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9961A -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9961A
KR20160079961A KR1020140190385A KR20140190385A KR20160079961A KR 20160079961 A KR20160079961 A KR 20160079961A KR 1020140190385 A KR1020140190385 A KR 1020140190385A KR 20140190385 A KR20140190385 A KR 20140190385A KR 20160079961 A KR20160079961 A KR 20160079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energy level
image
detection data
radi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우
전성채
차보경
허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90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9961A/ko
Publication of KR20160079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8Diagnostic techniques
    • A61B6/486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generating temporal series of image data
    • A61B6/487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generating temporal series of image data involving fluo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 A61B5/4509Bone density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5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heumatolog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저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원을 이용한 제1 엑스선 검출 데이터와 고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원을 이용한 제2 엑스선 검출 데이터에 대한 영상 처리를 통하여 높은 대조도를 가지는 엑스선 투시 영상을 도출할 수 있는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사체에 대하여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과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방사하는 엑스선 방사부; 상기 피사체를 투과한 상기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과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부; 및 상기 엑스선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에 대한 제1 엑스선 검출 데이터와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에 대한 제2 엑스선 검출 데이터의 차등치를 이용하여 엑스선 투시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에너지 준위는 상기 제2 에너지 준위 보다 낮은 에너지 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를 구현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 {X-ray fluoroscopy system using dual energy level X-ray source}
본 발명은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저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원을 이용한 제1 엑스선 검출 데이터와 고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원을 이용한 제2 엑스선 검출 데이터에 대한 영상 처리를 통하여 높은 대조도를 가지는 엑스선 투시 영상을 도출할 수 있는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19세기 말에 뢴트겐에 의하여 엑스선(X-ray)이 발견된 이후로, 엑스선 영상은 의료, 보안, 비파괴 검사 등 다양한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오고 있다. 특히, 의료 용도에서 엑스선 영상은 진단의 기본 도구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의료용 진단 장비로서 엑스선 영상 시스템은 엑스선 발생기와 필름 및 스크린을 통해 영상을 얻는 일반 엑스선 촬영 장치, 전산화 단층 촬영 장치(CT), 골밀도 측정장치, 수술 등을 위해 실시간의 동영상을 얻는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fluoroscopy system)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C-암(C-arm)을 들 수 있는데, C-암은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형상이 C자 모양을 가지게 되므로 C-arm이라 불리며, 수술실에서 골절 환자, 디스크 환자나 척추 관련 환자 등을 수술하면서 뼈를 맞추거나 나사 또는 핀을 박을 때, 또는 여러 각도로 뼈의 구조를 본다거나 골절의 도수정복(수술을 하지 않고 뼈를 맞추는 일)을 할 때 정복(整復)이 잘 되었는지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엑스선을 사용하여 촬영한 후 컴퓨터로 영상을 처리해서 모니터에 실시간으로 동영상처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장비로서, 특히 정형외과나 신경외과 수술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83848호(2011. 07. 21. 공개)에서는 엑스선 발생기, 영상 증배관(Image intensifier)를 구비하는 엑스선 검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엑스선 촬영장치(C-암)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fluoroscopy)를 사용하여 골다공증 환자나 유아 등 골밀도가 떨어지는 환자의 경우, 엑스선 투시 영상에서 근육 등의 연조직과 뼈 등의 경조직 간에 밀도차가 작기 때문에, 엑스선의 감쇄 지수 차이가 크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엑스선 투시 영상에서 경조직과 연조직 간의 경계면(edge)에서의 대조도(contrast)가 떨어지면서 흐릿한 영상을 나타내게 된다.
