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080A - 휴대용 방독면 - Google Patents

휴대용 방독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080A
KR20160086080A KR1020150003296A KR20150003296A KR20160086080A KR 20160086080 A KR20160086080 A KR 20160086080A KR 1020150003296 A KR1020150003296 A KR 1020150003296A KR 20150003296 A KR20150003296 A KR 20150003296A KR 20160086080 A KR20160086080 A KR 20160086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portable
alarm unit
gas mask
portable respi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용
이재당
Original Assignee
신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민용 filed Critical 신민용
Priority to KR102015000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6080A/ko
Publication of KR20160086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1/00Containers or portable cabins for affording breathing protection with devices for reconditioning the breathing air or for ventilating, in particular those that are suitable for invalids or small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시에 사용가능한 휴대용 방독면의 구조에 대한 것으로, 외관에 곡률을 가지는 몸체를 구비하는 휴대용방독면을 제공하여, 지하공간이나 어두운 건물 내에 비상상황시 토출되어 바닥이나 외부와 충돌하여 자유롭게 확산할 수 있는 구조의 휴대용 방독면을 제공하여, 비상상황에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방독면{Gas Mask}
본 발명은 비상시에 사용가능한 휴대용 방독면의 구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유독가스, 증기, 미립자상 물질 등을 함유하는 공기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호흡 보호구로서,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이 독가스를 사용하게 되자 방호대책으로 최초의 방독면이 연합군에 의해 개발사용되었다.
오늘날 화생방 무기가 주목을 받게 되자 방독면 상대무기도 독가스로부터 화생방 무기로 확대되어 용도가 넓어졌다. 민간에서도 탄광·공장에서 유독 가스나 증기, 유독성 미립자 등으로 오염된 환경 속에서 작업하는 기회가 많아지면서 방독면의 이용 범위가 넓어졌다. 또한 소화작업·폭동 진압용으로 소방관·경찰관이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제독 능력이 있는 흡수제와 미립자상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등을 수용한 흡수관과 얼굴의 전면 또는 반면을 기밀로 덮는 면체로 구성되며, 흡수관과 면체를 직결한 직결식과 양자를 연결관으로 연결한 격리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방독면의 경우 사용법이 복잡하고 긴급 상황시 방독면을 필요로하는 사용자에게 적절하게 공급이 어려운 것이 대부분이다. 즉, 지하철 화재시와 같은 생활속에 불시에 발생하는 응급상황의 경우, 사용자는 역 구내 각각의 장소에 흩어져 있으나, 구호장비를 보관하는 방독면을 특정 장소에만 비치되어 있는바, 불시에 발생하는 위급상황에 사용자가 이를 찾아서 착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상황인바, 거의 유명무실하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지하철 내의 화재나 건물에서의 화재 등 생활안전분야에서 긴급한 대피 과정에서 방독면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생활 속에서의 비상시에는 어둠 속의 공간에서 불시의 상황에 사용자에게 연기와 화염을 피해 대피 장소로 이동하는 시간 동안에 유효한 호흡을 보조하는 기능이 매우 중요시 되며, 불특정한 공간에 흩어져 있는 사용자가 쉽게 찾아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성과 사용의 용이성 측면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76180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허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에 곡률을 가지는 몸체를 구비하는 휴대용방독면을 제공하여, 지하공간이나 어두운 건물 내에 비상상황시 토출되어 바닥이나 외부와 충돌하여 자유롭게 확산할 수 있는 구조의 휴대용 방독면을 제공하여, 비상상황에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공급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바닥과 충돌시에 쉽게 분리되는 외부 하우징 구조를 제안하여 혼란스러운 상황에 사용자가 쉽게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의 용이성을 구비한 방독면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부에 공기공급유닛을 포함하며, 외표면이 곡률을 가지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의 일측에 분리가능한 구조로 결합하는 제2몸체; 및 상기 제1몸체의 타측에 분리가능한 구조로 결합하는 제3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와 제2 및 제3몸체의 결합시 외형이 구형 또는 타원형을 이루는 휴대용 방독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독면의 경우, 상기 제2몸체의 내부에 상기 산소저장공관과 연결되는 호흡관이 수용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호흡관은 일영역에 호흡관의 