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826A - 요철부가 형성된 은선을 포함하는 보안용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요철부가 형성된 은선을 포함하는 보안용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826A
KR20160082826A KR1020140192343A KR20140192343A KR20160082826A KR 20160082826 A KR20160082826 A KR 20160082826A KR 1020140192343 A KR1020140192343 A KR 1020140192343A KR 20140192343 A KR20140192343 A KR 20140192343A KR 20160082826 A KR20160082826 A KR 20160082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paper
base film
concave
conve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우행
이성현
최일훈
김종재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140192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2826A/ko
Publication of KR20160082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55Security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per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두운 곳에서 또는 시각장애인이 보안용지에 삽입된 은선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은선에 촉각에 의해 확인 가능한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요철부는 롤 압착에 의해 베이스필름 상에 형성할 수 있고, 또는 베이스필름 상에 팽창제를 포함하는 인쇄 패턴을 형성한 후 초지 공정 중에 부풀어 올라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안용지 내에 삽입된 은선을 촉각에 의해 확인 가능하므로, 어두운 곳에서 또는 시각장애인들이 은선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요철부가 형성된 은선을 포함하는 보안용지 및 그 제조방법 {SECURITY PAPER COMPRISING SECURITY THREAD WITH EMBOSSED PORTION AND THE FABR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보안용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요철부가 형성된 은선을 포함하는 보안용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은행권, 수표, 유가 증권, 기밀 문서 등 보안이 필요한 각종 보안용지에는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보안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은행권에는 은화(watermark), 은선(security thread), 홀로그램(hologram), 형광색사 등 다양한 보안장치가 적용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위변조를 어렵게 함과 동시에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보안장치 중에서 은선은 대표적인 보안장치 중 하나로서, 통상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투명한 합성수지 필름을 1~5mm 정도의 띠형으로 세단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은선은 보안용지 표면에 완전히 노출되거나 부분적으로 노출된 형태로 제조되기도 하지만, 보안용지 제조 과정에서 펄프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보안용지 내부에 숨겨진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보안용지 내부에 숨겨진 형태의 은선의 경우 그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은선을 이루는 합성수지 필름 표면에 작은 문자를 인쇄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 경우 육안으로는 보안용지 내부에 삽입된 은선이 잘 보이지 않고 용지 표면 또는 표면에 인쇄된 이미지나 문자 등만이 확인되지만, 빛에 비추어보면 종이 사이로 은선에 인쇄된 문자가 나타나게 된다. 또 은선 표면에 비가시 형광잉크를 코팅하는 기술도 적용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일반적인 가시광 하에서는 잘 보이지 않으나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경우에는 특정 형광색이 발광됨으로써 은선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은선은 스캐닝이나 복사 등을 통해 위변조하기 어렵기 때문에, 은선의 존재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보안용지의 위변조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은선은 가시광 또는 비가시광 하에서 시각적으로만 확인할 수 있어 어두운 곳이나 비가시 형광잉크를 확인할 수 있는 특수장비가 없는 상황에서는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시각적 확인이 어려운 시각장애인의 경우 은선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보안용지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시각장애인들이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보안장치로는 보안용지 표면에 요판인쇄 기술을 이용하여 볼록하게 점자 등을 인쇄하여 형성된 보안장치가 있긴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보안용지 표면에 적용되는 것이어서 보안용지 내부에 삽입되는 은선에 적용되기는 어렵고, 이로 인해 위변조가 쉽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어두운 곳에서 또는 시각장애인들이 은선을 통해 보안용지의 진위 식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종래의 은선에 비해 보안성을 강화하여 위변조 난이도를 더욱 향상시킨 