이에 따라, 정형외과나 신경외과 등에서 수술 등을 진행함에 있어 실시간으로 환자의 골절 부위 등에 대한 투시 영상을 확인하면서 수술을 진행하게 되는데, 엑스선 투시 영상의 품질이 떨어지면서 수술 시간이 길어지거나 수술 결과가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골다공증 환자나 유아 등 골밀도가 떨어지는 환자에 대해서도 높은 대조도(contrast)를 가지는 엑스선 투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fluoroscopy system)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이 아직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골다공증 환자나 유아 등 골밀도가 떨어지는 환자에 대해서도 높은 대조도(contrast)를 가지는 엑스선 투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fluoroscopy system)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는 피사체에 대하여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과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방사하는 엑스선 방사부; 상기 피사체를 투과한 상기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과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부; 및 상기 엑스선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에 대한 제1 엑스선 검출 데이터와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에 대한 제2 엑스선 검출 데이터의 차등치를 이용하여 엑스선 투시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에너지 준위는 상기 제2 에너지 준위 보다 낮은 에너지 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엑스선 방사부는 상기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방사하는 제1 엑스선원과, 상기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방사하는 제2 엑스선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방사하는 제2 엑스선원에는 상기 제1 에너지 준위 이하의 엑스선을 필터링하는 필터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선 방사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에너지 준위 및 제2 에너지 준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되는 엑스선 투시 영상의 대조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에너지 준위, 제2 에너지 준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되는 엑스선 투시 영상의 대조도 수치의 변화를 파악하여, 상기 제1 에너지 준위 또는 제2 에너지 준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에 대한 제1 엑스선 검출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에 대한 제2 엑스선 검출 데이터를 차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조직에 대한 엑스선 투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에 대한 제2 엑스선 검출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에 대한 제1 엑스선 검출 데이터를 차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조직에 대한 엑스선 투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원을 이용한 제1 엑스선 검출 데이터와 고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원을 이용한 제2 엑스선 검출 데이터에 대한 영상 처리를 통하여 엑스선 투시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골다공증 환자나 유아 등 골밀도가 떨어지는 환자에 대해서도 높은 대조도(contrast)를 가지는 엑스선 투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fluoroscopy system)를 구현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의 동작 원리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에서의 이중 엑스선 그래프 및 그에 대한 엑스선 투시 영상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에 의하여 생성되는 엑스선 투시 영상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라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fluoroscopy system)를 구성하는 경우 골다공증 환자나 유아 등 골밀도가 떨어지는 환자의 경우, 엑스선 투시 영상에서 연조직과 경조직 간의 낮은 밀도차로 인하여 엑스선 투시 영상에서 경조직과 연조직 간의 경계면(edge)에서 대조도(contrast)가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저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원을 이용한 제1 엑스선 검출 데이터와 고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원을 이용한 제2 엑스선 검출 데이터에 대한 영상 처리를 통하여 높은 대조도를 가지는 엑스선 투시 영상을 도출할 수 있는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200)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200)는 엑스선 발생부(210), 엑스선 검출부(220) 및 영상 처리부(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2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우선, 엑스선 방사부(210)에서는 피사체에 대하여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과 상기 제1 에너지 준위보다 높은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방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엑스선 방사부(210)가 상기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과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방사하기 위하여 두가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첫번째는 하나의 엑스선원(X-ray source)을 사용하되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방사되는 에너지 준위를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과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방사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하나의 엑스선원만을 사용하여 엑스선 방사부(21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장치의 구조 및 단가 측면에서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두번째로는, 엑스선 방사부(210)이 상기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방사하는 제1 엑스선원과, 상기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방사하는 제2 엑스선원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경우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방사하는 시점과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방사하는 시점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과 제2 엑스선 준위의 엑스선의 품질 또는 특성을 개선하여 보다 높은 품질의 엑스선 투시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선 방사부(210)에는 상기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과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보다 명확하게 분리하기 위한 필터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저에너지 준위를 가지는 제1 에너지 준위에 의한 검출 데이터의 특성과 고에너지 준위를 가지는 제2 에너지 준위에 의한 검출 데이터 특성을 보다 명확하게 구분하여 줌으로써, 그 차등분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엑스선 투시 영상의 품질을 보다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엑스선 검출부(220)에서는 상기 엑스선 방사부(210)에서 방사되어 피사체를 투과한 상기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과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검출하게 된다. 상기 엑스선 검출부(220)에서 검출된 상기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에 대한 제1 엑스선 검출 데이터와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에 대한 제2 엑스선 검출 데이터는 영상 처리부(230)로 전달되어 영상 처리를 통하여 엑스선 투시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영상 처리부(230)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엑스선 검출부(220)에서 검출된 상기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에 대한 제1 엑스선 검출 데이터와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에 대한 제2 엑스선 검출 데이터의 차등치를 이용하여 엑스선 투시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200)에서의 엑스선 검출 데이터를 이용한 엑스선 투시 영상 생성을 설명하고 있다.
