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9311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9311A
KR20160079311A KR1020140190488A KR20140190488A KR20160079311A KR 20160079311 A KR20160079311 A KR 20160079311A KR 1020140190488 A KR1020140190488 A KR 1020140190488A KR 20140190488 A KR20140190488 A KR 20140190488A KR 20160079311 A KR20160079311 A KR 20160079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ice
tra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4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39491B1 (en
Inventor
송일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0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491B1/en
Publication of KR20160079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3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4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liquids, e.g. br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A deicer applied to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wherein a storage room is formed;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room; and a deicing device which is installed in the storage room or on a rear plane of the door. The deicing device includes: a tray assembly including a tray wherein water for deicing is stored, and a water tank installation part where a water tank assembly is installed; and an ice tank which accommodates ice separated from the tray assembly while being placed at a lower side of the tray assembly. The water tank assembly includes: a tank part wherein a storage chamber is formed inside, and an aperture part is formed at an upper part; and a cover part which blocks the aperture part and has a water drain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 tank part is formed in a flexible bellows shape. The refrigerator can prevent a hand of a user from being hindered by the water tank.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며, 냉동실의 내부에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가 설치될 수 있다.Generally, the refrigerator has at least one of a freezer compartment and a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n ice maker for generating ice can be installed inside the freezer compartment.

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도어의 배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Or the ice maker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한편,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해 물을 담는 아이스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는, 공급되는 물을 다수의 얼음 조각으로 결빙시키기 위한 다수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the ice maker includes an ice tray for storing water to generate ice, and the ice tra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for freezing the supplied water into a plurality of ice pieces.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물을 공급해주기 위해서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상측에 물탱크가 설치된다.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ice tray, a water tank is installed above the ice tray.

상세히,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며, 장착된 아이스 메이커의 상측에, 물탱크가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 바스켓을 인출할 때, 사용자의 팔 또는 꺼내고자 하는 물품과, 돌출 형성되어 있는 물탱크와 마찰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In detail, the ice maker is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a door, and a water tank protrud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mounted ice maker. Therefore,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and draws out the basket, there arises a problem that friction occurs between the user's arm or the article to be removed and the protruding water tank.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8563(2013.11.27)에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echnology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128563 (Nov.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실 내부 또는 상기 도어의 이면에 설치되는 제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 장치는, 제빙을 위한 물이 담기는 트레이와, 상기 물탱크 어셈블 리가 장착되는 물탱크 장착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어셈블리;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하측에 놓여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에서 분리되는 얼음을 수용하는 아이스 뱅크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는, 내부에 저장 챔버가 형성되고,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탱크부와, 상기 개구부를 막고, 중심부에 물배출홀이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부는 신축 가능한 주름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including: a cabinet in which a storage compartment is forme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room; And an ice maker installed in the storage room or on a rear surface of the door, wherein the ice maker includes a tray for storing ice for ice making and a water tank mounting part for mounting the water tank assembly; And an ice bank disposed below the tray assembly to receive ice separated from the tray assembly. The water tank assembly includes a tank part having a storage chamber formed therein and an opening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cover portion in which a water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nd the tank portion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 stretchable wrinkle barrel.

상기 물탱크 장착부는, 상기 커버부를 수용하는 물탱크 수용홀과, 상기 물탱크 수용홀의 상측에 형성되는 안착턱과, 상기 물탱크 수용홀의 바닥부 일측에 형성되는 물공급홀과, 상기 물공급홀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물탱크 수용홈의 바닥부 타측에 형성되는 가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tank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water tank receiving hole for receiving the cover portion, a mounting jaw formed above the water tank receiving hole, a water supply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water tank receiving hole, And a pressure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receiving groove.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는, 상기 커버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물배출홀을 덮는 플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 어셈블 리가 상기 물탱크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가압 돌기가 상기 물 배출홀을 관통하여 상기 플랩을 밀어 올릴 수 있다.Wherein the water tank assembly further includes a flap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to cover the water discharge hole, and when the water tank assembly is mounted on the water tank mounting portion, the pressure projection passes through the water discharge hole, . ≪ / RTI >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는, 상기 탱크부의 상측 외주면에 둘러져서 상기 안착턱에 걸리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탱크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tank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flange that is wrapped arou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nk portion and hooked to the seating jaw, and a male screw formation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nk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flange.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는, 상기 커버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 형성부와 결합되는 암나사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tank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female screw forming part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part and coupled with the male screw forming p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물탱크를 수납부에 형성된 물탱크 장착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하측으로 가압하여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이나 팔이 물탱크에 부딪혀서 물탱크가 파손되거나, 고내에 저장된 음식물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물탱크와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tank is mounted on the water tank mounting portion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can be pressed downward to reduce the volume, the user's hand or arm hits the water tan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interference with the water tank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food stored in the hearth.

