력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비활성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c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홈 화면 컨텐츠는 추가 정보 접근을 위한 링크 탭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비활성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환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홈 화면 컨텐츠는 대기 화면으로의 전환을 위한 스킵 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 탭과 스킵 탭을 동시에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홈 화면 데이터는 상기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서버로부터 전송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모바일 광고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모바일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모바일 광고 데이터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수신한 모바일 광고 데이터가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전승인코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통해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환됨과 동시에 결정된 모바일 광고 데이터가 포함하는 광고 화면을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광고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수신한 모바일 광고 데이터가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모바일 광고 데이터가 포함하는 송신 식별코드와 상기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포함하는 수신 식별코드의 대응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전승인코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사전승인코드의 설정은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에 또는 실행 중에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단계는, 광고 화면의 출력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비활성 모드에서 활성모드로의 전환을 감지하는 활성화 감지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단계는, 활성화 감지 단계를 통한 활성화 감지 시간에 기초하여 광고 화면의 출력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비활성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c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광고 화면은 추가 정보 접근을 위한 링크 탭을 포함할 수도 있고, 대기 화면으로의 전환을 위한 스킵 탭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링크 탭 및 스킵 탭을 동시에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광고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서버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다양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기호에 맞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하여 활성 상태 전환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활성화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에 있어서 종래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활성화 버튼이 입력됐을 때 통신 단말기의 일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홈 화면에 나타낼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 단말기"라 함은 유무선 통신 기능 또는 이와는 다른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이동 전화기, 네비게이션, 웹 패드, PDA, 워크스테이션, 개인용 컴퓨터 (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 등)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를 일컫는 용어로서, 본 명세서의 일부분에서는 통신 단말기 (예를 들어, 휴대폰 등)를 예로서 상정하여 설명할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비활성 상태" 라 함은 통신 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이기는 하나, 디스플레이 화면이 오프(off)인 상태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화면이 오프인 상태이더라도, 소정의 기능 (예를 들면, 음악 재생 기능 등)은 동작하고 있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명세서에서 "비활성 상태"라는 용어는 통신 단말기가 소정의 동작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이 오프인 상태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통신 단말기가 완전히 꺼진 상태를 제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활성 상태" 라 함은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온(on) 상태인 경우를 의미한다.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의 전환이라는 것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오프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온 상태인 디스플레이 화면에 어떠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지는 불문한다. 예를 들면, 단지 잠금 화면만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라 할지라도, 이는 통신 단말기의 "활성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의 전환은 버튼의 입력, 화면의 터치,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커버를 여는 방법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잠금 화면은 단말기 버튼을 이용한 지문 인식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홈 화면" 이라 함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시 디스플레이부로 표출되는 특정 화면으로서, 잠금 모드 또는 통신 단말기의 사용 대기 상태인 대기 화면과는 구별된다. 또한, 홈 화면은 잠금 모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홈 화면은 잠금 해제가 입력된 경우에 홈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고, 또는 홈 화면에서 링크 또는 스킵 입력 후 잠금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으며, 홈 화면과 같은 화면에서 잠금 해제 화면이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신 단말기 (100) 는 디스플레이부 (110), 활성화 버튼 (120)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130)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에는 통신 단말기 (100) 를 이루는 프레임 전면에 디스플레이부 (110) 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부 (110) 하부에 활성화 버튼 (120) 이 구비되며, 디스플레이부 (110) 상부에 카메라 (130) 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와는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 (110) 가 통신 단말기 (100) 의 전체면에 걸쳐 형성되지 않아도 족하다. 즉, 통신 단말기 (100) 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면 족하며, 활성화 버튼 (120) 은 디스플레이부 (110) 와 다른 부분에 형성되면 족하다. 또한, 카메라 (130) 는 통신 단말기 (100) 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110) 가 구비되지 않은 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 (110) 는 통신 단말기 (100) 의 동작 상태에 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통신 단말기 (100) 가 터치스크린 구동 방식인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또한 표시한다. 통상적으로, 통신 단말기 (100) 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없는 상태가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면, 통신 단말기 (100) 는 비활성 상태가 된다. 사용자 조작이라는 것은, 디스플레이부 (110) 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버튼 (120) 을 통한 조작 또는 이와는 다른 기능키 (예를 들면 , 볼륨 조절 키 등) 를 통한 조작 등을 의미한다. 비활성 상태가 되는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 (110) 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 메뉴로 들어가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단말기 (100) 에 구비되는 다른 버튼 (예를 들면, 온/오프 버튼) 을 누름으로써 비활성 상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단말기 (100) 가 활성 상태에 있을 때, 온/오프 버튼을 길게 누르면 통신 단말기 (100) 가 완전히 꺼질 수 있지만, 온/오프 버튼을 짧게 누르면, 전화가 수신될 시 받을 수 있는 통신 가능한 상태로서 비활성 상태가 될 수 있다.