도 3(a)를 살펴보면, 엑스선이 투과되는 조직에서의 종류(뼈, 연조직, 지방)에 따라 엑스선의 감쇄 지수(attenuation coefficient)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a)의 저에너지 준위(A1)에서는 상대적으로 뼈 조직의 감쇄 지수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도 3(b)의 B1 영상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뼈 조직의 영상이 높은 대조도(contrast)를 보이면서 뚜렷하게 보이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도 3(a)의 고에너지 준위(A2)에서는 상대적으로 뼈 조직의 감쇄 지수 비중이 낮아지고 연조직과 지방 조직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도 3(b)의 B2 영상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뼈 조직의 영상이 대조도(contrast)가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뼈 조직과 주변 조직의 경계가 흐릿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230)에서는 상기 저에너지 준위에 의한 검출 데이터(B1 영상)에서 고에너지 준위에 의한 검출 데이터(B2 영상)을 차등하여 엑스선 투시 영상을 생성함로써 도 3(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뼈 등 경조직에 대하여 높은 대조도(contrast)를 가지는 엑스선 투시 영상을 도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고에너지 준위에 의한 검출 데이터(B2 영상)에서 저에너지 준위에 의한 검출 데이터(B1 영상)을 차등하여 엑스선 투시 영상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도 3(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조직이나 지방 조직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엑스선 투시 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240)에서는 상기 엑스선 방사부(210)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에너지 준위 및 제2 에너지 준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영상 처리부(230)에서 생성되는 엑스선 투시 영상의 대조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제1 에너지 준위, 제2 에너지 준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230)에서 생성되는 엑스선 투시 영상의 대조도 수치의 변화를 파악한 후, 상기 제1 에너지 준위 또는 제2 에너지 준위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상기 영상 처리부(230)에서 생성되는 엑스선 투시 영상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fluoroscopy system)는 정형외과나 신경외과 등에서 골절 부위 등을 엑스선을 사용하여 촬영한 후 컴퓨터로 영상을 처리해서 모니터에 실시간으로 동영상처럼 볼 수 있도록 해주게 되므로, 제1 시점에서 생성된 엑스선 투시 영상의 대조도 수치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대조도 수치를 미리 정해진 기준치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산출된 대조도 수치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240)는 엑스선 방사부(210)에서 방사되는 엑스선의 제1 에너지 준위 및 제2 에너지 준위를 변화시키면서 제2 시점에서 생성된 엑스선 투시 영상의 대조도 수치를 산출한 후, 이를 미리 정해진 기준치와 다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제2 시점에서 생성된 엑스선 투시 영상의 대조도 수치와 상기 제1 시점에서의 대조도 수치와 비교하여, 상기 엑스선 방사부(210)에서 방사되는 엑스선의 제1 에너지 준위 및 제2 에너지 준위를 어떻게 조절할 것인지 결정할 수도 있다.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fluoroscopy system)에서는 실시간으로 엑스선 투시 영상을 반복하여 생성하게 되므로, 상기 엑스선 투시 영상의 대조도를 파악하면서 상기 엑스선 방사부(210)에서 방사되는 엑스선의 제1 에너지 준위 및 제2 에너지 준위를 반복적으로(iterative) 조절하여 줌으로써, 엑스선 투시 영상의 대조도 등 품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200)에서의 이중 엑스선 그래프 및 그에 대한 엑스선 투시 영상을 예시하고 있다. 도 4(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에너지의 제1 에너지 준위 엑스선은 40kVp의 에너지 준위를 가지고 있고, 고에너지의 제2 에너지 준위 엑스선은 70kVp의 에너지 준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제2 에너지 준위 엑스선(70kVp)은 구리 필터(Cu filter)를 투과하면서 제1 에너지 준위 엑스선(40kVp) 이하 영역에서의 엑스선이 억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4(b)에서는 상기 제1 에너지 준위 엑스선(40kVp)에 의한 엑스선 투시 영상을 보여주고 있고, 도 4(c)에서는 상기 상기 제2 에너지 준위 엑스선(70kVp)에 의한 엑스선 투시 영상을 보여주고 있다. 도 4(b)와 도 4(c)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도 4(b) 엑스선 투시 영상에서 보다 높은 대조도를 보이며, 이에 따라 경조직이 보다 뚜렷하게 구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200)에 의하여 생성된 엑스선 투시 영상을 종래 엑스선 투시 영상과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다.
