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633A - A terminal for noise redu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terminal for noise redu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633A
KR20160080633A KR1020140193216A KR20140193216A KR20160080633A KR 20160080633 A KR20160080633 A KR 20160080633A KR 1020140193216 A KR1020140193216 A KR 1020140193216A KR 20140193216 A KR20140193216 A KR 20140193216A KR 20160080633 A KR20160080633 A KR 20160080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information
cal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2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9286B1 (en
Inventor
강홍석
아지훈
홍종철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3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286B1/en
Publication of KR20160080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6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2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08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transmitt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38Interface circuits for coupling substations to external telephone lines
    • H04M1/74Interface circuits for coupling substations to external telephone lines with means for reducing interference;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due to line fa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terminal which provides a vehicle interface as a terminal for providing vehicl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a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a call interface generation unit which generates a call interface upon reviewing the call signal and provides the call interface through the vehicle interface; and a filtering unit which removes an information providing sound signal output in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from a sound signal received from a microphone connected to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call interface,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sound signal removed in the filtering unit to the base st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provide the terminal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apable of reducing noise generated while on the phone.

Description

노이즈 제거를 위한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A TERMINAL FOR NOISE REDU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for removing nois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노이즈 제거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내에서 통화 중인 단말기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 canceling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for removing noise from a terminal in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A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네비게이션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a multimedia player (multimedia player) having a complex function such as photographing or video shooting, playing music or video file, receiving game, broadcasting, .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such a terminal,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or software portion of the terminal.

또한, 현대에 들어서 스마트폰의 보급율이 높아짐에 따라, 차량에 제공되는 통상적인 차량정보 제공단말(AVN :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장치에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유, 무선으로 연결하여, 차량정보 제공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을 제어하는 기술이 보급되어 있다.In addition, as the penetration rate of smart phone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a user's smartphone is connected to a conventional AVN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provided in a vehicle, Or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a smart phone has become popular.

그러나 기존의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스마트폰의 경우 스마트폰에 호신호가 수신되어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할 경우, 통화 중 차량정보 제공단말기가 제공하는 정보제공 음성신호가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함께 스마트폰으로 제공되어 통화 중인 타인에게 음성신호와 음성신호가 동시에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smart phone connected to an existing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by wire,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by a smart phone and the user performs a call, the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provided by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during communic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s voice And a voice signal and a voice signal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another person in a call.

이로 인해, 사용자와 타인의 통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result,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other person can not be performed smoothly.

본 발명은 차량내의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에 연결된 통화가 가능한 단말기가 호신호 수신 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 중, 차량정보 제공단말기가 출력하는 정보제공 음성신호가 제거된 필터링 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통화 중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감소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filtered signal, from which an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output from a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is removed from a voice signal of a user inputted through a microphone, To a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reducing noise generated during a call.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로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송신된 호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호신호가 수신되면 통화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통화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화인터페이스 생성부; 및 상기 통화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와 연결된 마이크에서 수신되는 음성신호로부터,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정보제공 음성신호를 제거 처리하는 필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필터링부에서 제거 처리된 음성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for providing a vehicle interface to a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the terminal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A call interfac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call interface upon receiving the call signal and providing the call interface through the vehicle interface; And a filtering unit for removing an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from a voice signal received at a microphone connected to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ccording to an input to the call interface, And transmits the voice signal removed by the filtering unit to the base station.

본 발명은 차량을 운전중인 운전자가 본인의 단말기를 차량의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에 유/무선으로 연결했을 경우, 단말기에 호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와 단말기는 통화 중에 발생하는 정보제공 음성신호에 의한 노이즈 신호를 감소시켜 기지국 또는 타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서, 발신자와 수신자간의 통화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river, who is driving a vehicle, connects his / her terminal to a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of a vehicle via wire or wireless,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at the terminal, The noise signal by the signal is reduced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or another terminal, so that the call between the sender and the receiver can be smoothly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부에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와 단말기가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100)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동작을 수행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nd a termina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operations of a terminal and a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operations of th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operations of th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설명한다.Th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navigation. The overall system includ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부에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와 복수의 단말기가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는 단말기(100) 및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over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100 and a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located inside a vehicle.

