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258A - A duct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trailing electric precipitator - Google Patents

A duct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trailing electric precipit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258A
KR20160084258A KR1020150000912A KR20150000912A KR20160084258A KR 20160084258 A KR20160084258 A KR 20160084258A KR 1020150000912 A KR1020150000912 A KR 1020150000912A KR 20150000912 A KR20150000912 A KR 20150000912A KR 20160084258 A KR20160084258 A KR 20160084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filter
curtain type
dust
roll cu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9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일메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메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메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0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4258A/en
Publication of KR20160084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2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01D46/006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8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woun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ing apparatus inside a duct for removing fine dust on a rear side of an electric precipitator. More particularly, the filtering apparatus is installed on a rear side of an electric precipitator (EP) at a power plant or an industrial plant site to filter non-treated fine dust in flue gas emitted from the EP. The filtering apparatus inside a duct (100) comprises: a duct system composition part (110); a filter part (120); a filter driving part (130); a filter drum part (140); a fine dust outlet part (150); and a filter exhaustion part (160).

Description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A DUCT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TRAILING ELECTRIC PRECIPITATO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t a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dust precipitator,

본 발명은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전설비 또는 산업 플랜트 현장의 전기집진기(EP) 후단에 설치되어, 전기집진기에서 배출되는 연도 가스(Flue Gas)에 함유된 미처리된 초미세먼지를 여과하여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ct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particulate matter downstream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filtering flue gas discharged from an electrostatic dust precipitator installed downstream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E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ct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fine particulate matter downstream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hich can filter and effectively filter untreated ultrafine dust contained in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에너지 다소비업종인 발전설비 또는 산업 플랜트 현장이 있는 산업체에서는 전기 또는 스팀 등과 같은 필요한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발전보일러 및 소각보일러 등과 같은 다양한 연소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연소시설의 후단부에는 연소공정에서 발생되는 먼지, 황산화물, 및 질소산화물 등의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대기오염 방지시설이 필연적으로 설치되어 운영된다. 특히, 연소시설의 후단에는 발전보일러 또는 소각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스택(stack)으로 나가는 배기가스의 흐름 도중에 전기집진기(EP)를 설치하여 미세먼지를 집진 처리하여 제거하는 공정을 운영하고 있다.
In the energy-consuming industries such as power plants or industrial plant sites, various combustion facilities such as power generation boilers and incineration boilers are operated to secure necessary energy such as electricity or steam.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ies for removing air pollutants such as dust, sulfur oxides, and nitrogen oxide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are inevitably installed and operated at the rear end of such a combustion facility. Particularly, in the downstream of the combustion facility, an electrostatic dust precipitator EP is installed during the flow of the exhaust gas to the stack to remove the dust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power generation boiler or the incineration boiler, And the process of removing the waste.

일반적으로 전기집진기는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함유된 배기가스 중의 입자에 전하를 주어 이 전하 입자를 정전기력에 의해 배기가스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연소시설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많은 분진, 검댕 등을 집진 처리하여 제거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집진기의 원리는 케이싱(casing)의 집진전극을 음으로 하고, 케이싱의 중앙에 매단 방전 선에 양의 직류 고전압을 가해 놓은 뒤 이 케이싱 내에 분진을 함유한 배기가스를 보내면 분진이 음으로 대전하여 집진극에 부착되므로 케이싱 상부로 빠지는 배기가스는 청정하게 정화되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대표적인 전기집진기는 집진극에 쌓인 분진을 물로 씻어 내리거나 집진극에 기계적 충격을 주거나 하는 방법으로 제거하는 습식 또는 건식 집진기로 구성된다.
Generally,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es a corona discharge to charge a particle in an exhaust gas contained therein and separates the charged particle from the exhaust gas by an electrostatic force, thereby collecting a large amount of dust, soot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acility And removed. The principle of such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that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of the casing is made negative, a positive DC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discharge line at the center of the casing, and then exhaust gas containing dust is sent to the casing, So that the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is cleanly purified and discharged. A typical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composed of a wet or dry dust collector which removes the dust accumulated on the dust collector by water or mechanically shocks the dust collector.

현재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2001년 6월 30일 이전에 설치된 발전소는 pm 30, 이후에 설치된 발전소는 pm 20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먼지배출 부과금이 부과되지 않는 자체관리 기준의 수치는 pm 9로 관리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발전설비 산업체에서는 기준치 pm 20에 비하여 낮은 TSP 배출농도로 잘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배출 먼지의 성분비를 보면, pm 2.5이하인 초미세먼지가 67%, pm 2.5~pm 10이하인 미세먼지가 24%, pm 10이상의 큰 입자는 9%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낮은 TSP 배출농도가 유지되고는 있지만 그 먼지의 91% 정도가 인체에 유해한 미세먼지인 것이다. 보통 pm 10은 미세먼지, pm 2.5는 초미세먼지라 하고, 초미세먼지는 폐로 들어가게 되면 배출이 되지 않고 폐에 흡착되어 진폐증을 일으키고, 뇌 쪽으로 들어가게 되면 혈관을 막아 뇌졸중을 유발하는 등 인체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0293호는 집진장치를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current Air Pollution Control Law enforcement regulations, the power plant installed before 30 June 2001 is pm 30, the power plant installed after that date is pm 20, and the number of self-management standards without dust emission charge is pm 9 . In most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ndustry, it seems that it operates well with low TSP emission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standard value of pm 20. However, when the composition ratio of exhaust dust is examined, fine dust having a purity of less than 2.5 is 67% 24%, and the particles larger than pm10 are only about 9%. Therefore, although low TSP emission levels are maintained, about 91% of the dust is fine dust that is harmful to human body. Usually pm10 is fine dust and pm2.5 is ultrafine dust. Ultrafine dust is not discharged when it enters the lungs. It adsorbs to the lungs and causes pneumoconiosis. When it enters the brain, it blocks blood vessels and causes stroke. There is a problem that has a good effec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20293 discloses a dust collecting device as a prior art document.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발전설비 또는 산업 플랜트 현장의 전기집진기(EP) 후단에 설치되는 롤 커튼 타입 필터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필터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전기집진기에서 배출되는 연도 가스(Flue Gas)에 함유된 미처리된 미세먼지를 여과하여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하고, 발전설비의 유닛 운전 중에도 상시 교체 및 정비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ethod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ter device in which a roll curtain type filter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EP) Thereby enabling effective filtration of the untreated fine dust contained in flue gas discharged from the electrostatic dust precipitator and enabling effective replacement and maintenance even during unit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uct filtering apparatus for dust removal.