절곡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름부가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독면은 상기 제3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몸체에 결합하는 알람유닛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알람유닛부는, 외부의 충격을 인지하여 발광신호를 송출하는 발광알람부; 또는 외부의 충격을 인지하여 음성신호를 송출하는 음성알람부;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독면은 상기 제1몸체, 상기 제2몸체, 상기 제3몸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탄성재질로 구현되거나, 합성수지등의 재질로 상기 제1몸체, 상기 제2몸체, 상기 제3몸체를 구현한 후, 이들의 외표면에 탄성패턴부재가 형성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패턴부재는, 상기 상기 제1몸체, 상기 제2몸체, 상기 제3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다수의 돌출형 패턴이 구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관에 곡률을 가지는 몸체를 구비하는 휴대용방독면을 제공하여, 지하공간이나 어두운 건물 내에 비상상황시 토출되어 바닥이나 외부와 충돌하여 자유롭게 확산할 수 있는 구조의 휴대용 방독면을 제공하여, 비상상황에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휴대용 방독면의 몸체를 탄성부재로 구현하여 확산의 자유도를 높이며, 어두운 공간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방독면을 찾아 착용할 수 있도록 발광, 음성신호를 제공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비상상황에서 토출되는 경우 자연스럽게 충돌에 의해 좌우측의 몸체가 분리되도록 하여,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부상자나 어린이, 노약자 등 사용자의 사용의 용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독면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독면의 투과사시도 및 단면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독면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공급유닛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독면의 정면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독면의 투과사시도 및 단면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독면(100)은 내부에 공기공급유닛(미도시)을 구비하며, 외표면이 곡률을 가지는 제1몸체(110)와 상기 제1몸체의 일측에 분리가능한 구조로 결합하는 제2몸체(120) 및 상기 제1몸체의 타측에 분리가능한 구조로 결합하는 제3몸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제3몸체는 도시된 것과 같이 외표면에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구조로 구현되며,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및 제3몸체가 상호 결합시 외형이 구형 또는 타원형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독면이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 바닥에 부딪혀 튕겨지며 여러 방향으로 임의로 분산되어 이동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불특정한 장소에 있는 경우에도 쉽게 습득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제공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몸체와 결합하는 제2몸체 및 제3몸체는 내부에 빈 공간이 마련되는 뚜겅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몸체 및 제3몸체는 투명한 소재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내부 구비 구성을 확인하여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알람유닛부의 발광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몸체와 제2 및 제3몸체가 결합하는 경우 타원형 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불규칙한 이동성을 확보하는 효율성을 제공하지만, 필요에 따라 제1몸체부위만 곡률을 가지는 구조로 구현하거나, 제2몸체 및 제3몸체만을 곡률을 가지는 구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것과 같이 결합 후의 구조가 타원이나 구형의 구조를 가지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밀폐된 장소나 연기나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정해진 장소에 비치된 방독면을 찾가 가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상황에서, 일시에 천장이나 벽면에서 하부로 토출되어 바닥면과 충돌하면서 상하좌우로 튀어 확산시킴으로써, 여러 장소로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이 이동되기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독면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으로 제1몸체 내지 제3몸체가 분리가능한 구조로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몸체(110)의 마개(뚜겅)과 같은 기능을 하는 제2몸체(120) 및 제3몸체(130)은 제1몸체의 각 측단에 결합하는 구조로 결합되며, 결합구조는 분리가 용이한 스크류 구조나 교차(union) 나사와 같은 부재를 사용하여 분리가 용이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몸체(110)은 내부에 공기공급유닛(150)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내부가 