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673A - 휴대용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673A
KR20160084673A KR1020150001214A KR20150001214A KR20160084673A KR 20160084673 A KR20160084673 A KR 20160084673A KR 1020150001214 A KR1020150001214 A KR 1020150001214A KR 20150001214 A KR20150001214 A KR 20150001214A KR 20160084673 A KR20160084673 A KR 20160084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nformation
unit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석
김영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1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4673A/ko
Publication of KR20160084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부에 배터리 및 메인기판이 실장되는 제1 바디; 디스플레이부가 일면에 실장된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연결하는 플렉서블한 소재의 연결부;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에 형성된 카드수납부; 외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카드수납부에 수납된 카드와 관련된 카드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제1 바디에 실장되며, 상기 카드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카드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연결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바디의 제어부와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는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는 카드 수납부에 수납된 카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적시에 혜택을 가장 많이 받는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도와줘 보다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장치{PORTABLE ELECTRICAL DEVICE}
본 발명은 카드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카드 수납부에 수납된 카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휴대용 전자장치(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휴대용 전자장치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휴대용 전자장치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휴대용 전자장치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장치의 기능이 다양화 되면서 필수 휴대품이 되어 휴대용 전자장치뿐만 아니라 지갑을 같이 휴대해야하기 때문에 번잡스러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카드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드 수납부에 수납된 카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내부에 배터리 및 메인기판이 실장되는 제1 바디; 디스플레이부가 일면에 실장된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연결하는 플렉서블한 소재의 연결부;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에 형성된 카드수납부; 외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카드수납부에 수납된 카드와 관련된 카드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제1 바디에 실장되며, 상기 카드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카드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연결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바디의 제어부와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는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카드수납부에 수납된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재위치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카드정보를 추출하여 혜택이 최대인 최적카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드수납부에서 카드가 분리시 상기 최적카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카드정보는 상기 수납된 카드의 기간누적사용금액과 요구실적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구실적과 상기 기간누적사용금액을 기초로 추가 사용요구 금액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카드정보는 상기 수납된 카드의 기간누적사용금액과 사용한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한도와 상기 기간누적사용금액을 기초로 남은 사용한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수납부에 수납된 카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적시에 혜택을 가장 많이 받는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도와줘 보다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카드의 이용 내역과 관련하여 기 설정한 조건에 도달하면 사용자에게 해당 사실을 안내하여 카드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겹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정보를 제공하는 태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사용 태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휴대용 전자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전자장치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전자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휴대용 전자장치(100)와 다른 휴대용 전자장치(100) 사이, 또는 휴대용 전자장치(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전자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장치(100)는 외부 서버와 접속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카드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위치정모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하는 지점이 어디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점에 위치하는 NFC태그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현재 위치하는 상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 및 터치방식으로 입력받는 터치패널(125)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 및 터치입력은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용 전자장치 내 정보, 휴대용 전자장치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전자장치(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장치(100)는 카드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드 인식부는 카드 수납부에 삽입되는 카드를 인식하는 장치로서, 카드의 마그네틱을 읽는 자기장치 또는 카드에 내장된 IC칩의 안테나와 무선통신을 통해 IC칩의 메모리에 저장된 카드에 관한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휴대용 전자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휴대용 전자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휴대용 전자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장치(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휴대용 전자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휴대용 전자장치(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휴대용 전자장치(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휴대용 전자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휴대용 전자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휴대용 전자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가 겹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용 전자장치(100)는 배터리(191)가 실장된 제1 바디(101)와 디스플레이부(151)가 일면에 실장된 제2 바디(102)로 구성된다.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는 플렉서블한 소재를 포함하는 연결부(103)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103)가 휘어지거나 펴지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가 중첩되도록 배치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가 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실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영상 및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장치로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바디(101)는 내부에 배터리(191)를 비롯하여 휴대용 전자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메인기판(185)과 외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110) 등이 실장되는 전장부가 제공된다.
제어부는 제1 바디(101)에 실장된 배터리(191)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휴대용 전자장치(100)에 실장된, 무선통신부(110), 카드 인식부(105), 디스플레이부(151) 등의 전자부품을 제어한다. 제어부(180)와 제2 바디(102)에 실장된 디스플레이부(151)를 연결하기 위해 플렉서블 기판(186)을 이용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86)은 연결부(103)을 관통하므로 연결부(103)의 형상 변화와 함께 변형가능하다.