먼저, 단말기(100)는 통상의 휴대 단말기로써,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고,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와 연결되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출력부(225)로 단말기(100)의 화면을 전송할 수 있다.First, the terminal 100 is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vehicle and can be connected to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hrough wire / wireless connection. And may transmit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0 to the output unit 225 of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in connection with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차량에 구비되거나 장착되는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특정 지점까지의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차량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블랙 박스,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차량용 블랙박스로 구현되는 경우, 그 자체 혹은 내비게이션과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devices provided or mounted in the vehicle. For example,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may include navigation capable of performing route guidance to a specific point, a black box for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and storing or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a smart phone, a tablet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or the like. When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is implemented as a black box for a vehicle,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can be implemented by itself or integrated with navigation.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차량용 내비게이션이거나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증강 현실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as a car navigation system or a vehicle black box or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example.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차량용 내비게이션이나 증강 현실 시스템인 경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차량의 운행, 유지 등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차량의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그 자체일 수 있으며,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100)와 유무선으로 연동되어 작동하는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When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is a navigation system for an automobile or an augmented reality system,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may be a system for notifying a driver and a passenger of the vehicle of various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maintenance, and the like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may be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nd may be a concept including a terminal 100 providing a vehicle interface and various display devices operating in cooperation with wired and wireless lines.

특히, 단말기(100)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기능을 제공, 보완, 증대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통합된 시스템을 구성할수 있다. 전체 시스템에 있어서의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terminal 100 can form an integrated system b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that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can provide, supplement, or enhance the function of the navigation system for a vehicle. The terminal 100 in the entire system can be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a tablet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which can be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유/무선으로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차량의 내부에 제공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를 통해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를 제어할 수도 있다.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via wire or wireless, and is provided inside the vehicle. Accordingly, the user can control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and can also control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using the terminal 100.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제1 모드에서, 상기 단말기(100)의 기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를 자체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단말기(100)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기능과 관계 없이, 기본적으로 단말기(100)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기능은 통화 기능, 문자 기능, 인터넷 기능, 메모 기능 또는 스케쥴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first mode,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a first interface capable of controlling basic functions of the terminal 100 itself. In the first mode, the terminal 100 can basically perform the functions provided to the user regardless of the function of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 For example, the basic functions may include a call function, a character function, an Internet function, a memo function, or a schedule func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로 차량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2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모드에서, 단말기(100)는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는 통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In this case, the terminal 100 can output the vehicle interface to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and switch to the second mode for controlling the vehicle interface. In particular, in the second mode, the terminal 10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vehicle interface to control the vehicle interface. The vehicle interface may also provide a call interface.

그리고, 차량의 내부에는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 및 단말기(100)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단말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단말기(100)는 기지국(10)과 이동통신망(20)을 통하여 호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and the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nd one or more terminals may be further provided. The terminal 100 may receive a call signal through the base station 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 [

다음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한다.The structur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단말기(100)는 제어부(105), 무선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출력부(125), 차량 시스템 연결부(130), 전원 공급부(135), 저장부(140), 음성 필터링부(145) 및 통화인터페이스 생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05,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 user input unit 120, an output unit 125, a vehicle system connection unit 130, a power supply unit 135, a storage unit 140, Unit 145, and a call interface generation unit 150. [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so that the terminal 100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먼저, 무선 통신부(110)는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등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networks.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이동 통신 모듈(111)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영상 신호,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1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voice signal, a video signal,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그리고, 위치정보 모듈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2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embedded in the terminal 100 or externall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3 is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is a module for acquir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20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출력부(125)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26), 음향 출력 모듈(127)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25 is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126, an audio output module 127,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26)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단말기(100)가 통화인터페이스 제공 모드인 경우 통화인터페이스 제공과 관련된 UI가 표시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6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to be processed by th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100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the call is displayed.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100 is in the call interface providing mode, a UI related to providing a call interface may be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26)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6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d the like.