또한, 물이 채워진 물탱크를 트레이에 안착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물탱크를 뒤집더라도, 물탱크 내부에 구비된 플랩에 의하여 물이 새어 나가지 않는 효과가 있다.
Further, in order to seat the water tank filled with water in the tray, even if the user flips the water tank,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ter does not leak out by the flaps provided in the water tan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가 구비되는 냉동실 도어의 이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를 구성하는 물탱크가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를 구성하는 물탱크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물탱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탱크부의 사시도.
도 5는 물탱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탱크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어셈블 리가 물탱크 장착부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어셈블 리가 물탱크 장착부에 완전히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이 완료되어 물탱크 어셈블리의 탱크부가 수축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a freezer compartment door provided with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tank constitut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tank constituting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acted.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nk portion constituting a water tank assembly;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portion coupled to a tank portion constituting a water tank assembly;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tan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water tank mounting por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tan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lly mounted on a water tank mounting por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ank portion of a water tank assembly being shrunk after completion of wat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가 구비되는 냉동실 도어의 이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a freezer compartment door provided with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에 개폐 가능하게 제공되는 도어(1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1 forming a storage space, and a door 12 provided in the cabinet 11 to be openable and closable.

상기 캐비닛(11) 내측의 저장 공간은 베리어(111)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어 냉동실(101)과 냉장실(102)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01)과 냉장실(102)은 각각 냉동실 도어(121)와 냉장실 도어(미도시)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12)와 냉장실 도어(미도시)는 상기 캐비닛(11)에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냉동실(101)과 냉장실(102)을 개폐할 수 있다.The storage space inside the cabinet 11 may be divided into right and left by the barrier 111 to form the freezer compartment 101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02, respectively. The freezing chamber 101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102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a freezing chamber door 121 and a refrigerating chamber door (not shown), respectively.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2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not shown)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11 by a hinge and can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101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02 by pivoting.

그리고 상기 냉동실(101)과 냉장실(102)의 내측에는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선반(112) 및 수납박스(113) 등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121)와 냉장실 도어(미도시)의 배면에도 다수의 도어 바스켓(12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01) 또는 냉장실(102)에는 음용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20)도 장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helves 112 and a storage box 113 for storing food may be provided inside the freezer compartment 101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02. Also, a plurality of door baskets 122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121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not shown). Also, a dispenser 20 for taking drinking water may be installed in the freezing room 101 or the refrigerating room 102.

또한, 상기 냉동실 도어(121)의 배면에는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장치(50)가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ice maker 50 for manufacturing ice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12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로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가 제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냉동실이 냉장실 상측에 제공되는 탑마운트 타입 냉장고 또는 냉동실이 냉장실 하측에 제공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 모두에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As shown in FIG. 1, a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is shown as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in a top-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both the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provided unde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고(1)에 적용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5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icemaker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pplied to the refrigerator 1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를 구성하는 물탱크가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를 구성하는 물탱크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tank constituting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tank constituting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acted. to b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빙 장치(50)는, 트레이 어셈블리(51)와, 아이스 뱅크(52)와, 트레이 커버(53) 및 물탱크 어셈블리(54)를 포함한다.2 and 3, the ice maker 50 includes a tray assembly 51, an ice bank 52, a tray cover 53, and a water tank assembly 54.

