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391A -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391A
KR20160080391A KR1020140192092A KR20140192092A KR20160080391A KR 20160080391 A KR20160080391 A KR 20160080391A KR 1020140192092 A KR1020140192092 A KR 1020140192092A KR 20140192092 A KR20140192092 A KR 20140192092A KR 20160080391 A KR20160080391 A KR 20160080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interface
communication protocol
configuration fiel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6416B1 (ko
Inventor
김정숙
Original Assignee
김포대학교산학협력단
(주) 한일디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포대학교산학협력단, (주) 한일디엔에스 filed Critical 김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92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41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04L51/066Format adaptation, e.g. format conversion or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에서 각 서비스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시켜 주도록 한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모리부가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에서의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구성필드와 필드속성정보를 저장해 두며; 입력저장부가 입력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성필드와 필드속성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부에 저장시켜 주며; 인터페이스작성부가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구성필드와 필드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작성해 준다.

Description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message automatically in real-time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에서 각 서비스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시켜 주도록 한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개발이 최근 들어 모바일 장치와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조회되는 정보 데이터들을 수집 처리하고, 해당 처리된 정보들을 시스템에 연결된 각각의 장치로 전송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러한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자 도로교통 안내 시스템, 버스시간 안내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사용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36107호(2006.10.12 등록)는 실시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오디오 또는 비디오 장치로부터 소정의 단위로 입력된 부호화된 데이터를 일정한 지연 시간 내에 수신 노드에 전송하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또는 비디오 장치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데이터가 수신 노드에서 수신되어, 복호화되기 전까지의 수신시간을 소정의 단위별로 설정하는 수신 시간 설정 수단; 오디오 또는 비디오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외부 버스를 통하여 소정의 단위별로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버스를 통하여 소정의 단위별로 독출하는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수신 노드로 전송하기 위하여 전송 매체에 접근할 때 발생하는 지터를 보상하기 위하여 소정의 단위별로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전송 선입선출 버퍼; 및 전송 선입선출 버퍼로부터 소정의 단위별로 데이터를 독출하여 패킷화하고, 링크 및 물리 계층을 통하여 수신 노드로 전송하는 패킷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실시간 데이터의 전송 시에 발생하는 지연 또는 지터를 보상하기 위하여 필요한 FIFO 버퍼의 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외부 메모리를 활용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30052호(2006.09.22 등록)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높이는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영역의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며, 어플리케이션에서 RTP 데이터 전송을 위한 명령이 발생하면 RTP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메타들을 설정한 후, RTP 전송 명령을 수행하는 커널 영역 입/출력 제어부를 파라메타들을 포함하는 입/출력 시스템 콜에 의해 호출하는 사용자 영역 입/출력 제어부와, 커널 영역에 위치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커널 영역에 위치하며, 커널 영역 입/출력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전송 단위로 저장하는 커널 버퍼와, 커널 영역에 위치하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처리 대상 데이터를 검출하여 커널 버퍼에 저장하고, 입/출력 시스템 콜에 응답하여 커널 버퍼에 저장된 전송 단위의 데이터 각각에 RTP 데이터 전송을 위한 RTP 헤더를 파라메타들을 이용하여 부가하여 RTP 패킷을 생성하는 커널영역 입/출력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버스정보 안내 장치(Bus Information System; BIS)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센터운영자용 단말기, BIS 운영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운영웹서버, BIS 이벤트 처리 프로세스를 구비한 BIS서버, 버스정보 안내 단말기(Bus Information Terminal; BIT)를 포함하여 버스정보 안내 장치의 운영 절차를 표현하고 있다. BIS는 입력된 데이터 정보를 바탕으로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BIT로 전송한다. BIT는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그 결과를 화면에 출력한다.