또한, 본 발명은, 덕트 시스템 구성부의 덕트 단면적 확대를 통한 연도 가스의 풍속 저하 및 전후 풀리를 활용한 필터의 단면적 확보로 차압 저감 및 포집 효율이 증대되고, 롤 커튼 타입 필터의 표면에 차압 발생 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새로운 필터 표면이 적용되고, 사용된 필터 표면은 크리닝(cleaning)으로 재생되어 반복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실린더를 활용한 풀리의 위치 변경의 조정을 통한 롤 커튼 타입 필터의 텐션 조정이 가능해짐에 따른 필터 성능의 여과 효율의 향상과 수명 연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differential pressure reduction and collection efficiency by reducing the wind velocity of the flue gas through the enlargement of the duct cross-sectional area of the duct system constituent part and securing the sectional area of the filter using the front and rear pulleys, and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A new filter surface is applied by moving to the upper or lower side and the used filter surface is regenerated by cleaning to enable repeated use and the tension of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by adjusting the position change of the pulley using the cylind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uct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fine particulate at the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hich can improve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performance and extend the service life as the adjustment becomes possibl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에서 탈진한 미세먼지를 진공펌프와 집집기 또는 컨베이어를 활용해서 미세먼지 포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필터 탈진부에서 롤 커튼 타입 필터의 사용 중 눈 막힘 현상이 해소될 수 있도록 압축공기 또는 증기를 분사하여 필터 클리닝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removes fine dust that has been exhausted from the collected fine dust discharging portion by using a vacuum pump, a collecting container or a conveyor, and is capable of effectively collecting fine dus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uct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particulate matter downstream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so that filter cleaning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by injecting compressed air or steam so that the phenomenon can be solv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는,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duct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dust from a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발전설비 또는 산업 플랜트 현장의 전기집진기(EP) 후단에 설치되어, 전기집진기에서 배출되는 연도 가스(Flue Gas)에 함유된 미처리된 초미세먼지를 여과하기 위한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로서,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filtering untreated ultrafine dust contained in a flue gas discharged from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installed downstream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EP) at a power plant or an industrial plant site. As a filtering device,

상기 연도 가스가 흐르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양 측으로 유입구 덕트와 배출구 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 덕트와 배출구 덕트 사이에 단면적이 증대된 내부공간을 갖는 단면적 확대 덕트가 형성되며, 상기 단면적 확대 덕트의 상부 및 하부에 일부가 개방되게 연통된 상부 덕트 챔버와 하부 덕트 챔버가 형성되는 덕트 시스템 구성부;Sectional area enlargement duct having an inlet duct and an outlet duct formed on both sides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which the flue gas flows and an inner space having an increased sectional area between the inlet duct and the outlet duct, And a duct system constituting a lower duct chamber and an upper duct chamber communicat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duct system,

상기 덕트 시스템 구성부의 상부 덕트 챔버와 단면적 확대 덕트 및 하부 덕트 챔버에 걸쳐 롤 커튼 타입(Roll Curtain Type) 필터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연도 가스에 함유된 미처리된 초미세먼지를 여과하여 필터링하는 필터부;A roll curtain type filter is staggered over the upper duct chamber and the cross sectional enlargement duct and the lower duct chamber of the duct system constituent part so that untreated ultra fine dust contained in the flue gas flowing through the inlet duct A filter unit for filtering and filtering;

상기 필터부의 롤 커튼 타입 필터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상기 롤 커튼 타입 필터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필터 구동부;A filter driving unit connecting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of the filter unit so as to be disposed in a zigzag manner and driving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to move up and down;

상기 롤 커튼 타입 필터의 상하 이동 시에 롤 커튼 타입 필터를 감을 수 있도록 구동하는 필터 드럼부;A filter drum unit for driving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so as to wind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when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is moved up and down;

상기 덕트 시스템 구성부의 하부 덕트 챔버 하부에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롤 커튼 타입 필터에 의해 여과되어 탈진된 초미세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 및A dust collecting unit connected to the lower duct chamber of the duct system constituting unit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duct chamber and collecting ultrafine dust filtered by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And

상기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롤 커튼 타입 필터의 사용 중 눈막힘 현상이 해소될 수 있도록 압축공기 또는 증기를 분사하여 필터 클리닝을 수행하는 필터 탈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And a filter exhausting part for performing filter cleaning by spraying compressed air or steam so as to solve the clogging phenomenon during use of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located above the collected fine dust discharge part .

바람직하게는, 상기 덕트 시스템 구성부는,Preferably, the duct system component comprises:

상기 단면적 확대 덕트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는 상기 상부 덕트 챔버와 하부 덕트 챔버의 일부 개방된 영역으로 래비린스 실링(Labyrinth sealing) 부재로 처리하여 초미세먼지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고 덕트와 필터의 씰링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The upper duct chamber and the lower duct chamber, which a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ross-sectional area enlarging duct, respectively, are partially opened by a labyrinth sealing member to prevent leakage of ultrafine dust. So that the sealing of the filter can be maintain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부는,Preferably, the filter unit includes: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절곡 형태를 통한 표면적이 확대되는 롤 커튼 타입 필터를 구성하되, 상기 롤 커튼 타입 필터는 통풍저항의 저감 및 상하이동이 용이하게 특수제작 되고, 황성분에 저항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is constituted by a roll curtain type filter which enlarges the surface area through a bent shape arranged in a zigzag shape.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can be made of a material which is specially manufactured to reduce the ventilation resistance and to easily move up and down, hav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 커튼 타입 필터는,More preferably,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includes:

필터 표면에 차압 발생 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새로운 필터 표면이 적용되고, 사용된 필터 표면은 크리닝(cleaning)으로 재생되어 반복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a differential pressure is generated on the filter surface, the filter surface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to apply a new filter surface, and the used filter surface is regenerated by cleaning and can be used repeatedly.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 구동부는,Preferably, the filter driver includes:

