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059A - 액체 용기에 장착하기 위한 밀폐 캡 - Google Patents

액체 용기에 장착하기 위한 밀폐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059A
KR20160077059A KR1020167010235A KR20167010235A KR20160077059A KR 20160077059 A KR20160077059 A KR 20160077059A KR 1020167010235 A KR1020167010235 A KR 1020167010235A KR 20167010235 A KR20167010235 A KR 20167010235A KR 20160077059 A KR20160077059 A KR 20160077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cap
carrier
sealing
cap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흐리아르 모라디
게르노트 슈타인
Original Assignee
모라디 컨설팅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라디 컨설팅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모라디 컨설팅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77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7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lid or cover seated on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01F1/0016
    • B01F13/00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15Dissolving comprising constructions for blocking or redispersing undissolved solids, e.g. sieves, separators or guid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50Movable or transportable mixing devices or plants
    • B01F33/501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 B01F33/5011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portable during use, e.g. hand-held
    • B01F33/50111Small portable bottles, flasks, vials, e.g. with means for mixing ingredients or for homogenizing their content, e.g. by hand sh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7/00Details of mixing container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액체 용기에 장착하기 위한 밀폐 캡(7)으로서, 밀폐 캡(7)은 바람직하게는 재밀폐가 가능한 분출구(9)와, 밀폐 캡(7)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전달체(2), 예를 들어 정제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의 수용 체적(20)을 형성하는 수용 부재(1)를 포함하는 밀폐 캡(7)이 개시되어 있다. 밀폐 캡(7)은 개방되어 수용 체적(20) 안으로 들어가는 입구(12)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달체(2)를 수용 체적(20)에 도입하거나 상기 수용 체적으로부터 꺼낼 수 있게 하되 수용 부재(1)는 그 안에 수용되어 있는 전달체(2)를 액체(37)에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액체(37) 투과성이다. 입구(12)는 새지 않게 밀봉하는 방식으로 밀폐되거나 또는 밀폐 캡(7)에 연결되어 있고 피벗 또는 슬라이딩에 의해 이동 가능한 밀폐 부재(42)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 용기에 장착하기 위한 밀폐 캡{CLOSURE CAP FOR MOUNTING ON A LIQUID CONTAINER}
본 발명은 액체 용기, 바람직하게는 병, 더욱 바람직하게는 PET 병에 장착하기 위한 밀폐 캡, 바람직하게는 스크루 캡으로서, 상기 밀폐 캡은 분출구, 바람직하게는 재밀폐가 가능한 분출구와, 상기 밀폐 캡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전달체(dispensing body),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정제(tablet)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의 수용 체적을 형성하는 수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 캡은 개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달체를 수용 체적에 도입하거나 상기 수용 체적으로부터 꺼낼 수 있게 하기 위해 수용 체적 안으로 들어가는 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달체를 액체에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액체 투과성인 밀폐 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을 가진 액체 용기 내 위치하여 있는 액체에 혼합하기 위한 전달체, 바람직하게는 정제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밀폐 캡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달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행 또는 운동 중에 액체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료수 병, 특히 밀폐 캡이 구비되어 있는 음료수 병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음료수 병은 대개 밀폐 캡이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나사산은 표준화되어 있고 상기 음료수 병의 서로 다르게 표준화된 나사산은 그 수가 적다. 한편으로 이들 병에는 예를 들면 향료와 혼합될 수도 있는 광천수(mineral water) 또는 아이소토닉(isotonic) 음료가 미리 채워져 있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혼합하는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병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과즙 시럽 이외에도 분말 형태 또는 정제 형태의 발포성(effervescent) 분말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두 경우 모두에서는 사용자가 음료를 사용하는 전체 기간 동안, 즉 음료를 소비하는 처음부터 끝까지 특정 음료 혼합물에 국한되는 단점이 있는바, 이는 병에 여전히 함유되어 있는 액체에는 한번 선택된 향료만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음료를 소비하는 중에는 더 이상 향료를 바꿀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음료를 소비하는 처음과 끝 내내 특정 향료에 대한 요구만은 바꿀 수 없다. 사용자가 예를 들면 비-아이소토닉 음료를 결정하였고 사용자가 특정 기간 운동한 후에 아이소토닉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 병에 여전히 존재하는 액체로 인해 더 이상 가능하지도 않다.
발포정의 의해 음료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발포정을 용해시키기 위해 화학물질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순수한 천연물질만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것은 단점으로 간주될 수 있다.
발포성 분말 또는 발포정의 부적당한 투여량, 특히 과도한 농도에 의해 불완전한 용해가 일어날 수도 있다. 엄밀히 말해서, 정확한 투여량을 유지하는 것은 분말 또는 정제를 액체, 통상적으로 물과 혼합할 때 액체의 구체적인 존재량을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항상 용이한 것은 아니다.
이들 단점 중 적어도 일부는 US2010/0012193A1에 따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3개의 부품, 즉 정제 용기, 용기 뚜껑과 밀폐 캡 밀폐부로 구성되어 있는 밀폐 캡이 구비된 액체 용기를 기재하고 있다. 상기 용기 뚜껑은 돌려서 열어야 하고 이어서 정제 용기에 정제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다시 돌려서 닫아야 한다. 상기 용기 뚜껑은 떨어뜨리거나 잃어버릴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단점을 예방함으로써 액체 용기 내 수용할 수 있는 액체에 향료 및/또는 영양소 및/또는 식이 보조제 및/또는 약제의 혼합을 가능하게 하는 액체 용기용 밀폐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표준 유형이 서로 다른 소수의 나사산 각각에 대해 하나의 밀폐 캡을 제공하여 소수의 밀폐 캡과 함께 유형이 서로 다른 적정 수의 병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정제 삽입 중에는 밀폐 캡의 부품이나 밀폐 캡 자체를 떨어뜨리거나 잃어버릴 수 없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특히 향료 및/또는 영양소 및/또는 식이 보조제를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간단한 조작이 보장되어야 한다.
나아가 예를 들면 밀폐 캡을 구비하고 있는 병으로부터 일부 용해된 전달체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해야 한다.
