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124A - 전력 송신 코일 구조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송신 코일 구조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124A
KR20160082124A KR1020140194611A KR20140194611A KR20160082124A KR 20160082124 A KR20160082124 A KR 20160082124A KR 1020140194611 A KR1020140194611 A KR 1020140194611A KR 20140194611 A KR20140194611 A KR 20140194611A KR 20160082124 A KR20160082124 A KR 20160082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ub
coils
wireless power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일웅
성재석
박철균
김지훈
장기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4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2124A/ko
Priority to US14/980,276 priority patent/US20160189861A1/en
Priority to DE102015226784.9A priority patent/DE102015226784A1/de
Priority to CN201511031041.8A priority patent/CN105742043A/zh
Publication of KR20160082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5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additional energy repeaters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01F2038/143Inductive couplings fo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송신 코일 구조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력 송신 코일, 및 상기 전력 송신 코일을 실장하는 송신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코어는 상기 전력 송신 코일의 직경보다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송신 코일 구조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OIL STRUCTURE FOR POWER TRANSMITING, AND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MIT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 송신 코일 구조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무선 기술은 데이터 전송에서 전력 전송까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휴대 장치들을 비 접촉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 기술이 주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원활한 충전을 위해서는 제한된 요건이 다수 존재한다. 즉, 무선 전력 송수신에는 제한된 송신 거리, 제한적인 송수신 장치의 위치 관계 등의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무선 전력 송신장치의 특정 위치, 또는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시켜야 무선 전력 충전이 실질적으로 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한편, 무선 전력 기술은 다양한 휴대 장치에 적용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충전 기술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1782호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178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전력 수신 코일의 위치 및 각도에 무관하게 효과적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전력 송신 코일 구조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전력 송신 코일을 제안한다. 상기 전력 송신 코일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권취되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코일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역과 상이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력 수신 코일의 위치 및 각도에 무관하게 효과적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적용된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직 상태로 배치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코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위치에 따른 자기장의 결합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코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코일의 다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코일의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코일과 그 위에 배치된 전력 수신 코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전력 송신 코일과 전력 수신 코일의 자기 결합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전력 송신 코일을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전력 송신 코일을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전력 송신 코일을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적용된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예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위에 배치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를 도시하고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받아, 휴대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에서 휴대 장치는 시계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로 도시되어 있으나,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기타 다양한 휴대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로 위치할 수 있다.
종래의 무선 전력 충전 기술의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평행한 상태에서만 충전이 원활히 이루어진다. 즉, 종래의 무선 전력 충전 기술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코일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코일이 평행하거나 그에 준하는 경우에만 충전이 가능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경우, 도시된 예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가 평행하지 않는 경우-예컨대, 90도를 유지하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무선 전력 충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송신 코일 구조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가 수직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나,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가 수직이 아닌 다양한 각도로 배치된 경우에도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직 상태로 배치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코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전력 송신 코일(11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송신 코어(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이하의 도면에서 코일은 하나의 권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복수 회수 이상 권선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송신 코어(120)는 기판 또는 마그네틱 송신 코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그네틱 송신 코어는 소정의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분말이 함유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페라이트 시트 (NiZnCu / MnZn 계열이 포함될 수 있음), 샌더스트 계열 금속, 퍼멀로이 계열 금속, 비정질 계열의 자성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도 전력 수신 코일(210)를 포함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수신 코어(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도 다양한 형상의 코일(210)과 다양한 재질의 수신 코어(22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위치에 따른 자기장의 결합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점선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서 송출되는 자기장으로, 자기장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와 수평 또는 약간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코일(210)과 자기적 결합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서 송출되는 자기장은 일종의 루프를 형성하므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코일(210)과 자기적 결합을 이룰 수 있다.
