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642A - Packaging container with anit-resticking means - Google Patents

Packaging container with anit-resticking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642A
KR20160081642A KR1020140195775A KR20140195775A KR20160081642A KR 20160081642 A KR20160081642 A KR 20160081642A KR 1020140195775 A KR1020140195775 A KR 1020140195775A KR 20140195775 A KR20140195775 A KR 20140195775A KR 20160081642 A KR20160081642 A KR 20160081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ilm
opened
open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7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7209B1 (en
Inventor
김해자
Original Assignee
그린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큐(주) filed Critical 그린큐(주)
Priority to KR1020140195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209B1/en
Publication of KR20160081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6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2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12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by destroying, in the act of opening the container, an integral por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ing container which includes: an enclosure of which upper part is opened and including a space part to store an object; a sheet closing the opened part of the enclosure, but including a withdrawing part to withdraw the stored object; a film attached to the sheet to be detachable, and keeping the withdrawing part opened and closed through attachment and detachment; and a sealing part making an opened mark of the withdrawing part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when the film is opened. More specifically, since sealing part, damaged when opened, is placed on the film or sheet closing the packing container, the opening mark of the packing container is able to be identified with naked ey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a product by preventing replacement as well as withdrawing the stored object by making the opened mark of the packing container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and moreover, establishing a sound distribution structure and preventing the purchase of an opened product by making the opening mark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Description

재부착 방지 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친환경 포장 용기{Packaging container with anit-resticking mean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with an anti-resticking means,

본 발명은 재부착 방지 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친환경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포장용기를 폐쇄하는 시트 내지는 필름에 개봉과 함께 훼손되는 봉인부가 마련되어, 포장용기에 대한 개봉흔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friendly packaging container including a re-attachment preventing mean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alable portion that is damaged when opened or sealed in a sheet or film for closing the packaging container, To a packaging container.

일반적으로 포장용기는 피수용체의 훼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피수용체의 가치상승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packaging containers are used not only to prevent damage to the receptor, but also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receptor.

이러한 포장용기는 소형 제품 내지는 음식(예를 들어, 과일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고 있으며, 피수용체에 대한 훼손율 저하 및 가치상승을 위해 다양한 포장기술 및 소재가 개발 및 적용되고 있으며, 그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2100호 통풍 구조를 갖는 투명 과일 포장용기가 등록된 바 있다.Such packaging containers are mainly used for small products or foods (for example, fruits, etc.), and various packaging techniques and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lower the deterioration rate and increase the value of the receptors. For exampl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02100 of Korea Registered transparent fruit packing container with ventilation structure has been registered.

종래의 포장용기는 용기 본체에 다수의 통풍 장공이 형성됨으로써, 용기 내부 전체적인 통풍을 이룰 수 있으며, 따라서 과일(예를 들어, 딸기 등)을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과일의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을 발명의 요지로 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packaging container, a large number of ventilating holes are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thereby allowing the entire ventilation inside the container to be achiev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fruit even if the fruit (for example, strawberry etc.) It is important.

그러나 종래의 포장용기는 개폐가 용이(체결부를 통한 뚜껑의 개방 및 폐쇄)하여 피수용체 즉, 과일에 대한 인출은 물론 수납이 가능하여 유통단계에서 원산지가 다른 과일로 교체하거나, 일부 인출할 경우에도, 외관상 교체 및 인출에 대한 흔적을 찾을 수가 없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ackaging container, it is easy to open and clos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through the fastening part), so that it can be taken out as well as being withdrawn to the receiver, that is, , There is no trace of apparent replacement and withdrawal.

따라서 유통단계에서 업자에 의해 과일의 원산지가 교체되거나, 중량 미달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비자의 신뢰도 하락과 매출감소 등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도 있다. Therefore, at the distribution stage, the origin of fruit may be replaced by a trader, or a problem such as underweight may occur, which may cause economic loss such as a decrease in the reliability of the consumer and a decrease in sales.

물론, 유통단계에서 일부 유통 내지는 도매업자에 의해 미비하게 발생하는 문제라고는 하지만, 이에 대한 확실한 대비책이 필요한 것은 현실이다.Of course, it is a problem that occurs at a distribution stage by some distributors or wholesalers, but it is a reality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a concrete measure against it.

따라서 포장용기에 대한 개방 내지는 피수용체(예를 들어 : 과일 등)에 대한 인출이 제한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개방을 할 경우, 그에 대한 흔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절실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opening to the packaging container or the withdrawal to a receptor (for example: fruit, etc.), and furthermore, development of a technology for visually confirming the traces thereof when opening is urgent .

