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502A - 위치정보 이용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정보 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502A
KR20160076502A KR1020160074982A KR20160074982A KR20160076502A KR 20160076502 A KR20160076502 A KR 20160076502A KR 1020160074982 A KR1020160074982 A KR 1020160074982A KR 20160074982 A KR20160074982 A KR 20160074982A KR 20160076502 A KR20160076502 A KR 20160076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terminal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60074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6502A/ko
Publication of KR20160076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04W4/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위치정보 이용 방법에 따르면, 근거리 장치와 근거리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무선통신망 상의 기지국과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무선 처리부를 다중 구비하고,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GPS 신호 수신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전에 지정된 서버 또는 단말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하는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시 지정된 이동통신 절차를 수행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전에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미리 설정된 상태인지 확인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전에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설정된 상태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설정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최종 위치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후 측위된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와 무선 처리부 중 통신 연결 가능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에 대응하는 지정된 서버 또는 단말로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Description

위치정보 이용 방법{Method for Using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근거리 장치와 근거리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무선통신망 상의 기지국과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무선 처리부를 다중 구비하고,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GPS 신호 수신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전에 지정된 서버 또는 단말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하는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시 지정된 이동통신 절차를 수행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전에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미리 설정된 상태인지 확인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전에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설정된 상태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설정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최종 위치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후 측위된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와 무선 처리부 중 통신 연결 가능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에 대응하는 지정된 서버 또는 단말로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위치정보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체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방식과, 무선 주파수 신호의 전파 특성을 이용한 삼각측량을 방식, 및 기지국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체 위치로 추적하는 셀아이디(Cell ID) 방식 등이 있으며, 이 중 GPS 방식이 저렴한 비용으로 고정밀도의 위치 추적이 가능한 기술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의해 대부분의 무선통신 단말장치의 위치추적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GPS 방식의 위치추적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장치에 소정의 GPS 수신기를 구비한 후, 상기 GPS 수신기에서 4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무선통신 기지국을 통해 목적지로 보고하는 방식을 이용하는데, 개활지에서 수m 이내의 위치 정확도를 보유한다.
상기 GPS 방식의 위치추적을 위한 GPS 위성은 고도 약 20,000 킬로미터 상공에서 지구 궤도를 도는 24개의 GPS 위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GPS 위성은 1.5 GHz 대역의 전파를 사용하고, 지상에는 컨트롤 스테이션(Control Station)이라는 조정센터가 있어 GPS 위성에서 전송된 정보를 수집하고 동기화시키는 일을 하며, 사용자는 GPS 수신기를 통해 4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무선통신 기지국을 통해 목적지로 보고하는 방식을 이용하는데, 개활지에서 수m 이내의 위치 정확도를 보유한다.
여기서, 상기 GPS 방식의 위치추적을 위한 측위방식은 삼각측량법이 사용되는데, 상기 삼각측량을 위해서는 3개의 위성이 필요하며, 여기에 시간 오차를 위한 관측용 위성 한 개를 포함하여 총 4개의 GPS 위성이 필요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GPS 방식의 위치추적에서는 3개의 위성 각각의 위치를 이미 알고 있으므로, 위성과 GPS 수신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위를 한다. 여기서, 상기 GPS 위성에서 GPS 수신기까지의 거리는 위성에서 시각이 송출되므로 전파가 위성으로부터 송출된 시각과 시계를 내장하고 있는 GPS 수신기가 수신하는 시각의 차이에서 전파 전달 시간을 알 수 있고, 전파 전달 시간에 광속의 곱하면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GPS 방식의 위치추적 방법은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130 dBm 정도로 매우 미약한 신호이기 때문에 위성과 GPS 수신기 간 가시거리(Line of Sight; LOS)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예컨대, 건물/지형에 의해 상기 GPS 수신기와 위성 간 가시거리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GPS 수신기가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신호 자체가 잡히지 않아 위치추적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GPS 방식의 위치추적 방법은 상기 GPS 수신기가 구비된 무선통신 단말장치에서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 과정이 복잡한 연산과정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장치에 고성능 연산기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상기 연산을 위해 고전력을 소모하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긴급 구조요청의 경우, 다른 LBS(Location Based System) 서비스(예컨대, 차량의 네비게이션 서비스 등)와 달리 상기 GPS 수신기(또는 GPS 수신기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장치, 또는 무선통신 단말장치 사용자)의 위치가 이동하지 않고, 일정 범위 내에 고정되는 위치적 특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GPS 수신기가 최초에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실제적인 시간인 TTFF(Time To First Fix)가 대략 몇 분에서 십분 이상이 소요되는 경우가 간혹 발생하는데,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긴급 구조요청 상황에서 배터리 전원 부족으로 전원이 차단된 후 재부팅하는 경우, GPS 방식으로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측위를 하는 경우, 위치측위가 완성되기도 전에 과정에서 그나마 남아있던 배터리 전원이 완전 방전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 장치와 근거리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무선통신망 상의 기지국과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무선 처리부를 다중 구비하고,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GPS 신호 수신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전에 지정된 서버 또는 단말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하는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설정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시 지정된 이동통신 절차를 수행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전에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미리 설정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전에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설정된 상태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설정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최종 위치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후 측위된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와 무선 처리부 중 통신 연결 가능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에 대응하는 지정된 서버 또는 단말로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이용 방법은, 근거리 장치와 근거리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무선통신망 상의 기지국과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무선 처리부를 다중 구비하고,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GPS 신호 수신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전에 지정된 서버 또는 단말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하는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설정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시 지정된 이동통신 절차를 수행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전에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미리 설정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전에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설정된 상태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설정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최종 위치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후 측위된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와 무선 처리부 중 통신 연결 가능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에 대응하는 지정된 서버 또는 단말로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시 지정된 이동통신 절차를 수행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재부팅 전의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설정 확인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지정된 서버 또는 단말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재부팅 전에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최종 위치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후 측위된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최종 위치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후 측위된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한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화면출력 기능을 활성화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이용 방법은, 근거리 장치와 근거리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무선통신망 상의 기지국과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무선 처리부를 다중 구비하고,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GPS 신호 수신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지정된 특정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지정된 서버 또는 단말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하는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설정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GPS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GPS 위성신호를 기반으로 산출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메모리부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제2 단계 및 지정된 특정 상황 발생이 확인된 시점에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설정 중인 상태임이 확인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부와 무선 처리부 중 통신 연결 가능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GPS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GPS 위성신호를 기반으로 산출된 이동통신단말의 현재 위치정보 또는 상기 메모리부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에 대응하여 지정된 서버 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상황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전원이 꺼졌다가 재부팅 되는 상황,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어느 한 통신채널을 통해 위치측위 명령을 수신한 상황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지정된 특정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지정된 서버 또는 단말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를 설정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지정된 특정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지정된 서버 또는 단말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를 설정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이용 방법에 있어서, 지정된 특정 상황 발생이 확인된 시점에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설정 중인 상태임이 확인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화면출력수단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지정된 특정 상황 발생이 확인된 시점에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설정 중인 상태임이 확인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화면출력수단을 활성화하지 않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와 무선 처리부 중 통신 연결 가능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현재 위치정보 또는 기 저장된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에 대응하는 지정된 서버 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이용 방법에 있어서, 지정된 특정 상황 발생이 확인되고 상기 특정 상황 확인 시점에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기 설정된 상태임이 확인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배터리 잔량이 지정된 잔량 이하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지정된 특정 상황 발생이 확인된 시점에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설정 중인 상태임이 확인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배터리 잔량이 지정된 잔량 이하인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부와 무선 처리부 중 통신 연결 가능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에 대응하는 지정된 서버 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최종 위치정보의 저장시간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최종 위치정보 전송 시 상기 저장된 위치정보와 저장시간을 포함하는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에 대응하는 지정된 서버 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이용 방법은, 근거리 장치와 근거리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무선통신망 상의 기지국과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무선 처리부를 구비하고,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GPS 신호 수신부를 구비한 무선단말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GPS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 가능한 가시선 상의 GPS위성으로부터 수신된 GPS 위성신호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위치를 DGPS(Differential GPS) 방식, A-GPS(Assisted-GPS) 방식, DDGPS(Double Differential GPS)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1차 보정하여 무선단말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근거리의 통신채널을 통하여 상기 DGPS 방식, A-GPS 방식, DDGPS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산출된 위치정보를 2차 보정하기 위한 보정정보를 수신하는 제2 단계와 상기 근거리의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된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DGPS 방식, A-GPS 방식, DDGPS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산출된 위치정보를 2차 보정하여 무선단말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보정정보를 통해 산출된 위치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의 위치정보로 이용되게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보정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GPS 위성신호를 기반으로 산출된 위치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의 위치정보로 이용되게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인 경우, 상기 산출된 위치정보를 지정된 서버 또는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처리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은, 소정의 GPS칩(또는 GPS모듈)을 구비하며, 가시선(Visible Line)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GPS 신호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신호에 대응하는 위성 데이터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는 위치 측위 수단과, 상기 측위된 무선단말 위치정보를 소정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 수단과, 무선단말의 배터리 부족시 또는 저절전 모드로 변경시,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자동 실행 기능(또는 예약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원 낭비를 방지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무선단말 위치정보를 소정의 텍스트 또는 바이너리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단말과 소정의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통해 소정의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처리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처리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은, 소정의 GPS칩(또는 GPS모듈)을 구비하며, 가시선(Visible Line)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GPS 신호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신호에 대응하는 위성 데이터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는 위치 측위 수단과, 상기 측위된 무선단말 위치정보를 소정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 수단과, 무선 단말이 파워 오프 상태이거나, 또는 무선단말의 배터리가 부족한 상태이거나, 또는 저절전 모드로 변경된 상태에서 소정의 키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위치정보 전송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자동 실행 기능(또는 예약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원 낭비를 방지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무선단말 위치정보를 소정의 텍스트 또는 바이너리 형태로 변환한 후 상기 무선단말과 소정의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통해 소정의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처리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위치 측위부가 상기 무선단말의 현재 위치를 측위할 때마다 상기 측위된 무선단말 