비어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유닛(150)은 후술하는 도 4 및 도 5의 도시구조와 같이 산소저장탱크(150)가 호흡관(124)와 연결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산소저장탱크에서 직접적으로 호흡관에 산소를 공급하여 사용자가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이 경우 제1몸체(110)의 일 측면에는 공기흡입구(140)이 마련될 수 있으나, 이는 보조적인 것이며, 공기흡입구가 없는 구조로 제1몸체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는 다른 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다수의 필터유닛(171~174)을 포함하는 여과장치(170)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 공기 흡입구(140)를 구현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여과장치(170)에서 필터링하고, 이를 호흡관(124)를 통해 흡입함으로써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상술한 상기 호흡관(124)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몸체(1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 휴대용 방독면이 천장이나 벽면의 방독면 공급장소에서 투하되는 경우, 충돌에 의해 상기 제1몸체(120)이 쉽게 분리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열 수 있도록 결합되는 구조로 제2몸체가 배치되며, 그 내부에 호흡관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호흡관(124)은 상기 제2몸체(120) 내부에 수용이 편리하도록 튜브 형태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호흡관(124)의 일영역에 호흡관의 절곡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름부(126)가 구현되도록 하여 저장을 편리하게 하며,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3몸체(130)은 상기 제1몸체(110)에 결합되는 상기 제2몸체(120)의 반대면인 타측에 배치되며, 역시 충격이나 사용자의 손으로 쉽게 분리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3몸체의 내부에는 알람유닛부(A)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알람유닛부(A)는 본 발명의 휴대용 방독면이 바닥에 떨어져서 쉽게 상기 제3몸체가 제1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 음성이나 발광을 통해 휴대용 방독면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연기나 정전으로 인해 시야 확인이 극히 어려운 공간에서도 사용자가 쉽게 방독면을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알람유닛부(A)의 구성은 투명한 부재를 이용하여 빛의 육안 식별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명 부재(B)를 이용하여 알람유닛부(A)를 보호하는 구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몸체(110)에 결합하는 제2몸체(120)와 제3몸체(130)는 결합부위에 결합단차나 나사선을 이용한 스크류 결합을 통해 결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각각의 몸체에 대하여 정방향과 역방향 나사형으로 결합골을 형성하여 간단하게 결합을 한 후 쉽게 손이나 충격에 의해 상호간이 분리도록 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알람유닛부(A)는, 외부의 충격을 인지하여 발광신호를 송출하는 발광알람부(132) 또는 외부의 충격을 인지하여 음성신호를 송출하는 음성알람부(136)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상기 알람유닛부(A)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베터리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원격센서부(134)를 더 구비하여, 충돌에 따른 충격량에 의해 발광이나 음성알림이 형성되는 경우 외에도 원격으로 상기 알람유닛부(A)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원격센서부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칩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알람부(132)는 LED 등의 발광소자와 충격량에 따라 스위칭이 가능하게 하는 스위칭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알람부(136) 역시 위 스위칭 부재와 연동하여 음성알람을 송출할 수 있도록 스피커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징적인 구성은 화재등의 비상상황으로 연기로 인한 시야확보가 어려운 공간이나 불시에 화염에 휩싸여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등 한정된 공간에서 방독면의 비치장소를 찾을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특정 공간(천장이나 벽면)에서 화재를 감지하거나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토출함(미도시)에서 방독면이 토출되는 경우, 되도록 넓은 장소를 향해 비산할 수 있는 방독면의 구조적인 효율성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독면의 제1몸체, 상기 제2몸체, 상기 제3몸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탄성재질을 가지는 부재로 구현되거나, 제1몸체, 상기 제2몸체, 상기 제3몸체의 외표면에 탄성재질을 가지는 부재가 피복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의 제1몸체 내지 제3몸체를 구성하고,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몸체 내지 제3몸체의 외표면에 일정한 돌출형 패턴(P) 구조의 탄성을 가지는 수지 패턴을 형성하여 휴대용 방독면이 충격에 의해 쉽게 비산하거나 분산하도록 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휴대용 방독면
