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762A -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762A
KR20160080762A KR1020140193795A KR20140193795A KR20160080762A KR 20160080762 A KR20160080762 A KR 20160080762A KR 1020140193795 A KR1020140193795 A KR 1020140193795A KR 20140193795 A KR20140193795 A KR 20140193795A KR 20160080762 A KR20160080762 A KR 20160080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ode
boiler
temperature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2081B1 (ko
Inventor
김인호
Original Assignee
김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호 filed Critical 김인호
Priority to KR1020140193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081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02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1Storage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 상기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에서 가열되는 온수가 저장되는 축열탱크;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HOT-WAT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를 가열하는데 따른 시간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온천, 빌딩, 사우나, 비닐하우스, 온실 등의 대형 시설을 비롯하여 일반 가정집을 포함한 소형 시설까지도 저온에서의 보일러 온도 상승이 쉽지 않다.
예컨대, 온수의 사용을 위해 보일러를 가동시킨 경우, 초기의 저온에서는 그 온도가 매우 느리게 상승되다가 일정한 시점, 예컨대 물의 온도가 45℃ 이상이 되는 시점에서는 신속하게 가열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인해 온수의 초기 온도조절에 많은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겨울철에 샤워를 하기 위해 온수를 틀 경우, 보일러가 온수를 완전히 가열하는데 까지는 대략 수 분 내지 수십 분 이상이 걸리기 때문에 물을 틀어놓고 온수가 나올 때까지 불가피하게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롭고 진보된 타입의 급탕시스템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87-000431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1-001125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09577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7-002574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를 가열하는데 따른 시간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 상기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에서 가열되는 온수가 저장되는 축열탱크;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온수의 온도와 목표가열온도 사이에 형성되는 가열터닝온도까지 상기 상온수가 가열될 때는 상기 제1 전극보일러의 동작만을 온(on)시키도록 컨트롤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축열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상기 가열터닝온도에 도달될 때 상기 제2 전극보일러의 동작을 추가로 온(on)시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의 동작에 의해 물이 가열되도록 컨트롤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 모두는, 제1 및 제2 보일러 본체; 상기 제1 및 제2 보일러 본체 내에 각각 한 쌍으로 이격 배치되어 물을 가열하는 제1 및 제2 전극봉; 상기 제1 및 제2 보일러 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보일러 본체 내의 물이 배출되는 제1 및 제2 물 배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보일러 본체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보일러 본체 내로 물이 유입되는 제1 및 제2 물 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열탱크와 제1 및 제2 물 배출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물 배출라인; 상기 축열탱크와 상기 제1 및 제2 물 유입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물 유입라인; 및 상기 제1 및 제2 물 유입라인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물 유입라인을 따라 흐르는 물을 펌핑하는 제1 및 제2 라인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물 유입라인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물 유입라인 상에서 물의 역류를 저지시키는 제1 및 제2 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보일러에 결합되며, 상기 축열탱크에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를 가열하는데 따른 시간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를 가열하는데 따른 시간이 감소되기 때문에 추운 겨울철에 온수를 사용할 때에도 기다릴 필요 없이 즉각 사용할 수 있어 온수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적은 양의 온수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양의 물의 가열해야 하는데 따른 시간적 혹은 경제적인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물의 온도 상승 곡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물의 온도 상승 곡선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보일러, 예컨대 본 실시예 적용되는 제1 전극보일러(110) 또는 제2 전극보일러(120)로 물을 가열할 때는 도 1의 그래프처럼 저온에서는 매우 느린 속도로 온도가 상승하며, 45℃ 이상에서는 가파른 속도로 물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상온수의 온도와 목표가열온도 사이에 형성되는 가열터닝온도까지(P1) 상온수가 가열될 때는 매우 느린 속도로 진행되며, 가열터닝온도 이상에서는(P2) 빠른 속도로 물이 가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물의 가열 특성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인 것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은 온수를 가열하는데 따른 시간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 축열탱크(130), 그리고 컨트롤러(190)를 포함한다.
우선,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는 상온수를 가열하여 온수로 만드는 보일러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는 2개가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구동된다. 즉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는 컨트롤러(190)에 의해 독립적으로 그 동작이 온/오프(on/off)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는 기존의 전기보일러와 차별화 된 전혀 다른 개념의 보일러이다.
기존의 전기보일러는 전기로 도시 않은 히터봉을 가열시키고 가열된 히터봉이 물을 가열시키는 방식이다.
하지만,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의 경우, 히터봉이 없으며, 제1 및 제2 전극봉(112,122)이 적용된다.
