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901A -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Imag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901A
KR20160080901A KR1020140192676A KR20140192676A KR20160080901A KR 20160080901 A KR20160080901 A KR 20160080901A KR 1020140192676 A KR1020140192676 A KR 1020140192676A KR 20140192676 A KR20140192676 A KR 20140192676A KR 20160080901 A KR20160080901 A KR 20160080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se
reflection surface
portable terminal
hol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6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준한
최종민
Original Assignee
(주)디스트릭트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스트릭트홀딩스 filed Critical (주)디스트릭트홀딩스
Priority to KR1020140192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0901A/en
Publication of KR20160080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9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8Synthesising holograms, i.e. holograms synthesized from objects or objects from hologra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is provided.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comprises: a case; an insertion hole arranged in one side of the case, and inserting a mobile terminal; a display screen arranged in the other side of the case, and providing a holographic image; and a holographic imag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image by overlapping first and second images of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ferring the first and second images to the display screen.

Description

영상 제공 장치 및 시스템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Image}[0001]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Image [

아래의 실시예들은 영상 제공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a system.

홀로그래피(holography) 방식은 일반적으로 빛의 간섭성을 이용하여 대상을 입체적으로 기록(촬영)하고 입체적인 홀로그램 영상으로 재생한다. 그리고, 재생된 홀로그램 영상이 빛의 간섭성에 의해 거리와 깊이가 구분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영상을 기존의 영상보다 더욱 실감나게 감상할 수 있다.The holography method generally records the object three-dimensionally using light coherence and reproduces it as a three-dimensional hologram image. Also, since the reproduced hologram image is divided into distance and depth by the coherence of light, users can appreciate the image more realistically than existing images.

최근 들어서, 많은 디스플레이 방식들이 기술적으로 발전할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홀로그래피 방식은 사용자들이 영상을 입체감 있게 감상할 수 있음에 따라, 콘서트, 프레젠테이션, 제품 런칭쇼, 놀이동산 등의 많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Recently, many display methods have been developed not only technically but also in various fields. Particularly, the holographic method is used in many fields such as concert, presentation, product launching show, playground, and the like because users can appreciate images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예를 들어, 한국특허출원 제2009-0102357호는 홀로그램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의 홀로그램 모듈을 통해 공간에 출력하는 단계와, 출력된 홀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화면이 터치되면 센싱부가 홀로그램 화면 중 터치된 위치를 감지하여 터치-위치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터치-위치 감지 신호에 따라 홀로그램 화면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홀로그램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개시한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9-0102357 discloses a method for outputting hologram data to a space through a hologram module of a mobile terminal. The hologram screen includes a hologram screen, Generating a touch-position sensing signal, and outputting a hologram screen in response to the touch-position sensing signal, and displaying the hologram data in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ethod.

영상 제공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a system.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배치되어 휴대용 단말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 상기 케이스의 다른 측에 배치되어 홀로그램 영상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창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중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창으로 전달함으로써 입체적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하는 홀로그램 영상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may include a case, an insertion por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ase and in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inserted, a display window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case and provided with a hologram image, And a hologram imag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stereoscopic hologram image by superimpos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on the display window.

상기 홀로그램 영상 제공부는, 상기 제1 영상의 전달 경로를 변경하는 제1 반사면 및 상기 제1 영상의 변경된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반사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영상의 전달 경로를 변경하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면에는 홀로그램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The hologram image providing unit may include a first reflection surface changing a transmission path of the first image and a second reflection surface changing a transmission path of the second image in parallel with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on a changed path of the first image, 2 reflective surfaces. A hologram film may be attached to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또한, 상기 홀로그램 영상 제공부는, 상기 제1 반사면 및 제2 반사면으로부터의 중첩된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창으로 전달하는 제3 반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logram image provid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reflecting surface for transmitting the first and second overlapped images from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ng surfaces to a display window.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의 경로가 수직하게 변경되도록, 상기 제1 반사면 및 제2 반사면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린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reflection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may be dispos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paths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vertically changed.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반사면, 제2 반사면 및 제3 반사면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린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반사면 및 제2 반사면에 의해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의 경로가 수직하게 변경되고, 상기 제3 반사면에 의해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의 경로들이 디스플레이창으로 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and the third reflection surface are arrang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are inclined by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The paths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can be directed to the display window by the third reflection surface.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린은 제1 영상, 제2 영상 및 제어 영상이 표시되도록 분할될 수 있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삽입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케이스로 삽입될 때, 상기 제어 영역이 표시되는 스크린 영역은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 영역의 상부에 홀로그램 영상 제공부의 제1 반사면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 영역의 상부에 홀로그램 영상 제공부의 제2 반사면이 배치되며, 상기 제2 반사면에는 홀로그램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divided to display a first image, a second image, and a control image, and the inner space of the case in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inserted may receive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case, a screen area in which the control area is displayed may protrude out of the case. At this time,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of the hologram image providing unit is disposed above the screen area where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and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of the hologram image providing unit is disposed above the screen area where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 And a hologram film may be attached to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린은 제1 영상, 제2 영상이 표시되도록 분할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삽입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상기 케이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ivided to display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and an inner space of the case in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inserted is formed to have a size such that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can be accommodated ,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ase.