등록실용신안 20-0302100호Registered utility model 20-030210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포장용기를 폐쇄하는 시트 내지는 필름에 개봉과 함께 훼손되는 봉인부가 마련되어, 포장용기에 대한 개봉흔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용기를 제안하는 데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ling unit for sealing a packaging sheet,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은 포장용기에 대한 개방상태가 육안으로 확인되므로, 피수용체에 대한 인출은 물론, 교체에 대한 예방이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전한 유통구조를 확립시킬 수 있는 포장용기를 제안하는 데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ening state of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isually confi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withdrawal as well as replacement of the container,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establishing a sound distribution structure And to propose packaging containers with

또한, 본 발명은 인출부를 통해 용기의 개방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져 피수용체가 과일일 경우, 소비자로 하여금 소단위 인출과 선도유지는 물론, 추가수납 등이 용이하여 보관 용기로도 활용할 수 있는 포장용기를 제안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ackaging container which can be used as a storage container because it is easy to open the container through the drawer and easily carry out additional storage when the receptacle is made of fruit, I have to.

또한, 본 발명은 함체에 다수의 통공이 마련되어 과일일 경우, 선도유지가 용이하여 장기보관에 유리한 포장용기를 제안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plurality of holes in a housing and being advantageous for long-term storage because of easy maintenance of the lead when it is fruit.

또한, 본 발명은 봉인부가 굴절바와 절취부 또는 도안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개봉흔적에 대한 식별력을 높일 수 있는 포장용기를 제안하는 데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packaging container in which a sealing part is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refraction bar and a cut-out part or a drawing part, thereby enhancing the discriminating power against the opening mar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피수용체가 수납되도록 공간부가 마련된 함체; 상기 함체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되, 피수용체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인출부가 형성된 시트; 상기 시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탈부착을 통해 상기 인출부의 개방 및 폐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필름; 및 상기 필름 개방 시, 상기 인출부의 개방 흔적이 육안으로 식별되도록 하는 봉인부;를 개시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upper portion thereof opened and a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for receiving a receptor; A seat on which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s closed; A film detachably attached to the sheet, wherein the film is kept open and closed by detachment and attachment; And a sealing part for allowing, when the film is opened, an opening mark of the lead-out part to be visually recognized.

상기 시트는, 테두리의 접합부가 상기 함체 상부에 마련된 확장부와 접합되어 상기 함체 상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시트 테두리 내측 어느 일면에 상기 인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joining portion of the rim is joined to the extended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e draw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heet rim.

상기 인출부는, 상기 필름과 접착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필름 적어도 일부를 상기 시트에서 탈리시키면, 절개선을 따라 상기 시트에서 이탈되는 개방시트; 및 상기 개방시트의 탈리로 인해 생성되는 인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pull-out portion is kept in an adhered state with the film and is released from the sheet along the folding when at least a part of the film is released from the sheet; And an outlet formed by the desorption of the open sheet.

상기 필름은, 상기 접합부와 인출부 사이 영역을 감싸는 면적으로, 테두리 적어도 어느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시트에 부착되는 고정부; 상기 개봉시트가 부착되고 상기 개봉시트에 대응하는 면적의 일부 또는 전체를 이루는 접착부; 및 상기 고정부와 접착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일부 또는 전체로서, 상기 시트와 재접착이 가능한 영역을 이루는 점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film has an area enclosing a region between the bonding portion and the lead portion, the fixing portion being provided on at least one region of the rim and attached to the sheet; An adhesive portion to which the opening sheet is attached and which forms a part or an entirety o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sheet; And an adhesive portion which is a part or an entirety of the remaining region except for the fixing portion and the adhesive portion, the adhesive portion forming an area capable of re-adhering to the sheet.

상기 필름은, 상기 시트와 점착 및 점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비접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접착부는, 상기 접착부 및 점착부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일 영역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on-adhesive portion may be selectively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adhesive portion. The non-adhesive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adhesive portion.

상기 봉인부는, 상기 인출부 및 필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훼손되거나, 점착력 저하 또는 어느 하나에 인쇄된 영역이 훼손되도록 하여 육안으로 인출부의 개방 흔적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portion is made to be able to identify the opening mark of the drawing portion with naked eyes so that any selected one of the drawing portion and the film is damaged, the adhesive strength is lowered, or the printed region is damaged.

상기 봉인부는, 상기 절개선이 상기 개봉시트의 일부를 우회하면서 바 형태로 돌출시켜 도려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절바;인 것이며, 상기 굴절바는, 일정 간격의 이격부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sealing portion is at least one refractive bar protruding in a bar shape while bypassing a part of the opening sheet, wherein the refractive bar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spacing portion at a distance therebetween desirable.

상기 굴절바는, 상기 비접착부와 대응하는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개봉시트가 필름에 의해 상기 시트로부터 이탈되면, 단부가 자중(자기 무게)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efractive bar is formed on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non-adhered portion, and when the opening sheet is separated from the sheet by the film, the end portion is bent in the gravity direction by its own weight (magnetic weight).

상기 굴절바는, 폭과 길이가 서로 다르며, 적어도 길이는 폭의 1.5에서 5배 사이의 길이를 갖도록 하여, 단부가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굴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fractive bar has a width and a length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t least the length is between 1.5 and 5 times the width, so that the end portion is bent in the gravity direction by its own weight.

