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919A - 영상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919A
KR20160080919A KR1020140192855A KR20140192855A KR20160080919A KR 20160080919 A KR20160080919 A KR 20160080919A KR 1020140192855 A KR1020140192855 A KR 1020140192855A KR 20140192855 A KR20140192855 A KR 20140192855A KR 20160080919 A KR20160080919 A KR 20160080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th
depth map
image
unit
analy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6628B1 (ko
Inventor
방성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2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6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테레오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스테레오 영상을 다운 스케일링하는 다운 스케일러부와,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영상들의 깊이를 분석하여 깊이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들의 영상 복잡도 및 깊이를 반영하여 한계 깊이지도를 생성한 후 해당 픽셀의 깊이에 따라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를 선택하는 스테레오 매칭부와, 원 해상도 상태의 입력 영상을 참조하여, 상기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르 업스케일링하는 업스케일러부와, 상기 업스케일링된 깊이 지도와 원 해상도 상태의 입력 영상에 대하여 깊이-영상 기반 랜더링을 수행하여 복수개의 다 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랜더링부와, 상기 랜더링부에서 생성된 다 시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영상 복잡도을 반영하여 한계 깊이지도를 형성함으로써, 3D 디스플레이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IMAGE PROCESS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향상된 3D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3D 영상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영상 시청 용 안경의 사용 여부에 따라 안경식 또는 무안경식 시스템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무안경식 시스템은 다시점 영상을 공간적으로 쉬프트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기술로서, 별도의 안경 장착없이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화면 겹침 현상(Crosstalk)으로 인해 입체감이 저하되어 3D 영상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는 3D 영상의 입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영상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환장치는 스테레오 영상을 다운 스케일링하는 다운 스케일러부와,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영상들의 깊이를 분석하여 깊이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들의 영상 복잡도 및 깊이를 반영하여 한계 깊이지도를 생성한 후 해당 픽셀의 깊이에 따라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를 선택하는 스테레오 매칭부와, 원 해상도 상태의 입력 영상을 참조하여, 상기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르 업스케일링하는 업 스케일러부와, 상기 업스케일링된 깊이 지도와 원 해상도 상태의 입력 영상에 대하여 깊이-영상 기반 랜더링을 수행하여 복수개의 다 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랜더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테레오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스테레오 영상을 다운 스케일링하는 다운 스케일러부와,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영상들의 깊이를 분석하여 깊이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들의 영상 복잡도 및 깊이를 반영하여 한계 깊이지도를 생성한 후 해당 픽셀의 깊이에 따라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를 선택하는 스테레오 매칭부와, 원 해상도 상태의 입력 영상을 참조하여, 상기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르 업스케일링하는 업스케일러부와, 상기 업스케일링된 깊이 지도와 원 해상도 상태의 입력 영상에 대하여 깊이-영상 기반 랜더링을 수행하여 복수개의 다 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랜더링부와, 상기 랜더링부에서 생성된 다 시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영상 복잡도을 반영하여 한계 깊이지도를 형성함으로써, 3D 디스플레이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영상 복잡도에 따른 3D 겹침 현상 허용 가능 깊이를 설정함으로써, 3D 디스플레이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테레오 매칭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복잡도를 반영하여 변환된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복잡도를 검출하기 위한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계 깊이지도의 변환된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지 실험에 따른 한계 깊이설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깊이지도로 변환된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른 최종 영상과 종래 최종 영상과의 비교하기 위한 그림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테레오 매칭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복잡도를 반영하여 변환된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복잡도를 검출하기 위한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계 깊이지도의 변환된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지 실험에 따른 한계 깊이설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깊이지도로 변환된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른 최종 영상과 종래 최종 영상과의 비교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테레오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100)와, 상기 스테레오 영상을 다운 스케일링하는 다운 스케일러부(210),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영상들의 깊이를 분석하여 깊이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들의 영상 복잡도 및 깊이를 반영하여 한계 깊이지도를 생성한 후 해당 픽셀의 깊이에 따라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를 선택하는 스테레오 매칭부(220), 원 해상도 상태의 입력 영상을 참조하여, 상기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르 업스케일링하는 업스케일러부(230), 상기 업스케일링된 깊이 지도와 원 해상도 상태의 입력 영상에 대하여 깊이-영상 기반 랜더링을 수행하여 복수개의 다 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랜더링부(240)를 포함하는 영상변환장치(200)와, 상기 영상변환장치(200)에서 생성된 다 시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00)는 스테레오 영상을 수신한다. 