위치정보를 소정의 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위치 측위부가 상기 무선단말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는 중, 상기 무선단말이 저절전 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측위된 무선단말 위치정보를 소정의 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위치 측위부가 상기 무선단말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는 중, 상기 무선단말의 전원이 부족하여 파워 오프(Power Off)시, 상기 측위된 무선단말 위치정보를 소정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은, 휴대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무선단말 구성부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GPS 모듈을 구비한 무선단말에서 상기 GPS 기반 위치측위를 통한 긴급 구조요청시, 상기 GPS 기반 위치측위를 통해 산출된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의 최종 위치정보로 저장한 후, 상기 무선단말에서 상기 긴급 구조요청과 관련되지 않은 다른 기능에 의한 전원 낭비를 최대한 방지하면서, 상기 최종 위치정보를 구조자에 대응하는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구조요청이 완성되는 오랜시간 동안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를 상기 구조자에게 지속적으로 알려줌으로써, 상기 구조요청 성공률을 극대화 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된 최종 위치정보도 상기 구조자의 판단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배터리 잔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간 측위를 수행하여 기 저장된 최종 위치정보를 갱신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에서 상기 긴급 구조요청과 관련되지 않은 다른 기능에 의한 전원 낭비를 최대한 방지하면서, 상기 구조요청 성공률을 극대화 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무선단말과 기지국 간 무선단말의 최종 위치정보를 송수신하는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무선단말에서 최종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무선단말에서 최종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무선단말과 기지국 간 무선단말의 최종 위치정보를 송수신하는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무선단말에서 최종 위치정보를 저장 및 전송하는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무선단말에서 최종 위치정보를 저장 및 전송하는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무선단말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무선단말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100)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WCDMA(Wide CDMA) 및/또는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이동 통신망을 포함하는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자동 실행하는 무선단말(10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단말장치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다른 단말장치(예컨대, 휴대인터넷 단말 등), 및/또는 각 단말장치 특성에 대응하는 다양한 기능 구성에 대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CDMA/WCDMA 및/또는 HSDPA 기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무선단말(100)은,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외형상 몸체(Body)와 스피커와 마이크, 키패드, LCD(Liquid Crystal Display), 안테나와 배터리(12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적으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뎀, CPU/MPU(Central Processing Unit/ Micro Processing Unit), 보코더 등의 기능을 내장한 소정의 모뎀칩(예컨대, 미국 퀄컴(Qualcomm)사의 MSM 시리즈 모뎀칩)과, 각종 메모리 소자, 하나의 안테나에서 송수신 신호를 분리해 주는 듀플렉서 필터,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HPA), 고출력 송신 신호가 반대로 되돌아오는 현상을 막아주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 원하는 대역 외 불요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RF/IF SAW 필터, 송신 경로의 주파수 상향회로, 수신경로의 주파수 하향 변환회로, 기준 클럭원에 해당하는 VCTCXO(Voltage Controlled Temperature Compensated X-tal Oscillator), 주파수 상하향 변환의 국부신호로 사용되는 UHF 주파수 합성기, 및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코덱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내부 구성요소는 점차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집적화 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모뎀칩에는 상기와 같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한 핵심적인 구성요소 외에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또는 부가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함께 집적화 되고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100)은 구조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대응하는 제어부(105)와,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대응하는 화면 출력부(110)와, 마이크/스피커에 대응하는 사운드 처리부(115)와, 키패드에 대응하는 키 입력부(120)와, 안테나 및 각종 RF모듈에 대응하는 무선 처리부(135)와,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응하는 메모리부(140), 및 소정의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2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 위치측위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GPS 신호 수신부(1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GPS 신호 수신부(130)는 상기 무선 처리부(135)에 포함되거나, 또는 일부 RF 기능을 공유하여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100)은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또는 이에 대응하는 각종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소정의 화상정보를 독출하는 카메라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근거리 장치와 근거리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100)은 각종 금융(또는 결제) 서비스 및/또는 이에 대응하는 각종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예컨대, 금융IC칩, 또는 USIM 등, 도시생략)과 상기 IC칩에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읽고/쓰기 위한 IC칩 리더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05)는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구비되는 CPU/MPU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고, 소정의 메모리 소자로부터 무선단말(100) 특유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 및 이를 위해 구비되는 소정의 전자회로(또는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메모리부(140) 및/또는 메모리 소자(또는 칩셋)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특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연산 처리되는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총칭(따라서,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해 무선단말(100)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을 편의상 본 제어부(105)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함.)으로서, 상기 제어부(105)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루틴은 기본적으로 운영체제 루틴(도시생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 관리 루틴(예컨대, 전원관리 루틴, 채널(순방향/역방향) 관리 루틴, 핸드오프 루틴 등, 도시생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무선단말(100)에 구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능 구성들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에 전원이 공급된 후, 상기 운영체제 루틴(도시생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 관리 루틴(도시생략) 및 이에 대응하는 각종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제어부(105)에 구비된 실행 메모리로 로딩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100)은 소정의 부팅절차에 따라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 파일롯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동기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및 타이밍 변환 세부 상태를 포함하는 "이동국 초기화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 설정된다.
상기 부팅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운영체제 루틴(도시생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 관리 루틴(도시생략) 및 이에 대응하는 각종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제어부(105)에 구비된 실행 메모리로 로딩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100)은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시스템 액세스 상태", 또는 "통화 채널 상태" 등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됨으로써, 이동통신 기반 무선 접속 및 호처리(Call Processing)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부팅절차가 수행되는 과정, 또는 수행된 후,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배터리(125) 전원에 대한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을 검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은 상기 무선단말(100)에 소정의 전원이 입력되어 부팅된 후, 상기 "이동국 초기화 상태" 또는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된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 기능이 자동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은 상기 무선단말(100)에 소정의 전원이 입력되어 부팅된 후, 상기 "이동국 초기화 상태" 또는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무선단말(100)의 기능모드가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주기적으로 측위하여 산출된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소정의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무선단말(100)의 기능모드가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 기능이 자동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면 출력부(11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각 동작모드 운용 및 이에 대응하는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화면 위한 기능 구성부로서,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LCD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면 출력장치와 상기 화면 출력장치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105)와 연계하여 상기 키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또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메뉴 화면, 기능처리 화면 및 기능처리 결과 화면을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또는 다운로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예컨대, 문자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면 출력부(110)는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 실행시, 전원 관리(또는 전원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화면 출력장치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또는 화면출력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각 동작모드에서 사운드의 입출력을 처리하는 기능 구성부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하는 보코더(Vocoder)와 코덱(Codec)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시스템 액세스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통화연결음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화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마이크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를 엔코딩하여 입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는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구비된(또는 다운로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는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 실행시, 전원 관리(또는 전원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피커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또는 사운드 출력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 입력부(120)는 소정의 숫자키(Number Key) 및/또는 문자키(Character Key) 및/또는 기능키(Function Key)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Key Button)을 구비한 소정의 키 입력장치와, 상기 키 입력장치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키 입력장치에서 상기 키 버튼을 클릭(또는 입력)하여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입력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제어되는 소정의 입력모드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 입력장치에 구비된 소정의 키 버튼으로부터 소정의 키 입력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키 입력부(120)는 상기 검출된 키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이벤트(예컨대, MH_KEY_PRESSEVENT, MH_KEY_REPEATEVENT, MH_KEY_RELEASEEVENT)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키 이벤트를 상기 제어부(10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데이터를 독출(예컨대, 각각의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특정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키 테이블로부터 상기 키 이벤트에 키 데이터 독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키 이벤트와 매칭되어 정의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부(12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소정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소정의 "통화"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모드를 "시스템 액세스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12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소정의 기능키(예컨대, 메뉴키)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부(120)는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100)에 소정의 전원이 입력되어 부팅된 후, 상기 "이동국 초기화 상태" 또는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 입력장치에 구비된 소정의 키 버튼 중,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위한 전용 기능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핫키)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예컨대, 메뉴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선택키(또는 네비게이션 키))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처리부(135)는 상기 무선단말(100)이 CDMA/WCDMA 및/또는 HSDPA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이동 통신망 상의 기지국과 무선채널을 연결하는 기능 구성부로서, CDMA 모뎀과 각종 RF 모듈(예컨대, 듀플렉서 필터, 파워 앰프,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HPA), 아이솔레이터(Isolator), RF/IF SAW 필터, 주파수 상향회로, 주파수 하향 변환회로, 기준 클럭원에 해당하는 VCTCXO, UHF 주파수 합성기 등) 및 안테나와 이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105)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각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위치등록 및/또는 슬롯모드(Slot Mode) 및/또는 전력제어(Power Control) 및/또는 핸드오프(Hand-off) 및/또는 호처리(Call Processing)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처리부(135)는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송수신 기능(예컨대, 안테나 제어, 무선 주파수 신호의 변조, 합성, 증폭 및/또는 필터링 등을 기반으로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소정의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무선 처리부(135)는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무선단말(100)의 위치정보(또는 위치신호)를 CDMA 스택으로 가공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CDMA 스택으로부터 무선단말(100)의 위치정보(또는 위치신호) 송신과 관련된 명령(또는 정보)을 독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본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이 휴대인터넷단말이라면 상기 무선 처리부(135)는 IEEE 802.16x 기반 휴대인터넷에 접속하여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소정의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기능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GPS 신호 수신부(130)는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GPS 기반 위치측위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GPS 위성은 L 대역의 두 주파수 L1(1575.42MHz), L2 (1227.6MHz)로 정확히 조정된 반송파에 소정의 위성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GPS 위성신호를 송출하는데, 상기 GPS 위성신호는 각각의 GPS 위성 번호에 따라 특수하게 설계된 소정의 PRN 코드(Pseudo Random Noise cod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코드 다중 분할 방식(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으로 송출된다.