또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51)는, 제빙을 위한 물이 담기는 트레이(512)와, 상기 트레이를 수용하는 트레이 하우징(511)을 포함한다.The tray assembly 51 includes a tray 512 for storing ice for ice making, and a tray housing 511 for accommodating the tray.

상기 트레이(512)에는 다수의 얼음 조각으로 결빙시키기 위한 다수의 홈(512a)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512a)들은 큐빅 형태를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 또는 반구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ay 51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512a for freezing a plurality of ice pieces. The grooves 512a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al shape including a cubic shape or a hemispherical shape.

그리고 상기 트레이 하우징(511)의 일측에는 상기 트레이(512)에서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도록 하는 이빙 손잡이(5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빙 손잡이(513)의 회전축은 상기 트레이(512)의 일 측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이빙 손잡이(513)를 회전시키면, 상기 이빙 손잡이(513)와 상기 트레이(512)가 함께 회전한다.An ice-making knob 513 is rotatab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tray housing 511 to separate ice generated from the tray 512. The rotating shaft of the ice-making knob 513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ray 512. When the user rotates the ice-making knob 513, the ice-making knob 513 and the tray 512 rotate together .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52)는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51)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512)로부터 분리되는 얼음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아이스 뱅크(52)는, 사용자가 상기 아이스 뱅크(52)에 저장된 얼음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잇도록, 드로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ice bank 52 is provided below the tray assembly 51 to store ice separated from the tray 512. The ice bank 5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drawer so that a user can easily retrieve the ice stored in the ice bank 52. [

상기 트레이 커버(53)는 상기 트레이(512)의 상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물탱크 어셈블 리가 장착될 수 있다.The tray cover 53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y 512, and the water tank assembly can be mounted on one side.

그리고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54)에 담긴 물은 상기 트레이(512)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 커버(53)는 상기 트레이(512)의 상측에 놓여서 상기 트레이(512)를 덮는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커버(53)의 일측에는 상기 물탱크 어셈블 리가 장착되는 물탱크 장착부(53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 장착부(533)를 제외한 상기 트레이 커버(53)는 음식물 또는 저장 물품이 놓이는 수납부(532)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고내에서 인출한 물건을 상기 수납부(532)에 놓을 수 있기 때문에, 물건을 든 상태에서 다른 행위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 장착부(533)는 상기 수납부(532)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탱크 어셈블 리가 끼워지도록 홀 또는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assembly 54 is supplied to the tray 512. The tray cover 53 is placed on the tray 512 to cover the tray 512. A water tank mounting portion 533 on which the water tank assembly is mounted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y cover 53. The tray cover 53, except for the water tank mounting portion 533, may function as a storage portion 532 for storing food or a storage product. That is, since the article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room can be placed on the storage unit 532,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convenience of performing another action while holding the article is solved. The water tank mounting portion 53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ceiving portion 532 and may be formed in a hole or a groove shape to fit the water tank assembly.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54)는 상기 물탱크 장착부(533)에 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3, the water tank assembly 54 is attached to the water tank mounting portion 533 in a detachable manner.

상세히,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54)는,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져, 외력에 의하여 수축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만일, 상기 물탱크 어셈블 리가 높이 조절이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면, 사용자가 냉동실로부터 음식물을 꺼내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팔이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54)에 부딪혀서 상기 물탱크 어셈블 리가 파손되거나 제빙 장치(50)로부터 분리되어 바닥으로 낙하하는 위험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어셈블리(54)는 수축 가능한 구조의 용기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위험이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In detail, the water tank assembly 54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and can be shrunk by an external force to adjust the height. If the water tank assembly is structur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water tank assembly is not adjustable, the user's arm may hit the water tank assembly 54 in the process of taking food out of the freezing chamber, There is a risk of falling from the floor to the floor. However, since the water tank assembly 5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having a constrictable structure, the above-described risk is eliminated.

도 4는 물탱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탱크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물탱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탱크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의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nk portion constituting a water tank assembly,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portion coupled to a tank portion constituting a water tank assembly.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54)는, 물이 담기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단부가 개방되는 탱크부(551)와, 상기 탱크부(55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4 and 5, the water tank assembly 54 includes a tank portion 551 in which a space for storing water is formed and an upper end thereof is opened, and a cover portion coupl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the tank portion 551 .