110: 제1몸체
120: 제2몸체
124: 호흡관
126: 주름부
130: 제3몸체
132: 발광알람부
134: 원격센서부
136: 음성알람부
140: 공기흡입구
150: 산소저장탱크
170: 여과장치
171~174: 필터유닛

Claims (8)

  1. 내부에 공기공급유닛을 포함하며, 외표면이 곡률을 가지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의 일측에 분리가능한 구조로 결합하는 제2몸체; 및
    상기 제1몸체의 타측에 분리가능한 구조로 결합하는 제3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와 제2 및 제3몸체의 결합시 외형이 구형 또는 타원형을 이루는 휴대용 방독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내부에 상기 공기공급유닛과 연결되는 호흡관이 수용되는,
    휴대용 방독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호흡관의 일영역에 호흡관의 절곡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름부가 구현되는,
    휴대용 방독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몸체에 결합하는 알람유닛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방독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알람유닛부는,
    외부의 충격을 인지하여 발광신호를 송출하는 발광알람부; 또는
    외부의 충격을 인지하여 음성신호를 송출하는 음성알람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방독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상기 제2몸체, 상기 제3몸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탄성재질로 구현되는,
    휴대용 방독면.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1몸체, 상기 제2몸체, 상기 제3몸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외표면에 탄성패턴부재가 형성되는,
    휴대용 방독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턴부재는,
    상기 상기 제1몸체, 상기 제2몸체, 상기 제3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다수의 돌출형 패턴이 구현되는,
    휴대용 방독면.
KR1020150003296A 2015-01-09 2015-01-09 휴대용 방독면 KR20160086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296A KR20160086080A (ko) 2015-01-09 2015-01-09 휴대용 방독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296A KR20160086080A (ko) 2015-01-09 2015-01-09 휴대용 방독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080A true KR20160086080A (ko) 2016-07-19

Family

ID=56616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296A KR20160086080A (ko) 2015-01-09 2015-01-09 휴대용 방독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60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824B1 (ko) * 2020-06-18 2021-02-10 주식회사 인터커뮤니케이션즈 마스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180A (ko) 2000-01-21 2001-08-11 김현 스트레스 자동인식 컴퓨터 주변장치 및 이를 이용한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180A (ko) 2000-01-21 2001-08-11 김현 스트레스 자동인식 컴퓨터 주변장치 및 이를 이용한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824B1 (ko) * 2020-06-18 2021-02-10 주식회사 인터커뮤니케이션즈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4218A (en) Personal escape breathing apparatus
KR101418960B1 (ko) 긴급대피용 산소호흡기
WO2006083558A3 (en) Fire fighting system
KR20100041266A (ko) 휴대용 자가 산소호흡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KR20120033615A (ko) 다기능 마스크
KR100767009B1 (ko) 산소발생 마스크
KR101064653B1 (ko) 일회용 구명의
KR200388729Y1 (ko) 긴급 대피용 산소호흡기 및 랜턴을 겸비한 소화장치
KR20160086080A (ko) 휴대용 방독면
KR101356738B1 (ko) 긴급대피용 호흡장치
KR200314946Y1 (ko) 공기호흡기용 개인안전 경보시스템
KR20120019069A (ko) 질식 방지를 위한 휴대용 산소호흡기
CN106730455A (zh) 气囊式烟雾重复过滤呼吸装置
KR200431561Y1 (ko) 산소호흡기용 후드
KR20160086081A (ko) 휴대용 방독면 자동 제공시스템
KR20220154589A (ko) 포켓용 실리콘 성형 방독면과 그 제조 방법
KR101791165B1 (ko) 소방관용 경보장치
CN108853826B (zh) 一种手持式应急呼吸防护罐
KR102210436B1 (ko) 호흡장치
KR200465483Y1 (ko)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
KR200483699Y1 (ko) 휴대용 위치 추적 공기 호흡기
KR101980853B1 (ko) 재 호흡 기능을 가진 안전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24335A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KR20110132839A (ko) 방화공
KR102503763B1 (ko) 화재대피용 산소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