활성화 버튼 (120) 은 통신 단말기 (100) 의 비활성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되게 하는 수단이다. 즉, 통신 단말기 (100) 가 비활성 상태일 때, 사용자가 활성화 버튼 (120) 을 누르면 활성 상태로 전환된다.
도 2 는 통신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 (210) 일 때, 활성화 버튼 (220) 을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부에 대기 화면 (230) 이 표시되는 상태를 예시한다. 대기 화면은 날짜, 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활성화 버튼 (220) 은 이와는 다른 동작을 위한 수단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에 어떠한 동작 상태가 표시되는 중 대기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 현재 동작 중인 프로그램 목록을 표시하는 수단 ) 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일 때, 사용자가 활성화 버튼을 누르게 되면, 단순히 통신 단말기가 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통신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 활성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수행되는 동작에 대한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 (110) 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 메뉴로 들어가 활성화 버튼 (120) 과 연계되는 통신 단말기 (100) 의 동작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 (100) 가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 활성화 버튼 (120) 이 눌려지는 횟수 또는 눌려지는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활성화 버튼 (120) 이 1 회 눌려지는 경우에는 제 1 동작이 수행되고, 3 회 연속하여 눌려지는 경우에는 제 2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활성화 버튼 (120) 이 짧게 1 회 눌려지는 경우에는 제 1 동작이 수행되고, 길게 1 회 눌려지는 경우에는 제 2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활성화 버튼 (120) 이 연속해서 눌려지는 횟수의 누산 및 활성화 버튼 (120) 이 눌려지는 시간 측정을 위해 통신 단말기 (100) 는 소정의 클록 회로 또는 타이머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 버튼 (120) 이 눌려지고 임계 시간 내에 재차 눌려지는 경우에는 2 회 눌려진 것으로 판단하고, 임계 시간 이상 눌려지는 경우에는 활성화 버튼 (120) 이 길게 눌려지는 경우로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버튼 (120) 에는 서브 디스플레이부 (121) 가 구비될 수 있다. 서브 디스 플레이부 (121) 에는 활성화 버튼 (120) 을 누름으로써 수행되는 동작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표시 형태는 도형, 텍스트, 문자, 그림, 색상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표시 형태가 도형일 경우에는 원,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 버튼 (120) 을 누름으로써 제 1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서브 디스플레이부 (121) 에 원이 표시되고, 활성화 버튼 (120) 을 누름으로써 제 2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서브 디스플레이부 (121) 에 삼각형이 표시될 수 있으며, 그 역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부 (121) 에 표시되는 형태 및 각 동작과 각 표시의 대응 관계에 대해서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설정 메뉴에서 활성화 버튼 (120) 을 누름으로써 수행되는 동작으로써 제 1 동작을 선택하고, 활성화 버튼 (120) 의 서브 디스플레이부 (121) 에 표시되는 형태로서 삼각형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 (100) 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일 지라도, 서브 디스플레이부 (121) 에는 삼각형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이를 통해 활성화 버튼 (120) 을 눌렀을 때 제 1 동작이 수행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
서브 디스플레이부 (121) 는 액정, LCD, LED 등의 통상적인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디스플레이부 (110) 와 서브 디스플레이부 (121) 에 대한 구동 제어는 동일한 프로세서에 의해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는 디스플레이부가 오프 상태 (310) 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구동한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을 "홈 화면" (330) 이라 한다. 홈 화면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화면은 제품 광고, 뉴스, 이벤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홈 화면에서 제공하는 링크 (link) 탭 (340) 을 선택하여 보다 자세한 정보를 위한 단계로 진입할 수도 있으며, 또는 스킵 (skip) 탭 (350) 을 선택하여 대기 화면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홈 화면은 애플리케이션 자체의 실행일 수도 있다. 