상기 롤 커튼 타입 필터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감겨지는 복수의 샤프트가 상기 단면적 확대 덕트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샤프트 양 측으로 베어링이 노출되게 체결되며, 양 측의 베어링들 중 일 측의 베어링들에 벨트 연결을 위한 풀리가 형성되고, 상기 풀리들 간에 벨트가 연결되며, 상기 유입구 덕트 측의 풀리들에 실린더가 각각 설치되고, 최하단에 위치하는 풀리에는 모터의 스프로켓(sprocket)이 연결된 체인과 결합되어, 모터의 필터 구동력을 제공받도록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shafts wound around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so as to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are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cross-sectional area enlarging duct, and the bearings are exposed to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hafts, And a belt is connected between the pulleys. Cylinder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pulleys on the inlet duct side, and a sprocket of a motor is connected to the pulleys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pulleys. And connected to the chain so as to be supplied with the filter drive force of the motor.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는,More preferably,

상기 풀리의 위치 변경의 조정을 위해 작동하여 상기 롤 커튼 타입 필터의 텐션(Tension)을 조정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An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by operating to adjust the position change of the pulley.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 드럼부는,Preferably, the filter drum portion includes:

상기 롤 커튼 타입 필터의 양 끝단 롤링 부분과 각각 연결 고정되는 한 쌍의 드럼이 상기 상부 덕트 챔버 및 하부 덕트 챔버 내에 배치되고, 한 쌍의 드럼 중 어느 하나에 샤프트가 축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샤프트의 축 연결 부위로 기어 모터와 체결된 체인 커플링이 배치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A pair of drums connected and fixed to both ends of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are disposed in the upper duct chamber and the lower duct chamber and a shaft is connected to one of the pair of drum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chain coupling coupled to the gear motor is disposed at the shaft connecting portion of the shaft.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는,Preferably, the collected fine dust discharging portion includes:

상기 하부 덕트 챔버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호퍼가 형성되고, 상기 호퍼의 하부로 제1 슈트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슈트의 하부로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슈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슈트의 하부로 컨베이어가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로 제3 슈트가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A second chut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hut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hute, and the second chut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hute, And a third chute may 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veyor.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는,More preferably, the collected fine dust discharging portion includes:

상기 제3 슈트의 후단으로 진공 펌프(Vacuum Pump)와 집진기가 더 설치되고, 상기 진공 펌프 또는 집진기를 활용한 탈진미세먼지의 포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A vacuum pump and a dust collector ar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third sucker so that the dust trapping fine dust can be collected using the vacuum pump or the dust collector.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 탈진부는,Preferably, the filter discharge portion includes:

상기 하부 덕트 챔버 내를 관통한 유동관(flow pipe)이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롤 커튼 타입 필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관의 외부 노출되는 부위에 다이아프램 밸브(diaphragm valve)와 플랜지(flange)가 연속하여 연결되며, 상기 플랜지의 후단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인스트루먼트 에어(Instrument Air), 가스(Gas), 및 핫 스팀(Hot Steam)을 포함하는 탈질매개체의 속도와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레귤레이터(regulator)가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A diaphragm valve and a diaphragm valve ar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a roll curtain type filter located on an upper portion of a fine dust discharging portion where a flow pipe passing through the lower duct chamber is collected, The speed,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denitration medium including the instrument air, gas, and hot steam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rear end of the flange, And a regulator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에 따르면, 발전설비 또는 산업 플랜트 현장의 전기집진기(EP) 후단에 설치되는 롤 커튼 타입 필터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필터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전기집진기에서 배출되는 연도 가스(Flue Gas)에 함유된 미처리된 초미세먼지를 여과하여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하고, 발전설비의 유닛 운전 중에도 상시 교체 및 정비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duct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fine particulate at the rear end of the electrostatic dust precipitato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apparatus in which a roll curtain type filter installed at the downstream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EP) It is possible to filter untreated ultrafine dust contained in flue gas discharged from the electrostatic dust precipitator and to filter the effluent ultrafine dust effectively so that it is always possible to replace and maintain the unit eve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unit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덕트 시스템 구성부의 덕트 단면적 확대를 통한 연도 가스의 풍속 저하 및 전후 풀리를 활용한 필터의 단면적 확보로 차압 저감 및 포집 효율을 증대되고, 롤 커튼 타입 필터의 표면에 차압 발생 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새로운 필터 표면이 적용되고, 사용된 필터 표면은 크리닝(cleaning)으로 재생되어 반복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실린더를 활용한 풀리의 위치 변경의 조정을 통한 롤 커튼 타입 필터의 텐션 조정이 가능해짐에 따른 필터 성능의 여과 효율의 향상과 수명 연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duction of the pressure difference and the collection efficiency are increased by reducing the wind velocity of the flue gas through the enlargement of the duct cross-sectional area of the duct system constituent part and securing the sectional area of the filter using the front and rear pulleys, The new filter surface is applied to the top or bottom of the tank, and the used filter surface is regenerated by cleaning and used repeatedly.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iltering efficiency of the filter performance and increase the life span as the tension adjustment becomes possibl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진공 펌프 또는 집진기를 활용한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를 통한 탈진미세먼지의 포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필터 탈진부에서 롤 커튼 타입 필터의 사용 중 눈 막힘 현상이 해소될 수 있도록 압축공기 또는 증기를 분사하여 필터 클리닝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collect the dust-removing fine dust through the collected fine dust discharging portion utilizing the vacuum pump or the dust collector, and can prevent the clogging phenomenon during use of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in the filter dust- The filter cleaning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by injecting compressed air or stea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정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평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우측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투영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정면도 구성의 절단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투영사시도 구성의 절단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덕트 시스템 구성부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필터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필터 구동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필터 드럼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필터 탈진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of an in-duct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particulate matter downstream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ight side view of an in-duct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t the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jection perspective view of an in-duct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fine particulate at the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ct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dust from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more particularly,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jected perspective view of an in-duct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t the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uct system constituent part of an in-duct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t the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unit of an in-duct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fine particulate at the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driving unit of an in-duct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t the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drum of an in-duct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t the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llected fine dust discharging portion of an in-duct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at the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exhaustion part of an in-duct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particulate matter downstream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means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정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평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우측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투영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정면도 구성의 절단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투영사시도 구성의 절단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100)는, 덕트 시스템 구성부(110), 필터부(120), 필터 구동부(130), 필터 드럼부(140),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150), 및 필터 탈진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IG. 1 is a front view of an in-duct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t the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right side view of the in-duct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fine particulate at the rear end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downstream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plan view of the projection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ing device in the duct. 1 to 6, an in-duct filtering apparatus 100 for removing dust from a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ct system unit 110, a filter unit 120, The filter driving unit 130, the filter drum unit 140, the collected fine dust discharging unit 150, and the filter discharging unit 160.

