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789A - Polymer film - Google Patents

Polymer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789A
KR20160080789A KR1020140193996A KR20140193996A KR20160080789A KR 20160080789 A KR20160080789 A KR 20160080789A KR 1020140193996 A KR1020140193996 A KR 1020140193996A KR 20140193996 A KR20140193996 A KR 20140193996A KR 20160080789 A KR20160080789 A KR 20160080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film
acyl
repeating unit
carbon atoms
ar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9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유현
박지용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3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0789A/en
Publication of KR2016008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789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G65/4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4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mer film comprising a copolymer. The copolymer includes: a polyamide-based repeating unit; a polyether-based repeating unit; an arylene acyl repeating unit having an arylene group with carbon number of 6 to 20 and at least two acyl functional groups; and an alkylene acyl repeating unit having an alkylene group with carbon number of 1 to 10 and at least two acyl functional group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olymer film, which has excellent moldability and material properties such as high durability, heat resistance, and the like.

Description

고분자 필름{POLYMER FILM}POLYMER FILM

본 발명은 고분자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얇은 두께로도 우수한 기밀성을 구현하여 이너라이너 필름으로 사용시 타이어를 경량화하고 자동차 연비의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성형성과 함께 높은 내구성, 내열성과 낮은 가스 투과도 등의 물성을 갖는 고분자 필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mer fil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mer film having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high durability, heat resistance and low gas permeability, which can realize excellent airtightness even with a thin thickness, .

타이어는 자동차의 하중을 지탱하고,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하며, 자동차의 구동력 또는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섬유/강철/고무의 복합체로서, 도 1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tire supports the load of the vehicle, mitigates the impact from the road surface, and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r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to the ground. Generally, a tire is a composite of a fiber / steel / rubber and has a structure as shown in Fig.

트레드 (Tread) (1): 노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제동, 구동에 필요한 마찰력을 주고 내마모성이 양호 하여야 하며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어야 하고 발열이 적어야 한다. Tread (1): It is a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it should provide friction force necessary for braking and driving, good abrasion resistance, able to withstand external impact, and low heat generation.

보디 플라이(Body Ply) (또는 카커스(Carcass)) (6): 타이어 내부의 코오드 층으로, 하중을 지지하고 충격에 견디며 주행 중 굴신 운동에 대한 내피로성이 강해야 한다. Body Ply (or Carcass) (6): It is a coil layer inside the tire. It should support the load and resist the impact.

벨트 (Belt) (5): 보디플라이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에 철사(Steel Wire)로 구성되며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은 물론 트레드의 접지면을 넓게 유지하여 주행안정성을 우수하게 한다. Belt (5): It is located between the body fly, and it is made of steel wire in most cases, it alleviates the external impact and keeps the ground surface of the tread wide to improve the running stability.

사이드 월(Side Wall) (3): 숄더(2) 아래 부분부터 비드(9) 사이의 고무층을 말하며 내부의 보디 플라이(6)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Side Wall (3): A rubber layer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2) and the bead (9), and protects the inner body ply (6).

인너라이너(Inner Liner) (7): 튜브 대신 타이어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공기누출 방지하여 공기입 타이어를 가능케 한다. Inner Liner (7): Located inside the tire instead of the tube, it prevents leakage of air to enable pneumatic tires.

비드(BEAD) (9): 철사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형태의 Wire Bundle로 타이어를 Rim에 안착하고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BEAD (9): A square or hexagonal wire bundle with rubber coated wire to seat and fix the tire on the rim.

캡 플라이(CAP PLY) (4): 일부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벨트 위에 위치한 특수 코오드지로서, 주행 시 벨트의 움직임을 최소화 한다. CAP PLY (4): It is a special cloth paper placed on the belt of the radial tires for some passenger cars, minimizing the movement of the belt when driving.

에이펙스(APEX) (8): 비드의 분산을 최소화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여 비드를 보호하며 성형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삼각형태의 고무 충진재이다. APEX (8): It is a triangular rubber filling material used to minimize the dispersion of beads, protect the beads by mitigating external impact, and prevent the inflow of air during molding.

최근에는 튜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내부에는 30 내지 40 psi 정도의 고압 공기가 주입된 튜브리스(tube-less) 타이어[또는 공기입 타이어]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데, 차량 운행 과정에서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커스 내층에 기밀성이 높은 이너라이너가 배치된다. In recent years, tube-less tires (or pneumatic tires), which are filled with high-pressure air of about 30 to 40 psi, are usually used without using a tube. In the course of vehicle operation, The inner liner having high airtightness is disposed in the inner layer of the carcass.

이전에는 비교적 공기 투과성이 낮은 부틸 고무 또는 할로 부틸 고무 등의 고무 성분들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타이어 이너라이너가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이너라이너에서는 충분한 기밀성을 얻기 위해서 고무의 함량 또는 이너라이너의 두께를 증가시켜야 했다. 그러나, 상기 고무 성분의 함량 및 타이어 두께가 증가하면, 타이어 총중량이 늘어나고 자동차의 연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Previously, a tire inner liner having rubber components such as butyl rubber or halobutyl rubber, which is relatively low in air permeability, was used. In this inner liner, the rubber content or the thickness of the inner liner had to be increased in order to obtain sufficient airtightness . However, when the content of the rubber component and the tire thickness are increased, the total weight of the tire is increased and the fuel economy of the automobile is lowered.

또한, 상기 고무 성분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내열성을 가져서, 고온 조건에 반복적인 변형이 일어나는 타이어의 가황 과정 또는 자동차의 운행과정에서 카커스 층의 내면 고무와 이너라이너 사이에 공기 포켓이 생기거나 이너라이너의 형태나 물성이 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고무 성분들을 타이어의 커커스층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가황제를 사용하거나 가황 공정을 적용하여야 했으며, 이에 의하여도 충분한 접착력이 확보되기는 어려웠다.In addition, the rubber components have relatively low heat resistance, and air pockets are formed between the inner rubber of the carcass layer and the inner liner during the vulcanization process of the tire or the running of the vehicle in which repeated deformation occurs at high tempera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hape and physical properties are changed. In order to bond the rubber components to the curl layer of the tire, a vulcanizing agent or a vulcanization process has to be applied.

그러나, 이전에 알려진 어떠한 방법도 이너라이너의 두께 및 무게를 충분히 감소시키면서 우수한 공기 투과성 및 타이어의 성형성을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전에 알려진 방법으로 얻어진 이너라이너는 고온의 반복적 성형이 이루어지는 타이어의 제조 과정 또는 반복적 변형이 일어나며 높은 열이 발생하는 자동차의 운행 과정 등에서 그 자체의 물성이 저하되거나 필름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나타났다.However, any previously known method has had a limitation in maintaining excellent air permeability and moldability of the tire while sufficiently reducing the thickness and weight of the inner liner. In addition, the inner liner obtained by the previously known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properties of the inner liner itself deteriorat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ire in which the high temperature repetitive molding is performed or the repeated process of deformation, .

최근 유가 상승으로 인하여, 자동차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에코 타이어(친환경 타이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타이어 컴파운드의 변경 또는 트레드 디자인의 변화 등을 통하여 타이어의 중량을 줄이거나 접지 면적을 줄이는 시도가 있어왔다. 그러나, 이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해서는, 주행 안정성이나 타이어의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타이어의 중량을 줄이고 자동차 연비를 향상시키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Recently, as oil prices have increased, interest in eco tires (eco-friendly tires) that can improve automobile fuel efficiency has increased, a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reduce the weight of tires or to reduce the ground area through changes in tire compounds or changes in tread design. I have been. However, according to the previously known method, there is a certain limit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running stability and the shape stability of the tire, an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tire and to improve the automobile fuel economy.

본 발명은 얇은 두께로도 우수한 기밀성을 구현하여 이너라이너 필름으로 사용시 타이어를 경량화하고 자동차 연비의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성형성과 함께 높은 내구성, 내열성과 낮은 가스 투과도 등의 물성을 갖는 고분자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ymer film having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igh durability, heat resistance, and low gas permeability, which can realize excellent airtightness even with a thin thickness, can be used as an inner liner film to lighten the tire and improve automobile fuel economy .

본 명세서에서는, 폴리아마이드계 반복 반위; 폴리에테르계 반복 단위;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arylene)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acyl) 작용기를 포함한 아릴렌아실 반복 단위;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alkylene)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acyl) 작용기를 포함한 알킬렌아실 반복 단위;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이 제공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olyamide based repeating units; Polyether-based repeating units; An arylene acyl repeating unit containing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d at least two acyl functional groups; And an alkylene acyl repeating unit containing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d at least two acyl functional groups.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고분자 필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olymer film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명세서에서 아릴렌(arylene)기는 아렌(arene)으로부터 유래한 2가의 작용기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알킬렌(alkylene)기는 알케인(alkane)으로부터 유래한 2가의 작용기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아실(acyl)기는 카복시산의 카복시기(-COOH)에서 -OH를 제거한 나머지 작용기를 의미하며, 일반식 RCO-로 표시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arylene group means a divalent functional group derived from arene. Also, in this specification, an alkylene group means a divalent functional group derived from an alkan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acyl group means the remaining functional group by removing -OH from a carboxy group (-COOH) of a carboxylic acid, and is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RCO-.

