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471A -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471A
KR20160081471A KR1020140195353A KR20140195353A KR20160081471A KR 20160081471 A KR20160081471 A KR 20160081471A KR 1020140195353 A KR1020140195353 A KR 1020140195353A KR 20140195353 A KR20140195353 A KR 20140195353A KR 20160081471 A KR20160081471 A KR 20160081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actual road
mode
suspension control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영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40195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1471A/ko
Publication of KR2016008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uspen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6Slope angle of the r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도 측정 데이터를 서스펜션 제어신호로 보정함으로써 실제 경사도와 측정 경사도 간의 오차를 검출, 보정하여 도로 상황에 적합한 변속단 선정 및 엔진 출력으로 차량 주행 안전성을 높이는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스펜션, 전후면 차고 높이, 브레이크 상태 및 엑셀 상태를 포함하는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서스펜션 제어부; G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스펜션 제어부로부터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기준값과 비교하여 스쿼트 모드 또는 다이브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스쿼트 모드 또는 다이브 모드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G센서 신호와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비교하여 실제 도로 경사도를 보정하고, 보정된 상기 실제 도로 경사도에 따른 기어 변속맵을 선택하여 주행하는 변속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slope data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본 발명은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경사도와 측정 경사도 간의 오차를 검출하여 보정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변속 차량, 특히 상용차의 자동화 수동변속(AMT : Automated-Manual Transmission) 차량의 변속기의 구배 주행시 변속단을 결정하는 주요인으로 차량 엔진 변속 RPM과 경사도, 두 가지의 요인이 존재한다.
경사도에 따라 변속단 선정 및 엔진 출력이 달라지는데 이 경사도의 정보가 실 도로환경과 일치하지 않으면 운전자가 원하는 출력이 나오지 않으며 의도하지 않은 변속이 실행되고는 한다.
차량이 인식하는 경사도와 실 도로 경사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주로 운전자가 급브레이크를 밟을 때, 또는 급가속을 할 때 그리고 경사로에서 변속을 위해 동력을 차단했다가 다시 연결하는 경우이다.
제동시 차체 관성에 의해 앞으로 기울어지는 것은 다이브(Dive) 현상이라고 불리며, 가속 시 차체 관성에 의해 앞쪽이 들어 올려지는 것은 스쿼트(Squat) 현상이라고 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변속 차량은, 다이브 현상 및 스쿼트 현상 발생시, 차량이 인식하는 경사도와 실 도로 경사도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변속단 선정 및 엔진 출력이 불가능하여 차량 주행의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9268호(등록일자 2008년09월12일)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사도 측정 데이터를 서스펜션 제어신호로 보정함으로써 실제 경사도와 측정 경사도 간의 오차를 검출, 보정하여 도로 상황에 적합한 변속단 선정 및 엔진 출력으로 차량 주행 안전성을 높이는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스펜션, 전후면 차고 높이, 브레이크 상태 및 엑셀 상태를 포함하는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서스펜션 제어부; G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스펜션 제어부로부터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기준값과 비교하여 스쿼트 모드 또는 다이브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스쿼트 모드 또는 다이브 모드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G센서 신호와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비교하여 실제 도로 경사도를 보정하고, 보정된 상기 실제 도로 경사도에 따른 기어 변속맵을 선택하여 주행하는 변속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변속 제어부는; 상기 서스펜션이 소프트이고, 상기 전면 차고 높이가 후면 차고 높이보다 높고, 브레이크가 오프이고, 엑셀이 온인 상태일 경우 상기 스쿼트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전면 차고 높이가 후면 차고 높이보다 낮고, 엑셀이 오프인 상태일 경우 상기 다이브 모드로 판단한다.
상기 변속 제어부는; 상기 스쿼트 모드로 판단될 경우, 상기 G센서 신호에 따른 경사도에서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에 따른 경사도의 차를 구하여 실제 도로 경사도를 보정하고, 상기 다이브 모드로 판단될 경우, 상기 G센서 신호에 따른 경사도와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에 따른 경사도를 합하여 실제 도로 경사도를 보정한다.