음향 출력 모듈(127)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27)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27)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27 may receive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27 also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and the like) performed in the terminal 100. [ The audio output module 127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저장부(140)는 제어부(105)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05 and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moving picture, etc.).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data on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차량 시스템 연결부(130)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차량 시스템과의 통로 역할을 한다. 차량 시스템 연결부(130)는 차량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차량 시스템으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vehicle system connection unit 130 serves as a pathway to the vehicle system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e vehicle system connection unit 130 receives data from the vehicle system,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terminal 100, or allows data in the terminal 100 to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system.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차량 시스템 연결부(130)에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 audio I / O port, a video I / O port, An earphone port or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vehicle system connection unit 130.

제어부(controller, 105)는 통상적으로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05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5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135)는 제어부(105)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35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5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음성 필터링부(145)는 A/V 입력부(115)의 마이크(11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필터링 한다. 음성 필터링부(145)는 마이크(116)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 중,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출력하는 정보제공 음성신호만을 검출하여 제거한다. 그 후 음성 신호 중, 정보제공 음성신호가 제거된 필터링 신호를 단말기(100) 또는 타 단말기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정보제공 음성신호는 네비게이션 음성 신호, 경고 음성 신호 등의 차량 정보 제공을 위한 음성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voice filtering unit 145 filters the user's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16 of the A / V input unit 115. The voice filtering unit 145 detects and removes only the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among the user's voice signals inputted through the microphone 116. [ Then, among the voice signals, the filtering signal from which the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is removed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or another terminal.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may include a voice signal for providing vehicle information such as a navigation voice signal, a warning voice signal, and the like.

통화인터페이스 생성부(150)는 미리 결정된 방식에 따라 통화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통화인터페이스를 차량 시스템 연결부(130)를 통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로 전달한다. 통화인터페이스는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의 조합이거나, 차량정보 단말기(200)에서 출력 가능한 제어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되어 전송될 수 있다. The call interface generation unit 150 generates a call interfa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all interface to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hrough the vehicle system connection unit 130. [ The call interface may be a combination of video or audio data, or may be converted into a control data format outputable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200 and transmitted.

또한, 일 실시 예에서 통화인터페이스는 차량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차량 인터페이스는 네비게이션 정보 기타 차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화인터페이스 생성부(150)는 차량정보 단말기(200)를 통해 제공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정보제공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차량 인터페이스 및 이에 포함되는 통화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Also, in one embodiment, the call interface may be included in the vehicle interface. The vehicle interface may include navigation information and other vehicle information, and the call interface generating unit 150 may include a vehicle interface and a vehicle interface (not shown) for outputting various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s through the vehicle interface provided through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200 Lt; / RTI > interface.

그리고, 사용자는 통화인터페이스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를 통해 출력됨에 따라, 차량 AVN(Audio video navigation system)을 제공받을 수 있다. 차량 AVN은 차량 운행과 연관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a vehicle AVN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as the call interface is outputted through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he vehicle AVN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vehicle operation.

다음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구조를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전술한 단말기(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차량 인터페이스 및 이에 포함되는 통화인터페이스를 입력 받아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차량 정보를 검출하고, 통화인터페이스에 부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in a wireless manner and may receive a vehicle interface and a call interface included in the terminal 100 to perform display. Also,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can detect the vehicle information and output it in addition to the call interface.

이를 위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제어부(205), A/V 입력부(210), 사용자 입력부(215), 차량정보 검출부(220), 출력부(225), 인터페이스부(230), 전원 공급부(235) 및 음성 필터링부(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includes a control unit 205, an A / V input unit 210, a user input unit 215, a vehicle information detection unit 220, an output unit 225, an interface unit 230, A supply unit 235, a voice filtering unit 240, and the like.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에 구비되어 있는 A/V 입력부(210)는 카메라(211), 마이크(212)로 구성될 수 있다.The A / V input unit 210 provided in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may include a camera 211 and a microphone 212.