상기 굴절바는, 단부의 폭과 이단의 폭이 서로 다르며, 단부에서 이단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end portion of the refracting bar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end portion, and the width of the refracting bar decreases from the end portion to the end portion.

상기 굴절바는, 단부에 자중을 높이기 위한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efraction bar further comprises a weight portion for increasing the self weight at the end portion.

상기 봉인부는, 상기 고정부와 대응하는 타면에 마련되어 상기 시트와 접합된 상기 필름을 개봉할 때, 상기 시트와 접합된 필름의 일부가 훼손되도록 하는 절취부;인 것이며, 상기 절취부 적어도 일면이 산과 골이 연속 반복된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sealing portion is a cut-out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ortion and allowing a part of the film bonded with the sheet to be damaged when the film bonded to the sheet is opene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ut-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includes a continuously repeated shape.

상기 봉인부는, 상기 고정부와 대응하는 타면과 상기 타면과 접하는 상기 시트 일부에 인쇄되어 상기 필름을 개봉할 때, 인쇄상태가 훼손되도록 하는 도안부;인 것이며, 상기 도안부는, 훼손영역을 지시하는 문자, 기호 및 색상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sealing portion is a pattern portion that is printed on anoth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ortion and on a portion of the shee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so that the printing state is damaged when the film is opened, A character, a symbol, and a color.

상기 봉인부는, 상기 굴절바와 상기 필름을 개봉할 때 상기 시트와 접합된 필름의 일부가 훼손되도록 하는 절취부 또는 상기 필름을 개봉할 때 상기 시트와 접합된 영역의 인쇄부가 훼손되도록 하는 도안부 중 선택되는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함께 존재하여 상기 필름의 개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aling portion may include a cutout portion for allowing a portion of the film bonded with the sheet to be damaged when the refracted bar and the film are opened, or a pattern portion for damaging the printed portion of the region bonded with the sheet when the film is opened It is preferable to be present together with at least any one of them so that the opening of the film can be visually confirmed.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발명은 포장용기에 대한 개방이 육안으로 확인되므로 피수용체에 대한 인출은 물론, 교체에 대한 예방이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전한 유통구조를 확립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Since the opening of the packaging container is visually confi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withdrawal as well as replacement of the container,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establishing a sound distribution structure. .

또한, 본 발명은 포장용기를 폐쇄하는 시트 내지는 필름에 개봉과 함께 훼손되는 봉인부가 마련되어, 포장용기에 대한 개봉흔적을 육안으로의 확인이 가능하여 개봉된 제품에 대한 구매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al or a film which is damaged in the opening or closing of a sheet or a film that closes the packaging container, so that the opening mark on the packaging container can be visually confirmed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purchase of the opened product can be expected .

또한, 본 발명은 인출부를 통해 용기의 개방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져 피수용체가 과일일 경우, 소비자로 하여금 소단위 인출과 선도유지는 물론, 추가수납 등이 용이하여 보관 용기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is partially opened through the draw-out portion and the receptacle is made of fruit,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 storage container because it is easy for the consumer to draw out the small size and maintain the drawing, have.

또한, 본 발명은 함체에 다수의 통공이 마련되어 과일일 경우, 선도유지가 용이하여 장기보관에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have an advantageous effect for long-term storage because it is easy to maintain a straight line when a plurality of holes are provided in a housing and is fruit.

또한, 본 발명은 봉인부가 굴절바와 절취부 또는 도안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개봉흔적에 대한 식별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have an effect of enhancing the discriminating power against the opening mark since the sealing portion is formed of a combination of the refracting bar and the cut-out portion or the drawing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인부의 작용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굴절바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굴절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인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접착필름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인부의 작용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인부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인부의 적용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she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for explaining a fil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ealing portion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fractive b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refractive b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of an adhesive fil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ealing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action of the seal por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ottom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seal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seal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ined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and the definition is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이고, 도 2는 시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그리고, 도 3은 필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필름의 저면도이다.Fig. 1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top view for explaining a sheet, and Fig. 3 is a bottom view of a film for explaining a film.

도시된 바와 같이 피수용체(미도시)가 수납되는 함체(110), 함체(110)를 폐쇄하고, 피수용체의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트(120), 인출부(123)의 개방 및 폐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필름(140) 및 필름(140)에 대한 개방 흔적이 육안으로 식별되도록 하는 봉인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housing 110 in which a receptacle (not shown) is housed, a seat 120 for closing the housing 110 and allowing the receptacle to be withdrawn, and an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withdrawing portion 123 And a sealing portion 130 for allowing the opening marks for the film 140 to be visually recognized.

함체(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피수용체가 수납되도록 공간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며, 피수용체에 따라 적어도 측면부 일면에 다수의 통공(111)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 space portion so that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opened and the receptacles are receiv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1 may be further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surface thereof.

