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981A - Ink supply can be convenient ink refill - Google Patents

Ink supply can be convenient ink refi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981A
KR20160084981A KR1020150001764A KR20150001764A KR20160084981A KR 20160084981 A KR20160084981 A KR 20160084981A KR 1020150001764 A KR1020150001764 A KR 1020150001764A KR 20150001764 A KR20150001764 A KR 20150001764A KR 20160084981 A KR20160084981 A KR 20160084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valve
container
inlet
inje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7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영민
Original Assignee
엄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영민 filed Critical 엄영민
Priority to KR1020150001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4981A/en
Publication of KR20160084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9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supply device with convenient ink replenishment which allows a user to conveniently replenish ink without background knowledge about an ink supply device. The ink supply device with convenient ink replenishment comprises: an ink storage chamber which stores ink supplied to a printer head of an inkjet printer, and has an ink injection port form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t least one container communicating with the ink storage chamber and comprising an air chamber having an air hole form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container comprises: a valve installed in the air hole to control an inflow of an external fluid; and a cover having a cap formed on one side thereof to open and close the ink injection port, and a protruding pipe formed on the other side thereof to open and close the valve. The cover is installed on the container to sequentially seal the ink injection port, open the valve, close the valve, and open the ink injection port.

Description

잉크 보충이 편리한 잉크공급장치 {Ink supply can be convenient ink refil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잉크 보충이 편리한 잉크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잉크공급장치 내부의 압력을 제어하여 잉크공급장치에 잉크 보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잉크 보충이 편리한 잉크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supply apparatus which is convenient to replenish in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k supply apparatus which can easily replenish ink to an ink supply apparatus by controlling pressure inside the ink supply apparatus.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 사용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프린터의 외부에 잉크를 저장용기에 담아 튜브를 통해 프린터 헤드로 공급하는 잉크공급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잉크공급장치는 잉크가 소진되면 잉크를 용기에 보충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사용 후에 폐기되는 카트리지 방식에 비하여 잉크의 소모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In general, in order to reduce the ink usage cost of an inkjet printer, an ink supply device is used in which ink is stored in a storage container outside the printer and supplied to the printer head through a tube. Such an ink supplying apparatus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umption cost of the ink as compared with the cartridge method in which the ink is replenished and reused in the container when the ink is exhausted, after the use is discarded.

근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잉크공급장치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structure of an ink supply device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공급장치는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터 헤드에 공급되는 잉크가 저장되며 상부에 잉크를 보충하기 위한 잉크주입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잉크주입구(110)가 마개에 의해 밀폐되는 잉크저장실(100) 및, 상기 잉크저장실(100)과 연통되며 상부에 공기홀(310)이 형성되는 공기실(300)로 구성되는 용기(10)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As shown in Fig. 1, the ink supply apparatus includes an ink supply port 110 for storing ink supplied to a print head of an ink jet printer and replenishing ink thereon, And a container 10 composed of an ink chamber 100 sealed and an air chamber 300 communicating with the ink reservoir 100 and having an air hole 310 formed thereon.

이러한, 상기 용기(10)에 잉크를 보충하는 올바른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잉크주입구(110)의 마개를 열고 공기홀(310)을 밀폐한 다음 잉크를 충진한다. 그러면, 잉크는 상기 공기실(300)이 진공상태가 되는 수위까지 공기실(300)측으로 유입된 후 잉크저장실(100)에 충진된다. 이후, 상기 잉크주입구(110)를 마개로 밀폐시켜 잉크저장실(100)이 진공상태가 되게 하고, 상기 공기홀(310)을 개방하여 프린터 헤드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실(300)은 대기압이 작용하여 프린터 헤드에 잉크가 공급되게 하며, 더불어 진공상태인 상기 잉크저장실(100)의 내부압력이 외부환경에 의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버퍼 역할을 하게 된다.The correct process of replenishing the ink to the container 10 will be described below. First, the cap of the ink inlet 110 is opened, the air hole 310 is sealed, and then the ink is filled. Then, the ink flows into the air chamber 300 to a level at which the air chamber 300 is in a vacuum state, and then the ink is filled in the ink storage chamber 100. Thereafter, the ink inlet 110 is closed with a cap to make the ink storage chamber 100 in a vacuum state, and the air hole 310 is opened to supply an ink to the printer head. The atmospheric pressure acts on the air chamber 300 to supply ink to the print head and also prevent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k storage chamber 100 from being rais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in a vacuum state .