홈 화면의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은 통신 단말기의 제조시에 설치되거나 또는 별도의 다운로드를 통해 설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홈 화면은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별도의 홈 화면의 실행, 또는 별도의 홈 화면 출력부를 통한 실행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홈 화면은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자체의 실행일 수도 있다. 즉, 홈 화면은 애플리케이션이 대기화면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는 것과 동일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활성화 버튼을 입력하면 특정 애플리케이션 자체가 별도의 추가 입력없이 바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은 애플리케이션 자체의 직접 구동과는 구별되는 별도의 홈 화면의 실행일 수도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자체의 실행과는 구별되는 별도의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홈 화면의 제공은 홈 화면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홈 화면 관리부를 통해서 이루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홈 화면 관리부는 제어부에 의해 결정된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즉, 홈 화면의 출력 프로세스는 출력이 결정된 홈 화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라 홈 화면 관리부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홈 화면의 제공은 설치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이루어지더라도 그 출력은 단일의 홈 화면 관리부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홈 화면 관리부는 사용자가 홈 화면으로 출력할 애플리케이션을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홈 화면 관리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홈 화면을 제어할 수 있고, 출력되는 홈 화면은 하나의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 및 출력될 수 있다. 홈 화면 관리부는 별도로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고, 통신 단말기의 제조시에 설치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활성화 버튼의 입력 방식에 따라 홈 화면을 스킵할 수도 있다. 즉, 활성화 버튼은 그 입력 횟수 또는 입력 시간에 따라 복수의 동작을 구현할 수도 있는바, 이를 통해 홈 화면으로 이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활성 모드에서 활성화 버튼을 짧게 누르는 경우에는 홈 화면으로 이동하고, 길게 누르는 경우에는 홈 화면을 생략하고 대기 화면으로 진입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습관적으로 입력하는 활성화 버튼 (320)을 통해 홈 화면 (330) 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고, 정보 또는 광고 제공 업체는 사용자에게 자신이 제공하는 정보 또는 광고를 보다 용이하게 노출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홈 화면 제공 업체는 광고주로부터 광고를 의뢰받는 경우 홈 화면 데이터를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전송된 홈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게 된다.
홈 화면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커머스 애플리케이션은 새로운 상품 또는 특정 상품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스포츠 중계, 공연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각종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홈 화면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새로운 업데이트 정보 또는 새로 출시되는 게임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홈 화면 제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정보를 홈 화면으로 받을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제공 업체는 원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업체는 별도의 홈 화면 구성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고, 애플리케이션 자체의 실행을 홈 화면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홈 화면 데이터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400) 를 제공한다.
통신 단말기 (400) 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410), 디스플레이부 (420), 활성화 감지부 (430), 홈 화면 제어부 (440), 홈 화면 실행부 (450) 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 (400) 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되면 디스플레이부 (420) 는 온 (on) 모드로 전환되며 활성화 감지부 (430) 는 활성 상태를 인식한다. 활성 상태가 인식되면 홈 화면 제어부 (440) 는 홈 화면 데이터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홈 화면 실행 여부를 판단하고, 홈 화면 실행부 (450) 는 홈 화면 제어부 (440) 의 판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420) 의 활성화와 동시에 홈 화면을 실행한다. 또한, 홈 화면 제어부 (440) 는 활성화 감지 이전에 홈 화면 분석을 수행하여, 활성화 감지시에 활성화와 동시에 홈 화면을 실행할 수도 있다.