나아가 투여량 문제, 특히 액체 내 너무 높은 향료 및/또는 영양소 및/또는 식이 보조제의 농도는 방지되어야 한다. 이때 화학물질을 피하기 위한 가능성을 또한 제공하여 혼합하고자 하는 천연물질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과제는 액체 용기, 바람직하게는 병, 더욱 바람직하게는 PET 병에 장착하기 위한 밀폐 캡, 바람직하게는 스크루 캡으로서, 상기 밀폐 캡이 분출구, 바람직하게는 재밀폐가 가능한 분출구와, 상기 밀폐 캡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전달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정제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의 수용 체적을 형성하는 수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 캡이 개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달체를 수용 체적에 도입하거나 상기 수용 체적으로부터 꺼낼 수 있게 하기 위해 수용 체적 안으로 들어가는 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달체를 액체에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액체 투과성인 밀폐 캡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밀폐 캡에 연결되어 있는 밀폐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입구를 액밀 방식으로 밀봉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밀폐 캡은 바람직하게는 표준화된 모든 물병에 맞는 스크루 캡과 관련이 있거나 서로 다른 소수의 밀폐 캡이 구비되어 있는 표준 유형이 서로 다른 소수의 병 나사산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밀폐 캡은 통상적으로 밀폐 캡의 분출구를 밀봉하는 마우스피스를 구비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마우스피스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밀폐 위치 또는 밀폐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 또는 개방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밀폐 위치에서는 액체가 마우스피스를 통해 밀폐 캡을 통과할 수 없다. 사용 위치에서 액체 용기 내 액체는 사용자가 스포츠 활동하는 중에 운반 또는 휴대할 때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에 의해 안전하게 보존될 수 있다. 해제 위치에서는 액체가 밀폐 캡을 통과할 수 있어 사용자는 마실 수 있게 된다.
상기 밀폐 부재에 의해 수용 체적 내에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수용체를 위치시키거나 상기 수용 체적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연결은 부주의로 밀폐 부재를 떨어질 수 없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밀폐 캡이 개방되어 있는 밀폐 부재를 어디에 놓을지 걱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밀폐 부재가 바닥에 떨어져 더러워지는 불쾌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밀폐 부재는 예를 들면 간단히 젖혀지는 밀폐 캡의 상부로서 또는 측방으로 젖혀지는 도어로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구성 가능성은 수용 체적에 대한 간단하고 신속한 접근성을 제공하여 신속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전달체 교환, 도입 또는 꺼낼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상기 밀폐 부재의 개방 및 특히 밀폐는 그 과정에 집중해야 하는 것 없이 간단하고 빠른 방식으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수용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평면으로서 형성된다. 이것은 특히 단순하여 저비용인 구현예에 해당한다.
상기 전달체의 일부가 분출구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밀폐 캡은 수용 부재와 분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고정 부재는 전달체가 분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액체 투과성이다. 상기 고정 부재는 밀폐 캡과 일체로 배치되거나 별도 부재로서 밀폐 캡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은 개구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액체 투과성이 제공되어 상기 전달체 또는 전달체의 용해되지 않은 일부가 개구부를 차단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의 변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밀폐 캡은 수용 부재와 분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전달체가 분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액체 투과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를 플라스틱으로 제조함으로써 밀폐 캡을 비용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도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 부재의 액체 투과성은 수용 부재가 바람직하게는 격자형 또는 그리드형 방식으로 배치되는 통공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의 액체 투과성은 고정 부재가 바람직하게는 격자형 또는 그리드형 방식으로 배치되는 통공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구현된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전달체 또는 전달체의 일부가 음용 후 액체 용기에 들어가는 것이 신뢰성 있게 방지된다.
음용 전에 미리 상기 전달체와 액체가 접촉할 가능성은 기본적으로 밀폐 캡 내 수용 부재의 배치에 의존한다. 수직형 액체 용기의 경우에는 상기 수용 부재 전체가 밀폐 캡에 의해 형성되는 체적 내 위치하게 될 때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이것은 한편으로 밀폐 캡에 의해 한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밀폐 캡의 에지에 의해 일부가 한정되는 가상의 표면적에 의해 한정되는 체적을 의미한다. 상기 가상의 표면적에는 밀폐 캡을 액체 용기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히 상기 용기에 밀폐 캡을 돌려 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재료가 실질적으로 없다. 이것은 이 경우에 사용자가 음용 중에 행동하는 것과 같이 병을 기울이는 동안에만 밀폐 캡의 접촉이 일어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전달 위치에서 수용 부재 전체는 밀폐 캡에 의해 형성되는 체적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 부재를 선택적으로 교환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상기 수용 부재는 밀폐 캡 내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는 밀폐 캡 내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전달체가 측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상기 분출구의 방향으로 돌출해 있는 원형의 경계 부재가 수용 부재에 배치됨으로써 전달체가 미끄러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체는 모든 면으로부터 상기 전달체 주변에 균일하게 흐르게 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밀폐 부재는 피벗 이동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피벗 이동이 가능한 밀폐 부재에 의해 간단하고 신속하게 정제를 수용 체적 내 위치시키거나 수용 체적으로부터 정제를 꺼낼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용어 "피벗 이동이 가능한"은 상기 밀폐 부재를 밀폐 캡으로부터 해제하여 형성된 개구부가 수용 체적에 정제를 위치시키거나 수용 체적으로부터 정제를 꺼내기 위해서 수용 체적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정도까지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피벗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은 예를 들면 상기 밀폐 부재를 탈락시키는 것 없이 전달체를 도입하기 위해서 밀폐 부재를 입구 밀폐 위치로부터 전환할 수 있고 이어서 간단한 방법으로 입구 밀폐 위치로 다시 이동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상기 밀폐 부재는 힌지형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힌지형 연결 부재는 얇은 웹 또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고정형 힌지 또는 연성의 플라스틱 부재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재일 수 있다. 힌지는 예를 들면 수용 체적 안으로 들어가는 입구를 간단히 열도록 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밀폐 과정에 집중할 필요가 없도록 안내부를 제공하는데, 이것은 힌지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고 입구를 적당히 밀폐하기 위해서 단지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을 가할 필요가 있 따라서 사용자는 어떻게 입구를 밀폐할지 특별히 조심하거나 밀폐 부재를 밀폐 캡의 다른 부품에 소정의 방식으로 위치시킬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는 밀폐 캡의 측면의 일부로서 형성되되 사용 위치에서 입구를 밀봉한다. 상기 밀폐 부재는 기본적으로 측방,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젖힐 수 있는 플랩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전달체의 위치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되 특정 상황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개방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상기 밀폐 부재의 밀폐 상태에서는 밀폐 부재의 위치에 액체가 밖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개방 상태에서는 수용 체적에 접근하도록 하기 때문에 단순하면서 명쾌한 해결책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밀폐 캡에는 밀폐 캡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마우스피스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해 밀폐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되는 재밀폐가 가능한 마우스피스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요구되는 힘은 상기 마우스피스가 예를 들면 백(bag) 안에서 밀폐 캡에 다른 물체가 마찰함으로써 부주의하게 열리지 않는 정도로 계산된다. 그러나 이 사실은 상방으로 개방되는 밀폐 부재가 마우스피스에 가해지는 상기 강력한 인장력에 의해 부주의하게 개방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는데, 이는 측면의 일부로서 밀폐 부재의 구현예에서 방지된다.
