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297A - 베타-반수석고를 이용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 - Google Patents

베타-반수석고를 이용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297A
KR20160080297A KR1020140190995A KR20140190995A KR20160080297A KR 20160080297 A KR20160080297 A KR 20160080297A KR 1020140190995 A KR1020140190995 A KR 1020140190995A KR 20140190995 A KR20140190995 A KR 20140190995A KR 20160080297 A KR20160080297 A KR 20160080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weight
parts
mortar composition
gyps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필
김규식
정문수
이효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40190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0297A/ko
Publication of KR20160080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29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04B28/16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containing anhydrite, e.g. Keene's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β-반수석고를 이용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 부산물인 β-반수석고에 후기 강도를 보완할 수 있는 슬래그미분말과 건조수축 감소 및 균열방지를 위한 무수석고 및 시멘트, 시공성능 및 응결시간의 조절을 위한 감수제 및 지연제를 첨가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양생기간이 짧아 경제성이 우수하며, 일정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베타-반수석고를 이용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MORTAR COMPOSITION USING BETA-HEMIHYDRATE GYPSUM AND MORTA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β-반수석고를 이용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 부산물인 β-반수석고에 후기 강도를 보완할 수 있는 슬래그미분말과 건조수축 감소 및 균열방지를 위한 무수석고 및 시멘트, 시공성능 및 응결시간의 조절을 위한 감수제 및 지연제를 첨가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양생기간이 짧아 경제성이 우수하며, 일정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 등에 사용되는 바닥난방용 모르타르는 경제성과 편의성을 이유로 시멘트, 규사골재, 혼화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멘트계 모르타르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시멘트계 모르타르는 긴 양생시간으로 인해 시공기간이 길며, 건조수축에 따른 균열, 초기강도 발현의 저하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탈황석고를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석고분말은 이수석고(CaSO4·2H2O), 반수석고(α형, β형 CaSO4·1/2H2O), Ⅲ형, Ⅱ형 무수석고 등이 있다. 이 중, α형-반수석고(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 calcium sulfate alpha-hemihydrate)는 100~150℃의 온도조건에서 오토클레이브(Autoclave) 반응기를 이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생산비가 높아, 의료용이나 공업용 등 특수용도에 한정되어 있다. 반면 β형 반수석고(황산칼슘 베타-반수화물, calcium sulfate Beta-hemihydrate, 이하 β-반수석고)는 그 제조비용이 저렴하나, 강도 저하를 이유로 주로 석고보드와 시멘트 응결조절제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탈황석고를 가압수열법으로 처리하여 제조한 α-반수석고를 이용한 모르타르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으나(예컨대, 한국 등록특허 특허 제 10-2009-0114192호 및 제 10-2005-01255541호), 바닥난방재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시멘트계 모르타르와 같이 대량생산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 한계가 있는 α-반수석고를 주성분으로 하는 모르타르의 시공율은 낮은편이다.
그러나, 향후 전력수급을 위한 화력발전소의 증가 및 배연탈황설비의 증설로 인하여 탈황석고의 생산량이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소성비용이 낮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산업 부산물인 β-반수석고를 주성분으로 하여 양생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이면서 기존의 탈황석고를 이용한 모르타르의 물성을 보완할 수 있는 모르타르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산업 부산물인 β-반수석고에 후기 강도를 보완할 수 있는 슬래그미분말과 건조수축 감소 및 균열방지를 위한 무수석고 및 시멘트, 시공성능 및 응결시간의 조절을 위한 감수제 및 지연제를 첨가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양생기간이 짧아 경제성이 우수하며, 일정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β-반수석고 80~90중량부, 무수석고 3~8중량부, 시멘트 2~8중량부, 슬래그미분말 2~10중량부, 감수제 0.01~1중량부 및 지연제 0.01~1중량부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모르타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은 산업 부산물인 β-반수석고에 후기 강도를 보완할 수 있는 슬래그미분말과 건조수축 감소 및 균열방지를 위한 무수석고 및 시멘트, 시공성능 및 응결시간의 조절을 위한 감수제 및 지연제를 첨가하였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양생기간이 짧아 경제성이 우수하며, 일정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모르타르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β-반수석고 80~90중량부, 무수석고 3~8중량부, 시멘트 2~8중량부, 슬래그미분말 2~10중량부, 감수제 0.01~1중량부 및 지연제 0.01~1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르타르 조성물은 α-반수석고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β-반수석고의 혼입량이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80~90중량부(보다 바람직하게는 80~88중량부)이므로, 부산물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β-반수석고의 사용량이 80중량부 미만이면 산업부산물을 적게 활용하여 제조 원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고, 90중량부를 초과하면 혼수량이 증가하여 요구하는 압축강도를 얻을 수 없다.
β-반수석고, 무수석고, 시멘트 및 슬래그미분말을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면 수화반응에 의해 에트링가이트(ettringite,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Calcium Sulfor Aluminate, 3CaO·Al2O33CaSO4·32H2O))와 같은 수화물을 생성시키며, 슬래그미분말의 잠재수경성으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강도가 증가하므로, β-반수석고의 장기강도가 하락하는 단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β-반수석고는 평균 입경이 10~50㎛이고, 결정수 1~6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력발전소로부터 평균 입경이 30~60㎛이고, 자유수분 10%, 순도가 90% 이상인 탈황석고를 입수하여, 1차로 케이스 밀(Case Mill)에서 80~90℃로 건조하여 자유수분을 제거한 다음, 2차로 임팩트 밀(Impact Mill) 150~160℃로 소성 및 분쇄 공정을 거쳐, 평균 입경이 10~50㎛로 제조된 β-반수석고를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르타르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무수석고 3~8중량부(보다 바람직하게는 4~8중량부)를 포함한다. 무수석고 사용량이 3중량부 미만이면 응결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성 확보에 문제가 있으며, 8중량부를 초과하면 응결시간이 지연되며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무수석고로는, 그 비표면적이 예컨대 3,000 내지 6,000㎠/g 정도로 분말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르타르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시멘트 2~8중량부(보다 바람직하게는 3~8중량부)를 포함한다. 