본 명세서에서, 알킬(Alkyl)은 알케인(alkane)으로부터 유래한 1가의 작용기를 의미하며, 아릴(aryl)은 아렌(arene)으로부터 유래한 1가의 작용기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lkyl (Alkyl) means a monovalent functional group derived from an alkane, and aryl means a monovalent functional group derived from arene.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아마이드계 반복 반위; 폴리에테르계 반복 단위;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arylene)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acyl) 작용기를 포함한 아릴렌아실 반복 단위;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alkylene)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acyl) 작용기를 포함한 알킬렌아실 반복 단위;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polyamide based repeating units; Polyether-based repeating units; An arylene acyl repeating unit containing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d at least two acyl functional groups; And an alkylene acyl repeating unit containing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d at least two acyl functional groups can be provided.

본 발명자들은, 이너라이너 필름의 재료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상술한 특정의 고분자 필름을 이용하면 이전에 사용되던 부틸 고무 또는 할로 부틸 고무 등의 고무 성분들이 갖던 한계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상온뿐만 아니라 저온, 고온 등의 조건에서도 높은 탄성 및 낮은 모듈러스 특성과 함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The present inventors proceeded with research on the material of the inner liner film to solve the limitations of rubber components such as butyl rubber or halobutyl rubber which were previously used by using the specific polymer film described above, , High temperature and the like, as well as high elasticity and low modulus characteristics, as well 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특히,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arylene)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acyl) 작용기를 포함한 아릴렌아실 반복 단위;와 함께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alkylene)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acyl) 작용기를 포함한 알킬렌아실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화학 구조적 성질로 인하여 타이어 이너라이너에 적용시 높은 기밀성 및 우수한 성형성과 함께 높은 내열성 및 내열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온에서 반복적인 변형이 이루어지는 타이어 성형 과정이나 자동차 주행 과정에서도 물성 변화가 그리 크지 않을 수 있고, 고온에서 결정화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온도 상승에 따른 필름 자체의 결정화 및 이에 따른 필름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polymer may contain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d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together with an arylene acyl repeating unit containing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d at least 2 or more acyl functional groups And an alkylene acyl repeating unit including two or more acyl functional groups, it is possible to obtain high airtightness and excellent moldability and high heat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when applied to an innerliner of a tire, , The physical properties may not be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tire forming process or the running process of the vehicle in which the film is repeatedly deformed and the rate of crystallization at a high temperature is relatively small so that the crystallization of the film itself due to the temperature rise and thus the breakage of the film are prevented .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arylene)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acyl) 작용기를 포함한 아릴렌아실 반복 단위;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alkylene)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acyl) 작용기를 포함한 알킬렌아실 반복 단위;간의 몰수비는 1:1 내지 1:9, 또는 1:1.2 내지 1:6, 또는 1:1.3 내지 1:4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above-mentioned arylene acyl repeating unit containing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d at least 2 acyl functional group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d at least 2 or more acyl acyl) functional group may be 1: 1 to 1: 9, or 1: 1.2 to 1: 6, or 1: 1.3 to 1: 4.

상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arylene)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acyl) 작용기를 포함한 아릴렌아실 반복 단위;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alkylene)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acyl) 작용기를 포함한 알킬렌아실 반복 단위;간의 몰수비가 1:1 미만이면, 내열성 또는 내열 충격 강도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수 있고, 100℃ 이상의 고온 조건에 노출 시 상기 고분자 필름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An arylene acyl repeating unit containing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d at least 2 acyl functional group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d at least 2 acyl functional groups Is less than 1: 1, heat resistance or thermal shock resistance may not be sufficiently secured,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film may be lowered upon exposure to high temperature conditions of 100 占 폚 or more.

또한, 상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arylene)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acyl) 작용기를 포함한 아릴렌아실 반복 단위;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alkylene)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acyl) 작용기를 포함한 알킬렌아실 반복 단위;간의 몰수비가 1:9 초과이면, 상기 고분자 필름이 갖는 기밀성이나 내구성의 저하 또는 상기 고분자 필름의 모듈러스가 증가와 함께 탄성 또는 성형성이 감소할 수 있다.Also, the above-mentioned arylene acyl repeating unit containing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d at least 2 acyl functional group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d an acyl group having at least 2 acyl ) Functional group is more than 1: 9, the airtightness and durability of the polymer film may be deteriorated or the elasticity or moldability of the polymer film may decrease together with the increase of the modulus of the polymer film.

상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alkylene)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acyl) 작용기를 포함한 알킬렌아실 반복 단위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alkylene) 그룹을 포함한 디카르복실산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래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 필름의 제조 시에 사용하는 아디프산 등의 원료로부터 기인할 것일 수 있다. The alkylene acyl repeating unit containing the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d the acyl functional group having at least 2 is preferably a dicarboxylic acid or poly-carboxylic acid containing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d may be derived from a raw material such as adipic acid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polymer film, for example.

상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alkylene)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acyl) 작용기를 포함한 알킬렌아실 반복 단위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를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alkylene acyl repeating unit containing the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d at least 2 or more acyl functional groups include repeating unit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1][Chemical 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1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4 내지 10의 분지쇄의 알킬렌기이다.In Formula 1, R 1 is a straight chain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or a branched chain alkylene group having 4 to 10 carbon atoms.

상기 고분자필름에 포함된 공중합체는 상기 알킬렌아실 반복 단위 0.1 내지 2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polymer contained in the polymer film may contain 0.1 to 20% by weight of the alkylene acyl repeating unit.

상기 공중합체 중 알킬렌아실 반복 단위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내열성 또는 내열 충격 강도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수 있으며, 100℃ 이상의 고온 조건에 노출시 상기 고분자 필름의 물성 저하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If the content of the alkylene acyl repeating units in the copolymer is too small, the heat resistance or thermal shock resistance may not be sufficiently secured, and when the polymer is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of 100 ° C or mor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film may significantly deteriorate.

반면, 상기 공중합체 중 알킬렌아실 반복 단위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반복 반위 또는 폴리에테르계 반복 단위의 함량이 줄어들게 되면서 상기 고분자 필름이 갖는 기밀성이나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또는 상기 고분자 필름의 모듈러스가 증가하거나 탄성 또는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he alkylene acyl repeating units in the copolymer is too high, the content of the polyamide repeating repeating units or the polyether repeating units is decreased, and the airtightness and durability of the polymer film are lowered, The modulus may increase or the elasticity or moldability may deteriorate.

상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arylene)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acyl) 작용기를 포함한 아릴렌아실 반복 단위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arylene) 그룹을 포함한 디카르복실산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래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 필름의 제조시에 사용하는 테레프탈산 또는 이소프탈산 등의 원료로부터 기인할 것일 수 있다. The arylene acyl repeating unit containing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d at least 2 or more acyl functional groups is preferably a dicarboxylic acid or poly-carboxylic acid containing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d may be derived from a raw material such as terephthalic acid or isophthalic acid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polymer film, for example.

상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arylene)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acyl) 작용기를 포함한 아릴렌아실 반복 단위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2의 반복 단위를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arylene acyl repeating unit containing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d at least 2 or more acyl functional groups include repeating unit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화학식2](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2에서, Ar은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기이다. In Formula 2, Ar is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아릴렌아실 반복 단위 0.1 내지 20중량%, 또는 1중량%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polymer may contain 0.1 to 20% by weight, or 1 to 10% by weight, of the arylene acyl repeating unit.

상기 공중합체 중 아릴렌아실 반복 단위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내열성 또는 내열 충격 강도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수 있으며, 100℃ 이상의 고온 조건에 노출시 상기 고분자 필름의 물성 저하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If the content of the arylene acyl repeating unit in the copolymer is too small, heat resistance or thermal shock resistance may not be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film may deteriorate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 conditions of 100 ° C or higher.

반면, 상기 공중합체 중 아릴렌아실 반복 단위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반복 반위 또는 폴리에테르계 반복 단위의 함량이 줄어들게 되면서 상기 고분자 필름이 갖는 기밀성이나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또는 상기 고분자 필름의 모듈러스가 증가하거나 탄성 또는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of arylene acyl repeating units in the copolymer is too high, the content of the polyamide repeating repeating units or polyether repeating units may be decreased and the airtightness and durability of the polymer film may be deteriorated, The modulus may increase or the elasticity or moldability may deteriorate.

한편, 상기 고분자 필름에 포함된 공중합체는 폴리아마이드계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반복 단위는 하기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polymer contained in the polymer film may include a polyamide-based repeating unit, and the polyamide-based repeating unit may include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or (4).

[화학식3](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3에서, R2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arylene)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아릴알킬렌기이다. 상기 아릴알킬렌기는 아릴기 및 알킬렌기를 포함하는 2가 작용기를 의미한다.In Formula 3, R 2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ene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or a linear or branched alkylene group having 7 to 20 carbon atoms. The arylalkylene group means a divalent functional group including an aryl group and an alkylene group.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2는 탄소수 4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이다.More preferably, R 2 is a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ene group having 4 to 8 carbon atoms.