덕트 시스템 구성부(110)는, 발전설비 또는 산업 플랜트 현장의 전기집진기(EP) 후단에 설치되는 덕트 구성으로서, 전기집진기에서 배출되는 미처리된 초미세먼지를 함유하는 연도 가스(Flue Gas)가 흐르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양 측으로 유입구 덕트(111)와 배출구 덕트(112)가 형성되고, 유입구 덕트(111)와 배출구 덕트(112) 사이에 단면적이 증대된 내부공간을 갖는 단면적 확대 덕트(113)가 형성되며, 단면적 확대 덕트(113)의 상부 및 하부에 일부가 개방되게 연통된 상부 덕트 챔버(114)와 하부 덕트 챔버(115)가 형성되는 덕트 시스템 구성이다. 이러한 덕트 시스템 구성부(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적 확대 덕트(113)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는 상부 덕트 챔버(114)와 하부 덕트 챔버(115)의 일부 개방된 영역으로 래비린스 실링(Labyrinth sealing) 부재(116)로 체결 처리하여 초미세먼지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고 덕트와 필터의 씰링이 유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구 덕트(112)는 연도 가스에 함유된 초미세먼지가 후술하게 될 필터부(120)의 롤 커튼 타입 필터(121)에 의해 여과된 연도 가스만을 후단으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덕트 시스템 구성부(110)는 단면적 확대 덕트(113)의 확대된 내부공간의 단면적을 통해 연도 가스의 풍속 저하 및 후술하게 될 필터 구동부(130)의 풀리(133)를 활용한 롤 커튼 타입 필터(121)의 단면적 확보로 차압 저감 및 포집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duct system constructing unit 110 is a duct structure installed at a downstream end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EP of a power generating facility or an industrial plant site. The duct system constructing unit 110 includes a duct system constructing unit 110, a flue gas containing untreated ultra- Sectional area enlargement duct 113 having an inlet duct 111 and an outlet duct 112 formed on both sides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nd an inner space having an increased sectional area between the inlet duct 111 and the outlet duct 112 And the upper duct chamber 114 and the lower duct chamber 115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o partially op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ross sectional area enlarging duct 113 are formed. 7, the duct system construction part 110 includes an upper duct chamber 114 and a lower duct chamber 115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ross-sectional area enlarged duct 113, respectively, And the sealing of the duct and the filter can be maintained by fastening with a labyrinth sealing member 116 to prevent leakage of ultrafine dust. Here, the exhaust duct 112 discharges the ultrafine dust contained in the flue gas to only the flue gas filtered by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of the filter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The duct system constructing unit 110 is configured to reduce the wind velocity of the flue gas through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enlarged internal space of the cross sectional area enlarging duct 113 and the roll curtain type utilizing the pulley 133 of the filter driving unit 130, Secur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lter 121 can reduce the pressure difference and increase the collection efficiency.

필터부(120)는, 덕트 시스템 구성부(110)의 상부 덕트 챔버(114)와 단면적 확대 덕트(113) 및 하부 덕트 챔버(115)에 걸쳐 롤 커튼 타입(Roll Curtain Type) 필터(121)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유입구 덕트(111)를 통해 유입되는 연도 가스에 함유된 미처리된 초미세먼지를 여과하여 필터링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필터부(120)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절곡 형태를 통한 표면적이 확대되는 롤 커튼 타입 필터(121)를 구성하되, 롤 커튼 타입 필터(121)는 통풍저항의 저감 및 상하 이동이 용이하게 특수 제작되고, 황성분에 저항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롤 커튼 타입 필터(121)는 필터 표면에 차압 발생 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새로운 필터 표면이 적용되고, 사용된 필터 표면은 크리닝(cleaning)으로 재생되어 반복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ilter unit 120 is provided with a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across the upper duct chamber 114 and the cross sectional area enlarging duct 113 and the lower duct chamber 115 of the duct system constituent unit 110 And filter the untreated superfine dust contained in the flue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duct 111 by filtration. The filter unit 120 constitutes a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having a surface area enlarged through a folded shape arranged in a zigzag shape.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has a special And can be made of a material resistant to sulfur components.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moves upward or downward when a differential pressure is generated on the filter surface so that a new filter surface is applied and the used filter surface is regenerated by cleaning to enable repeated use.