통공(111)은 피수용체가 과일 내지는 야채 등일 경우, 외부와의 환기를 통한 선도유지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때, 함체(110)는 내용물 확인이 용이한 투명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매우 바람직하게는 사출에 의해 제작된 투명체인 것이 좋다.
The through hole 111 is for allowing the wire to be maintained through ventilation with the outside when the receptacle is a fruit or a vegetable. In this case, the enclosure 110 is preferably transparent, Is preferably a transparent one produced by injection molding.

시트(120)는 함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되, 피수용체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인출부(123)가 형성된다.The sheet 120 closes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and the lead portion 123 is formed so that the receptacle can be drawn out.

이러한 시트(120)는 접합부(121)가 함체(110) 상부에 마련된 확장부(113)와 접합되어 함체(110) 상부를 폐쇄시키는 것이며, 이때, 시트(120)와 함체(110)는 열융합 내지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eet 120 is bonded to the extension part 113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10 to close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10. At this time, Or by an adhesive.

인출부(123)는 피수용체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시트(120)의 평면을 나타낸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drawing portion 123 is for facilitating the drawing of the recepto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2 showing the plane of the sheet 120 together.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20)에 확장부(113)와 접합되는 접합부(121)가 마련되며, 대략 중심부에는 피수용체에 대한 인출 내지는 인입이 용이하도록 인출부(123)가 형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heet 120 is provided with a joint portion 121 to be joined to the extension portion 113, and a lead portion 123 is formed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thereof to facilitate drawing or drawing of the object to be received.

이러한 인출부(123)는 필름(140)과 접착상태를 유지하며, 필름(140) 적어도 일부를 시트(120)에서 탈리시키면 절개선(125)을 따라 이탈되는 개방시트(127)와 개방시트(127)의 이탈로 인해 생성되는 인출구(129)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인출구(129)는 피수용체의 크기와 대응하는 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withdrawal portion 123 maintains the adhesion with the film 140 and remove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lm 140 from the sheet 120 when the open sheet 127 and the open sheet 127, and the outlet 129 is preferably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receptor.

필름(140)은 시트(120)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탈부착을 통해 인출부(123)의 개방 및 폐쇄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film 14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heet 120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s of the draw-out portion 123 are maintained through detachment and attachment.

이러한 필름(140)은 투명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적어도 일 영역에 마련되어 시트(120)에 부착되는 고정부(147), 개방시트(127)가 부착되는 접착부(141), 상기 고정부(147)와 접착부(141)를 제외한 전체 내지는 일부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점착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film 140 may be transparent. The film 140 may be provided at least in one region of the frame and may have a fixing portion 147 attached to the sheet 120, a bonding portion 141 to which the opening sheet 127 is attached, And an adhesive part 143 made of a whole or a part of the area excluding the fixing part 147 and the adhesive part 141. [

여기서 고정부(147)와 접착부(141)는 시트(120)와 접합 즉, 점착부 대비 접착력이 보다 강한 영역인 것이며, 이는 필름(140)을 개봉할 때, 적어도 고정부 영역이 시트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Here, the fixing part 147 and the adhesive part 141 are areas where the adhesive strength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part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adhesive part 140. This is because at least the fixing part is fixed to the sheet when the film 140 is opened So that the state is maintained.

즉, 고정부(147)는 점착부 대비 접착력이 강한 영역으로, 강제의 힘에 의해 탈리 가능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140) 테두리 적어도 일 영역에 마련된다.That is, the fixing portion 147 is a region having a strong adhesive force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portion, and can be detached by a forced force, and is provid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rim of the film 140 as shown in FIG.

접착부(141)는 필름(140)을 시트에서 탈리시키면 인출구(129)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출부(123)를 폐쇄하고 있는 개봉시트(127)가 시트(12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기 위한 영역이다.The adhesive portion 141 is an area for releasing the opening sheet 127 closing the lead portion 123 from the sheet 120 so that the release opening 129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film 140 is detached from the sheet.

즉, 필름(140)을 시트(120)에서 탈리시키면 필름(140)과 함께 개봉시트(127)가 시트(120)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인출구(129)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at is, when the film 140 is detached from the sheet 120, the opening sheet 127 is separated from the sheet 120 together with the film 140 so that the outlet 129 is exposed to the outside.

따라서 시트(120) 전체를 개봉시키지 않더라도, 인출부(123)의 부분적 개방은 물론, 폐쇄가 용이하여, 피수용체가 과일 내지는 야채일 경우, 소비자로 하여금 소단위 인출과 선도유지 및 추가 수납 등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 피수용체에 대한 제한 없이 재활용 가능한 용기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entire sheet 120 is not opened, the draw-out portion 123 can be easily closed as well as partially opened. Thus, when the receiver is a fruit or a vegetable, And can be utilized as a recyclable container without restriction on the receptor.

