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8578A -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8578A
KR20160078578A KR1020140187972A KR20140187972A KR20160078578A KR 20160078578 A KR20160078578 A KR 20160078578A KR 1020140187972 A KR1020140187972 A KR 1020140187972A KR 20140187972 A KR20140187972 A KR 20140187972A KR 20160078578 A KR20160078578 A KR 20160078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weight
dwtt
austenitic
dwtt duc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809B1 (ko
Inventor
이운해
서인식
이순기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7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809B1/ko
Publication of KR20160078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은 망간(Mn): 14~22 중량%; 탄소(C): 0.5~0.8 중량%; 구리(Cu): 0.5~2 중량%; 인 (P): 0.001~0.03중량%; 황(S): 0.001~0.02중량%; 질소(N): 0.001~0.03중량%;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판은 상기 조성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항복강도 및 DWTT 연성파면율의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AUSTENITE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DWTT PROPER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개시는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육상 및 천해 지역에서의 자원고갈에 따라 자원채취 지역이 점차적으로 기존 천해지역(~200m)에서 심해(1000~3000m) 지역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채취된 자원의 효율적인 수송을 위해 라인파이프를 사용한다.
심해지역에서 라이파이프를 적용하기 위해, 라인파이프용 강판의 요구 두께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탄소강에서는 기계적 물성 중 인장특성으로써 항복비(항복강도/인장강도)가 낮은 것이 요구되고 있다.
심해저용 라인파이프 강판에서 요구되는 파괴특성 중에 하나로써 DWTT(Drop Weight Tear Test) 연성파면율(shear area)이 -20℃에서 DWTT 연성파면율 85% 이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저온 DWTT 연성파면율(DWTT shear area)은 판재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DWTT 테스트 시 발생하는 크랙(crack) 주변 선단에서의 평면변형률(plane strain) 조건은 점점 가혹해지기 때문에, 파괴역학적으로 두꺼운 판재에서 높은 연성파면율을 구현하기 힘들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온에서 연신율을 확보하면서 우수한 DWTT 연성파면율 특성을 확보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하기의 특허문헌 1은 저온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1-0143221호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는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은 망간(Mn): 14~22 중량%; 탄소(C): 0.5~0.8 중량%; 구리(Cu): 0.5~2 중량%; 인 (P): 0.001~0.03중량%; 황(S): 0.001~0.02중량%; 질소(N): 0.001~0.03중량%;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의 제조방법은 망간(Mn): 14~22중량%, 탄소(C): 0.5~0.8중량%, 구리(Cu): 0.5~2중량%, 인 (P): 0.001~0.03중량%, 황(S): 0.001~0.02중량%, 질소(N): 0.001~0.03중량%,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를 900~1200℃의 온도에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슬라브를 750~1050℃의 마무리 압연 온도에서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열연강판을 냉각하여 600℃이하의 온도에서 냉각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정한 항복강도를 가지며,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실시예의 파면을 나타낸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실시예의 구리 함량에 따른 DWTT 연성파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를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개시에 의한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은 망간(Mn): 14~22 중량%; 탄소(C): 0.5~0.8 중량%; 구리(Cu): 0.5~2 중량%; 인 (P): 0.001~0.03중량%; 황(S): 0.001~0.02중량%; 질소(N): 0.001~0.03중량%;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DWTT 특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의 성분 조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각 성분의 함량에 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를 의미함에 유의한다.
망간( Mn ): 14~22 중량%
상기 망간은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원소이다.
상기 망간은 극저온에서의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14 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망간의 함량은 14 중량% 내지 22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망간의 함량이 14% 미만이면, 탄소 함량이 작은 강판의 경우 준안정상인 ε-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어 극저온에서의 가공유기변태에 의해 쉽게 α-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할 수 있어, 강판의 인성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강판의 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탄소의 함량을 증가시킨 강판의 경우, 탄화물 석출로 인하여 강판의 물성이 급격히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망간의 함량이 22 중량%를 초과하면, 제조원가 상승으로 인하여 강판의 경제성이 감소할 수 있다.
탄소(C): 0.5~0.8 중량%
상기 탄소는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며, 강판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원소이다.
상기 탄소는 냉각공정 혹은 가공에 의한 오스테나이트, ε-마르텐사이트 또는 α-마르텐사이트의 변태점인 Ms 및 Md 를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탄소의 함량은 0.5 중량% 내지 0.8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탄소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오스텐나이트의 안정도가 부족하여 극저온에서 안정한 오스테나이트를 얻을 수 없으며, 외부 응력에 의해 쉽게 ε-마르텐사이트 또는 α-마르텐사이트로 가공유기변태를 일으켜 강판의 인성 및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탄소의 함량이 0.8 중량%를 초과하면, 탄화물 석출로 인하여 강판의 인성이 급격히 열화될 수 있으며, 강판의 강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강판의 가공성이 감소할 수 있다.