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GPS 신호 수신부(130)는,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부와, 상기 GPS 위성신호에 대한 RF/IF 처리부(도시생략) 및 저잡음 증폭부(도시생략)와 신호변환 및 샘플링부(도시생략)와 지연고정루프(도시생략)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소정의 GPS 위성신호를 판독하여 하나의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성신호로부터 다른 위성들의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짧은 시간 이내에 모든 가시(Visible) 위성 신호들을 추적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구비한 GPS 신호 제어부(105)(도시생략)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GPS 신호 수신부(130)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 데이터(예컨대, GPS 기반의 위치측위를 위한 각 GPS 위성의 위치정보와 신호송출 시각 정보 등)를 독출하여 상기 제어부(10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GPS 신호 수신부(130)에 포함된 각각의 기능 구성부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GPS 신호 수신부(130)에 포함된 각각의 기능 구성부는 상기 무선 처리부(135)에 일부 포함되거나, 또는 일부 기능을 공유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메모리부(140)는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루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매체에 해당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에 해당하는 ROM(Read Only memory)과, 읽기/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FM) 및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중 상기 ROM은 삭제되면 안되는 시스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는 운영체제 루틴, 호처리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루틴과 이를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며, 상기 EEPROM에는 단말기 등록관련 파라미터와 전화번호(예컨대, 주소록) 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중에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40)는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주기적으로 측위하는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40)는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주기적으로 측위하는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소정의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100)은, 상기 GPS 신호 수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 데이터로부터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측위부(145)와, 상기 산출된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6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 측위부(145)는 상기 GPS 신호 수신부(130)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위치 측위부(145)는 상기 모뎀칩에 구비되는 소정의 GPS칩(예컨대, MSM 3300 모뎀칩 이후 상기 모뎀칩에 탑재되는 'gpsONE'칩)으로 구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GPS 위치측위용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부(145)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에서 가시선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위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는 단순 GPS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부(145)는, 상기 단순 GPS 측위방식에 의해 산출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오류를 보정하는 DGPS(Differential GPS) 측위 방식, 또는 A-GPS(Assisted-GPS) 측위 방식, 또는 이중차분 방식에 의한 측위방식(Double Differential GP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무선 처리부(135)는 IS-801 규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순 GPS 측위 방식에 의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오류를 보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오류 보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위치 측위부(145)가 단순 GPS 측위 방식, 또는 DGPS 측위 방식, 또는 A-GPS 측위 방식, 또는 이중차분 방식에 의한 측위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부(145)에 의해 산출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는 상기 무선 처리부(135)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망 상의 기지국을 거쳐 텍스트(예컨대,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 또는 바이너리(예컨대, IS-801 규격에 대응하는 응답 데이터) 형태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필요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65)는 위치 측위부(145)에 의해 산출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65)는 상기 위치 측위부(145)가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할 때마다 상기 산출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 측위부(145)에 의해 산출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무선 처리부(135)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망 상의 기지국을 거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65)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 전송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는, 상기 위치정보 전송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용도 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서버(또는 단말)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 용도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순 위치확인 용도인지, 또는 위치정보와 GIS 정보를 융합한 네비게이션 용도인지,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구조요청 용도인지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식별정보(또는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버(또는 단말)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또는 서버(또는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부(145)를 통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 산출이 정상 종료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정상 종료된 경우,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65)는 상기 위치 측위부(145)가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할 때마다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최종 위치정보로 산출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하지 않고,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배터리(125) 전원의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이 상기 위치 측위부(145)에 의한 실시간 위치측위를 통해 제공하기에 부족한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 시스템을 재부팅하기 전에 상기 위치 측위부(145)가 마지막으로 측위한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100)은, 상기 무선단말(100)이 파워 오프(Power Off)된 후 재부팅 과정(또는 부팅된 후)에서,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1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확인결과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50)는 상기 제어부(105)의 배터리(125) 전원에 대한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 검출 기능과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이 부족한지 확인하는 기능,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기능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확인부(15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모드가 상기 "이동국 초기화 상태" 또는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확인결과 상기 위치 측위부(145)에 의해 산출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되어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50)는 상기 제어부(105)의 배터리(125) 전원에 대한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 검출 기능과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을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100)의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이 일정시간 동안 상기 GPS 신호 수신부(13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위치 측위부(145)가 상기 위성 데이터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은, 상기 확인결과 상기 배터리(125)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이 상기 GPS 신호 수신부(130)와 위치 측위부(145)가 상호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에 대한 신규 위치정보를 일정시간 동안 산출하는데 부족한 경우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은, 상기 배터리(125)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 크기와 무관하게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긴급구조 요청에 대응하는 경우 활성화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는, 상기 확인결과 상기 위치 측위부(145)에 의해 산출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되어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50)는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정보 확인부(150)는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활성화할 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치정보 용도 정보가 긴급구조요청 용도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50)는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활성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100)은, 상기 정보 확인부(150)에 의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무선 처리부(135)와 연계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160)와, 상기 화면 출력부(110)와 연동하여 상기 화면 출력장치로 전원공급을 차단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 전송과 관련되지 않은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 정보를 가능한 오랜시간 동안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절전 제어부(15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확인부(150)에 의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전송부(160)는 상기 메모리부(14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 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된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한 서버(또는 단말)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가 저장되지 않거나, 또는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서버(또는 단말)가 공지된 특정 서버(또는 단말)로 고정된 경우, 또는 상기 서버(또는 단말) 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한 서버(또는 단말)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후, 상기 정보 전송부(160)는 상기 추출된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 처리부(135)와 연계하여 텍스트 또는 바이너리 형태로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전송부(16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단문 메시지의 USER_DATA 영역에 포함시킬 텍스트 정보(예컨대, 80bytes 이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소정의 단문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무선 처리부(135)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망 상의 기지국을 거쳐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전송부(16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도면2에 도시된 IS-801 규격 기반의 GPS 프로토콜에 대입할 바이너리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도면2에 도시된 프로토콜 구조에 대입하여 상기 무선 처리부(135)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망 상의 기지국을 거쳐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확인부(150)에 의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이 확인된 후, 상기 정보 전송부(160)가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최초 전송하기 전, 또는 최초 전송 후에, 상기 절전 제어부(155)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 정보를 가능한 오랜시간 동안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화면 출력부(110)와 연동하여 상기 화면 출력장치로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확인부(150)에 의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이 확인된 후, 상기 정보 전송부(160)가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최초 전송하기 전, 또는 최초 전송 후에, 상기 절전 제어부(155)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 정보를 가능한 오랜시간 동안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부팅과정(또는 부팅된 후)에서 자동(또는 예약) 로딩되는 기능(예컨대, 시스템 로딩 동영상 출력기능, 또는 각종 사용자 예약 기능, 또는 음성통화를 위한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서 "시스템 액세스 상태"로 전환 기능 등) 중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 전송과 관련되지 않은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절전 제어부(155)는 상기 배터리(125)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 크기에 따라 상기와 같은 절전 기능을 단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배터리(125)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이 특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음성통화를 위한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서 "시스템 액세스 상태"로 전환 기능은 차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무선단말(100)과 기지국 간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송수신하는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CDMA 2000 규격의 L3 메시지 중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 DBM)를 통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과 기지국 사이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IS-801 규격 기반 프로토콜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100)과 기지국 사이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토콜 구조에 대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는, 8비트의 MSG_NUMBER 필드와, 6비트의 BURST_TYPE 필드와, 6비트의 NUM_MSGS 필드와, 8비트의 NUM_FIELDS 필드 및 상기 IS-801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CHARi 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에서 상기 MSG_NUMBER 필드, BURST_TYPE 필드, NUM_MSGS 필드 및 NUM_FIELDS 필드에 대한 기술적 특징과 역할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IS-801 규격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CHARi 필드는 보다 상세하게 1비트의 SESS_START 필드와, 1비트의 SESS_END 필드와, 1비트의 SESS_SOURCE 필드와, 5비트의 SESS_TAG 필드와, 8비트의 PD_MSG_TYPE 필드와, 4비트의 NUM_REQUESTS 필드와, 4비트의 NUM_RESPONSES 필드 및 최대 2024 비트의 요청/응답 데이터(REQ_DATA/RESP_DATA) 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SESS_START 필드는 본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이전에 송수신한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와 관련이 있다면(예컨대, 이전에 송수신한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이어진다면), '0'로 설정되며, 그렇지 않다면(예컨대, 신규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송수신한다면), 상기 SESS_START 필드는 '1'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SESS_END 필드는 본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 이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련된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더 송수신된다면(예컨대, 다음에 송수신할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이어진다면), '0'로 설정되며, 그렇지 않다면(예컨대, 본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 송수신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 완료된다면), 상기 SESS_START 필드는 '1'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SESS_SOURCE 필드는 상기 SESS_START 필드가 '1'로 설정되면, '1'로 설정되며, 그렇지 않다면 상기 SESS_ SOURCE 필드는 이전에 송수신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에 포함된 SESS_ SOURCE 필드와 같은 비트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SESS_TAG 필드는 상기 SESS_START 필드가 '0'로 설정되면, 이전에 송수신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에 포함된 SESS_TAG 필드와 같은 비트값으로 설정되며, 그렇지 않다면 상기 SESS_TAG 필드는 최근에 상기 SESS_START 필드를 '1'로 설정하여 송신한 필드에 할당된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PD_MSG_TYPE 필드는 위치결정(Position Determination) 메시지 형식으로서, 비트값 '00000000'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NUM_REQUESTS 필드는 상기 요청/응답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요청 파라미터 레코드 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요청 파라미터 레코드 개수는 '0'에서 '15'의 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NUM_RESPONSES 필드는 상기 요청/응답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응답 파라미터 레코드 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응답 파라미터 레코드 개수는 '0'에서 '15'의 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요청/응답 데이터 필드는 상기 NUM_REQUESTS 필드에 포함된 개수만큼의 요청 데이터 및/또는 응답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IS-801 규격을 참조하면, 상기 요청/응답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요청 데이터는, 4비트의 예비 비트(Reserved Bits)와, 4비트의 REQ_TYPE와, 8비트의 REQ_PAR_LEN, 및 상기 REQ_PAR_LEN에 대응하는 숫자의 8의 배수에 해당하는 REQ_PAR_RECOR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REQ_TYPE는 상기 무선단말(100)과 기지국 간 요청 데이터 형식을 설정하는 4비트 코드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기 설정된 요청 데이터 형식에 대한 설정값은 IS-801 규격을 참조한다.
또한, 상기 REQ_PAR_LEN은 상기 REQ_PAR_RECORD에 포함되는 요청 파라미터 레코드의 길이로서, 최대 255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REQ_PAR_LEN은 상기 REQ_TYPE에 대응하는 요청 파라미터 레코드로서, 기 설정된 요청 데이터 형식에 대응하는 요청 파라미터 레코드는 IS-801 규격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IS-801 규격을 참조하면, 상기 요청/응답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응답 데이터는, 3비트의 예비 비트(Reserved Bits)와, 1비트의 UNSOL_RESP와, 4비트의 RESP_TYPE와, 8비트의 RESP_PAR_LEN, 및 상기 RESP_PAR_LEN에 대응하는 숫자의 8의 배수에 해당하는 RESP_PAR_RECOR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UNSOL_RESP는 상기 응답 데이터가 요구 받은 응답 데이터인지, 요구 받지 않은 응답 데이터인지 구분하는 것으로서, 요구 받은 응답 데이터라면 '0'으로 설정되고, 요구 받지 않은 응답 데이터라면 '1'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RESP_TYPE는 상기 무선단말(100)과 기지국 간 응답 데이터 형식을 설정하는 4비트 코드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기 설정된 응답 데이터 형식에 대한 설정값은 IS-801 규격을 참조한다.
또한, 상기 RESP_PAR_LEN은 상기 RESP_PAR_RECORD에 포함되는 응답 파라미터 레코드의 길이로서, 최대 255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RESP_PAR_LEN은 상기 RESP_TYPE에 대응하는 응답 파라미터 레코드로서, 기 설정된 응답 데이터 형식에 대응하는 응답 파라미터 레코드는 IS-801 규격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상기 IS-801 규격에 정의된 RESP_TYPE 이외에(또는 상기 IS-801 규격에 정의된 RESP_TYPE 중 예비 영역에)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한 신규 RESP_TYPE을 정의한다.
또한,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상기 정의된 RESP_TYPE에 대응하는 응답 파라미터 레코드는, 저장 데이터 플래그, 저장시간 정보, 전송횟수 정보, 배터리(125) 잔량 정보 및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는,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인지, 또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GPS 신호 수신부(130)와 위치 측위부(145)가 상호 연계하여 측위한 실시간(또는 현재) 위치정보인지 설정하는 플래그로서,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라면 'true'값을 갖고, 그렇지 않다면 'false'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저장시간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된 시각(또는 저장된 이후 경과시간)을 확인하는 정보로서, 상기 무선단말(100)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저장시간이 클수록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진다.