카메라(21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26)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5)는 카메라(211)를 통해 운전자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205)는 모션 인식에 따라 출력부(225)에 디스플레이 되는 통화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The camera 21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26.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5 can recognize the motion of the driver through the camera 211. [ The control unit 205 may control the call interface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225 according to the motion recognition.

마이크(21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제어부(205)는 음성 데이터에 따라 출력부(225)에 디스플레이 되는 통화인터페이스를 제어하거나, 제어 신호가 단말기(100)로 전달되도록 제어하거나, 통화 음성이 단말기(100)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microphone 21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control unit 205 may control the call interface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225 according to the voice data or control the contro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or control the voice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

사용자 입력부(215)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215)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215 generates input data for user's operation control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215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차량정보 검출부(220)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부착되어 있는 차량의 차량정보를 검출한다. 검출하는 차량의 정보는 차량의 주행속도, 운전자의 운전 정보, 차량의 주행가능여부 및 주위상황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검출한 차량의 정보는 출력부(225)를 통하여 통화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차량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vehicle information detecting unit 220 detects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which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is attached.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be detected may be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driver, the traveling possibility of the vehicle,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The detected vehicl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call interface through the output unit 225 to provide the user with vehicle status information.

인터페이스부(230)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230)는 단말기(100)로부터 통화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외부 전원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인터페이스부(23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단말기(100)등의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unit 23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he interface unit 230 receives the call interface data from the terminal 100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interface unit 230,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the terminal 100.

음성 필터링부(240)는 A/V 입력부(210)의 마이크(21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필터링한다. 음성 필터링부(240)는 마이크(21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 중,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출력하는 정보제공 음성신호만을 검출하여 제거한다. 그 후, 정보제공 음성신호가 제거된 필터링 신호를 단말기(100) 또는 타 단말기로 전송한다.The voice filtering unit 240 filters the user's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11 of the A / V input unit 210. The voice filtering unit 240 detects and removes only the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from among the user's voice signals inputted through the microphone 211. Thereafter, the filtering signal, from which the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is removed,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or another termina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100)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동작을 수행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이 출력 중인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단말기(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 후 단말기(100)에 호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단말기(100)로부터 통화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출력하는 정보제공 음성신호를 식별한다. 그 후, 사용자(400)가 호신호를 수락하여 통화를 시작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4 (a),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in which navigation is being output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via wire / wireless connection. When the call signal is received at the terminal 100,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receives the call interface from the terminal 100 and identifies the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hereafter, the user 400 may accept the call signal and initiate the call.

단말기(100)의 통화가 시작되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마이크(212)는 사용자(400)의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음성신호를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로 전송한다. 그 후, 전술한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음성 필터링부(240)는 상기 수신한 음성신호 중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제공하는 정보제공 음성신호를 제거하여, 노이즈가 제거된 필터링 신호를 생성한다.When the communication of the terminal 100 is started, the microphone 212 of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receives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400. And transmits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After that, the voice filtering unit 240 of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removes the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provided by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from the received voice signals, .

그 후,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상기 필터링 신호를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단말기(100)는 수신한 필터링 신호를 기지국(10)으로 제공한다.4 (b),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ransmits the filtering signal to the terminal 100, and the terminal 100 provides the received filtering signal to the base station 10 do.

이때, 단말기(100)로 호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100)는 자체의 통화음성 입출력 기능을 차단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400)의 음성신호가 마이크(212)를 통해 전달되지 않고 단말기(100)로 직접 수신되어 기지국(10)으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ㄷAt this time,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by the terminal 100, the terminal 100 may block its own call voice input / output function. This is to prevent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400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0 and directly received by the terminal 100 without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microphone 212.

