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590A - Bidet with sterilization fuction - Google Patents

Bidet with sterilization f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590A
KR20160077590A KR1020140187662A KR20140187662A KR20160077590A KR 20160077590 A KR20160077590 A KR 20160077590A KR 1020140187662 A KR1020140187662 A KR 1020140187662A KR 20140187662 A KR20140187662 A KR 20140187662A KR 20160077590 A KR20160077590 A KR 20160077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et
nozzle
control signal
steriliz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6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환
정한영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7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7590A/en
Publication of KR2016007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59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03D9/085Hand-held spray heads for bidet use or for cleaning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idet includes: a manipulating part receiving the input of an operating mode; a seating sensor sensing the seating of a user to generate a seating sensing signal; a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part generating sterilization water depending on a sterilization water control signal; a control part generating a nozzle control signal depending on the operating mode; a nozzle part discharging flowing water depending on the nozzle control signal; and a sterilization water supply valve supplying the sterilization water to the nozzle part. The control part is capable of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using the bidet based on the nozzle control signal and the seating sensing signal, generating the sterilization water control signal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using the bidet, and supplying the sterilization water to the nozzle part by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sterilization water supply valve.

Description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BIDET WITH STERILIZATION FUCTION}BIDET WITH STERILIZATION FUCTION}

본 발명은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det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일반적으로 비데(Bidet)는, 용변 후,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정수로 용변자의 항문이나 여성의 국부를 세정한 후, 항문이나 국부 주위에 잔존하는 물기를 건조기에서 공급되는 온풍으로 건조시키는 장치로, 최근에는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남녀노소 모두가 폭넓게 사용하고 있다.
Generally, a bidet is a device that cleans the anus or the female part of a user's mouth with cleansing water sprayed from a nozzle without using a toilet paper after using the toilet, and then discharges the water remaining around the anus or the local area to a warm air As a device for drying, recently, interest in hygiene is increasing, and it is widely used by both sexes.

이러한 비데는 세정/비데 동작시 노즐이 비데 몸체로부터 신장되어 동작하는데, 이때, 분비물이 노즐이 묻을 수 있으며, 분비물이 노즐에 묻은 상태로 일정 시간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면 분비물이 고착될 수 있으며, 비데가 설치되는 변기에서는, 변기 내의 용변이 한번에 씻겨 내려가지 않으면 용변이 변기의 내부벽에 고착될 수 있고, 또한 변기 내에 항상 물이 고여있어 각종 미생물이 서식 및 증식할 수 있어 주기적인 살균이 필요하다.
In such a bidet, the nozzle operates from the body of the bidet during the cleaning / bidet operation. At this time, the discharge may adhere to the nozzle. If the discharge is not us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tate that the discharge is adhered to the nozzle, The toilet can be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as long as the toilet in the toilet is not washed away at once, and water is constantly stored in the toilet, so that various microorganisms can be habituated and proliferated.

종래의 살균 기능을 가지는 비데는, 주기적인 살균 동작을 위해 노즐에 설치된 밸브의 개방여부를 감지하여 카운팅하였다.
The conventional bidet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detects the opening of the valve installed in the nozzle for periodic sterilization operation and counts it.

그러나, 사용자가 착좌 상태에서 여러 번 세정 또는 비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된 횟수만큼 사용 횟수가 카운팅되고, 이에 따라 필요 이상으로 살균 동작을 자주 수행하게 되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모듈에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user uses the cleaning or bidet several times in the seating state, the number of times of use is counted by the number of times of use, and if the sterilizing operation is performed more frequently than necessary,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The burden may increase.