봉인부(130)는 필름(140)을 시트(120)에서 탈리시키면, 그에 대응하는 흔적이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출부(123) 및 필름(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훼손되거나, 점착력 저하 또는 어느 하나에 인쇄된 영역이 훼손되도록 하여 육안으로 인출부(123)의 개방 흔적이 식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sealing portion 130 is provided to allow the film 140 to be visually recognized when the sheet 140 is separated from the sheet 120 and corresponds to the visible portion of the sheet 140. More specifically, And the opening mark of the drawing unit 123 is visually recognized so that any one of them is damaged, the adhesion is decreased, or the area printed on any one is damaged.

이러한, 봉인부(130)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바(131) 또는 도 7 내지 8과 같이 절취부(133) 및 도 9와 같이 도안부(135)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거나, 도 10과 같이 굴절바(131), 절취부(133) 및 도안부(135)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S. 1 to 6, the sealing part 130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refractive bar 131 or the cutout part 133 as shown in FIGS. 7 to 8 and the pattern part 135 as shown in FIG. 9 And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refractive bar 131, the cut-out portion 133, and the pattern portion 135 as shown in FIG. 10,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굴절바(131)는 자중(자기 무게)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단부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되도록 하여, 필름(140)의 개봉 흔적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refraction bar 131 has its end portion bent in the gravity direction by its own weight (magnetic weight) as shown in Fig. 5 so that the opening mark of the film 140 can be visually recognized.

이러한 굴절바(131)는 절개선(125)이 개봉시트(127)의 일부를 우회하면서 바 형태로 도려내진 영역으로, 중력방향으로의 굴곡이 용이하도록 일 방향으로 돌출된 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refraction bar 131 is preferably a bar shape protruding in one direction so as to facilitate bending in a gravitational direction, with the incision 125 being cut into a bar shape while bypassing a part of the opening sheet 127 .

또한, 굴곡바(131)는 외부에서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일정 간격의 이격부(131-1)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연속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ending bars 131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spacing 131-1 therebetween so as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from the outside, and it is highly desirable that the bending bars 131 are at least two or more.

그리고 굴곡바(131)는 중력방향으로의 굴절이 용이하도록 도 6a와 같이 적어도 길이(Y)가 폭(X)의 1.5에서 5배 사이의 길이를 갖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6b와 같이 단부(Y-1)에서 이단(Y2)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하여 무게중심이 단부에 편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단은, 단부의 대향된 영역을 지칭한다.As shown in FIG. 6A, the bending bar 131 may have a length (Y) ranging from 1.5 to 5 times the width (X) so as to facilitate the refraction in the gravity direction, The width of the center of gravity may be reduced toward the end (Y2),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may be concentrated on the end portion. Herein, the termination refers to the opposite region of the end portion.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굴곡바(131)에 무게중심의 편중을 더하여 육안으로의 식별이 더욱 용이하도록 단부에 중량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중량부는 단부에 대한 두께를 키운 것이거나, 별도의 중량체일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a weight portion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end portion of the bending bar 131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ending bar 131 can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naked eye. Or may be a separate weight.

이상에서와 같이 굴곡바(131)는 필름(140)의 개봉 즉, 포장용기(100)에 대한 개봉 흔적을 알 수 있는 데,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ending bar 131 can detect the opening of the film 140, that is, the opening of the packaging container 100,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인부의 작용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용상태도이다.4 is a functional state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eal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용기(100)는 시트(120)와 필름(140)에 의해 폐쇄상태를 이루며, 따라서 피수용체는 인출되거나, 타 피수용체의 인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ackaging container 100 is closed by the sheet 120 and the film 140, and therefore, the receptacle is drawn or the receptacle is not drawn.

만약, 유통단계에서 피수용체를 인출하거나, 인입 내지는 일부 교체를 위해 포장용기(100)를 도 4b와 같이 필름(140)을 개방시키면 필름(140)의 탈리와 함께 개봉시트(127)가 시트(120)로부터 이탈되면서 인출구(129)와 굴곡바(131)가 외부로 노출되며, 이때, 굴곡바(131)는 도 5와 같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굴곡된다.If the film 140 is open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100 as shown in FIG. 4B for withdrawing the receptor from the distribution stage or withdrawing the receptor from the container 140, the release sheet 127 may be separated from the sheet 140 120, the outlet 129 and the bending bar 131 are expos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bending bar 131 is bent downward by its own weight as shown in Fig.

이후, 필름(140)을 시트(120)에 재점착할 경우, 굴곡바(131)와 대응하는 필름(140)의 일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접착부(145)로 이루어져, 굴곡된 단부를 복원되지 않으며, 특히, 필름(140)이 투명체이므로, 필름(140)을 시트(120)에 재점착시키더라도 굴곡바(131)의 굴절상태는 외부에서 육안으로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film 140 is reattached to the sheet 120, one side of the film 140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bar 131 is made of the non-adhering portion 145 as shown in FIG. 3, In particular, since the film 140 is a transparent body, even if the film 140 is reattached to the sheet 120, the state of refraction of the bending bar 131 can be sufficiently confirmed visually from the outside.