도 2는 일반적인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생성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메시지 생성 서버(Message Generator Servet)는 메시지 생성기(Message Generator) 및 메시지 송신기(Message Sender)를 구비한 메시지 프로세서(Message Processor)와, 잡 스케줄러(Job Scheduler) 및 메시지 컨피규레이터를 구비한 잡 컨피규레이터(Job Configurator)와, 메시지 로거(Message Logger)를 포함하여, 메시지 생성 스케줄에 따라서 그에 적합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안내 단말기로 보내게 된다. 이 메시지들은 미리 약속된 프로토콜에 맞추어 생성되고 특정 서비스만을 위한 메시지가 되어, 동일한 역할을 하는 장치라고 할지라도 상이한 프로토콜 때문에 수신한 메시지를 처리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하기 어렵다. 즉, 서비스마다 제각기 다른 통신 프로토콜은 다양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처리할 수 있는 통합적인 메시지 생성 시스템을 구현하기 어렵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알아볼 수 있는데, 이때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은 필드의 개수 및 필드 값의 표현 방법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일반적인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버스정보 안내 장치에서의 테스트용 메시지 생성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버스정보 안내 장치의 테스트용 메시지 생성기는 해당 프로토콜에 적합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특정 통신 프로토콜을 위한 메시지 생성의 경우에, 통신 프로토콜의 메시지 상에서 유효 데이터 필드의 데이터 크기가 미결정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고정 값 또는 고정된 크기의 데이터에 대해서 특정 연산으로 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특정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값들을 설정하고 프로그래머가 직접 해당 UI(User Interface) 및 메시지 생성코드를 내부에 구현해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다양하게 제공되는 서비스마다 통신에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제각각 다르게 구성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버스시간 안내 장치와 같은 서비스 장치를 생산할 경우 그에 적합한 프로토콜을 인지할 수 있도록 생산 개발해야 하며, 이에 따라서 이렇게 만들어지는 장치들은 테스트하는 단계에서 프로토콜에 맞는 메시지들을 수신하였을 때 정상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이때 장치를 생산하는 생산자에게는 프로토콜을 변화할 때마다 테스트를 위한 메시지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직접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36107호 한국등록특허 제10-0630052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에서 각 서비스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시켜 주도록 한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에서의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구성필드와 필드속성정보를 저장해 두는 메모리부; 입력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성필드와 필드속성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시켜 주는 입력저장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구성필드와 필드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작성해 주는 인터페이스작성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저장부는, 상기 구성필드가 가질 수 있는 값의 타입을 의미하는 속성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저장부는, 메시지의 유효데이터, 직접입력값, CRC연산정보, 시간정보, 데이터크기계산정보를 구비한 속성정보 타입 중에서 선택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저장부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프레임 명을 정의하고,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 순서에 따라 필드 명, 데이터타입, 데이터크기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저장부는, 유효데이터, 직접입력값, CRC연산정보, 시간정보, 데이터크기계산정보의 속성정보 타입 중 하나를 결정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시켜, 통신 프로토콜 구성 데이터 생성 시에 데이터 값을 설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작성부는, 작성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메시지 생성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구성필드와 필드속성정보를 확인하여 구성필드와 구성필드 속성을 결정한 후에, 결정된 구성필드와 구성필드 속성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유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작성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작성부는, 메시지 생성자가 유효 데이터로 추가할 입력 모듈을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유효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작성부는, 각 선택 모듈에 입력방법, 데이터 타입, 데이터 크기를 결정하며, OPCODE에 의거하여 순차적으로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작성부는, 초기 생성된 유효 데이터 구성을 통신 프로토콜 프레임 명으로 저장시켜, 추후에 통신 프로토콜 프레임 명으로 검색할 시에 저장된 데이터 구성을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입력저장부가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에서의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구성필드와 필드속성정보를 입력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아 저장시켜 주는 단계; 및 인터페이스작성부가 상기 구성필드와 필드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작성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작성해 주는 단계는, 작성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메시지 생성자의 입력 모듈 선택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필드와 해당 구성필드의 속성정보를 판독하여 구성필드와 구성필드 속성을 결정한 후에, 결정된 구성필드와 구성필드 속성에 대응하여 통신 프로토콜의 유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에서 각 서비스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시켜 주도록 한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장치 생산자에게 장치 테스트를 위해서 별도로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하는 시간 및 내용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UI(User Interface)를 통해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을 사전 기술하여 그에 적합한 통신을 위한 메시지를 자동적으로 생성해 줌으로써,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에 맞는 메시지를 제작하기 위해서 직접 프로그래밍하는 작업을 감소시켜 주며, 또한 메시지 자동 생성을 통해 생성된 사전 기술된 통신 프로토콜을 활용함으로써, 유사한 새로운 통신 프로토콜이 추가될 경우에도 재사용이 용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장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버스정보 안내 장치(Bus Information System; BIS)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생성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메시지 생성기의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반적인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버스정보 안내 장치에서의 테스트용 메시지 생성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있는 입력저장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있는 인터페이스작성부의 작성 화면을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있는 인터페이스작성부의 작성 화면을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있는 입력저장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5에 있는 인터페이스작성부의 작성 화면을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5에 있는 인터페이스작성부의 작성 화면을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100)는,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를 자동 생성하는데, 입력저장부(110), 메모리부(120), 인터페이스작성부(130)를 포함한다.