필터 구동부(130)는, 필터부(120)의 롤 커튼 타입 필터(121)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연결하고, 롤 커튼 타입 필터(121)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필터 구동부(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커튼 타입 필터(121)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감겨지는 복수의 샤프트(131)가 상기 단면적 확대 덕트(113)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복수의 샤프트(131) 양 측으로 베어링(132)이 노출되게 체결되며, 양 측의 베어링(132)들 중 일 측의 베어링(132)들에 벨트(134) 연결을 위한 풀리(133)가 형성되고, 풀리(133)들 간에 벨트(134)가 연결되며, 유입구 덕트(111) 측의 풀리(133)들에 실린더(135)가 각각 설치되고, 최하단에 위치하는 풀리(133)에는 모터(136)의 스프로켓(137)(sprocket)이 연결된 체인(138)과 결합되어, 모터(136)의 필터 구동력을 제공받도록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135)는 풀리(133)의 위치 변경의 조정을 위해 작동하여 롤 커튼 타입 필터(121)의 텐션(Tension)을 조정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The filter driving unit 130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of the filter unit 120 so as to be arranged in a zigzag manner and to drive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to move up and down. 9, the filter driving uni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shafts 131 wound around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so as to be arranged in a staggered manner, And a pulley 133 for connecting the belt 134 to one of the bearings 132 on one side of the bearings 132 on both sides And the belt 134 is connected between the pulleys 133. The cylinder 135 is installed on the pulleys 133 on the inlet duct 111 side and the pulley 133 located on the lowermost stage is connected to the motor 136 may be connected to a chain 138 to which a sprocket 137 of the motor 136 is connected to receive a filter driving force of the motor 136. Here, the cylinder 135 may function to adjust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pulley 133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필터 드럼부(140)는, 롤 커튼 타입 필터(121)의 상하 이동 시에 롤 커튼 타입 필터(121)를 감을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필터 드럼부(1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커튼 타입 필터(121)의 양 끝단 롤링 부분과 각각 연결 고정되는 한 쌍의 드럼(141)이 상부 덕트 챔버(114) 및 하부 덕트 챔버(115) 내에 배치되고, 한 쌍의 드럼(141) 중 어느 하나에 샤프트(142)가 축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샤프트(142)의 축 연결 부위로 기어 모터(143)와 체결된 체인 커플링(144)이 배치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드럼(141)은 롤 커튼 타입 필터(121)를 감을 수 있도록 연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드럼(141) 중 하나에만 기어 모터(143)가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을 두지는 않으며, 한 쌍의 드럼(141) 모두에 기어 모터(143)를 설치하거나, 또는 하나의 드럼(141)에만 기어 모터(143)를 설치하고, 한 쌍의 드럼(141)이 정역으로 연동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filter drum unit 140 is configured to drive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so that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can be wound when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is moved up and down. 10, a pair of drums 141 connected to and fixed to both ends of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are connected to the upper duct chamber 114 and the lower duct 121. [ The shaft 142 is connected to one of the pair of drums 141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connected to the shaft 142 of the shaft 142 by a chain And a coupling 144 may be disposed. Here, the pair of drums 141 can be interlocked to wind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ear motor 143 is formed in only one of the pair of the drums 14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gear motor 143 may be installed on both of the pair of drums 141 Alternatively, a gear motor 143 may be installed in only one drum 141, and a pair of drums 141 may be driven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in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150)는, 덕트 시스템 구성부(110)의 하부 덕트 챔버(115) 하부에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며, 롤 커튼 타입 필터(121)에 의해 여과되어 탈진된 초미세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구성이다.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1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덕트 챔버(115)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호퍼(151)가 형성되고, 호퍼(151)의 하부로 제1 슈트(152)가 연결되며, 제1 슈트(152)의 하부로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슈트(153)가 연결되고, 제2 슈트(153)의 하부로 컨베이어(154)가 배치되며, 컨베이어(154)의 하부로 제3 슈트(155)가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150)는 제3 슈트(155)의 후단으로 미도시한 진공 펌프(Vacuum Pump) 또는 집진기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150)는 진공 펌프 또는 집진기를 활용한 탈진미세먼지의 포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collected fine dust discharging portion 15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duct chamber 115 of the duct system constituting portion 110 so as to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hereto and is filtered by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It is a configuration for collecting. 11, the collected fine dust discharging portion 150 is formed with a hopper 151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duct chamber 115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duct chamber 115, A second chute 153 of a corresponding shape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hute 152 and a conveyor 154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chute 153, And the third chute 155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hute 155. Here, the collected fine dust discharging part 150 may further include a vacuum pump or a dust collecting device not shown in the rear end of the third chute 155. In this case, the fine dust discharging part 15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llect the dust-removing fine dust using the vacuum pump or the dust collector.