상기 밀폐 캡은 2개의 부품, 즉 액체 용기에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1 부품과 분출구를 포함하는 제2 부품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상기 제2 부품은 밀폐 부재를 형성한다. 상기 더블-파트 구성에 의해 수용 부재가 전달체에 특히 간단하게 위치된다.
상기 제1 부품에서 제2 부품으로 이어지는 경계부는 밀폐 캡을 수평으로 분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밀폐 캡의 특히 단순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밀폐 캡은 경계부의 영역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단순하여 저비용인 구현예에 해당한다.
상기 밀폐 캡이 밖으로 빼낼 수 있는 전달체용 저장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특히 간단하고 편안하게 수용 체적을 채울 수 있는데, 상기 저장 부재는 입구와 수용 체적에 상응하고 개방된 입구를 통해 수용 체적 안으로 도입할 수 있으며 수용 부재에 위치할 수 있는바, 즉 상기 저장 부재가 수용 체적을 채우기 위해 개방된 입구로부터 빼내지고 적어도 하나의 전달체가 수용 부재 내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 부재는 개방 입구를 통해 다시 수용 체적으로 밀어 넣어진다. 또한 본 구현예와 관련하여 상기 수용 체적 내에서 이미 일부 용해된 정제가 예를 들면 더욱 쉽게 또한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품은 그 측면에서 밀폐 캡의 반경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있는 국소 변형부를 포함하고 그 결과 상기 국소 변형부에 의해 사용 위치에서 압력이 제1 부품에 가해지고 상기 2개의 부품들은 서로에 대해 상호 고정된다. 상기 변형부는 원통형 수용 체적의 반경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있다. 이에 따라 마우스피스를 구비한 밀폐 캡의 경우에 상기 마우스피스에 대한 강력한 인장을 통해 음용을 위해 마우스피스에 있는 개구부가 개방되는데 이때 밀폐 부품이 의도하지 않게 추가 개방되지 않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밀폐 부재는 밀폐 캡의 측면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로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는 예를 들면 밀폐 캡의 종축에 평행한 방향 또는 밀폐 캡의 둘레방향으로 종축에 수직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는 실질적으로 밀폐 캡의 측면의 장방형 단면에 상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로서 밀폐 부재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는 프로필 레일(profile rail)을 이용하여 밀폐 캡에 대해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대향 면(예를 들면 종방향 에지 또는 횡방향 에지에 또는 이에 가깝게)에 슬라이드당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프로필 레일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프로필 레일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각각의 프로필을 가진 밀폐 캡의 오목부 안에 안내되어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밀폐 캡은 입구의 바깥쪽에서 서로에 대해 평행한 적어도 2개의 프로필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필 레일은 밀폐 부재 각각의 오목부 안에 끼워져 있다. 두 경우 모두, 상기 프로필 레일의 프로필은 예를 들면 테이퍼부를 포함하여 프로필 레일이 그의 종방향 연장부에 수직으로 오목부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을 사용할 때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고 최적 투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의 수용 체적 안에 수용하기 위한 전달체, 바람직하게는 정제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의 수용 체적에서 전달체, 바람직하게는 정제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달체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달체가 수용 체적 내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전달체는 수용 체적보다 크지 않은 전달체 체적을 갖는다.
액체와 접촉시 음료를 제조하거나 향료 및/또는 영양소 및/또는 식이 보조제 및/또는 약제를 방출하여 이들을 액체에 혼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전달체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달체는 음료 제조 및/또는 향료 및/또는 영양소 및/또는 식이 보조제 및/또는 약제 방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양소는 탄수화물, 미네랄과 비타민을 포함한다. 여러 탄수화물, 미네랄과 비타민이 방출되는 경우에는 아이소토닉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용 체적 내에 적어도 하나의 전달체가 배치되면, 음용시 상기 전달체 주변에 액체가 흐르고 그 액체에는 물질, 특히 향료 및/또는 영양소 및/또는 식이 보조제가 방출될 수 있는바, 즉 액체와 혼합이 일어난 후 사용자는 실제로 혼합물을 마시게 된다. 이에 따라 기본적으로 액체 내 원하는 물질의 너무 높은 농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음용 후에 상기 병을 내려놓으면 소정 분량의 액체가 일반적으로 수용 부재로부터 병으로 역류할 것임을 알아야 한다. 위에서 언급한 물질들의 소정량이 상기 액체 용기 내에 위치하여 있는 잔류 액체로 이동될 수 있는데, 전달체의 구성 또는 전달 특성면에서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상기 수용성 부재를 공간적으로 안정하면서 수용성 부재가 밀폐 캡의 통과 개구부를 통해 도달할 수 없도록 추가로 기여하는 배치를 확보하기 위해서 수용성 부재들을 예를 들면 전달체 체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고 있는 스펀지 내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달체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달체는 스펀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스펀지를 포함한다. 상기 플라스틱 스펀지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액체가 수용성 부재에 쉽게 도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굵게 짠 섬유로 제조한 스펀지 직물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조작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달체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달체는 바람직하게는 수용 체적에 맞는 전달체 형상으로 전달체를 유지하게 하는 액체 투과성 그물형 직물, 특히 거즈를 포함한다. 이렇게 안정화된 전달체 형상으로 인해 특히 수용성 부재가 이미 전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일부 용해되고 그 이후에 음용한 다음에 전달체를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바꾸어 줄 수 있다.
상기 전달체의 외측면에 그물형 직물을 배치함으로써 제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동시에 전달체 형상의 특히 양호한 안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음료 제조를 위해 화학물질의 사용을 피하고 천연물질만을 사용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달체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부재는 표면이 수용성 층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는 향료 및/또는 영양소 및/또는 식이 보조제 및/또는 약제를 함유한 시럽 또는 차와 같은 물질이 채워져 있는 전달체 체적 내 배치되어 있는 볼(ball)과 관련이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성 층은 수용성 아이싱(icing), 특히 당 아이싱(sugar icing)으로부터 형성되어 화학물질 회피에 기여한다.