하기의 특허문헌 1은 살균기능이 구비된 비데에 관한 것이나, 상술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 bidet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but fails to provide a solution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08663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86634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살균 동작을 위한 비데 사용 횟수를 카운트함에 있어서, 착좌가 감지되는 상태에서 1회 이상 세정/비데 동작을 수행하더라도 착좌 감지가 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 횟수를 1회로 카운팅함으로써 사용자가 앉아있는 상태에서 비데/세정을 여러 번 사용하더라도 상기 사용횟수만큼 비데 사용 횟수가 복수회 카운팅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를 제공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a bidet is used for sterilizing operation when seating detection is canceled even if cleaning / bidet operation is performed one or more times And a sterilizing function that can prevent an error that the number of times the bidet is used is counted a plurality of times even if the bidet / washing is used several times while the user is sitt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는 동작모드의 입력을 제공받는 조작부,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여 착좌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착좌 감지 센서, 살균수 제어신호에 따라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부,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노즐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노즐 제어신호에 따라 유입되는 물을 방사하는 노즐부 및 상기 살균수를 상기 노즐부로 공급하는 살균수 공급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좌 감지신호와 상기 노즐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비데 사용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비데 사용 횟수에 따라 상기 살균수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살균수 공급밸브의 개폐를 조절하여 상기 살균수를 상기 노즐부로 공급할 수 있다.
A bidet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ng unit that receives an input of an operation mode, a seating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seating of a user and generates a seating detection signal, and a sterilizing number control unit And a sterilizing water supply valve for supplying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nozzle unit, wherein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nozzle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bidet is used based on the seating detection signal and the nozzle control signal, generates the sterilizing water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imes the bidet is used, adjusts the opening / closing of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valve, The number of nozzles can be supplied to the nozzle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좌 감지신호의 입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노즐 제어신호를 생성한 경우, 상기 착좌 감지신호의 입력이 해제될 때 상기 비데 사용 횟수를 1회 카운팅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at least one nozzl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while the input of the seating detection signal is maintained, the controller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bidet is used once when the input of the seating detection signal is canceled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데 사용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이면, 상기 살균수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the sterilization number control signal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bidet is used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numb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수 공급밸브의 개폐를 조절하여 상기 살균수를 상기 노즐부로 공급하는 살균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비데 사용 횟수를 초기화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initialize the number of times the bidet is used when the sterilizing operation of supplying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nozzle unit is completed by adjust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val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착좌 감지신호의 유무와 상관없이 세정/비데 모드를 수행하는 노즐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어린이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operation mode may include a child mode in which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nozzle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a cleaning / bidet mode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seating detection signal is pres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어린이 모드가 입력된 후에, 상기 노즐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작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동작모드에 따른 노즐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비데 사용 횟수를 1회 카운팅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generate a nozzl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when an operation mode for generating the nozzle control signal is input after the child mode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The number of times of use can be counted on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착좌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살균수 생성부는, 상기 살균수 제어신호에 따라 인가되는 전압으로 방전하여 제공되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or may generate sterilizing water by electrolyzing water supplied by discharging the applied voltage according to the sterilizing water control sig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살균수 공급밸브는, 상기 노즐부로 물이 유입되는 유로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살균수를 상기 유로로 유입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valve may be installed at an inlet of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flows into the nozzle unit, and the sterilizing water may flow into the flow path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살균 동작을 위한 비데 사용 횟수를 카운트함에 있어서, 착좌가 감지되는 상태에서 1회 이상 세정/비데 동작을 수행하더라도 착좌 감지가 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 횟수를 1회로 카운팅함으로써 사용자가 앉아있는 상태에서 비데/세정을 여러 번 사용하더라도 상기 사용횟수만큼 비데 사용 횟수가 복수회 카운팅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bidet is used for the sterilization operation, even if the cleaning / bidet operation is performed one or more times in the state where the seating is dete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rror that the number of times of using the bidet is counted a plurality of times by the number of times of use even if the bidet / washing is used many times while the user is sit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의 설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비데 사용 횟수 카운팅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어부의 비데 사용 횟수 카운팅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어부의 살균수 제어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of a bidet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idet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bidet use counting operation of the controller of FIG. 2;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bidet use counting operation of the controller of FIG. 2;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sterilizing wat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 2.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In the drawing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elem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and the like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의 설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of a bidet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bidet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100)는 조작부(110), 착좌 감지 센서(120), 살균수 생성부(130), 노즐부(140), 살균수 공급밸브(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a bidet 100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unit 110, a seating detection sensor 120, a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130, a nozzle unit 140 A sterilization water supply valve 150, and a control unit 160. [

조작부(110)는, 도 1에서와 같이, 변기(1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동작모드의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동작모드는 세정모드, 비데모드, 건조모드, 살균모드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operating portion 11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oilet 10, as in Fig. 1, and may be provided with an input of an operating mode from the user. Here, the operation mode may be a cleaning mode, a bidet mode, a drying mode, a sterilization mode, and the like.