또한, 상기 전송횟수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동일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한 횟수로서,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동일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때마다 가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125) 잔량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시,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배터리(125)의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 크기로서, 이에 의해 상기 서버(또는 단말)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이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잔존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또는 단말)는 상기 저장시간 정보와 전송횟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졌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125) 잔량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할 수 있는 경우, 상기 IS-801 규격에 대응하는 상기 요청/응답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소정의 요청 데이터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하여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저장시간 정보와 전송횟수 정보 등은 초기화된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저장시간에 측위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는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정의한 상기 RESP_TYPE에 포함되지 않고, 종래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RESP_TYPE에 포함되어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무선단말(100)에서 최종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 부팅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GPS 기반 위치측위를 기반으로 하는 소정의 LBS(Location Based System) 서비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서비스) 제공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주기적인 위치측위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측위된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상기 LBS 서비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메모리부(140))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무선단말(100)에서 최종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동작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 부팅절차를 수행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부팅절차에 따라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 파일롯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동기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및 타이밍 변환 세부 상태를 포함하는 "이동국 초기화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되는데(300),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모드가 상기 "이동국 초기화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되는 동안(또는 설정된 후),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305).
만약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310), 상기 무선단말(100)은 도면5 및/또는 도면6 및/또는 도면7 및/또는 도면12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 전송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31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화면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고(315), 상기 "이동국 초기화 상태" 설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 실행 기능(또는 예약 기능)을 실행한다(320).
이후, 상기 무선단말(100)은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시스템 액세스 상태", 또는 "통화 채널 상태" 등에 대응하는 각각의 동작모드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고유 기능(예컨대, 음성통화 기능)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서비스 기능(예컨대, 데이터 통신 기능,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등)을 수행하는데, 상기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GPS 기반 위치측위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1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GPS 기반 위치측위 명령이 수신되는지 확인한다(325).
만약 상기 GPS 기반 위치측위 명령이 확인되면(33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GPS 기능 구성부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현재 위치정보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LBS 서비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서비스)를 제공한다(33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다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며, 이를 위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모뎀칩에 구비되는 소정의 GPS칩(예컨대, MSM 3300 모뎀칩 이후 상기 모뎀칩에 탑재되는 'gpsONE'칩)으로 구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GPS 위치측위용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에서 가시선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위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는 단순 GPS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단순 GPS 측위방식에 의해 산출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오류를 보정하는 DGPS(Differential GPS) 측위 방식, 또는 A-GPS(Assisted-GPS) 측위 방식, 또는 이중차분 방식에 의한 측위방식(Double Differential GP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무선 처리부(135)는 IS-801 규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순 GPS 측위 방식에 의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오류를 보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오류 보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무선단말(100)이 단순 GPS 측위 방식, 또는 DGPS 측위 방식, 또는 A-GPS 측위 방식, 또는 이중차분 방식에 의한 측위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이후,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측위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LBS 서비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또한 상기 측위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한다(34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측위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LBS 서비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과 소정의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 전송에 대응하는 소정의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는, 상기 위치정보 전송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용도 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서버(또는 단말)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위치정보 용도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순 위치확인 용도인지, 또는 위치정보와 GIS 정보를 융합한 네비게이션 용도인지,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구조요청 용도인지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식별정보(또는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버(또는 단말)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또는 서버(또는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와 같은 GPS 기반 실시간 위치 측위를 이용한 LBS 서비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배터리(125) 잔량이 부족한지 확인한다(345).
만약 상기 배터리(125) 잔량이 부족하지 않다면(35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GPS 기반 실시간 위치 측위를 통한 LBS 서비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서비스)가 정상 종료되는지 확인한다(355).
만약 상기 LBS 서비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서비스)가 정상 종료되지 않는다면(36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LBS 서비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서비스)가 정상 종료될 때까지 상기 LBS 서비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서비스), 및/또는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시스템 액세스 상태", 또는 "통화 채널 상태" 등에 대응하는 무선단말(100) 기능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반면 상기 LBS 서비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서비스)가 정상 종료된다면(36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된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를 삭제하고(365),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시스템 액세스 상태", 또는 "통화 채널 상태" 등에 대응하는 무선단말(100) 기능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반면 상기 배터리(125) 잔량이 부족하지 않다면(35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시스템 재부팅 절차를 개시함으로써(370), 도면5 및/또는 도면6 및/또는 도면7 및/또는 도면12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 전송 과정을 개시한다.
도면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무선단말(100)에서 최종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 부팅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GPS 기반 위치측위를 기반으로 하는 소정의 LBS(Location Based System) 서비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서비스)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LBS 서비스를 제공 중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배터리(125) 전원이 실시간 GPS 위치측위를 통해 제공하기에 부족한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마지막으로 측위된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상기 LBS 서비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메모리부(140))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무선단말(100)에서 최종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동작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 부팅절차를 수행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부팅절차에 따라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 파일롯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동기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및 타이밍 변환 세부 상태를 포함하는 "이동국 초기화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되는데(400),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모드가 상기 "이동국 초기화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되는 동안(또는 설정된 후),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405).
만약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410), 상기 무선단말(100)은 도면5 및/또는 도면6 및/또는 도면7 및/또는 도면12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 전송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41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화면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고(415), 상기 "이동국 초기화 상태" 설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 실행 기능(또는 예약 기능)을 실행한다(420).
이후, 상기 무선단말(100)은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시스템 액세스 상태", 또는 "통화 채널 상태" 등에 대응하는 각각의 동작모드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고유 기능(예컨대, 음성통화 기능)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서비스 기능(예컨대, 데이터 통신 기능,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등)을 수행하는데, 상기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GPS 기반 위치측위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1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GPS 기반 위치측위 명령이 수신되는지 확인한다(425).
만약 상기 GPS 기반 위치측위 명령이 확인되면(43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GPS 기능 구성부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현재 위치정보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LBS 서비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서비스)를 제공한다(43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다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며, 이를 위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모뎀칩에 구비되는 소정의 GPS칩(예컨대, MSM 3300 모뎀칩 이후 상기 모뎀칩에 탑재되는 'gpsONE'칩)으로 구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GPS 위치측위용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에서 가시선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위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는 단순 GPS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단순 GPS 측위방식에 의해 산출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오류를 보정하는 DGPS(Differential GPS) 측위 방식, 또는 A-GPS(Assisted-GPS) 측위 방식, 또는 이중차분 방식에 의한 측위방식(Double Differential GP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무선 처리부(135)는 IS-801 규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순 GPS 측위 방식에 의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오류를 보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오류 보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무선단말(100)이 단순 GPS 측위 방식, 또는 DGPS 측위 방식, 또는 A-GPS 측위 방식, 또는 이중차분 방식에 의한 측위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이후,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와 같은 GPS 기반 실시간 위치 측위를 이용한 LBS 서비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배터리(125) 잔량이 부족한지 확인한다(440).
만약 상기 배터리(125) 잔량이 부족하지 않다면(445),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LBS 서비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서비스)가 정상 종료될 때까지 상기 LBS 서비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서비스)를 제공함은 물론,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시스템 액세스 상태", 또는 "통화 채널 상태" 등에 대응하는 무선단말(100) 기능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반면 상기 배터리(125) 잔량이 부족하다면(445), 상기 무선단말(100)은 마지막으로 측위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고(450), 상기 시스템 재부팅 절차를 개시함으로써(455), 도면5 및/또는 도면6 및/또는 도면7 및/또는 도면12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 전송 과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측위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LBS 서비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과 소정의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 전송에 대응하는 소정의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는, 상기 위치정보 전송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용도 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서버(또는 단말)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위치정보 용도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순 위치확인 용도인지, 또는 위치정보와 GIS 정보를 융합한 네비게이션 용도인지,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구조요청 용도인지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식별정보(또는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버(또는 단말)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또는 서버(또는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100)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 부팅절차를 수행하는 과정(또는 부팅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가능한 오랜시간 동안 전송하기 위한 절전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무선단말(1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통해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100)의 동작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 부팅절차를 수행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부팅절차에 따라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 파일롯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동기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및 타이밍 변환 세부 상태를 포함하는 "이동국 초기화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되는데(500),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모드가 상기 "이동국 초기화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되는 동안(또는 설정된 후),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505).
*
만약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51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도면3 및/또는 도면4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 저장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51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 전송과 관련되지 않은 기능 자동 실행 기능 및/또는 예약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차단하는 위치정보 전송용 절전 기능을 개시한다(515).
만약 상기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절전 기능이 개시되면(52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한다(52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는 일정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및/또는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로 수신되는 위치정보 전송 요청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전송 조건이 만족된 것이 확인되면(53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메모리부(14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단말(1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통해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한다(535).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단문 메시지의 USER_DATA 영역에 포함시킬 텍스트 정보(예컨대, 80bytes 이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소정의 단문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무선단말(1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거쳐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도면2에 도시된 IS-801 규격 기반의 GPS 프로토콜에 대입할 바이너리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도면2에 도시된 프로토콜 구조에 대입하여 상기 무선단말(1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거쳐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데이터 플래그, 저장시간 정보, 전송횟수 정보 및 배터리(125) 잔량 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는,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인지, 또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GPS 신호 수신부(130)와 위치 측위부(145)가 상호 연계하여 측위한 실시간(또는 현재) 위치정보인지 설정하는 플래그로서,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라면 'true'값을 갖고, 그렇지 않다면 'false'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저장시간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된 시각(또는 저장된 이후 경과시간)을 확인하는 정보로서, 상기 무선단말(100)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저장시간이 클수록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진다.
또한, 상기 전송횟수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동일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한 횟수로서,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동일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때마다 가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125) 잔량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시,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배터리(125)의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 크기로서, 이에 의해 상기 서버(또는 단말)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이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잔존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또는 단말)는 상기 저장시간 정보와 전송횟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졌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125) 잔량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할 수 있는 경우, 상기 IS-801 규격에 대응하는 상기 요청/응답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소정의 요청 데이터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하여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저장시간 정보와 전송횟수 정보 등은 초기화된다.
따라서,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부터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도록 요청되는지 확인한다(540).
만약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도록 요청되지 않는다면(545),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도록 요청되면(545), 상기 무선단말(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고, 상기 측위된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한 후(550),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도면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100)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 부팅절차를 수행하는 과정(또는 부팅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가능한 오랜시간 동안 전송하기 위한 절전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무선단말(1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통해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100)의 동작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 부팅절차를 수행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부팅절차에 따라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 파일롯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동기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및 타이밍 변환 세부 상태를 포함하는 "이동국 초기화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되는데(600),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모드가 상기 "이동국 초기화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되는 동안(또는 설정된 후),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605).
만약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61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도면3 및/또는 도면4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 저장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610), 상기 무선단말(100)은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된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를 판독(예컨대,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가 구조요청 기반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인지 확인)함으로써(615),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실행할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는, 상기 위치정보 전송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용도 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서버(또는 단말)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위치정보 용도 정보가 본 발명에 따른 긴급구조요청 용도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의 판독결과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실행하지 않는다면(62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도면3 및/또는 도면4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 저장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의 판독결과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실행한다면(62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 전송과 관련되지 않은 기능 자동 실행 기능 및/또는 예약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차단하는 위치정보 전송용 절전 기능을 개시한다(625).