그런데, 일반적인 사용자들은 상기한 잉크 보충의 올바른 과정을 숙지하지 못함으로써, 잉크 보충 시 상기 공기실(300)에 잉크가 다량 유입되게 하여 잉크저장실(100)의 내부압력의 상승에 의해 인쇄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왔다.However, since ordinary users are not aware of the correct procedure of the above-described ink replenishment, a large amount of ink is introduced into the air chamber 300 at the time of ink replenishment, and the print quality is lowered due to an increas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k storage chamber 100 The problem has arisen.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를 공기실(300)과 잉크저장실(100)이 계단식으로 상호 단차지게 형성하고, 잉크주입구(110)를 공기실(300)과 잉크저장실(100) 사이에 형성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를 눕혀서 잉크를 보충할 수 있게 하였다. 즉, 상기 잉크주입구(110)를 개방하여 잉크저장실(100)에 잉크를 충진한 후 다시 상기 잉크주입구(110)를 마개로 밀폐한 다음 상기 용기(10)를 바로 세워 잉크를 프린터 헤드로 공급할 수 있게 제안하고 있다.2, the container 10 is formed so that the air chamber 300 and the ink storage chamber 100 are stepped in a stepped manner, and the ink inlet 110, Is formed between the air chamber 300 and the ink reservoir 100 so that the container 10 can be laid down to replenish the ink as shown in Fig. That is, after the ink inlet 110 is opened to fill the ink reservoir 100 with ink, the ink inlet 110 is sealed with a cap, and then the container 10 is directly raised to supply ink to the printer head .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역시 사용자가 공기실(300)의 기능을 인지하지 못할 시에는 도 2와 같이 상기 용기(10)를 눕히지 않고 세운 채로 잉크를 잉크주입구(110)에 주입하여 상기 공기실(300)에 잉크가 다량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잉크의 보충 시 상기 용기(10)를 눕혔다 세워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이로 인해 상기 용기를 프린터의 내외부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없는 폐단이 있어 왔다.However, when the user does not perceive the function of the air chamber 300, the ink is injected into the ink inlet 110 while the container 10 is held without being laid down as shown in FIG. 2, A large amount of ink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k cartridge 300. In addition, when the ink is replenish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ainer 10 should be laid down,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fix the container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rinter.

KR 20-2012-0005836 UKR 20-2012-0005836U KR 10-0408967 B1KR 10-0408967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잉크공급장치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이도 간편하게 잉크를 보충할 수 있는 잉크 보충이 편리한 잉크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k supply apparatus which can easily replenish ink without a background knowledge of the ink supply apparatu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잉크공급장치는,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터 헤드에 공급되는 잉크가 저장되며 상부에 잉크주입구가 형성된 잉크저장실 및, 상기 잉크저장실과 연통되며 상부에 공기홀이 형성되는 공기실로 구성되는 용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잉크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공기홀에 설치되어 외부 유체의 유입을 단속하는 밸브 및, 일측에 상기 잉크주입구를 개폐하는 마개와, 타측에 상기 밸브를 개폐하는 돌출관이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는 잉크주입구의 밀폐와 밸브의 개방 및 상기 밸브의 폐쇄와 잉크주입구의 개방을 순차적으로 수행 가능하도록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k supply apparatus including an ink reservoir in which ink supplied to a print head of an ink jet printer is stored and has an ink injection port formed thereon, and an air hole communicated with the ink reservoir, Wherein the container has a valve installed in the air hole to intermit the inflow of the external fluid, a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k inlet at one side, and a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k inlet at the other side, And a lid provided with a protruding pip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wherein the lid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so as to sequentially seal the ink inlet port, open the valve, close the valve and open the ink inlet port .