또한, 상기 제1 영상은 배경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영상은 오브젝트를 나타낼 수 있다.Also, the first image may represent a background, and the second image may represent an object.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절곡 부분들이 접히도록, 상기 절곡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거나 힌지가 구비될 수 있다.And, the bent portions may have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other portions or be provided with a hinge so that the folded portions of the case are folded.

또한, 상기 홀로그램 영상 제공부는 광 확산 방지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 확산 방지 필름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린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스크린의 영상이 사용자에게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hologram image provid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light diffusion preventing film, and the light diffusion preventing film is disposed in an upper region of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image of the screen can be transmitted only to the user.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은,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분할되도록 표시되는 스크린, 상기 제1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는 제1 반사면, 상기 제1 영상의 변경된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는 제2 반사면 및 상기 제2 반사면에 부착된 홀로그램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screen that displays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to be divided; a first reflection surface that changes a path of the first image; A second reflection surface changing the path of the second image, and a holographic film attached to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음.
Are included herei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에 삽입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의 디스플레이창에 제공된 영상을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side of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llustrates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inserted into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shows an image provided in a display window of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일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100) 및 이에 삽입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200)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100)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200)가 삽입되는 방향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휴대용 단말기(200)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100)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100)에 삽입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스크린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20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창(130)에 표시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나타내며, 휴대용 단말기(200)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100)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FIG. 1 shows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portable terminal 20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apparatus. 2 schematically shows the inside of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inserted.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inserted into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lan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which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as a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llustrates a hologram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window 130 of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inserted into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100)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00)의 일 측에 배치되어 휴대용 단말기(2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120), 상기 케이스(110)의 다른 측에 배치되어 홀로그램 영상이 제공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창(130)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제1 영상(210) 및 제2 영상(220)을 중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창(130)으로 전달함으로써 입체적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홀로그램 영상 제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1,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10, an insertion port 120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ase 100 and in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200 can be inserted, A display window 130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110 and capable of providing a hologram image and a display window 130 in which the first image 210 and the second image 220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re superimposed, And a hologram image providing unit 140 for providing a stereoscopic hologram image by transmitting the hologram image to the hologram image forming unit 130.

상기 케이스(11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옆면이 평행사변형 형상을 가지는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케이스(110)의 외측 형상이 육면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홀로그램 영상 제공부(140)를 위한 공간을 구비하고 삽입구(120)와 디스플레이창(130)이 외측에 형성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예를 들어, 케이스(110)는 구형 부분, 계단 형상 부분, 파형 부분 등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 11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and specifically, a side surface may be formed in a hexahedron having a parallelogram shape. Of course, the outer shape of the case 110 is not limited to a hexahedron shape, and the space for the hologram image providing unit 140 may be provided therein, and the insertion opening 120 and the display window 13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Any shape is possible. For example, the case 110 may be formed to include a spherical portion, a stepped portion, a corrugated portion, and the like.

케이스(110)는 종이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가 종이 재질로 형성될 경우, 내부에 홀로그램 영상 제공부(140)를 지지할 수 있는 일정한 강도를 유지해야 하므로 케이스(11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The case 110 may be formed of a paper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When the case 110 is formed of a paper material, the case 110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because the inner case need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strength to support the hologram image providing unit 140 therein.