제1 바디(101)의 일면에는 카드(10)가 삽입되는 카드 수납부(10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바디(101)의 일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가 중첩되어 배치시에 디스플레이부(151)와 면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반대로 디스플레이부(151)와 닿지 않는 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가 중첩되어 배치시에 디스플레이부(151)와 면하는 부분에 배치된 카드 수납부(105)의 경우를 기초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의 상태를 닫힌 상태라고 하고 도 3의 상태를 열린 상태라고 한다.
카드 수납부(105)에 카드(10)를 삽입하면 수납된 카드(10)의 정보를 인식하는 카드 인식부(14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카드 인식부(145)에서는 해당 카드(10)의 카드사와, 카드 종류 및 해당 카드(10)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는 (145) 카드 인식부(145)에서 인식한 카드의 종류와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외부서버로부터 카드 정보를 받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카드 정보는 카드 인식부(145)에서 인식한 카드의 혜택, 사용처에 따른 이용조건, 카드 사용 실적 요건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한 기간누적사용금액을 카드정보로서 받을 수 있다. 즉, 카드 정보는 해당 카드 종류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 개인의 사용 태양에 따른 정보도 포함된다.
도 2와 같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개방되지 않고, 카드 수납부(105)도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아 지갑과 같이 휴대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열린 상태에서는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1)를 이용하거나 지갑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 되는 경우 사용자가 잠금을 해놓은 상태에서는 잠금화면이 표시될 수 있으며, 그 외에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초기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100)는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를 연결하는 연결부(103)는 가죽이나 천으로된 커버 시트(104)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시트(104)는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의 외측을 감싸 지갑과 같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커버 시트(104)는 제2 바디(102)의 타면(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하지 않는 면)과 제1 바디(101)의 양면을 모두 커버하는 크기이나, 제1 바디(101) 및 제2 바디(102)의 일부만 커버할 수도 있다.
커버시트(104)의 내측면에 가죽커버의 형상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04a)을 결합할 수 있다. 프레임(104a)는 커버시트(104)와 직접 결합하여 매끈한 표면을 형성하며, 제1 바디(101)의 프론트 케이스(102a)와 제2 바디의 리어 케이스(101a)가 스크류 등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홈을 포함한다.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플렉서블 기판(186)은 상기 프레임(104a)의 상면에 결합하고, 연결부에 노출된 플레서블 기판(186)을 커버하기 위해 연결부의 내측을 구성하는 연결부 시트(103a)를 부착할 수 있다. 연결부 시트(103a)는 커버시트(104)와 같은 재질과 색상을 이용할 수도 있고 다른 재질 또는 다른 색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연결부 시트(103a)는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커버하는 마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102)의 프론트 케이스(102a)가 연결부를 중심으로 일측의 프레임에 결합하고, 디스플레이부는 프론트 케이스(102a)에 결합된다. 연결부를 중심으로 타측의 프레임에 제1 바디(101)의 리어 케이스(101a)와 프론트 케이스(101b)가 결합한다. 리어 케이스(101a)와 프론트 케이스(101b)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에 배터리(191), 메인기판(185), 무선통신부(110) 등이 실장된다.
제1 바디(101)에 실장되는 배터리(191)는 내장형 또는 착탈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착탈가능한 경우 배터리(191)가 노출되도록 제1 바디(101)를 개방하는 배터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주하는 면은 커버시트(104)를 이용하여 제1 바디(101)를 감싸면서 커버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 바디(101) 또는 제2 바디(102)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제1 바디(101)에 부착될 수 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닫혀진 상태에서는 연결부(103)가 휘어지면서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가 중첩되며,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가 중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부에 자석(109)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바디(101)의 자석(109)과 제2 바디(102)의 자석(109)은 서로 다른 극으로 구성하여 소정의 힘을 가해야만 분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정보를 제공하는 태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카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XX백화점에서 카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무선통신부는 해당 백화점에서 할인혜택을 받거나, 소정금액 이상 사용시 상품권을 주는 이벤트를 진행중인 카드가 있거나, 무이자 할부가 되는 카드 등에 관한 정보(1513)를 외부서버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누적사용금액을 외부서버로부터 취득하여 이를 제공할 수 있다(1514). 누적사용금액을 기초로 사용자가 사용금액을 제한할 수 있고, 요구실적을 맞추기 위해 더 사용해야 하는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카드의 사용한도(1515)를 제공하여 남은 한도를 확인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카드정보를 요구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카드 수납부(105)에서 카드를 빼면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카드에 관한 카드 정보(1512)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카드에 관한 카드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복수개의 카드에 관한 정보를 모두 제공할 수도 있다. 하나의 카드에 관한 정보(1512)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다른 카드에 관한 간단 정보(1511)도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복수개의 카드 중 선택된 카드의 정보를 최우선 카드 정보(1512)라 하고, 그 이외의 카드에 관한 정보를 차순위 카드정보(1511)라고 한다. 최우선 카드 정보는 사용자가 카드 수납부(105)에서 뽑은 카드의 카드 정보가 될 수 있다.