그리고, 상기 덮개는 용기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용기에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d is hing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container.

이와 함께, 상기 밸브는 일측에 상기 공기실과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서 절개부로만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alve has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air chamber on one side and a cut on the other side to allow fluid to flow only from the space to the incision.

아울러, 상기 돌출관은 상기 덮개의 하부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마개가 상기 잉크주입구를 밀폐하면 상기 밸브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공기실과 용기의 외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마개가 상기 잉크주입구로부터 분리되어 잉크주입구가 개방되면 상기 돌출관이 상기 밸브의 공간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밸브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trusion tube is protrud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ver so that when the cap closes the ink injection port, the protrusion tube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of the valve to communicate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with the air chamber, And when the ink injection port is opened, the protruding pipe is separated from the space portion of the valve so that the valve is closed.

한편, 상기 밸브는 상기 공기실과 연통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유입구가 형성되는 커버,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볼 및, 상기 볼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alve includes a body communicating with the air chamber, a cov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 cover defining an inlet, a ball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nd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ll.

이와 함께, 상기 돌출관은 상기 덮개의 하부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마개가 상기 잉크주입구를 밀폐하면 상기 밸브의 유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볼이 개방되면서 공기실과 용기의 외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마개가 상기 잉크주입구로부터 분리되어 잉크주입구가 개방되면 상기 돌출관이 상기 밸브의 유입구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밸브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trusion tube is protrud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ver so that when the cap closes the ink injection port, the protrusion tube is inserted into the inlet of the valve to open the ball to communicate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with the air chamber, When the ink injection port is separated from the ink injection port, the protruding pipe is separated from the inlet of the valve so that the valve is clos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먼저, 모든 사용자가 편리하게 잉크 보충을 할 수 있으며 보충 후에 인쇄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all the users can conveniently replenish the ink,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int quality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after replenishment.

그리고, 용기의 자세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어 프린터 내외부에 고정하여 프린터와 일체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container, so that it is possible to integrate the printer with the printer by fixing the printer inside and outside the printer.

도 1은 종래의 잉크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잉크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잉크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k supply devic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k supply devic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k supply apparatus.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A shown in FIG.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B shown in Fig. 4. 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8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잉크 보충이 편리한 잉크공급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잉크저장실(100) 및 공기실(300)로 구성되는 용기(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용기(10)에 구비되는 밸브(311)와 덮개(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4, which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k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container 10 composed of an ink storage chamber 100 and an air chamber 300, And a valve (311) and a lid (500) provided in the container (10).

즉, 상기 용기(10)는 잉크저장실(100), 공기실(300), 밸브(311) 및 덮개(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잉크저장실(100)은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터 헤드(H)로 공급되는 잉크가 저장되며, 상기 프린터 헤드(H)와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잉크저장실(100)의 상부에는 잉크가 주입되는 잉크주입구(110)가 형성된다.That is, the container 10 comprises an ink storage chamber 100, an air chamber 300, a valve 311, and a cover 500. The ink storage chamber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ink supplied to a print head H of an ink jet printer is stored and communicated with the print head H. [ An ink inlet 110 through which the ink is injected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k reservoir 100.

다음으로, 상기 공기실(300)은 잉크저장실(100)과 연통되며 상부에 공기홀(310)이 형성된다. 상기 잉크저장실(100)과 공기실(300)은 각각 별도 제작되어 서로 연통되게 할 수 있으나 제작의 편의를 위해 상기 용기(10)내에 격벽(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해 잉크저장실(100)과 공기실(300)로 구획되되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기홀(310)은 용기 외부와 공기실을 연통시켜 공기실(300) 내부를 대기압 상태가 되게 한다.Next, the air chamber 300 communicates with the ink reservoir 100, and an air hole 31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The ink storage chamber 100 and the air chamber 300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However, for convenience of manufacture, the ink storage chamber 100 and the air chamber 30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partition walls (not shown)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sealing member 300 is divided into chambers 300 and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Here, the air holes 310 allow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to communicate with the air chamber so that the inside of the air chamber 300 is at atmospheric pressure.