케이스(110)는 접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110)의 절곡 부분들의 이웃하는 면들은 서로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어서, 영상 제공 장치(100)를 사용할 때에는 케이스(110)가 펴지고, 미사용시에는 케이스(110)가 접힘으로써 휴대와 보관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The case 110 may be formed in a folded structure. That is, the neighboring surfaces of the bent portions of the case 110 can rotate with respect to each other, so that the case 110 is stretched when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100 is used, and when the case 110 is folded, Storage can be simplified.

구체적으로, 케이스(110)가 휴대용 단말기(200)와 결합될 때, 홀로그램 영상 제공부(140)가 휴대용 단말기(200)의 스크린으로부터의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여 중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 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는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Specifically, when the case 110 is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the hologram image providing unit 140 must have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changing and superimposing the path of the image from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do.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ase 110 should be kept in an unfolded state.

케이스(110)가 휴대용 단말기(200)와 결합되지 않을 때,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휴대와 보관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케이스(110)는 접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When the case 110 is not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that is, when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not used, in order to facilitate carrying and storing, the case 110 is folded Can be maintained.

케이스(110)가 종이 재질로 형성될 경우, 케이스(110)의 절곡 부분들은 다른 면들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 부분들의 얇은 두께로 인해서 케이스(110)는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When the case 110 is formed of a paper material, the bent portions of the case 110 may be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ther surfaces. Due to the thin thickness of these bent portions, the case 110 can be easily folded.

또는, 케이스(110)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경우, 케이스(110)의 절곡 부분들에는 힌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에 의해서 케이스(110)는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case 110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the bent portions of the case 110 may be provided with a hinge. The case 110 can be easily folded by such a hinge.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100)의 삽입구(120)는 케이스(1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구(12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20)가 케이스(1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 120 of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provided in front of the case 110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120 can be inserted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insertion port 12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120)는 케이스(110)의 전방 하단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삽입구(12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삽입구(120)는 휴대용 단말기(200)가 케이스(110)에 억지끼워맞춤으로 탈부착될 수 있는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insertion port 120 may be provided at a lower front end side of the case 110. The insertion port 120 may have a shape and a siz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For example, the insertion port 120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that the portable terminal 20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ase 110 And may have a shape and size to provide a clamping force.

또한, 삽입구(120)의 반대측에 위치한 케이스(110)의 후면은 삽입된 휴대용 단말기(20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폐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110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sertion port 120 may be close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inserted portable terminal 200.

또는, 도 1에서는 삽입구(120)가 케이스(110)의 전방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삽입구(120)는 케이스(11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케이스(110)의 전방은 폐쇄될 수 있다. 또는 케이스(110)의 전면과 후면 모두에 삽입구(120)가 형성될 수도 있다. 1, the insertion port 12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case 1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insertion port 120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110, wherein the front of the case 110 may be closed. Alternatively, the insertion port 120 may be formed on both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110.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창(130)은 케이스(110)의 상면 후측에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디스플레이창(130)을 통해 제1 영상(210)과 제2 영상(220)이 중첩된 홀로그램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창(130)은 케이스(110)의 후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이 때 후술되는 제3 반사면(146)은 생략될 수 있다.1 and 2, the display window 13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10, and the first image 210 and the second image 220 may overlap each other through the display window 130. [ The hologram image can be displayed. Alternatively, the display window 130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110, and the third reflecting surface 14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omitted.

또한, 디스플레이창(130)은 휴대용 단말기(200)의 스크린의 제1 영상(210) 영역 및 제2 영상(220)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창(130)은 케이스(110)의 상면의 대략 절반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사각 형상의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window 130 may have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210 area and the second image area 220 of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display window 130 may be formed as a rectangular opening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half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10.

디스플레이창(130)에는 볼록렌즈가 구비되어, 입체적인 홀로그램 영상이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창(130)은 광 확산 방지 필름(132)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광 확산 방지 필름(132)은 출력되는 입체적 홀로그램 영상 외에 케이스(110) 내부의 불필요한 구조들이 케이스(110)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isplay window 130 is provided with a convex lens, so that a stereoscopic hologram image can be enlarged. 2, the display window 130 may include a light diffusion preventing film 132. In addition to the stereoscopic hologram image to be output, the light diffusion preventing film 132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ase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structures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도 2를 참조하여, 홀로그램 영상 제공부(140)는 제1 영상(210)의 전달 경로를 변경하는 제1 반사면(142) 및 제1 영상(210)의 변경된 경로 상에서 제1 반사면(142)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2 영상(220)의 전달 경로를 변경하는 제2 반사면(144)을 포함할 수 있다.2, the hologram image providing unit 140 includes a first reflecting surface 142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first image 210 and a second reflecting surface 142 for changing the path of the first image 210, And a second reflecting surface 144 disposed parallel to the second image 220 and changing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second image 220.