홈 화면 제어부 (440) 는 홈 화면 데이터를 분석하여 홈 화면 표시 여부 및 표시 순서 등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홈 화면 제어부는 수신 식별코드의 확인, 사전승인코드의 확인, 우선순위 확인 중 하나 이상의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가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홈 화면 제어부 (440) 는 수신된 복수의 홈 데이터 중 출력하고자 하는 홈 화면 데이터, 출력 순서 등을 결정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가 수신하는 홈 화면 데이터는 홈 화면 컨텐츠와 송신 식별코드를 포함한다. 홈 화면 컨텐츠는 통신 단말기의 홈 화면에 표시할 정보를 포함하며 송신 식별코드는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수신 식별코드와 대응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홈 화면 제어부 (440) 는 수신한 홈 화면 데이터의 송신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수신 식별코드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에는 홈 화면 데이터를 실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제공업체는 업체의 서버를 통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수신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송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홈 화면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여,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의 홈 화면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업체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업체가 직접 자신의 서버를 통해서 홈 화면을 제공하지 않고,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사전승인코드의 확인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 홈 화면 데이터를 실행시키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수신 식별코드가 확인된 애플리케이션, 즉,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도 사용자는 홈 화면 출력을 승인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홈 화면 데이터만을 선택적으로 홈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식별코드와 수신 식별코드가 일대일로 대응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홈 화면 데이터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송신 식별코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에 사전승인을 하여 홈 화면 제공에 동의할 수도 있고,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제공되는 홈 화면 선택 탭 (510) 를 이용하여 동의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의 구현 중에 애플리케이션이 자신의 기호에 맞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홈 화면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홈 화면 관리 애플리케이션 (520) 을 통해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홈 화면 실행 여부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홈 화면 관리프로그램은 해당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홈 화면 설정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홈 화면 설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전승인코드 관리부를 포함하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전승인코드를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홈 화면 관리 애플리케이션 (520) 은 결정된 홈 화면 컨텐츠의 출력을 실행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시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직접 홈 화면을 출력하는 하는 것이 아니라, 홈 화면 관리 애플리케이션 (520) 이 설정된 홈 화면을 통합적으로 제어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시 홈 화면 출력을 실행하는 것은 홈 화면 관리 애플리케이션 (520) 으로 단일화될 수 있다.
우선순위의 확인에 관하여 설명한다.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홈 화면으로 지정되는 경우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해 홈 화면의 출력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를 미리 정해 두어 그 우선 순위에 따라 홈 화면이 결정될 수도 있고, 또는 순차적, 무작위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활용도에 따라, 예를 들어, 일정 기간 동안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횟수에 따라 우선 순위를 정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이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가 활성화되는 시간대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해당 시간대에 우선 순위를 갖는 애플리케이션이 홈 화면을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홈 화면의 활용도에 근거한 데이터, 예를 들어, 홈 화면에서 사용자가 링크를 통해 정보를 활용한 비율 등을 통해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우선순위의 설정은 활용목적, 구현 용이성에 따라 다양한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위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활성화 감지부가 활성화를 감지하는 시간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홈 화면 데이터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홈 화면 출력 시간에 대한 선호도를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선호하는 시간대에 활성화가 감지되면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홈 화면이 우선순위를 갖고 화면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홈 화면 컨텐츠를 하나의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의 사이즈에 차등을 줄 수도 있다.