상기 서스펜션 제어부는; 서스펜션의 감쇠력 및 스프링 상수를 더 감지하고, 상기 변속 제어부는; 상기에서 보정된 실제 도로 경사도에 상기 서스펜션의 감쇠력 및 스프링 상수를 추가 계산하여 상기 실제 도로 경사도를 재보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a)차량의 주행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b)서스펜션, 전후면 차고 높이, 브레이크 상태 및 엑셀 상태를 포함하는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G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스쿼트 모드 또는 다이브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e)상기 스쿼트 모드 또는 다이브 모드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G센서 신호와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비교하여 실제 도로 경사도를 보정하는 단계; 및 f)보정된 상기 실제 도로 경사도에 따른 기어 변속맵을 선택하여 주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d)단계는; 상기 서스펜션이 소프트이고, 상기 전면 차고 높이가 후면 차고 높이보다 높고, 브레이크가 오프이고, 엑셀이 온인 상태일 경우 상기 스쿼트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전면 차고 높이가 후면 차고 높이보다 낮고, 엑셀이 오프인 상태일 경우 상기 다이브 모드로 판단한다.
상기 e)단계는; 상기 스쿼트 모드로 판단될 경우, 상기 G센서 신호에 따른 경사도에서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에 따른 경사도의 차를 구하여 실제 도로 경사도를 보정하고, 상기 다이브 모드로 판단될 경우, 상기 G센서 신호에 따른 경사도와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에 따른 경사도를 합하여 실제 도로 경사도를 보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g)서스펜션의 감쇠력 및 스프링 상수를 감지하고, 상기 e)단계에서 보정된 실제 도로 경사도에 상기 서스펜션의 감쇠력 및 스프링 상수를 추가 계산하여 상기 실제 도로 경사도를 재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다이브 현상 및 스쿼트 현상 발생시, 경사도 측정 데이터를 서스펜션 제어신호로 보정함으로써 실제 경사도와 측정 경사도 간의 오차를 검출, 보정하여 도로 상황에 적합한 변속단 선정 및 엔진 출력으로 차량 주행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현상시 실제 노면 경사도와 차고 센서의 위치에 따른 경사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는, 서스펜션 제어부(10)와 변속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서스펜션 제어부(10)와 변속 제어부(20)는 CAN통신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서스펜션을 감지하는 서스펜션 감지부(11); 전후면의 차고 높이를 감지하는 차고높이 감지부(12); 브레이크 상태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감지부(13) 및 엑셀 상태를 감지하는 엑셀 감지부(14)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전자제어 서스펜션 시스템(ECS : 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System)이 적용될 수 있다.
ECS는 자동차의 샤시 및 바디 부분에 설치된 각종의 센서로 주행조건, 노면상태, 운전자 주행의지 등을 파악하여 차량 주행안전성에 기여를 하는 시스템이다. 차량의 높이와 서스펜션의 스프링 상수 및 댐핑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원리 및 작동상태는 공지의 기술에 의하여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여기서 이에 대한 세세한 설명은 생략하다. 본 발명은 ECS의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주행 도로에 맞는 정확한 경사도를 계산하고 이에 적합한 변속을 하는 것이다.
상기 변속 제어부(20)는 입력속도를 감지하는 입력속도 감지부(21); 출력속도를 감지하는 출력속도 감지부(22); 자이로센서로 기울기를 감지하는 G센서 감지부(23) 및 수동변속 상태를 감지하는 수동변속 감지부(24)를 포함한다. 상기 변속 제어부(20)는 TCU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상기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서스펜션, 전후면 차고 높이, 브레이크 상태 및 엑셀 상태를 포함하는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변속 제어부(20)는 G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스펜션 제어부(10)로부터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기준값과 비교하여 스쿼트 모드 또는 다이브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스쿼트 모드 또는 다이브 모드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G센서 신호와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비교하여 실제 도로 경사도를 보정한다.
여기서, 상기 변속 제어부(20)는; 상기 서스펜션이 소프트(soft) 상태이고, 상기 전면 차고 높이가 후면 차고 높이보다 높고, 브레이크가 오프이고, 엑셀이 온인 상태일 경우 상기 스쿼트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전면 차고 높이가 후면 차고 높이보다 낮고, 엑셀이 오프인 상태일 경우 상기 다이브 모드로 판단한다.