따라서 굴곡바(131)가 훼손된 포장용기(100)에 대해서는 소비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를 다루는 업자는 신뢰성 상실과 함께 매출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포장용기(100)에 대한 개방을 지양하게 된다.Therefore, the packaging container 100 in which the bending bar 131 is damaged is not consumed, and the vendor dealing with the packaging container 100 can not be opened to the packaging container 100 because the reliability may be lost and the sales may be reduced .

이를 통해, 건전한 유통구조를 확립은 물론, 제품에 대한 신뢰도 향상은 물론, 그로 인한 매출 향상을 기대할 수도 있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not only to establish a sound distribution structure, but also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expect the sales to be improved.

한편, 봉인부(130)의 일례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n example of the sealing portion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8. Fig.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인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접착필름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인부의 작용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용상태도 이다.FIG. 7 is a bottom view of an adhesive fil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eal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action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action of the seal por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부(133)는 고정부(147)와 대응하는 타면에 마련되어 시트(120)와 접합된 필름(140)을 개봉할 때, 시트(120)와 접합된 필름(140)의 일부가 훼손되도록 하여, 재점착을 하더라도, 훼손된 영역으로 인해 개봉 흔적이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utout portion 133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ortion 147, and when the film 140 bonded to the sheet 120 is opened, a portion of the film 140 bonded to the sheet 120 So as to visually confirm the opening mark due to the damaged area even if the adhesive is reattached.

이러한 절취부(133)는 적어도 고정부(147)와 대향된 단부에 시트(120)와 접착되는 다른 고정부(140-2)가 마련되고, 고정부(141-1)와 점착부 사이에 절취부(133)가 형성된다.The cutout portion 133 is provided with at least another fixing portion 140-2 which is adhered to the sheet 120 at an end portion opposed to the fixing portion 147 and is cut off between the fixing portion 141-1 and the adhesive portion. A portion 133 is formed.

이때, 절취부(1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산과 골이 연속된 형상이거나, 불규칙한 톱니 형상 등과 같이 재점착 시 동일한 위치로의 정확한 점착이 용이하지 못하도록 하여 절취한 흔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인 또는 연속된 디자인 형상 위에 절취부(133)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절취부(133)을 따라 절취될 경우, 절취된 이후에는 절취부(133)가 불규칙한 톱니 바퀴 형상이거나 산과 골이 연속된 형상이어서 절취부(133)를 따라 정확한 재부착 내지는 재점착이 어려울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ut-out portion 133 is a shape that can easily identify the cut-off portion by making it difficult to accurately adhere to the same position when re-sticking, such as an irregular saw- .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cut-out portion 133 is formed on a lined or continuous design shape, when the cut-out portion 133 is cut along the cut-out portion 133, after the cut-out portion 133 is cut off, It may be difficult to accurately reattach or reattach along the cutout portion 133 because the bones are continuous.

따라서 필름(140)을 개방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140)의 일단은 시트(120)에 잔류하고, 타단은 필름(140)으로부터 탈리되어 인출구(129)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film 140 is opened, one end of the film 140 is left on the sheet 120 and the other end is removed from the film 140 as shown in FIG. 9 so that the outflow opening 129 is exposed to the outside .

이후, 필름(140)을 재점착할 경우, 필름(140)은 일단과 타단이 분리된 상태인 것과, 절취부(133)에 대한 정확한 맞춤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어긋난 접합으로 인해 필름(140)의 개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after, when the film 140 is reattached, the film 140 is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lm 140 and is not easily fitted to the cutout portion 133, You can visually confirm the opening.

한편, 봉인부(130)의 다른 일례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nother example of the sealing portion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인부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도이다.9 is a bottom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seal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도안부(135)는 필름(140) 어느 일면의 단부와 시트(120) 일부에 함께 인쇄되어 필름(140)을 개봉할 때, 인쇄가 훼손되어 육안으로 노출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film 140 is opened together with the end of one side of the film 140 and a part of the sheet 120, the pattern 135 is damaged so that the impression of the exposure can be visually recognized .

이러한 도안부(135)는 훼손영역을 지시하는 문자, 기호 및 색상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안부(135)가 인쇄되는 적어도 필름(140)의 일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산과 골의 연속된 무늬를 적용하여 개봉의 흔적이 더욱 부각되도록 할 수도 있다.At least one side of the film 140, on which the pattern 135 is printed, may be formed of a pattern of mountains and / or valleys, as shown in FIG.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continuous pattern so that the traces of unsealing can be more emphasized.