[화학식4][Chemical Formula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4에서, R3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arylene)기이고, R4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arylene)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아릴알킬렌기이다. 상기 아릴알킬렌기는 아릴기 및 알킬렌기를 포함하는 2가 작용기를 의미한다.In Formula 4, R 3 is an arylene (arylene)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linear or branched alkylene group or C 6 -C 20 group, R 4 is an alkylene group of a straight-chain or branched-chain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or a linear or branched alkylene group having 7 to 20 carbon atoms. The arylalkylene group means a divalent functional group including an aryl group and an alkylene group.

상기 공중합체 중 폴리아마이드계 반복 반위의 함량은 최종 제조되는 공중합체 또는 상기 고분자 필름의 물성이나 최종 용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에테르계 반복 단위, 상기 아릴렌아실 반복 단위 및 상기 알킬렌아실 반복 단위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성분을 제외한 잔량의 함량으로 폴리아마이드계 반복 반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ent of the polyamide-based repeating units in the copolymer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and end use of the copolymer or the polymer film to be finally produced. Specifically, the copolymer may include polyamide-based repeating units in terms of the residual amount excluding the polyether-based repeating units, the arylene acyl repeating units, and the components that can be optionally contained with the alkylene acyl repeating units .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반복 단위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카르복시산 또는 디카르복시산의 유도체를 포함한 전구체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시산의 유도체는 사슬 또는 고리구조를 갖는 다이에스터계 화합물 또는 다이아마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lyamide-based repeating unit may be derived from a precursor containing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di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of a dicarboxylic acid. The derivative of the dicarboxylic acid may include a diastereomer compound or a diamide compound having a chain or cyclic structure.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카르복시산의 구체적인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6-아미노헥사노익산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dicarboxylic acid are not limited to a great exten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6-aminohexanoic acid and the like.

또한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카르복시산의 유도체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고리구조의 다이아마이드계 화합물인 락탐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락탐계 화합물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ε- 카프로락탐, 라우린 락탐 12-아미노도데카노산 등을 들 수 있다.Further, examples of th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dicarboxylic acid derivatives are not limited to a great extent. For example, a lactam-based compound, which is a diamide compound having a cyclic structure, can be used. Examples of the lactam-based compoun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clude, for example,? -Caprolactam and laurin lactam 12-aminododecanoic acid.

한편, 상기 고분자 필름에 포함된 공중합체는 폴리에테르계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에테르계 반복 단위는 하기 화학식 5의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polymer contained in the polymer film may include a polyether-based repeating unit, and the polyether-based repeating unit may include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5).

[화학식5][Chemical Formula 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3에서, R5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이고,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고, R6 및 R7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결합, -O-, -NH-, -COO- 또는 -CONH- 일 수 있다.Wherein R 5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n is an integer of 1 to 100, R 6 and R 7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O-, -NH-, -COO- or -CONH-.

상기 고분자 필름 중 상기 폴리에테르계 반복 단위의 함량은 2 중량% 내지 40중량%, 3중량% 내지 35중량%, 또는 4중량% 내지 30중량%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계 반복단위 함량이 고분자 필름 중량에 대하여 2중량% 미만이면, 상기 고분자 필름의 모듈러스가 높아져서 타이어의 성형성이 저하되거나, 반복적인 변형에 따른 물성 저하가 크게 나타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 필름에 포함된 공중합체의 유연성이 감소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polyether repeating unit in the polymer film may be 2 wt% to 40 wt%, 3 wt% to 35 wt%, or 4 wt% to 30 wt%. If the content of the polyether-based repeating unit is less than 2%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polymer film, the modulus of the polymer film becomes high, and the moldability of the tire may deteriorate or the physical properties may deteriorate due to repeated deformation. The flexibility of the copolymer contained in the copolymer can be reduced.

반면, 상기 폴리에테르계 반복단위의 함량이 고분자 필름 중량에 대하여 40중량% 초과이면, 타이어 이너라이너가 요구되는 기밀성(Gas Barrier)이 좋지 않아 타이어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접착제에 대한 반응성이 저하되어 이너라이너가 카커스 층에 용이하게 접착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고분자 필름의 탄성이 증가하여 균일한 필름을 제조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필름에 포함된 공중합체의 내열성 및 상용성이 감소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of the polyether-based repeating unit exceeds 40 wt% with respect to the weight of the polymer film, the gas barrier required for the tire inner liner is poor, and the tire performance may deteriorate. The reactivity to the adhesive may be lowered so that the inner liner may be difficult to easily adhere to the carcass layer, and the elasticity of the polymer film may increase, making it difficult to produce a uniform film. Further, the heat resistance and compatibility of the copolymer contained in the polymer film may be decreased.

상기 폴리에테르계 반복 단위는 500 내지 10,000, 또는 600 내지 3,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전구체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상기 전구체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에테르 결합을 포함하는 단량체,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폴리옥시알킬렌 디아민을 들 수 있다. The polyether-based repeating unit may be derived from a precurso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 to 10,000, or 600 to 3,000. Examples of the precursor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monomers, oligomers or polymers containing an ether bond, and specifically, polyoxyalkylene diamines.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디아민의 구체적인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디아민, 폴리옥시프로필렌 디아민,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디아민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The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oxyalkylene diamin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oxyethylenediamine, polyoxypropylenediamine, polyoxytetramethylenediamine, and mixtures of two or more thereof.

상기 폴리에테르계 반복 단위의 전구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고분자 필름 내에서 큰 결정이 성장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모듈러스를 낮추는 등의 작용을 적절히 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테르계 반복 단위의 전구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초과일 경우에는 상기 고분자 필름의 기밀성이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recursor of the polyether-based repeating unit is less than 500, it may not be possible to appropriately suppress the growth of large crystals or lower the modulus in the polymer film.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recursor of the polyether-based repeating unit is more than 10,000, the airtightness and durability of the polymer film may be deteriorated.

상기 고분자 필름은 30 ㎛ 내지 300 ㎛, 또는 40 ㎛ 내지 250 ㎛, 또는 40 ㎛ 내지 2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polymer film may have a thickness of 30 mu m to 300 mu m, or 40 mu m to 250 mu m, or 40 mu m to 200 mu m.

상기 고분자 필름은 170℃에서 1시간 및 100℃에서 24시간 동안 열처리 후, ASTM D6110에 의해 측정한 내열 충격강도가 1500 KJ/g 이상, 또는 1500 KJ/g 내지 3000 KJ/g, 또는 2000 KJ/g 내지 2600 KJ/g일 수 있다.The polymer film has a thermal shock resistance of 1500 KJ / g or more, or 1500 KJ / g to 3000 KJ / g, or 2000 KJ / g or more as measured by ASTM D6110 after heat treatment at 170 ° C for 1 hour and 100 ° C for 24 hours, g to 2600 KJ / g.

구체적으로, 170℃에서 1시간 및 100℃에서 24시간 동안 열처리 후, ASTM D6110에 의해 측정한 내열 충격강도가 1500 KJ/g 미만이면, 상기 고분자 필름을 타이어 이너라이너 필름에 적용시, 고온에서 반복적인 변형이 이루어지는 타이어 성형 과정이나 자동차 주행 과정에서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polymer film is applied to a tire inner liner film, when the thermal shock resistance measured by ASTM D6110 is less than 1500 KJ / g after heat treatment at 170 ° C for 1 hour and 100 ° C for 24 hours, The physical properties may be deteriorated in a tire forming process or a vehicle running process in which deformation is caused.

또한, 23℃의 온도 및 55RH%의 상대 습도 조건에서 ASTM D 1434 방법을 통하여 24시간 동안 측정한 산소 투과도가 500 cc/(㎡·24hr·atm) 이하, 또는 300 cc/(㎡·24hr·atm) 이하일 수 있다. Also, the oxygen permeability measured at a temperature of 23 캜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RH% for 24 hours through the ASTM D 1434 method is not more than 500 cc / (㎡ 24 hr 揃 atm) or not more than 300 cc / (㎡ 24 hr 揃 atm ).

구체적으로, 23℃의 온도 및 55RH%의 상대 습도 조건에서 ASTM D 1434 방법을 통하여 24시간 동안 측정한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필름의 산소 투과도가 500 cc/(㎡·24hr·atm) 초과이면, 상기 고분자 필름의 기체 차단성이 감소하여 타이어 이너라이너로 적용시 타이어의 공기압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oxygen permeability of the polymer film of this embodiment measured over 24 hours through the ASTM D 1434 method at a temperature of 23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RH% exceeds 500 cc / (m 2 · 24 hr · atm) The gas barrier property of the polymer film is decreased, so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when the tire is used as an inner liner.