이어서,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인 잉크공급장치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이도 간편하게 잉크를 보충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하는 밸브(311)와 덮개(500)를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valve 311 and the lid 500, which realize a structure that can easily replenish the ink without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ink supply device, which is a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밸브(311)는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홀(310)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의 유체 유입을 단속하는 것으로, 상세하게 상기 밸브(311)는 탄력을 가지는 합성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며, 일측에 개구된 공간부(a)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실(300)과 연통되고, 타측에 절개부(b)가 형성되어 절개부(b)가 상기 공간부(a)측에서 절개부(b)측으로만 유체가 흐를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상기 밸브(311)의 구조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문헌 KR 20-2012-0005836 U에 제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4 or 6, the valve 311 is fixed to the air hole 310 to intermittently inflow the external fluid. Specifically, the valve 311 is made of synthetic rubber having elasticity, A cut portion b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air chamber 300 so that the cut portion b is formed in the space portion the fluid can flow only from the side a to the incision b side. The structure of the valve 311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KR 20-2012-0005836 U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상기 덮개(500)는 일측에 상기 잉크주입구(110)를 개폐하는 마개(510)와 타측에 상기 밸브(311)를 개폐하는 돌출관(530)이 형성되어, 상기 잉크주입구(110)의 밀폐와 밸브(311)의 개방 및 상기 밸브(311)의 폐쇄와 잉크주입구(110)의 개방을 순차적으로 수행 가능하도록 상기 용기(10)에 설치된다.The cover 500 has a cap 5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k inlet 110 and a protruding tube 5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311 on the other side. The opening of the valve 311 and the closing of the valve 311 and the opening of the ink inlet 110 are sequentially performed in the container 10.

자세하게,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개(510)는 덮개(500)의 하부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잉크주입구(110)의 위치와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기밀을 위해 오링(511)이 구비된다. 이와 함께, 상기 돌출관(530)은 덮개(500)의 하부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밸브(311)의 공간부(a)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4 to 5, the stopper 510 protrud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lid 500 an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ink inlet 11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pper 510 has an O- (511). The protruding pipe 530 protrudes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lid 500 and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pace a of the valve 311.

그리고, 상기 덮개(500)는 용기(1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용기(10)에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500)는 상기 잉크저장실(100)의 잉크주입구(110)의 후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개폐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덮개(500)를 회동시켜 덮으면 순차적으로 상기 마개(510)가 잉크주입구(110)를 밀폐한 후 상기 돌출관(530)이 밸브(311)의 절개부(b)를 뚫고 공간부(a)에 삽입되어 상기 공기실(300)과 용기(10) 외부를 연통시키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덮개(500)를 회동시켜 열면 순차적으로 상기 돌출관(530)이 밸브(311)의 공간부(a)에서 분리되어 밸브(311)가 폐쇄된 후 상기 마개(510)가 잉크주입구(110)를 개방시키게 된다.The lid 500 is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 and install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container 10.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lid 500 is hinged to the rear side of the ink inlet 110 of the ink storage chamber 100 so as to be rotatably opened and closed. When the lid 500 is rotated and closed, the cap 510 sequentially closes the ink inlet 110 and the protruding pipe 530 penetrates the cutout b of the valve 311, (a) to communicate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10 with the air chamber 300. On the contrary, when the lid 500 is rotated, the protruding pipe 530 is sequentially separated from the space a of the valve 311 to close the valve 311, (Not shown).

여기서, 상기 밸브(311)는 다른 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실(300)과 연통되는 몸체(c)와, 상기 몸체(c)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관(530)이 삽입되는 유입구(d)가 형성되는 커버(e), 상기 몸체(c)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d)를 개폐하는 볼(f) 및, 상기 볼(f)이 유입구(d)를 개폐할 수 있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g)으로 이루어지는 볼밸브의 형태로 적용가능하다. 상기 스프링(g)은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경우 코일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이 몸체(c)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경우 판 스프링의 양단이 몸체(c)의 내벽에 고정되는 구조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Here, the valve 311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7 and 8, a body c communicating with the air chamber 300 and an inlet d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c and into which the protruding tube 530 is inserted A ball f which opens and closes the inlet d inside the body c and a spring g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ball f so as to open and close the inlet d, As shown in FIG. The spring g may be formed of a coil spring or a leaf spring. When the coil spring is formed of a coil spring, guide means for preventing the release of the coil spring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ody c. It is preferable to follow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of the spring are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body c.