입력저장부(110)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에서의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을 사전에 정의하는데, 이때 입력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서 각 서비스의 통신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구성필드와 해당 구성필드의 속성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구성필드 및 필드속성정보를 메모리부(120)에 저장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저장부(110)는,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필드가 가질 수 있는 값의 타입을 의미하는 속성정보를 메모리부(120)에 저장해 둘 수 있는데, 이때 메시지의 유효데이터, 직접입력값, CRC(Cycle Redundancy Check)연산정보, 시간정보, 데이터크기계산정보 등을 구비한 속성정보 타입 중에서 선택하여 메모리부(120)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저장부(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의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프레임 명을 정의하고,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 순서에 따라 필드 명, 데이터타입, 데이터크기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메모리부(120)에 저장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드 명으로는 STX, OPCODE, DATALENGTH, LENGTHCHECK, FRAMENO, 송신FRAME회수, DATA, CHECKSUM, ETX 등을 포함하며, 이에 대한 데이터타입으로는 int, int, int, int, int, int, char, int, int 등으로 각각 설정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이에 대한 데이터크기로는 1, 2, 2, 1, 1, 1, 0, 1, 1 등으로 각각 설정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저장부(110)는, 각 구성필드가 갖는 필드 속성정보를 메모리부(120)에 저장해 둘 수 있는데, 실 데이터(즉, 유효데이터), 직접입력값, CRC연산정보, 시간정보, 데이터크기계산정보 등과 같은 속성정보 타입 중 하나를 결정하여 메모리부(120)에 저장해 줄 수 있으며, 이에 저장된 정보가 통신 프로토콜 구성 데이터 생성 시에 데이터 값을 설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부(120)는, 입력저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구성필드와 필드속성정보를 저장해 둔다.
인터페이스작성부(130)는, 메모리부(120)에 저장해 둔 구성필드와 필드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생성 메시지를 통해 장치의 출력 내용을 결정하는 유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작성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페이스작성부(130)는, 작성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메시지 생성자의 선택에 따라 메모리부(120)에 저장해 둔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필드와 해당 구성필드의 속성정보를 판독하여 구성필드와 구성필드 속성을 결정한 후에, 해당 결정된 구성필드와 구성필드 속성에 대응하여 통신 프로토콜의 유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작성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페이스작성부(13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 유효 데이터 구성 인터페이스의 작성 화면을 통해서 통신 프로토콜 구성 속성정보 중 유효 데이터를 구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결정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드 명으로는 STX, LocalID, FrameNo, TotalFrameNo, MainOPCode, SubOPCode, DataSize, Data전송시간, 실Data, CRC16, ETX 등을 포함하며, 이에 대한 데이터타입으로는 int, char, int, int, int, int, int, char, int, int, int 등으로 각각 결정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이에 대한 데이터크기로는 2, 10, 2, 2, 1, 1, 4, 7, 11, 2, 2 등으로 각각 결정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이에 대한 입력방법으로는 직접입력, 직접입력, 직접입력, 직접입력, 직접입력, 직접입력, 데이터사이즈, 전송시간, 실 데이터, CRC-16, 직접입력 등으로 각각 결정해 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RemainBusStopControl'에 대한 결정을 수행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페이스작성부(130)는, 통신 프로토콜에서 실 데이터 부분의 경우에 데이터크기가 미결정된 부분으로 각 통신 프로토콜에 정의된 OPCODE(요청이나 응답 패킷 인지와 발생하는 주소 해결 유형을 정의함)에 의해 실 데이터 크기 및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OPCODE 정보만으로 실 데이터를 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인터페이스작성부(130)는, 메시지 생성자가 유효 데이터로 추가할 입력 모듈을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유효 데이터를 작성해 줄 수 있다. 