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327A - 안전 콘센트 - Google Patents

안전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327A
KR20160076327A KR1020140186405A KR20140186405A KR20160076327A KR 20160076327 A KR20160076327 A KR 20160076327A KR 1020140186405 A KR1020140186405 A KR 1020140186405A KR 20140186405 A KR20140186405 A KR 20140186405A KR 20160076327 A KR20160076327 A KR 20160076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otating body
connection terminal
terminal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김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수 filed Critical 김민수
Priority to KR1020140186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6327A/ko
Publication of KR20160076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센트(1)를 형성함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11)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공간부(11)에 상응하는 개구부(21)가 형성되어 본체(10)의 전면에 탈착되는 커버(20)와,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에 회전가능토록 형성하되 일측에는 접속단자(35)가 형성된 회전체(30)를 형성함으로써, 콘센트(1)의 접속단자(35)가 회전체(30)의 회전방향에 따라 본체(10)의 내부에 은폐되거나 커버(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콘센트(1)에 플러그를 접속하지 않을 시 접속단자(35)를 은폐하여 접속구(接續口)로 이물질을 삽입함에 따른 감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센트(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노출된 접속단자(35)의 접속구가 상측을 지향함에 따라 플러그의 접속과 제거가 용이한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 콘센트{SAFETY OUTLET}
본 발명은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센트에 구비되는 접속단자를 회전가능토록 원통형 회전체에 형성하되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플러그가 삽입되는 접속단자가 본체의 내부에 은폐되거나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 어린이들이 접속단자의 접속구(接續口)로 젓가락 등 위험물질을 삽입하여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콘센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접속단자의 접속구가 상측을 지향하도록 하여 플러그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각종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구로서, 상기 전기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두 개의 접속구(接續口)가 형성된 다수의 접속단자로 구성되는바, 하기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콘센트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통상 콘센트(100)는 건물의 벽면에 매립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 탈착되며 벽면의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120)와, 전원이 공급되는 다수의 접속단자(130)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접속단자(130)는 벽체의 내부로부터 이어지는 전력선(미도시)이 연결되는 부분과 플러그(200)가 삽입되는 한 쌍의 접속구(135)가 형성된 부분 전체를 지칭한다.
한편, 상기 콘센트(100)는 주로 벽면의 하단부에 매립되어 설치되는데, 이는 가전제품의 플러그(200)를 손쉽게 접속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론 콘센트(100)에 접속된 플러그(200)의 케이블(250)이 벽면에 길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실내 외관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콘센트(100)에 의하면, 어린 아이들이 쉽게 콘센트(100)에 접근할 수 있을뿐더러, 콘센트(100)의 접속구(135)가 항시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호기심이 많고 전기의 위험성을 아직 인식하지 못하는 유아가 이물질을 접속구(135)로 투입하는 경우가 흔히 있으며, 특히 젓가락이나 송곳 등 금속성 이물질을 삽입하여 감전사고에 이르는 경우도 적지 않고, 이 경우 합선에 의한 화재의 위험성 또한 있다.
그리고 접속구(135)로 투입된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으면, 이후 가전제품의 플러그(200)를 쉽게 접속할 수 없어 상당한 불편함이 있고, 이때 투입된 이물질이 도전성 물질이 아닌 경우에도 전기안전사고의 위험성은 존재한다.
한편, 상기 종래 콘센트(100)의 경우 접속단자(130)의 접속구(135)가 벽면의 하단에서 직각을 이루어 수평방향을 지향하기 때문에 콘센트(100)를 접속하거나 제거함에 있어 사용자가 낮은 자세를 취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110978호(2012.02.15.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콘센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센트에 플러그를 접속하지 않을 때에는 콘센트에 형성된 접속구를 콘센트 내부에 은폐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콘센트에 플러그를 접속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접속구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콘센트의 접속구로 이물질을 투입함에 따른 감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에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러그 접속시 콘센트의 접속구 방향이 상측을 지향하도록 함으로써 플러그를 보다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구성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공간부에 상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본체의 전면에 탈착되는 커버와,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회전가능토록 형성하고 일측에는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를 형성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가 커버의 개구부로 노출되도록 한 회전체를 포함하는 '안전 콘센트'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회전체가 회전가능토록 본체의 공간부에 회전체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반원형 가이드를 형성한 구성과, 또는 상기 본체의 공간부 양측에 축받침을 형성하고 회전체의 양측에는 상기 축받침에 요입되는 회전축을 형성한 구성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공간부와 회전체의 외주면에 걸림수단으로서 서로 대응하는 걸림돌기 및 걸림홈을 나누어 형성한 구성의 '안전 콘센트'에 부가적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가이드에 전력선이 연결되는 고정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는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회전단자를 형성하여 회전체의 회전방향에 따라 접속단자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구성과, 또는 상기 본체의 축받침에 전력선이 연결되는 고정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에는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회전단자를 형성하여 회전체의 회전방향과 무관하게 접속단자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구성의 '안전 콘센트'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콘센트의 접속단자가 회전체의 회전방향에 따라 본체의 내부에 은폐되거나 커버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콘센트에 플러그를 접속하지 않을 시 접속단자를 은폐하여 접속구로 이물질을 삽입함에 따른 감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콘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노출된 접속단자의 접속구가 상측을 지향함에 따라 플러그의 접속과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체와 회전체에 형성한 걸림수단에 의하여 접속단자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본체와 회전체에 형성한 고정단자 및 회전단자의 접촉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전력선의 단선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콘센트 및 