이렇게 되면, 상기 돌출관(530)은 상기 덮개(500)의 하부측으로 돌출형성되되 단부가 경사를 이루어 사선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관(530)이 상기 볼(f)을 가압할 때, 상기 돌출관(530)의 단부가 볼(f)에 의해 막히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마개(510)가 상기 잉크주입구(110)를 밀폐하면 상기 밸브(311)의 유입구(d)에 삽입되어 상기 볼(f)이 개방되면서 공기실(300)과 용기(10)의 외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돌출관(530)이 상기 밸브(311)의 유입구(d)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밸브(311)를 폐쇄하면 상기 마개(510)가 상기 잉크주입구(110)를 개방하게 된다.The protruding pipe 530 is protrud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lid 500 and has an oblique slope so that when the protruding pipe 530 presses the ball f, So that the end of the pipe 530 is not blocked by the ball f. When the cap 510 seals the ink injection port 110, the ball f is inserted into the inlet port d of the valve 311 so that the air chamber 300 and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10 When the protruding pipe 530 is separated from the inlet port d of the valve 311 and the valve 311 is closed, the cap 510 opens the ink inlet port 110.

또한, 상기 밸브(311)는 또 다른 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공지의 공(ball)에 사용되는 공기주입밸브와 같이 상기 밸브(311)는 돌출관(530)이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공기실(300)과 외부의 공기유입을 단속하기 위해 탄력적으로 압착되는 탄력절개부로 이루어지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lve 311 may be applied to another embodimen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valve 311 include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protruding pipe 530 is inserted, and an air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inflow of air outside the air chamber 300 is interrupted And a resilient incision part that is resiliently pressed to make the resilient incision.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잉크 보충이 편리한 잉크공급장치의 잉크 보충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n ink replenishing process of the ink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hich is convenient to replenish the ink, will be described.

잉크가 소진되어 잉크를 보충할 시, 사용자는 상기 덮개(500)를 회동시켜 열개된다. 그러면, 상기 돌출관(530)이 밸브(311)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공기실(300)과 용기(10)의 외부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이후, 상기 마개(510)가 잉크주입구(110)를 개방하여 사용자는 잉크저장실(100)에 잉크를 충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잉크저장실(100)에 잉크를 충진하게 되면 상기 공기실(300)이 진공상태가 되는 수위까지 잉크가 공기실(300)측으로 유입된 후 잉크저장실(100)에 충진된다. 그 다음, 잉크의 충진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덮개(500)를 회동시켜 덮으면 상기 마개(510)가 잉크주입구(110)를 밀폐하여 잉크저장실을 진공상태가 되게 하고, 이후 상기 돌출관(530)이 밸브(311)를 개방하여 상기 공기실(300)을 대기압 상태가 되게 한다. 이렇게, 잉크를 보충한 후 인쇄를 하게 되면 인쇄품질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는 정상적인 프린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ink is consumed and ink is replenished, the user rotates the cover 500 to open. Then, the protruding pipe 530 is separated from the valve 311 to block the flow of the fluid outside the air chamber 300 and the container 10. Thereafter, the cap 510 opens the ink injection port 110 so that the user can fill the ink storage chamber 100 with ink. When ink is filled in the ink storage chamber 100, ink is introduced into the air chamber 300 to a level at which the air chamber 300 is in a vacuum state, and then filled in the ink storage chamber 100. After the filling of the ink is completed, when the user completes the filling of the ink, the cap 510 rotates the cap 500 to close the ink inlet 110 to make the ink storage chamber in a vacuum state, The valve 311 is opened to bring the air chamber 300 into an atmospheric pressure state. When the ink is replenished and then printed, the print quality is not affected, and the user can perform a normal print job.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모든 사용자가 공기실과 잉크저장실 내부의 압력에 관한 사전 지식이 없더라도 상기 덮개(500)의 회동개폐 조작만으로 공기실(300)에 유입되는 잉크량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인쇄 시 공기실(300)의 버퍼 역할에 의해 인쇄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용기(10)의 자세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어 프린터 내외부에 고정하여 프린터와 일체화시킬 수 있는 잉크 보충이 편리한 잉크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amount of ink flowing into the air chamber 300 only by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lid 500 without any prior knowledge of the pressure in the air chamber and the ink reservoi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inting quality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the function of the buffer of the air chamber 300 during printing and to fix the inside of the printer with the posture of the container 10, It is understood that the basic technical idea is to provide this convenient ink supply devic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용기 100: 잉크저장실
110: 잉크주입구 300: 공기실
310: 공기홀 311: 밸브
500: 덮개 510: 마개
511: 오링 530: 돌출관
H: 프린터 헤드 a: 공간부
b: 절개부 c: 몸체
d: 유입구 e: 커버
f: 볼 g: 스프링
10: container 100: ink storage chamber
110: ink inlet port 300: air chamber
310: air hole 311: valve
500: cover 510: cap
511: O-ring 530: protruding tube
H: printer head a: space portion
b: incision c: body
d: inlet e: cover
f: ball g: spring