물질, 특히 향료 및/또는 영양소 및/또는 식이 보조제 및/또는 약제 전달의 경시 진행은 서로 다른 아이싱 층 두께를 가진 여러 개의 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가장 얇은 아이싱 층을 가진 볼이 먼저 물질을 방출하고 더 두꺼운 아이싱 층 두께를 가진 볼은 물질을 아직 방출하지 않는다. 아이싱 층 두께가 처음에 더 얇은 볼의 물질이 소비된 후 소정의 시점에서야 비로소 아이싱 층 두께가 처음에 더 두꺼운 볼은 그 안에 저장되어 있는 물질을 방출하게 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후속 물질은 예를 들면 이전의 물질과 동일하므로 액체 내 이들 물질의 일시적으로 일정한 농도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 내부에 서로 다른 물질을 제공하여 처음에는 과일 향을 가진 음료를 제공하고 추후 소정의 시점에서는 아이소토닉 음료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운동선수는 하나의 단일 액체 용기만을 휴대함으로써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되는데, 이 경우에 아이소토닉 음료도 포함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달체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동일한 물질 또는 서로 다른 물질들을 가진 여러 개의 볼을 전달체 체적에 배치하되 상기 볼의 수용성 층은 특히 상기 물질 또는 물질들을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위해서 서로 다른 층 두께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과 본 발명에 따른 전달체는 음료의 간단한 제조 또는 액체에 향료 및/또는 영양소 및/또는 식이 보조제 및/또는 약제의 혼합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으로서 간주될 것이다.
이하, 구현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결코 이를 제한하거나 최종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도 1은 본체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을 구비한 병의 부등각 투영도이고;
도 2는 일부가 노출되어 있고 상기 노출 부분에 수용 부재가 체결되어 있으며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도 1에 따른 밀폐 캡의 부등각 투영도이고;
도 3은 개방 상태에 있는 도 1에 따른 밀폐 캡의 부등각 투영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밀폐 캡의 국소 변형부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밀폐 캡의 국소 변형부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의 또 다른 구현예의 부등각 투영도이고;
도 7은 입구가 개방된 도 6의 밀폐 캡의 부등각 투영도이고;
도 8은 일부가 노출되어 있고 상기 노출 부분에 수용 부재가 체결되어 있으며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도 6에 따른 밀폐 캡의 부등각 투영도이고;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밀폐 캡의 부등각 투영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의 또 다른 구현예의 부등각 투영도이고;
도 11은 개방 상태에 있는 도 10의 밀폐 캡의 부등각 투영도이고;
도 12는 일부가 노출되어 있고 상기 노출 부분에 수용 부재가 체결되어 있으며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도 10에 따른 밀폐 캡의 부등각 투영도이고;
도 13은 일부 노출된 개방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의 또 다른 구현예의 부등각 투영도이고;
도 14는 일부 노출 부분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전 도면들의 밀폐 캡에 수용될 수 있는 정제의 부등각 투영도이고;
도 15는 시럽이 채워져 있는 도 14의 볼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하방으로 개방될 수 있는 슬라이드가 구비된 개방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의 또 다른 구현예의 부등각 투영도이고;
도 17은 측방으로 개방될 수 있는 슬라이드가 구비된 개방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의 또 다른 구현예의 부등각 투영도이고;
도 18은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는 슬라이드가 구비된 개방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의 또 다른 구현예의 부등각 투영도이고;
도 19는 밀폐 상태에 있는 도 18의 밀폐 캡을 도시하고 있고;
도 20은 도 19의 밀폐 캡의 저면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밀폐 캡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A의 상세도이고;
도 23은 도 19의 밀폐 캡의 평면도이다.
도 1은 본체(36)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7)을 가진 병(5) 형태의 액체 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밀폐 캡(7)이 분출구(9)를 밀봉하고 있는 사용 위치(8)의 밀폐 캡(7)을 도시하고 있다. 밀폐 캡(7)은 나사산(34)에 의해 본체(36)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도 2 참조).
도 1에서 밀폐 위치(11)로 도시되어 있는 마우스피스(33)가 밀폐 캡(7)에 도시되어 있다. 밀폐 위치(11)에서 밀폐 캡(7)은 병(5) 또는 상기 병의 본체(36)에 수용되어 있고 소정의 액체 수위(38)를 가진 액체(37)에 대해 불투과성이다. 마우스피스(33)는 종축(10)을 따라 마우스피스(33)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밀폐 위치(11)로부터 방출 위치(미도시)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방출 위치에서 사용자가 병(5)으로부터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밀폐 캡(7)은 액체(37)에 투과성이다.
상기 병의 본체(36)는 사용 위치(8)에서 체적(4)의 범위를 밀폐 캡(7)과 함께 한정하는 내벽(6)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 부재(1)는 체적(4) 내 배치되고 상기 수용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전달체(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정제를 수용하기 위해 밀폐 캡(7)과 함께 공동의 수용 체적(20)을 형성한다. 도 2는 이러한 구현예를 일부가 노출된 밀폐 캡의 부등각 투영도를 토대로 도시하고 있다.
수용 부재(1)는 밀폐 캡(7)에 체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폐 캡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 부재(1)는 사용 위치(8)에서 밀폐 캡(7)에 의해 형성되는 체적 내 배치된다. 수용 부재(1)는 적어도 원형 궤도(circular orbit)의 모든 지점에서 밀폐 캡(7)의 내벽과 접촉한다. 정제(2)(도 14 참조)는 수용 부재(1)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원형의 경계 부재(16)(도 2)는 특히 음용 중에 병(5)에 수용되는 액체(37)가 접촉하는 정제가 측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음료를 제조할 수 있거나 향료 및/또는 영양소 및/또는 식이 보조제 및/또는 약제와 같은 물질을 액체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밀폐 캡은 적어도 하나의 정제(2)를 수용 체적(20) 안으로 삽입하거나 상기 정제를 수용 체적(20)으로부터 꺼낼 수 있게 하기 위한 입구(12)를 포함한다. 도 1과 2에 도시되어 있는 구현예에서, 밀폐 캡(7)은 수용 부재(1)를 포함하는 하부의 제1 부품(13)과 분출구(9)와 고정 부재(41)를 포함하는 상부의 제2 부품(14)을 포함하되 제2 부품(14)에서 제1 부품(13)으로 이어지는 경계부(46)는 수평 분할부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구현예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경계부(46)는 밀폐 캡(7)을 제1 부품(13)과 제2 부품(14)으로 분할한다. 고정 부재(41)는 제2 부품(14)에 위치해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고정 부재(41)는 또한 수용 부재(1)와 같이 평면으로서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18)는 상기 밀폐 캡의 제1 부품의 에지(39)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는 밀폐 캡(7)의 둘레 전체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노치(19)는 상기 밀폐 캡의 제2 부품의 에지(40)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노치 또한 내측면에 상기 밀폐 캡의 제2 부품(14)을 따라 폐환(closed circular)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노치(19)의 측정된 가장 안쪽 둘레는 볼록부(18)의 가장 바깥쪽 둘레보다 1밀리미터의 1/10만큼 더 커 2개의 부품(13, 14)은 사용 위치(8)에서 밀폐 캡을 단단히 밀봉하게 된다.