결국, 도 3 및 도 4에서 보듯이, 일반적인 전력 송신 코일 구조의 경우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전력 송신 코일(110)의 가장자리 주면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자기적 결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송신 코일 구조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다양한 위치에서도 높은 효율로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송신 코일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 전력 송신 코일은 원형으로 권취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력 송신 코일은 다각형-예컨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등-으로 권취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송신 코일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송신 코일 구조(100)는 제1 코일(111)과, 제1 코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112 내지 11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력 송신 코일 구조(100)는 코어(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111)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권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일(111)은 다른 서브 코일(112 내지 114)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원형 또는 다각형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112 내지 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112 내지 114)은 제1 코일(11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서브 코일(112 내지 114)은 3개이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서브 코일(112 내지 114)의 개수는 명시적으로 개시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일(111)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112 내지 114)는 그 중심점 또는 직경이 서로 상이할 수 있어, 각각의 코일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역이 서로 상이하다. 이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임의의 위치에서도 용이하게 자기 결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서, 서브 코일은 제1 서브 코일(112), 제2 서브 코일(113) 및 제3 서브 코일(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코일(112) 내지 제3 서브 코일(114)은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브 코일(112) 내지 제3 서브 코일(114)은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코일(112) 내지 제3 서브 코일(114)는 서로 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될수록 자기장의 형성도 대칭을 이루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브 코일(112) 내지 제3 서브 코일(11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일(111)에 내접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브 코일(112) 내지 제3 서브 코일(114)은 제1 코일(111)과 균등한 간격을 가지며 이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코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일 실시예는 도 5의 일 실시예에서 서브 코일(115)이 더 추가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송신 코일 구조(100)는 제1 코일(111)과, 제1 코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112 내지 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서브 코일(112 내지 115)은 제1 코일(111)과 같은 중심을 가지도록 권취되는 서브 코일(115)과, 제1 코일(111)과 다른 중심을 가지도록 권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112 내지 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코일(111)과 다른 중심을 가지도록 권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112 내지 114)은 제1 코일(111)과 같은 평면 상에 형성되고, 제1 코일(111)과 같은 중심을 가지도록 권취되는 서브 코일(115)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112 내지 114)과 다른 평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코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예에서는 최외곽에 형성되는 제1 코일(111)과 그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서브 코일(112 내지 115)을 포함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었으나,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최외곽에 형성되는 제1 코일(111)이 결여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송신 코일 구조(100)는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1평면 코일(112 내지 114)와, 제1 평면 코일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평면 코일(1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평면 코일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평면 코일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역과 상이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평면 코일(112 내지 114)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평면 코일(115)과 상이한 중심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평면 코일(112 내지 114)은 서로 상응하는 형상으로 권취되고,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직경을 가지는 원으로 권선되어 서로 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평면 코일(112 내지 114)은 서로 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평면 코일(115)은 대칭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평면 코일(112 내지 114)의 중앙점을 중심점으로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력 송신 코일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입체적인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어,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어느 위치에 위치하던지 성공적으로 자기 결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코일과 그 위에 배치된 전력 수신 코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전력 송신 코일과 전력 수신 코일의 자기 결합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임의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으며, 도 8 및 도 9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중앙에 위치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예와 달리 안정적인 자기 결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다양한 코일 구조에 의하여 입체적인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고, 입체적인 자기장 중 적어도 일부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와 자기적 결합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전력 송신 코일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전력 송신 코일 구조가 적용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에 동일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중복적으로 재 서술하지 아니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인버터부(101)와 공진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부(101)는 공진 전원을 제공하고, 공진부(102)는 공진 전원에 따라 공진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공진부(102)는 축전 소자와 전력 송신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 송신 코일은 서로 상이한 자기장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즉, 공진부(102)에 적용 가능한 코일 구조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공진부(102)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공진부(102)의 복수의 전력 송신 코일은 각각 개별적인 전원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도 5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는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인덕터(Lm)은 다른 서브 코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인덕터(L1 내지 L3)와 다른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코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인덕터(L1 내지 L3)들 각각도 별도의 전원(커패시터 C1 내지 C3)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예의 경우, 각 코일의 위치마다 전원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자기장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공진부(102)의 복수의 전력 송신 코일이 서로 직렬로 연결된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3은 공진부(102)의 복수의 전력 송신 코일이 서로 병렬로 연결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예는, 하나의 전압원을 이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회로의 구성 및 제어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01 : 인버터부
102 : 공진부
110 : 전력 송신 코일
120 : 송신 코어
200 : 무선 전력 수신 장치
210 : 전력 수신 코일
220 : 수신 코어

Claims (22)

  1.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권취되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역과 상이한 전력 송신 코일.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은
    상기 제1 코일과 같은 중심을 가지도록 권취되는 제1 서브 코일;
    상기 제1 코일과 다른 중심을 가지도록 권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 코일; 을 포함하는 전력 송신 코일.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은
    제1 서브 코일;
    제2 서브 코일; 및
    제3 서브 코일;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코일은 서로 겹치지 않는 전력 송신 코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코일은
    상기 제1 코일에 내접하는 전력 송신 코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은
    상기 제1 코일과 같은 중심을 가지도록 권취되는 제4 서브 코일; 을 더 포함하는 전력 송신 코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3 서브코일은
    상기 제1 코일과 같은 평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4 서브코일은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코일의 위에 형성되는 전력 송신 코일.