이로 인해, 단말기(100)로 호신호를 발신한 발신자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에서 출력되는 정보제공 음성신호를 듣지 않고, 사용자(400)의 음성신호만을 수신함으로써, 전화 통화를 원활히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aller who has transmitted the call signal to the terminal 100 can receive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400 without listening to the voice signal provided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hav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동작을 나타낸다.5 illustrates operations of th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이 출력 중인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단말기(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 후 단말기(100)에 호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일측에는 수신된 호신호 번호(401)와 상기 호신호의 승인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통화 선택영역(402)과 거절 선택영역(403)을 제공한다. 또한 단말기(100)는 수신된 호신호 번호(404)와 통화 선택영역(405) 및 거절 선택영역(406)이 제공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400)가 단말기(100)의 통화 선택영역(402) 및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통화 선택영역(40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호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5A,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o which navigation is being output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via wire / wireless connection. Thereafter,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in the terminal 100, a call signal number 401, a call selection area 402 for selecting whether the call signal is approved or not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And provides a selection area 403. The terminal 100 may also be provided with a received call signal number 404, a call selection area 405 and a rejection selection area 406. Thereafter, the user 400 can select any one of the call selection area 402 of the terminal 100 and the call selection area 405 of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o receive the call signal.

도 5의 (b)는 사용자(400)가 단말기(100)에 호신호가 수신되고 단말기(100)의 통화 선택영역(402) 및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통화 선택영역(40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낸다.5B shows a case where the user 400 receives a call signal to the terminal 100 and selects either the call selection area 402 of the terminal 100 or the call selection area 405 of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Indicates the state after selecting one.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사용자가 통화 중일 경우, 노이즈를 감소기능을 실행한다.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performs a noise reduction function when the user is in a call.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일측에는 통화중인 사용자(400)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노이즈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통화 종료 선택영역(407)이 제공되어 사용자(400)가 단말기(100)의 통화 선택영역(402) 및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통화 통화 종료 선택영역(407)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can display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400 in the call and display the process of removing noise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he call termination selection area 407 is also provided so that the user 400 selects either the call selection area 402 of the terminal 100 and the call termination selection area 407 of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he call can be terminated.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100)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동작을 수행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단말기(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통화인터페이스를 수신한다. 그 후, 네비게이션, 영상 또는 오디오 등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226)로 출력할 수 있다.First,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in a wire / wireless manner, and receives the call interface provided by the terminal 100. After that, contents such as navigation, video, or audio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26. [

그리고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단말기(100)에 호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400)는 호신호를 수락하여 통화를 시작할 수 있다.When the call signal is received in the terminal 100 providing the contents to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he user 400 can accept the call signal and start the call.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단말기(100)로부터 통화인터페이스를 수신함과 동시에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송출하는 정보제공 음성신호 정보를 통화중인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사용자(400)가 제공하는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수신한 음성신호에서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전송한 정보제공 음성신호와 중복되는 신호를 제거하여 필터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필터링 신호를 생성한 상기 단말기는 필터링 신호를 기지국(10)으로 전송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6 (a),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receives the call interface from the terminal 100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the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o the terminal 100). 6 (b), the terminal 100 receives a voice signal provided by the user 400. The terminal 100 may generate a filtering signal by removing a signal overlapp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transmitted by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from the received voice signal. The terminal, which has generated the filtering signal, transmits a filtering signal to the base station 10 to perform a call.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동작을 나타낸다.7 shows operations of th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이 출력 중인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단말기(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 후 단말기(100)에 호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일측에는 수신된 호신호 번호(401)와 상기 호신호의 승인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통화 선택영역(402)과 거절 선택영역(403)을 제공한다. 또한 단말기(100)는 수신된 호신호 번호(404)와 통화 선택영역(405) 및 거절 선택영역(406)이 제공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400)가 단말기(100)의 통화 선택영역(402) 및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통화 선택영역(40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호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7 (a),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which is outputting navigation information,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via wire / wireless connection. Thereafter,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in the terminal 100, a call signal number 401, a call selection area 402 for selecting whether the call signal is approved or not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And provides a selection area 403. The terminal 100 may also be provided with a received call signal number 404, a call selection area 405 and a rejection selection area 406. Thereafter, the user 400 can select any one of the call selection area 402 of the terminal 100 and the call selection area 405 of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o receive the call signal.