상세히, 상기 탱크부(551)는 물이 저장되고 신축 가능한 물탱크 본체(55)와, 물이 수납될 수 있는 물탱크 본체(55)를 구비한다. 상기 물탱크 본체(55)는 내부에 저장 챔버(555 : 도 6 참조)가 형성되는 물탱크 본체(55)와, 상기 물탱크 본체(55)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 결합부(552)와, 상기 수나사 결합부(552)의 하단에 해당하는 물탱크 본체(55)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플랜지(553) 및 상기 물탱크 본체(55)의 상면을 정의하는 개구부(554)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ank 551 includes a water tank main body 55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stretchable, and a water tank main body 55 in which water can be stored. The water tank main body 55 includes a water tank main body 55 in which a storage chamber 555 (see FIG. 6) is formed, a male screw coupling portion 552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tank main body 55, A flange 553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tank main body 55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male screw coupling portion 552 and an opening 554 defining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main body 55 .

상기 물탱크 본체(55)는 주름관 또는 주름통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물탱크 본체(55)의 상면을 가압하면 수축되고, 상면을 잡아당기면 팽창(또는 신장)된다.Since the water tank main body 55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or a corrugated pipe,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main body 55 is pressed, it contracts. When the upper surface is pulled, it expands (or stretches).

상기 플랜지(553)는 소정의 폭으로 돌출되고, 상기 탱크 본체의 외주면에 띠 형상으로 둘러진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553)는 상기 물탱크 장착부(533)의 안착턱(553a : 도 6 참조)에 걸려서 안착된다.The flange 553 protrudes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surrounded by a ba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ank body. The flange 553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553a of the water tank mounting portion 533 (see FIG. 6).

또한, 상기 물탱크 커버(56)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 결합부(552)와 결합되는 암나사 결합부(56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 본체(55)에 물이 채워지면 상기 물탱크 커버(56)를 상기 물탱크 본체(55)에 결합시킨다. 즉, 상기 암나사 결합부(561)와 수나사 결합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물탱크 커버(56)를 돌려서 상기 물탱크 본체(55)에 결합시킨다.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tank cover 56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engagement portion 561 to be engaged with the male screw engagement portion 552. Accordingly, when the water tank main body 55 is filled with water, the water tank cover 56 is coupled to the water tank main body 55. That is, the water tank cover 56 is coupled to the water tank main body 55 so that the female screw engagement portion 561 and the male screw engagement portion are engaged.

한편, 상기 탱크부(551)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물이 상기 트레이(512)로 전부 저장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tank part 551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it can be checked whether or not water is completely stored and supplied to the tray 512.

