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3359A -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3359A
KR20160083359A KR1020140194385A KR20140194385A KR20160083359A KR 20160083359 A KR20160083359 A KR 20160083359A KR 1020140194385 A KR1020140194385 A KR 1020140194385A KR 20140194385 A KR20140194385 A KR 20140194385A KR 20160083359 A KR20160083359 A KR 20160083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stethoscope
telemedicine
portable termin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단비
이혁수
송석일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94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3359A/ko
Publication of KR20160083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청진음을 처리하여 데이터화하는 스마트 청진기; 및 상기 스마트 청진기와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상기 데이터화된 청진음을 외부로 전송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SMART TELEMEDICINE EQUIPMEN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 진료 시스템은 의사와 멀리 떨어져 의료 혜택을 받기 어려운 무의촌, 도서지역, 격리 수용소, 노인 보호시설, 고아원, 양로원 등에 거주하는 환자, 신체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받아야 하는 환자, 지속적인 약물 투여가 필요한 만성질환 환자, 일반 재진 환자 및 응급 환자 등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환자측 컴퓨터에 설치된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혈압, 혈당, 체중, 체온, 태아의 심박과 이외에도 의사가 원격 진료시 필요한 데이터를 측정하여 원격지에 있는 의사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원격 진료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측정한 데이터를 인터넷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수단이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원격 진료는 환자의 증상에 따라서 환자가 필요한 진료 전문의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문가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인터넷상에서 환자를 위하여 다양한 제공하고 있지 않다.
특히, 종래의 원격 진료는 환자 스스로 측정 장치를 설치하고 운용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환자용 컴퓨터와 측정 장치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으며, 여러 장소에 흩어져 있는 환자들의 건강 정보를 측정한 후 한 장소에서 동시에 의사의 진료를 받는 등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관련 선행기술로는 “무선 전송 기능을 구비한 원격 진료 시스템, 무선 전송기능을 구비한 원격 진료 시스템을 이용한 진료 방법 및 그 기록매체” (한국 공개번호 10-2008-0029391: 공개일자: 2008년 04월 03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의료기기인 청진기와 휴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한 원격 진료를 제공하여, 병원 방문이 어려운 환자들이나 원거리의 환자, 또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환자들이 의사와 원격진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흔히 겪는 복잡한 체계나 의사 소통의 불편함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통해 해소하고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상적인 건강 관리를 도모하고, 응급 상황에 대처가 가능한 자동제세동기(AED: automated external deflbrillation)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는 청진음을 처리하여 데이터화하는 스마트 청진기; 및 상기 스마트 청진기와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상기 데이터화된 청진음을 외부로 전송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은 자동제세동기(AED: automated external deflbrill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제세동기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전원을 대상자에게 전기 충격으로 전달하는 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청진기는 제1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제2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청진기는 상기 제1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화된 청진음을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제2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화된 청진음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의사 단말과의 대화 또는 상기 건강 정보의 공유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의사 단말로부터 원격 진료 화면, 처방 정보 또는 개인 진료 보고서를 제공 받거나, 병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청진기는 상기 휴대 단말 상에 슬라이드 방식 또는 홈부 상에 결합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기기인 청진기와 휴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한 원격 진료를 제공하여, 병원 방문이 어려운 환자들이나 원거리의 환자, 또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환자들이 의사와 원격진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흔히 겪는 복잡한 체계나 의사 소통의 불편함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소하고 보다 다양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상적인 건강 관리를 도모하고, 응급 상황에 대처가 가능한 자동제세동기(AED: automated external deflbrillation)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청진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제세동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100)는 스마트 청진기(110), 휴대 단말(120) 및 자동제세동기(AED: automated external deflbrillation)(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청진기(110)는 제1 무선통신부(111)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121)은 제2 무선통신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자동제세동기(130)는 패드부(1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청진기(110)는 청진음을 처리하여 데이터화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마트 청진기(110)는 상기 체내에서 발생하는 심음이나 호흡음을 비롯하여 동맥음, 장잡음 또는 혈관음을 획득하며, 혈압을 측정할 때는 상완동맥음을 획득하여 상기와 같이 획득한 청진음을 데이터화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청진기(110)는 상기 데이터화한 청진음을 상기 제1 무선통신부(111)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120)은 상기 제1 무선통신부(111)를 통해 상기 스마트 청진기(110)의 제2 무선통신부(121)로부터의 상기 데이터화된 청진음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120)은 상기 스마트 청진기(110)와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며, 상기 데이터화된 청진음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 단말(12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의사 단말과의 대화 또는 상기 건강 정보의 공유를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의사 단말로부터 원격 진료 화면, 처방 정보 또는 개인 진료 보고서를 제공 받거나, 병원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자동제세동기(AED: automated external deflbrillation)(130)는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으로 심정지가 되어 있는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주어서 심장의 정상 리듬을 가져오게 해주는 도구로서, 의학 지식이 부족한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120)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 충격을 생성하고 패드부(131)를 통해 상기 전기 충격을 대상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청진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제세동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는 휴대 단말(120)과 스마트 청진기(11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20)은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하며,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다양한 명령의 실행과 명령의 표시가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20)의 배면에는 스마트 청진기(1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청진기(110)는 휴대 단말(120)의 홈부 상에 결합 방식으로 고정되거나 슬라이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청진기(110)는 휴대 단말(120)로부터 분리되어, 체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청진음을 처리하여 데이터화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는 자동제세동기(AED: automated external deflbrillation)(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제세동기(130)는 휴대 단말(120)의 배면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제세동기(130)는 패드부(13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자동제세동기(130)는 상기 휴대 단말(120)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 충격을 생성하고 패드부(131)를 통해 상기 전기 충격을 대상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는 휴대 단말(120)의 전원을 켜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스마트 청진기(110)를 휴대 단말(120)로부터 분리한다.
이후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청진기(110)를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고, 상기 휴대 단말(120)을 통해 전담의와 1 대 1 원격 진료가 가능하며, 추가적으로 개인 기록도 열람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는 휴대 단말(120)을 통하여 병원 방문 진료를 위한 모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는 휴대 단말(120)을 통해 병원을 찾기 위한 위치 정보, 연락처 정보, 지도 정보, 병원 예약 정보 및 병원내부 안내도 등의 정보를 일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2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 진료 보고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동제세동기(13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휴대 단말(120)의 배면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자동제세동기(130)를 꺼내어 전원을 켠다. 이때, 상기 자동제세동기(130)가 동작됨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120)은 현재의 위치를 병원 서버 측으로 전송하여 구급차의 출동을 위한 정보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2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는 자동제세동기(130)의 사용 방법을 참고하여 순서에 따라 자동제세동기(13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진료, 병원방문 도우미, 내 기록 보기 및 설정 등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화면 상에서 진료 항목을 선택하면 어플리케이션은 전담의와의 1 대 1 원격진료 화면(210)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화상채팅화면을 통해 전담의와 상담하고 스마트 청진기를 통해 청진음을 전담의에게 제공하여 보다 정확한 원격진료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병원방문 도우미 화면(220)을 제공하여 병원 방문 진료를 위한 모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병원방문 및 진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개인 진료 보고서 화면(23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 진료 보고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은 자동제세동기의 사용 방법 화면(240)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상기 사용 방법 화면(240)을 참고하여 순서에 따라 자동제세동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
110: 스마트 청진기
111: 제1 무선통신부
120: 휴대 단말
121: 제2 무선통신부
130: 자동제세동기
131: 패드부