  7.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1평면 코일; 및
    상기 제1 평면 코일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평면 코일;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평면 코일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평면 코일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역과 상이한 전력 송신 코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평면 코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평면 코일과 상이한 중심을 가지는 전력 송신 코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평면 코일은
    서로 상응하는 형상으로 권취된 제1 내지 제3 코일;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전력 송신 코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은
    서로 외접하는 전력 송신 코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면 코일은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의 중앙점을 중심점으로 가지는 전력 송신 코일.
  12.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 전력을 제공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있어서,
    공진 전원을 제공하는 인버터부; 및
    상기 공진 전원에 따라 공진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제공하는 공진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부는
    서로 상이한 자기장 영역을 가지는 복수의 전력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송신 코일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권취되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 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은
    상기 제1 코일과 같은 중심을 가지도록 권취되는 제1 서브 코일;
    상기 제1 코일과 다른 중심을 가지도록 권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 코일; 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은
    제1 서브 코일;
    제2 서브 코일; 및
    제3 서브 코일;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코일은 서로 겹치지 않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코일은
    상기 제1 코일에 내접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은
    상기 제1 코일과 같은 중심을 가지도록 권취되는 제4 서브 코일; 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3 서브코일은
    상기 제1 코일과 같은 평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4 서브코일은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코일의 위에 형성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송신 코일은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1평면 코일; 및
    상기 제1 평면 코일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평면 코일; 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평면 코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평면 코일과 상이한 중심을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평면 코일은
    서로 상응하는 형상으로 권취된 제1 내지 제3 코일;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면 코일은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의 중앙점을 중심점으로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1020140194611A 2014-12-31 2014-12-31 전력 송신 코일 구조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60082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611A KR20160082124A (ko) 2014-12-31 2014-12-31 전력 송신 코일 구조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US14/980,276 US20160189861A1 (en) 2014-12-31 2015-12-28 Power transmitting coil structure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DE102015226784.9A DE102015226784A1 (de) 2014-12-31 2015-12-29 Leistungsübertragungs-Spulenstruktur und drahtlose Leistungsübertragungs-Vorrichtung, die diese umfasst
CN201511031041.8A CN105742043A (zh) 2014-12-31 2015-12-31 电力发送线圈结构及包括其的无线电力发送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611A KR20160082124A (ko) 2014-12-31 2014-12-31 전력 송신 코일 구조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124A true KR20160082124A (ko) 2016-07-08

Family

ID=5611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611A KR20160082124A (ko) 2014-12-31 2014-12-31 전력 송신 코일 구조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189861A1 (ko)
KR (1) KR20160082124A (ko)
CN (1) CN105742043A (ko)
DE (1) DE102015226784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3858A (zh) * 2018-10-24 2019-01-11 哈尔滨工业大学(威海) 无线充电装置及无人机无线充电系统
KR20190112039A (ko) * 2017-01-23 2019-10-0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멀티 코일 스캐닝을 갖는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90127832A (ko) * 2017-03-17 2019-11-13 이피션트 파워 컨버젼 코퍼레이션 대면적 확장 가능한 고 공진 무선 전력 코일
KR20210085399A (ko) * 2019-12-30 2021-07-08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안테나
US11183866B2 (en) 2018-04-09 2021-11-23 CTOP Wireless Charging Solu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switchable multi-coil wireless induction charging
WO2023191451A1 (ko) * 2022-03-28 2023-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코일 구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124A (ko) 2014-12-31 2016-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 송신 코일 구조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US9929606B2 (en) * 2015-05-11 2018-03-27 Qualcomm Incorporated Integration of positioning antennas in wireless inductive charging power applications
US10483786B2 (en) 2016-07-06 2019-11-19 Apple Inc. Wireless charging systems with multicoil receivers