그리고 상기 물탱크 커버(56)의 중심부에는 물배출홀(562)이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 커버(56)의 중심부 내주면에는 플랩(563)이 설치되어 상기 물배출홀(562)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랩(563)의 구조와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A water discharge hole 56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ater tank cover 56 and a flap 563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water tank cover 56 to selectively shield the water discharge hole 562 .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flap 56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어셈블 리가 물탱크 장착부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어셈블 리가 물탱크 장착부에 완전히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이 완료되어 물탱크 어셈블리(54)의 탱크부(551)가 수축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tan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water tank mounting por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water tank assembly fully mounted on a water tank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ank portion 551 of the water tank assembly 54 is contracted after completion of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 장착부(533)에는,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54)의 플랜지(553)가 안착되는 안착턱(55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54)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물탱크 수용홈(533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 수용홈(533b)의 하단에는 물공급홀(533c)이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54)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트레이(512)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홀(533c)과 인접하는 상기 물탱크 수용홈(533b)의 바닥에는 가압 돌기(533d)가 상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6, the water tank mounting part 533 is formed with a mounting step 553a on which the flange 553 of the water tank assembly 54 is seated. And a water tank receiving groove 533b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tank assembly 54 is received may be formed. A water supply hole 533c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receiving groove 533b so that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ssembly 54 is supplied to the tray 512. [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receiving groove 533b adjacent to the water supply hole 533c, a pressing protrusion 533d is protruded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54)를 상기 물탱크 장착부(533)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물탱크 커버(56)가 상기 물탱크 본체(55)에 결합된 상태의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54)를 뒤집어서, 상기 물탱크 커버(56) 부분이 상기 물탱크 수용홈(533b)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플랜지(553)가 상기 안착턱(553a)에 걸리게 되어,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54)의 일부만이 상기 물탱크 수용홈(533b)에 수용된다. 즉, 상기 물탱크 본체(55)는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물탱크 본체(55)의 바닥부분이 상측을 향하는 상태가 된다.The water tank assembly 54 is coupled to the water tank body 55 so that the water tank cover 56 is coupled to the water tank body 55. In order to connect the water tank assembly 54 to the water tank mounting part 533, The water tank cover 56 is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receiving groove 533b. Then, the flange 553 is caught by the seat cushion 553a, so that only a part of the water tank assembly 54 is received in the water tank receiving groove 533b. That is, the water tank main body 55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water tank main body 55 faces upward.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탱크부(551)의 플랜지(553)가 상기 안착턱(553a)에 안착될 때까지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54)를 하강시키면, 상기 가압 돌기(533d)가 상기 커버부의 물배출홀(562)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 돌기(533d)는 상기 물배출홀(562)을 막고 있던 상기 플랩(563)을 위로 밀어 올린다. 그러면, 상기 물배출홀(562)이 개방되고, 상기 저장 챔버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상기 물배출홀(562)을 통하여 상기 저장 챔버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 챔버 외부로 배출된 물은 상기 물탱크 수용홈(533b)을 통하여 상기 트레이(512)로 낙하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512)로 낙하하는 물은 트레이(512) 전체에 골고루 분배된다.7, when the water tank assembly 54 is lowered until the flange 553 of the tank part 551 is seated on the seating step 553a, the pressing protrusion 533d moves downward And is inserted into the water discharge hole 562. The pressing protrusion 533d pushes up the flap 563 that has closed the water discharging hole 562. Then, the water discharge hole 562 is opened, and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chamber through the water discharge hole 562. The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chamber falls into the tray 512 through the water tank receiving groove 533b. The water falling into the tray 512 is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tray 512.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 어셈블 리가 상기 물탱크 장착부(533)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탱크부(551)의 바닥이 상측을 향한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 water tank assembly is mounted on the water tank mounting portion 533, the bottom of the tank portion 551 faces upward.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탱크부(551)의 바닥에 힘을 가하면 상기 탱크부(551), 구체적으로는 주름관 형태의 상기 물탱크 본체(55)가 수축되면서 높이가 낮아진다. 그 결과, 상기 탱크부(551)에 저장된 물이 더 빠른 속도로 배출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applies a force to the bottom of the tank portion 551, the tank portion 551, specifically, the water tank body 55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is shrunk and the height is lowered. As a result,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portion 551 can be discharged at a higher speed.

그리고 상기 물탱크 본체(55)의 부피가 감소함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나 팔이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54)에 부딪혀서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54)가 파손되거나, 고내에 저장된 음식물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54)와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user's hand or arm hits the water tank assembly 54 as the volume of the water tank body 55 decreases and the water tank assembly 54 is damaged or the food stored in the hull is taken ou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interfering with the water tank assembly 54.

또한, 물이 채워진 물탱크 어셈블리(54)를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51)에 안착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54)를 뒤집더라도,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54) 내부에 구비된 상기 플랩(563)에 의하여 물이 새어 나가지 않는 효과가 있다.It is also contemplated that even if the user reverses the water tank assembly 54 to seat the water filled tank assembly 54 in the tray assembly 51, 563, the water does not leak out.