또한, 홀로그램 영상 제공부(140)는 제1 반사면(142) 및 제2 반사면(144)의 중첩된 제1 영상(210) 및 제2 영상(220)을 디스플레이창(130)으로 전달하는 제3 반사면(1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logram image providing unit 140 transmits the first and second images 210 and 220 of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142 and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144 to the display window 130 An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reflecting surface 146.

제1 반사면(142)은 휴대용 단말기(200) 스크린의 제1 영상(210) 영역의 상부에 위치하고 휴대용 단말기(200)의 스크린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스크린으로부터의 제1 영상(210)의 경로를 수직하게 변경하여 제3 반사면(146)으로 보낼 수 있다.The first reflection surface 142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image 210 area of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is arrang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The path can be vertically changed and sent to the third reflecting surface 146.

예를 들어, 제1 반사면(142)은 케이스(110)의 전면 내측에 부착된 거울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142 may be composed of a mirror film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10. [

또한, 제2 반사면(144)은 휴대용 단말기(200) 스크린의 제2 영상(220) 영역의 상부에 위치하고 휴대용 단말기(200)의 스크린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스크린으로부터의 제2 영상(220)의 경로를 수직하게 변경하여 제3 반사면(146)으로 보낼 수 있다. 즉, 제1 반사면(142)과 제2 반사면(144)은 케이스(110) 내에서 서로 동일한 수평 선상에 위치하고 서로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144 is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image 220 area of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is dispos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To the third reflecting surface 146. In this case, That is,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142 and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144 may be dispos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in the case 110 and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나아가, 제2 반사면(144)은 투명 아크릴(1441) 및 홀로그램 필름(1442)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아크릴(1441)의 양 측면은 케이스(110)의 측면 내측에 고정될 수 있고, 제1 반사면(142)으로부터의 제1 영상(210)을 제3 반사면(146)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홀로그램 필름(1442)은 투명 아크릴(1441)에 부착되고 휴대용 단말기(200) 스크린으로부터의 제2 영상(220)의 경로를 제3 반사면(146)으로 보낼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44 may include a transparent acrylic 1441 and a hologram film 1442. Both sides of the transparent acrylic 1441 may be fixed inside the side of the case 110 and may pass the first image 210 from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2 to the third reflective surface 146 . The hologram film 1442 may attach to the transparent acrylic 1441 and may direct the path of the second image 220 from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to the third reflective surface 146.

또한, 제3 반사면(146)은 케이스(110)의 후면 내측에 부착된 거울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거울필름의 앞에는 투명 아크릴이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third reflecting surface 146 may be formed of a mirror film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110. The mirror film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transparent acrylic.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의 스크린은 제1 영상(210), 제2 영상(220) 및 제어 영상(230)이 표시되도록 분할될 수 있다. 이 때, 휴대용 단말기(200)가 삽입되는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은 제1 영상(210) 영역 및 제2 영상(220) 영역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200)가 케이스(110)로 삽입되면, 제어 영상(230)이 표시되는 스크린 영역은 케이스(110) 밖으로 돌출된다. 케이스(110) 외부에 노출된 제어 영상(230)이 표시되는 스크린 영역을 통해 각종 제어 신호들이 휴대용 단말기(200)로 입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image 210, a second image 220, and a control image 230. In this case,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10 in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inserted may have a size such that the first image 210 area and the second image 220 area can be accommodated. That is, when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inserted into the case 110, the screen area where the control image 230 is displayed protrudes out of the case 110. Various control signals may be input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through a screen area where the control image 230 exposed outside the case 110 is displayed.