이때, 각 선택 모듈은 입력방법, 데이터 타입, 데이터 크기가 결정되어 있으며 메시지 생성자가 OPCODE에 의거하여 순차적으로 추가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페이스작성부(130)는, 초기 생성된 유효 데이터 구성을 통신 프로토콜 프레임 명으로 저장시켜, 추후에 통신 프로토콜 프레임 명으로 검색할 시에 저장된 데이터 구성을 보여주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100)는, 입력저장부(110)에 의한 사전 통신 프로토콜 정의와 인터페이스작성부(130)에 의한 유효데이터 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에서 각 서비스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시켜 줌으로써, 장치 생산자에게 장치 테스트를 위해서 별도로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하는 시간 및 내용을 감소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을 사전 기술하여 그에 적합한 통신을 위한 메시지를 자동적으로 생성해 줌으로써,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에 맞는 메시지를 제작하기 위해서 직접 프로그래밍하는 작업을 감소시켜 주며, 또한 메시지 자동 생성을 통해 생성된 사전 기술된 통신 프로토콜을 활용함으로써, 유사한 새로운 통신 프로토콜이 추가될 경우에도 재사용이 용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장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입력저장부(110)에서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에서의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을 사전에 정의해 준다(S901).
상술한 단계 S901에 있어서, 운용자 또는 사용자가 입력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서비스의 통신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구성필드와 해당 구성필드의 속성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입력저장부(110)는 입력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구성필드와 필드속성정보를 메모리부(120)에 저장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901에 있어서,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필드가 가질 수 있는 값의 타입을 의미하는 속성정보를 저장할 때, 입력저장부(110)는 메시지의 유효데이터, 직접입력값, CRC연산정보, 시간정보, 데이터크기계산정보 등과 같은 속성정보 타입 중에서 선택하여 메모리부(120)에 저장해 둘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901에서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을 사전에 정의한 후에, 인터페이스작성부(130)에서는, 메모리부(120)에 저장해 둔 구성필드와 필드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생성 메시지를 통해 장치의 출력 내용을 결정하는 유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즉, 유효데이터생성인터페이스)를 작성해 주게 된다(S902).
상술한 단계 S902에 있어서, 메시지 생성자가 작성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효 데이터로 추가할 입력 모듈을 선택하게 되면, 인터페이스작성부(130)는 작성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메시지 생성자의 입력 모듈 선택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메모리부(120)에 저장해 둔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필드와 해당 구성필드의 속성정보를 판독하여 구성필드와 구성필드 속성을 결정한 후에, 해당 결정된 구성필드와 구성필드 속성에 대응하여 통신 프로토콜의 유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작성해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
110: 입력저장부
120: 메모리부
130: 인터페이스작성부

Claims (5)

  1.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에서의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구성필드와 필드속성정보를 저장해 두는 메모리부;
    입력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성필드와 필드속성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시켜 주는 입력저장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구성필드와 필드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작성해 주는 인터페이스작성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저장부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프레임 명을 정의하고,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 순서에 따라 필드 명, 데이터타입, 데이터크기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작성부는,
    작성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메시지 생성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구성필드와 필드속성정보를 확인하여 구성필드와 구성필드 속성을 결정한 후에, 결정된 구성필드와 구성필드 속성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유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작성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
  4. 입력저장부가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에서의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구성필드와 필드속성정보를 입력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아 저장시켜 주는 단계; 및
    인터페이스작성부가 상기 구성필드와 필드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작성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작성해 주는 단계는,
    작성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메시지 생성자의 입력 모듈 선택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각 서비스별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필드와 해당 구성필드의 속성정보를 판독하여 구성필드와 구성필드 속성을 결정한 후에, 결정된 구성필드와 구성필드 속성에 대응하여 통신 프로토콜의 유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방법.