이상에서와 같이 봉인부(135)를 설명하였으나, 봉인부(135)는 굴절바(133)는 물론, 절취부(133) 및 도안부(135)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적용하거나,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부(131), 절취부(133) 및 도안부(135)를 함께 적용하여 개봉 흔적이 더욱 명확해지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는, 포장용기의 제작환경 내지는 피수용체에 따른 효율성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aling portion 135 may be formed by selectively combining any one or more of the cut portion 133 and the pattern portion 135 as well as the refractive bar 133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0, the refracting portion 131, the cutout portion 133, and the drawing portion 135 may be applied together to make the mark of the opening clearer. However, It is preferable to be applied according to the efficiency depending on the receptor.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포장용기 110 : 함체
111 : 통공 113 : 확장부
120 : 시트 121 : 접합부
123 : 인출부 125 : 절개선
127 : 개봉시트 129 : 인출구
130 : 봉인부 131 : 굴절바
133 : 절취부 135 : 도안부
140 : 필름 141 : 접착부
143 : 점착부 145 : 비접합부
147 : 고정부 150 : 안내부
100: Packing container 110: Enclosure
111: through hole 113:
120: Sheet 121: Joint
123: withdrawal section 125: section improvement
127: opening sheet 129: outlet
130: Sealing part 131: Refracting bar
133: Cutting section 135:
140: film 141:
143: Adhesive part 145: Non-bonding part
147: fixing part 150: guide part

Claims (14)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피수용체가 수납되도록 공간부가 마련된 함체;
상기 함체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되, 피수용체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인출부가 형성된 시트;
상기 시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탈부착을 통해 상기 인출부의 개방 및 폐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필름; 및
상기 필름 개방 시, 상기 인출부의 개방 흔적이 육안으로 식별되도록 하는 봉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In a packaging container,
A housing having an upper portion thereof opened and a space portion provided therein so as to receive a receptor;
A seat on which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s closed;
A film detachably attached to the sheet, wherein the film is kept open and closed by detachment and attachment; And
And a sealing portion for allowing the opening portion of the lead-out portion to be visually recognized when the film is ope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테두리의 접합부가 상기 함체 상부에 마련된 확장부와 접합되어 상기 함체 상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시트 테두리 내측 어느 일면에 상기 인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eet
And a connecting portion of the frame is joined to an extension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e draw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heet 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필름과 접착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필름 적어도 일부를 상기 시트에서 탈리시키면, 절개선을 따라 상기 시트에서 이탈되는 개방시트; 및
상기 개방시트의 탈리로 인해 생성되는 인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ake-
An open sheet which is maintained in an adhered state to the film, and which is detached from the sheet along an incision when at least a part of the film is detached from the sheet; And
And an outlet formed by the desorption of the open shee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접합부와 인출부 사이 영역을 감싸는 면적으로, 테두리 적어도 어느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시트에 부착되는 고정부;
상기 개봉시트가 부착되고 상기 개봉시트에 대응하는 면적의 일부 또는 전체를 이루는 접착부; 및
상기 고정부와 접착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일부 또는 전체로서, 상기 시트와 재접착이 가능한 영역을 이루는 점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film may be,
A fixing portion provided on at least one region of the rim and attached to the sheet, the rim having an area enclosing a region between the joining portion and the drawing portion;
An adhesive portion to which the opening sheet is attached and which forms a part or an entirety o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sheet; And
And an adhesive portion which is a part or an entirety of the remaining region excluding the fixing portion and the adhesive portion, the adhesive portion forming an area capable of re-adhering to the she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시트와 점착 및 점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비접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접착부는, 상기 접착부 및 점착부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일 영역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lm may be,
And a non-adhesive portion for preventing adhesion and adhesion with the sheet,
Wherein the non-adhesive portion is selectively formed in at least one region selected from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adhesive portion.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부는,
상기 인출부 및 필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훼손되거나, 점착력 저하 또는 어느 하나에 인쇄된 영역이 훼손되도록 하여 육안으로 인출부의 개방 흔적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sealing portion
And the opening portion of the lead-out portion can be visually recognized by visual inspection so that any one of the lead-out portion and the film is damaged, the adhesive strength is lowered, or the printed region is damag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부는,
상기 절개선이 상기 개봉시트의 일부를 우회하면서 바 형태로 돌출시켜 도려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절바;인 것이며,
상기 굴절바는, 일정 간격의 이격부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aling portion
And at least one refraction bar that protrudes in a bar shape while bypassing a part of the opening sheet,
Wherein the refracting bars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a spaced apart portion therebetwee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바는,
상기 비접착부와 대응하는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개봉시트가 필름에 의해 상기 시트로부터 이탈되면, 단부가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fracting bar may include:
And the end portion is bent in the gravity direction by its own weight when the opening sheet is separated from the sheet by the fil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바는,
폭과 길이가 서로 다르며, 적어도 길이는 폭의 1.5에서 5배 사이의 길이를 갖도록 하여, 단부가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굴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fracting bar may include:
Wherein the width and lengt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t least the length is between 1.5 and 5 times the width so that the end portion is bent in the direction of gravity by its own weigh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바는,
단부의 폭과 이단의 폭이 서로 다르며, 단부에서 이단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fracting bar may include:
Wherein the width of the end portion and the width of the two end por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width is reduced from the end portion to the end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바는,
단부에 자중을 높이기 위한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fracting bar may include:
And a weight portion for increasing the self weight at the end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부는,
상기 고정부와 대응하는 타면에 마련되어 상기 시트와 접합된 상기 필름을 개봉할 때, 상기 시트와 접합된 필름의 일부가 훼손되도록 하는 절취부;인 것이며,
상기 절취부 적어도 일면이 산과 골이 연속 반복되는 불규칙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aling portion
And a cut-out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ortion to allow a portion of the film bonded to the sheet to be damaged when the film bonded to the sheet is opened,
Wherei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utout portion includes an irregular shape in which an acid and a valley are continuously repea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부는,
상기 고정부와 대응하는 타면과 상기 타면과 접하는 상기 시트 일부에 인쇄되어 상기 필름을 개봉할 때, 인쇄상태가 훼손되도록 하는 도안부;인 것이며,
상기 도안부는, 훼손영역을 지시하는 문자, 기호 및 색상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aling portion
And a pattern portion printed on the oth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ortion and the portion of the sheet contacting with the other surface to damage the printing state when the film is opened,
Wherein the drawing portion is any one of letters, symbols, and colors indicating a damaged area.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부는,
상기 굴절바와 상기 필름을 개봉할 때 상기 시트와 접합된 필름의 일부가 훼손되도록 하는 절취부 또는 상기 필름을 개봉할 때 상기 시트와 접합된 영역의 인쇄부가 훼손되도록 하는 도안부 중 선택되는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함께 존재하여 상기 필름의 개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3,
The sealing portion
And a pattern portion for causing a portion of the film bonded with the sheet to be damaged when the refracting bar and the film are opened, or a pattern portion for damaging the printing portion of the region bonded with the sheet when the film is opened, Wherein the film is present together with the film so that the opening of the film can be visually confirmed.
KR1020140195775A 2014-12-31 2014-12-31 Packaging container with anit-resticking means KR1016572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775A KR101657209B1 (en) 2014-12-31 2014-12-31 Packaging container with anit-restick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775A KR101657209B1 (en) 2014-12-31 2014-12-31 Packaging container with anit-resticking me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642A true KR20160081642A (en) 2016-07-08
KR101657209B1 KR101657209B1 (en) 2016-09-19