상기 공중합체는 30,000 내지 500,000, 또는 70,000 내지 300,000, 또는 90,000 내지 2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 미만이면, 상기 고분자 필름을 타이어 이너라이너 필름으로 사용하기 충분한 기계적 물성이나 내열성 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고, 상기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이 충분한 기밀성(Gas barrier)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The copolyme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30,000 to 500,000, or 70,000 to 300,000, or 90,000 to 200,000.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opolymer is less than 30,000, the polymer film may not have suffici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heat resistance to be used as a tire inner liner film, and the polymer film for inner liner has sufficient gas barrier property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또한,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0 초과이면, 고온으로 가열시 고분자 필름의 모듈러스 또는 결정화도가 과하게 증가하여 이너라이너용 필름으로서 가져야 할 탄성 또는 탄성회복율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opolymer exceeds 500,000, the modulus or degree of crystallization of the polymer film excessively increases upon heating at a high temperature, and it may be difficult to ensure the elasticity or elastic recovery rate to be provided as the film for inner liner.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을 측정하는 방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중량평균 분자량 측정에 있어 통상적으로 알려진 내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not limited, but can be determined by, for exampl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method may include all contents commonly known in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easurement.

또한, 상기 공중합체의 녹는점이 180℃이상, 또는 185℃이상, 또는 190℃이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80℃ 내지 250℃, 또는 190℃ 내지 240℃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녹는점이 지나치게 낮으면, 타이어 이너라이너 적용시 필름이 용융되거나 고온조건에서 반복적인 변형에 따른 기밀성 저하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The melting point of the copolymer may be 180 ° C or higher, 185 ° C or higher, or 190 ° C or higher, for example, 180 ° C to 250 ° C, or 190 ° C to 240 ° C. If the melting point of the copolymer is too low, the film may melt at the time of application of the inner liner of the tire, or the air inside may be leaked to the outside due to repeated airtightness at high temperature.

상기 녹는점을 측정하는 방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시차주사열분석기(DSC)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시차주사열분석기(DSC)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녹는점 측정에 있어 통상적으로 알려진 내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method of measuring the melting point are not limited, but can be obtained by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for example. The specifics of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may include all commonly known melting point measurements.

한편, 상기 고분자 필름은 상술한 공중합체와 함께 3.0 내지 4.0, 또는 3.2 내지 3.5의 상대점도(황산96% 용액)를 갖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lymer film may further include a polyamide resin having a relative viscosity (96% solution of sulfuric acid) of 3.0 to 4.0 or 3.2 to 3.5 together with the above-mentioned copolymer.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황산96% 용액에서 측정한 점도가 3.0 미만이면 상기 고분자 필름의 인성(toughness) 저하로 인하여 충분한 신율이 확보되지 않아 타이어 제조시나 자동차 운행시 파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 필름이 이너라이너 필름으로서 가져야 할 기밀성 또는 성형성 등의 물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If the viscosity of the polyamide resin measured in a 96% solution of sulfuric acid is less than 3.0, a sufficient elongation can not be secured due to a decrease in toughness of the polymer film, so that breakage may occur during tire manufacturing or automobile operation.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airtightness or moldability which should be possessed as the inner liner film.

또한,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황산96% 용액에서 측정한 점도가 4.0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되는 고분자 필름의 모듈러스 또는 점도가 불필요하게 높아질 수 있으며 타이어 이너라이너로서 적절한 성형성 또는 탄성을 갖기 어려울 수 있다. If the viscosity of the polyamide resin measured in a sulfuric acid 96% solution is more than 4.0, the modulus or viscosity of the polymer film to be produced may be unnecessarily high and it may be difficult to have appropriate moldability or elasticity as a tire inner liner have.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상대 점도는 상온에서 황산 96% 용액을 사용하여 측정한 상대 점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일정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시편(예를 들어, 0.025g 의 시편)을 상이한 농도로 황산 96% 용액에 녹여서 2이상의 측정용 용액을 제조한 후(예를 들어,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시편을 0.25g/dL, 0.10g/dL, 0.05 g/dL의 농도가 되도록 96% 황산에 녹여서 3개의 측정용 용액 제작), 25℃에서 점도관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용 용액의 상대 점도(예를 들어, 황산 96%용액의 점도관 통과시간에 대한 상기 측정용 용액의 평균 통과 시간의 비율)를 구할 수 있다. The relative viscosity of the polyamide resin refers to the relative viscosity measured using a 96% solution of sulfuric acid at room temperature. Specifically, after dissolving a sample of a certain polyamide resin (for example, 0.025 g of a test piece) in 96% sulfuric acid solution at different concentrations to prepare two or more measuring solutions (for example, a polyamide based resin sample The solution was dissolved in 96% sulfuric acid so as to have a concentration of 0.25 g / dL, 0.10 g / dL and 0.05 g / dL to prepare three measurement solutions), and the relative viscosity of the solution for measurement , The ratio of the average passage time of the measuring solution to the viscosity tube passing time of the 96% solution of sulfuric acid).

상기 고분자 필름에 사용할 수 있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예를 들면,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46,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10, 나일론 612, 나일론 6/66의 공중합체, 나일론 6/66/610 공중합체, 나일론 MXD6, 나일론 6T, 나일론 6/6T 공중합체, 나일론 66/PP 공중합체 및 나일론 66/PPS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N-알콕시알킬화물, 예를 들어 6-나일론의 메톡시메틸화물, 6-610-나일론의 메톡시메틸화물 또는 612-나일론의 메톡시메틸화물이 있고,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46,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10 또는 나일론 612를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polyamide resins usable for the polymer film include copolymers of nylon 6, nylon 66, nylon 46, nylon 11, nylon 12, nylon 610, nylon 612, nylon 6/66, nylon 6/66 / 610 copolymers, nylon MXD6, nylon 6T, nylon 6 / 6T copolymers, nylon 66 / PP copolymers and nylon 66 / PPS copolymers; Or their N-alkoxyalkylates such as methoxymethylated 6-nylon, methoxymethylated 6,610-nylon or methoxymethylated 612-nylon, preferably nylon 6, nylon 66, nylon 46, nylon 11, nylon 12, nylon 610 or nylon 612 can be used.

또한,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수지 자체를 사용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단량체 또는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전구체를 사용하여 고분자 필름을 제조함으로서 상기 고분자 필름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yamide resin may be incorporated into the polymer film by preparing a polymer film using a monomer of the polyamide resin or a precursor of the polyamide resin, as well as a method of using the resin itself.

상기 고분자 필름은 최종 제조되는 이너라이너 필름의 구체적인 물성이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상기 3.0 내지 4.0의 상대점도(황산96% 용액)를 갖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와 상기 공중합체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3.0 내지 4.0의 상대점도(황산96% 용액)를 갖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및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비는 7:3 내지 3:7일 수 있다. The polymer film may be blended with the polyamide resin having a relative viscosity of 3.0 to 4.0 (96% solution of sulfuric acid) and the copolymer in an appropriate ratio in consideration of specific physical properties and shape of the inner liner film to be finally produced , For example, the weight ratio of the polyamide based resin having a relative viscosity of 3.0 to 4.0 (96% solution of sulfuric acid) and the copolymer may be from 7: 3 to 3: 7.

상기 고분자 필름이 상술한 공중합체와 함께 3.0 내지 4.0의 상대점도(황산96% 용액)를 갖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상기 고분자 필름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폴리에테르계 반복 단위의 함량은 2 중량% 내지 40중량%, 3중량% 내지 35중량%, 또는 4중량% 내지 30중량%일 수 있다.Even when the polymer film contains a polyamide resin having a relative viscosity of 3.0 to 4.0 (a 96% solution of sulfuric acid) together with the above-mentioned copolymer, the content of the polyether-based repea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film is 2 wt% to 40 wt%, 3 wt% to 35 wt%, or 4 wt% to 30 wt%.

한편, 상기 고분자 필름은 전체 고분자 필름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2.50중량%, 또는 0.0005 중량% 내지 1.00중량%의 함량으로 내열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열제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내열성 향상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열제 함량이 너무 크면 중합 속도가 감소하며, 고분자 필름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사용 함량에 따른 내열성 향상의 효과가 실질적으로 없어서 최종 제품의 가격을 불필요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The polymer film may further contain a heat resistant agent in an amount of 0.0001 wt% to 2.50 wt%, or 0.0005 wt% to 1.00 wt% based on the weight of the entire polymer film. If the content of the heat resistant agent is too small, the effect of improving heat resistance may be insignificant. If the content of the heat resisting agent is too high, the polymerization rate may decreas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film may be deteriorated,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heat resistance depending on the use amount may be substantially eliminated.

이러한 내열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방향족 아민계 화합물, 인계 화합물, 무기 화합물, 폴리아마이드계 화합물, 폴리에테르계 화합물,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열제는 파우더(powder) 형태 또는 액상 형태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heat resisting agent include hindered phenol compounds, aromatic amine compounds, phosphorus compounds, inorganic compounds, polyamide compounds, polyether compounds, hindered amine compounds,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 The heat resistant agent may be applied in the form of a powder or a liquid.