일 실시예에서, 동작모드는, 착좌 감지 센서(120)에 의해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세정모드, 비데모드 또는 건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착좌감지 온(On) 모드와 상기 착좌 감지 유무와 상관없이 세정모드, 비데모드 또는 건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착좌감지 오프(Off)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operation mode may include a seating detection On mode in which a seating mode can be performed in a cleaning mode, a bidet mode, or a drying mode only when a seating of the user is detected by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120, Off mode, which can perform a washing mode, a bidet mode, or a drying mode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seat is in a sitting mode.

또한, 착좌 감지가 어려운 어린이의 비데 사용을 위해 상기 착좌 감지 유무와 상관 없이 세정모드, 비데모드 또는 건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어린이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child mode capable of performing a washing mode, a bidet mode, or a drying mode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seating detection is detected in order to use a bidet of a child who is difficult to detect a seating seated.

조작부(110)는 상기 동작모드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버튼들을 구비할 수 있다. 조작부(110)는 동작모드의 입력을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110 may include buttons for receiving input of the operation mode. The operation unit 110 may output the operation mode input to the control unit 140.

착좌 감지 센서(120)는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여 착좌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착좌 감지 센서(120)는 변기 시트(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적외선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120 may detect the seating of the user and generate a seating detection signal. Here,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120 may be installed in the toilet seat 2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여기서, 착좌 감지 센서(120)는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센서라도 가능하다. 착좌 감지 센서(120)는 상기 생성한 착좌 감지 신호를 제어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
Here,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120 may be any known sensor as long as it can detect the seating of the user.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120 may output the generated seating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60.

살균수 생성부(130)는 제어부(160)로부터 살균수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살균수 제어신호에 따라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130 may receive the sterilizing water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160 and may generate sterilizing water according to the sterilizing water control signal.

일 실시예에서, 살균수 생성부(130)는 제어부(160)로부터 수신한 살균수 제어신호에 따라 인가되는 전압으로 방전하여 제공되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or 130 may discharge sterilized water by discharging the applied voltage according to the sterilizing water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60 to electrolyze the water.

노즐부(140)는 제어부(160)로부터 수신한 노즐 제어신호에 따라 유입되는 물을 방사할 수 있다. 여기서, 노즐부(140)는 살균수 공급밸브(150)에 의해 살균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제어부(160)로부터 수신하는 노즐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공급되는 살균수를 방사할 수 있다.
The nozzle unit 140 can emit water flowing in accordance with the nozzl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60. Here, the nozzle unit 140 can be supplied with the sterilizing water by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valve 150, and can radiate the supplied sterilizing water according to the nozzl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60.

또한, 노즐부(140)는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노즐부(140)는 비데노즐, 세정노즐, 상기 비데노즐 및 세정노즐의 살균을 위한 살균노즐 및 도기 살균을 위한 도기살균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nozzle unit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zzles. In an embodiment, the nozzle unit 140 may include a bidet nozzle, a cleaning nozzle, a sterilizing nozzle for sterilizing the bidet nozzle and the cleaning nozzle, A sterilizing nozzle for sterilization.

여기서, 상기 노즐 제어신호는 복수개의 노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노즐부(140)는 상기 노즐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노즐로 유입되는 물 또는 살균수를 방사할 수 있다.
Here, the nozzle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and the nozzle unit 140 may emit water or sterilizing water flowing into the selected nozzle according to the nozzle control signal .

살균수 공급밸브(15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살균수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노즐부(140)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살균수 공급밸브(150)는 노즐부(140)로 물이 유입되는 유로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 또는 살균수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살균수가 상기 유로를 통해 노즐부(140)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valve 150 can suppl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130 to the nozzle unit 1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 In one embodiment,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valve 150 is installed at an inlet of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nozzle portion 140, and sterilizing water generated in the water or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portion 130, The nozzle unit 140 can be selectively supplied.

일 실시예에서, 노즐부(140)가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경우, 살균수 공급밸브(150)는 노즐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살균수 또는 물을 상기 복수개의 노즐 중 어느 한 노즐로 공급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nozzle portion 140 includes a plurality of nozzles,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valve 150 may supply the sterilizing water or water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in accordance with a nozzle control signal .