기술도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2-00557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각적으로 확인이 어려운 어두운 곳에서 또는 시각장애인들이 보안용지 내부에 삽입되는 은선을 통해 보안용지의 진위 식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용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안용지 내부에 삽입되는 은선의 보안성을 강화하여 위변조 난이도를 더욱 향상시킨 보안용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안용지는, 용지 및 상기 용지 내부에 삽입된 은선을 포함하고, 상기 은선은 베이스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에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요철부가 형성된 부분은 상기 요철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부분의 용지 표면에 비해 높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 요철부는 점자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필름이 하부에서 압입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고, 또는 팽창제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필름의 두께는 5~100㎛ 사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보안용지 제조방법은, 베이스필름을 볼록부와 오목부가 각각 형성된 상부롤 및 하부롤 사이에 통과시켜 롤 압착하는 단계, 상기 롤 압착에 의해 요철부가 형성된 베이스필름을 은선 크기로 세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세단된 은선을 초지 공정 상에 투입하여 용지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보안용지 제조방법은, 베이스필름 상에 팽창제를 포함하는 인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쇄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필름을 은선 크기로 세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세단된 은선을 초지 공정 상에 투입하여 용지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초지 공정 중에 상기 인쇄 패턴이 부풀어 올라 요철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각적으로 확인이 어려운 어두운 곳에서 또는 시각장애인들이 보안용지 내부에 삽입되는 은선을 통해 보안용지의 진위 식별을 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안용지 내부에 삽입되는 은선의 보안성이 강화되어 보안용지의 위변조 난이도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용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선의 제조방법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선 및 이를 포함한 보안용지의 제조방법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요철부를 형성한 PET 필름의 상면 광학사진 및 그 요철 높이 측정 결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보안용지 내부에 삽입되는 은선의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은선이 보안용지 내부에 삽입되더라도 보안용지 표면에서 요철부를 촉각에 의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용지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안용지(100)는, 용지(110) 내부에 은선(200)이 삽입되어 있으며, 은선(200)에는 요철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220)는 다른 부분에 비해 위로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으로, 그 돌출 높이에 의해 은선(200)이 용지(110) 내에 삽입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용지(110) 표면에서 촉각에 의해 은선(200)의 삽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요철부(220)의 높이는 30~100㎛ 정도가 적당하다. 요철부(220)의 높이가 이 범위 이하일 경우 촉감에 의해 확인하는 것이 어려워지며, 이 범위 이상일 경우에는 촉감에 의해 확인하는 것은 쉬워지지만 보안용지(100) 내에서의 위치 별 두께 편차에 의해 제조된 용지를 적재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도 1에서는 요철부(220)의 형상을 단순한 사각형 모양으로 예시하였으나 요철부(220)는 다양한 도형, 문양, 기호, 이미지, 문자, 숫자, 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요철부(220)는 용지(110)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수도 있고 내부에 삽입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보안용지(100)가 은행권 등 종이로 제조되는 문서인 경우 용지(110)는 초지 공정에 투입되어 펄프 내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때 요철부(220)의 상부 적어도 일부분까지 펄프가 덮일 수도 있고, 또는 요철부(220)의 상부에는 펄프가 없는 상태, 즉 은선(200)의 요철부(22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보안용지(100)가 제조될 수도 있다. 