필터 탈진부(160)는,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150)의 상부에 위치하는 롤 커튼 타입 필터(121)의 사용 중 눈막힘 현상, 즉 필터 표면의 눈금(메쉬)을 막아 현상이 해소될 수 있도록 압축공기 또는 증기를 분사하여 필터 클리닝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필터 탈진부(16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덕트 챔버(115) 내를 관통한 유동관(161)(flow pipe)이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150)의 상부에 위치하는 롤 커튼 타입 필터(121)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동관(161)의 외부 노출되는 부위에 다이아프램 밸브(162)(diaphragm valve)와 플랜지(163)(flange)가 연속하여 연결되며, 플랜지(163)의 후단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인스트루먼트 에어(Instrument Air), 가스(Gas), 및 핫 스팀(Hot Steam)을 포함하는 탈진매개체의 속도와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레귤레이터(164)(regulator)가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The filter exhausting part 160 blocks the clogging phenomenon during use of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collected fine dust exhausting part 150, that is, the mesh of the filter surface is closed to eliminate the phenomenon The filter cleaning is performed by injecting compressed air or steam. As shown in FIG. 12, the filter exhausting unit 160 may include a filter 150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ne dust discharging unit 150 in which a flow pipe 161 penetrating the lower duct chamber 115 is collected, A diaphragm valve 162 and a flange 163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curtain type filter 121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low pipe 161 and a flange 163, A regulator 164 for regulating the speed,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exhausting medium including instrument air, gas, and hot steam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덕트 시스템 구성부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시스템 구성부(110)는 덕트 단면적 확대를 통한 연도 가스의 풍속 저하 및 전후 풀리(133)를 활용한 롤 커튼 타입 필터(121)의 단면적 확보로 차압 저감 및 포집 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단면적 확대 덕트(113)를 중심으로 연도 가스가 흐르는 수평 방향의 좌우로 유입구 덕트(111)와 배출구 덕트(112)가 배치 구성되고, 단면적 확대 덕트(11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의 상부 덕트 챔버(114)와 하부 덕트 챔버(115)가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덕트와 필터의 통로는 래비린스 실링 부재(116)의 채택으로 자체 연도 가스나 별도의 인스트루먼트 에어를 활용한 씰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uct system constituent part of an in-duct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fine particulate at the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duct system constructing unit 110 reduces the wind speed of the flue gas through the enlargement of the duct cross-sectional area and secures the sectional area of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using the front and rear pulleys 133, The inlet duct 111 and the outlet duct 112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which the flue gas flows with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al area enlarging duct 113 whos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ross sectional area enlarging duct 113 And the upper duct chamber 114 and the lower duct chamber 11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assageway of the duct and the filter allows for sealing by utilizing its own flue gas or separate instrument air with the adoption of the labyrinth sealing member 116.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필터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20)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절곡 형태를 통한 표면적이 확대되는 롤 커튼 타입 필터(121)로 구성되며, 롤 커튼 타입 필터(121)의 양 끝단에는 한 쌍의 드럼(141)에 각각 체결되도록 로링이 가능한 필터 지지체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롤 커튼 타입 필터(121)는 필터의 전후단 차압, 면적, 효율, 탈황성분, 사용 온도에 적합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는 가정용 또는 산업용에서 널리 알려진 바 있는 헤파(hepa), 또는 울파(ulpa) 필터 소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unit of an in-duct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t the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filter unit 120 is composed of a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having a surface area enlarged through a folded shape arranged in a zigzag shape, and both ends of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are provided with one And a filter support capable of being rolled to be fastened to the pair of drums 141, respectively.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materials suitable for the differential pressure, area, efficiency, desulfurization component, and service temperature of the filter. For example, it may be composed of hepa or ulpa filter material widely known in domestic or industrial fields.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필터 구동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구동부(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롤 커튼 타입 필터(121)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샤프트(131)가 단면적 확대 덕트(113)를 관통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복수의 샤프트(131) 양 측으로 베어링(132)이 체결되며, 양 측의 베어링(132)들 중 일 측의 베어링(132)들에 벨트(134) 연결을 위한 풀리(133)와, 풀리(133)들 간의 상호 연동을 위해 연결되는 벨트(134)가 체결되고, 유입구 덕트(111) 측의 풀리(133)에 롤 커튼 타입 필터(121)의 텐션 조정을 위한 실린더(135)가 설치되고, 최하단에 위치하는 풀리(133)에는 모터(136)의 스프로켓(137)(sprocket)이 연결된 체인(138)과 결합된다. 도 9에는 필터 구동부(130)의 세부 구성에 대한 확대도를 함께 도시하고 있다.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driving unit of an in-duct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t the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he filter driving uni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shafts 131 passing through the cross-sectional area enlarging duct 113 so that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can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The bearings 132 are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hafts 131 and the pulleys 133 for connecting the belts 134 to the bearings 132 on one side of the bearings 132 on both sides And a cylinder 135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is attached to the pulley 133 on the side of the inlet duct 111. The belt 135 is connected to the pulley 133 for interlocking between the pulleys 133, And a pulley 133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is coupled to a chain 138 to which a sprocket 137 of a motor 136 is connected. FIG. 9 also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ilter driving unit 130.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필터 드럼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드럼부(140)는 롤 커튼 타입 필터(121)의 상하 이동 시에 롤 커튼 타입 필터(121)가 감길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드럼(141), 한 쌍의 드럼(141) 중 어느 하나에 축 연결되는 샤프트(142), 샤프트(142)의 축 연결 부위로 기어 모터(143)와 체결된 체인 커플링(144)이 배치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필터 드럼부(140)의 세부 구성에 대한 확대도를 함께 도시하고 있다.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drum unit of an in-duct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t the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he filter drum unit 140 includes a pair of drums 141 for allowing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to be wound when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is moved up and down, A shaft 142 connected to one of the drums 141 and a chain coupling 144 coupled to the gear motor 143 at a shaft connecting portion of the shaft 142 may be disposed. Fig. 10 also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lter drum unit 140. Fig.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필터링 장치의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150)는 하부 덕트 챔버(115)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호퍼(151)와, 제1 슈트(152)와, 제2 슈트(153)와, 컨베이어(154), 및 제3 슈트(155)가 순차로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도 11의 (a)는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150)의 정면도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1의 (b)는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150)의 사시도 구성을 나타낸다.
1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llected fine dust discharging portion of a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at the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he collected fine dust discharging portion 150 includes a hopper 151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duct chamber 115, a first chute 152, a second chute 153 ), A conveyor 154, and a third chute 155 are sequentially connected. 11 (a) shows a front view of the collected fine dust discharging part 150, and FIG. 11 (b)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llected fine dust discharging part 150.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의 필터 탈진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탈진부(160)는 롤 커튼 타입 필터(121)의 사용 중 눈막힘 현상이 해소될 수 있도록 압축공기 또는 증기를 분사하여 필터 클리닝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복수의 노즐(미도시)이 형성된 유동관(161), 유동관(161)에 연결되는 다이아프램 밸브(162)와, 다이아프램 밸브(162)에 연결되는 플랜지(163), 및 플랜지(163)의 후단에 연결되는 레귤레이터(164)의 연속하는 연결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venting part of an in-duct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fine particulate at the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s shown in FIG. 12, the filter exhausting unit 160 is configured to perform filter cleaning by spraying compressed air or steam so that a clogging phenomenon can be solved during use of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A flow pipe 161 in which a nozzle (not shown) is formed, a diaphragm valve 162 connected to the flow pipe 161, a flange 163 connected to the diaphragm valve 162 and a flange 163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lange 163 And a regulator 164 connected in serie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는 발전설비 또는 산업 플랜트 현장의 전기집진기 후단에 설치되어, 전기집진기에서 유입되는 연도 가스에 함유된 미처리된 초미세먼지를 여과하여 필터링 처리하고, 탈질미세먼지를 포집함으로써 초미세먼지의 배출 방지와 함께 오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설비 안전성이 제고되고, 먼지배출 저감으로 인한 지역주민과의 관계 향상과, 초미세먼지 환경규제에 대한 선제 대응 및 친환경 기업이미지로서의 효과가 기대될 수 있을 것이다.
The duct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t the rear end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t a stage downstream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 a power plant or an industrial plant, Filtering the ultrafine dust, filtering the ultrafine dust, collecting the denitrifying fine dust, and preventing contamination from being effectively prevented. This will enhance facility safety, improve relations with local residents due to the reduction of dust emissions, preemptive response to ultra fine dust environment regulations, and the effect as an eco-friendly corporate imag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invention.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
110: 덕트 시스템 구성부 111: 유입구 덕트
112: 배출구 덕트 113: 단면적 확대 덕트
114: 상부 덕트 챔버 115: 하부 덕트 챔버
116: 래비린스 실링 부재 120: 필터부
121: 롤 커튼 타입 필터 130: 필터 구동부
131: 샤프트 132: 베어링
133: 풀리 134: 벨트
135: 실린더 136: 모터
137: 스프로켓 138: 체인
140: 필터 드럼부 141: 드럼
142: 샤프트 143: 기어 모터
144: 체인 커플링 150: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
151: 호퍼 152: 제1 슈트
153: 제2 슈트 154: 컨베이어
155: 제3 슈트 160: 필터 탈진부
161: 유동관 162: 다이아프램 밸브
163: 플랜지 164: 레귤레이터
100: an in-duct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at the rear end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duct system constituent part 111: inlet duct
112: outlet duct 113: cross-sectional area enlarging duct
114: upper duct chamber 115: lower duct chamber
116: Labyrinth seal member 120: Filter part
121: Roll curtain type filter 130: Filter driving part
131: shaft 132: bearing
133: pulley 134: belt
135: cylinder 136: motor
137: Sprocket 138: Chain
140: filter drum part 141: drum
142: shaft 143: gear motor
144: Chain coupling 150: Collected fine dust outlet
151: hopper 152: first suit
153: second suit 154: conveyor
155: Third suit 160: Filter exhaust part
161: Flow tube 162: Diaphragm valve
163: Flange 164: Regulator