상기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 N,N’-헥사메틸렌비스(3,5-디터셔리-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시나마이드)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에이트[Pentaerythritol Tetrak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시판 제품으로는 Irganox 1010] 등이 있으나, 상기 내열제로 사용 가능한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 examples of the hindered phenol compound include N, N'-hexamethylenebis (3,5-ditertiary-4-hydroxy-hydrosinamide) or pentaerythritol tetrakis 3- (3,5-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as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and Irganox 1010 as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Examples of possible hindered phenol compounds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방향족 아민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 퀴놀린 또는 그 중합물, 페닐 β-나프틸 아민, 페닐-α-나프틸 아민, 알돌-α-나프틸 아민, N,N’-비스(1-메틸, 헵틸)-p-페닐렌 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페닐)-p-페닐렌 디아민, p-이소-프로폭실 디페닐 아민, 6-에톡시-2,2,4-트리메틸 1,2-디하이드로 퀴놀린, N-페닐-N’-이소프로필-파라-페닐렌 디아민, 디-베타-나프틸-파라페닐렌 디아민, 4,4’-비스(α, α-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 N’N’-핵산-1,6-디일 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드) 또는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나, 상기 내열제로 사용 가능한 방향족 아민계 화합물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aromatic amine compound include 2,2,4-trimethyl-1,2-dihydroquinoline or a polymer thereof, phenyl? -Naphthylamine, phenyl-? -Naphthylamine, aldol-? -Naphthylamine N, N'-bis (1-ethyl-3-methylphenyl) -p-phenylenediamine, p-iso-propoxyldi Phenylamine, 6-ethoxy-2,2,4-trimethyl 1,2-dihydroquinoline, N-phenyl-N'-isopropyl-para-phenylenediamine, di-beta-naphthyl- (3, 3, 5-di-tert-butyl) -4- (4-methylphenyl) Hydroxyphenyl-propionamid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However, examples of the aromatic amine compound usable as the heat resisting agen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인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 트리아릴포스페이트, 방향족인산에스테르, 2-에틸헥실디페닐포스페이트, 트리에틸렌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TCP), 크레질페닐포스페이트, 클로르에틸포스페이트,트리스-β-클로르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스디클로르프로필포스페이트, 할로겐함유축합인산에스테르, 방향족축합인산에스테르, 폴리인산염, 적린 또는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나, 상기 내열제로 사용 가능한 인계 화합물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 examples of the phosphorus compound include triphenyl phosphate (TPP), triaryl phosphate, aromatic phosphate ester, 2-ethylhexyldiphenyl phosphate, triethylene phosphate, tricresyl phosphate (TCP), cresylphenyl phosphate, chlorethyl phosphate , Tris-β-chloropropyl phosphate, tris-dichloropropyl phosphate, halogen-containing condensed phosphate esters, aromatic condensed phosphoric acid esters, polyphosphates, red phosphorus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Examples of the phosphorus compounds usable as the heat resisting ag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무기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 Mg(OH)2, Al(OH)2, Sb2O3, 구아이딘염, Sb2O5, 붕산아연, 몰리브덴 화합물, 주석산아연, CuI 또는 KI 등의 요오드화 화합물 또는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inorganic compound include iodinated compounds such as Mg (OH) 2 , Al (OH) 2 , Sb 2 O 3 , Sodium salt, Sb 2 O 5 , Zinc borate, Molybdenum compound, Zinc tartrate, CuI or KI And mixtures of two or more thereof.

상기 내열제로 CuI 및 KI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고분자 필름의 내열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온의 환경에서 장시간 방치 또는 노출되는 경우에도 고분자 필름 자체의 물성 변화가 크지 않다. Even when a mixture of CuI and KI is used as the heat resisting agent, the heat resistance of the polymer film can be greatly improved, and even when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or exposed, the change in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film itself is not significant.

상기 내열제로 CuI 및 KI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고분자 필름 전체 중 0.05중량% 내지 0.6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uI 및 KI의 혼합물 중 구리(Cu)의 함량은 5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When a mixture of CuI and KI is used as the heat resisting agent, it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05% by weight to 0.6%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film. In addition, the content of copper (Cu) in the mixture of CuI and KI may be 5 to 10 wt%.

특히, CuI 및 KI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되는 내열제의 함량을 크게 줄여(예를 들어, 고분자 필름 중 0.05중량% 내지 0.6중량%) 고분자 필름의 다른 물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장기 내열성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Particularly, when a mixture of CuI and KI is used, the content of the heat resisting agent used is greatly reduced (for example, 0.05 to 0.6% by weight in the polymer film) Heat resistance can be greatly improved.

상기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Bis(2,2,6,6-tetramethyl-4-piperidyl)sebaceate) (tinuvin 770);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Bis(1,2,2,6,6-tetramethyl-4-piperidyl)sebaceate) 및 메틸 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세바케이트(methyl 1,2,2,6,6-tetramethyl-4-piperidyl sebaceate)의 반응생성물 (tinuvin 765); 1,6-헥산디아민(1,6-Hexanediamine), N,N′-비스(2,2,6,6- 테트라메틸-4-피페리딜)중합체(N,N′-Bis(2,2,6,6-tetramethyl-4-piperidyl)polymer), 2,4,6 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2,4,6 trichloro-1,3,5-triazine) 및 N-부틸 2,2,6,6- 테트라메틸-4-피페리딘아민(N-butyl 2,2,6,6-tetramethyl-4-piperidinamine)의 반응생성물 (Chimassorb 2020); 데칸디카르복시산(Decanedioic acid), 비스(2,2,6,6-테트라메틸-1-옥틸옥시-4-피페리딜)에스터(Bis(2,2,6,6-tetramethyl-1-(octyloxy)-4-piperidyl)ester), 1,1-디메틸에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1,1-dimethylethylhydroperoxide) 및 옥탄(octane)의 반응생성물 (Tinuvin 123); 트리아진 유도체(Triazine derivatives) (tinuvin NOR 371); 부탄디카르복시산(Butanedioic acid), 디메틸에스터 4 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에탄올(dimethylester 4 hydroxy-2,2,6,6-tetramethyl-piperidine ethanol)의 반응생성물 (Tinuvin 622)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hindered amine compound include Bis (2,2,6,6-tetramethyl-4-piperidyl) sebaceate, bis (2,2,6,6- (tinuvin 770); Bis (1,2,2,6,6-tetramethyl-4-piperidyl) sebaceate) and methyl 1,2,2,6-tetramethyl- The reaction product (tinuvin 765) of 6,6-tetramethyl-4-piperidyl sebaceate (methyl 1,2,2,6,6-tetramethyl-4-piperidyl sebaceate); 1,6-hexanediamine, N, N'-bis (2,2,6,6-tetramethyl-4-piperidyl) , 6,6-tetramethyl-4-piperidyl) polymer, 2,4,6 trichloro-1,3,5-triazine, (Chimassorb 2020) of 2,2,6,6-tetramethyl-4-piperidinamine (N-butyl 2,2,6,6-tetramethyl-4-piperidinamine); Decanedioic acid, bis (2,2,6,6-tetramethyl-1-octyloxy-4-piperidyl) ) -4-piperidyl) ester, 1,1-dimethylethylhydroperoxide and octane (Tinuvin 123); Triazine derivatives (tinuvin NOR 371); Butanedioic acid, the reaction of dimethyl ester 4 hydroxy-2,2,6,6-tetramethyl-piperidine ethanol with dimethylester 4-hydroxy-2,2,6,6-tetramethyl-piperidine ethanol (Tinuvin 622), and the like.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열제로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을 사용하면, 기체 차단성과 동시에 장기 내열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필름은 상술한 특정 공중합체 및 내열제를 사용함에 따라서, 고온의 환경에서 장시간 방치 또는 노출되는 경우에도 자체의 물성의 변화가 크지 않고, 이에 따라 타이어의 성형과정에서도 고분자 필름이 결정화되거나 높은 수준으로 경화되어 성형성이 크게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변형이 가해지며 고온이 발생하는 자동차 주행 과정에도 이너라이너에서 균열 또는 파손이 발행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when the hindered phenolic compound is used as the heat resisting agent, gas barrier properties and long-term heat resistance can be greatly improved. Specifically, the above-mentioned specific polymer and the heat resistant agent are used in the polymer film so that even when the polymer film is left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for a long time or expos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film are not greatly chan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crystallization or curing to a high level to prevent the moldability from being significantly deteriorat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cracks or breakage from occurring in the inner liner even in a running process of a vehicle in which high temperature is generated due to repetitive deformation.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필름은 상기 고분자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olymer film of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ymer film and including a resorcinol-formalin-latex (RFL) -based adhesive.

상기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층은 상기 고분자 필름이 타이어 카커스 층에 대해서도 우수한 접착력 및 접착 유지 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타이어의 제조 과정 또는 운행 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열 또는 반복적 변형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너라이너 필름과 카커스 층간 계면의 파단을 방지하여 일 구현예의 고분자 필름이 이너라이너 필름으로 적용되었을 경우 충분한 내피로성을 가질 수 있게 한다.The adhesive layer containing the resorcinol-formalin-latex (RFL) adhesive enables the polymer film to have excellent adhesion and adhesive holding performance to the tire carcass layer. Accordingl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ire,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inner liner film and the carcass layer caused by heat generated or repetitive deformation, so that the polymer film of one embodiment can have sufficient fatigue resistance when applied as an inner liner film.

상술한 접착층의 주요 특성은 특정한 조성을 갖는 특정의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포함함에 따른 것으로, 종전의 타이어 이너라이너용 접착제로는 고무 타입의 타이검 등이 사용되었고, 이에 따라 추가적인 가황 공정이 필요하였다.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above-mentioned adhesive layer is that it includes a specific resorcinol-formalin-latex (RFL) adhesive having a specific composition. As a conventional adhesive for innerliner of a tire, An additional vulcanization process was required.