다만 어느 경우라도 보안용지(100)의 표면에서 요철부(220)가 있는 부분이 요철부(220)가 없는 부분의 용지(110) 표면에 비해 더 돌출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촉각에 의해 은선(200)이 삽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는 보안용지(100)에 보안장치로서 은선(200)만을 도시하였으나, 보안용지(100)에는 은화, 홀로그램, 형광색사 등 다른 보안장치들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표면에 여러 문자, 도형, 숫자, 이미지 등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보안장치 또는 인쇄는 은선(200)이 삽입된 부분의 표면에도 적용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은선(200)은 용지(110) 내부에 삽입되면서도 용지(110) 표면에서 촉각에 의해 요철부(220)를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요철부(220)의 높이 및 그 제조방법은 매우 중요하다. 즉, 은선(200) 표면에 일반적인 인쇄 방법에 의해 문자나 점자 등을 인쇄하는 방식으로는 용지(110) 표면에서 촉각에 의해 그 존재를 감지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은선(200)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선(200)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선(200)은 베이스필름(210) 및 그 베이스필름(210)에 형성된 요철부(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필름(210)은 합성수지필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일 수 있다. 베이스필름(210)의 두께는 5~100㎛, 폭은 1~5mm로 형성할 수 있으며, 길이는 은선(200)이 삽입되는 보안용지(100)의 종류, 크기, 삽입 위치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요철부(220)는 베이스필름(210)이 하부에서 압입되어 표면 위로 돌출 형성된 구성으로, 그 돌출 높이는 보안용지(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촉각에 의해 확인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여야 하며, 그 수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요철부(220)는 베이스필름(210)이 하부에서 압입되어 형성되므로, 요철부(220)에 대응되는 베이스필름(210)의 하부 표면에는 압입된 오목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은선(200)은 요철부(220)가 베이스필름(210)과 연결된 동일한 소재이므로, 내구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도 2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선(200)은 롤 압착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이를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선(200)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부롤(410)과 하부롤(420) 사이로 베이스필름(210)이 투입되어 압착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부롤(410)과 하부롤(420)의 표면에는 각각 볼록부(411, 421) 및 오목부(412, 422)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롤(410)의 볼록부(411)와 하부롤(420)의 오목부(422), 그리고 상부롤(410)의 오목부(412)와 하부롤(420)의 볼록부(421)가 서로 맞물리도록 위치맞춤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필름(210)이 상부롤(410)과 하부롤(420) 사이로 투입되면 상부롤(410) 및 하부롤(420)에 의해 압착되면서, 베이스필름(210)의 일부분이 위로 돌출된 형태의 요철부(220)가 형성되게 된다. 도 3에서 요철부(220)는 상부롤(410)의 오목부(412)와 하부롤(420)의 볼록부(421)가 서로 맞물리는 위치에서 형성된다. 이때 요철부(220)가 보안용지(100) 내에 삽입되었을 때 보안용지(100) 표면에서 요철부(220)를 촉각에 의해 민감하게 감지하기 위해서는 요철부(220)가 충분히 높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그 높이는 상부롤(410)과 하부롤(420)의 볼록부(411, 421)의 높이 및 오목부(412, 422)의 깊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롤 압착 시 요철부(220)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롤 압착 시에는 베이스필름(210) 소성을 위한 열을 가해줄 수 있으며, PET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경우 롤 압착 후 냉각하게 되면 요철부(220)가 형성된 형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필름(210)의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롤 압착 공정에 의해 요철부(220)가 잘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너무 두꺼울 경우에는 제조된 은선을 용지(110) 내에 삽입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베이스필름(210)의 두께는 5~100㎛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롤 압착 공정에 의해 요철부(220)가 형성된 베이스필름(210)은 소정의 폭 및 길이로 세단하여 은선(200)을 제조하게 되며, 제조된 은선(200)은 보안용지(100)를 제조하는 초지 공정 상에 투입하여 용지(110) 속에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은선 삽입 기술은 보안용지 제조 기술분야에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선(300)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선(300)은 베이스필름(210) 및 그 상면에 형성된 요철부(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의 은선(300)은 도 2의 은선(200)과는 달리 요철부(320)가 형성된 부분에서 베이스필름(210)의 하부 표면에 압입된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으며, 요철부(320)는 베이스필름(210)과는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철부(320)는 베이스필름(210) 상에 인쇄된 열가소성 팽창제 물질일 수 있다. 요철부(320)의 높이는 일반적인 인쇄 기술에 의해 형성되는 인쇄 패턴의 높이에 비해 높다.