Claims (10)

발전설비 또는 산업 플랜트 현장의 전기집진기(EP) 후단에 설치되어, 전기집진기에서 배출되는 연도 가스(Flue Gas)에 함유된 미처리된 초미세먼지를 여과하기 위한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100)로서,
상기 연도 가스가 흐르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양 측으로 유입구 덕트(111)와 배출구 덕트(112)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 덕트(111)와 배출구 덕트(112) 사이에 단면적이 증대된 내부공간을 갖는 단면적 확대 덕트(113)가 형성되며, 상기 단면적 확대 덕트(113)의 상부 및 하부에 일부가 개방되게 연통된 상부 덕트 챔버(114)와 하부 덕트 챔버(115)가 형성되는 덕트 시스템 구성부(110);
상기 덕트 시스템 구성부(110)의 상부 덕트 챔버(114)와 단면적 확대 덕트(113) 및 하부 덕트 챔버(115)에 걸쳐 롤 커튼 타입(Roll Curtain Type) 필터(121)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 덕트(111)를 통해 유입되는 연도 가스에 함유된 미처리된 초미세먼지를 여과하여 필터링하는 필터부(120);
상기 필터부(120)의 롤 커튼 타입 필터(121)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상기 롤 커튼 타입 필터(121)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필터 구동부(130);
상기 롤 커튼 타입 필터(121)의 상하 이동 시에 롤 커튼 타입 필터(121)를 감을 수 있도록 구동하는 필터 드럼부(140);
상기 덕트 시스템 구성부(110)의 하부 덕트 챔버(115) 하부에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롤 커튼 타입 필터(121)에 의해 여과되어 탈진된 초미세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150); 및
상기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150)의 상부에 위치하는 롤 커튼 타입 필터(121)의 사용 중 눈막힘 현상이 해소될 수 있도록 압축공기 또는 증기를 분사하여 필터 클리닝을 수행하는 필터 탈진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filtering untreated ultrafine dust contained in a flue gas discharged from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installed downstream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EP) at a power plant or an industrial plant site. As the filtering device 100,
Sectional area between the inlet duct 111 and the outlet duct 112. The inlet duct 111 and the outlet duct 1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in which the flue gas flows, A duct system constitution unit 110 in which an enlarged duct 113 is formed and an upper duct chamber 114 and a lower duct chamber 115 are formed so as to partially open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ross sectional area enlarged duct 113, ;
A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is staggered from the upper duct chamber 114 to the sectional duct enlarged duct 113 and the lower duct chamber 115 of the duct system constructing unit 110, A filter unit 120 for filtering and filtering untreated ultrafine dust contained in the flue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duct 111;
A filter driving unit 130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120 so that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can be disposed in a zigzag manner and driven to move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up and down;
A filter drum 140 for driving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to be wound when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is moved up and down;
A dus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ultrafine dust filtered by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and connected to the lower duct chamber 115 of the duct system constructing unit 110 to collect dust, (150); And
A filter exhausting part 160 for performing filter cleaning by spraying compressed air or steam so as to eliminate a clogging phenomenon during use of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located above the collected fine dust discharging part 150 ) For filtering the dust particles in the 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시스템 구성부(110)는,
상기 단면적 확대 덕트(113)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는 상기 상부 덕트 챔버(114)와 하부 덕트 챔버(115)의 일부 개방된 영역으로 래비린스 실링(Labyrinth sealing) 부재(116)로 처리하여 초미세먼지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고 덕트와 필터의 씰링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
The duc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ct system component (110)
The upper duct chamber 114 and the lower duct chamber 115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ross-sectional area enlarging duct 113 are partially opened by a labyrinth sealing member 116 So that the leakage of ultrafine dust is prevented and the sealing of the duct and the filter is mainta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120)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절곡 형태를 통한 표면적이 확대되는 롤 커튼 타입 필터(121)를 구성하되, 상기 롤 커튼 타입 필터(121)는 통풍저항 저감 및 상하 이동이 용이하게 특수 제작되고, 황성분에 저항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unit (120)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surface area is enlarged through a folded shape arranged in a zigzag shape.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is specially manufactured to reduce ventilation resistance and move up and down, Wherein the filt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surface are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 커튼 타입 필터(121)는,
필터 표면에 차압 발생 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새로운 필터 표면이 적용되고, 사용된 필터 표면은 크리닝(cleaning)으로 재생되어 반복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Wherein when a differential pressure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the filter surface moves to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to apply a new filter surface, and the used filter surface is regenerated by cleaning to enable repeated use. Filtering device in the 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구동부(130)는,
상기 롤 커튼 타입 필터(121)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감겨지는 복수의 샤프트(131)가 상기 단면적 확대 덕트(113)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샤프트(131) 양 측으로 베어링(132)이 노출되게 체결되며, 양 측의 베어링(132)들 중 일 측의 베어링(132)들에 벨트(134) 연결을 위한 풀리(133)가 형성되고, 상기 풀리(133)들 간에 벨트(134)가 연결되며, 상기 유입구 덕트(111) 측의 풀리(133)들에 실린더(135)가 각각 설치되고, 최하단에 위치하는 풀리(133)에는 모터(136)의 스프로켓(137)(sprocket)이 연결된 체인(138)과 결합되어, 모터(136)의 필터 구동력을 제공받도록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lter driver (130)
A plurality of shafts 131 wound around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so as to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are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cross sectional area enlarging duct 113 and the bearings 132 And a pulley 133 for connection of the belt 134 is formed on one of the bearings 132 on both sides of the bearings 132. The belt 134 is connected between the pulleys 133 A cylinder 135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ulleys 133 on the inlet duct 111 side and a sprocket 137 of the motor 136 is connected to a pulley 133 located in the lowermost position. And connected to the chain (138) to be connected to receive the filter driving force of the motor (13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35)는,
상기 풀리(133)의 위치 변경의 조정을 위해 작동하여 상기 롤 커튼 타입 필터(121)의 텐션(Tension)을 조정하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ylinder (135)
And functions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ulley (133)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드럼부(140)는,
상기 롤 커튼 타입 필터(121)의 양 끝단 롤링 부분과 각각 연결 고정되는 한 쌍의 드럼(141)이 상기 상부 덕트 챔버(114) 및 하부 덕트 챔버(115) 내에 배치되고, 한 쌍의 드럼(141) 중 어느 하나에 샤프트(142)가 축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샤프트(142)의 축 연결 부위로 기어 모터(143)와 체결된 체인 커플링(144)이 배치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
The filter cartridg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drum portion (140)
A pair of drums 141 connected and fixed to both end rolling portions of the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are disposed in the upper duct chamber 114 and the lower duct chamber 115 and a pair of drums 141 And a chain coupling 144 coupled to the gear motor 143 is disposed at a shaft connecting portion of the shaft 142. The shaft 142 is connected to the shaft 142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duct for removing fine dust at the rear end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150)는,
상기 하부 덕트 챔버(115)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호퍼(151)가 형성되고, 상기 호퍼(151)의 하부로 제1 슈트(152)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슈트(152)의 하부로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슈트(153)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슈트(153)의 하부로 스크루 컨베이어(154)가 배치되며,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154)의 하부로 제3 슈트(155)가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llected fine dust discharging portion (150)
A first chute 152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pper 151 and a second chute 152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hute 152. The first chute 152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duct chamber 115, A screw conveyor 154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chute 153 and a third chute 155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crew conveyor 154 Wherein the filter is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dust particles are removed from the duc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150)는,
상기 제3 슈트(155)의 후단으로 진공 펌프(Vacuum Pump) 또는 집진기가 더 설치되고, 상기 진공 펌프 또는 집진기를 활용한 탈진미세먼지의 포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collected fine dust discharging portion (150)
Wherein a vacuum pump or a dust collector is further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third chute 155 so that dust can be trapped using the vacuum pump or the dust collector, Filtering device in the duct for dust remo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탈진부(160)는,
상기 하부 덕트 챔버(115) 내를 관통한 유동관(161)(flow pipe)이 포집된 미세먼지 배출부(150)의 상부에 위치하는 롤 커튼 타입 필터(121)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관(161)의 외부 노출되는 부위에 다이아프램 밸브(162)(diaphragm valve)와 플랜지(163)(flange)가 연속하여 연결되며, 상기 플랜지(163)의 후단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인스트루먼트 에어(Instrument Air), 가스(Gas), 및 핫 스팀(Hot Steam)을 포함하는 탈질매개체의 속도와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레귤레이터(164)(regulator)가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후단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덕트 내 필터링 장치.
2. The fil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exhausting part (160)
The filter is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a roll curtain type filter 121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a fine dust discharging portion 150 in which a flow pipe 161 penetrating the lower duct chamber 115 is collected, A diaphragm valve 162 and a flange 163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lange 163 and an instrument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rear end of the flange 163. [ And a regulator (164) for regulating the speed,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denitration medium, including a gas, a hot gas, and a hot steam, Duct filtering equipment for fine dust removal.
KR1020150000912A 2015-01-05 2015-01-05 A duct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trailing electric precipitator KR201600842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912A KR20160084258A (en) 2015-01-05 2015-01-05 A duct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trailing electric precipit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912A KR20160084258A (en) 2015-01-05 2015-01-05 A duct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trailing electric precipit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258A true KR20160084258A (en) 2016-07-13