Claims (7)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터 헤드(H)에 공급되는 잉크가 저장되며 상부에 잉크주입구(110)가 형성된 잉크저장실(100) 및, 상기 잉크저장실(100)과 연통되며 상부에 공기홀(310)이 형성되는 공기실(300)로 구성되는 용기(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잉크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10)는,
상기 공기홀(310)에 설치되어 외부 유체의 유입을 단속하는 밸브(311); 및,
일측에 상기 잉크주입구(110)를 개폐하는 마개(510)와, 타측에 상기 밸브(311)를 개폐하는 돌출관(530)이 형성되는 덮개(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500)는 잉크주입구(110)의 밀폐와 밸브(311)의 개방 및 상기 밸브(311)의 폐쇄와 잉크주입구(110)의 개방을 순차적으로 수행 가능하도록 상기 용기(1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보충이 편리한 잉크공급장치.
An ink reservoir 100 in which ink supplied to a printer head H of an ink jet printer is stored and an ink inlet 110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air hole 310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ink reservoir 100 1. An ink supply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container (10) composed of an air chamber (300)
The container (10)
A valve (311) installed in the air hole (310) and controlling the inflow of external fluid; And
And a lid 500 having a cap 5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k injection port 110 and a protruding pipe 5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311 on the other side,
The lid 500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10 so as to sequentially perform closing of the ink inlet 110, opening of the valve 311, closing of the valve 311, and opening of the ink inlet 110 The ink supply devic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500)는 용기(1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용기(10)에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보충이 편리한 잉크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500) is hing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 and is rotatably installed relative to the container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311)는,
일측에 상기 공기실(300)과 연통되는 공간부(a)가 형성되고, 타측에 절개부(b)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a)에서 절개부(b)로만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보충이 편리한 잉크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alve (311)
A space part a communicating with the air chamber 300 is formed on one side and a cut part b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fluid can flow only from the space part a to the cut part b The ink supply device compri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관(530)은 상기 덮개(500)의 하부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마개(510)가 상기 잉크주입구(110)를 밀폐하면 상기 밸브(311)의 공간부(a)에 삽입되어 상기 공기실(300)과 용기(10)의 외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마개(510)가 상기 잉크주입구(110)로부터 분리되어 잉크주입구(110)가 개방되면 상기 돌출관(530)이 상기 밸브(311)의 공간부(a)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밸브(311)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보충이 편리한 잉크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jecting pipe 530 is protrud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lid 500 and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a of the valve 311 when the plug 510 seals the ink inlet 110, The chamber 30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10,
When the cap 510 is separated from the ink injection port 110 and the ink injection port 110 is opened, the protrusion pipe 530 is separated from the space portion a of the valve 311, Wherein the ink supply port is cl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311)는,
상기 공기실(300)과 연통되는 몸체(c),
상기 몸체(c)의 상부에 설치되며 유입구(d)가 형성되는 커버(e),
상기 유입구(d)를 개폐하는 볼(f) 및,
상기 볼(f)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g)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보충이 편리한 잉크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alve (311)
A body c communicating with the air chamber 300,
A cover (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c) and having an inlet (d)
A ball f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d,
, And a spring (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ll (f).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관(530)은 상기 덮개(500)의 하부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마개(510)가 상기 잉크주입구(110)를 밀폐하면 상기 밸브(311)의 유입구(d)에 삽입되어 상기 볼(f)이 개방되면서 공기실(300)과 용기(10)의 외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마개(510)가 상기 잉크주입구(110)로부터 분리되어 잉크주입구(110)가 개방되면 상기 돌출관(530)이 상기 밸브(311)의 유입구(d)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밸브(311)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보충이 편리한 잉크공급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ojecting pipe 530 is protruded to the lower side of the lid 500 so that when the plug 510 seals the ink injection port 110, the projecting pipe 530 is inserted into the inlet d of the valve 311, f is opened, the air chamber 300 and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10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When the cap 510 is separated from the ink injection port 110 and the ink injection port 110 is opened, the protrusion pipe 530 is separated from the inlet port d of the valve 311 so that the valve 311 is closed The ink supply device compri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g)은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보충이 편리한 잉크공급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pring (g) comprises any one of a coil spring and a leaf spring.
KR1020150001764A 2015-01-07 2015-01-07 Ink supply can be convenient ink refill KR201600849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764A KR20160084981A (en) 2015-01-07 2015-01-07 Ink supply can be convenient ink refi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764A KR20160084981A (en) 2015-01-07 2015-01-07 Ink supply can be convenient ink refi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981A true KR20160084981A (en) 2016-07-15