Claims (8)

  1. 청진음을 처리하여 데이터화하는 스마트 청진기; 및
    상기 스마트 청진기와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상기 데이터화된 청진음을 외부로 전송하는 휴대 단말;
    을 포함하는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자동제세동기(AED: automated external deflbrillation)를 포함하는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동제세동기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전원을 대상자에게 전기 충격으로 전달하는 패드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청진기는 제1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제2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청진기는,
    상기 제1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화된 청진음을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제2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화된 청진음을 수신하는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의사 단말과의 대화 또는 상기 건강 정보의 공유를 실행하는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의사 단말로부터 원격 진료 화면, 처방 정보 또는 개인 진료 보고서를 제공받거나, 병원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청진기는,
    상기 휴대 단말 상에 슬라이드 방식 또는 홈부 상에 결합 방식으로 고정되는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
KR1020140194385A 2014-12-30 2014-12-30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 KR20160083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385A KR20160083359A (ko) 2014-12-30 2014-12-30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385A KR20160083359A (ko) 2014-12-30 2014-12-30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359A true KR20160083359A (ko) 2016-07-12

Family

ID=56504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385A KR20160083359A (ko) 2014-12-30 2014-12-30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33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379A1 (ko) * 2020-10-29 2022-05-05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청진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379A1 (ko) * 2020-10-29 2022-05-05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청진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55110A1 (en) Wearable Appliance
US9026202B2 (en) Cardiac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for use with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JP6483618B2 (ja) 患者モニタへの除細動器のデータの統合
US20150359467A1 (en) Fitness Monitoring
US20170319082A1 (en) Phono-Electro-Cardiogram Monitoring Unit
US10165982B2 (en) Phone for use in health monitoring
US20220095930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non-invasive cardiac monitoring
US11375976B2 (en) Wireless stethoscope for transmitting, recording, storing and diagnostic capabilities including an earpiece
WO20140668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assessment of the presence and quantity of carotid blood flow during cardiac arrest
US20230049776A1 (en) Handling of age transmitted data in medical device system
JP2004351184A (ja) ユビキタス式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
KR20160083359A (ko) 스마트 원격 진료 장치
US20130337784A1 (en) System for displaying a medical diagnostic result
WO2020133339A1 (zh) 一种监护系统、数据采集端、数据接收显示端及监护方法
TW201310270A (zh) 電子生理監測系統
Braecklein et al. Wireless telecardiological monitoring system for the homecare area
MX2014015536A (es) Terminal multimedia con medida de parametros vitales.
Chun et al. IT-based diagnostic instrumentation systems for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s
AU2020104028A4 (en) IAS- Patients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of High-Risk Indian Patien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US20240000320A1 (en) Medical instrument for use in a telemedicine application to sense heart rate, lung, abdominal sounds, blood pressure, pulse, oxygen saturation, and respiratory rate evaluation
US20230058011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wearable synchronized multiple vital health sensors and data processing and applications
Dutta et al. A software based aproach to acquisition and analysis of biosignals using CSAP
RU177467U1 (ru) Бесконтактное телеметрическое медицин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60015684A (ko) 혈당 및 심전도 통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Sergi et al. An IoT-based Platform for 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 Overview of Integrab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