또한, 통신 단말기는 홈 화면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컨텐츠 저장소는 홈 화면 데이터의 홈 화면 컨텐츠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홈 화면 제어부가 해당 홈 화면 컨텐츠의 출력을 결정하면 홈 화면 실행부가 저장된 홈 화면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홈 화면 제어부는 이와 같은 수신 식별코드 확인, 사전승인코드 확인, 우선순위 확인을 통하여 수신한 홈 화면 데이터 중 활성 모드 전환시 출력할 홈 화면 컨텐츠를 결정하며, 홈 화면 실행부 (450) 는 활성 모드 전환시에 결정된 홈 화면 컨텐츠를 출력한다. 홈 화면 제어부의 동작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신 식별코드 확인, 사전승인코드 확인, 우선순위 확인 중 일부만을 수행하거나 추가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홈 화면 데이터의 제공 방법으로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제공하는 홈 화면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홈 화면으로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홈 화면 데이터 (600) 를 사용자 통신 단말기 (630) 로 전송할 수 있다. 홈 화면 데이터 (600) 는 홈 화면 컨텐츠 (610) 및 송신 식별코드 (620) 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통신 단말기 (630) 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홈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고, 홈 화면 데이터를 분석한다. 사용자 통신 단말기 (630) 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홈 화면 데이터의 송신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수신 식별코드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 통신 단말기 (630) 에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대응하는 수신 식별코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통신 단말기는 홈 화면 데이터의 수신을 거부하거나, 수신된 홈 화면 데이터를 삭제 또는 실행을 거부 또는 보류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식별코드와 수신 식별코드가 일대일로 대응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홈 화면 데이터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송신 식별코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제공업체는 업체의 서버를 통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수신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송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홈 화면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여,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의 홈 화면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업체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업체가 직접 자신의 서버를 통해서 홈 화면을 제공하지 않고,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수신 식별코드가 확인되는 경우, 홈 화면 데이터는 사전승인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사전승인 코드는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의 홈 화면 데이터 수신을 승인 또는 거부하는 것을 결정한 코드로서, 승인이 확인된 경우에 홈 화면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우선순위 확인 코드는 복수의 홈 화면 컨텐츠가 대기 중인 경우 실행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단계로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를 미리 정해 두어 그 우선 순위에 따라 홈 화면이 결정될 수도 있고, 또는 순차적, 무작위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활용도에 따라, 예를 들어, 일정 기간 동안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횟수에 따라 우선 순위를 정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이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가 활성화되는 시간대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해당 시간대에 우선 순위를 갖는 애플리케이션이 홈 화면을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활성화 감지부가 활성화를 감지하는 시간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홈 화면 데이터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홈 화면 출력 시간에 대한 선호도를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선호하는 시간대에 활성화가 감지되면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홈 화면이 우선순위를 갖고 화면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홈 화면의 활용도에 근거한 데이터, 예를 들어, 홈 화면에서 사용자가 링크를 통해 정보를 활용한 비율 등을 통해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우선순위의 설정은 활용목적, 구현 용이성에 따라 다양한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위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의 홈 화면 컨텐츠를 하나의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의 사이즈에 차등을 줄 수도 있다.
홈 화면 데이터의 분석에 따라 홈 화면 컨텐츠의 출력 여부가 결정되면, 통신 단말기의 활성 모드 여부를 감지한다. 즉,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활성 모드를 감지하고, 이와 동시에 홈 화면 데이터 분석에 따라 결정된 홈 화면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활성 모드 감지는 홈 화면 데이터의 수신 및 분석 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홈 화면 데이터의 수신 및 분석 이전에 활성 모드의 감지가 실행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활성 모드가 감지되면, 홈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홈 화면 컨텐츠를 결정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홈 화면 데이터의 분석 및 실행은 사용자 통신 단말기에 별도로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는 별도의 홈 화면 제어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식별코드, 사전승인 코드, 우선순위를 수집, 관리하고 홈 화면 데이터의 수신시 이를 기초로 수신된 홈 화면 컨텐츠의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홈 화면 데이터의 분석 및 실행은 서버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여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홈 화면 데이터의 수신시 자신의 수신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송신 식별코드를 갖는 홈 화면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대응하는 경우 사전승인코드 및 우선순위를 확인한 후, 활성 모드 감지시 해당 홈 화면 컨텐츠를 실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모바일 광고 방법을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 제공업체는 사용자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직접 모바일 광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광고 데이터를 전송하고,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광고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식별코드를 통해 해당 광고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무분별한 광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설치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사전승인코드를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만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광고 데이터에 수신 식별코드 및 사전승인코드가 확인된 경우, 통신 단말기가 비활성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환됨과 동시에 광고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제공업체는 업체의 서버를 통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수신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송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홈 