상기 변속 제어부(20)의 스쿼트 모드 및 다이브 모드 판단을 위한 ECS 조건은 다음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현상 (평지) 차고 센서 엑셀 브레이크 서스펜션
전면 후면
가속 스쿼트 높음 낮음 오프 소프트
가속
(변속)
다이브→스쿼트 낮음 높음 높음 낮음 오프 소프트t
감속
(변속)
다이브 낮음 높음 오프 온 or
오프
하드 or
소프트
상기 변속 제어부(20)는 상기 스쿼트 모드로 판단될 경우, 상기 G센서 신호에 따른 경사도에서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에 따른 경사도의 차를 구하여 실제 도로 경사도를 보정하고, 상기 다이브 모드로 판단될 경우, 상기 G센서 신호에 따른 경사도와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에 따른 경사도를 합하여 실제 도로 경사도를 보정한다.
즉,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현상시 실제 노면 경사도와 차고 센서의 위치에 따른 경사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축간거리 C와 차고 센서 A, B의 차이로 기울어진 각도를 알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G-센서 측정 경사도와 ECS 측정 경사도의 합과 차 결과값을 실제 도로 경사도로 판단한다. 실제 도로 경사도는 차량의 자세와 관계없이 실제 노면에 대한 경사도를 나타내는 것을 뜻한다. G-센서는 차량의 샤시 또는 바디에 장착되어 있으나 위와 같은 스쿼트 현상 또는 다이브 현상이 발생할 시 평지를 달리고 있음에도 경사도 측정값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도로의 실제 경사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보정이 필요하다. 실 도로의 경사도를 더 정밀하게 하기 계산하기 위해서는 서스펜션의 감쇠력 및 스프링 상수를 참조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서스펜션의 감쇠력 및 스프링 상수를 더 감지하고, 상기 변속 제어부(20)는 상기에서 보정된 실제 도로 경사도에 상기 서스펜션의 감쇠력 및 스프링 상수를 추가 계산하여 상기 실제 도로 경사도를 재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속 제어부(20)는 보정된 상기 실제 도로 경사도에 따른 기어 변속맵을 선택하여 주행한다.
즉, 위의 결과값에 따른 실제 도로 경사도 값을 이용하여 변속 제어부(20)에 설정된 X값과 차량의 브레이크, 출력 모드 스위치에 따라 기어 변속 맵을 선정하게 되고, 선택된 맵에 따라 기어 변속 시퀀스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실제 도로 경사도에 따른 기어 변속맵은 다음의 표 2와 같다.
실제 도로
경사도
파워
스위치

브레이크
리타더
-B%≤X≤-A% 맵1
오프 맵1
오프 맵3
오프 오프 맵4
오프 오프 오프 맵5
오프 오프 맵6
오프 오프 맵7
오프 오프 맵8
-A%≤X≤A%
A%≤X≤B%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량의 가속 변속에 대해서는 실제 도로 경사도와 파워 스위치(power switch), 풋 브레이크(foot break), 리타더(retarder) 등의 요소들로 변속맵 선정에 영향을 받으며, 감속 시 천천히 감속을 할 것인지 급가속을 할 것인지, 브레이크 선정에 따라 최적의 맵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방법은, a)차량의 주행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00); b)서스펜션, 전후면 차고 높이, 브레이크 상태 및 엑셀 상태를 포함하는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10); c)G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10); d)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스쿼트 모드 또는 다이브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S120); e)상기 스쿼트 모드 또는 다이브 모드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G센서 신호와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비교하여 실제 도로 경사도를 보정하는 단계(S130~S150) 및 f)보정된 상기 실제 도로 경사도에 따른 기어 변속맵을 선택하여 주행하는 단계(S160~170)를 포함한다.
상기 d)단계(S120)는 상기 서스펜션이 소프트이고, 상기 전면 차고 높이가 후면 차고 높이보다 높고, 브레이크가 오프이고, 엑셀이 온인 상태일 경우 상기 스쿼트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전면 차고 높이가 후면 차고 높이보다 낮고, 엑셀이 오프인 상태일 경우 상기 다이브 모드로 판단한다.
상기 e)단계는 상기 스쿼트 모드로 판단될 경우, 상기 G센서 신호에 따른 경사도에서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에 따른 경사도의 차를 구하여 실제 도로 경사도를 보정하고, 상기 다이브 모드로 판단될 경우, 상기 G센서 신호에 따른 경사도와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에 따른 경사도를 합하여 실제 도로 경사도를 보정한다.
