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268A - 조립완구 - Google Patents

조립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268A
KR20160076268A KR1020140186262A KR20140186262A KR20160076268A KR 20160076268 A KR20160076268 A KR 20160076268A KR 1020140186262 A KR1020140186262 A KR 1020140186262A KR 20140186262 A KR20140186262 A KR 20140186262A KR 20160076268 A KR20160076268 A KR 20160076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
plate
connecting member
protrusion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석
Original Assignee
서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석 filed Critical 서용석
Priority to KR1020140186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6268A/ko
Publication of KR20160076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with rotation or translation, e.g. of keyhole or bayon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또 다른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는 다른 돌출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의 결합부가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완구{Assembling Toys}
본 발명은 조립완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의 플레이트 및 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 조립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완구는 사용자가 완성품을 구입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부품들을 구입한 후, 이들 구성부품을 하나하나 조립하여 완성품을 만들어가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조립완구는 완성품 자체가 갖는 완구로서의 기능과 함께, 상기 구성부품들을 조립해 가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취득하는 학습적 기능도 얻을 수 있어서, 특히 아이들의 학습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조립식 완구의 종류를 그 형태에 따라 구분해보면, 최종 완성품의 형태가 미리 정해져 있어서 정해진 순서에 따라 구성부품들을 조립해 가는 '목적형'과, 최종 완성품의 상태가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상과 의지에 따라 어떤 형상을 구성해 가는 '자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목적형의 경우 완성품의 형태가 정해져 있어 완성품의 완성도는 높으나, 사용자가 창의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저학년이나 유아들이 사용하는 완구일수록 자유형 조립완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자유형 조립완구의 경우의 대표적인 예로 '레고(lego)'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레고와 같은 조립완구의 경우 플레이트에 결합구가 붙어 있어, 사용자의 창의력을 향상시키는데 제한이 있어 새로운 조립완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0625136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각도 및 플레이트의 연결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조립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조립완구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또 다른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상기 지지부에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의 결합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각을 가지도록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는 연결부재의 결합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몸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상기 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일정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회동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고정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의 양측에서 복수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서로 어긋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에 의하면, 다양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완성품을 제작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재에 절개부 및 관통홀을 형성하여 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구성요소인 플레이트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구성요소인 연결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구성요소인 연결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연결부재가 플레이트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8은 고정형 연결부재의 각도에 따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복수의 연결부재가 하나의 결합공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조립완구는 플레이트(10)와 연결부재(3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구성요소인 플레이트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0)는 연결부재(30)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12)이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0)에는 플레이트(10)를 관통하는 복수의 결합공(12)이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0)는 나무 또는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10)의 형상은 'ㄱ'형, 'ㄴ'형, 원형, 곡선형 등 조립완구에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결합공(12)은 삽입되는 연결부재(3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일시예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구성요소인 연결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재(30)는 플레이트(10)와 플레이트(1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지지부(31)와 돌출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0)는 지지부(31)로부터 돌출되어 결합공(12)에 삽입되는 돌출부(33)가 지지부(31)에 복수로 구비되며, 돌출부(33)는 지지부(31)의 결합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각을 가지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돌출부(33)는 지지부(31)의 일측면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양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31)는 결합공(12)에 삽입시 결합부위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결합공(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결합공(12)이 원통형의 형상인 경우, 결합공(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33)는 지지부(31)와 연결되며, 돌출부(33)와 돌출부(33)가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돌출부(33)는 중심각이 90도인 부채꼴의 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중심으로부터 일정부분이 절단될 수 있다. 돌출부(33)의 중심부분이 절단되는 것은 결합공(12)에 삽입시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지지부(31)와 돌출부(33) 사이에는 결합공(12)에 삽입되는 몸체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5)는 결합공(12)에 삽입되도록 결합공(12)의 형상에 맞추어 제작될 수 있으며, 몸체부(35)에는 길이방향의 절개부(37)가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복수로 구비되는 돌출부(33)는 결합공(12)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지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33)만으로 결합시 결합공(12)으로부터 이탈할 위험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결합공(12)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몸체부(35)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35)와 돌출부(33)는 설명을 위하여 구분한 것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몸체부(35)가 결합공(12)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어린이 등의 사용자가 결합공(12)에 연결부재(30)를 삽입하거나 빼내기가 힘들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몸체부(35)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37)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37)는 연결부재(30)의 결합시 몸체부(35)의 직경이 축소되어 결합공(12)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절개부(37)는 몸체부(35)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0)에는 지지부(31)와 몸체부(35)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홀(39)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39) 또한, 연결부재(30)의 삽입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연결부재(30)는 구조적인 움직임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구성요소인 연결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연결부재가 플레이트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31)는 제1 지지부(31a)와 제2 지지부(3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31a)와 제2 지지부(31b)는 회동부(36)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부(31a) 및 제2 지지부(31b)의 일단은 회동부(36)에 의해서 연결되어 다양한 결합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일실시예로, 회동부(36)는 경첩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고정형 연결부재의 각도에 따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연결부재(30)의 지지부(31)는 제1 지지부(31a)와 제2 지지부(31b)로 구분이 가능하며, 제1 지지부(31a)와 제2 지지부(31b)는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31a)와 제2 지지부(31b)는 고정부(38)에 의해서 연결되어 플레이트(10)와 결합시 받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고정부(38)는 플레이트(10)와 연결부가 결합시 지지부(31)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실시예로, 고정부(38)는 제1 지지부(31a)의 일면과 제2 지지부(31b)의 일면을 연결할 수 있으며, 곡면의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부(31a)와 제2 지지부(31b)는 45도, 90도, 135도, 180도의 다양한 형상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도 9는 복수의 연결부재가 하나의 결합공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부재(30)는 플레이트(10)에 형성되는 결합공(12)의 양측에서 복수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30)의 돌출부(33)는 지지부(31)의 일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각을 가지도록 구비되므로, 돌출부(33) 각각은 서로 비어있는 공간에 삽입되어 끼워 맞춤 형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에 의하면, 다양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완성품을 제작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재에 절개부 및 관통홀을 형성하여 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플레이트
12 : 결합공
30 : 연결부재 31 : 지지부
31a : 제1 지지부 31b : 제2 지지부
33 : 돌출부
35 : 몸체부
36 : 회동부
37 : 절개부
38 : 고정부
39 : 관통홀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또 다른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상기 지지부에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의 결합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각을 가지도록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연결부재의 결합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몸체부를 더 포함하는 조립완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일정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회동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고정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의 양측에서 복수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서로 어긋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
KR1020140186262A 2014-12-22 2014-12-22 조립완구 KR20160076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262A KR20160076268A (ko) 2014-12-22 2014-12-22 조립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262A KR20160076268A (ko) 2014-12-22 2014-12-22 조립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268A true KR20160076268A (ko) 2016-06-30