힌지형 연결 부재(43)는 또한 개방 상태에서 밀폐 캡(7)의 2개의 부품(13, 14)을 연결한다. 연결 부재(43)는 제2 부품(14)이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젖혀지도록 한다.
제2 부품(14)은 측면에 국소 변형부(47)를 갖고 있다. 변형부(47)는 밀폐 상태에서 긴장 상태로 있게 되어(도 4와 5에 도시되어 있는 이완 상태/긴장 상태에서의 변형부 간 비교) 2개의 부품(13, 14)이 의도하지 않게 열리지 않도록 한다. 나아가 돌출부(18)는 밀폐 부재(42)의 개방 중에는 변형부(47)가 돌출부(18) 위로 밀려 이동하여야 하므로 저항이 일어나 의도치 않은 개방이 방지된다.
수용 부재(1)와 고정 부재(41) 모두는 통공(15)을 포함하여 상기 통공을 통해 적어도 음용 중에 액체(37)가 수용 체적(20) 안으로 유입되거나 상기 수용 체적으로부터 빠져나가 수용 체적(20) 내 위치해 있는 정제(2)와 접촉하게 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통공은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되어 그리드 또는 격자 형상을 형성한다. 통공(15)은 음료 제조 또는 정제(2)로부터 액체(37)로 물질, 특히 향료 및/또는 영양소 및/또는 식이 보조제 및/또는 약제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도 10 내지 13은 나사산(34)에 의해 표준화된 모든 물병, 특히 PET 병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7)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비교를 위해 종래기술에 따른 밀폐 캡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밀폐 캡(7)을 돌려 열도록 돕기 위해서 도 10 내지 13에 도시되어 있는 밀폐 캡(7)은 표면구조(35)를 갖는데, 이때 상기 표면구조는 세로 홈(fluting)으로서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밀폐 캡(7)은 분리 가능하거나 젖혀질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마우스피스(33)(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를 덮을 수 있다.
도 12는 일부가 노출되어 있고 상기 노출 부분에 본 발명에 따른 수용 부재(1)와 고정 부재(41)가 구비되어 있는 도 10의 밀폐 캡(7)의 부등각 투영도이다. 수용 체적(20)은 원통형 형상을 갖고 있다.
또 다른 구현예가 도 6 내지 8에 도시되어 있다. 밀폐 캡(7)은 밀폐 부재(42)를 포함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밀폐 상태에서 상기 밀폐 부재는 전체적으로 입구(12)를 밀봉하여 액체(37)가 빠져나갈 수 없다. 개방 상태(17)에서(도 7에 도시되어 있음), 밀폐 부재(42)는 입구(12)를 개방하여 정제(2)가 수용 체적(20) 안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정제를 상기 체적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도 8 참조), 수용 부재(1)는 나사산(34)에 대면하는 밀폐 부재(42)의 측면에 위치해 있는 반면에 고정 부재(41)는 마우스피스(33)에 대면하는 밀폐 부재(42)의 측면에 위치해 있다.
도 14는 일부가 노출되어 도시되어 있고 수용 체적(20)에 배치될 수 있는 개략 도시된 정제(2)의 부등각 투영도이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정제(2)의 구현예의 경우에 상기 정제는 수용 체적(20)에 맞는 전달체 형상(22)을 포함하고 있다. 어느 경우에나 충족시킬 필요가 있는 하나의 조건은 전달체(2)의 전달체 체적(24)은 수용 체적(20)보다 커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정제(2)를 전달체 형상(22)으로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정제(2)는 상기 전달체의 외측면(26)에 배치되는 거즈(23)를 포함한다.
또한 도 14는 전달체 체적(24)이 플라스틱 스펀지(25)에 의해 채워져 있는 것을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전달체 체적(24) 내에는 또한 볼(27)이 배치되어 있다. 액체(37)는 플라스틱 스펀지(25)를 통해 볼(27)에 침투할 수 있다. 거즈(23)의 그물형 직물 또한 액체(37)에 투과성이다.
볼(27)은 음료 제조 또는 향료 및/또는 영양소 및/또는 식이 보조제 및/또는 약제 방출을 위한 수용성 부재로서 기능하여 액체(37)에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볼(27)은 도 15의 단면도에 따라 배치된다. 즉, 각각의 볼(27)이 바람직하게는 당으로 제조되는 수용성 아이싱 층(28)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29)을 갖는다. 아이싱 층(28)은 상기 볼의 내부(30)의 범위를 한정하고 소정의 아이싱 층 두께(31)를 갖고 있다. 상기 볼의 내부(30)에는 액체(37)에 첨가할 물질, 특히 향료 및/또는 영양소 및/또는 식이 보조제 및/또는 약제가 배치되어 있다. 도 15의 구현예에서는 상기 볼의 내부(30)에 시럽(32)이 채워져 있다.
아이싱 층 두께(31)를 가진 아이싱 층(28)이 용해되었을 때에만 시럽(32)이 방출되거나 액체(37)와 혼합/액체(37)에 첨가된다.
아이싱 층 두께(31)는 서로 다른 볼(27)에서 서로 다른 두께로 제공되어 아이싱 층(28)이 용해되는데 서로 다른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시럽(32)의 혼합 경시 진행을 구체화할 수 있다. 나아가 서로 다른 볼(27)은 상기 볼의 내부(30) 각각에 서로 다른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볼(27)이 액체(37)와 소정의 기간 동안 접촉한 후 아이소토닉 음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일부 볼(27)은 시럽(32)을 함유하는 반면에 그 외 다른 볼들(27)은 다른 물질들을 제공한다.
