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157A -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 - Google Patents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157A
KR20160076157A KR1020140186003A KR20140186003A KR20160076157A KR 20160076157 A KR20160076157 A KR 20160076157A KR 1020140186003 A KR1020140186003 A KR 1020140186003A KR 20140186003 A KR20140186003 A KR 20140186003A KR 20160076157 A KR20160076157 A KR 20160076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horizontal
installing
horizontality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태영
Original Assignee
현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태영 filed Critical 현태영
Priority to KR1020140186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6157A/ko
Publication of KR20160076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의 창과 문 설치를 위한 가설단계에서 창호의 수평조정을 보다 확고하고도 안정되게 이룰 수 있는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 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수평맞춤기는 거푸집을 이용한 타설 또는 축조방식으로 구축된 건축물의 벽에 구비된 공간을 이용해 부가적으로 끼워 맞춤결합되는 창호의 설치 시, 상기 공간과 상기 창호 사이로 끼워넣어 수평조정을 이루게 하는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로써, 수평면적인 밑면과, 밑면의 일 단에서 상향으로 연이어 높이를 제공하는 수직면과, 수직면 정점과 밑면의 타 단 사이에서 높은 것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수평면적인 상ㆍ중ㆍ하단으로 이루는 계단면을 포함하여서, 간편하고 안정되고 확고한 창호의 수평맞춤을 이루게 된다.