스테레오 영상이란 두 개 이상의 영상을 의미한다. 일 예로, 하나의 피사체를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두 개의 영상, 즉, 제1 입력 영상 및 제2 입력 영상이 스테레오 영상일 수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입력 영상을 좌안 영상(또는 좌측 영상), 제2 입력 영상을 우안 영상(또는 우측 영상)이라고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스테레오 영상은 다양한 소스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부(100)는 방송국 채널과 같은 소스로부터 스테레오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부(100)는 튜너부, 복조부, 등화부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수신부(100)는 DVD, 블루레이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각종 기록 매체를 재생할 수 있는 기록 매체 재생 유닛(미도시)으로부터 재생된 스테레오 영상을 입력받을 수도 있고, 또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스테레오 영상을 직접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신부(100)는 USB 인터페이스와 같은 각종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운 스케일러부(210)는 수신부(100)를 통해 수신된 스테레오 영상을 다운 스케일링한다. 즉, 스테레오 영상을 다시점 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연산 부담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다운 스케일러부(120)는 입력된 스테레오 영상을 다운 스케일링하여 데이터 사이즈를 줄여서, 연산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운 스케일러부(210)는 스테레오 영상에 포함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 대해서, 각각 사전에 정의된 상수(n)배 만큼 해상도를 낮추어 준다. 일 예로, 기 정의된 주기마다 픽셀을 제거하거나, 소정 크기의 픽셀 블럭에 대해서는 픽셀들의 평균값 또는 대표값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다운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운 스케일러부(210)는 저해상도의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의 우안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스테레오 매칭부(220)는 다운 스케일링된 영상들의 깊이를 분석하여 깊이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들의 영상 복잡도 및 깊이를 반영하여 한계 깊이지도를 생성한 후 해당 픽셀의 깊이에 따라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레오 매칭부(220)는 좌안 영상의 영상 복잡도를 분석하는 영상 복잡도 분석부(231)와, 상기 좌안영상과 우안영상 간의 매칭되는 포인트 간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깊이를 분석하는 깊이 분석부(233)와, 상기 깊이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깊이지도를 생성하는 깊이지도 생성부(237)와, 상기 영상 복잡도 및 깊이 분석부에 따라 한계 깊이지도를 생성하는 한계 깊이지도 생성부(235)와, 상기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를 선택하는 깊이지도 선택부(239)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복잡도 분석부(231)는 픽셀간 계조 차이 예컨대 밝기 차이를 반영하여 영상 복잡도 예컨대, 에지 빈도를 분석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복잡도 분석부(231)는 좌안 영상(L1)에 대해 영상 복잡도를 분석하여 영상(L2)을 획득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복잡도는 소벨 마스크(Sobel Mask)를 사영하여 영상 복잡도를 분석할 수 있다. 소벨 마스크를 이용한 영상 복잡도는 Gx, Gy를 계산하여 분석할 수 있다.
영상 복잡도가 증가함에 따라 3D 겹침 현상을 허용할 수 있는 적정 깊이한계 수치가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영상 복잡도 증가에 맞춰 깊이 한계 설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 인지 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 인지 실험을 통해 허용 깊이 한계(DL; Depth Limit) 함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영상 깊이 방향에 따라 특정 상수를 적용한 지수 함수를 적용할 수 있다. 영상 복잡도는 이러한 허용 깊이 한계값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도 2로 돌아가서, 깊이 분석부(233)는 피사체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의 픽셀 값을 가지는 픽셀들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높이고, 범위를 벗어난 픽셀 값을 가지는 픽셀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낮추어 준 적응적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테레오 매칭부(220)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각각에 대하여 적응적 가중치를 적용한 후에, 그 결과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깊이란, 피사체와 카메라 간의 거리, 피사체와 피사체의 영상이 맺히는 기록매체(예를 들어, 필름)간의 거리, 입체감의 정도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포인트 간의 거리 차가 크면 그만큼 더 입체감이 증대함을 알 수 있다. 깊이 지도란, 이러한 깊이의 변화 상태를 하나의 영상으로 구성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깊이 지도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서 서로 매칭되는 포인트 간의 거리의 크기에 따라 상이해지는 그레이 레벨로 표시될 수 있다. 즉, 깊이 지도 생성부는 거리 차가 큰 포인트는 밝게 표시되고, 작은 포인트는 어둡게 표시되는 깊이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 지도 생성부(237)는 깊이 분석부(233)로부터 분석된 매칭 결과에 따라 깊이 지도 영상(L3)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계 깊이지도 생성부(235)는 영상 복잡도와, 깊이지도에서의 영상 방향을 반영하여 한계 깊이지도 영상(L4)을 생성할 수 있다.