이에 반하여, 상기 접착층은 특정 조성의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포함하여, 상기 고분자 필름에 대하여 높은 반응성 및 접착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두께를 그리 늘리지 않고도 고온 가열 조건에서 압착하여 상기 고분자 필름과 타이어 카커스 층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On the contrary, the adhesive layer includes a resorcinol-formalin-latex (RFL) -based adhesive having a specific composition, and has high reactivity and adhesion to the polymer film, and is compressed The polymer film and the tire carcass layer can be firmly bonded.

상기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는 레조시놀과 포르말린의 축합물 2 내지 32 중량%, 또는 10 내지 20 중량% 및 라텍스 68 내지 98 중량%, 또는 8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sorcinol-formalin-latex (RFL) based adhesive comprises from 2 to 32 wt%, or from 10 to 20 wt%, and from 68 to 98 wt%, or from 80 to 90 wt% of a condensate of resorcinol and formalin can do.

상기 레조시놀과 포르말린의 축합물은 레조시놀과 포르말린을 1:0.3 내지 1:3.0, 또는 1:0.5 내지 1:2.5의 몰비로 혼합한 후 축합 반응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조시놀과 포르말린의 축합물은 우수한 접착력을 위한 화학반응 측면에서 전체 접착층 총량에 대하여 2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적정한 내피로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32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The condensate of the resorcinol and the formalin may be obtained by mixing the resorcinol and the formalin in a molar ratio of 1: 0.3 to 1: 3.0, or 1: 0.5 to 1: 2.5, followed by a condensation reaction. In addition, the condensation product of resorcinol and formalin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2% by weight or more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adhesive layer in terms of chemical reaction for good adhesion an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32% by weight or less in order to ensure proper endothelial property .

상기 라텍스는 천연고무 라텍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라텍스, 클로로프렌 고무라텍스 및 스티렌/부타디엔/비닐피리딘 고무라텍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상기 라텍스는 소재의 유연성과 고무와의 효과적인 가교 반응을 위해 전체 접착층 총량에 대하여 68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고분자 필름과의 화학반응과 접착층의 강성을 위해 98 중량% 이하로 포함된다. The latex may be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natural rubber latex, styrene / butadiene rubber latex, acrylonitrile / butadiene rubber latex, chloroprene rubber latex and styrene / butadiene / vinylpyridine rubber latex. The latex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not less than 68%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adhesive layer for the flexibility of the material and an effective cross-linking reaction with the rubber, and not more than 98% by weight for the chemical reaction with the polymer film and the rigidity of the adhesive layer.

상기 접착층은 0.1 ㎛ 내지 20 ㎛, 또는 0.1 ㎛ 내지 10㎛, 또는 0.2 ㎛ 내지 7 ㎛, 또는 0.3 ㎛ 내지 5 ㎛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고분자 필름의 일 표면 또는 양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0.1 to 20 탆, or 0.1 to 10 탆, or 0.2 to 7 탆, or 0.3 to 5 탆, and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polymer film .

상기 접착층 두께는 너무 얇으면 타이어 팽창시 접착층 자체가 더욱 얇아질 수 있고, 카커스층 및 고분자 필름 사이의 가교 접착력이 낮아질 수 있으며, 접착층 일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피로 특성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이 너무 두꺼우면 접착층에서의 계면 분리가 일어나 피로 특성이 떨어질 수 있다. If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too thin, the adhesive layer itself may become thinner when the tire is inflated, the crosslinking adhesive force between the carcass layer and the polymer film may be lowered, and the stress may concentrate on a part of the adhesive layer. In addition, if the adhesive layer is too thick, the interface separation in the adhesive layer may occur and the fatigue characteristics may be deteriorated.

상기 접착제의 도포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도포 또는 코팅 방법 또는 장치를 별 다른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나이프(Knife) 코팅법, 바(Bar)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또는 스프레이법이나, 또는 침지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나이프(Knife)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또는 바(Bar) 코팅법을 사용하는 것이 접착제의 균일한 도포 및 코팅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The application of the adhesive may be carried out by any conventional coating or coating method or apparatus without limitation, but it may be applied by a knife coating method, a bar coating method, a gravure coating method, a spraying method, Can be used.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a knife coating method, a gravure coating method or a bar coating method in terms of uniform application and coating of the adhesive.

상기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반복 반위; 폴리에테르계 반복 단위; 아릴렌아실 반복 단위; 및 알킬렌아실 반복 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전구체 또는 반응물을 100℃이상의 반응 온도에서 반응시킴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Examples of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copolymer are not limited to a wide range. For example, the polyamide-based repeating units; Polyether-based repeating units; Arylene acyl repeat units; And an alkylene acyl repeating unit; or a reaction product at a reaction temperature of 100 ° C or higher.

또한, 상기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은 큰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알려진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술한 공중합체 또는 선택적으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등을 포함한 원료를 압출 다이로 공급하고 230℃ 내지 300℃에서 용융 및 압출함으로서 고분자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producing the polymer film is not limited, and a commonly known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film can be used. For example, a raw material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copolymer or optionally a polyamide- The polymer film may be formed by supplying the solution to the die and melting and extruding the solution at 230 to 300 ° C.

상기 원료를 용융하는 온도는 230℃ 내지 300 ℃, 또는 240℃ 내지 280 ℃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온도는 폴리아마이드계 화합물의 융점보다는 높아야 하지만, 너무 높으면 탄화 또는 분해가 일어나 필름의 물성이 저해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에테르계 수지 간의 결합이 일어나거나 섬유 배열 방향으로 배향이 발생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는데 불리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at which the raw material is melted may be 230 캜 to 300 캜, or 240 캜 to 280 캜. The melting temperature should be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amide-based compound. However, when the melting point is too high, carbonization or decomposition may occur to deterior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lm, and bonding between the polyether- Which may be disadvantageous for producing a film.

상기 압출 다이는 고분자 수지의 압출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면 별 다른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고분자 필름의 두께를 보다 균일하게 하거나 또는 고분자 필름에 배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T형 다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xtrusion die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be used for extrusion of the polymer resin. However, in order to make the thickness of the polymer film more uniform or to prevent orientation in the polymer film, a T- .

한편, 상기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은, 상기 용융 압출된 원료를 30 ㎛ 내지 300 ㎛의 두께의 필름으로 압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되는 필름의 두께의 조절은 압출 조건, 예를 들어 압출기 토출량 또는 압출 다이의 갭을 조절하거나, 압출물의 냉각 과정 또는 회수 과정의 권취 속도를 변경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film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extruding the melt-extruded raw material into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30 μm to 300 μm. The thickness of the produced film may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extrusion conditions such as the extruder discharge amount or the gap of the extrusion die, or by changing the winding speed of the extrudate during the cooling process or the recovery process.

상기 고분자 필름 층의 두께를 30 ㎛ 내지 300 ㎛의 범위에서 보다 균일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압출 다이의 다이 갭(Die Gap)을 0.3 ㎜ 내지 1.5 ㎜으로 조절할 수 있다. The die gap of the extrusion die may be adjusted to 0.3 mm to 1.5 mm in order to more uniformly control the thickness of the polymer film layer in the range of 30 탆 to 300 탆.

상기 고분자 필름의 제조시, 상기 다이 갭(Die Gap)이 너무 작으면, 용융 압출 공정의 다이 전단 압력이 너무 높아지고 전단 응력이 높아져서 압출되는 필름의 균일한 형태 형성이 어렵고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다이 갭이 너무 크면 용융 압출되는 필름의 연신이 지나치게 높아져 배향이 발생할 수 있고, 제조되는 고분자 필름의 종방향 및 횡방향 간 물성의 차이가 커질 수 있다. If the die gap is too small in the production of the polymer film, the die shear pressure in the melt extrusion process becomes too high and the shear stress becomes high, so that it is difficult to form a uniform film of the extruded film, If the die gap is too large, stretching of the melt-extruded film becomes too high to cause orientation, and the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ies betwe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produced polymer film can be large.

또한, 상기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술한 단계에 의하여 제조된 고분자 필름의 두께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피드백하여 불균일한 두께가 나타나는 위치에 해당하는 압출 다이의 부분, 예를 들어 T-Die의 립 갭(lip gap) 조절 볼트를 조절하여 제조되는 고분자 필름의 편차를 줄임으로서 보다 균일한 두께를 갖는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필름의 두께 측정-피드백-압출 다이의 조절을 자동화된 시스템, 예를 들어 Auto Die 시스템 등을 사용함으로서 자동화된 공정 단계를 구성할 수 있다.Further, in the above-mentioned method of producing a polymer film, the thickness of the polymer film produced by the above-mentioned step is continuously measured, and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is fed back so that the portion of the extrusion di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uneven thickness appears, -Die by adjusting the lip gap adjusting bolt, it is possible to obtain a film having a more uniform thickness by reducing the deviation of the polymer film. In addition, automated process steps can be configured by using an automated system, such as an Auto Die system, to control the thickness of the film-feedback-extrusion die.