만약 상기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절전 기능이 개시되면(63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한다(63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는 일정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및/또는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로 수신되는 위치정보 전송 요청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전송 조건이 만족된 것이 확인되면(64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메모리부(14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단말(1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통해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한다(645).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단문 메시지의 USER_DATA 영역에 포함시킬 텍스트 정보(예컨대, 80bytes 이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소정의 단문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무선단말(1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거쳐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도면2에 도시된 IS-801 규격 기반의 GPS 프로토콜에 대입할 바이너리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도면2에 도시된 프로토콜 구조에 대입하여 상기 무선단말(1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거쳐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데이터 플래그, 저장시간 정보, 전송횟수 정보 및 배터리(125) 잔량 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는,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인지, 또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GPS 신호 수신부(130)와 위치 측위부(145)가 상호 연계하여 측위한 실시간(또는 현재) 위치정보인지 설정하는 플래그로서,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라면 'true'값을 갖고, 그렇지 않다면 'false'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저장시간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된 시각(또는 저장된 이후 경과시간)을 확인하는 정보로서, 상기 무선단말(100)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저장시간이 클수록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진다.
또한, 상기 전송횟수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동일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한 횟수로서,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동일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때마다 가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125) 잔량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시,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배터리(125)의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 크기로서, 이에 의해 상기 서버(또는 단말)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이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잔존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또는 단말)는 상기 저장시간 정보와 전송횟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졌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125) 잔량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할 수 있는 경우, 상기 IS-801 규격에 대응하는 상기 요청/응답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소정의 요청 데이터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하여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저장시간 정보와 전송횟수 정보 등은 초기화된다.
따라서,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부터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도록 요청되는지 확인한다(650).
만약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도록 요청되지 않는다면(655),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도록 요청되면(655), 상기 무선단말(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고, 상기 측위된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한 후(660),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도면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100)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 부팅절차를 수행하는 과정(또는 부팅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125) 잔량이 부족한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가능한 오랜시간 동안 전송하기 위한 절전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무선단말(1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통해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100)의 동작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 부팅절차를 수행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부팅절차에 따라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 파일롯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동기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및 타이밍 변환 세부 상태를 포함하는 "이동국 초기화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되는데(700),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모드가 상기 "이동국 초기화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되는 동안(또는 설정된 후),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705).
만약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71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도면3 및/또는 도면4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 저장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71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배터리(125)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 크기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절전 기능이 필요한지 확인한다(715).
만약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절전 기능이 필요하지 않다면(72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하는 과정(735)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절전 기능이 필요하다면(72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 전송과 관련되지 않은 기능 자동 실행 기능 및/또는 예약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차단하는 위치정보 전송용 절전 기능을 개시한다(725).
만약 상기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절전 기능이 개시되면(73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한다(73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는 일정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및/또는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로 수신되는 위치정보 전송 요청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전송 조건이 만족된 것이 확인되면(740),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메모리부(14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단말(1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통해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한다(745).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단문 메시지의 USER_DATA 영역에 포함시킬 텍스트 정보(예컨대, 80bytes 이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소정의 단문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무선단말(1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거쳐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도면2에 도시된 IS-801 규격 기반의 GPS 프로토콜에 대입할 바이너리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도면2에 도시된 프로토콜 구조에 대입하여 상기 무선단말(1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거쳐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데이터 플래그, 저장시간 정보, 전송횟수 정보 및 배터리(125) 잔량 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는,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인지, 또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GPS 신호 수신부(130)와 위치 측위부(145)가 상호 연계하여 측위한 실시간(또는 현재) 위치정보인지 설정하는 플래그로서,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라면 'true'값을 갖고, 그렇지 않다면 'false'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저장시간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4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된 시각(또는 저장된 이후 경과시간)을 확인하는 정보로서, 상기 무선단말(100)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저장시간이 클수록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진다.
또한, 상기 전송횟수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동일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한 횟수로서,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동일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때마다 가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125) 잔량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시,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배터리(125)의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 크기로서, 이에 의해 상기 서버(또는 단말)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이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잔존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또는 단말)는 상기 저장시간 정보와 전송횟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졌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125) 잔량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할 수 있는 경우, 상기 IS-801 규격에 대응하는 상기 요청/응답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소정의 요청 데이터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하여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저장시간 정보와 전송횟수 정보 등은 초기화된다.
따라서,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부터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도록 요청되는지 확인한다(750).
만약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도록 요청되지 않는다면(755),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도록 요청되면(755), 상기 무선단말(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고, 상기 측위된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한 후(760),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도면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800)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WCDMA(Wide CDMA) 및/또는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이동 통신망을 포함하는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이동통신단말이 사용자 요청에 의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단말(80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단말장치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다른 단말장치(예컨대, 휴대인터넷 단말 등), 및/또는 각 단말장치 특성에 대응하는 다양한 기능 구성에 대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CDMA/WCDMA 및/또는 HSDPA 기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무선단말(800)은,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외형상 몸체(Body)와 스피커와 마이크, 키패드, LCD(Liquid Crystal Display), 안테나와 배터리(82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적으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뎀, CPU/MPU(Central Processing Unit/ Micro Processing Unit), 보코더 등의 기능을 내장한 소정의 모뎀칩(예컨대, 미국 퀄컴(Qualcomm)사의 MSM 시리즈 모뎀칩)과, 각종 메모리 소자, 하나의 안테나에서 송수신 신호를 분리해 주는 듀플렉서 필터,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HPA), 고출력 송신 신호가 반대로 되돌아오는 현상을 막아주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 원하는 대역 외 불요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RF/IF SAW 필터, 송신 경로의 주파수 상향회로, 수신경로의 주파수 하향 변환회로, 기준 클럭원에 해당하는 VCTCXO(Voltage Controlled Temperature Compensated X-tal Oscillator), 주파수 상하향 변환의 국부신호로 사용되는 UHF 주파수 합성기, 및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코덱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내부 구성요소는 점차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집적화 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모뎀칩에는 상기와 같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한 핵심적인 구성요소 외에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또는 부가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함께 집적화 되고 있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800)은 구조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대응하는 제어부(805)와,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대응하는 화면 출력부(815)와, 마이크/스피커에 대응하는 사운드 처리부(815)와, 키패드에 대응하는 키 입력부(820)와, 안테나 및 각종 RF모듈에 대응하는 무선 처리부(835)와,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응하는 메모리부(840), 및 소정의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82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 위치측위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GPS 신호 수신부(8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GPS 신호 수신부(830)는 상기 무선 처리부(835)에 포함되거나, 또는 일부 RF 기능을 공유하여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800)은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또는 이에 대응하는 각종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소정의 화상정보를 독출하는 카메라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근거리 장치와 근거리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800)은 각종 금융(또는 결제) 서비스 및/또는 이에 대응하는 각종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8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예컨대, 금융IC칩, 또는 USIM 등, 도시생략)과 상기 IC칩에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읽고/쓰기 위한 IC칩 리더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805)는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구비되는 CPU/MPU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고, 소정의 메모리 소자로부터 무선단말(800) 특유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 및 이를 위해 구비되는 소정의 전자회로(또는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메모리부(840) 및/또는 메모리 소자(또는 칩셋)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특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연산 처리되는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총칭(따라서,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해 무선단말(800)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을 편의상 본 제어부(805)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함.)으로서, 상기 제어부(805)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루틴은 기본적으로 운영체제 루틴(도시생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 관리 루틴(예컨대, 전원관리 루틴, 채널(순방향/역방향) 관리 루틴, 핸드오프 루틴 등, 도시생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805)에 의해 무선단말(800)에 구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능 구성들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800)에 전원이 공급된 후, 상기 운영체제 루틴(도시생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 관리 루틴(도시생략) 및 이에 대응하는 각종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제어부(805)에 구비된 실행 메모리로 로딩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800)은 소정의 부팅절차에 따라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 파일롯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동기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및 타이밍 변환 세부 상태를 포함하는 "이동국 초기화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 설정된다.