Family

ID=56352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262A KR20160076268A (ko) 2014-12-22 2014-12-22 조립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62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864A (ko) * 2021-08-06 2023-02-14 (주)업스트림스포츠 테니스 라켓용 댐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136B1 (ko) 1999-01-15 2006-09-26 레고 에이/에스 완구 조립 세트용 조립 요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136B1 (ko) 1999-01-15 2006-09-26 레고 에이/에스 완구 조립 세트용 조립 요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864A (ko) * 2021-08-06 2023-02-14 (주)업스트림스포츠 테니스 라켓용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15084B1 (en) A toy building set
JP3221413U (ja) 左右ローリングで弾性作用されて結合を容易にしながら摩耗を防止したチェーンブロック玩具
KR20180095077A (ko) 완구트랙용 연결부재와 완구트랙
JP2019524317A (ja) 玩具組立要素
US20150024654A1 (en) Assembly and toy to be assembled using same
US20170014727A1 (en) Joint brick for building block
EP2609974B1 (en) Assembled toy
US9433872B2 (en) Building block construction system
CN208176978U (zh) 一种具有磁性的多功能积木
US20180250605A1 (en) Assembly toy
KR20160076268A (ko) 조립완구
US10286332B2 (en) Toy construction set with articulating linkable elements
KR20170065212A (ko) 탄성벽을 이용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디오라마 조립식 블록
KR101336672B1 (ko) 기하학적 조립식 완구 및 그 연결방법
CA3056012C (en) Toy construction set with articulating linkable elements
KR10138598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US20040253902A1 (en) Building toy set
KR101598508B1 (ko) 조립식 완구용 자석 장착구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완구
KR101508097B1 (ko) 유희 연결구
KR20160118520A (ko) 자석완구
KR20120038842A (ko) 블록교구
JP3180833U (ja) フィギュア用の関節構造
CN108379856B (zh) 一种活动连接件及其具有该活动连接件的玩具
EP2813271A1 (en) Rotating connection block for assembly block toy
KR101916181B1 (ko) 블록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