먼저 도 5(a)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라 생성된 엑스선 투시 영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도 5(b)에서는 저에너지 준위(제1 에너지 준위) 엑스선의 검출 데이터로부터 고에너지 준위(제2 에너지 준위) 엑스선의 검출 데이터를 차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한 엑스선 투시 영상을 보여주고 있다. 도 5(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5(a)의 엑스선 투시 영상과 비교할 때, 대조도가 개선되면서 경조직이 매우 또렷하게 구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c) 에서는 고에너지 준위(제2에너지 준위) 엑스선의 검출 데이터로부터 저너지 준위(제1에너지 준위) 엑스선의 검출 데이터를 차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한 엑스선 투시 영상을 보여주고 있다. 도 5(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5(a)의 엑스선 투시 영상과 비교할 때, 경조직은 매우 흐릿하게 보이는 반면, 경조직을 제외한 연조직과 지방 조직이 더욱 명확하게 식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
210 : 엑스선 방사부
220 : 엑스선 검출부
230 : 영상 처리부
240 : 제어부

Claims (7)

  1. 피사체에 대하여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과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방사하는 엑스선 방사부;
    상기 피사체를 투과한 상기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과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부; 및
    상기 엑스선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에 대한 제1 엑스선 검출 데이터와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에 대한 제2 엑스선 검출 데이터의 차등치를 이용하여 엑스선 투시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에너지 준위는 상기 제2 에너지 준위 보다 낮은 에너지 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방사부는 상기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방사하는 제1 엑스선원과,
    상기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방사하는 제2 엑스선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을 방사하는 제2 엑스선원에는 상기 제1 에너지 준위 이하의 엑스선을 필터링하는 필터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방사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에너지 준위 및 제2 에너지 준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되는 엑스선 투시 영상의 대조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에너지 준위, 제2 에너지 준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되는 엑스선 투시 영상의 대조도 수치의 변화를 파악하여,
    상기 제1 에너지 준위 또는 제2 에너지 준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에 대한 제1 엑스선 검출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에 대한 제2 엑스선 검출 데이터를 차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조직에 대한 엑스선 투시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2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에 대한 제2 엑스선 검출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에너지 준위의 엑스선에 대한 제1 엑스선 검출 데이터를 차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조직에 대한 엑스선 투시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
KR1020140190385A 2014-12-26 2014-12-26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 KR20160079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385A KR20160079961A (ko) 2014-12-26 2014-12-26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385A KR20160079961A (ko) 2014-12-26 2014-12-26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961A true KR20160079961A (ko) 2016-07-07

Family

ID=5649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385A KR20160079961A (ko) 2014-12-26 2014-12-26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99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533B1 (ko) 2018-07-24 2019-05-21 주식회사 레메디 이중 에너지 x선 촬영 장치
KR20210044638A (ko) 2019-10-15 2021-04-23 한국전기연구원 다중 에너지 x선 단층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220053815A (ko) 2020-10-23 2022-05-02 한국전기연구원 디지털 유방 진단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533B1 (ko) 2018-07-24 2019-05-21 주식회사 레메디 이중 에너지 x선 촬영 장치
US11517273B2 (en) 2018-07-24 2022-12-06 Re-Medi Co., Ltd. Dual energy X-ray imaging apparatus
KR20210044638A (ko) 2019-10-15 2021-04-23 한국전기연구원 다중 에너지 x선 단층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220053815A (ko) 2020-10-23 2022-05-02 한국전기연구원 디지털 유방 진단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tsura et al. Current and novel techniques for metal artifact reduction at CT: practical guide for radiologists
US10297042B2 (en) Medical image fusion with reduced search space
Barzilay et al. Robot-assisted vertebral body augmentation: a radiation reduction tool
US20080056441A1 (en) Method for obtaining a tomosynthesis image
Schafer et al. Antiscatter grids in mobile C‐arm cone‐beam CT: effect on image quality and dose
KR20130010952A (ko) 이중 에너지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Hoggarth et al. Dual energy imaging using a clinical on-board imaging system
US20140243579A1 (en) Dual-energy image suppression method
KR20180044421A (ko) 교정 수술 계획에 사용하기 위해 의료용 임플란트를 가진 환자의 의료 영상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3348195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radiation image image pickup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Benz et al. Initial assessment of a prototype 3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ystem for imaging of the lumbar spine, evaluating human cadaveric specimens in the upright position
Takrouri et al. Metal artifact reduction: added value of rapid-kilovoltage-switching dual-energy CT in relation to single-energy CT in a piglet animal model
KR20160079961A (ko) 이중 에너지 준위 엑스선원을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
JP7242284B2 (ja) 医用画像処理装置、x線診断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11096645B2 (en) Bone mineral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bone mineral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bone mineral information acquisition program
US9101325B2 (en) Chest radiography image contrast and exposure dose optimization
US10089728B2 (en) Radiation-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KR20160079955A (ko) 적층형 듀얼 검출기를 이용한 엑스선 투시 촬영 장치
US10083503B2 (en) Image area specification device and method, and X-ray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KR102301409B1 (ko)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78180A (ko) 단층 촬영을 위한 관심 영역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17468A (ko) 이중 에너지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Borggrefe et al. Comparison of intraoperative flat panel imaging and postoperative plain radiography for the detection of intraarticular screw displacement in volar distal radius plate ostheosynthesis
US11972510B2 (en) Method for generating tomographic image and X-ray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same
JP724100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