도 7의 (b)는 사용자(400)가 단말기(100)에 통화 선택영역(402) 및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통화 선택영역(40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낸다.7B shows a state after the user 400 selects either one of the call selection area 402 and the call selection area 405 of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in the terminal 100. FIG.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통화를 시작하면, 음성 필터링부(240)를 통해 노이즈 감소기능을 수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사용자(400)가 제공하는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6)는 사용자(400)의 음성신호를 도시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시화된 음성신호 중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제공한 정보제공 음성신호와 중복되는 신호가 제거된 필터링 신호를 도시화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 performs a noise reduction function through the voice filtering unit 240 when the user starts talking. As shown in the figure, the terminal 100 receives a voice signal provided by the user 400.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26 of the terminal 100 can display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400 by displaying 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llustrate a filtered signal from which the signals overlapp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provided by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are removed.

또한, 통화 종료 선택영역(407)이 제공되어 사용자(400)가 단말기(100)의 통화 선택영역(402) 및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통화 통화 종료 선택영역(407)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The call termination selection area 407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400 selects either the call selection area 402 of the terminal 100 and the call termination selection area 407 of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So that the call can be terminated.

도 5 및 도 7의 선택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은 전술한 터치, 음성인식, 모션인식 등으로 더 구현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터치하는 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5 and 7 can be further implemented by touch, voice recognition, motion recognition, and the like, and is not limited to touching the display device of the terminal as shown in the figur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단말기(100)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유/무선으로 연결된다(S101). 그리고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차량 정보 검출부(220)를 통해 통화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S103).First, th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relessly (S101). Then,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outputs a call interface through the vehicle information detecting unit 220 (S103).

그 후,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100)가 호신호를 수신하며(S105), 단말기(100)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통화 수락여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07).Thereafter, the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wirelessly receives the call signal (S105), and th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provide the user with the call acceptance (S107).

그리고 사용자는 단말기(100) 또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의 통화 선택영역(405)을 선택하여 통화를 시작한다(S109).Then, the user selects a call selection area 405 of either the terminal 100 or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o start a call (S109).

그 후, 단말기(100)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통화 중임을 알리는 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S111). 그리고 단말기(100)는 단말기(100) 자체의 통화음성 입출력 기능을 차단한다(S113).Thereafter, th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display a character indicating that communication is in progress (S111). Then, the terminal 100 blocks the call voice input / output function of the terminal 100 itself (S113).

그 후,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마이크(212)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한다(S115). 그리고 마이크(212)는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17).Thereafter,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receives the user's voice signal from the microphone 212 (S115). Then, the microphone 212 transmits the voice signal of the received user to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S117).

그 후,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상기 마이크(212)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를 도시화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19). 그리고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음성신호 중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통화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제공 음성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식별한다(S121).Thereafter,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displays and displays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212 (S119). Then,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identifies the same signal as the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that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provides to the user through the call interface (S121).

그 후,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마이크(212)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 중 상기에 식별한 정보제공 음성신호를 제거한다(S123). 그리고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정보제공 음성신호가 제거된 필터링 신호를 생성한다(S125).Thereafter,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removes the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identified above from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212 (S123). Then,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generates a filtering signal from which the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is removed (S125).

그 후,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필터링 신호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127). 그리고 단말기(100)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필터링 신호를 기지국(10)으로 전송한다(S129).Thereafter,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ransmits a filtering signal to the terminal 100 (S127). Then, the terminal 100 transmits the filtering signal received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o the base station 10 (S129).

그 후, 사용자가 단말기(100)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의 종료 선택영역(407)을 선택하면 통화가 종료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user selects the termination selection area 407 of either the terminal 100 or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he call can be terminat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단말기(100)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유/무선으로 연결된다(S201). 그리고 단말기(100)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로 네비게이션 출력 화면을 전송하고(S203),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네비게이션 화면을 출력한다(S205).First, th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relessly (S201). Then, the terminal 100 transmits a navigation output screen to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S203), and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outputs a navigation screen (S205).