도 4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선(300) 및 이를 포함한 보안용지(100)의 제조 공정을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선(300)은 베이스필름(210) 상에 열가소성 물질로 구성된 팽창제를 인쇄하여 인쇄 패턴(330)을 형성한다. 이때 팽창제 물질은 열이나 압력에 의해 부풀어오르는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펜탄, 이소펜탄, 헥산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인쇄 방식으로는 그라비어(gravure) 인쇄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인쇄 패턴(330)이 형성된 베이스필름(210)은 은선 크기로 세단 후 초지 공정 중에 투입하여 용지(110) 속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초지 공정 중의 열 및 압력에 의해 팽창제로 구성된 인쇄 패턴(330)이 부풀어오르게 되고, 결과적으로 초기 인쇄 패턴(330)보다 더 높은 요철부(320)가 형성되게 된다.
도 4와 도 5를 통해 설명한 방법에 의하면, 촉각에 의해 검출이 가능할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요철부 형성을 위해 별도의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통상의 인쇄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인쇄 패턴(330) 형성을 위한 오목판도 통상적인 오목판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문자나 이미지 인쇄를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심도를 갖는 오목판을 이용하여 은선에 그라비어 인쇄를 하는 경우, 은선을 보안용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은선에 인쇄된 패턴의 높이가 보안용지 표면에서 촉각에 의해 민감하게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인쇄 패턴(330)을 팽창제가 포함된 인쇄 물질로 인쇄하므로, 통상적인 심도를 갖는 오목판을 사용하여 인쇄하더라도 초지 공정 중 부풀어올라 촉각으로 민감하게 감지될 정도의 높이를 갖는 요철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요철부(320)는 베이스필름(210) 상에 인쇄되는 형태로 형성되나, 용지(110) 표면에 인쇄되는 것이 아니라 도 5와 같이 용지(110) 내부에 삽입된 은선 표면에 인쇄되어 결과적으로 용지(110)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주변 환경이나 오랜 사용에 의한 마모 등에 의해 훼손되지 않고 오래 보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안용지 및 그 제조방법을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실시예 1>
100㎛ 두께의 PET 필름을 도 3에 도시한 상부롤(410) 및 하부롤(420)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롤 압착하였다. PET 필름이 상부롤(410) 및 하부롤(420) 사이를 통과할 때 가해지는 열과 압력에 의해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도 6은 요철부가 형성된 PET 필름의 상면 광학사진 및 원자력현미경(AFM; Atomic Force Microscopy)에 의한 요철 높이 측정 결과이다. 도 6과 같이 높이 약 250㎛의 요철부가 형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요철부가 형성된 PET 필름은 폭 2mm의 크기로 세단하여 보안용지를 제조하는 초지 공정 상에 투입되어 용지 속에 삽입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안용지는 은선이 삽입된 부분의 요철부가 촉각에 의해 쉽게 감지되었으며, 따라서 어두운 곳에서 또는 시각장애인들도 촉각에 의해 은선 삽입 여부를 인식함으로써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25㎛ 두께의 PET 필름 위에 그라비어 인쇄 방식을 사용하여 열가소성 물질로 구성된 팽창제를 점자 형태로 인쇄하였다. 이렇게 인쇄 패턴이 형성된 PET 필름을 2mm 폭으로 세단한 후, 보안용지를 제조하는 초지 공정 상에 투입하여 용지 속에 삽입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안용지는 초지 공정 중에 인쇄 패턴이 팽창하여 은선이 삽입된 부분의 요철부가 촉각에 의해 쉽게 감지되었으며, 시각장애인들이 점자를 촉각에 의해 감지함으로써 은선 삽입 여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었다.