Family

ID=5650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764A KR20160084981A (en) 2015-01-07 2015-01-07 Ink supply can be convenient ink refi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4981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967B1 (en) 2002-10-24 2003-12-12 Hypernics Co Ltd Automatic ink feeding device by using pneumatic pressure
KR20120005836U (en) 2011-02-10 2012-08-20 엄영민 Ink feeding device for prin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967B1 (en) 2002-10-24 2003-12-12 Hypernics Co Ltd Automatic ink feeding device by using pneumatic pressure
KR20120005836U (en) 2011-02-10 2012-08-20 엄영민 Ink feeding device for prin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0896B2 (en) Ink replenishment container
US6733115B2 (en) Ink-jet pen with two-part lid and techniques for filling
JP3513377B2 (en) Method for filling liquid into liquid container, filling unit for carrying out the method, liquid container manufactured by the method, and liquid ejection recording apparatus
US7445323B2 (en) Ink cartridge venting
EP0878309B1 (en) Refill assembly for printer ink cartridges
CA2596432C (en) Ink cartridge and method of ink injection thereinto
JP3166703U (en) ink cartridge
KR101307546B1 (en) The ink supply tank for an ink jet printer
KR970064934A (en) How to Charge and Refill Inkjet Printing Systems and Inkjet Print Cartridges
JP2005161854A (en) Ink cartridge
JP6609943B2 (en) Tank, tank unit and liquid injection system
KR101343645B1 (en) Ink filling apparatus for ink cartridge
KR20150008795A (en) Ink supply can be convenient ink refill
KR20160084981A (en) Ink supply can be convenient ink refill
US20050012794A1 (en) Refillable ink cartridge for an inkjet printer
JP2002103642A (en) Ink cartridge for ink jet recorder
KR101442631B1 (en) An apparatus for providing continuously ink in a printer
CN113942309B (en) Liquid storage container
KR101549069B1 (en) Unlimited refill ink feeding apparatus and thereof method
JPH09174870A (en) Ink-replenishment device
CN107031193B (en) Liquid container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KR20010000728A (en) suction instrument for Ink-cartridge and Refill Device
JP4066941B2 (en) Liquid cartridge
KR100471659B1 (en) A device for refilling ink of a printer
CN211617053U (en) Ink replenish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