본 발명에 따르면, 얇은 두께로도 우수한 기밀성을 구현하여 이너라이너 필름으로 사용시 타이어를 경량화하고 자동차 연비의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성형성과 함께 높은 내구성, 내열성과 낮은 가스 투과도 등의 물성을 갖는 고분자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excellent airtightness even with a thin thickness, so that it can be used as an inner liner film to lighten the tire and improve the automobile fuel economy, and to provide a polymer film having excellent durability, heat resistance and low gas permeability Can be provided.

도 1은 타이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 1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a tire.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 실시예Example 1 내지 3: 고분자 필름의 제조> 1 to 3: Preparation of polymer film &gt;

실시예1Example 1

(1) 공중합체의 합성(1) Synthesis of Copolymer

5L 반응기에 ε-카프로락탐 1.4kg,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분자량 약 2,000) 600g, 아이소프탈산 9.9g, 아디프산 35.1g, 폐놀계 산화방지제 4g을 투입하고 물 80g을 첨가한 후 130℃에서 2시간 동안 60rpm으로 교반하였다. A 5 L reactor was charged with 1.4 kg of? -Caprolactam, 600 g of polyoxypropylene diamine (molecular weight: about 2,000), 9.9 g of isophthalic acid, 35.1 g of adipic acid and 4 g of phenolic antioxidant, 80 g of water was added, Gt; 60 &lt; / RTI &gt;

상기 반응기의 온도를 240℃로 상승시켜 14 ㎏/㎠의 압력을 유지하고 60rpm으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기의 압력을 1시간 동안 서서히 제거하여 상압을 만든 뒤, 0.3 ㎏/㎠의 압력으로 210분 동안 감압하여 중합 반응을 완결시켰다.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raised to 240 캜, and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at 60 rpm for 1 hour while maintaining a pressure of 14 kg / cm 2.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gradually removed for 1 hour to mak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pressure was reduced at a pressure of 0.3 kg / cm &lt; 2 &gt; for 210 minutes to complete the polymerization reaction.

상기 중합 반응을 완료한 후, 2 ㎏/㎠의 가압에 의해 중합물을 배출하여 이를 고분자칩(P-1)으로 제조하였다.After the completion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he polymer was discharged by pressurization of 2 kg / cm 2 to prepare a polymer chip (P-1).

(2) 고분자 필름의 제조(2) Production of polymer film

상기 제조된 칩을 95℃에서 24시간 동안 물로 세척하여 미반응물을 제거한 후, 100℃에서 20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칩을 250℃의 온도에서 용융압출기로 압출하여 120㎛ 두께의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였다.
The chip thus prepared was washed with water at 95 캜 for 24 hours to remove unreacted materials, and then vacuum dried at 100 캜 for 20 hours. The dried chips were extruded at a temperature of 250 ° C by a melt extruder to prepare a 120 μm thick polymer film.

실시예Example 2 2

상기 아이소프탈산 14.9g, 아디프산 30.7g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120㎛ 두께의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였다.
A 120 m thick polymer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4.9 g of the isophthalic acid and 30.7 g of adipic acid were used.

실시예Example 3 3

상기 아이소프탈산 19.9g, 아디프산 26.3g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120㎛ 두께의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였다.
A 120 m thick polymer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9.9 g of the isophthalic acid and 26.3 g of adipic acid were used.

<<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고분자 필름의 제조> 1: Production of polymer film &gt;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상기 아이소프탈산 0g 및 아디프산 43.8g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120㎛의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였다.
A 120 탆 polymer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0 g of the isophthalic acid and 43.8 g of adipic acid were used.

<<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  : 실시예Example  And 비교예에서In the comparative example 얻어진 고분자 필름의 물성 측정> Measurement of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Film Obtained>

1. 융점 및 결정화 온도(℃)1. Melting point an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占 폚)

시차주사열분석기(DSC)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고분자 필름의 융점 및 결정화 온도를 확인하였다.
The melting point and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the polymer film obtain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confirmed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2. 상대점도 (㎗/g)2. Relative viscosity (dl / g)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고분자 필름 각각을 95%의 황산에 녹인 후, 25℃의 온도에서 ASTM D446에 의거하여 우베로드 점도계를 (Ubbelohde Viscometer) 이용하여 상대 점도를 측정하였다. ASTM D446에 의거하여 우베로드 점도계(Ubbelohde Viscometer)를 이용하여 상대 점도를 측정하였다.
Each of the polymer films obtain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1 was dissolved in 95% sulfuric acid, and the relative viscosity was measured at 25 캜 according to ASTM D446 using a Ubbelohde viscometer. The relative viscosity was measured using a Ubbelohde Viscometer according to ASTM D446.

3. 인장 강도 및 인장 탄성율(3.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modulus ( MPaMPa ))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고분자 필름 각각의 시편(폭 15㎜)을 ASTM 882에 의거하여 게이지 길이를 50㎜로 한 후, 50㎜/min의 속도를 적용하여 인장 강도 및 인장 탄성율을 측정하였다
The specimen (width 15 mm) of each of the polymer films obtain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1 was measured for ASTM 882, and the gage length was set to 50 mm. Then, a tensile strength and a tensile strength The elastic modulus was measured

4. 산소 투과도[4. Oxygen permeability [ cccc /(㎡*24/ (㎡ * 24 hrhr ** atmATM )])]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고분자 필름 각각을 산소 투과도 측정 장치(Mocon사 Ox-Tran 2/20)에 거치한 후, 산소 및 캐리어 가스(질소 98%+수소 2%)의 상대 습도는 55%로 유지하면서 23℃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산소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Each of the polymer films obtain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1 was placed in an oxygen permeability meter (Mocon Corp. Ox-Tran 2/20), and then the relative amounts of oxygen and carrier gas (98% nitrogen + 2% hydrogen) The oxygen permeability was measured at a temperature of 23 캜 for 24 hours while maintaining the humidity at 55%.

상기 실험예 1 내지 4의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The results of Experimental Examples 1 to 4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및 비교예 고분자 필름의 실험예 결과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Experimental Example Results of Polymer Film 구분division 융점
(℃)
Melting point
(° C)
결정화 온도
(℃)
Crystallization temperature
(° C)
상대점도
(㎗/g)
Relative viscosity
(Dl / g)
인장강도
(MPa)
The tensile strength
(MPa)
인장탄성율
(MPa)
Tensile modulus
(MPa)
산소투과도
[cc/
(㎡*24hr*atm)]
Oxygen permeability
[cc /
(M &lt; 2 &gt; * 24hr * atm)]
열처리 전Before heat treatment 열처리 후After heat treatment 열처리 전Before heat treatment 열처리 후After heat treatment 실시예1Example 1 214.73214.73 58.4058.40 1.461.46 42.4542.45 36.4936.49 11.7811.78 19.2919.29 250250 실시예2Example 2 214.80214.80 59.6059.60 1.441.44 41.4641.46 37.7237.72 13.2413.24 21.4421.44 240240 실시예3Example 3 214.84214.84 59.6359.63 1.411.41 46.4446.44 41.4341.43 14.2414.24 30.3330.33 240240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216.70216.70 68.7368.73 1.451.45 47.7447.74 35.6435.64 15.7615.76 41.8641.86 540540

상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필름은 비교예 1에서 얻어진 고분자 필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융점 및 결정화 온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열처리 후의 인장 강도 및 인장 탄성률 유지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As shown in Table 1, it was confirmed that the films obtained in Examples 1 to 3 had a relatively low melting point an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s compared with the polymer film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modulus retention after heat treatment were relatively low High.

또한,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필름은 비교예 1의 필름에 비하여 보다 낮은 산소 투과도를 가져서 이너라이너로 사용시 높은 기밀성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films obtained in Examples 1 to 3 had a lower oxygen permeability than the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so that high airtightness can be secured when used as an inner liner.

5. 내열성 평가5. Evaluation of heat resistance

실시예 1 및 3에서 얻어진 필름과 비교예 1에서 얻어진 고분자 필름 각각을 UL 오븐(oven)에서 170℃에서 1시간 및 100℃에서 24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그리고, 상기 열처리 전 후의 고분자 필름의 IR 스펙트럼과 내충격강도를 확인하였다. The films obtained in Examples 1 and 3 and the polymer films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1 were heat-treated in a UL oven at 170 ° C for 1 hour and at 100 ° C for 24 hours. The IR spectrum and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polymer film before and after the heat treatment were confirmed.

상기 내충격강도는 ASTM D6110에 의거하여 충격시험기(Zwick/Roell사 HIT5.5P)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The impact strength was measured using an impact tester (Zwick / Roell HIT5.5P) according to ASTM D6110.