또한, g)서스펜션의 감쇠력 및 스프링 상수를 감지하고, 상기 e)단계에서 보정된 실제 도로 경사도에 상기 서스펜션의 감쇠력 및 스프링 상수를 추가 계산하여 상기 실제 도로 경사도를 재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키온 후 엔진 시동을 걸게 되면(S100), 변속 제어부(TCU)(20)는 AMT 시스템의 G-센서 정보와 CAN 통신(도 1 참조)의 ECS의 정보들을 지속적으로 수신한다(S110).
이때, 위 정보들은 특정 조건에서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정보가 수신되어야 한다.
차량 주행에 대한 경사도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ECS정보에 따라(S120) 스쿼트 모드(S130) 또는 다이브 모드 (S131)로 분류되며, 스쿼트 모드는 표 1과 같이 차량이 가속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며 평지 기준으로 차량의 후단이 아래로 기우는 것을 의미한다.
스쿼트 상태의 차고센서를 살펴보면 차량의 로어암과 프론트 차체에 있는 차고 센서가 기준점보다 상승하고 리어액슬과 리어 차체에 있는 차고 센서가 기준점보다 하강한다.
도 2와 같이 축간거리 C와 차고 센서 A, B의 차이로 기울어진 각도를 알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G-센서 측정 경사도와 ECS 측정 경사도의 합과 차 (S140, S141) 결과값을 실제 도로 경사도(S150)로 설정한다(S150).
실제 도로 경사도는 차량의 자세와 관계없이 실제 노면에 대한 경사도를 나타내는 것을 뜻한다. G-센서 감지부(23)는 차량의 샤시 또는 바디에 장착되어 있으나 위와 같은 스쿼트 현상 또는 다이브 현상이 발생할 시 평지를 달리고 있음에도 경사도 측정값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도로의 실제 경사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보정이 필요하다. 실제 도로의 경사도를 더 정밀하게 하기 계산하기 위해서는 서스펜션의 감쇠력 및 스프링 상수를 참조할 수 있다.
위의 결과값 실제 도로 경사도 값을 이용하여 변속 제어부(TCU)(20) 설정된 X값과 차량의 브레이크, 출력 모드 스위치에 따라 기어 변속 맵을 선정하게 되고(S160), 선택된 맵에 따라 기어 변속 시퀀스를 진행하게 된다(S170).
기어 변속 맵에 대한 조건은 표 2와 같다. 차량의 가속 변속에 대해서는 실제 도로 경사도와 파워 모드, 기타 등등 요소들로 변속맵 선정에 영향을 받으며, 감속 시 천천히 감속을 할 것인지 급가속을 할 것인지, 브레이크 선정에 따라 맵이 변화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서스펜션 제어부 11 : 서스펜션 감지부
12 : 차고높이 감지부 13 : 브레이크 감지부
14 : 엑셀 감지부 20 : 변속 제어부
21 : 입력속도 감지부 22 : 출력속도 감지부
23 : G센서 감지부 24 : 수동변속 감지부

Claims (8)

  1. 서스펜션, 전후면 차고 높이, 브레이크 상태 및 엑셀 상태를 포함하는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서스펜션 제어부;
    G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스펜션 제어부로부터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기준값과 비교하여 스쿼트 모드 또는 다이브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스쿼트 모드 또는 다이브 모드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G센서 신호와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비교하여 실제 도로 경사도를 보정하고, 보정된 상기 실제 도로 경사도에 따른 기어 변속맵을 선택하여 주행하는 변속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제어부는;
    상기 서스펜션이 소프트이고, 상기 전면 차고 높이가 후면 차고 높이보다 높고, 브레이크가 오프이고, 엑셀이 온인 상태일 경우 상기 스쿼트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전면 차고 높이가 후면 차고 높이보다 낮고, 엑셀이 오프인 상태일 경우 상기 다이브 모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제어부는;
    상기 스쿼트 모드로 판단될 경우, 상기 G센서 신호에 따른 경사도에서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에 따른 경사도의 차를 구하여 실제 도로 경사도를 보정하고,
    상기 다이브 모드로 판단될 경우, 상기 G센서 신호에 따른 경사도와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에 따른 경사도를 합하여 실제 도로 경사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제어부는;
    서스펜션의 감쇠력 및 스프링 상수를 더 감지하고,
    상기 변속 제어부는;
    상기에서 보정된 실제 도로 경사도에 상기 서스펜션의 감쇠력 및 스프링 상수를 추가 계산하여 상기 실제 도로 경사도를 재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
  5. a)차량의 주행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b)서스펜션, 전후면 차고 높이, 브레이크 상태 및 엑셀 상태를 포함하는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G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스쿼트 모드 또는 다이브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e)상기 스쿼트 모드 또는 다이브 모드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G센서 신호와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를 비교하여 실제 도로 경사도를 보정하는 단계; 및