Family

ID=56503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775A KR101657209B1 (en) 2014-12-31 2014-12-31 Packaging container with anit-resticking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20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5498A1 (en) * 2018-07-31 2020-02-06 St Michel Holding Packaging for a product, particularly a food produ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942B1 (en) 2023-03-22 2023-10-16 주식회사 안다에프엔비 Smart Eco-Friendly Container Having Freshness Check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100Y1 (en) 2002-11-01 2003-01-29 이희정 A fruit packing instument of transparency having vent
KR20080061246A (en) * 2006-12-27 2008-07-02 크래프트 후우즈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Resealable closure with package integrity feature
JP5394651B2 (en) * 2007-03-30 2014-01-22 クラフト・フーヅ・グローバル・ブランヅ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Closed structure that displays package integr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100Y1 (en) 2002-11-01 2003-01-29 이희정 A fruit packing instument of transparency having vent
KR20080061246A (en) * 2006-12-27 2008-07-02 크래프트 후우즈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Resealable closure with package integrity feature
JP5394651B2 (en) * 2007-03-30 2014-01-22 クラフト・フーヅ・グローバル・ブランヅ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Closed structure that displays package integr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5498A1 (en) * 2018-07-31 2020-02-06 St Michel Holding Packaging for a product, particularly a food product
FR3084654A1 (en) * 2018-07-31 2020-02-07 St Michel Holding PACKAGE FOR A PARTICULARLY FOOD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209B1 (en)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3859B2 (en) Container with customizable inner packag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RU2006107043A (en) RE-PRINTED FOOD CONTAINER WITH OPENING INDICATOR
KR20170070013A (en) Container with multilayer self-adhesive reclosable sticker
RU2017112750A (en) CAPACITY WITH ADHESIVE LABEL WITH AREA FREE OF ADHESION
CN103796924A (en) Combination box and display unit
KR20180127354A (en) A container having a resealable inner package
KR101657209B1 (en) Packaging container with anit-resticking means
JP2008201462A (en) Pouch container
JP4861660B2 (en) Packaging container
AU2005298476B2 (en) Packaging and display box
KR200471374Y1 (en) Egg package container
US20190144166A1 (en) Flexible packaging of the bag type with reclosing device
CN215707868U (en) Paper-plastic packing box
JP2016011133A (en) Egg packing package
CN211264818U (en) Anti-uncovering label
RU2781085C2 (en) Bag-type flexible packaging with reclosing device
CN202429499U (en) Non-reusable package
JP2009179332A (en) Storing container
KR20150002405U (en) outer packing vinyl box
US10759568B2 (en) Flexible packaging of the bag type with reclosing device
CN206511398U (en) Multifunctional ice cream box
JP3204197U (en) Multi-container package
KR101753640B1 (en) container having label
KR20170002818U (en) Case for Displaying Goods
CN204576979U (en) A kind of have the labeling easily tearing company-information lab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