구리( Cu ): 0.5~2 중량%
상기 구리는 강판의 인성을 유지하면서,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원소이다.
상기 구리 첨가에 따른 석출물 형성에 의하여 강판의 강도가 향상되고, 강판이 변형되는 동안 상기 석출물 주위에 형성된 미소한 공동의 성장과 합체에 의해 딤플(dimple)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구리는 오스테나이트에서 발생하는 딤플의 깊이를 깊게 만들수 있으며, 이에 의해 DWTT 연성파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리가 다량 첨가되는 경우, 후물재의 중심부 및 용접부와 같은 냉각조건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부분은 다량의 탄화물의 입계 석출에 의하여 강판이 취약해질 수 있다.
상기 구리의 함량은 0.5 중량% 내지 2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구리의 함량이 2 중량%를 초과하면, 강판의 열간 가공성 및 표면 품질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인(P): 0.001~0.03 중량% 이하
상기 인은 강의 강도 및 내식성 향상에 유리한 원소이다.
상기 인의 함량은 0.001 중량% 내지 0.03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인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이면, 제강공정의 부하가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인의 함량이 0.03 중량%를 초과하면, 강판의 충격 인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황(S): 0.001~0.02 중량%
상기 황은 미량 원소로서 강판 내에 존재하여 MnS 개재물을 형성하는 원소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황은 개재물을 형성하며, 상기 개재물 주위에 응력 집중에 의하 내부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개재물은 양,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극심한 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으나, 오스테나이트 상은 높은 인성을 가지므로, MnS 개재물에 의한 내부결함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황의 함량은 MnS의 함량에 유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의 함량은 0.001 중량% 내지 0.02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황의 함량이 0.02 중량%를 초과하면, 과도한 MnS 개재물로 인하여 수소 취성을 억제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질소(N): 0.001~0.03중량%
상기 질소는 상기 탄소와 더불어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켜 인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상기 질소는 탄소와 같이 고용강화 또는 석출물 형성을 통하여,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유리한 원소이다.
상기 질소의 함량은 0.001 중량% 내지 0.03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질소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이면,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상기 질소의 함량이 0.03 중량%를 초과하면, 탄질화물의 조대화로 인하여 강판의 물성이나 표면 품질의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강판은 잔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통상의 철강 제조과정에서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은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어,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은 통상의 철강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개시에서는 언급하지는 않는다.
저온에서 연성 파괴를 보이는 대표적인 연질 조직인 오스테나이트는 저온 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 미세조직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의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95% 이상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스테나이트의 면적분율이 95% 미만이면, 마르텐사이트의 형성 시, 연신율이 낮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성분계와 내부조직을 만족하는 강판은 -30℃에서 DWTT 연성파면율 85% 이상의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성분계를 만족하는 강판은 면적분율로 95% 이상의 안정한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가지면, 충분한 강도와 연신율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오스테나이트의 파면이 얕은 딤플(shallow dimple)을 형성하면 상기 강판의 DWTT 연성파면율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강판에 구리를 첨가하면, 미세 석출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석출물 주위에 변형에 의하여 미소 공동이 발생 및 성장하게 되며, 상기 공동의 합체에 의하여 상기 오스테나이트의 파면에 발생한 딤플의 깊이가 깊어질 수 있다.
상기 오스테나이트의 파면은 깊은 딤플(Deep dimpl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강판의 DWTT 연성파면율은 85% 일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의한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제조방법은 본 개시의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을 제조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의 제조방법은 망간(Mn): 14~22중량%, 탄소(C): 0.5~0.8중량%, 구리(Cu): 0.5~2중량%, 인 (P): 0.001~0.03중량%, 황(S): 0.001~0.02중량%, 질소(N): 0.001~0.03중량%,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를 900~1200℃의 온도에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슬라브를 750~1050℃의 마무리 압연 온도에서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열연강판을 냉각하여 600℃이하의 온도에서 냉각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브를 재가열하는 단계는 이후 압연공정을 원활히 수행하고, 목표하는 물성을 충분히 얻을 수 있도록 강을 가열하는 공정이므로, 목적에 맞는 적절한 온도범위에서 가열공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상기 슬라브를 재가열하는 단계에서는 강판 내부의 석출형 원소들이 충분히 고용되도록 균일하게 가열하며, 너무 높은 가열온도에 의한 조대 결정립을 방지하여야 한다.