화면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여,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의 홈 화면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업체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업체가 직접 자신의 서버를 통해서 홈 화면을 제공하지 않고,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복수의 광고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통해 출력되는 광고 데이터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홈 화면 컨텐츠를 하나의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의 사이즈에 차등을 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활성화 시에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정보를 통해 획득될 수도 있고, 주변의 통신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확인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 접근하는 경우, 해당 지역에 설치된 통신장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신호를 송신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해당 지역의 통신장치는 근거리통신, 예를 들어, NFC, Bluetooth, Beacon, WiFi 등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가 해당 신호의 수신 범위 내에 진입하게 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장치의 통신은 상호 신호를 송수신하는 양방향 통신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장치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통신장치가 이동통신단말기에 신호를 송신하는 일방향 통신일 수도 있다. 만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는 홈 화면을 출력하도록 결정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활성화시에 해당 신호에 기초하는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지역의 통신장치는 일정 범위 내에 신호를 송출하며 만일 그 범위 안으로 이동통신단말기가 진입하는 경우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는 해당 지역에서 활성화되는 경우 통신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기초하는 홈 화면을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며 이에 따라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활성화와 전송받은 신호에 기초하는 홈 화면 제공여부의 결정은 그 순서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송받은 신호에 기초하는 홈 화면 제공 여부의 결정은, 수신한 신호가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지 여부,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사전승인코드의 확인 및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통신장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에만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는 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지역의 통신장치와 관련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통신단말기의 OS에 설치된 홈 화면 관리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홈 화면을 제공하는 범용의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전승인코드를 설정하여 홈 화면 제공을 승인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신호인 경우에만 홈 화면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한 사전승인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 또는 실행 중에 설정할 수도 있고, 홈 화면의 통합 관리 수단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홈 화면 출력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는 홈 화면의 제공을 결정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의 활성화시에 해당하는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공하는 홈 화면은 해당 애플리케이션 자체의 구동일 수도 있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홈 화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고 매장에 진입하게 되면, 해당 매장에 설치된 통신장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가 해당 신호에 기초한 홈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매장은 해당 매장과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쿠폰, 이벤트 정보, 신제품 광고 등의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직접 전달함으로써 맞춤형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통신장치를 통해 송신하는 신호 자체가 홈 화면에 출력될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송신하는 신호는 홈 화면 출력의 승인만을 요청하고 승인이 된 경우 이와는 별도의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해당 위치에 기초한 홈 화면을 출력하도록 결정된 경우, 사용자는 해당 매장에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활성화시킬 때 해당 매장에서 제공되는 쿠폰이나 이벤트 정보 등을 홈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고, 홈 화면을 출력하지 않기로 결정된 경우에는 다른 홈 화면 또는 대기화면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제공되는 정보는 쿠폰, 이벤트, 광고 등 해당 매장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OS(Operating System)에 설치된 홈 화면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매장에 대한 정보를 홈 화면으로 출력할 수도 있고, 또는 해당 매장의 통신장치에 대응하는 별도의 홈 화면 제공 프로그램을 통해 홈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에 설치된 해당 매장과 관련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홈 화면을 제공받을 수도 있고, 또한, 사용자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홈 화면을 제공하는 범용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전에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승인한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홈 화면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매장의 정보만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공되는 홈 화면은 매장의 통신장치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매장의 통신장치의 신호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존재를 확인하고 홈 화면은 별도의 서버를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이한 홈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사용자가 사전에 설치하거나 또는 승인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만 홈 화면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 때 제공되는 홈 화면은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제공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부의 일정 영역에 부분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잠금화면의 일정부분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홈 화면은 추가 정보 접근을 위한 링크 탭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대기화면으로 진입하기 위한 스킵 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매장은 매장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홈 화면으로 제공함으로써 고객맞춤형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활성화할 때 제공되는 홈 화면을 통해 정보를 수용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알림, 메시지 등을 피할 수 있다. 