상기 부팅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운영체제 루틴(도시생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 관리 루틴(도시생략) 및 이에 대응하는 각종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제어부(805)에 구비된 실행 메모리로 로딩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800)은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시스템 액세스 상태", 또는 "통화 채널 상태" 등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됨으로써, 이동통신 기반 무선 접속 및 호처리(Call Processing)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부팅절차가 수행되는 과정, 또는 수행된 후, 상기 제어부(805)는 상기 배터리(825) 전원에 대한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을 검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은 상기 무선단말(800)에 소정의 전원이 입력되어 부팅된 후, 상기 "이동국 초기화 상태" 또는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메모리부(840)에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키 입력부(820)를 통해 소정의 위치정보 전송 명령(예컨대, 긴급 위치정보 송신 요청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위치정보 전송 명령에 의해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 기능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은 상기 무선단말(800)에 소정의 전원이 입력되어 부팅된 후, 상기 "이동국 초기화 상태" 또는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메모리부(840)에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무선단말(800)의 기능모드가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주기적으로 측위하여 산출된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소정의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로 설정된 상태에, 상기 키 입력부(820)를 통해 소정의 위치정보 전송 명령(예컨대, 긴급 위치정보 송신 요청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위치정보 전송 명령에 의해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 기능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면 출력부(815)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각 동작모드 운용 및 이에 대응하는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화면 위한 기능 구성부로서,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LCD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면 출력장치와 상기 화면 출력장치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805)와 연계하여 상기 키 입력부(820)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또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메뉴 화면, 기능처리 화면 및 기능처리 결과 화면을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또는 다운로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예컨대, 문자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면 출력부(815)는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 실행시, 전원 관리(또는 전원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화면 출력장치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또는 화면출력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815)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각 동작모드에서 사운드의 입출력을 처리하는 기능 구성부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하는 보코더(Vocoder)와 코덱(Codec)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처리부(815)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시스템 액세스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통화연결음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화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마이크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를 엔코딩하여 입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운드 처리부(815)는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구비된(또는 다운로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처리부(815)는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 실행시, 전원 관리(또는 전원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피커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또는 사운드 출력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 입력부(820)는 소정의 숫자키(Number Key) 및/또는 문자키(Character Key) 및/또는 기능키(Function Key)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Key Button)을 구비한 소정의 키 입력장치와, 상기 키 입력장치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키 입력장치에서 상기 키 버튼을 클릭(또는 입력)하여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입력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805)에 의해 제어되는 소정의 입력모드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 입력장치에 구비된 소정의 키 버튼으로부터 소정의 키 입력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키 입력부(820)는 상기 검출된 키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이벤트(예컨대, MH_KEY_PRESSEVENT, MH_KEY_REPEATEVENT, MH_KEY_RELEASEEVENT)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키 이벤트를 상기 제어부(80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805)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데이터를 독출(예컨대, 각각의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특정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키 테이블로부터 상기 키 이벤트에 키 데이터 독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키 이벤트와 매칭되어 정의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부(820)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소정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소정의 "통화"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800)의 동작모드를 "시스템 액세스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820)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소정의 기능키(예컨대, 메뉴키)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부(820)는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800)에 소정의 전원이 입력되어 부팅된 후, 상기 "이동국 초기화 상태" 또는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 입력장치에 구비된 소정의 키 버튼 중,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위한 전용 기능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핫키)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예컨대, 메뉴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선택키(또는 네비게이션 키))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처리부(835)는 상기 무선단말(800)이 CDMA/WCDMA 및/또는 HSDPA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이동 통신망 상의 기지국과 무선채널을 연결하는 기능 구성부로서, CDMA 모뎀과 각종 RF 모듈(예컨대, 듀플렉서 필터, 파워 앰프,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HPA), 아이솔레이터(Isolator), RF/IF SAW 필터, 주파수 상향회로, 주파수 하향 변환회로, 기준 클럭원에 해당하는 VCTCXO, UHF 주파수 합성기 등) 및 안테나와 이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805)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800)의 각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위치등록 및/또는 슬롯모드(Slot Mode) 및/또는 전력제어(Power Control) 및/또는 핸드오프(Hand-off) 및/또는 호처리(Call Processing)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처리부(835)는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송수신 기능(예컨대, 안테나 제어, 무선 주파수 신호의 변조, 합성, 증폭 및/또는 필터링 등을 기반으로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소정의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무선 처리부(835)는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무선단말(800)의 위치정보(또는 위치신호)를 CDMA 스택으로 가공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CDMA 스택으로부터 무선단말(800)의 위치정보(또는 위치신호) 송신과 관련된 명령(또는 정보)을 독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본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이 휴대인터넷단말이라면 상기 무선 처리부(835)는 IEEE 802.16x 기반 휴대인터넷에 접속하여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소정의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기능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GPS 신호 수신부(830)는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GPS 기반 위치측위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GPS 위성은 L 대역의 두 주파수 L1(1575.42MHz), L2 (1227.6MHz)로 정확히 조정된 반송파에 소정의 위성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GPS 위성신호를 송출하는데, 상기 GPS 위성신호는 각각의 GPS 위성 번호에 따라 특수하게 설계된 소정의 PRN 코드(Pseudo Random Noise cod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코드 다중 분할 방식(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으로 송출된다.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GPS 신호 수신부(830)는,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부와, 상기 GPS 위성신호에 대한 RF/IF 처리부(도시생략) 및 저잡음 증폭부(도시생략)와 신호변환 및 샘플링부(도시생략)와 지연고정루프(도시생략)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소정의 GPS 위성신호를 판독하여 하나의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성신호로부터 다른 위성들의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짧은 시간 이내에 모든 가시(Visible) 위성 신호들을 추적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구비한 GPS 신호 제어부(805)(도시생략)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GPS 신호 수신부(830)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 데이터(예컨대, GPS 기반의 위치측위를 위한 각 GPS 위성의 위치정보와 신호송출 시각 정보 등)를 독출하여 상기 제어부(80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GPS 신호 수신부(830)에 포함된 각각의 기능 구성부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GPS 신호 수신부(830)에 포함된 각각의 기능 구성부는 상기 무선 처리부(835)에 일부 포함되거나, 또는 일부 기능을 공유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메모리부(840)는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루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매체에 해당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에 해당하는 ROM(Read Only memory)과, 읽기/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FM) 및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중 상기 ROM은 삭제되면 안되는 시스템 정보(도시생략)가 저장되고,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는 운영체제 루틴, 호처리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800)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루틴과 이를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며, 상기 EEPROM에는 단말기 등록관련 파라미터와 전화번호(예컨대, 주소록) 또는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중에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840)는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주기적으로 측위하는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840)는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주기적으로 측위하는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소정의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800)은, 상기 GPS 신호 수신부(830)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 데이터로부터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측위부(845)와, 상기 산출된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86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 측위부(845)는 상기 GPS 신호 수신부(830)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위치 측위부(845)는 상기 모뎀칩에 구비되는 소정의 GPS칩(예컨대, MSM 3300 모뎀칩 이후 상기 모뎀칩에 탑재되는 'gpsONE'칩)으로 구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GPS 위치측위용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부(845)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에서 가시선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위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는 단순 GPS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부(845)는, 상기 단순 GPS 측위방식에 의해 산출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오류를 보정하는 DGPS(Differential GPS) 측위 방식, 또는 A-GPS(Assisted-GPS) 측위 방식, 또는 이중차분 방식에 의한 측위방식(Double Differential GP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무선 처리부(835)는 IS-801 규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순 GPS 측위 방식에 의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오류를 보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오류 보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위치 측위부(845)가 단순 GPS 측위 방식, 또는 DGPS 측위 방식, 또는 A-GPS 측위 방식, 또는 이중차분 방식에 의한 측위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부(845)에 의해 산출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는 상기 무선 처리부(835)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망 상의 기지국을 거쳐 텍스트(예컨대,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 또는 바이너리(예컨대, IS-801 규격에 대응하는 응답 데이터) 형태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필요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865)는 위치 측위부(845)에 의해 산출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865)는 상기 위치 측위부(845)가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할 때마다 상기 산출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 측위부(845)에 의해 산출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무선 처리부(835)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망 상의 기지국을 거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865)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 전송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는, 상기 위치정보 전송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용도 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서버(또는 단말)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 용도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순 위치확인 용도인지, 또는 위치정보와 GIS 정보를 융합한 네비게이션 용도인지,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구조요청 용도인지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식별정보(또는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버(또는 단말)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또는 서버(또는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부(845)를 통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 산출이 정상 종료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정상 종료된 경우,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865)는 상기 위치 측위부(845)가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할 때마다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최종 위치정보로 산출하여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하지 않고,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배터리(825) 전원의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이 상기 위치 측위부(845)에 의한 실시간 위치측위를 통해 제공하기에 부족한 경우, 상기 무선단말(800) 시스템을 재부팅하기 전에 상기 위치 측위부(845)가 마지막으로 측위한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800)은, 상기 무선단말(800)이 파워 오프(Power Off)된 후 재부팅 과정(또는 부팅된 후)에서, 상기 키 입력부(820)와 연계하여 소정의 위치정보 전송 명령을 입력하는 정보 입력부(8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경우 상기 키 입력부(820)에 대응하는 키 입력장치는 상기 위치정보 전송 명령 입력을 위한 전용 기능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핫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 전송 명령은 상기 위치정보 전송 명령 입력을 위한 전용 기능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핫키)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입력부(860)는 상기 "이동국 초기화 상태" 또는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위치정보 전송 명령 입력을 위한 전용 기능키(예컨대, 긴급 구조요청 핫키)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전송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위치정보 전송 명령에 의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800)은,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800)은, 상기 무선단말(800)이 파워 오프(Power Off)된 후 재부팅 과정(또는 부팅된 후)에서, 상기 메모리부(840)에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850)와, 상기 확인결과 상기 메모리부(840)에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화면 출력부(815)와 연계하여 소정의 위치정보 전송 화면을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855)와, 상기 위치정보 전송 화면에 대응하여 상기 키 입력부(820)를 통해 소정의 위치정보 전송 명령을 입력하는 정보 입력부(8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경우 상기 키 입력부(820)에 대응하는 키 입력장치는 상기 위치정보 전송 명령 입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예컨대, 메뉴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선택키(또는 네비게이션 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 전송 명령은 상기 위치정보 전송 명령 입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예컨대, 메뉴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선택키(또는 네비게이션 키))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확인부(850)는 상기 확인결과 상기 메모리부(840)에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850)는 상기 제어부(805)의 배터리(825) 전원에 대한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 검출 기능과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800)의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이 부족한지 확인하는 기능,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기능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입력부(860)는 상기 "이동국 초기화 상태" 또는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위치정보 전송 명령 입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예컨대, 메뉴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선택키(또는 네비게이션 키))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전송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위치정보 전송 명령에 의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800)은, 상기 위치정보 전송 명령에 의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무선 처리부(835)와 연계하여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870)와, 상기 화면 출력부(815)와 연동하여 상기 화면 출력장치로 전원공급을 차단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 전송과 관련되지 않은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 정보를 가능한 오랜시간 동안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절전 제어부(87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정보 전송 명령에 의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전송부(870)는 상기 메모리부(84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 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된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한 서버(또는 단말)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840)에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가 저장되지 않거나, 또는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서버(또는 단말)가 공지된 특정 서버(또는 단말)로 고정된 경우, 또는 상기 서버(또는 단말) 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한 서버(또는 단말)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후, 상기 정보 전송부(870)는 상기 추출된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 처리부(835)와 연계하여 텍스트 또는 바이너리 형태로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전송부(870)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단문 메시지의 USER_DATA 영역에 포함시킬 텍스트 정보(예컨대, 80bytes 이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소정의 단문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무선 처리부(835)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망 상의 기지국을 거쳐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전송부(870)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도면9에 도시된 IS-801 규격 기반의 GPS 프로토콜에 대입할 바이너리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도면9에 도시된 프로토콜 구조에 대입하여 상기 무선 처리부(835)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망 상의 기지국을 거쳐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정보 전송 명령에 의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이 확인된 후, 상기 정보 전송부(870)가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최초 전송하기 전, 또는 최초 전송 후에, 상기 절전 제어부(875)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 정보를 가능한 오랜시간 동안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화면 출력부(815)와 연동하여 상기 화면 출력장치로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 전송 명령에 의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위치추적을 위한 상기 절전형 위치추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이 확인된 후, 상기 정보 전송부(870)가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최초 전송하기 전, 또는 최초 전송 후에, 상기 절전 제어부(875)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 정보를 가능한 오랜시간 동안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부팅과정(또는 부팅된 후)에서 자동(또는 예약) 로딩되는 기능(예컨대, 시스템 로딩 동영상 출력기능, 또는 각종 사용자 예약 기능, 또는 음성통화를 위한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서 "시스템 액세스 상태"로 전환 기능 등) 중에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 전송과 관련되지 않은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절전 제어부(875)는 상기 배터리(825)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 크기에 따라 상기와 같은 절전 기능을 단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배터리(825)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이 특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음성통화를 위한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서 "시스템 액세스 상태"로 전환 기능은 차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무선단말(800)과 기지국 간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송수신하는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CDMA 2000 규격의 L3 메시지 중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 DBM)를 통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과 기지국 사이에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IS-801 규격 기반 프로토콜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800)과 기지국 사이에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토콜 구조에 대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9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는, 8비트의 MSG_NUMBER 필드와, 6비트의 BURST_TYPE 필드와, 6비트의 NUM_MSGS 필드와, 8비트의 NUM_FIELDS 필드 및 상기 IS-801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CHARi 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에서 상기 MSG_NUMBER 필드, BURST_TYPE 필드, NUM_MSGS 필드 및 NUM_FIELDS 필드에 대한 기술적 특징과 역할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IS-801 규격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CHARi 필드는 보다 상세하게 1비트의 SESS_START 필드와, 1비트의 SESS_END 필드와, 1비트의 SESS_SOURCE 필드와, 5비트의 SESS_TAG 필드와, 8비트의 PD_MSG_TYPE 필드와, 4비트의 NUM_REQUESTS 필드와, 4비트의 NUM_RESPONSES 필드 및 최대 2024 비트의 요청/응답 데이터(REQ_DATA/RESP_DATA) 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SESS_START 필드는 본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이전에 송수신한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와 관련이 있다면(예컨대, 이전에 송수신한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이어진다면), '0'로 설정되며, 그렇지 않다면(예컨대, 신규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송수신한다면), 상기 SESS_START 필드는 '1'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SESS_END 필드는 본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 이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련된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가 더 송수신된다면(예컨대, 다음에 송수신할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이어진다면), '0'로 설정되며, 그렇지 않다면(예컨대, 본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 송수신으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 완료된다면), 상기 SESS_START 필드는 '1'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SESS_SOURCE 필드는 상기 SESS_START 필드가 '1'로 설정되면, '1'로 설정되며, 그렇지 않다면 상기 SESS_ SOURCE 필드는 이전에 송수신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에 포함된 SESS_ SOURCE 필드와 같은 비트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SESS_TAG 필드는 상기 SESS_START 필드가 '0'로 설정되면, 이전에 송수신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에 포함된 SESS_TAG 필드와 같은 비트값으로 설정되며, 그렇지 않다면 상기 SESS_TAG 필드는 최근에 상기 SESS_START 필드를 '1'로 설정하여 송신한 필드에 할당된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PD_MSG_TYPE 필드는 위치결정(Position Determination) 메시지 형식으로서, 비트값 '00000000'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NUM_REQUESTS 필드는 상기 요청/응답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요청 파라미터 레코드 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요청 파라미터 레코드 개수는 '0'에서 '15'의 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NUM_RESPONSES 필드는 상기 요청/응답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응답 파라미터 레코드 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응답 파라미터 레코드 개수는 '0'에서 '15'의 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요청/응답 데이터 필드는 상기 NUM_REQUESTS 필드에 포함된 개수만큼의 요청 데이터 및/또는 응답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IS-801 규격을 참조하면, 상기 요청/응답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요청 데이터는, 4비트의 예비 비트(Reserved Bits)와, 4비트의 REQ_TYPE와, 8비트의 REQ_PAR_LEN, 및 상기 REQ_PAR_LEN에 대응하는 숫자의 8의 배수에 해당하는 REQ_PAR_RECOR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REQ_TYPE는 상기 무선단말(800)과 기지국 간 요청 데이터 형식을 설정하는 4비트 코드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기 설정된 요청 데이터 형식에 대한 설정값은 IS-801 규격을 참조한다.