나아가 볼(27)은 서로 다른 크기로 제공될 수 있는바, 즉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서로 다른 아이싱 층 두께(31)와 연동하여 볼(27)과 액체(37)의 접촉 지속시간에 따라 볼의 내부(30)에 위치하여 있는 물질(예를 들면 시럽(32))의 서로 다른 양을 방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로 다른 아이싱 층 두께(31)를 가진 크기가 서로 다른 볼(27)에는 서로 다른 물질(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드시 시럽(32)일 필요는 없음)을 배치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서로 다른 양의 서로 다른 물질과 액체(37)의 시간에 따른 혼합 진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밀폐 캡(42)이 밀폐 캡의 측면을 따라, 즉 밀폐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하방(커버(3)로부터 멀리) 위치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직선형 프로필 레일이 종방향 에지에 가까운 밀폐 부재(42)의 내측면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프로필 레일은 종축(10)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밀폐 캡(7)의 직선형 오목부(48) 각각에 끼워져 있다. 그 외에 밀폐 캡(7)의 구성은 도 13의 구성, 즉 수용 부재(1), 커버(3), 고정 부재(41)(도 1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나사산(34)과 표면구조(35)와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밀폐 부재(42)의 횡방향 에지(밀폐 캡(7)의 둘레방향 연장부)와 입구(12)의 횡방향 에지에는 예를 들면 일부분에 있는 밀봉 돌출부와 타부분에 있는 각각의 오목부에 의해 서로 상응하는 밀봉부(여기에서는 미도시)가 제공되어 있다.
도 17에 따른 구현예는 슬라이드로서 배치되어 있는 밀폐 부재(42)가 종축(10)을 따라 위치 이동할 수 없고 밀폐 캡(7)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도 16의 구현예에 대응된다. 따라서 원형의 프로필 레일이 2개의 횡방향 에지에 가까운 밀폐 부재(42)의 내측면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프로필 레일은 밀폐 캡(7)의 원형 오목부(48) 각각에 끼워져 있으며, 상기 오목부는 종축(10)에 수직, 즉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8에 따른 구현예는 슬라이드로서 도 18에 배치되어 있는 밀폐 부재(42)가 밀폐 위치로부터 상방으로만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6의 구현예와 매우 유사하다. 바닥면에서 상기 밀폐 부재는 밀폐 캡(7)의 턱에 안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밀폐 부재(42)는 중력 또는 부정확한 조작에 의해 오목부(48)로부터 하방으로 밀려질 수 없고 밀폐 캡(7)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밀폐 부재(42)가 상방으로 밀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밀폐 부재(42)의 바닥면에는 밀폐 부재(42)의 최고 (개방) 위치에 도달시 밀폐 캡(7)의 각각의 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다.
밀폐 캡(42)은 그 내측면(=밀폐 캡에 대면하는 측면)에서 2개의 종방향 에지 각각에 프로필 레일(44)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프로필 레일은 밀폐 캡(7)의 오목부(48)(홈) 각각에 안내되어 있다. 이 경우, 프로필 레일(44)의 프로필은 프로필 레일(44)에 의해 특히 형상 맞춤식으로 맞물림되는 각각의 테이퍼부를 갖고 있어 프로필 레일(44)은 그의 종방향 연장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목부(48)로부터 밖으로 끌어당길 수 없다. 도 16에서 밀폐 부재(42)의 종방향 에지와 도 17에서 밀폐 부재(42)의 횡방향 에지는 비슷하게 안내 및 밀봉될 수 있다.
오목부(48)는 밀폐 캡(7)의 측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밀폐 부재(42)의 외면은 측면과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다.
프로필 레일(44)과 오목부(48)는 밀폐 부재(42)의 종방향 에지에서 액밀 방식으로 입구(12)를 밀봉한다. 도 22에는 밀폐 부재(42)의 상부 횡방향 에지가 밀폐 캡(7)에 배치되어 있는 밀봉 볼록부(49)에 의해 밀봉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밀폐 부재(42)의 상부 횡방향 에지에서 각각의 오목부에 맞물림(특히 형상 맞춤식으로) 되어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밀폐 부재(42)의 바닥 횡방향 에지도 동일한 방법으로 밀봉되어 있다. 도 16에서 밀폐 부재(42)의 횡방향 에지와 도 17에서 밀폐 부재(42)의 종방향 에지는 유사한 방법으로 밀봉될 수 있다.
상기 밀폐 캡으로부터 밀폐 부재(42)가 아래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6 내지 23의 모든 구현예에는 턱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8 내지 23에 따른 구현예에 있어서, 수용 부재(1)와 고정 부재(41)는 밀폐 캡(7)과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도 1 내지 13 및 16 내지 23의 모든 구현예에서는 상기 전달체가 입구(12)를 통해 수용 체적(20)에 직접 위치되지 않고 입구(12)를 통해 수용 체적(20)으로 도입되는 꺼낼 수 있는(예를 들면 서랍과 유사하게 끌어낼 수 있는) 저장 부재에 위치되어 있으며 그로부터 다시 분리할 수도 있다는 것이 기본적으로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저장 부재는 수용 부재(1)에 위치해 있거나 상기 수용 부재를 대체할 수도 있다.