Description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Straighten tool for the windows installation}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의 창과 문 설치를 위한 가설단계에서 창호의 수평조정을 보다 확고하고도 안정되게 이룰 수 있는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창호는 대략 거푸집을 이용한 타설 또는 축조방식으로 구축된 벽에 소정의 너비로 구비시킨 공간을 이용해 부가적인 끼워 맞춤방식으로 설치되고 있는데, 이때 벽에 구비되는 공간의 내 주연은 창호의 외곽보다 다소 넓은 너비를 가지고 자유로이 창호의 수평맞춤을 이루게 하고 있다.
그러한 창호 설치 시에서의 수평맞춤을 보면, 그 일례로 쐐기형으로 이룬 수평맞춤부재를 볼 수 있다.
상기에서의 쐐기형 수평맞춤 부재는 대략 직각 삼각형상으로 이루어 벽의 공간 내 주연과 창호의 외곽 사이로 끼워넣어서 소기의 수평맞춤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쐐기형의 수평맞춤 부재에서는 밑변과 그 밑변의 일 단에서 상향으로 연이어지는 높이, 그리고 높이의 정점과 밑변의 타 단 사이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연이어지고 창호의 밑을 떠받치는 빗변을 갖추고, 이렇게 구성되는 쐐기형 수평맞춤 부재를 1개 또는 2개를 맞대어 결합하여 창호의 수평맞춤을 이루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구성되는 쐐기형 수평맞춤 부재는 상기에서와 같이 빗변에서의 점차적으로 높이를 달리하는 기울기를 이용해 창호의 수평맞춤 시 창호가 그 경사면에서 정착되지 못하고 미끄러져 흘러내려 그 조정높이가 변위 되거나 또는 창호의 자중으로 쐐기형 수평맞춤 부재가 밀려나와 조정높이를 유지시키지 못하고 변위되는 현상이 일어나 수평맞춤이 불안전한 등의 많은 문제점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또 상기에서와 같이 수평맞춤 부재 2개를 단순하게 맞대어 결합시키고 있는 것으로, 외력이 작용 시 각기의 수평맞춤 부재가 수평 조정 초기의 결합위치를 지키지 못하고 수평맞춤 부재의 빗변인 경사면에 의해 미끄러져 흘러내리거나, 심한 경우에는 결합되었던 2개의 수평맞춤 부재가 와해되고 있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00444호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는 자유로이 높낮이를 변화시키면서 간편하게 수평조정을 이룸과 동시, 보다 확고하고 안정된 수평맞춤을 얻게 된다.
본 발명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가 제공하는 안정되고 확고한 창호의 수평맞춤은 수평면적으로 이루고 높낮이를 달리한 상ㆍ중ㆍ하단의 계단면을 이용하여 이루게 함으로써 달성되게 되는데, 이는 종래 기술에서 단순한 경사로 이루는 빗변을 이용한 쐐기형 수평맞춤 부재에서의 불안정한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게 될 것이다.
또 본 발명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는 밑면을 이용해 한 쌍의 수평맞춤기구들을 맞대어 결합한 후, 높은 것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높이를 갖는 상ㆍ하 측의 수평맞춤기구들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정렬되는 계단면들의 단 높이 합산으로 자유롭고 다양한 수평맞춤 높낮이를 얻게 함으로써, 수평맞춤 조정이 간편하고도 안정된다.
또한 한 쌍의 수평맞춤기구들을 암ㆍ수의 결합구조를 이용해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수평맞춤작업이 보다 안정되고 제품성도 높이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에서의 창과 문 설치를 위한 가설단계에서 창호의 수평조정을 보다 확고하고도 안정되게 이룰 수 있는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 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수평맞춤기는 거푸집을 이용한 타설 또는 축조방식으로 구축된 건축물의 벽에 구비된 공간을 이용해 부가적으로 끼워 맞춤결합되는 창호의 설치 시, 상기 공간과 상기 창호 사이로 끼워넣어 수평조정을 이루게 하는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로써, 수평면적인 밑면과, 밑면의 일 단에서 상향으로 연이어 높이를 제공하는 수직면과, 수직면 정점과 밑면의 타 단 사이에서 높은 것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수평면적인 상ㆍ중ㆍ하단으로 이루는 계단면을 포함하여서, 간편하고 안정되고 확고한 창호의 수평맞춤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에 의하면, 수평조정을 위한 창호와 벽 사이의 공간에 높낮이를 달리하며 수평면적으로 이루는 계단면의 상ㆍ중ㆍ하단을 선택적으로 삽입시켜 소기의 수평조정을 이루게 함으로서, 창호가 수평면적인 단들에 의해 그 설치상태가 안정되고 확고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한 쌍의 수평맞춤기구들을 밑면을 이용해 맞대어 결합한 후, 높낮이를 달리하는 상ㆍ하측 수평맞춤기구들의 각 계단면의 상ㆍ중ㆍ하단을 임의적이고 선택적으로 정렬하여 합산된 수평맞춤을 위한 높이를 얻게 함으로서, 현장에 따라 불규칙하고 다양하게 제시되는 수평조절을 위한 높낮이에 따라 적절하게 대체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상ㆍ하측 수평맞춤기구들을 상ㆍ하측 수평맞춤기구들의 밑면에서 구비되는 암ㆍ수의 결합구조에 의해 결합시키게 함으로서, 창호 수평맞춤을 위한 맞춤기구의 높낮이 조정이 작업이 안정되고 제품성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를 보여 주는 사시도.
도 2의 (a)는 본 발명 창호 설치를 위한 한 쌍의 수평맞춤기구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 주는 정면도.
도 2의 (b)는 도 2 (a)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가 적용되어 창호의 수평조정을 이루는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
도 4는의 (a)(b)는 도 3의 B-B선 또는 C-C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 높낮이 조절에서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 주는 설명도.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거푸집을 이용한 타설 또는 축조방식으로 구축된 건축물의 벽(1)에 구비된 공간(2)을 이용해 부가적으로 끼워 맞춤결합되는 창호(3)의 설치 시, 공간(2)과 창호(3) 사이로 끼워넣어 창호의 수평조정을 위한 고임목인 수평맞춤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10은 수평맞춤기구이다. 이러한 수평맞춤기구(10)는 수평면적으로 이루어 기구의 기저면을 제공하는 밑면(12)을 가지며, 이 밑면(12)의 일 단에서 상향으로 연이어 높이를 제공하는 수직면(14), 그리고 수직면(14)의 정점과 밑면(12)의 타 단 사이에서 높은 것으로 부터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높이를 가지고 구비되는 계단면(16)으로 구성된다.
또 계단면(16)은 상기에서와 같이 높은 것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높이를 가지고 수평면적으로 이루는 상ㆍ중ㆍ하단들(16a,16b,16c)을 갖는다. 이때 상ㆍ중ㆍ하단들(16a,16b,16c)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고 창호의 수평조절을 위한 고임목 높이를 제공함과 동시, 상기에서와 같은 수평면적인 단들(16a,16b,16c)에 의해 창호의 고임이 보다 안정될 것이다.
또한 수평맞춤기구들(10)을 도 4의 (a)와 같이 단독으로 사용하여 벽의 공간과 창호의 사이에 끼워넣나, 또는 도 4의 (b)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룬 수평맞춤기구들(10)의 밑면들(12)을 이용해 상ㆍ하 측에서 맞대어 결합하고, 이 상ㆍ하 측의 수평맞춤기구들(10)을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수평맞춤기구(10) 각기의 높낮이가 서로 다른 상ㆍ중ㆍ하단들(16a,16b,16c)을 임의적이고 선택적으로 정렬시켜 그 어느 하나의 열에서 합산된 높이로 창호의 수평맞춤을 위한 고임목 높이를 얻게 된다.
그리고 한 쌍으로 맞대어 상ㆍ하 측으로 결합되는 수평맞춤기구들(10)의 각 밑면들(12)에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며 안정된 결합을 이루게 하는 암ㆍ수의 결합구조(20)를 갖는다. 이러한 수평맞춤기구들(10)의 암ㆍ수의 결합구조(20)는 어느 일 측의 수평맞춤기구(10) 밑면(12)에 수형의 돌출부(20a)를, 그리고 타 측의 수평맞춤기구(10) 밑면(12)에는 암형의 수용부(2ob)를 갖추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 수평맞춤기구(10)에서의 상ㆍ중ㆍ하단들(16a,16b,16c)의 또 다른 정렬모습의 예를 보여 주는 설명도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수평맞춤기구 12 :밑면
14 :수직면 16 :계단면
16a :상단 16b :중단
16c :하단
20 :결합구조 20a :돌출부
20b :수용부