깊이지도 생성부(235)는 픽셀별로 깊이지도와 한계 깊이지도를 비교하여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픽셀에 해당하는 깊이지도 값이 한계 깊이지도 값보다 작으면 깊이지도를 선택하고, 픽셀에 해당하는 깊이지도 값이 한계 깊이지도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한계 깊이지도를 선택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계 깊이지도가 반영된 영상을 보게 되면, 종래에 비해 세세한 부분까지 입체감 표현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3D 영상의 입체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로 돌아가서, 업스케일러부(230)는 원 해상도 상태의 입력 영상(즉,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참조하여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를 업스케일링할 수 있다. 즉, 업스케일러부(140)는 입력 영상의 밝기 정보 또는 컬러 값들의 구조를 고려하여, 저해상도 상태의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의 각 포인트에 대하여 상이한 가중치를 적용하면서, 업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업스케일러부(230)는 원 해상도 상태의 입력 영상을 블럭으로 구분한 후, 블럭 내의 픽셀 값들을 비교하여 유사성을 검토할 수 있다. 검토 결과에 따라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 윈도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후에, 생성된 가중치 윈도우를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에 적용하여 업스케일링을 하게 되면,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 내에서 주요 부분들에 대해서는 높은 가중치로 업스케일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원 해상도의 입력 영상을 고려하여 적응적인 업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랜더링부(240)는 업스케일링된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와 원 해상도 상태의 입력 영상에 대하여 깊이-영상 기반 랜더링을 수행하여, 복수 개의 다 시점 영상을 생성한다. 이 경우, 랜더링부(240)는 하나의 시점에서 바라본 영상을 생성한 후, 그 영상과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를 이용하여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영상을 추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즉, 랜더링부(240)는 하나의 영상이 생성되면, 그 생성된 영상을 기준 영상으로 두고 초점 거리, 피사체의 깊이 등을 이용하여, 시점 변화 시에 기록 매체(즉, 필름) 상에서의 이동 거리를 추정한다. 랜더링부(240)는 추정된 이동 거리 및 방향에 따라, 기준 영상의 각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새로운 영상을 생성한다. 생성된 영상은 기준 영상과는 소정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피사체를 바라본 영상이 될 수 있다. 랜더링부(240)는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다시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영상변환장치(200)에서 생성된 다 시점 영상을 출력하여, 3D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300)는 다시점 영상을 공간적으로 구분하여 출력하여 안경을 쓰지 않고서도 피사체와의 거리감을 느끼어, 3D 영상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300)는 패러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기술 또는 렌티큘러(Lenticular)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300)는 다시점 영상을 시간적으로 교번하여 출력하여 입체감을 느끼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실시예는 영상 복잡도을 반영하여 한계 깊이지도를 형성함으로써, 3D 디스플레이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영상 복잡도에 따른 3D 겹침 현상 허용 가능 깊이를 설정함으로써, 3D 디스플레이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는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수신부 200: 영상변환장치
210: 다운 스케일러부 220: 스테레오 매칭부
230: 업스케일러부 240: 래더링부
300: 디스플레이부

Claims (7)

  1. 스테레오 영상을 다운 스케일링하는 다운 스케일러부;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영상들의 깊이를 분석하여 깊이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들의 영상 복잡도 및 깊이를 반영하여 한계 깊이지도를 생성한 후 해당 픽셀의 깊이에 따라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를 선택하는 스테레오 매칭부;
    원 해상도 상태의 입력 영상을 참조하여, 상기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를 업스케일링하는 업 스케일러부; 및
    상기 업스케일링된 깊이 지도와 원 해상도 상태의 입력 영상에 대하여 깊이-영상 기반 랜더링을 수행하여 복수개의 다 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랜더링부;를 포함하는 영상변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매칭부는 좌안 영상의 영상 복잡도를 분석하는 영상 복잡도 분석부;
    상기 좌안영상과 우안영상 간의 매칭되는 포인트 간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깊이를 분석하는 깊이 분석부;
    상기 깊이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깊이지도를 생성하는 깊이지도 생성부;
    상기 영상 복잡도 및 깊이 분석부에 따라 한계 깊이지도를 생성하는 한계 깊이지도 생성부; 및
    상기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를 선택하는 깊이지도 선택부;를 포함하는 영상변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지도 선택부는 해당 픽셀에 해당하는 깊이지도 값이 한계 깊이지도 값보다 작으면 깊이지도를 선택하고, 해당 픽셀에 해당하는 깊이지도 값이 한계 깊이지도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한계 깊이지도를 선택하는 영상변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복잡도는 픽셀의 밝기 차이를 반영하여 분석하는 영상변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의 밝기 차이는 소벨 마스크를 이용하여 영상의 복잡도를 분석하는 영상변환장치.