고분자 필름의 열처리 전후의 IR 스펙트럼IR spectra of polymer films before and after heat treatment 구분division 비정질(Amorphous) 피크 강도
(1166cm-1)
Amorphous peak intensity
(1166 cm -1 )
결정질(Crystalline)피크 강도(1203cm-1)Crystalline peak intensity (1203 cm -1 ) 결정질피크강도/
비정질피크강도
Crystalline peak intensity /
Amorphous peak intensity
상대 결정화도(%)Relative crystallinity (%)
실시예 1Example 1 열처리 전Before heat treatment 0.2010.201 0.1970.197 0.9800.980 49.49749.497 열처리 후After heat treatment 0.1970.197 0.2010.201 1.0201.020 50.50350.503 실시예 2Example 2 열처리 전Before heat treatment 0.2120.212 0.2040.204 0.9620.962 49.03849.038 열처리 후After heat treatment 0.2020.202 0.2180.218 1.0791.079 51.90551.905 실시예 3Example 3 열처리 전Before heat treatment 0.2250.225 0.2150.215 0.9560.956 48.86448.864 열처리 후After heat treatment 0.2180.218 0.2320.232 1.0641.064 51.55651.556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열처리 전Before heat treatment 0.2210.221 0.2540.254 1.1491.149 53.47453.474 열처리 후After heat treatment 0.2040.204 0.2970.297 1.4561.456 59.28159.281

상기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고분자 필름은 비정질 피크의 강도 대비 결정질 피크의 강도인 상대 결정화도가 상기 열처리 전후에 모두 52%미만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1의 고분자 필름은 열처리 이후에 상대 결정화도가 52% 초과이며 특히 상기 열처리 후에 상대 결정화도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shown in Table 2, in the polymer films of Examples 1 to 3, the relative crystallinity, which is the intensity of the crystalline peak versus the intensity of the amorphous peak, was found to be less than 52% both before and after the heat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he polymer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had a relative crystallinity of more than 52% after the heat treatment, and the relative crystallinity significantly increased especially after the heat treatment.

고분자 필름의 열처리 전후의 내충격강도Impact strength before and after heat treatment of polymer film 구분division 내열 충격강도(KJ/g)Thermal shock resistance (KJ / g) 열처리 전Before heat treatment 열처리 후After heat treatment 유지율(%)Retention rate (%) 실시예 1Example 1 36803680 25242524 68.5968.59 실시예 2Example 2 39703970 26742674 67.3667.36 실시예 3Example 3 40074007 23212321 57.9257.9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35173517 12441244 35.3735.37

상기 표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고분자 필름은 상기 열처리 후에도 내열 충격 강도가 2000 KJ/g 이상으로 확보되며 내열 충격 강도 유지율 또한 50%이상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1의 고분자 필름은 상기 열처리 후에 내열 충격 강도가 1500 KJ/g 미만으로 떨어지며 내열 충격 강도 유지율 또한 40%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shown in Table 3, it was confirmed that the polymer films of Examples 1 to 3 had a heat-resistant impact strength of at least 2000 KJ / g and a thermal shock resistance retention ratio of 50% or more even after the heat treatment. On the contrary, the polymer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found to have a thermal shock resistance lower than 1500 KJ / g after the heat treatment and a thermal shock resistance retention of less than 40%.

즉,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고분자 필름은 높은 내열성 및 내열 강도를 확보하여 이너라이너 필름으로 적용시 고온에서 반복적인 변형이 이루어지는 타이어 성형 과정이나 자동차 주행 과정에서도 물성 변화가 그리 크지 않을 수 있으며, 고온에서 결정화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온도 상승에 따른 필름 자체의 결정화 및 이에 따른 필름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olymer films of Examples 1 to 3 have high heat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and when used as an inner liner film,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may not be significant during a tire forming process or an automobile running process in which repeated deformation occurs at a high temperature, The rate of crystallization at a high temperature is relatively small, so that crystallization of the film itself due to a rise in temperature and consequent damage to the film can be prevented.

Claims (19)

폴리아마이드계 반복 반위; 폴리에테르계 반복 단위;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 작용기를 포함한 아릴렌아실 반복 단위;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 작용기를 포함한 알킬렌아실 반복 단위;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
Polyamide repeating repeats; Polyether-based repeating units; An arylene acyl repeating unit containing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d at least 2 or more acyl functional groups; And an alkylene acyl repeating unit containing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d at least two acyl functional group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은 타이어의 이너라이너로 사용되는, 고분자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mer film is used as an inner liner of a t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 작용기를 포함한 아릴렌아실 반복 단위;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 그룹 및 적어도 2이상의 아실 작용기를 포함한 알킬렌아실 반복 단위의 몰수비가 1:1 내지 1:9인, 고분자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rylene acyl repeating unit containing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d at least 2 or more acyl functional groups; And an alkylene acyl repeating unit containing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d at least two acyl functional groups is in a molar ratio of 1: 1 to 1: 9.
제1항에 있어서,
170℃에서 1시간 및 100℃에서 24시간 동안 열처리 후, ASTM D6110에 의해 측정한 내열 충격강도가 1500 KJ/g 이상인, 고분자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hermal shock resistance of 1500 KJ / g or more as measured by ASTM D6110 after heat treatment at 170 占 폚 for 1 hour and 100 占 폚 for 24 hours.
제1항에 있어서,
23℃의 온도 및 55RH%의 상대 습도 조건에서 ASTM D 1434 방법을 통하여 24시간 동안 측정한 산소 투과도가 500 cc/(㎡·24hr·atm) 이하인, 고분자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xygen permeability measured by the ASTM D 1434 method at a temperature of 23 캜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RH for 24 hours is not more than 500 cc / (㎡ 24 hr 揃 at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아실 반복 단위는 하기 화학식1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
[화학식1]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1에서, R1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lkylene acyl repeating unit comprises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Chemical Formula 1]
Figure pat00006

In Formula 1, R 1 is a straight or branched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알킬렌아실 반복 단위 0.1 중량%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polymer comprises 0.1 wt% to 20 wt% of the alkylene acyl repea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릴렌아실 반복 단위는 하기 화학식2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
[화학식2]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2에서, Ar은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기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rylene acyl repeating unit comprises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lt; EMI ID =
(2)
Figure pat00007

In Formula 2, Ar is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아릴렌아실 반복 단위 0.1 중량%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polymer comprises 0.1 to 20% by weight of the arylene acyl repea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30,000 내지 5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고분자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poly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30,000 to 500,0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180℃ 이상의 녹는점을 갖는, 고분자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polymer has a melting point of 180 占 폚 or hig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 중 상기 폴리에테르계 반복 단위의 함량이 2 중량% 내지 40중량%인, 고분자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of the polyether-based repeating unit in the polymer film is 2 wt% to 40 w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이 3.0 내지 4.0의 상대점도(황산96% 용액)를 갖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r film further comprises a polyamide resin having a relative viscosity (96% solution of sulfuric acid) of 3.0 to 4.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3.0 내지 4.0의 상대점도(황산96% 용액)를 갖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및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비가 7:3 내지 3:7인, 고분자 필름.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weight ratio of the polyamide based resin having a relative viscosity of 3.0 to 4.0 (96% solution of sulfuric acid) and the copolymer is 7: 3 to 3: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의 두께가 30 ㎛ 내지 300 ㎛인, 고분자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r film has a thickness of 30 탆 to 300 탆.
제1항에 있어서,
내열제 0.0001 중량% 내지 2.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further comprising 0.0001% to 2.5% by weight of a heat resistant agen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제는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방향족 아민계 화합물, 인계 화합물, 무기 화합물, 폴리아마이드계 화합물, 폴리에테르계 화합물 및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heat resistant agent is a polymer comprising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indered phenol compound, an aromatic amine compound, a phosphorus compound, an inorganic compound, a polyamide compound, a polyether compound and a hindered amine compound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포함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r film further comprises an adhesive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mer film and including a resorcinol-formalin-latex (RFL) -based adhesiv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0.1 ㎛ 내지 20 ㎛의 두께를 갖는, 고분자 필름.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0.1 占 퐉 to 20 占 퐉.
KR1020140193996A 2014-12-30 2014-12-30 Polymer film KR201600807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996A KR20160080789A (en) 2014-12-30 2014-12-30 Polymer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996A KR20160080789A (en) 2014-12-30 2014-12-30 Polymer fil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789A true KR20160080789A (en) 2016-07-08

Family

ID=5650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996A KR20160080789A (en) 2014-12-30 2014-12-30 Polymer fil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078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592A (en) * 2016-09-29 2018-04-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olymer film for the hydrogen tank l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592A (en) * 2016-09-29 2018-04-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olymer film for the hydrogen tank l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980B1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053328B1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379502B1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11122876A2 (en) Film for a tyre inner liner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WO2012002750A2 (en) Film for tire inner 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2940058B1 (en) Cross-linked polymer, 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polymer film
KR20130035975A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062816B1 (en) Polymer film
KR101338507B1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293212B1 (en) Polymer film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KR102023167B1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338506B1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0150329744A1 (en) Film for tire inner l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80789A (en) Polymer film
KR102027423B1 (en) Film for inner-liner
KR20160002138A (en) Polymer film
KR102123626B1 (en) Polymer film
KR102002985B1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516715B1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188026B1 (en) Copolymer andn polymer film
KR102105686B1 (en) Copolymer andn polymer film
KR102149520B1 (en) Polymer film
KR20130035977A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40089010A (en) Conditioning method for tire inner liner film and preparation method of pneumatic tire
KR20130035976A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