Claims (3)

  1. 거푸집을 이용한 타설 또는 축조방식으로 구축된 건축물의 벽에 구비된 공간을 이용해 부가적으로 끼워 맞춤결합되는 창호의 설치 시, 상기 공간과 상기 창호 사이로 끼워넣어 수평조정을 이루게 하는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로서,
    수평면적인 밑면;
    상기 밑면의 일 단에서 상향으로 연이어 높이를 제공하는 수직면; 및
    상기 수직면 정점과 상기 밑면의 타 단 사이에서 수평면적이며 높은 것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높이를 갖는 상ㆍ중ㆍ하단으로 이루는 계단면을 포함하는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맞춤기구들을 한 쌍으로 이루어 상기 밑면들을 이용해 상ㆍ하 측에서 맞대어 결합하고, 상ㆍ하 측의 상기 수평맞춤기구들을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수평맞춤기구 각기의 상ㆍ중ㆍ하단들을 임의적이고 선택적으로 정렬시켜 합산된 높이로 상기 창호의 수평맞춤을 이루게 한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으로 맞대어 결합되는 상기 수평맞춤기구들의 각 밑면들에 상기에서와 같이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을 이루게 하는 암ㆍ수의 결합구조를 갖는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
KR1020140186003A 2014-12-22 2014-12-22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 KR20160076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003A KR20160076157A (ko) 2014-12-22 2014-12-22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003A KR20160076157A (ko) 2014-12-22 2014-12-22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157A true KR20160076157A (ko) 2016-06-30

Family

ID=5635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003A KR20160076157A (ko) 2014-12-22 2014-12-22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615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4Y1 (ko) 2002-09-13 2003-01-14 김정기 창호공사용 수평맞춤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4Y1 (ko) 2002-09-13 2003-01-14 김정기 창호공사용 수평맞춤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7475B2 (en) Leveling and aligning device for installing tiles
US20190048658A1 (en) Construction assembly for installing a roller blind or the like
KR10169770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장
US9708843B2 (en) Method for installing a leaf of a sliding door and set used thereby
US8875910B2 (en) Assembly kit for building a rack
CN106103864A (zh) 模板支撑结构的适配器
CN105026675A (zh) 具有夹紧异型件的隔断墙系统
WO2018160143A3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heavy duty retaining wall
KR102189496B1 (ko) 벽체 배수판 설치용 조립식 프레임 시스템
KR101452968B1 (ko) 칸막이 시공용 하부 구조체
CN110984588A (zh) 一种预制混凝土构件快速连接的施工方法
US20070193203A1 (en) Post wrap device
KR102039732B1 (ko) 보 거푸집 지지장치
KR20160076157A (ko) 창호 설치를 위한 수평맞춤기구
CN208415933U (zh) 一种方便拆装的建筑施工用模壳
JP2012136879A (ja) 水田用水位調整桝及び水田の水位調整方法
FR3089510B1 (fr) Dispositif de réglage pour machine de fabrication de matelas en fibres minérales
US20180100307A1 (en) Adjustable lintel
EP3112556A1 (en) Supporting device, of the falling head type, for supporting beams of formwork for floor slabs
KR101834186B1 (ko) 벽 판넬 고정 베이스
CN203795598U (zh) 一种装配式墙板与梁体精准定位安装连接结构
KR102399984B1 (ko) 창호시공용 수평 고임구
CN205894533U (zh) 一种楼梯板之间的连接板
WO2014200444A1 (en) Concrete block steel reinforcement wall panel having a channel and a slot on front face
JP3218330U (ja) 木製棚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