시멘트 사용량이 2중량부 미만이면 모르타르에서 발현되는 압축강도가 낮아 요구하는 강도를 얻을 수 없으며, 8중량부를 초과하면 산업부산물의 활용이 줄어들어 친환경적이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시멘트로는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가 사용가능하며, 이는 Fe2O3, SO3 및 MgO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예를 들어 Fe2O3를 0.5중량% 이하로, SO3를 3.5중량% 이하로, MgO를 5.0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모르타르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슬래그미분말 2~10중량부(보다 바람직하게는 3~8중량부)를 포함한다. 슬래그미분말 사용량이 2중량부 미만이면 모르타르의 장기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하면 모르타르의 초기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슬래그미분말로는 MgO 4.0~8.0중량% 및 SO3 2.0~3.0중량%를 포함하고, 밀도 2.80~2.95g/㎤, 평균입경 8~12㎛, 비표면적 4,000~6,000㎠/g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르타르 조성물은, 작업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감수제 0.01~1중량부(보다 바람직하게는 0.1~1중량부)를 포함한다. 감수제 사용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유동성이 낮아 작업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1중량부를 초과하면 제조원가가 높아지고, 블리딩이 발생하여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수제로서 나프탈렌계 축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8-아미노-1,5-나프탈렌디술폰산 모노소듐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모르타르 조성물은, β-반수석고의 급결성을 지연시켜 작업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지연제 0.01~1중량부(보다 바람직하게는 0.1~1중량부)를 포함한다. 지연제 사용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응결시간이 빨라져 작업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1중량부를 초과하면 응결시간이 과다하게 지연되어 양생시간이 길어지므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연제로서 폴리아미드 화합물,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아미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칼슘이 첨가된 폴리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의 성분들로 배합된 모르타르 조성물은 약간의 팽창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시멘트계 모르타르에 비하여 균열 발생이 적고, 석고 자체가 갖는 평활성을 바탕으로 유동성이 높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모르타르 조성물은, 응결시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시간 이상의 초결 시간(예컨대, 1~4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3시간) 및 15시간 이내의 종결 시간(예컨대 4~15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4~8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모르타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모르타르는, 예컨대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35~55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 40~5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모르타르는 기존의 β-반수석고계 모르타르가 갖는 강도 저하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200kgf/㎠ 이상(예컨대, 200~500kgf/㎠)의 압축강도(재령 7일 기준)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르타르는 건축재로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바닥난방 용도(즉, 난방용 바닥재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배합된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하여 모르타르를 제조한 후, 압축강도 및 응결시간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모르타르의 제조는 KS L 5109 수경성시멘트 페이스트 및 모르타르의 기계적 혼합방법에 따라 실시하였고, KS L 5105 수경성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시험방법에 따라 재령 3일과 7일, 28일에 각각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원료 성분]
β-반수석고: 평균 입경 25㎛, 결정수 5중량% 함유
무수석고: 천연무수석고(청해소재), 비표면적 약 4,000㎠/g
시멘트: 백색 보통포틀랜드시멘트(유니온)
슬래그미분말: 밀도 2.90 g/㎤, 평균입경 10 ㎛, 잔분45㎛ 1.0%, 수분 0.2%, 비표면적 5,000㎠/g
지연제: 칼슘이 첨가된 폴리아미드 화합물[PLAST RETARD PE, (SICIT 2000 S.p.A)]
감수제: 8-아미노-1,5-나프탈렌디술폰산 모노소듐염[NEOCON CA-40N(대동켐텍)]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낸 조성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한 뒤, 이 모르타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물 45중량부를 혼합하여 모르타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표 1에 나타낸 조성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한 뒤, 이 모르타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물 43중량부를 혼합하여 모르타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표 1에 나타낸 조성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한 뒤, 이 모르타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물 40중량부를 혼합하여 모르타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표 1에 나타낸 조성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한 뒤, 이 모르타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물 45중량부를 혼합하여 모르타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표 1에 나타낸 조성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한 뒤, 이 모르타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물 45중량부를 혼합하여 모르타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표 1에 나타낸 조성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한 뒤, 이 모르타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물 40중량부를 혼합하여 모르타르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상기 실시예 1~3에서 얻어진 석고계 모르타르의 응결시간 및 압축강도는 바닥난방용 모르타르의 기준[압축강도: 200 kgf/㎠ 이상, 응결시간: 초결 1시간 이상, 종결 15시간 이내]에 적합한 수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시멘트계 모르타르의 응결시간으로서 초결 시간이 4시간~4시간 30분, 종결시간이 7시간~7시간 30분인 것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응결시간 및 양생시간을 단축시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1과 같이 지연제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응결시간은 빠르게 진행되어 적합한 작업시간의 확보가 불가능하였으며, 비교예 2 및 3과 같이 슬래그미분말이나 백시멘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매우 낮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어 바닥난방용 모르타르의 기준에 미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4는 실시예와 유사한 수준의 압축 강도를 보이나 β-반수석고의 함량이 적어 상대적으로 제조원가가 높아져 경제성을 확보할 수 없었고, 비교예 5는 β-반수석고가 과량으로 포함되어 낮은 압축강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적합한 작업성 및 압축강도를 가지는 석고계 모르타르를 제조할 수 있었다.