제어부(160)는 조작부(110)를 통해 입력된 동작모드에 따라 노즐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60 may generate a nozzl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0. [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조작부(110)를 통해 세정모드 또는 비데모드가 입력되면, 세정모드 또는 비데모드에 대응하는 노즐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 제어신호는 노즐부(150)로 물이 유입되는 유로의 유입구에 설치되는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 제어 신호와 세정모드 또는 비데모드에 대응하는 노즐을 선택하는 노즐 선택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는 각각 밸브와 노즐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60 may generate a nozzl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leaning mode or the bidet mode when the cleaning mode or the bidet mode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0. In one embodiment, A valv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a valve installed at an inlet port of a flow path for water to the nozzle unit 150, and a nozzl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 nozzle corresponding to the cleaning mode or the bidet mode. May output the generated control signals to the valves and the nozzle unit 140, respectively.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는 살균수 공급밸브(150)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조작부(110)를 통해 살균모드가 입력되면, 살균모드에 대응하는 노즐을 선택하는 노즐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밸브 및 노즐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valve may be a sterile water supply valve 150. When the sterilizing mode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0, the controller 160 may generate a nozzle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 nozzle corresponding to the sterilization mode and output the generated nozzle control signal to the valve and the nozzle unit 140.

또한, 제어부(160)는 착좌 감지 센서(120)로부터 수신한 착좌 감지신호와 상기 노즐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비데 사용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60 may count the number of bidet use times based on the seating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120 and the nozzle control signal.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 비데 사용 횟수에 따라 살균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살균수 생성부(130)로 출력할 수 있고, 살균수 공급밸브(150)의 개폐를 조절하여 상기 살균수를 노즐부(150)로 공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60 may generate a sterilizing water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bidet is used and output the sterilizing water control signal to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130 so that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valve 150 is opened / (150).

이러한 제어부(160)의 비데 사용 횟수 카운팅 동작 및 살균수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The bidet use count counting operation and the sterilizing wat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비데 사용 횟수 카운팅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어부의 비데 사용 횟수 카운팅 동작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idet use counting operation of the controller of FIG. 2; and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bidet use counting operation of the controller of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착좌 감지 센서(120)에서 생성된 착좌 감지 신호의 입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조작부(110)를 통해 세정/비데모드가 복수회 입력되어 노즐부(140)가 세정 또는 비데 동작을 여러 번 수행하더라도 착좌 감지 신호가 해제될 때, 비데 사용 횟수를 1회로 카운팅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6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leaning / bidet mode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0 a plurality of times while the input of the seating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120 is maintained, The number of times the bidet is used can be counted once when the seating detection signal is released even if the controller 140 performs the cleaning or bidet operation several times.

즉,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되어 유지되는 동안에는 비데/세정을 복수회 실시하더라도, 착좌가 해제될 때 비로서 노즐 사용횟수를 1회로 카운트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160 may count the number of times the nozzle is used by one time when the seating is released, even if the bidet / cleaning is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while the seating of the user is sensed and held.

도 3은 조작부(110)를 통해 착좌 감지 온(on) 모드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60)의 비데 사용 횟수 카운팅 동작일 수 있다.
3 may be a bidet use counting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60 when the seating detection on mode is input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0. FIG.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착좌에 의해 착좌 감지 센서(120)로부터 착좌 감지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S110).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 unit 160 may receive a seating detection signal from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120 by seating the user (S110).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조작부(110)를 통해 세정/비데 모드가 입력되면(S120), 상기 착좌 감지 신호의 입력이 유지되는 경우(S130), 상기 세정/비데 모드에 대응되는 노즐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노즐부(150) 또는 살균수 공급밸브(150)로 출력할 수 있다(S140).
When the user inputs the cleaning / bidet mode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0 in step S120 and the input of the seating detection signal is maintained in step S130,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nozzle / And outputs it to the nozzle unit 150 or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valve 150 (S140).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조작부(110)를 통해 세정/비데 모드가 입력되면(S150), 상기 S140 단계를 재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기 세정/비데 모드가 입력되지 않고, 착좌 감지 신호의 입력이 해제 되면(S160), 비데 사용 횟수를 1회 카운트할 수 있다(170).
Next, when the cleaning / bidet mode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0 (S150), the control unit 160 can perform the step S140 again. If the cleaning / bidet mode is not input and the input of the seating detection signal is canceled (S160), the control unit 160 may count 170 times the number of times the bidet is used (170).