참조부호 리스트
1 수용 부재
2 전달체
3 커버
4 체적
5 병
6 병의 내벽
7 밀폐 캡
8 사용 위치
9 분출구
10 종축
11 밀폐 위치
12 입구
13 밀폐 캡의 제1 부품
14 밀폐 캡의 제2 부품
15 통공
16 원형의 경계 부재
17 개방된 밀폐 부재
18 돌출부
19 노치
20 수용 체적
21 밀폐 캡의 에지
22 전달체 형상
23 거즈
24 전달체 체적
25 플라스틱 스펀지
26 전달체의 외측면
27 볼
28 아이싱 층
29 볼의 표면
30 볼의 내부
31 아이싱 층 두께
32 시럽
33 마우스피스
34 나사산
35 표면구조
36 병의 본체
37 액체
38 액체 수위
39 밀폐 캡의 제1 부품의 에지
40 밀폐 캡의 제2 부품의 에지
41 고정 부재
42 밀폐 부재
43 힌지형 연결 부재
44 프로필 레일
45 밀폐 캡의 측면
46 경계부
47 변형부
48 프로필 레일(44)의 오목부
49 밀봉 돌출부

Claims (30)

  1. 액체 용기, 바람직하게는 병(5), 더욱 바람직하게는 PET 병에 장착하기 위한 밀폐 캡(7), 바람직하게는 스크루 캡으로서, 밀폐 캡(7)이 분출구(9), 바람직하게는 재밀폐가 가능한 분출구(9)와, 밀폐 캡(7)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전달체(2), 바람직게는 적어도 하나의 정제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의 수용 체적(20)을 형성하는 수용 부재(1)를 포함하고, 밀폐 캡(7)은 개방되어 적어도 하나의 전달체(2)를 수용 체적(20)에 도입하거나 수용 체적(20)으로부터 상기 전달체를 꺼낼 수 있게 하기 위해 수용 체적(20) 안으로 들어가는 입구(12)를 형성하고 수용 부재(1)는 적어도 하나의 전달체(2)를 액체(37)에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액체(37) 투과성이되 밀폐 캡(7)에 연결되어 있는 밀폐 부재(42)가 구비되어 입구(12)를 액밀 방식으로 밀봉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 부재(1)가 평면으로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폐 캡(7)이 수용 부재(1)와 분출구(9)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 부재(41)를 포함하고 고정 부재(41)는 전달체(2)가 분출구(9)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액체(37)에 투과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부재(1)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체적(20)이 적어도 단면이 실린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부재(1)가 바람직하게는 그리드 또는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통공(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41)가 바람직하게는 그리드 또는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통공(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부재(1) 전체가 밀폐 캡(7)에 의해 형성되는 체적 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부재(1)가 탈착 가능하게 밀폐 캡(7)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41)가 탈착 가능하게 밀폐 캡(7)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의 방향으로 돌출해 있는 원형의 경계 부재(16)가 수용 부재(1)에 배치되어 사용 상태에서 전달체(2)가 측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폐 부재(42)가 피벗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폐 부재(42)가 힌지형 연결 부재(43)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폐 부재(42)가 상기 밀폐 캡의 측면(48)의 일부로서 형성되고 사용 위치(8)에서 입구(12)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폐 캡(7)이 2개의 부품을 포함하고 제1 부품(13)은 액체 용기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산을 포함하고 제2 부품(14)은 분출구(9)를 포함하며 밀폐 부재(4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부품(13)에서 제2 부품(14)으로 이어지는 경계부(46)가 밀폐 캡(7)을 수평으로 분할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캡이 경계부(46)의 영역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폐 캡(7)이 밖으로 빼낼 수 있는 전달체(2)용 저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부재는 입구(12)와 수용 체적(20)에 상응하고 입구(12)를 통해 수용 체적(20) 안으로 도입되며 수용 부재(1)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부품(14)이 그의 측면에서 밀폐 캡(7)의 반경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있는 변형부(47)를 포함하고 국소 변형부(47)에 의해 사용 위치(8)에서 압력이 제1 부품(13)에 가해지고 2개의 부품들(13, 14)은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20.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밀폐 부재(41)가 밀폐 캡(7)의 측면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가 프로필 레일(44)을 이용하여 밀폐 캡(7)에 대해 위치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캡(7).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밀폐 캡(7)의 수용 체적(20) 안에 수용하기 위한 전달체(2), 바람직하게는 정제.
  23. 제22항에 있어서, 전달체(2)가 음료 제조 및/또는 향료 및/또는 영양소 및/또는 식이 보조제 및/또는 약제 방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부재(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체(2).
  24. 제22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달체(2)가 수용 체적(20)보다 크지 않은 전달체 체적(2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체(2).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달체(2)가 스펀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스펀지(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체(2).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달체(2)가 수용 체적(20)에 맞는 전달체 형상(22)으로 전달체(2)를 유지하게 하는 액체 투과성 그물형 직물, 특히 거즈(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체(2).
  27. 제26항에 있어서, 그물형 직물(23)이 상기 전달체의 외측면(2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체(2).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부재가 표면(29)이 수용성 층(28)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30)에는 향료 및/또는 영양소 및/또는 식이 보조제 및/또는 약제를 함유한 시럽(32) 또는 차와 같은 물질이 채워져 있는 볼(27)과 관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체(2).
  29. 제28항에 있어서, 전달체 체적(24)에는 동일한 물질(32) 또는 서로 다른 물질들(32)을 가진 여러 개의 볼(27)이 배치되되 볼(27)의 수용성 층(28)이 특히 물질(32) 또는 물질들(32)을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위해서 서로 다른 층 두께(3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체(2).
  30.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2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달체(2), 바람직하게는 정제를 포함하는 밀폐 캡(7).