WO2018194223A1 (ko) * 2017-04-21 2018-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너지 밀도가 균일한 충전 영역을 형성하는 2차원 원형 배열 구조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KR102457491B1 (ko) * 2017-04-21 2022-10-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너지 밀도가 균일한 충전 영역을 형성하는 2차원 원형 배열 구조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CN108448742B (zh) * 2018-03-16 2021-01-26 河南师范大学 一种用于胆囊内窥镜的无线供电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782B1 (ko) 2012-03-05 2014-03-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1452B (zh) * 2008-03-13 2014-06-04 捷通国际有限公司 具有多个线圈初级的感应电源系统
US8532724B2 (en) * 2008-09-17 2013-09-10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ter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JP5168495B2 (ja) * 2008-12-12 2013-03-2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力増幅回路
JP5488698B2 (ja) * 2010-09-03 2014-05-1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送電装置
JP5718619B2 (ja) * 2010-11-18 2015-05-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イルユニット、非接触電力送電装置、車両および非接触電力給電システム
US9118203B2 (en) * 2011-11-15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nduction charging with a closed magnetic loop
CN104380567A (zh) * 2012-02-16 2015-02-25 奥克兰联合服务有限公司 多线圈通量衬垫
CN103683523B (zh) * 2012-09-07 2018-04-13 捷通国际有限公司 用于双向无线功率传输的系统和方法
CN203103042U (zh) * 2013-01-16 2013-07-31 西北台庆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无线充电或nfc近场感应的线圈装置
JP5687719B2 (ja) * 2013-01-31 2015-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受電装置、送電装置および電力伝送システム
US20140266018A1 (en) * 2013-03-12 2014-09-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extending the power capability of a wireless charger
US10124684B2 (en) * 2013-10-24 2018-11-13 Harald Merkel Method and arrangement for wireless energy transfer
CN103944284A (zh) * 2014-04-30 2014-07-23 向学位 磁谐振耦合无线电能传输系统的实现方法
US9787140B2 (en) * 2014-11-19 2017-10-10 Te Connectivity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and circuit
KR20160082124A (ko) 2014-12-31 2016-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 송신 코일 구조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102458770B1 (ko) * 2015-07-17 2022-10-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저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782B1 (ko) 2012-03-05 2014-03-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달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039A (ko) * 2017-01-23 2019-10-0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멀티 코일 스캐닝을 갖는 무선 충전 시스템
US11664669B2 (en) 2017-01-23 2023-05-30 Nike, Inc. Wireless charging system with multi-coil scanning and learning
US11984741B2 (en) 2017-01-23 2024-05-14 Nike, Inc. Wireless charging system with multi-coil scanning and learning
KR20190127832A (ko) * 2017-03-17 2019-11-13 이피션트 파워 컨버젼 코퍼레이션 대면적 확장 가능한 고 공진 무선 전력 코일
US11183866B2 (en) 2018-04-09 2021-11-23 CTOP Wireless Charging Solu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switchable multi-coil wireless induction charging
CN109193858A (zh) * 2018-10-24 2019-01-11 哈尔滨工业大学(威海) 无线充电装置及无人机无线充电系统
CN109193858B (zh) * 2018-10-24 2021-12-21 哈尔滨工业大学(威海) 无线充电装置及无人机无线充电系统
KR20210085399A (ko) * 2019-12-30 2021-07-08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안테나
WO2023191451A1 (ko) * 2022-03-28 2023-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코일 구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42043A (zh) 2016-07-06
DE102015226784A1 (de) 2016-06-30
US20160189861A1 (en)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2124A (ko) 전력 송신 코일 구조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JP6264437B2 (ja) 給電装置、給電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US10944298B2 (en) Receiver for wireless charging system
US9831685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9762083B2 (en)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the same
US20160118179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having same
JP6206578B2 (ja) 受電用コイル構造体および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JP5553368B2 (ja) 電子装置の無線充電コイル構造
JP5942084B2 (ja) 非接触充電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非接触充電機器と携帯機器
WO2012157454A1 (ja) 給電装置、給電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KR20140053758A (ko) 이종 충전 방식을 가진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60078186A (ko) 코일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US10504648B2 (en)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JP2015019022A (ja) 電力伝送装置及びコイル装置
KR20140102617A (ko) 무선통신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JP2014087125A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6378006B2 (ja) 電力伝送装置及び送電装置
KR102064360B1 (ko)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KR20170037406A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원 공급 장치
KR101983181B1 (ko) 무선 충전 송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WO2017170073A1 (ja) コイルアンテナ、給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電力供給システム
JP6587720B2 (ja) 電力伝送装置及び送電装置
KR20160121361A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원 공급 장치
JP2018191415A (ja) 非接触給電装置
TWM529314U (zh) 多方向無線充電接受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