즉, 매장에서 임의로 메시지 등을 송신하여 사용자가 무조건 확인하도록 하는 일방적인 수단이 아닌,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필요한 때에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의 정보가 알림, 메시지와 같은 푸쉬 형식으로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여러 매장을 돌아다닐 때마다 원치 않는 메시지와 알림으로 피로해질 수 있다. 홈 화면을 통한 매장 정보의 제공은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활성화하여 그 정보를 확인하므로 불필요한 메시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통신장치는 사용자의 집, 자동차, 직장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집에 설치된 통신장치와 통신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활성화시킬 때 사용자의 집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거나 가전기기, 조명 등을 제어할 수 있는 홈 화면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자동차의 통신장치와 통신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 근처에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활성화시키는 경우에는 차량도어의 잠금해제, 시동, 차량내부 공조 등의 제어를 위한 홈 화면을 제공받을 수도 있고, 또는 차량 내부에서 활성화시키는 경우에는 차량시스템과의 연결을 설정하는 홈 화면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구현 가능한 기능들, 예를 들어, 통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구동, 오디오 재생 등을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오디오 등의 시스템을 통해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내부에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활성화하는 경우, 운전에 방해되는 기능들을 차단하는 홈 화면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른 홈 화면의 선택적 제공은 앞서 서술된 다른 제어 원인, 즉,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지 여부,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전승인코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와 조합되어 선택될 수도 있다. 우선순위는 활성화가 감지되는 시간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으며,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통신장치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거리에 따라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통신장치의 신호를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활성화시 출력되는 화면에 복수 개의 홈 화면 정보가 동시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화면에 복수 개의 홈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이 때, 출력되는 복수 개의 홈 화면은 우선순위에 따라 상이한 크기로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부 전면에 표시하고자 할 경우, 좌우 또는 상하 스크롤을 통해 다른 홈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우선순위에 따라 그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홈 화면을 활성화시에 전면에 배치하고 스크롤에 따라 우선순위가 낮은 홈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 와 같은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100, 400 : 통신 단말기 110 : 디스플레이부
120, 220, 320 : 활성화 버튼 121 : 서브 디스플레이부
130 : 카메라 210, 310 : 비활성 상태
230 : 대기화면 330 : 홈 화면
340 : 링크 탭 350 : 스킵 탭
410 : 통신부 420 : 디스플레이부
430 : 활성화 감지부 440 : 홈 화면 제어부
450 : 홈 화면 실행부 510 : 홈 화면 선택 탭
520 : 홈 화면 관리 애플리케이션 600 : 홈 화면 데이터
610 : 홈 화면 컨텐츠 620 : 송신 식별코드
630 : 사용자 통신 단말기

Claims (14)

  1.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홈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에 설치된 통신장치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가능하고 디스플레이부는 오프(off) 인 비활성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신가능하고 디스플레이부는 온(on) 인 활성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활성상태로 전환된 디스플레이부에 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홈 화면은 상기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인, 홈 화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화면은,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차량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 잠금해제, 시동, 차량내부 공조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는 홈 화면인, 홈 화면 제공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 화면은,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차량의 디스플레이 또는 오디오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홈 화면인, 홈 화면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차량의 디스플레이 또는 오디오와의 연결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구동, 오디오 재생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차량의 디스플레이 또는 오디오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 홈 화면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화면은,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차단하는 홈 화면인, 홈 화면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화면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비활성상태에서 활성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홈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홈 화면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홈 화면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자체의 구동이거나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홈 화면인, 홈 화면 제공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설치된 통신장치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차량의 통신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홈 화면의 출력은 상기 수신한 신호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신호인 경우에 제공되는, 홈 화면 제공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사전승인코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홈 화면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사전승인코드가 상기 홈 화면의 제공을 승인한 경우에 제공되는, 홈 화면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사전승인코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 또는 실행 중에 설정 가능한, 홈 화면 제공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근거리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의 통신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홈 화면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은 상기 차량의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의 일방향 통신 또는 상기 차량의 통신장치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의 양방향 통신인, 홈 화면 제공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화면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잠금화면의 일부분에 제공되는, 홈 화면 제공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상태에서 활성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버튼의 입력, 화면의 터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커버를 여는 동작 중 하나를 통해 구현되는, 홈 화면 제공 방법.