    f)보정된 상기 실제 도로 경사도에 따른 기어 변속맵을 선택하여 주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서스펜션이 소프트이고, 상기 전면 차고 높이가 후면 차고 높이보다 높고, 브레이크가 오프이고, 엑셀이 온인 상태일 경우 상기 스쿼트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전면 차고 높이가 후면 차고 높이보다 낮고, 엑셀이 오프인 상태일 경우 상기 다이브 모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스쿼트 모드로 판단될 경우, 상기 G센서 신호에 따른 경사도에서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에 따른 경사도의 차를 구하여 실제 도로 경사도를 보정하고,
    상기 다이브 모드로 판단될 경우, 상기 G센서 신호에 따른 경사도와 상기 서스펜션 제어신호에 따른 경사도를 합하여 실제 도로 경사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g)서스펜션의 감쇠력 및 스프링 상수를 감지하고, 상기 e)단계에서 보정된 실제 도로 경사도에 상기 서스펜션의 감쇠력 및 스프링 상수를 추가 계산하여 상기 실제 도로 경사도를 재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방법.
KR1020140195353A 2014-12-31 2014-12-31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 및 방법 KR20160081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353A KR20160081471A (ko) 2014-12-31 2014-12-31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353A KR20160081471A (ko) 2014-12-31 2014-12-31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471A true KR20160081471A (ko) 2016-07-08

Family

ID=56503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353A KR20160081471A (ko) 2014-12-31 2014-12-31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14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9122A (zh) * 2017-11-29 2019-06-04 高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车辆行驶状态的确定方法和装置
KR20220169571A (ko) * 2021-06-21 2022-12-2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의 과속방지턱 승월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268B1 (ko) 2001-12-18 2008-09-1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경사도에 따른 전동차량의 제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268B1 (ko) 2001-12-18 2008-09-1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경사도에 따른 전동차량의 제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9122A (zh) * 2017-11-29 2019-06-04 高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车辆行驶状态的确定方法和装置
KR20220169571A (ko) * 2021-06-21 2022-12-2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의 과속방지턱 승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0927B2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lamp and vehicle lamp system
US20150291177A1 (en) Speed bump detection apparatus and navigation data upda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140301094A1 (en) Method, control unit,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tting a range of a headlight of a vehicle
US6302553B1 (en) Radiating direction control unit of lighting device for vehicle use
US20120046856A1 (en) Vehicle
US8209067B2 (en) Height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101836242B1 (ko) 차량 선회시 경사각 측정 방법 및 장치
US11094143B2 (en) Trailer mode determin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gradient
US9180880B2 (en) Driving force control system for vehicle
CN104553663B (zh) 空气悬架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60081471A (ko) 자동변속 차량의 경사정보 보정장치 및 방법
JP4663851B2 (ja) 間隔下限値と上限値との間で移動可能な2つの基準点の間隔を測定する方法
CN105270255B (zh) 用于修正机动车辆的前照灯的定向的方法和系统
CN107014347B (zh) 用于检测车辆俯仰角的设备及其方法
KR102286027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20200116572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JP4894399B2 (ja) 車両の想定視線角度制御装置
KR20130024256A (ko) 전자식 안정성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0149766A (ja) 車輛用ヘッドランプの光軸調整方法
KR100826800B1 (ko) 차량의 횡가속도 오프셋 보정 방법
JP3820299B2 (ja) 車輌用灯具の照射方向制御装置
KR101156794B1 (ko) 노면 경사 측정 방법
JP2016190604A (ja) 道路勾配推定装置及び道路勾配推定方法
KR20210038779A (ko) 차고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8193006A (ja) 車両用灯具の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灯具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