KR1020167010235A 2013-09-20 2013-10-11 액체 용기에 장착하기 위한 밀폐 캡 KR201600770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PCT/EP2013/069628 2013-09-20
PCT/EP2013/069628 WO2015039702A1 (de) 2013-09-20 2013-09-20 Verschlusskappe zum anbringen an einem flüssigkeitsbehälter
PCT/EP2013/071276 WO2015039709A1 (de) 2013-09-20 2013-10-11 Verschlusskappe zum anbringen an einem flüssigkeitsbehä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059A true KR20160077059A (ko) 2016-07-01

Family

ID=49231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235A KR20160077059A (ko) 2013-09-20 2013-10-11 액체 용기에 장착하기 위한 밀폐 캡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60207676A1 (ko)
JP (1) JP2016533983A (ko)
KR (1) KR20160077059A (ko)
CN (1) CN105764811A (ko)
AU (1) AU2013400990A1 (ko)
CA (1) CA2923939A1 (ko)
IL (1) IL244639A0 (ko)
MX (1) MX2016003535A (ko)
RU (1) RU2016107889A (ko)
WO (2) WO20150397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219A (ko) * 2020-08-04 2022-02-11 이명구 렌즈 관리용 조성물 보관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397171B2 (en) 2014-07-18 2020-05-14 Moradi Consulting Gmbh Closure cap for attachment to a liquid container
WO2016106433A1 (de) 2014-12-30 2016-07-07 Moradi Consulting Gmbh Abgabekörper in kapselform zur abgabe von zusatzstoffen an eine flüssigkeit
CN110394077A (zh) * 2019-08-30 2019-11-01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粉针剂快速溶解装置
EP4324366A1 (de) * 2022-08-16 2024-02-21 VILSA-BRUNNEN Otto Rodekohr GmbH Trinkgefäss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4368A (en) * 1926-08-02 1929-05-21 Hobson Arthur William Container
US1800774A (en) * 1929-12-21 1931-04-14 Walter F Bosecker Collapsible-tube closure
US2808186A (en) * 1954-11-30 1957-10-01 Kates Franklin Lippincott Closure for collapsible tubes
US3083101A (en) * 1959-04-06 1963-03-26 Noury Jean Refill for filtration coffee-pot
US3302644A (en) * 1963-07-26 1967-02-07 Harold J Kennedy Oral medicine administering device for children
CH506984A (fr) * 1969-01-30 1971-05-15 Battelle Memorial Institute Cartouche pour la préparation rapide d'une boisson chaude
US4345512A (en) * 1980-10-24 1982-08-24 Moore Richard C Container for making a tea beverage
JPS6276153U (ko) * 1985-10-31 1987-05-15
US5083672A (en) * 1990-12-24 1992-01-28 Lewandowski Eugene L Closure device for containers
US5249702A (en) * 1992-01-24 1993-10-05 Topp Kathy R Beverage container and support bracket therefore
US5411186A (en) * 1992-11-19 1995-05-02 Robbins, Iii; Edward S. Dispensing cap with rotatable top
US5425483A (en) * 1993-12-17 1995-06-20 Mertes; James S. Dispensing cap for vessel
US5671875A (en) * 1996-07-02 1997-09-30 Edward S. Robbins, III Measuring/dispensing closure flip-top cap and built in shut-off blade
US5707353A (en) * 1995-12-21 1998-01-13 Abbott Laboratories Oral administration of beneficial agents
US5899351A (en) * 1996-09-09 1999-05-04 The Popstraw Company, Llc. Device for containing and delivering a payload from a container
US5894965A (en) * 1997-07-29 1999-04-20 Edward S. Robbins, III Measuring dispensing cap with spring biased flip top
EP1720774B1 (en) * 2004-02-19 2010-11-24 Jeong-Min Lee Structure of cap having storage space
US7387063B2 (en) * 2004-03-29 2008-06-17 Javavoo, Llc Beverage brewing system
US7108676B2 (en) * 2004-05-04 2006-09-19 Loging James A Cup for administering medicine to a child
US20080067120A1 (en) * 2006-06-09 2008-03-20 Mon Chatrath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a filtered liquid
WO2009073998A1 (de) * 2007-12-11 2009-06-18 Belcap Switzerland Ag Verschluss zum zudosieren einer komponente
US20090188886A1 (en) * 2008-01-25 2009-07-30 Florian Troesch Liquid container system
US8230777B2 (en) 2008-07-21 2012-07-31 Nutra-Life, Inc. Water container cap for holding additives to water
US20120279939A1 (en) * 2008-10-27 2012-11-08 Lee Jeong-Min Bottle cap
JP5415114B2 (ja) * 2009-01-30 2014-02-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種混合容器
GB201000815D0 (en) * 2010-01-19 2010-03-03 Brook Chrispin Samantha Drink flavouring device
US20120017766A1 (en) * 2010-04-19 2012-01-26 Anson Ricky L Water container cap with filter for holding additives to water
US8967412B2 (en) * 2010-08-03 2015-03-03 James A Loging Drinking cup with lid and flow control element
GB2498796B (en) * 2012-01-30 2015-06-10 A P Services Uk Ltd Pill dispensing device
ES2564516T3 (es) * 2012-08-12 2016-03-23 Bevaswiss Ag Sistema de cierre con cápsula rellenable estanca al oxígeno y botón de apertura
US8701929B1 (en) * 2013-02-12 2014-04-22 Cheri Long Portable gas can
GB2519556B (en) * 2013-10-24 2018-02-14 Rotam Agrochem Int Co Ltd Closure assembly for a container and a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KR101438725B1 (ko) * 2014-05-01 2014-09-05 정용균 기능수 생성장치
AU2014397171B2 (en) * 2014-07-18 2020-05-14 Moradi Consulting Gmbh Closure cap for attachment to a liquid container
US9114920B1 (en) * 2014-08-13 2015-08-25 Ron Edelman Beverage container lid with integral snack and beverage enhancing features
CA2969844C (en) * 2014-12-05 2021-04-27 LifeFuels, Inc. A system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hydration and for the contextual dispensing of additives
US10093463B2 (en) * 2016-11-28 2018-10-09 Zm2 Design, Llc Bottle cap with selectable additiv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219A (ko) * 2020-08-04 2022-02-11 이명구 렌즈 관리용 조성물 보관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400990A1 (en) 2016-04-14
US20160207676A1 (en) 2016-07-21
JP2016533983A (ja) 2016-11-04
WO2015039702A1 (de) 2015-03-26
MX2016003535A (es) 2016-07-21
CN105764811A (zh) 2016-07-13
IL244639A0 (en) 2016-04-21
RU2016107889A (ru) 2017-10-25
WO2015039709A1 (de) 2015-03-26
CA2923939A1 (en) 2015-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3814C (en) A closure cap for attaching to a liquid container
US20220248893A1 (en) Additive delivery systems and containers
US10675597B2 (en) Beverage container and lid assembly
RU2455215C2 (ru) Емкость для ингредиентов напитка, содержащая открывающую пластину с отверстиями для сброса давления
KR20160077059A (ko) 액체 용기에 장착하기 위한 밀폐 캡
US8230777B2 (en) Water container cap for holding additives to water
KR101845219B1 (ko) 캡슐로부터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캡슐 및 음료 준비 시스템
US20100154647A1 (en) Liquid flow control and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20050263414A1 (en) Dispensing capsule
JP2022043189A (ja) 調節可能な添加剤供給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22023137A (ja) 単一ポーションパック、使用および調製機
US20100327016A1 (en) Dispenser
ES2446641A2 (es) Contenedor para la preparación de una bebida bajo la presión de un fluido.
KR101518718B1 (ko) 반복적으로 정량공급이 가능한 분말용기
KR20160074492A (ko) 액체 용기에 장착하기 위한 밀폐 캡
WO2014020583A1 (en) Double functions vent device for nursing bottle with functions for air venting to the inner bottle and a pediatric medicine delivery system
US11639257B2 (en) Dispensing device
KR20170118053A (ko) 첨가물을 액체 내로 배출하기 위한 캡슐 형태의 배출 부재
KR20180089996A (ko)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