  6. 스테레오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스테레오 영상을 다운 스케일링하는 다운 스케일러부;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영상들의 깊이를 분석하여 깊이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들의 영상 복잡도 및 깊이를 반영하여 한계 깊이지도를 생성한 후 해당 픽셀의 깊이에 따라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를 선택하는 스테레오 매칭부;
    원 해상도 상태의 입력 영상을 참조하여, 상기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를 업스케일링하는 업 스케일러부;
    상기 업스케일링된 깊이 지도와 원 해상도 상태의 입력 영상에 대하여 깊이-영상 기반 랜더링을 수행하여 복수개의 다 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랜더링부; 및
    상기 랜더링부에서 생성된 다 시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매칭부는 좌안 영상의 영상 복잡도를 분석하는 영상 복잡도 분석부;
    상기 좌안영상과 우안영상 간의 매칭되는 포인트 간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깊이를 분석하는 깊이 분석부;
    상기 깊이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깊이지도를 생성하는 깊이지도 생성부;
    상기 영상 복잡도 및 깊이 분석부에 따라 한계 깊이지도를 생성하는 한계 깊이지도 생성부; 및
    상기 깊이지도 또는 한계 깊이지도를 선택하는 깊이지도 선택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92855A 2014-12-30 2014-12-30 영상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76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855A KR102276628B1 (ko) 2014-12-30 2014-12-30 영상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855A KR102276628B1 (ko) 2014-12-30 2014-12-30 영상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919A true KR20160080919A (ko) 2016-07-08
KR102276628B1 KR102276628B1 (ko) 2021-07-12

Family

ID=56503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855A KR102276628B1 (ko) 2014-12-30 2014-12-30 영상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6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8794A (ja) * 2007-07-06 2009-02-19 Panasonic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集積回路
KR20120110801A (ko) * 2011-03-30 2012-10-10 주식회사 사이버메드 스테레오 엔도스코프를 이용한 가상 엔도스코프와의 정합 속도 향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8794A (ja) * 2007-07-06 2009-02-19 Panasonic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集積回路
KR20120110801A (ko) * 2011-03-30 2012-10-10 주식회사 사이버메드 스테레오 엔도스코프를 이용한 가상 엔도스코프와의 정합 속도 향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628B1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7752B2 (ja) 映像変換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とその方法
US9525858B2 (en) Depth or disparity map upscaling
JP6027034B2 (ja) 立体映像エラー改善方法及び装置
US8694922B2 (en) Method for displaying a setting menu and corresponding device
JP609486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集積回路
KR101690297B1 (ko) 영상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20140098100A1 (en) Multiview synthesis and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WO2014083949A1 (ja) 立体画像処理装置、立体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527646A5 (ko)
JP2013005259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406524B2 (en) Apparatus, method, and medium of generating visual attention map
KR101674568B1 (ko) 영상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TW201445977A (zh) 影像處理方法及影像處理系統
KR20140043264A (ko) 다시점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908877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12874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US2012017084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20008855A1 (en) Stereoscopic image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JP6025740B2 (ja) エネルギー値を用いたイメージ処理装置およびそのイメージ処理方法、並びにディスプレイ方法
US201300504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according to disparity information
Ramachandran et al. Multiview synthesis from stereo views
KR20160080919A (ko) 영상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13066A (ko) 차폐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1402927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tereoscopic image by adjusting depth value
KR20120079794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