또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스크린은 제1 영상(210) 및 제2 영상(220)만 표시되도록 분할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200)가 삽입되는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은 제1 영상(210) 영역 및 제2 영상(220) 영역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휴대용 단말기(200)를 제어하는 제어부는 케이스(110)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블루투스 컨트롤러 또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컨트롤러일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may be divided so that only the first image 210 and the second image 220 are displayed, and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10 in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inserted is divided into a first image 210, The first image 210 area and the second image 220 area can be accommodated.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20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ase 110.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be a Bluetooth controller or a controller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

도 4를 참조하여, 제1 영상(210)은 배경이고, 제2 영상(220)은 오브젝트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영상(220)인 오브젝트와 제1 영상(210)인 배경은 빛의 간섭성에 의해 거리와 깊이가 구분됨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100)에 의해 오브젝트가 배경에 비해서 더욱 선명하게 돌출된 입체감이 느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image 210 may be a background, and the second image 220 may represent an object.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which is the second image 220, and the background, which is the first image 210, is divided by the coherence of light, so that the object is displayed by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sharp protruding three-dimensional effect can be felt.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여 게임 또는 각종 동영상을 감상할 때, 더욱 입체감이 있는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사용자는 영상을 기존 영상보다 더욱 실감나게 감상할 수 있다.When viewing a game or various moving images using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more stereoscopic image is provided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appreciate the image more realistically than the existing imag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은,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분할되도록 표시되는 스크린, 상기 제1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는 제1 반사면, 상기 제1 영상의 변경된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는 제2 반사면 및 상기 제2 반사면에 부착된 홀로그램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screen in which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are displayed to be divided; a first reflection surface changing a path of the first image; A second reflection surface changing the path of the second image, and a holographic film attached to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200)의 스크린, 영상 제공 장치(100)의 제1 반사면(142) 및 제2 반사면(144), 및 상기 제2 반사면(144)에 부착된 홀로그램 필름(14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mag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 first reflecting surface 142 and a second reflecting surface 144 of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100, And a holographic film 1442 attached to the holographic film 144.

상술한 영상 제공 장치(100) 및 영상 제공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200)를 통해 제공되는 게임에 이용될 수 있거나, 영화와 같은 각종 동영상의 감상에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장소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으면서 간단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입체감이 있는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100 and the image providing system described above can be used for a game provid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200 or can be used for viewing various moving pictures such as a movie. At this time, the user can receive a stereoscopic hologram image in a simple and convenient manner, regardless of the place and time.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기술적 원리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fully described by way of example on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영상 제공 장치
110: 케이스
120: 삽입구
130: 디스플레이창
132: 고아 확산 방지 필름
140: 홀로그램 영상 제공부
142: 제1 반사면
144: 제2 반사면
146: 제3 반사면
200: 휴대용 단말기
210: 제1 영상
220: 제2 영상
230: 제어 영상
100:
110: Case
120:
130: Display window
132: Orphan anti-diffusion film
140: Hologram image providing
142: First reflection surface
144: second reflection surface
146: Third reflection plane
200: portable terminal
210: First image
220: Second video
230: control video