Family

ID=5650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912A KR20160084258A (en) 2015-01-05 2015-01-05 A duct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trailing electric precipit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425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4796A (en) * 2017-06-30 2017-10-03 苏州天键衡电子信息科技有限公司 It is a kind of to be used to improve the cleaner of environment
CN116906177A (en) * 2023-09-13 2023-10-20 太原科技大学 Environment-friendly coal bed gas combustion power generation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4796A (en) * 2017-06-30 2017-10-03 苏州天键衡电子信息科技有限公司 It is a kind of to be used to improve the cleaner of environment
CN116906177A (en) * 2023-09-13 2023-10-20 太原科技大学 Environment-friendly coal bed gas combustion power generation device
CN116906177B (en) * 2023-09-13 2023-12-01 太原科技大学 Environment-friendly coal bed gas combustion power gener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46877C (en) Compact hybrid particulate collector (cohpac)
US7582144B2 (en) Space efficient hybrid air purifier
EP0524293B1 (en) Improved compact hybrid particulate collector (cohpac)
EP1779917B1 (en) Electrical enhancement of fabric filter performance
KR101569721B1 (en) Fine dust reducing apparatus for stack of incinerator
CN101884866A (en) Pneumatic dust-cleaning device of bag-type dust remover and dust-cleaning method thereof
CN104373978A (en) Oil smoke purification device
KR20180086988A (en) Dust collector
JP2017213499A (en) Exhaust gas treatment facility and exhaust gas treatment method
CN105709597A (en) Flue gas dedusting and demercuration device adopting combination of plasma reactor and film coated filter bag and processing method of flue gas dedusting and demercuration device
KR20160084258A (en) A duct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trailing electric precipitator
CN207591529U (en) A kind of environmentally friendly island device of desulphurization denitration dedusting
KR20170060667A (en) Dust collector
CN204746585U (en) High voltage static fume purification device
CN214972813U (en) Sulfur dioxide filtration equipment
KR101648117B1 (en) Composite dust collector
CN203464366U (en) Oil smoke purification device
CN208287749U (en) A kind of recyclable emission-control equipment
CN104959231B (en) A kind of high-voltage static electricity fume purifier
CN110404349A (en) A kind of device of efficient removal flue gas of refuse burning dust and dioxin
JP6576304B2 (en) Regeneration method of catalyst precoat filter cloth
CN215388500U (en) Biomass boiler flue gas dust removal equipment for sulfide
CN213492653U (en) Oil mist exhaust treatment device
CN106031899A (en) Integrated purifier
CN220176507U (en) Boiler flue gas classifying and purif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