Claims (12)

  1.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β-반수석고 80~90중량부, 무수석고 3~8중량부, 시멘트 2~8중량부, 슬래그미분말 2~10중량부, 감수제 0.01~1중량부 및 지연제 0.01~1중량부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β-반수석고가 10~50㎛의 평균 입경 및 1~6중량%의 결정수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β-반수석고는, 탈황석고를 케이스 밀에서 80~90℃로 건조하고, 임팩트 밀에서 150~160℃로 소성 및 분쇄하여 얻어진 것인, 모르타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무수석고의 비표면적이 3,000 내지 6,00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시멘트가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슬래그미분말이 MgO 4.0~8.0중량% 및 SO3 2.0~3.0중량%를 포함하며, 그 밀도가 2.80~2.95g/㎤이고, 평균입경이 8~12㎛이며, 비표면적이 4,000~6,0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감수제가 나프탈렌계 축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지연제가 폴리아미드 화합물,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응결시간으로서 1시간 이상의 초결 시간 및 15시간 이내의 종결 시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모르타르.
  11. 제10항에 있어서, 모르타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35~5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12. 제10항에 있어서, 바닥난방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KR1020140190995A 2014-12-26 2014-12-26 베타-반수석고를 이용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 KR20160080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995A KR20160080297A (ko) 2014-12-26 2014-12-26 베타-반수석고를 이용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995A KR20160080297A (ko) 2014-12-26 2014-12-26 베타-반수석고를 이용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297A true KR20160080297A (ko) 2016-07-08

Family

ID=56502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995A KR20160080297A (ko) 2014-12-26 2014-12-26 베타-반수석고를 이용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02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109B1 (ko) 포졸란 재료를 포함하는 시멘트질 결합제
KR101333084B1 (ko) 고로슬래그와 csa계 시멘트를 포함하는 조강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CN105658599B (zh) 包含硫铝酸钙水泥和镁化合物的结合料
JP2016529200A (ja) スルホアルミン酸カルシウム複合バインダー
CN112939561B (zh) 一种磷石膏基轻质抹灰石膏及其制备方法
HUE030608T2 (en) A single-phase hydraulic binder for the production of processes, as well as the construction material produced therefrom
WO2018150753A1 (ja) ジオポリマー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モルタル及びコンクリート
KR20140053620A (ko) 비소성 무기결합재를 활용한 바닥용 모르타르 조성물
KR101518251B1 (ko) 타일접착용 조강성 모르타르 조성물
CN107857493A (zh) 一种硫铝酸盐水泥改性的方法
CN105565693A (zh) 一种石膏复合胶凝材料的制备方法
KR20180001628A (ko) 슬라임을 충진제로 적용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마감용 모르타르
KR100702471B1 (ko) 초조강 고로슬래그 시멘트
KR20140115420A (ko) 시멘트 조성물 및 콘크리트 조성물
Niziurska et al. The influence of lithium carbonate on phase composition of calcium aluminate cement paste
KR20160080298A (ko) 베타-반수석고를 이용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마감용 모르타르
KR20110053833A (ko) 고로슬래그 시멘트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로슬래그 시멘트
CN105481321A (zh) 一种改性石膏基地坪砂浆及其制备和应用
CN110997591A (zh) 制造水泥的方法
KR101431586B1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속경성 팽창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KR101579790B1 (ko) 탈황반수석고를 포함하는 건축용 모르타르 조성물
KR101143434B1 (ko) 균열저감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조성물과 콘크리트 조성물
KR101309115B1 (ko) 폐비산재를 포함하는 조강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CN109320153A (zh) 耐高温水硬胶材以及其制成的砂浆
KR20160080297A (ko) 베타-반수석고를 이용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