KR1020140192092A 2014-12-29 2014-12-29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656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092A KR101656416B1 (ko) 2014-12-29 2014-12-29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092A KR101656416B1 (ko) 2014-12-29 2014-12-29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391A true KR20160080391A (ko) 2016-07-08
KR101656416B1 KR101656416B1 (ko) 2016-09-09

Family

ID=5650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092A KR101656416B1 (ko) 2014-12-29 2014-12-29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4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5284A (zh) * 2017-09-11 2019-03-19 钛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的数据传输方法和系统
CN114840199A (zh) * 2022-05-30 2022-08-02 重庆忽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拖拽式的设备数据转发配置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4837A2 (en) * 2000-11-28 2002-06-06 P & S Datacom Corporation Local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
US6493761B1 (en) * 1995-12-20 2002-12-10 Nb Networks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processing using a protocol parsing engine
KR20030058565A (ko) * 2001-12-31 2003-07-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통신 제어국에서의 무선 프로토콜 모니터 장치 및 그동작 방법
KR100630052B1 (ko) 2004-01-26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636107B1 (ko) 1999-10-27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019918B1 (ko) * 2005-04-14 2011-03-0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장치 상의 범용 진단 모니터 모듈을 위한 장치 및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3761B1 (en) * 1995-12-20 2002-12-10 Nb Networks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processing using a protocol parsing engine
KR100636107B1 (ko) 1999-10-27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02044837A2 (en) * 2000-11-28 2002-06-06 P & S Datacom Corporation Local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
KR20030058565A (ko) * 2001-12-31 2003-07-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통신 제어국에서의 무선 프로토콜 모니터 장치 및 그동작 방법
KR100630052B1 (ko) 2004-01-26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19918B1 (ko) * 2005-04-14 2011-03-0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장치 상의 범용 진단 모니터 모듈을 위한 장치 및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5284A (zh) * 2017-09-11 2019-03-19 钛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的数据传输方法和系统
CN114840199A (zh) * 2022-05-30 2022-08-02 重庆忽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拖拽式的设备数据转发配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416B1 (ko)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76864A (zh) 智能语音设备控制家电的方法、装置及系统
US201600501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 Network-Enabled Devices
CN109214196B (zh) 一种数据交互方法、装置及设备
CN104468363A (zh) 页面重定向方法、路由设备、终端设备及系统
CN103634935B (zh) 基于wps或qss的网络接入方法和装置
CN104866290A (zh) 一种用于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CN110134421A (zh) 电能表管理芯片升级方法、系统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7391182A (zh) 一种主题安装包的生成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16055524A (zh) 用于互联网平台与物联网设备的交互方法、处理器及装置
KR101656416B1 (ko) 실시간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의 메시지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CN111767229A (zh) 性能测试方法、装置和设备
US20150358263A1 (en) Communication between a web application instance connected to a connection server and a calling entity other than said connection server
CN105635200A (zh) 一种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服务器及系统
CN116028331A (zh) 用于中间件测试的配置文件生成方法以及框架构建方法
CN109858905B (zh) 跨系统的电子凭证处理方法及装置
CN107809418B (zh) 一种LoRa终端设备自主绑定方法及系统
CN101917476B (zh) 超文本传输协议消息处理方法及其客户端系统
CN115567583A (zh) 一种设备通信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5407981A (zh) 一种基于中间件适配的前端数据mock方法及系统
CN107547684A (zh) 一种IPv6地址分配方法和装置
CN106534096A (zh) 主设备向从设备分享用户身份的方法、主设备和从设备
CN108418698B (zh) 一种路由器管理方法及装置
CN111404827A (zh) 一种数据包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4332159B2 (ja) 拡張ポイントによるメッセージへのアクセスを規制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5939396A (zh) 一种报文修改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