상기 슬라브를 재가열하는 단계는 열간압연 전 슬라브를 900~1200℃ 온도 범위에서 재가열한다.
상기 재가열 온도가 950℃ 미만이면, 주조시 발생되는 다양한 탄화물들이 충분히 고용되기 어려울 수 있어, 입계 탄화물에 의한 취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재가열 온도가 1200℃를 초과하면, 오스테나이트가 조대화되며, 이로 인해 최종 제품의 목표물성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강판의 저온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을 미세한 크기로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압연온도 및 압하율을 정밀제어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열간 압연은 두 가지 온도영역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두 온도영역에서 재결정 거동이 상이하므로 그 조건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열연 강판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재가열된 슬라브를 750~1050℃의 마무리 압연 온도에서 열간압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마무리 압연 온도가 750℃ 미만이면, 다량의 탄화물의 입계 석출에 의하여 상온에서 강판의 연신율이 감소될 수 있으며, 미세조직이 팬케이크화 되어 조직이방성으로 인한 불균일 연신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마무리 압연 온도가 1050℃를 초과하면, 결정립 성장이 활발하여 쉽게 결정립이 조대화되며, 이로 인해 강판의 강도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냉각을 종료하는 단계는 냉각속도를 10℃/s 이상으로 제어하여 600℃ 이하까지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냉각속도가 10℃/s 미만 또는 상기 냉각 종료 온도가 600℃ 이상이면, 탄소가 고용되지 못하여 탄화물이 과다 석출되며, 이로 인해 강판의 연신율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냉각속도는 상기 냉각 속도는 20℃/s 이상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설비 부하를 고려하여 그 상한을 50℃/s로 제한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개시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하기 표 1의 성분계를 만족하는 슬라브를 900~1200℃의 온도에서 재가열한 후, 표 1의 조건을 만족하는 열간 압연 공정을 통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열연강판의 미세조직, 결정립 크기, 항복강도, DWTT 연성파면율 및 균일 연신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성분조성(중량%) 제조조건
C Mn Cu P S N 마무리 압연온도
(℃)
냉각
속도
(℃/s)
냉각종료
온도
(℃)
비교예 1 0.44 21.5 0 0.008 0.0015 0.012 890 28 420
비교예 2 0.48 18.2 0.05 0.013 0.0022 0.015 910 28 350
비교예 3 0.72 17.8 0.2 0.015 0.0012 0.015 930 32 370
비교예 4 0.31 14 0.5 0.017 0.0018 0.011 930 23 350
비교예 5 0.65 17.8 1 0.018 0.0018 0.016 910 4 640
실시예 1 0.74 14.3 0.5 0.018 0.0019 0.017 920 45 520
실시예 2 0.4 21.4 0.5 0.009 0.0017 0.014 888 29 370
실시예 3 0.66 16.7 1 0.035 0.0014 0.018 900 22 230
실시예 4 0.45 21.8 1 0.022 0.0013 0.016 1015 34 480
실시예 5 0.42 19.9 1.5 0.017 0.0014 0.015 1020 34 480
실시예 6 0.6 19.2 1.5 0.011 0.0015 0.014 855 45 520
실시예 7 0.41 20.8 2 0.019 0.0017 0.013 888 29 370
구분 미세조직
(면적분율)
결정립도
(μm)
항복강도
(MPa)
DWTT 연성파면율(%) 연신율(%)
오스테나이트 분율(%) 기타조직
비교예 1 100 - 32 365 20.5 65
비교예 2 100 - 35 378 18 66
비교예 3 100 - 42 388 28 68
비교예 4 91 ε-마르텐사이트 79 465 52 34
비교예 5 94 탄화물 144 470 58 38
실시예 1 100 - 26 482 88 69
실시예 2 100 - 28 479 85 64
실시예 3 100 - 75 495 91 68
실시예 4 100 - 68 488 93 73
실시예 5 100 - 67 489 86 75
실시예 6 100 - 24 477 88 69
실시예 7 100 - 30 454 85 68
상기 표 1 및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 1 내지 7은 본 개시의 성분의 함량 범위를 만족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7은 항복 강도 및 균일 연신율의 특성이 우수하며, DWTT 연성파면율이 85% 이상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 내지 3은 면적분율 100%의 오스테나이트 단상을 가져 연신율이 우수하나, DWTT 연성파면율이 85% 이하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4는 구리(Cu) 첨가에 의하여 강판의 강도가 향상되었으나,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인 탄소와 망간의 함량 미달에 의하여 마르텐사이트 상의 형성으로 연신율 및 DWTT 연성파면율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5는 느린 냉각속도와 높은 냉각정지 온도에 의하여 입계 탄화물 형성되어, 강판의 연신율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실시예의 파면을 나타낸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교예 2의 파면은 딤플의 깊이가 얕은 딤플(shallow dimple)을 포함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실시예 2의 파면은 딤플의 깊이가 깊은 딤플(deep dimple)을 포함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시예 2는 파면에 깊을 딤플을 포함하여, DWTT 연성파면율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실시예의 구리 함량에 따른 DWTT 연성파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리의 함량이 0.5% 이하 일 때, DWTT 연성파면율이 40% 이하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비교예 1 내지 3이 100% 오스테나이트 상을 가짐으로써 높은 연신율로 연성 파괴를 할 수 있으나, 파면에서의 딤플의 깊이가 얕은 딤플(shallow dimple)을 포함하여 DWTT 연성파면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예 4 및 실시예 3 내지 4와 비교예 5은 각각 동일한 구리의 함량을 포함하고 있으나, DWTT 연성파면율이 다르다.