플러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작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걸림수단의 부가적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작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되, 콘센트(1)의 전체적인 구성을 본체(10)와 커버(20) 및 회전체(30)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에 있어 본체(10)의 구성을 먼저 살펴보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후술할 회전체(30)가 삽입되는 공간부(11)가 형성되는데, 상기 공간부(11)에는 회전체(30)가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체(3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반원형 가이드(12)를 공간부(11) 양측에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공간부(11)의 양측에 축받침(13)을 형성하여 회전체(30)의 양측에 형성된 회전축(33)이 상기 축받침(13)에 요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공간부(11)에 가이드(12)와 축받침(13)을 모두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체(10)와 회전체(30)에는 서로 대응하는 걸림수단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체(30)의 회전방향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걸림수단의 일 실시예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공간부(11)에 걸림돌기(14)를 형성하여 회전체(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14)가 회전체(30)의 걸림홈(34a,34b)에 선택적으로 요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1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부가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14)가 본체(10)에 내장된 스프링(15)에 의하여 탄설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14) 및 걸림홈(34a,34b)은 그 위치에 한정하지 않는바, 도면에 도시하지 않으나 상기 걸림수단은 본체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회전체에 걸림돌기를 형성한 것을 포함한다.
전원의 공급과 관련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벽체로부터 인출된 전력선(5)은 본체(10)의 공간부(11)로 인입되어 회전체(30)의 접속단자(35)와 연결됨으로써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데, 상기의 경우 접속단자(35)가 구비된 회전체(30)와 전력선(5)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간편한 반면, 회전체(30)의 잦은 회전작동에 따라 전력선(5)의 단락이 있을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본체(10)에 고정단자(16a)(16b)를 형성하고 회전체(30)에는 상기 고정단자(16a)(16b)에 접촉하는 회전단자(36a)(36b)를 형성하여 전력선(5)의 단락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가이드(12)에 전력선(5)이 연결되는 고정단자(16a)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12)에 접촉하는 회전체(30)의 외주면에는 회전단자(36a)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회전체(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접속단자(35)에 전원이 공급되는 장점이 있다. 즉, 본체(10)의 내부에 접속단자(35)가 은폐되도록 한 상태에서 유아가 회전체(30)를 다소 돌린다 하더라도 회전체(30)를 최상단에 정위치 시키지 않는 한 접속단자(35)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9를 살펴보면, 본체(10)의 축받침(13)에 전력선(5)이 연결되는 고정단자(16b)를 형성하고, 상기 축받침(13)에 요입되는 회전체(30)의 회전축(33)에 회전단자(36b)를 형성함으로써, 회전체(30)의 회전방향과 무관하게 접속단자(35)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콘센트(1)에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에서 예기치 않은 외력에 의하여 회전체(30)가 회전하더라도 전원이 차단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체(10)에 있어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17'은 본체(10)의 전면에 형성한 체결홈(17)이다.
본 발명에 있어 커버(2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커버(20)는 본체(10)의 전면에 탈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에 상응하는 개구부(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21)는 회전체(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회전체(30)가 본체(10)의 바깥으로 이탈하지 않고 본체(10) 내에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20)는 본체(10)에 대하여 간편하고 견고하게 탈착되도록 하되, 커버(20)의 배면에 다수의 체결돌기(27)를 형성하여 본체(10)의 체결홈(17)에 결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 회전체(30)의 구성을 살펴보면, 회전체(30)는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에 회전가능토록 설치하는데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회전체(30)의 외주면이 상기 공간부(11)에 형성한 반원형 가이드(12)에 접촉함으로써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또는, 회전체(30)의 양측에 회전축(30)을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11)의 양측에 형성한 축받침(13)에 요입함으로써 상기 회전체(30)의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30)에는 그 회전방향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걸림수단을 구비하는바,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에 형성한 걸림돌기(14)가 요입되는 복수개의 걸림홈(34a,34b)을 회전체(30)의 외주면에 형성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으나 본체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체에 걸림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30)의 일측에는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35)가 구비되는바, 상기 접속단자(35)는 그 회전방향에 따라 본체(10)의 내부에 은폐되거나 커버(20)의 개구부(21)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35)는 전력선(5)과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는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5)과 회전체(30)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고, 상기 본체(10)의 가이드(12)에 전력선(5)이 연결되는 고정단자(16a)를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는 회전체(30)의 외주면에는 접속단자(35)와 연결되는 회전단자(36a)를 형성함으로써 회전체(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접속단자(35)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축받침(13)에 전력선(5)이 연결되는 고정단자(16b)를 형성한 경우, 상기 회전체(30)의 회전축(33)에 접속단자(35)와 연결되는 회전단자(36b)를 형성함으로써, 회전체(30)의 회전방향과 무관하게 접속단자(35)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작용을 살펴보면, 콘센트(1)에 플러그를 접속하지 않는 경우 회전체(30)를 반전시켜 회전체(30)의 접속단자(35)가 본체(10) 내부에 은폐되도록 하고, 걸림수단에 의하여 그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유아가 접속단자(35)의 접속구(接續口)로 이물질을 투입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콘센트(1)에 플러그를 접속하는 경우, 상기 회전체(30)를 원위치하여 접속단자(35)에 플러그를 접속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접속단자(35)의 접속구가 종래와 달리 상측을 지향하므로 플러그의 접속이 보다 용이하다.
한편, 전력선(5)과 접속단자(35)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 고정단자(16a)(16b)와 회전단자(36a)(36b)를 이용함으로써 전력의 단락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단자(16a)(16b)와 회전단자(36a)(36b)의 각 실시예에 따라 회전체(30)의 회전방향과 관련하여 선택적으로 전력공급을 단속할 수 있다.
1: 콘센트 5: 전력선
10: 본체 11: 공간부
12: 가이드 13: 축받침
14: 걸림돌기 15: 스프링
16a, 16b: 고정단자 17: 체결홈
20: 커버 21: 개구부
27: 체결돌기 30: 회전체
33: 회전축 34a, 34b: 걸림홈
35: 접속단자 36a, 36b: 회전단자