Claims (12)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배치되어, 휴대용 단말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
상기 케이스의 다른 측에 배치되어, 홀로그램 영상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창;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중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창으로 전달함으로써 입체적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하는 홀로그램 영상 제공부;
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장치.
case;
An insertion port which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in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inserted;
A display window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and provided with a hologram image; And
A hologram imag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stereoscopic hologram image by superimposing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display window;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영상 제공부는,
상기 제1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는 제1 반사면; 및
상기 제1 영상의 변경된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반사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는 제2 반사면;
을 포함하는, 영상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ogram image providing unit comprises:
A first reflection surface changing a path of the first image; And
A second reflecting surfac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on a modified path of the first image to change a path of the second image;
An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면에는 홀로그램 필름이 부착된, 영상 제공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hologram film is attached to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영상 제공부는,
상기 제1 반사면 및 제2 반사면으로부터의 중첩된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창으로 전달하는 제3 반사면을 더 포함하는, 영상 제공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ologram image providing unit comprises:
And a third reflective surface for transmitting the first and second superimposed images from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ve surfaces to a display window.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의 경로가 수직하게 변경되도록, 상기 제1 반사면 및 제2 반사면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린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영상 제공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are dispos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paths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vertically chang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면, 제2 반사면 및 제3 반사면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린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반사면 및 제2 반사면에 의해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의 경로가 수직하게 변경되고, 상기 제3 반사면에 의해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의 경로들이 디스플레이창으로 향하는, 영상 제공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and the third reflection surface are oblique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And the paths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directed to the display window by the third reflecting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린은 제1 영상, 제2 영상 및 제어 영상이 표시되도록 분할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삽입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케이스로 삽입될 때, 상기 제어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 영역은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될 수 있는, 영상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ivided to display a first image, a second image, and a control image, and the inner space of the case in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inserted is formed into a size such that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can be accommodated Wherei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case, a screen area in which the control image is displayed can protrude out of the cas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 영역의 상부에 홀로그램 영상 제공부의 제1 반사면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 영역의 상부에 홀로그램 영상 제공부의 제2 반사면이 배치되며, 상기 제2 반사면에는 홀로그램 필름이 부착될 수 있는, 영상 제공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first reflection surface of a hologram image providing unit is disposed above a screen area on which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and a second reflection surface of a hologram image providing unit is disposed on a screen area on which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2 A hologram film can be attached to the reflection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린은 제1 영상, 제2 영상이 표시되도록 분할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삽입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는, 영상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ivided so that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are displayed, an inner space of the case in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inserted is formed to b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disposed outside the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은 배경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영상은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영상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image represents a background and the second image represents an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절곡 부분들이 접히도록, 상기 절곡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거나 힌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홀로그램 영상 제공부 또는 디스플레이창은 광 확산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영상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nt portions may be thinner than other portions or may be provided with a hinge so that the bent portions of the case are folded,
Wherein the hologram image providing or display window includes a light diffusion preventing film.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분할되도록 표시되는 스크린;
상기 제1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는 제1 반사면;
상기 제1 영상의 변경된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는 제2 반사면; 및
상기 제2 반사면에 부착된 홀로그램 필름;
을 포함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A screen in which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displayed to be divided;
A first reflection surface changing a path of the first image;
A second reflecting surface disposed on a changed path of the first image to change a path of the second image; And
A holographic film attached to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The system comprising:
KR1020140192676A 2014-12-29 2014-12-29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Image KR201600809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676A KR20160080901A (en) 2014-12-29 2014-12-29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676A KR20160080901A (en) 2014-12-29 2014-12-29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I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901A true KR20160080901A (en) 2016-07-08

Family

ID=56503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676A KR20160080901A (en) 2014-12-29 2014-12-29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090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8411A1 (en) * 2017-07-01 2019-01-10 Hon Ngai Lung Greeting card that displays a holographic image and system thereof
CN110737091A (en) * 2018-07-18 2020-01-31 三星显示有限公司 Optical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8411A1 (en) * 2017-07-01 2019-01-10 Hon Ngai Lung Greeting card that displays a holographic image and system thereof
CN110737091A (en) * 2018-07-18 2020-01-31 三星显示有限公司 Optica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1329U (en) Multipurpose mobile device case / cover integrated with camera system for 3D and / or 2D high quality video recording, photography, selfie recording and non-electric 3D / multi-video and static frame viewers
CA2870743C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system
US201403621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images for stereoscopic viewing
US20080266523A1 (en) Display apparatus
KR101728845B1 (en) Display device, packaging box, and packaging device
US9753293B2 (en) Three-dimensional (3D)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comprising a two-dimensional (2D) display terminal, light-splitting device, and transflective device
CN104797972A (en) Presentation device
KR101538660B1 (en) Stereoscopic device
KR20150027651A (en) Head mounted device for installing smartphone
JP6173272B2 (en) Augmented reality display device and augmented reality display device
KR102214068B1 (en) Floating Hologram display device
KR101983450B1 (en) Floating hologram display device and speaker comprising the same
KR20160080901A (en)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Image
KR101239878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for portable
JP5817407B2 (en) Display device
JP2011039470A (en) Stereoscopic image viewing device
KR20110098099A (en) Underwater type projector
KR20150008727A (en) Two-way Pseudo-hologram device
KR102156877B1 (en) Display device implementing hologram
KR102439092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JP7192179B2 (en) Mobile device case
KR101884197B1 (en) Blended displaying apparatus
KR1016497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isplay device using packing box
KR1015732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interaction between packing box and electronic display device
KR20120026193A (en) Mobile device for driving hologram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