그 후, 사용자에게 네비게이션 화면을 제공중인 단말기(100)는 호신호를 수신하면(S207), 단말기(100)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로 통화 수락여부를 출력한다(S209).After receiving the call signal (S207), the terminal 100 providing the navigation screen to the user outputs the call acceptance to th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S209).

그 후, 사용자는 단말기(100) 또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의 통화 선택영역(405)을 선택하여 통화를 시작한다(S211).Thereafter, the user selects a call selection area 405 of either the terminal 100 or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o start the call (S211).

그 후, 단말기(100)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로 통화인터페이스를 송신하며(S213), 단말기(100)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통화 중임을 알리는 문자를 출력한다(S215).Thereafter, the terminal 100 transmits a call interface to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S213), and th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output a character indicating that communication is in progress (S215).

그 후,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음향 출력 모듈(227)을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정보제공 음성신호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17).Thereafter,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ransmits an information provision voice signal to be output to the user through the sound output module 227 to the terminal 100 (S217).

그 후,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단말기(100)의 마이크(116)를 통해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한다(S219). 그리고 단말기(100)는 상기 음성신호 중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제공한 정보제공 음성신호와 중복되는 신호를 식별한다(S221).Thereafter, the terminal 100 receives the voice signal provided by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116 of the terminal 100 (S219). Then, the terminal 100 identifies a signal overlapp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provided by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among the voice signal (S221).

그 후, 단말기(100)는 식별한 정보제공 음성신호와 중복되는 신호를 제거하고(S223), 상기 정보제공 음성신호와 중복되는 신호를 제거한 필터링 신호를 생성한다(S225).Thereafter, the terminal 100 removes a signal overlapping with the identified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S223), and generates a filtering signal from which the signal overlapp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is removed (S225).

그 후, 단말기(100)는 상기 필터링 신호를 기지국(10)으로 전송하여, 통화를 수행한다(S227).Thereafter, the terminal 100 transmits the filtering signal to the base station 10 to perform a call (S227).

그 후, 사용자가 단말기(100)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의 종료 선택영역(407)를 선택하면 통화가 종료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termination selection areas 407 of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0, the call can be terminated.

상기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차량을 운전중인 운전자가 본인의 단말기를 차량의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에 유/무선으로 연결했을 경우, 단말기에 호신호가 수신되어, 사용자는 통화를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와 단말기는 통화 중에 발생하는 노이즈 신호를 감소시켜 기지국 또는 타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서, 발신자와 수신자간의 통화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er of the vehicle is connected to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of the vehicle by his / her hands, the call signal is received by the terminal and the user can make a call. At this time,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nd the terminal reduce the noise signal generated during the call and transmit the reduced noise signal to the base station or the other terminal,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mooth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aller and the receiv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readable by a processor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Examples of the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etc.,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s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It is possible.

100 : 단말기 105 : 제어부
110 : 무선 통신부 115 : A/V 입력부
120 : 사용자 입력부 125 : 출력부
130 : 인터페이스부 135 : 전원 공급부
140 : 저장부 145 : 음성 필터링부
150 : 통화인터페이스 생성부 200 : 차량정보 제공단말기
205 : 제어부 210 : A/V 입력부
211 : 마이크 227 : 음향 출력 모듈
215 : 사용자 입력부 220 : 차량 정보 검출부
225 : 출력부 230 : 인터페이스부
235 : 전원 공급부 240 : 음성 필터링부
400 : 사용자 402 : 통화 선택영역
403 : 거절 선택영역 405 : 통화 선택영역
406 : 거절 선택영역 407 : 통화 종료 선택영역
100: terminal 105: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5: A / V input unit
120: user input unit 125: output unit
130: interface unit 135: power supply unit
140: storage unit 145: voice filtering unit
150: call interface generating unit 200: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205: control unit 210: A / V input unit
211: microphone 227: sound output module
215: user input unit 220: vehicle information detection unit
225: output unit 230: interface unit
235: Power supply unit 240: Voice filtering unit
400: user 402: currency selection area
403: Reject selection area 405: Currency selection area
406: rejection selection area 407: call end selection area