전기를 공급하더라도 제1 및 제2 전극봉(112,122)에는 열이 발생되지 않는다. 대신, 제1 및 제2 전극봉(112,122)에 전기가 인가되면 이들 사이의 물이 이온화되면서 물 분자가 유동저항체로 작용하여 1 Kw 당 860 Kcal의 주울열을 발생시킨다. 물의 온두가 상승함에 따라 물의 저항값이 더욱 가파르게 올라감에 따라 더욱 더 짧은 시간에 원하는 고온수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발생되는 열은 제1 및 제2 전극봉(112,122) 내의 열매체유로 인하여 낮은 온도에서 기화되어 열전도율을 더욱 향상시켜 빠른 열 확산으로 물에 열을 증폭하는 역할을 하여, 최고의 열효율이 나도록 함으로써 물을 보다 빠른 시간에 가열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는 기존의 전기보일러 사용대비 20% 이상의 에너지 절감효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본 실시예서는 이와 같은 장점을 갖는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를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는 2대가 병렬적으로 배치된 것이므로 그 구조는 서로 동일하다.
즉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 모두는 물이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보일러 본체(111,121)와, 제1 및 제2 보일러 본체(111,121) 내에 각각 한 쌍으로 이격 배치되어 물을 가열하는 제1 및 제2 전극봉(112,12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보일러 본체(111,121)의 하단부에는 제1 및 제2 보일러 본체(111,121) 내의 물이 배출되는 제1 및 제2 물 배출부(113,123)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보일러 본체(111,121)의 상단부에는 제1 및 제2 보일러 본체(111,121) 내로 물이 유입되는 제1 및 제2 물 유입부(114,124)가 마련된다.
다음으로, 축열탱크(130)는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와 연결되며,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에서 가열되는 온수가 저장되는 탱크이다. 탱크의 용량은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축열탱크(130)와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가 연결되기 위해 제1 및 제2 물 배출라인(141,142), 그리고 제1 및 제2 물 유입라인(151,152)이 마련된다.
제1 및 제2 물 배출라인(141,142)은 축열탱크(130)와 제1 및 제2 물 배출부(113,123)를 각각 연결하는 파이프이고, 제1 및 제2 물 유입라인(151,152)은 축열탱크(130)와 제1 및 제2 물 유입부(114,124)를 각각 연결하는 파이프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 물 유입라인(151,152)에는 제1 및 제2 물 유입라인(151,152)을 따라 흐르는 물을 펌핑하는 제1 및 제2 라인펌프(161,162)가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라인펌프(161,162)의 주변 제1 및 제2 물 유입라인(151,152)에는 제1 및 제2 물 유입라인(151,152) 상에서 물의 역류를 저지시키는 제1 및 제2 체크밸브(171,172)가 더 마련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전극보일러(110)와 달리, 제2 전극보일러(120)에 는 축열탱크(130)에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180)가 마련된다.
온도 센서(180)는 제2 물 유입부(124)에 인접된 위치의 제2 보일러 본체(121)에 결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컨트롤러(190)는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90)는 상온수의 온도와 목표가열온도 사이에 형성되는 가열터닝온도까지 상온수가 가열될 때는 제1 라인펌프(161)의 동작만을 온(on)시키도록 컨트롤하고, 축열탱크(130)에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가열터닝온도에 도달될 때 제2 라인펌프(162)의 동작을 추가로 온(on)시켜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의 동작에 의해 물이 가열되도록 컨트롤한다.
이러한 컨트롤러(190)는 중앙처리장치(191, CPU), 메모리(192, MEMORY),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91)는 본 실시예에서 상온수의 온도와 목표가열온도 사이에 형성되는 가열터닝온도까지 상온수가 가열될 때는 제1 라인펌프(161)의 동작만을 온(on)시키도록 컨트롤하고, 축열탱크(130)에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가열터닝온도에 도달될 때 제2 라인펌프(162)의 동작을 추가로 온(on)시켜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의 동작에 의해 물이 가열되도록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9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91)와 연결된다. 메모리(19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9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9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90)는 상온수의 온도와 목표가열온도 사이에 형성되는 가열터닝온도까지 상온수가 가열될 때는 제1 라인펌프(161)의 동작만을 온(on)시키도록 컨트롤하고, 축열탱크(130)에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가열터닝온도에 도달될 때 제2 라인펌프(162)의 동작을 추가로 온(on)시켜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의 동작에 의해 물이 가열되도록 컨트롤한다.