이상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보안용지
110: 용지
200, 300: 은선
210: 베이스필름
220, 320: 요철부
330: 인쇄 패턴
410: 상부롤
420: 하부롤
411, 421: 볼록부
412, 422: 오목부

Claims (9)

  1. 용지; 및
    상기 용지 내부에 삽입된 은선;
    을 포함하고,
    상기 은선은 베이스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에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철부가 형성된 부분은 상기 요철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부분의 용지 표면에 비해 높게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점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베이스필름이 하부에서 압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팽창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의 두께는 5~10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
  6. 베이스필름을 볼록부와 오목부가 각각 형성된 상부롤 및 하부롤 사이에 통과시켜 롤 압착하는 단계;
    상기 롤 압착에 의해 요철부가 형성된 베이스필름을 은선 크기로 세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세단된 은선을 초지 공정 상에 투입하여 용지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용지 제조방법.
  7. 베이스필름 상에 팽창제를 포함하는 인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쇄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필름을 은선 크기로 세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세단된 은선을 초지 공정 상에 투입하여 용지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용지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초지 공정 중에 상기 인쇄 패턴이 부풀어 올라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 제조방법.
  9.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점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 제조방법.
KR1020140192343A 2014-12-29 2014-12-29 요철부가 형성된 은선을 포함하는 보안용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2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343A KR20160082826A (ko) 2014-12-29 2014-12-29 요철부가 형성된 은선을 포함하는 보안용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343A KR20160082826A (ko) 2014-12-29 2014-12-29 요철부가 형성된 은선을 포함하는 보안용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826A true KR20160082826A (ko) 2016-07-11

Family

ID=5649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343A KR20160082826A (ko) 2014-12-29 2014-12-29 요철부가 형성된 은선을 포함하는 보안용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28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3453A1 (en) * 2021-08-16 2023-02-23 Crane & Co., Inc. Micro-optic security device with enhanced wet-harvest resist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743A (ko) 2000-12-29 2002-07-10 민태영 다기능성 은화를 삽입한 위조방지용 보안용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743A (ko) 2000-12-29 2002-07-10 민태영 다기능성 은화를 삽입한 위조방지용 보안용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3453A1 (en) * 2021-08-16 2023-02-23 Crane & Co., Inc. Micro-optic security device with enhanced wet-harvest resist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7897A (en) Anti-counterfeit latent image formation object for bills, credit cards, etc.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5004747B2 (ja) セキュリティマーク形成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マーク形成方法、セキュリティマーク検出方法、及びセキュリティマーク検出システム
MXPA01007401A (es) Substratos para impresion.
EP3356153B1 (en) Security print media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20090028523A (ko) 진품 문서 또는 라벨 단독으로 또는 함께, 정적 이미지 및/또는 그외 다른 투사 이미지와 공간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움직이는 마이크로-광학 필름 구조
TW200422206A (en) Security module comprising at least one security element
US20210268827A1 (en) Banknote and a method of producing a plurality of banknotes and a print press for producing a plurality of banknotes
EP3356152B1 (en) Security print media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1190679B1 (ko) 내부의 터치 인식 요소를 포함하는 특수한 또는 보안 종이
EP2216184A2 (en) Security element, such as a thread, strip and the like, for security documents in general
KR20160082826A (ko) 요철부가 형성된 은선을 포함하는 보안용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9083154A (ja) 偽造防止用紙及びその作製方法
JP5239028B2 (ja) 真偽判別形成体及び真偽判別形成体対並びにそれらの真偽判別方法
US2013018143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heet by means of compregnation in order to form an area made transparent
JP2003072219A (ja) 画像形成体
KR20120086950A (ko) 위조방지용지
KR100651245B1 (ko) 휴대용 위조지폐 감식도구
KR101127224B1 (ko) 필터형 잠상 인쇄물 제조방법 및 필터 인식기에 의한 위조여부 확인방법
KR101213381B1 (ko) 불투명도가 낮은 복제 방지 영역을 갖는 용지
JP2007094132A (ja) フロッキー加工層を有する貴重印刷物
JP2006514895A (ja) 文書用偽造防止要素
JP6428134B2 (ja) 偽造防止媒体
GB2565561A (en) Document security
TW578014B (en) Flat pattern capable of showing optical variation
KR101875566B1 (ko) 위조방지용 보안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