Claims (5)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로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송신된 호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호신호가 수신되면 통화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통화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화인터페이스 생성부; 및
상기 통화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와 연결된 마이크에서 수신되는 음성신호로부터,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정보제공 음성신호를 제거 처리하는 음성 필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음성 필터링부에서 제거 처리된 음성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말기.
A terminal for providing a vehicle interface to a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A call interfac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call interface upon receiving the call signal and providing the call interface through the vehicle interface; And
And a voice filtering unit for removing an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from a voice signal received at a microphone connected to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ccording to an input to the call interfac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voice signal removed by the voice filtering unit to the base s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와 연결된 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자체 마이크 입력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blocking input of a microphone of the terminal when a voice signal is received through a microphone connected to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필터링부는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와 연결된 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음성신호 중,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가 제공하는 정보제공 음성신호에 대응되는 동일한 신호를 제거한 필터링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oice filtering unit receives a voice signal through a microphone connected to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nd generating a filtering signal by removing the sam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provided by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mong the received voice signal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필터링 신호를 상기 기지국을 통해 통화 상대방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filtering signal to the called party terminal through the base station.
차량정보 제공단말기 및 이와 연결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로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통화가 개시되면,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의 마이크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로부터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의 정보제공 음성신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제공 음성신호가 제거된 필터링 신호를 상기 단말기를 통해 통화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 및 이와 연결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nd a terminal connected thereto,
The terminal providing a vehicle interface to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Receiving a user's voice signal from a microphone of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when a call is started at the terminal;
Removing an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of the vehicle interface from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received by the microphone; And
And transmitting the filtering signal from which the information providing voice signal is removed to the calling party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nd a terminal connected thereto.
KR1020140193216A 2014-12-30 2014-12-30 A terminal for noise redu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2292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216A KR102229286B1 (en) 2014-12-30 2014-12-30 A terminal for noise redu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216A KR102229286B1 (en) 2014-12-30 2014-12-30 A terminal for noise redu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633A true KR20160080633A (en) 2016-07-08
KR102229286B1 KR102229286B1 (en) 2021-03-19

Family

ID=5650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216A KR102229286B1 (en) 2014-12-30 2014-12-30 A terminal for noise redu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28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3698A (en) * 2000-04-27 2001-11-09 Kyocera Corp On board communication controller
KR20130033121A (en) * 2011-09-26 2013-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Forwarding method for communication service based on a vehicle and system thereof,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30084794A (en) * 2012-01-18 2013-07-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Hands free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216714A (en) * 2013-04-23 2014-1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sharing information in vehicle, portable terminal, and program
KR20150059955A (en) * 2013-11-25 2015-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ound recognition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3698A (en) * 2000-04-27 2001-11-09 Kyocera Corp On board communication controller
KR20130033121A (en) * 2011-09-26 2013-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Forwarding method for communication service based on a vehicle and system thereof,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30084794A (en) * 2012-01-18 2013-07-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Hands free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216714A (en) * 2013-04-23 2014-1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sharing information in vehicle, portable terminal, and program
KR20150059955A (en) * 2013-11-25 2015-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ound recognition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286B1 (en)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289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04843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EP2187604B1 (en) Portable terminal, audio output control method, and audio output control program
KR102087654B1 (en) Electronic device for preventing leakage of received sound
CN110827820B (en) Voice awakening method, device,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and vehicle
CN109062535B (en) Sound produc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1462742B (en) Text display method and device based on vo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9353297B (en) Volume adjustment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9674332B2 (en)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50029197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26307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CN109360577B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processing audio
KR20140007512A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29286B1 (en) A terminal for noise redu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229288B1 (en) A terminal for offering vehicle information
KR20160075976A (en) Apparatus sharing content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523386B1 (en)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motion of user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562272B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conncting an audio devic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82265A (en) Mobile terminal
KR20160075969A (en) A terminal for offering vehicle information
KR20110035565A (en) Audio output device capable of conncting a mobile terminal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75973A (en)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11313979B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6527875B (en) Electronic recording method and device
KR20160075979A (en) A terminal for offering vehicle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