또한, 상기 REQ_PAR_LEN은 상기 REQ_PAR_RECORD에 포함되는 요청 파라미터 레코드의 길이로서, 최대 255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REQ_PAR_LEN은 상기 REQ_TYPE에 대응하는 요청 파라미터 레코드로서, 기 설정된 요청 데이터 형식에 대응하는 요청 파라미터 레코드는 IS-801 규격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IS-801 규격을 참조하면, 상기 요청/응답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응답 데이터는, 3비트의 예비 비트(Reserved Bits)와, 1비트의 UNSOL_RESP와, 4비트의 RESP_TYPE와, 8비트의 RESP_PAR_LEN, 및 상기 RESP_PAR_LEN에 대응하는 숫자의 8의 배수에 해당하는 RESP_PAR_RECOR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UNSOL_RESP는 상기 응답 데이터가 요구 받은 응답 데이터인지, 요구 받지 않은 응답 데이터인지 구분하는 것으로서, 요구 받은 응답 데이터라면 '0'으로 설정되고, 요구 받지 않은 응답 데이터라면 '1'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RESP_TYPE는 상기 무선단말(800)과 기지국 간 응답 데이터 형식을 설정하는 4비트 코드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기 설정된 응답 데이터 형식에 대한 설정값은 IS-801 규격을 참조한다.
또한, 상기 RESP_PAR_LEN은 상기 RESP_PAR_RECORD에 포함되는 응답 파라미터 레코드의 길이로서, 최대 255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RESP_PAR_LEN은 상기 RESP_TYPE에 대응하는 응답 파라미터 레코드로서, 기 설정된 응답 데이터 형식에 대응하는 응답 파라미터 레코드는 IS-801 규격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상기 IS-801 규격에 정의된 RESP_TYPE 이외에(또는 상기 IS-801 규격에 정의된 RESP_TYPE 중 예비 영역에)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한 신규 RESP_TYPE을 정의한다.
또한,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상기 정의된 RESP_TYPE에 대응하는 응답 파라미터 레코드는, 저장 데이터 플래그, 저장시간 정보, 전송횟수 정보, 배터리(825) 잔량 정보 및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는,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인지, 또는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GPS 신호 수신부(830)와 위치 측위부(845)가 상호 연계하여 측위한 실시간(또는 현재) 위치정보인지 설정하는 플래그로서,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라면 'true'값을 갖고, 그렇지 않다면 'false'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저장시간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메모리부(840)에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된 시각(또는 저장된 이후 경과시간)을 확인하는 정보로서, 상기 무선단말(800)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저장시간이 클수록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진다.
또한, 상기 전송횟수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동일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한 횟수로서,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동일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때마다 가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825) 잔량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시,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배터리(825)의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 크기로서, 이에 의해 상기 서버(또는 단말)는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이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잔존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또는 단말)는 상기 저장시간 정보와 전송횟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8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졌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825) 잔량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할 수 있는 경우, 상기 IS-801 규격에 대응하는 상기 요청/응답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소정의 요청 데이터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하여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저장시간 정보와 전송횟수 정보 등은 초기화된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는,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서 상기 저장시간에 측위하여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는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정의한 상기 RESP_TYPE에 포함되지 않고, 종래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RESP_TYPE에 포함되어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무선단말(800)에서 최종 위치정보를 저장 및 전송하는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 부팅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상기 GPS 기반 위치측위를 기반으로 하는 소정의 긴급 위치정보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소정의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 및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하여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메모리부(840)에 저장한 후, 상기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절전모드를 개시하여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무선단말(800)에서 최종 위치정보를 저장 및 전송하는 동작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 부팅절차를 수행하면,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부팅절차에 따라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 파일롯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동기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및 타이밍 변환 세부 상태를 포함하는 "이동국 초기화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하고(1000),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로 전원을 공급하여 화면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고(1005), 상기 "이동국 초기화 상태" 설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 실행 기능(또는 예약 기능)을 실행한다(1010).
이후, 상기 무선단말(800)은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시스템 액세스 상태", 또는 "통화 채널 상태" 등에 대응하는 각각의 동작모드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고유 기능(예컨대, 음성통화 기능)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서비스 기능(예컨대, 데이터 통신 기능,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등)을 수행한다(1015).
상기와 같이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시스템 액세스 상태", 또는 "통화 채널 상태" 등에 대응하는 각각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또는 서비스)을 제공하는 동안, 상기 무선단말(800)은 소정의 키 입력수단을 통해 긴급 위치정보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것이 확인되면(1020),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GPS 기능 구성부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한다(102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다르면, 상기 무선단말(8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며, 이를 위해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모뎀칩에 구비되는 소정의 GPS칩(예컨대, MSM 3300 모뎀칩 이후 상기 모뎀칩에 탑재되는 'gpsONE'칩)으로 구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GPS 위치측위용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에서 가시선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위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는 단순 GPS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단순 GPS 측위방식에 의해 산출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오류를 보정하는 DGPS(Differential GPS) 측위 방식, 또는 A-GPS(Assisted-GPS) 측위 방식, 또는 이중차분 방식에 의한 측위방식(Double Differential GP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무선 처리부(835)는 IS-801 규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순 GPS 측위 방식에 의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오류를 보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오류 보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무선단말(800)이 단순 GPS 측위 방식, 또는 DGPS 측위 방식, 또는 A-GPS 측위 방식, 또는 이중차분 방식에 의한 측위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이후,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측위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한다(103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 전송에 대응하는 소정의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는, 상기 위치정보 전송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용도 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서버(또는 단말)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위치정보 용도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순 위치확인 용도인지, 또는 위치정보와 GIS 정보를 융합한 네비게이션 용도인지,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구조요청 용도인지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식별정보(또는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버(또는 단말)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또는 서버(또는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 전송과 관련되지 않은 기능 자동 실행 기능 및/또는 예약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차단하는 위치정보 전송용 절전 기능을 개시한다(1035).
만약 상기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절전 기능이 개시되면(1040),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한다(104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는 일정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및/또는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로 수신되는 위치정보 전송 요청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전송 조건이 만족된 것이 확인되면(1050),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메모리부(84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단말(8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통해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한다(1055).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단문 메시지의 USER_DATA 영역에 포함시킬 텍스트 정보(예컨대, 80bytes 이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소정의 단문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무선단말(8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거쳐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도면2에 도시된 IS-801 규격 기반의 GPS 프로토콜에 대입할 바이너리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도면2에 도시된 프로토콜 구조에 대입하여 상기 무선단말(8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거쳐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데이터 플래그, 저장시간 정보, 전송횟수 정보 및 배터리(825) 잔량 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는,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인지, 또는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GPS 신호 수신부(830)와 위치 측위부(845)가 상호 연계하여 측위한 실시간(또는 현재) 위치정보인지 설정하는 플래그로서,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라면 'true'값을 갖고, 그렇지 않다면 'false'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저장시간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메모리부(840)에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된 시각(또는 저장된 이후 경과시간)을 확인하는 정보로서, 상기 무선단말(800)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저장시간이 클수록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진다.
또한, 상기 전송횟수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동일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한 횟수로서,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동일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때마다 가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825) 잔량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시,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배터리(825)의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 크기로서, 이에 의해 상기 서버(또는 단말)는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이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잔존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또는 단말)는 상기 저장시간 정보와 전송횟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8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졌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825) 잔량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할 수 있는 경우, 상기 IS-801 규격에 대응하는 상기 요청/응답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소정의 요청 데이터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하여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저장시간 정보와 전송횟수 정보 등은 초기화된다.
따라서,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부터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도록 요청되는지 확인한다(1060).
만약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도록 요청되지 않는다면(1065),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도록 요청되면(1065), 상기 무선단말(8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하고, 상기 측위된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한 후(1070),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도면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무선단말(800)에서 최종 위치정보를 저장 및 전송하는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 부팅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상기 GPS 기반 위치측위를 기반으로 하는 소정의 긴급 위치정보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소정의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 및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하여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메모리부(840)에 저장한 후, 상기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절전모드를 개시하여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해 무선단말(800)에서 최종 위치정보를 저장 및 전송하는 동작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1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 부팅절차를 수행하면,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부팅절차에 따라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 파일롯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동기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및 타이밍 변환 세부 상태를 포함하는 "이동국 초기화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하고(1100),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로 전원을 공급하여 화면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고(1105), 상기 "이동국 초기화 상태" 설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 실행 기능(또는 예약 기능)을 실행한다(1110).
이후, 상기 무선단말(800)은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시스템 액세스 상태", 또는 "통화 채널 상태" 등에 대응하는 각각의 동작모드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고유 기능(예컨대, 음성통화 기능)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서비스 기능(예컨대, 데이터 통신 기능,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등)을 수행한다(1115).