Claims (5)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실 내부 또는 상기 도어의 이면에 설치되는 제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 장치는,
제빙을 위한 물이 담기는 트레이와, 상기 물탱크 어셈블 리가 장착되는 물탱크 장착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어셈블리;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하측에 놓여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에서 분리되는 얼음을 수용하는 아이스 뱅크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는,
내부에 저장 챔버가 형성되고,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탱크부와,
상기 개구부를 막고, 중심부에 물배출홀이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부는 신축 가능한 주름통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cabinet in which a storage chamber is forme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room; And
And an ice maker installed in the storage room or on a rear surface of the door,
The ice-
A tray assembly including a tray containing water for ice making and a water tank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water tank assembly is mounted;
And an ice bank placed below the tray assembly to receive ice separated from the tray assembly,
The water tank assembly includes:
A tank portion in which a storage chamber is formed and an opening is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cover portion covering the opening portion and having a water discharge hol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Wherein the tank portion is in the form of a stretchable wrinkle barr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장착부는,
상기 커버부를 수용하는 물탱크 수용홀과,
상기 물탱크 수용홀의 상측에 형성되는 안착턱과,
상기 물탱크 수용홀의 바닥부 일측에 형성되는 물공급홀과,
상기 물공급홀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물탱크 수용홈의 바닥부 타측에 형성되는 가압 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tank mounting portion includes:
A water tank receiving hole for receiving the cover portion,
A receiving jaw formed above the water tank receiving hole,
A water supply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receiving hole,
And a pressure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receiving groove spaced from the water supply ho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는,
상기 커버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물배출홀을 덮는 플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 어셈블 리가 상기 물탱크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가압 돌기가 상기 물배출홀을 관통하여 상기 플랩을 밀어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함하는 냉장고.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tank assembly includes:
And a flap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nd covering the water discharge hole,
Wherein when the water tank assembly is mounted on the water tank mounting portion, the pressure projection passes through the water discharge hole to push up the flap.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는,
상기 탱크부의 상측 외주면에 둘러져서 상기 안착턱에 걸리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탱크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tank assembly includes:
A flange which surrounds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nk portion and engages with the seating jaw,
And a male screw forming part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nk part corresponding to an upper side of the flang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는,
상기 커버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 형성부와 결합되는 암나사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5. The method of claim 4,
The water tank assembly includes:
And a female screw forming part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part and coupled with the male screw forming part.
KR1020140190488A 2014-12-26 2014-12-26 Refrigerator KR1016394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488A KR101639491B1 (en) 2014-12-26 2014-12-26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488A KR101639491B1 (en) 2014-12-26 2014-12-26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311A true KR20160079311A (en) 2016-07-06
KR101639491B1 KR101639491B1 (en) 2016-07-13

Family

ID=5650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488A KR101639491B1 (en) 2014-12-26 2014-12-26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49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262A (en) * 2019-07-06 202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US11874049B2 (en) 2018-10-02 2024-01-1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8563A (en) * 2012-05-17 2013-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 maker for refrigerator
KR20140052600A (en) * 2012-10-25 2014-05-07 이규재 Portable water purifiers steriliz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8563A (en) * 2012-05-17 2013-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 maker for refrigerator
KR20140052600A (en) * 2012-10-25 2014-05-07 이규재 Portable water purifiers steriliz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4049B2 (en) 2018-10-02 2024-01-1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230031262A (en) * 2019-07-06 202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30031263A (en) * 2019-07-06 202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491B1 (en)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182B1 (en) Refrigerator
KR101621578B1 (en) Refrigerator
US7934389B2 (en) Ice tray assembly for refrigerator
KR101997259B1 (en) Refrigerator
KR101370250B1 (en) Ice maker for refrigerator
EP2428755A2 (en) Refrigerator
JP2005090943A (en) Dispenser of ice 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US20060162369A1 (en) Refrigerator
KR20110112377A (en) Refrigerator
KR20120007202A (en) Refirgerator
KR20110138777A (en) Refrigerator
KR101639491B1 (en) Refrigerator
KR20120134855A (en) A ice making tray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KR102451448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0983136B1 (en) Refrigerator with a dispenser
CN107208955B (en) Refrigerator with ice bucket on door
KR101055737B1 (en) Kimchi refrigerator
KR20070059507A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US11204194B2 (en) Refrigerator
KR101871713B1 (en) A ice making tray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KR101480460B1 (en) Refrigerator
MX2009001676A (en) Ice tr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KR20130053215A (en) Refrigerator
KR20220037700A (en) Refrigerator and ice maker for refrigerator
WO2022199606A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