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위치정보 모듈을 이용하여 감지한 후에 휴대용 단말기(100)가 위치한 상점에서 할인되거나 무이자 할부 등 혜택이 큰 카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여 가장 사용시 가장 유리한 최우선 카드 정보(1512)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차순위 카드 정보(1511)는 최우선 카드 정보(1512)에 비해 작은 공간에 카드 이미지와 함께 요약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에에 표시된 차순위 카드 정보(1511)를 선택하면 차순위 카드에 관한 보다 상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사용 태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연결부(103)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유가 있는 경우, 휴대용 전자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도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가 완전히 중첩되지 않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일측이 노출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단부가 노출된 경우 노출된 부분에 수신되고 있는 호신호나, 수신한 메시지, 시간, 주요 일정 등과 같은 간단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단부가 노출된 것을 감지하기 위해 자석(109)의 위치를 감지하는 자기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102)가 제1 바디(101)와 완전히 중첩되지 않은 경우 근접센서나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단부가 노출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수납부(105)에 수납된 카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적시에 혜택을 가장 많이 받는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도와줘 보다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카드의 이용 내역과 관련하여 기 설정한 조건에 도달하면 사용자에게 해당 사실을 안내하여 카드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휴대용 전자장치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101: 제1 바디
102: 제2 바디 185: 메인기판
103: 연결부 104: 커버 시트
105: 카드 수납부 109: 자석

Claims (10)

  1. 내부에 배터리 및 메인기판이 실장되는 제1 바디;
    디스플레이부가 일면에 실장된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연결하는 플렉서블한 소재의 연결부;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에 형성된 카드수납부;
    외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카드수납부에 수납된 카드와 관련된 카드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제1 바디에 실장되며, 상기 카드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카드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연결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바디의 제어부와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는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수납부에 수납된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현재위치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카드정보를 추출하여 혜택이 최대인 최적카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드수납부에서 카드가 분리시 상기 최적카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정보는 상기 수납된 카드의 기간누적사용금액과 요구실적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구실적과 상기 기간누적사용금액을 기초로 추가 사용요구 금액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정보는 상기 수납된 카드의 기간누적사용금액과 사용한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한도와 상기 기간누적사용금액을 기초로 남은 사용한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두께보다 길고,
    상기 연결부를 적곡하여 상기 제1 바디의 일면과 상기 제2 바디의 일면이 접하게 배치할 경우, 상기 제2 바디의 단부가 상기 제1 바디의 단부 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배치시에 상기 제1 바디와 중첩되지 않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 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타면, 연결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타면을 커버하는 커버시트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시트는
    상기 제1 바디의 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을 커버하고, 상기 카드수납부에 상응하는 위치가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은 분리시 상기 배터리가 노출되는 탈착가능한 배터리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KR1020150001214A 2015-01-06 2015-01-06 휴대용 전자장치 KR20160084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214A KR20160084673A (ko) 2015-01-06 2015-01-06 휴대용 전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214A KR20160084673A (ko) 2015-01-06 2015-01-06 휴대용 전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673A true KR20160084673A (ko) 2016-07-14

Family

ID=5649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214A KR20160084673A (ko) 2015-01-06 2015-01-06 휴대용 전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46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423A1 (ko) * 2022-03-30 2023-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세서리 장치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423A1 (ko) * 2022-03-30 2023-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세서리 장치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5651B1 (ko) 이동 단말기
KR10252706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42127B2 (en) Watch-type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KR2019008630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부품 배치 구조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9336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3693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8238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53585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타일러스 펜 충전 방법
KR20200017157A (ko) 전자 장치와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190112127A (ko) 이동 단말기
US9768820B2 (en) Mobile terminal
KR102406843B1 (ko) 이동 단말기
US20170078461A1 (en) Mobile terminal
KR102415667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16559A (ko) 이동 단말기
KR20210149860A (ko) 접착 테이프 및 이동 단말기
KR20160084673A (ko)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170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KR2015013299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34484A (ko) 이동단말기 및 전자디바이스
KR101607974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78431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2143A (ko) 이동 단말기
KR20150084446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