Claims (5)

  1. 내부에 공간부(11)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공간부(11)에 상응하는 개구부(21)가 형성되어 본체(10)의 전면에 탈착되는 커버(20)와;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에 회전가능토록 형성하고, 일측에는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35)를 형성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35)가 커버(20)의 개구부(21)로 노출되도록 한 회전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에 회전체(3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반원형 가이드(12)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 양측에 축받침(13)을 형성하고 회전체(30)의 양측에는 상기 축받침(13)에 요입되는 회전축(33)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전체가 회전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30)의 회전방향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와 회전체(30)에 서로 대응하는 걸림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가이드(12)에 전력선(5)이 연결되는 고정단자(16a)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30)의 외주면에는 접속단자(35)와 연결되는 회전단자(36a)를 형성함으로써, 회전체(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접속단자(35)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축받침(13)에 전력선(5)이 연결되는 고정단자(16b)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30)의 회전축(33)에는 접속단자(35)와 연결되는 회전단자(36b)를 형성함으로써, 회전체(30)의 회전방향과 무관하게 접속단자(35)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KR1020140186405A 2014-12-22 2014-12-22 안전 콘센트 KR20160076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405A KR20160076327A (ko) 2014-12-22 2014-12-22 안전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405A KR20160076327A (ko) 2014-12-22 2014-12-22 안전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327A true KR20160076327A (ko) 2016-06-30

Family

ID=5635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405A KR20160076327A (ko) 2014-12-22 2014-12-22 안전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63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298A1 (ko) * 2019-08-23 2021-03-04 이진국 기능성 안전 멀티탭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978B1 (ko) 2005-12-22 2012-02-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감전 방지용 안전콘센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978B1 (ko) 2005-12-22 2012-02-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감전 방지용 안전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298A1 (ko) * 2019-08-23 2021-03-04 이진국 기능성 안전 멀티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7174B1 (en) Safe electrical outlet
KR101733995B1 (ko) 안전 콘센트 및 이를 구비한 멀티탭
JP5738493B2 (ja) 差込みコネクタ
KR20110080111A (ko) 회전식 플러그와 이에 대응하는 콘센트
KR20170140125A (ko) 플러그 삽입이 쉬운 콘센트
JP2015191889A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
KR100758689B1 (ko) 공동주택의 벽면 매설형 콘센트 단자함
KR20160076327A (ko) 안전 콘센트
KR200398891Y1 (ko) 회동식 접속부를 갖는 안전 콘센트
KR100664415B1 (ko) 회전식 조립 모듈 콘센트
KR102039590B1 (ko) 콘센트용 안전커버
KR101717237B1 (ko) 회전형 멀티탭
KR200468109Y1 (ko) 플러그 및 콘센트용 어댑터
KR101725859B1 (ko)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20090071028A (ko) 책상 매립형 멀티콘센트
US20170244205A1 (en) Power socket extension lead
KR101205407B1 (ko) 감전 사고를 방지하는 공동 주택용 절연 콘센트
EP3192132A1 (en) Socket outlet
KR101753599B1 (ko) 전선권취장치
KR101505645B1 (ko) 절전형 안전 콘센트
KR102633160B1 (ko) 회전형 결속보조기기
KR100601110B1 (ko) 매입형 콘센트
JP6632316B2 (ja) テーブルタップ及びコンセント
KR20110053298A (ko) 전기 플러그를 뽑지않은 상태로 전기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소켓
KR19990034764U (ko) 보호구가장착된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