여기서, 제어부(160)는 소정의 시간동안 동작모드의 입력이 없는 경우, 대기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Here, if there is no input of the operation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160 may enter the standby mode.

도 4는 조작부(110)를 통해 착좌 감지 오프(off) 모드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60)의 비데 사용 횟수 카운팅 동작일 수 있다.
4 may be a bidet use counting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60 when the seating detection off mode is input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0. [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착좌에 의해 착좌 감지 센서(120)로부터 착좌 감지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S210).
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ler 160 can receive a seating detection signal from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120 by seating the user (S210).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조작부(110)를 통해 세정/비데 모드가 입력되면(S220), 착좌 감지 신호의 입력이 유지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세정/비데 모드에 대응되는 노즐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노즐부(150) 또는 살균수 공급밸브(150)로 출력할 수 있다(S230).
Next, when the cleaning / bidet mode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0 (S220), the controller 160 generates a nozzl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leaning / bidet mode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input of the seating detection signal is maintained To the nozzle unit 150 or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valve 150 (S230).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조작부(110)를 통해 세정/비데 모드가 입력되면(S240), 상기 S230 단계를 재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기 세정/비데 모드가 입력되지 않고, 착좌 감지 신호의 입력이 해제 되면(S250), 비데 사용 횟수를 1회 카운트할 수 있다(S260). 여기서, 제어부(160)는 소정의 시간동안 동작모드의 입력이 없는 경우, 대기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Next, when the cleaning / bidet mode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0 (S240), the control unit 160 can perform the step S230 again. If the cleaning / bidet mode is not input and the input of the seating detection signal is canceled (S250), the control unit 160 may count the number of bidet use once (S260). Here, if there is no input of the operation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160 may enter the standby mod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조작부(110)를 통해 어린이 모드를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조작부(110)를 통해 조작부(110)를 통해 세정/비데 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세정/비데 모드에 대응되는 노즐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노즐부(150) 또는 살균수 공급밸브(150)로 출력할 수 있고, 노즐부(150)로 물이 공급 되면, 비데 사용 횟수를 1회 카운트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2,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60 can input a child mode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0. FIG.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60 generates a nozzl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leaning / bidet mode when the cleaning / bidet mode is input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0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0 and outputs the nozzle control signal to the nozzle unit 150 or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valve 150, and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nozzle unit 150, the number of times the bidet is used can be counted once.

도 5는 도 2의 제어부의 살균수 제어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sterilizing wat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 2. FIG.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비데 사용 횟수가 기 설정된 사용 횟수 이상이면(S310), 살균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살균수 생성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S320).
5, the control unit 160 may generate a sterilizing water control signal and output the control signal to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130 (S320) if the number of times the bidet is used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f use (S310).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살균수 공급밸브(150)를 제어하여 상기 살균수를 노즐부(140)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S330).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비데 사용 횟수를 초기화 할 수 있다(S340).
Next,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valve 150 to supply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nozzle unit 140 (S330). Next, the controller 160 can initialize the number of bidet use times (S34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변기
20: 변기 시트
100: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110: 조작부
120: 착좌 감지 센서
130: 살균수 생성부
140: 노즐부
150: 살균수 공급밸브
160: 제어부
10: toilet bowl
20: toilet seat
100: Bidet with sterilizing function
110:
120: Seat detection sensor
130: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unit
140:
150: sterile water supply valve
160:

Claims (9)