상기와 같이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시스템 액세스 상태", 또는 "통화 채널 상태" 등에 대응하는 각각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또는 서비스)을 제공하는 동안, 상기 무선단말(800)은 소정의 키 입력수단을 통해 긴급 위치정보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것이 확인되면(1120),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GPS 기능 구성부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한다(112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다르면, 상기 무선단말(8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며, 이를 위해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모뎀칩에 구비되는 소정의 GPS칩(예컨대, MSM 3300 모뎀칩 이후 상기 모뎀칩에 탑재되는 'gpsONE'칩)으로 구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GPS 위치측위용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에서 가시선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위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는 단순 GPS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단순 GPS 측위방식에 의해 산출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오류를 보정하는 DGPS(Differential GPS) 측위 방식, 또는 A-GPS(Assisted-GPS) 측위 방식, 또는 이중차분 방식에 의한 측위방식(Double Differential GP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무선 처리부(835)는 IS-801 규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순 GPS 측위 방식에 의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오류를 보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오류 보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무선단말(800)이 단순 GPS 측위 방식, 또는 DGPS 측위 방식, 또는 A-GPS 측위 방식, 또는 이중차분 방식에 의한 측위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이후,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긴급 위치정보 전송 명령에 대응하는 GPS 기반 실시간 위치 측위를 위해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배터리(825) 잔량이 부족한지 확인한다(1130).
만약 상기 배터리(825) 잔량이 부족하지 않다면(1135),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GPS 기능 구성부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배터리(825) 잔량이 부족하다면(1135),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측위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로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한다(114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 전송에 대응하는 소정의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는, 상기 위치정보 전송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용도 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서버(또는 단말)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위치정보 용도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순 위치확인 용도인지, 또는 위치정보와 GIS 정보를 융합한 네비게이션 용도인지,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구조요청 용도인지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식별정보(또는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버(또는 단말)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또는 서버(또는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 전송과 관련되지 않은 기능 자동 실행 기능 및/또는 예약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차단하는 위치정보 전송용 절전 기능을 개시한다(1145).
만약 상기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절전 기능이 개시되면(1150),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한다(115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는 일정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및/또는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로 수신되는 위치정보 전송 요청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전송 조건이 만족된 것이 확인되면(1160),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메모리부(84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단말(8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통해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한다(1165).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단문 메시지의 USER_DATA 영역에 포함시킬 텍스트 정보(예컨대, 80bytes 이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소정의 단문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무선단말(8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거쳐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도면2에 도시된 IS-801 규격 기반의 GPS 프로토콜에 대입할 바이너리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도면2에 도시된 프로토콜 구조에 대입하여 상기 무선단말(8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거쳐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데이터 플래그, 저장시간 정보, 전송횟수 정보 및 배터리(825) 잔량 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는,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인지, 또는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GPS 신호 수신부(830)와 위치 측위부(845)가 상호 연계하여 측위한 실시간(또는 현재) 위치정보인지 설정하는 플래그로서,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라면 'true'값을 갖고, 그렇지 않다면 'false'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저장시간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메모리부(840)에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된 시각(또는 저장된 이후 경과시간)을 확인하는 정보로서, 상기 무선단말(800)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저장시간이 클수록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진다.
또한, 상기 전송횟수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동일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한 횟수로서,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동일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때마다 가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825) 잔량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시,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배터리(825)의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 크기로서, 이에 의해 상기 서버(또는 단말)는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이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잔존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또는 단말)는 상기 저장시간 정보와 전송횟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8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졌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825) 잔량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할 수 있는 경우, 상기 IS-801 규격에 대응하는 상기 요청/응답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소정의 요청 데이터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하여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저장시간 정보와 전송횟수 정보 등은 초기화된다.
따라서,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부터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도록 요청되는지 확인한다(1170).
만약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도록 요청되지 않는다면(1175),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도록 요청되면(1175), 상기 무선단말(8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하고, 상기 측위된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한 후(1180),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도면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800)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2는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 부팅절차를 수행하는 과정(또는 부팅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도면3 및/또는 도면4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 저장 과정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메모리부(840)에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사용자 요청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가능한 오랜시간 동안 전송하기 위한 절전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무선단말(8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통해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전원관리 기반 절전형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단말(800)의 동작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2에 도시된 실시 방법과 상기 도면6 및/또는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메모리부(840)에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와 소정의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정보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된 경우, 또는 상기 부팅과정에서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배터리(825) 잔량이 부족한 경우,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사용자 요청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가능한 오랜시간 동안 전송하기 위한 절전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무선단말(8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통해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2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 부팅절차를 수행하면,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부팅절차에 따라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 파일롯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동기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및 타이밍 변환 세부 상태를 포함하는 "이동국 초기화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되는데(1200), 상기 무선단말(800)의 동작모드가 상기 "이동국 초기화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되는 동안(또는 설정된 후),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메모리부(840)에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1205).
만약 상기 메모리부(840)에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1210),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도면3 및/또는 도면4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 저장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메모리부(840)에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1210),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화면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고(1215), 상기 화면으로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상기 사용자가 확인(또는 요청)하는 위치정보 전송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위치정보 전송 화면을 통해 소정의 위치정보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지 확인한다(1220).
만약 상기 위치정보 전송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다면(1225),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도면3 및/또는 도면4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 저장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위치정보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1225),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 전송과 관련되지 않은 기능 자동 실행 기능 및/또는 예약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차단하는 위치정보 전송용 절전 기능을 개시한다(1230).
만약 상기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절전 기능이 개시되면(1235),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한다(124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는 일정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및/또는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로 수신되는 위치정보 전송 요청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전송 조건이 만족된 것이 확인되면(1245),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메모리부(84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단말(8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통해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한다(1250).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단문 메시지의 USER_DATA 영역에 포함시킬 텍스트 정보(예컨대, 80bytes 이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소정의 단문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무선단말(8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거쳐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도면9에 도시된 IS-801 규격 기반의 GPS 프로토콜에 대입할 바이너리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도면9에 도시된 프로토콜 구조에 대입하여 상기 무선단말(800)과 무선채널이 연결된 기지국을 거쳐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는 상기 도면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데이터 플래그, 저장시간 정보, 전송횟수 정보 및 배터리(825) 잔량 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는,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인지, 또는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GPS 신호 수신부(830)와 위치 측위부(845)가 상호 연계하여 측위한 실시간(또는 현재) 위치정보인지 설정하는 플래그로서,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라면 'true'값을 갖고, 그렇지 않다면 'false'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저장시간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메모리부(840)에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가 저장된 시각(또는 저장된 이후 경과시간)을 확인하는 정보로서, 상기 무선단말(800)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저장시간이 클수록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진다.
또한, 상기 전송횟수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동일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한 횟수로서,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동일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때마다 가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825) 잔량 정보는, 상기 저장 데이터 플래그가 'true'인 경우,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에서 서버(또는 단말)로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시, 상기 무선단말(800)에 구비된 배터리(825)의 잔류전원(또는 잔류전력) 크기로서, 이에 의해 상기 서버(또는 단말)는 상기 도면8에 도시된 무선단말(800)이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잔존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또는 단말)는 상기 저장시간 정보와 전송횟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8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졌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825) 잔량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단말(800)에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할 수 있는 경우, 상기 IS-801 규격에 대응하는 상기 요청/응답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소정의 요청 데이터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로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한번 더 측위하여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저장시간 정보와 전송횟수 정보 등은 초기화된다.
따라서,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부터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도록 요청되는지 확인한다(1255).
만약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도록 요청되지 않는다면(1260), 상기 무선단말(800)은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도록 요청되면(1260), 상기 무선단말(8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8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하고, 상기 측위된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한 후(1265), 상기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상기 무선단말(800)의 최종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100 : 무선단말 105 : 제어부
110 : 화면 출력부 115 : 사운드 처리부
120 : 키 입력부 125 : 배터리
130 : GPS 신호 수신부 135 : 무선 처리부
140 : 메모리부 145 : 위치 측위부
150 : 정보 확인부 155 : 절전 제어부
160 : 정보 전송부 165 : 정보 저장부

Claims (3)

  1. 근거리 장치와 근거리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무선통신망 상의 기지국과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무선 처리부를 다중 구비하고,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GPS 신호 수신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전에 지정된 서버 또는 단말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하는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설정되는 제1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시 지정된 이동통신 절차를 수행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전에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미리 설정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전에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설정된 상태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설정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최종 위치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후 측위된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와 무선 처리부 중 통신 연결 가능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에 대응하는 지정된 서버 또는 단말로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이용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시 지정된 이동통신 절차를 수행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재부팅 전의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 설정 확인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지정된 서버 또는 단말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재부팅 전에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최종 위치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후 측위된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이용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전송 기능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최종 위치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재부팅 후 측위된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한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화면출력 기능을 활성화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이용 방법.
KR1020160074982A 2016-06-16 2016-06-16 위치정보 이용 방법 KR20160076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982A KR20160076502A (ko) 2016-06-16 2016-06-16 위치정보 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982A KR20160076502A (ko) 2016-06-16 2016-06-16 위치정보 이용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571A Division KR20150146475A (ko) 2015-12-07 2015-12-07 위치정보 이용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742A Division KR101853969B1 (ko) 2017-03-15 2017-03-15 위치정보 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502A true KR20160076502A (ko) 2016-06-30

Family

ID=56352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982A KR20160076502A (ko) 2016-06-16 2016-06-16 위치정보 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65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790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determination of GPS location information for a mobile station without disrupting communications of a voice call
US10725184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e with mode-switchable navigation
RU2507540C2 (ru) Передатчик внутренней установки для системы обеспеч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местоположении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местоположении
US63143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serve power in a cellular telephone
US8639262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firm mobile equipment has remained relatively stationary using one or more pilot signal
US20120021767A1 (en) Updating position assist data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US20050280576A1 (en) Subscriber unit,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 location therefor
KR101680123B1 (ko) 위치정보 이용 방법
CA2498369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determination of gps location information for a mobile station without disrupting communications of a voice call
KR101853969B1 (ko) 위치정보 이용 방법
KR101882313B1 (ko) 위치정보 이용 방법
EP2282225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clock sources to save power on a GNSS-enabled mobile device
KR101530223B1 (ko) 지속적인 위치 추적 방법
KR20140022739A (ko) 하이브리드 방식의 위치 이용 방법
KR20160076502A (ko) 위치정보 이용 방법
KR20150146475A (ko) 위치정보 이용 방법
KR20150016923A (ko) 위치정보 이용 방법
KR20120008543A (ko) 위치 이용 방법
KR20080070271A (ko) 위치정보 처리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과 이를 위한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40095034A (ko) 지속적인 위치추적을 위한 위치 전송 방법
KR20080070272A (ko) 위치정보의 선택적 이용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과 이를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EP4357815A1 (en) Localized remote gnss positioning
KR20080065413A (ko) 위치정보의 선택적 이용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과 이를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061711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
JP5034127B2 (ja) 携帯電話機の使用制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