이는 비교예 4 및 5의 미세조직에 마르텐사이트 또는 탄화물이 형성되어 강판의 연성의 감소에 기인한 것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있어서는 본 개시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 내에서 본 개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며, 또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Claims (7)

  1. 망간(Mn): 14~22 중량%;
    탄소(C): 0.5~0.8 중량%;
    구리(Cu): 0.5~2 중량%;
    인 (P): 0.001~0.03중량%;
    황(S): 0.001~0.02중량%;
    질소(N): 0.001~0.03중량%;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95% 이상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의 파면은 깊은 딤플(deep dimple)을 포함하는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DWTT 연성파면율은 85% 이상인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
  5. 망간(Mn): 14~22중량%, 탄소(C): 0.5~0.8중량%, 구리(Cu): 0.5~2중량%, 인 (P): 0.001~0.03중량%, 황(S): 0.001~0.02중량%, 질소(N): 0.001~0.03중량%,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를 900~1200℃의 온도에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슬라브를 750~1050℃의 마무리 압연 온도에서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열연강판을 냉각하여 600℃이하의 온도에서 냉각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95% 이상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DWTT 연성파면율은 85% 이상인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의 제조방법.
KR1020140187972A 2014-12-24 2014-12-24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65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972A KR101665809B1 (ko) 2014-12-24 2014-12-24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972A KR101665809B1 (ko) 2014-12-24 2014-12-24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578A true KR20160078578A (ko) 2016-07-05
KR101665809B1 KR101665809B1 (ko) 2016-10-13

Family

ID=5650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972A KR101665809B1 (ko) 2014-12-24 2014-12-24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8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277A1 (ko) * 2021-12-21 2023-06-29 주식회사 포스코 슬러리 이송용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3831A (ko) * 2005-08-23 2007-03-02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망간형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5610A (ko) *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포스코 연성이 우수한 강재
KR20130075033A (ko) 2011-12-27 2013-07-05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후물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6575A (ko) * 2011-12-28 2013-07-08 주식회사 포스코 내마모성과 연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 강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3831A (ko) * 2005-08-23 2007-03-02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망간형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5610A (ko) *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포스코 연성이 우수한 강재
KR20130075033A (ko) 2011-12-27 2013-07-05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후물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6575A (ko) * 2011-12-28 2013-07-08 주식회사 포스코 내마모성과 연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 강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277A1 (ko) * 2021-12-21 2023-06-29 주식회사 포스코 슬러리 이송용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809B1 (ko)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001B1 (ko) 취성균열전파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47000B1 (ko) 취성균열전파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17453B1 (ko)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후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70484A (ko) 후물 고강도 고인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65821B1 (ko) 표면 가공 품질이 우수한 저온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46999B1 (ko) 취성균열전파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9505672A (ja) Pwht抵抗性に優れた低温圧力容器用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112489A (ko)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63532A (ko)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저온용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5336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500MPa급 고강도 후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57840B1 (ko) 취성균열전파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5927A (ko) 두께 중심부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8520B1 (ko)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65809B1 (ko)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5033A (ko) 저온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후물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8668A (ko) 취성균열전파 저항성이 우수한 구조용 극후물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3572A (ko) 강도와 연성이 우수한 열처리 경화형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66967B1 (ko) 고강도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99694B1 (ko) 저온 충격인성 및 ctod 특성이 우수한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47226B1 (ko) 파괴전파 저항성 및 항복비 특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76128B1 (ko) 강도와 연성이 우수한 열처리 경화형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1089155A (ja) 海洋構造物用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12345B1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86883B1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99319B1 (ko) 극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