KR1020160087204A 2013-09-26 2016-07-10 이동통신단말기의 홈 화면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 KR101784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826 2013-09-26
KR20130114826 2013-09-26
KR1020140000484 2014-01-02
KR20140000484A KR20150034582A (ko) 2013-09-26 2014-01-02 통신 단말기의 홈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351A Division KR101643858B1 (ko) 2013-09-26 2014-07-18 통신 단말기의 홈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052A Division KR101902127B1 (ko) 2013-09-26 2017-09-27 위치정보에 따라 홈 화면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309A true KR20160086309A (ko) 2016-07-19
KR101784364B1 KR101784364B1 (ko) 2017-10-11

Family

ID=5303136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0484A KR20150034582A (ko) 2013-09-26 2014-01-02 통신 단말기의 홈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40091351A KR101643858B1 (ko) 2013-09-26 2014-07-18 통신 단말기의 홈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60087204A KR101784364B1 (ko) 2013-09-26 2016-07-10 이동통신단말기의 홈 화면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
KR1020170125052A KR101902127B1 (ko) 2013-09-26 2017-09-27 위치정보에 따라 홈 화면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0484A KR20150034582A (ko) 2013-09-26 2014-01-02 통신 단말기의 홈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40091351A KR101643858B1 (ko) 2013-09-26 2014-07-18 통신 단말기의 홈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052A KR101902127B1 (ko) 2013-09-26 2017-09-27 위치정보에 따라 홈 화면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15003458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430A (ko) * 2018-05-11 2019-11-20 이재규 이동통신단말기의 잠금화면을 이용한 컨텐츠 비교분석 방법
KR102428157B1 (ko) * 2020-05-14 2022-08-03 김현승 차량 기반 옥외 광고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681B1 (ko) 2011-10-19 2012-06-28 배경덕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 시에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923A (ko) * 2002-09-12 200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0900323B1 (ko) * 2008-04-24 2009-06-02 제영수 위치 및 개인화 정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화면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1102852B1 (ko) * 2008-11-21 2012-01-05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오입력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화면에 디스플레이 광고를 게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45728B1 (ko) * 2010-02-18 201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기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681B1 (ko) 2011-10-19 2012-06-28 배경덕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 시에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127B1 (ko) 2018-09-28
KR101784364B1 (ko) 2017-10-11
KR20150034582A (ko) 2015-04-03
KR101643858B1 (ko) 2016-07-28
KR20170115985A (ko) 2017-10-18
KR20150034595A (ko) 2015-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7252B2 (ja) ホーム画面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
KR101949373B1 (ko) 이동 단말의 블루투스 연결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761190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80196990A1 (en) Electronic device and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US20090195513A1 (en) Interactive multimedia control module
CN102404450B (zh) 一种使用移动设备来控制与房间相关联的组件的方法和系统
CN106201491B (zh) 移动终端和移动终端远程协助过程控制方法、装置
CN102770832A (zh) 用于提供用户输入选项的合作启用的方法和装置
CN108370490B (zh) 车辆使用状态确定方法、装置以及终端
CN111399720A (zh) 一种显示应用界面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902127B1 (ko) 위치정보에 따라 홈 화면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제공방법
EP3232325A1 (en) Method and device for starting application interface
KR20150070985A (ko) 슬라이딩 동작 응답방법, 장치, 단말기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300348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차량 제어방법
US20190129517A1 (en) Remote control by way of sequences of keyboard codes
WO2015045290A1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992574B1 (ko) 위치정보에 따라 홈 화면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W201516847A (zh) 執行操作的確認方法和裝置
KR101394842B1 (ko) 통신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홈 화면 제공 방법 및 모바일 광고 방법
KR20150034568A (ko) 통신 단말기의 홈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15046892A1 (ko) 통신 단말기의 홈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1100219B1 (ko)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20160045402A (ko) 스마트 폰에서 스크린 커버링 방법
JP2014187415A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車載装置
CN114489460A (zh) 车辆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