동작모드의 입력을 제공받는 조작부;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여 착좌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착좌 감지 센서;
살균수 제어신호에 따라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부;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노즐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노즐 제어신호에 따라 유입되는 물을 방사하는 노즐부; 및
상기 살균수를 상기 노즐부로 공급하는 살균수 공급밸브;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좌 감지신호와 상기 노즐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비데 사용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비데 사용 횟수에 따라 상기 살균수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살균수 공급밸브의 개폐를 조절하여 상기 살균수를 상기 노즐부로 공급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An operation unit provided with an input of an operation mode;
A seating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seating of a user and generating a seating detection signal;
A sterilizing water generator for generating sterilizing water according to the sterilizing water control signal;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nozzle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mode;
A nozzle unit that emits water flowing in accordance with the nozzle control signal; And
A sterilizing water supply valve for supplying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nozzle unit; , ≪ / RTI &
Wherein the control unit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bidet is used based on the seating detection signal and the nozzle control signal, generates the sterilizing water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imes the bidet is used, adjusts the opening / closing of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valve, And a sterilizing function of supplying water to the nozzl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좌 감지신호의 입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노즐 제어신호를 생성한 경우, 상기 착좌 감지신호의 입력이 해제될 때 상기 비데 사용 횟수를 1회 카운팅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a sterilizing function of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bidet is used once when the input of the seating detection signal is released when at least one nozzl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while the input of the seating detection signal is mainta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데 사용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이면, 상기 살균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a sterilizing function for generating the sterilizing water control signal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bidet is us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number of tim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수 공급밸브의 개폐를 조절하여 상기 살균수를 상기 노즐부로 공급하는 살균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비데 사용 횟수를 초기화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a sterilizing function of initializing the number of times of using the bidet when the sterilizing operation of supplying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nozzle unit is completed by adjust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val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착좌 감지신호의 유무와 상관없이 세정/비데 모드를 수행하는 노즐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어린이 모드를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hild mode in which the controller generates a nozzle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a cleaning / bidet mode irrespectiv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eating detection sig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어린이 모드가 입력된 후에, 상기 노즐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작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동작모드에 따른 노즐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비데 사용 횟수를 1회 카운팅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6. The apparatus of claim 5,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nozzl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bidet is used once when an operation mode for generating the nozzle control signal is input after the child mode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Bide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The seat occupant restrai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 bidet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comprising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생성부는,
상기 살균수 제어신호에 따라 인가되는 전압으로 방전하여 제공되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Th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erilizing function of generating sterilized water by electrolyzing water to be discharged by discharging to a voltage applied according to the sterilization water contro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공급밸브는,
상기 노즐부로 물이 유입되는 유로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살균수를 상기 유로로 유입시키는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Th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erilizing function installed at an inlet of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into the nozzle unit and allowing the sterilizing water to flow into the flow path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KR1020140187662A 2014-12-23 2014-12-23 Bidet with sterilization fuction KR201600775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662A KR20160077590A (en) 2014-12-23 2014-12-23 Bidet with sterilization f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662A KR20160077590A (en) 2014-12-23 2014-12-23 Bidet with sterilization f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590A true KR20160077590A (en) 2016-07-04

Family

ID=56501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662A KR20160077590A (en) 2014-12-23 2014-12-23 Bidet with sterilization f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759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928B1 (en) 2017-10-31 2019-04-26 주식회사 아이젠 Control method of bidet with sterilization fun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634A (en) 2012-12-28 2014-07-08 코웨이 주식회사 Bidet with sterilization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634A (en) 2012-12-28 2014-07-08 코웨이 주식회사 Bidet with sterilization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928B1 (en) 2017-10-31 2019-04-26 주식회사 아이젠 Control method of bidet with sterilization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1570B2 (en) Sanitary washing device
KR200424506Y1 (en) Power saving device that use closet seat cover of bidet
JP2016037702A (en) Sanitary washing device
JP7478962B2 (en) Flush toilet with hand washing basin
KR20080002305U (en) Nozzle sterilizer
JP2012082615A (en) Sanitary washing device
JP2010174565A (en) Toilet device
TWI655341B (en) Urinal
JP2019060231A (en) Sanitary washing device
KR200423761Y1 (en) Bidet that have human body perception distance cybernetics
KR20160077590A (en) Bidet with sterilization fuction
KR20160077591A (en) Bidet with sterilization fuction
JP2017048674A (en) Flush toilet bowl
KR20160073554A (en) Bidet
JP2016044413A (en) Sanitary washing device
KR101972928B1 (en) Control method of bidet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102456834B1 (en) Bidet with sterilization fuction
JP6432875B2 (en) Sanitary washing device
JP2017048675A (en) Flush toilet bowl
KR20130107534A (en) Apparatus for auto flushing and method for the same
US20230257981A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terilizing and cleaning inside toilet bowl under bidet seat
KR200464137Y1 (en) Sterillzation device of bidet
JP6119163B2 (en) Toilet bowl cleaning device
JP6995286B2 (en) Sanitary cleaning equipment
KR102669312B1 (en) Automatic sterilization device and method inside toilet using bidet usage ti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198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918

Effective date: 2023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