이때, 상온수의 온도와 목표가열온도 사이에 형성되는 가열터닝온도까지 상온수가 가열될 때는 제1 라인펌프(161)의 동작만을 온(on)시키도록 컨트롤하고, 축열탱크(130)에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가열터닝온도에 도달될 때 제2 라인펌프(162)의 동작을 추가로 온(on)시켜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의 동작에 의해 물이 가열되도록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온수를 틀었을 때는 제1 라인펌프(161)만 동작되도록 하여 제1 전극보일러(110)의 제1 보일러 본체(111) 내에 물 공급을 적게 하여 제1 보일러 본체(111) 내에 물이 오랫동안 머물게 하여 물 온도를 높게 그리고 빠르게 유지하도록 하고, 축열탱크(130)에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일정 온도, 즉 가열터닝온도(도 1 참조) 이상이 되었을 때는 제2 라인펌프(162)를 함께 동작시켜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에 의해 빠른 속도로 축열탱크(130) 내의 물의 온도를 올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온수를 가열하는데 따른 시간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온수를 가열하는데 따른 시간이 감소되기 때문에 추운 겨울철에 온수를 사용할 때에도 기다릴 필요 없이 즉각 사용할 수 있어 온수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적은 양의 온수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양의 물의 가열해야 하는데 따른 시간적 혹은 경제적인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 역시,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 축열탱크(130), 그리고 컨트롤러(190)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에는 상기 구조에 더하여 입력부(280), 타이머(285), 그리고 컨트롤러(270)를 포함한다.
입력부(280)는 온수의 사용 여부를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패널이다. 벽면에 설치된 고정형일 수도 있고, 아니면 리모콘 타입의 이동형일 수도 있다.
이에, 사용자가 입력부(280)의 버튼을 통해 온수 사용을 체크한다. 그러면 컨트롤러(270)는 타이머(285)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예컨대 3초 동안은 제1 전극보일러(110)를 구동시키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완료되면 제2 전극보일러(120)가 제1 전극보일러(110)와 함께 구동되도록 컨트롤함으로써, 급탕이 가능토록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온수를 가열하는데 따른 시간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온수를 가열하는데 따른 시간이 감소되기 때문에 추운 겨울철에 온수를 사용할 때에도 기다릴 필요 없이 즉각 사용할 수 있어 온수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적은 양의 온수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양의 물의 가열해야 하는데 따른 시간적 혹은 경제적인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 역시,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110,120), 축열탱크(130), 그리고 컨트롤러(190)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에는 상기 구조에 더하여 축열탱크(130) 내의 물 입구 영역에 배치되어 물 입구 영역의 수온을 체크하는 제1 수온센서(381)와, 축열탱크(130) 내의 물 출구 영역에 배치되어 물 출구 영역의 수온을 체크하는 제2 수온센서(38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컨트롤러(370)는 제1 및 제2 수온센서(381.382)로부터의 물 입구 영역과 물 출구 영역의 수온값을 받아 비교한 후, 수온 비교값이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하거나 적을 때, 제2 전극보일러(120)의 동작이 온(on)되도록 컨트롤한다.
다시 말해, 구동 초기에는 제1 라인펌프(161)만을 동작시켜 물을 가열하다가 축열탱크(130)의 물 입구 영역과 물 출구 영역의 수온 비교값이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하거나 적을 때, 제2 라인펌프(162)를 추가로 동작시켜서 더욱 빨리 물이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온수를 가열하는데 따른 시간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온수를 가열하는데 따른 시간이 감소되기 때문에 추운 겨울철에 온수를 사용할 때에도 기다릴 필요 없이 즉각 사용할 수 있어 온수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적은 양의 온수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양의 물의 가열해야 하는데 따른 시간적 혹은 경제적인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제1 전극보일러 111 : 제1 보일러 본체
112 : 제1 전극봉 113 : 제1 물 배출부
114 : 제1 물 유입부 120 : 제2 전극보일러
121 : 제2 보일러 본체 122 : 제2 전극봉
123 : 제2 물 배출부 124 : 제2 물 유입부
130 : 축열탱크 141,142 : 제1 및 제2 물 배출라인
151,152 : 제1 및 제2 물 유입라인 161,162 : 제1 및 제2 라인펌프
171,172 : 제1 및 제2 체크밸브 180 : 온도 센서
190 : 컨트롤러

Claims (7)

  1.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
    상기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에서 가열되는 온수가 저장되는 축열탱크;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온수의 온도와 목표가열온도 사이에 형성되는 가열터닝온도까지 상기 상온수가 가열될 때는 상기 제1 전극보일러의 동작만을 온(on)시키도록 컨트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축열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상기 가열터닝온도에 도달될 때 상기 제2 전극보일러의 동작을 추가로 온(on)시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의 동작에 의해 물이 가열되도록 컨트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보일러 모두는,
    제1 및 제2 보일러 본체;
    상기 제1 및 제2 보일러 본체 내에 각각 한 쌍으로 이격 배치되어 물을 가열하는 제1 및 제2 전극봉;
    상기 제1 및 제2 보일러 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보일러 본체 내의 물이 배출되는 제1 및 제2 물 배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보일러 본체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보일러 본체 내로 물이 유입되는 제1 및 제2 물 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탱크와 제1 및 제2 물 배출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물 배출라인;
    상기 축열탱크와 상기 제1 및 제2 물 유입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물 유입라인; 및
    상기 제1 및 제2 물 유입라인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물 유입라인을 따라 흐르는 물을 펌핑하는 제1 및 제2 라인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물 유입라인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물 유입라인 상에서 물의 역류를 저지시키는 제1 및 제2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보일러에 결합되며, 상기 축열탱크에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
KR1020140193795A 2014-12-30 2014-12-30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 KR101652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795A KR101652081B1 (ko) 2014-12-30 2014-12-30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795A KR101652081B1 (ko) 2014-12-30 2014-12-30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762A true KR20160080762A (ko) 2016-07-08
KR101652081B1 KR101652081B1 (ko) 2016-08-30

Family

ID=56503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795A KR101652081B1 (ko) 2014-12-30 2014-12-30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0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239A (ko) * 2019-01-02 2020-07-1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주 보일러 및 보조 보일러를 포함하는 축열식 심야 보일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969B1 (ko) 2019-02-21 2019-11-18 농업회사법인 (주)해성씨드플러스 전극 부식이 개선된 전극보일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보일러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4314A (ko) 1984-10-19 1987-05-08 로버트 에스·헐스 성분 비데오신호 특성의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910011250A (ko) 1989-12-06 1991-08-07 에프.쥐.엠.헤르만스 피.씨.샬크비크 향정신성 약물의 안정화 용액
KR970025745A (ko) 1997-03-10 1997-06-24 윤대승 다목적 음식물 및 생활쓰레기 처리장치
KR20050095776A (ko) 2003-01-28 2005-09-30 위시노 초고강도 냉간 및 열간 압연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49802B1 (ko) * 2006-03-06 2007-08-16 박성돈 전기보일러
KR20090006918A (ko) * 2007-07-13 2009-01-16 한민섭 열매체유를 이용한 축열전기보일러
KR101016256B1 (ko) * 2010-06-10 2011-02-21 (주)에이치엠테크노 전류 제어식 전기 전극봉 보일러
KR20110035297A (ko) * 2009-09-30 2011-04-0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병렬 보일러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4314A (ko) 1984-10-19 1987-05-08 로버트 에스·헐스 성분 비데오신호 특성의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910011250A (ko) 1989-12-06 1991-08-07 에프.쥐.엠.헤르만스 피.씨.샬크비크 향정신성 약물의 안정화 용액
KR970025745A (ko) 1997-03-10 1997-06-24 윤대승 다목적 음식물 및 생활쓰레기 처리장치
KR20050095776A (ko) 2003-01-28 2005-09-30 위시노 초고강도 냉간 및 열간 압연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49802B1 (ko) * 2006-03-06 2007-08-16 박성돈 전기보일러
KR20090006918A (ko) * 2007-07-13 2009-01-16 한민섭 열매체유를 이용한 축열전기보일러
KR20110035297A (ko) * 2009-09-30 2011-04-0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병렬 보일러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016256B1 (ko) * 2010-06-10 2011-02-21 (주)에이치엠테크노 전류 제어식 전기 전극봉 보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239A (ko) * 2019-01-02 2020-07-1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주 보일러 및 보조 보일러를 포함하는 축열식 심야 보일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081B1 (ko) 201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6367B1 (en) Hot water apparatus and failure notification method for hot water apparatus
RU2723274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теплофикационный и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US8813687B2 (en) Control algorithm for water heater
KR102221181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1652081B1 (ko) 전극보일러 급탕시스템
KR20130055086A (ko) 동결방지용 전기히터를 이용한 보일러의 온수 예열 운전방법
KR101541716B1 (ko) 전극식 온수 및 스팀 보일러 시스템
JP6368493B2 (ja) 給湯システム
KR101570804B1 (ko) 전극보일러의 전해액 자동 주입시스템
JP6628643B2 (ja) 給湯システム
JP3864981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JP2016191493A (ja) 貯湯式給湯装置
KR20110127937A (ko) 전기 보일러
CN101461663B (zh) 一种即热式饮水机水热系统
KR102014071B1 (ko) 온수저장탱크를 구비한 난방전용 보일러의 온수 난방 자동전환 제어방법
JP6920839B2 (ja) 給湯システム
KR20170001494A (ko) 전극보일러 전류제어시스템
JP3962753B2 (ja) 給湯システム
JP6851256B2 (ja) 床暖房システム
JP2004150650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JP6696157B2 (ja) 給湯システム
JP6899678B2 (ja) 給湯システム
JP5965767B2 (ja) 給湯装置
JP6099544B2 (ja) ヒートポンプ貯湯式給湯暖房装置
US20220252302A1 (en) Smart electric he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